[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5540B1 -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540B1
KR101375540B1 KR1020070084541A KR20070084541A KR101375540B1 KR 101375540 B1 KR101375540 B1 KR 101375540B1 KR 1020070084541 A KR1020070084541 A KR 1020070084541A KR 20070084541 A KR20070084541 A KR 20070084541A KR 101375540 B1 KR101375540 B1 KR 10137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essage
address
neighb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095A (ko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540B1/ko
Priority to US12/167,982 priority patent/US8175102B2/en
Priority to EP08159833A priority patent/EP2028796B1/en
Priority to DE602008004030T priority patent/DE602008004030D1/de
Priority to CN2008101313173A priority patent/CN101374089B/zh
Publication of KR2009002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5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46Resolving address allocation conflicts; Testing of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탐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망에서 인접을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인접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인접 추출(N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단말이 연결중인 망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인접 광고(NA)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종망, IPv6. 인접 탐색(Neighbor Discovery), 인접 추출(Neighbor Solicitation), IEEE 802.16 기반(Wimax)망

Description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 discovery in a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인접 탐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망에서 인접을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인터넷(Internet)망을 이용한 통신이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면서 사용자 및 호스트(Host)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인터넷 주소 체계로 쓰이던 32비트(Bit)의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v4)는 주소 고갈, 네트워크 혼잡, 서비스 지연, 보안 기술,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 한계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면서 IPv6 로의 전환을 재촉하였다.
IPv6는 128 비트의 주소 체계를 가지며, 기존의 IPv4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인접 탐색(Neighbor Discovery, 이하 'ND'라 칭함), 라우터 탐색(Router Discovery: RD), 비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버전 6(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version 6: DHCPv6), 최대 전송 유닛(Maximum Transport Unit: MTU) 탐색 등의 기능을 새롭게 제공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 인접 탐색은 인접 노드(Node)(호스트 또는 라우터)를 탐색하는 것이고, 라우터 탐색은 호스트가 연결된 링크에 상주한 라우터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스테이트리스 주소 자동 설정은 노드가 인터페이스의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고, DHCPv6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주소와 기타 네트워킹 정보를 노드에 할당하여 노드가 네트워크에서 자동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MTU 탐색은 링크에서의 지정된 MTU를 탐색하는 것이다.
한편, 이종의 시스템망들이 혼재하는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때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유지하면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종망간 핸드오버 기술로써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이하 'MIH'라 칭함)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MIH는 IP를 이용하는 망들에 대한 핸드오버도 다루고 있는데, MIH를 제안하고 있는 표준(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 802.21)에서 IPv6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IPv6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인접 탐색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현재 표준(IEEE 802.21)에 제안된 내용만으로는 모든 이종망에서의 구현이 쉽지 않다. 왜냐하면 각 이종망의 제2 계층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인접 탐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표준 802.3 또는 802.11 기반 망의 제2 계층 에서는 맥주소(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이용하여 라우팅(Rounting) 동작을 한다. 반면에, 표준 802.16 기반 망의 제2 계층에서는 맥주소 대신 접속 식별자(Connection IDentification, 이하 'CID'라 칭함)를 이용한 터널링(Tunneling) 방식에 의해 라우팅 동작을 한다. 따라서, MIH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인접 탐색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MIH 규격에 상기 상이한 방식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 추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종망에서 IPv6의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인접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인접 추출(N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단말이 연결중인 망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인접 광고(NA)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는 인접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인접 추출(NS)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위 계층부와, 상기 상위 계층부로부터 상기 NS 메시지가 전송되면, 연결중인 망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NS 메시지를 처리하는 인접 탐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는 인접 탐색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접 탐색부는 상기 연결중인 망을 확인하고, 상기 연결중인 망에 해당하는 처리부로 전달하는 망 정보 확인부와,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후,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인접 광고(NA) 메시지를 생성하는 무선 인터넷망 처리부와, 상기 망 정보를 저장하는 망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준 IPv6 스택(Stack) 및 각 망에서의 제2 계층 스택의 수정 없이, MIH 표준 규격을 응용하여 IPv6의 인접 탐색을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다. 