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1621B1 - 렌즈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621B1
KR100681621B1 KR1020050026317A KR20050026317A KR100681621B1 KR 100681621 B1 KR100681621 B1 KR 100681621B1 KR 1020050026317 A KR1020050026317 A KR 1020050026317A KR 20050026317 A KR20050026317 A KR 20050026317A KR 100681621 B1 KR100681621 B1 KR 100681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lens
coil
lens suppor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894A (ko
Inventor
마나부 시라키
나오키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Publication of KR2006008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 지지체가 정밀도 좋게 이동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구동 장치(1)는, 렌즈 지지체(7)와, 렌즈 지지체(7)의 외주측(外周側)에 고정한 코일(10)과,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내주측(內周側)에 개구를 갖는 요크(yoke)(3)와, 요크(3)의 내부에 설치한 자석(13)을 구비하고, 렌즈 지지체(7)는 외주에 플랜지(flange)부(21)를 갖추고, 플랜지부(21