즉,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MIH에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IPv6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들이 그대로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Mobile WiMax 망의 경우,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필요한 방송(Broadcast) 메시지들의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NS, NA와 같은 방송 메시지(Broadcast message)가 제거됨으로써 단말과 기지국 은 무선상의 네트워크 오버헤드(Overhead)는 물론 코어망(Core Network)측에서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MIH를 적용한 이종망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준 IEEE 802.11기반의 무선랜(WLAN)과 IEEE 802.16 기반의 무선 광대역망(Wireless Metropolitan Access Network, 이하 'WMAN'이라 칭함)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무선랜 및 무선 광대역망 이외에도 다른 셀룰러 망(Cellular Network)도 공존할 수도 있고, 다수의 무 선랜망, 무선 광대역망, 셀룰러 망이 공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망에서 이동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칭함)(110)와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 이하 'AR'라 칭함)(120)를 통해서 IP 액세스 네트워크, 즉 인터넷(Internet)망으로 연결됨으로써 IP 패킷 데이터(Packet data)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AR(120)은 무선랜망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100)에 대해 IP 라우팅을 처리하고, FA(Foreign Agent)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P(110)는 이동 단말(100)과의 무선랜 접속규약을 처리하고, 무선랜과 유선망 사이의 브릿지(Bridge)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라우팅(Routing)은 라우터(Router)가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으로 패킷의 주소 정보를 읽어 데이터를 목적지별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이동 단말(100)은 이종망인 표준 IEEE 802.16 기반의 무선 광대역망(WMAN)도 지원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듀얼 모드(Dual Band Dual Mode: DBDM) 단말로서, 도 1은 WLAN 및 WMAN에 모두 접속할 수 있는 이종망용 모뎀(MOdulation/DEmodulation: MODEM)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DBDM 단말은 2 개 이상의 이종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2 개 이상의 이종망용 모뎀을 장착하고 2개 이상의 이종망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WMAN에서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 이하 'RAS'라 칭함)(180)은 이동 단말(100)과의 접속을 제공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또한 RAS(180)는 이동 단말(100)의 인증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접속 제어 라우터(Access Control Router, 이하 'ACR'이라 칭함)(170)는 IP 액세스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IP 라우팅 및 이동성을 관리하고, IP 멀티캐스트(Multicast) 기능, 과금 기능, 기지국간 이동성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공중 IP망(Public IP Network)에는 홈 에이전트(Home Agent, 이하 'HA'라 칭함)(130),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140), MIH 서버(150), 컨텐츠서버(Contents Server)(160)가 위치할 수 있다. HA(130)는 모바일(Mobile) IP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패킷의 캡슐화를 수행하고 노드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존재하면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유지하며 외부 네트워크에 이동 접속해 있는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자 역할을 하는 라우터이다. AAA(140)는 노드의 액세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MIH 서버(150)는 이종망들이 산재하는 코어 망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망 자원(Resource)을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MIH 서비스들을 통해 이동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받으면 연결된 모든 이종망들의 정보를 이동 단말(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100), WLAN에서의 AP(110), WMAN에서의 RAS(180) 등은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를 위해 MIH 기능(Function)을 포함할 수 있어서, MIH를 위한 서비스들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100)뿐만 아니라 각 네트워크에서도 MIH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MIH 기능을 통한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각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해당하는 AP(11), RAS(180)가 MIH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각 네트워크의 다른 개체(Entity)가 MIH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단말이 MIH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의 구성도를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 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200)은 인터페이스부(210), MIH 기능부(220), MIH 사용부(MIH User)(230), 네트워크 관리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각각의 망들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로 각 망들에 해당하는 하위계층인 물리계층(Physical Layer)과 매체접근제어계층(MAC(Media Access Control) Layer)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터페이스부(210)는 표준 802.2 또는 802.3 기반의 망 접속을 위한 802.2 또는 802.3 인터페이스(Interface), 표준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망 접속을 위한 802.11 인터페이스, 표준 IEEE 802.16 기반의 무선 광대역망(WMAN) 접속을 위한 802.16 인터페이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반의 망 접속을 위한 3GPP 인터페이스, 3GPP2 기반의 망 접속을 위한 3GPP2 인터페이스 등 이종망들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들 이외에도 다른 시스템의 망 접속 위한 인터페이스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종망들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서비스 접속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들을 통해 MIH 기능부(220)와 연결된다.
MIH 기능(Function)부(220)는 다수의 인터페이스들과 MIH 사용부(MIH User)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MIH 기능부(220)는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를 위해 단말과 각 망들의 연결점(Point of Attachment)간에 송수신되는 이벤트(Event) 정보를 위한 이벤트 서비스부(222), 제어 명령(Command)을 위한 명령 서 비스부(224), 네트워크 정보(Information)를 위한 정보 서비스부(226),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인접 탐색부(22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벤트 서비스부(222)는 단말 또는 네트워크의 연결점이 자신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단말 또는 다른 연결점으로 송신하고, 단말 또는 다른 연결점으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서비스(Event Service)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연결점은 각 네투워크에 MIH 기능을 구비한 노드로서, 무선랜 망에서는 접속점(Access Point), 와이브로 망에서는 RAS(Radio Access St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에서는 Node B,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망에서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가 될 수 있다. 명령 서비스부(224)는 단말 또는 기지국이 단말 또는 다른 연결점을 제어하기 위하여 명령 정보를 송신하거나 이동 단말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명령 서비스(Command Service)를 수행한다. 정보 서비스부(226)는 단말 또는 연결점이 주변 망의 정보를 요청하거나 단말 또는 연결점으로부터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를 수행한다. 인접 탐색부(2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위 계층부(230)는 제공받은 서비스들을 수행한다. 상기 MIH 기능부(220)는 인터페이스 MIH_SAP를 통해 MIH 사용부(230)와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관리부(Network Management Entity)(240)는 네트워크의 정보 및 상태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등의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정보 및 상태는 인터페이스인 MIH_NMS_SAP를 통해 MIH 기능부(220)로 전달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은 이종망들에 IPv6 기능, 특히 인접 탐색 기능 적용을 저해하였던 문제점 즉, 802.16기반 망에서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MIH 기능을 이용한 이종망으로의 핸드오버의 경우에 IPv6 기능들을 적용하여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해결 방안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도 2의 단말 구성 중 인접 탐색을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인접 탐색(Neighbor Detection) 메커니즘(Mechanism)은 어떤 노드에 인접해 있는 이웃 노드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한 인접 노드와 접근 불가능한 노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링크에 연결된 인접 노드의 링크 계층 주소를 알아내고, 노드의 변경된 링크 계층의 주소도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노드에 대한 캐시(Cache)값을 신속하게 제거한다. 상기 노드(Node)는 호스트와 라우터 혹은 단말과 기지국(예를 들어, RAS), 제어기(예를 들어, ACR)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호스트와 단말이 동일한 의미로, 라우터와 기지국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기지국과 제어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들은 생략하고 인터페이스부(210)에 802.11 인터페이스와 802.16 인터페이스만을 도시한다. 상기 802.11 인터페이스는 IPv6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접 탐색을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망의 예이고, 상기 802.16 인터페이스는 IPv6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접 탐색을 적용할 때 네트워크 오버헤드(Overhead)등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망의 예이다.
MIH 기능부(220)는 인접 탐색부(228)를 구비하는데, 인접 탐색부(228)는 망 정보 확인부(ND_Adapter)(310), 802.11 기반망을 위한 망 처리부(WiFi_Adapter, 이하 '와이파이 어댑터'라함)(320), 802.16 기반망을 위한 무선 인터넷망 처리부(WiMax_Adapter, 이하 '와이맥스 어댑터'라함)(330), 망 정보 저장부(Network Database)(3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 탐색 수행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410 단계에서 제어부는 MIH 사용부(230), 특히 IPv6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하는 상위 계층에서 인접 추출(Neighbor Solicitation, 이하 'NS'라 칭함) 메시지가 생성되어 MIH 기능부(220)의 인접 탐색부(228)로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인접 탐색을 위한 동작들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NS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IPv6의 비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교환되는 메시지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IPv6의 주소자동설정 방식에는 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Stateful Address Autoconfiguration) 방식과 비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방식이 있다. 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 방식은 DHCPv6 프로토콜에 의해 주소 관리 서버가 단말에게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며, 비상태보전형 주소자동설정 방식은 망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자신이 사용할 주소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비상태보전형 주소자동설정 방식에 의해 주소를 생성한 단말은 자신이 생성한 주소가 다른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주소인지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주소 중복 검사(Duplicated Address Detection: DAD)라 한다. 이러한 주소 중복 검사 수행을 위해 교환되는 메시지들로서 NS 메시지 및 인접 광고(Neighbor Advertisement, 이하 'NA'라 칭함) 메시지가 있다.
만약 NS 메시지가 전달되면, 420 단계에서 망 정보 확인부(31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단말이 현재 연결중인 망의 종류를 확인한다. 망 정보 확인부(310)는 430 단계에서 상기 연결중인 망의 종류가 표준 IEEE 802.16 기반의 망인지를 확인하고, 표준 IEEE 802. 16기반 망이면 4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80 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 IEEE 802.16을 기반으로 하는 망은 통신 방식이 다른 망들에 비해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802.16 기반 망을 다른 일반 망들과 분리하여 처리한다. 440 단계에서 망 정보 확인부(31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NS 메시지를 와이맥스 어댑터(330)로 전달한다. 450 단계에서 와이맥스 어댑터(330)는 NS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망 정보 저장부(340)에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NS 메시지의 주소 결정 과정을 수행한다. 즉, 와이맥스 어댑터(330)은 NS 메시지를 연결된 망으로 전송하여 각 단말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고서 망 정보 저장부(34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망 정보 저장부(340)는 표준 IEEE 802.16 기반 망내에 있는 단말들의 맥주소(Media Access Control(MAC) Address) 및 IP 주소 등 단말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주소 결정 과정은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55 단계에서 와이맥스 어댑터(33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가 다른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주소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가 다른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주소이면, 와이맥스 어댑터(33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46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되지 않은 주소이면 475 단계로 진행하여 NA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NS 메시지를 폐기한다. 460 단계에서 와이맥스 어댑터(330)는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 즉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주소가 동일망의 다른 단말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NA 메시지를 생성한다. 470 단계에서 와이맥스 어댑터(330)는 NA 메시지를 제어부의 제어 하에 망 정보 확인부(310)를 통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480 단계에서 망 정보 확인부(31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NS 메시지를 와이파이 어댑터(320) 즉, IPv6에서 정의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NS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망 처리부로 전달한다. 490 단계에서 와이파이 어댑터(320)는 IPv6의 정의에 따라 일반적으로 NS를 처리한다. 즉, 동일한 맥주소를 가지는 동일한 링크의 모든 단말들에게 제 3계층 멀티캐스트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 3의 인터페이스부(210)의 802.11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495 단계에서 와이파이 어댑터(320)는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NA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NA 메시지는 NS에 포함된 주소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단말에 의해 같은 링크에 있는 모든 노드들에게 상기 주소가 이미 사용되는 주소임을 알리기 위해 제 3계층으로 멀티캐스트된다. 만약 NA 메시지가 수신되면 47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 방식이 상이한 망에 의해 초래되던 인접 탐색 수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이종망간에도 IPv6를 원활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해 제안된 MIH에도 IPv6를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MIH를 적용한 이종망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말 구성 중 인접 탐색을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 탐색 수행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Claims (14)

  1.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접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인접 추출(NS)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단말이 연결중인 망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인접 광고(NA)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이 아닌 경우, 상기 NS 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은,
    무선 인터넷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망은,
    표준 IEEE 802.16 기반한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정보는,
    상기 연결중인 망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맥주소(MAC address)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이 아닌 망은 유선랜(LAN)망, 무선랜(WLAN)망, 셀룰러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방법.
  7. 이종망들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인접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접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인접 추출(NS)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위 계층부와,
    상기 상위 계층부로부터 상기 NS 메시지가 전송되면, 연결중인 망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후,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에 대한 응답으로 인접 광고(NA)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이 아닌 경우, 상기 NS 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하는 인접 탐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탐색부는,
    상기 연결중인 망을 확인하고, 상기 연결중인 망에 해당하는 처리부로 상기 NS 메시지를 전달하는 망 정보 확인부와,
    상기 연결중인 망이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인 경우, 저장된 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NS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NS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A 메시지를 생성하는 무선 인터넷망 처리부와,
    상기 망 정보를 저장하는 망 정보 저장부와,
    상기 NS 메시지를 상기 IPv6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하는 망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은,
    무선 인터넷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망은,
    표준 IEEE 802.16 기반한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정보 저장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망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의 맥주소(MAC address)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12. 삭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NS 메시지를 자체 처리하도록 설정된 망이 아닌 경우, 상기 연결중인 망은 유선랜(LAN)망, 무선랜(WLAN)망, 셀룰러망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탐색부는,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MIH) 기능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탐색 수행 장치.
KR1020070084541A 2007-08-22 2007-08-22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541A KR101375540B1 (ko) 2007-08-22 2007-08-22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US12/167,982 US8175102B2 (en) 2007-08-22 2008-07-03 Neighbor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node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EP08159833A EP2028796B1 (en) 2007-08-22 2008-07-07 Neighbor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node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DE602008004030T DE602008004030D1 (de) 2007-08-22 2008-07-07 Verfahren zur Erkennung von Nachbarschaften und Vorrichtung für mobile Knoten in einer heterogenen Netzwerkumgebung
CN2008101313173A CN101374089B (zh) 2007-08-22 2008-08-01 异构网络环境中的移动节点的邻居发现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541A KR101375540B1 (ko) 2007-08-22 2007-08-22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95A KR20090020095A (ko) 2009-02-26
KR101375540B1 true KR101375540B1 (ko) 2014-03-19

Family

ID=3975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5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540B1 (ko) 2007-08-22 2007-08-22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75102B2 (ko)
EP (1) EP2028796B1 (ko)
KR (1) KR101375540B1 (ko)
CN (1) CN101374089B (ko)
DE (1) DE60200800403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9259B2 (ja) * 2009-06-04 2014-01-15 ブラックベリー リミテッド Radius互換プロトコルを用いた移動端末への隣接ネットワーク情報の通信の促進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322420A1 (en) * 2009-06-18 2010-12-23 Arris Group, Inc. Duplicate Address Detection Proxy in Edge Devices
US9723538B2 (en) * 2011-06-20 2017-08-01 Cisco Technology, Inc. Systematic neighbor detection in shared media computer networks
US9277399B2 (en) 2013-02-22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latency wh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685024B (zh) * 2013-12-26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点保护方法和装置
US9877144B2 (en) * 2014-07-04 2018-0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ssion of IPv6 packets ove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device operating the same
US20160192403A1 (en) * 2014-12-30 2016-06-30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provide lte voice, internet and embms services over ethernet for connected home architecture
CN106330723B (zh) * 2015-06-15 2020-03-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邻居设备的发现方法及装置
US10412177B2 (en) * 2016-03-30 2019-09-10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ethod and system of using IPV6 neighbor discovery options for service discovery
CN109151726B (zh) * 2018-07-25 2020-10-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邻近感知网络nan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10380963B (zh) * 2019-01-17 2021-07-06 重庆邮电大学 一种高效快收敛的邻居发现方法
US11190927B2 (en) * 2019-07-08 2021-11-3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Vehicular neighbor discovery for IP-based vehicular netwo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87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20070073250A (ko) * 2006-01-04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IPv6를 지원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장치 및 와이브로단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19A (ko) * 2004-02-05 200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중복 주소 검출을 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
US7738871B2 (en)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7606200B2 (en) * 2005-02-18 2009-10-20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KR20060106530A (ko) 2005-04-09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에서의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그 멀티모드 단말
KR100687746B1 (ko) 2005-07-28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US8374122B2 (en) * 2005-12-21 2013-02-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WiFi/WiMax neighbor AP discovery and AP advertisement
CN1992637B (zh) * 2005-12-31 2011-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WiMax网络控制管理系统和方法
US20080043665A1 (en) * 2006-08-18 2008-02-21 Jeon Hong-Seok IPv6 NEIGHBOR DISCOVERY SUPPORT METHOD 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87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20070073250A (ko) * 2006-01-04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IPv6를 지원하기 위한 에뮬레이션 장치 및 와이브로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52347A1 (en) 2009-02-26
CN101374089B (zh) 2012-06-27
CN101374089A (zh) 2009-02-25
US8175102B2 (en) 2012-05-08
DE602008004030D1 (de) 2011-02-03
EP2028796B1 (en) 2010-12-22
KR20090020095A (ko) 2009-02-26
EP2028796A1 (en)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40B1 (ko)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US8102811B2 (en)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39803B1 (ko)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82243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 of mobile n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US20060187881A1 (en) Establishing network address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6370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handoff in a mobile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system
WO20060933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ly coupled interworking between cellular network and wlan network
KR100601673B1 (ko)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4875630B2 (ja) マルチモード移動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遂行後におけるリンク解除方法及び移動端末
KR20080026318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85323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移動端末の網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装置
KR100765795B1 (ko) 이동 노드로 핸드오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1383B1 (ko) Ip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단말기등록방법
KR101044945B1 (ko) 정보 서버에서 이동 단말로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정보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029673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KR10120924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Lee et al. Fast and lossless handoff method considering duplicate address detection in IPv6-based mobile/wireless networks
KR20100061000A (ko) Mih 기반 이종망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8003170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2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3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319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320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4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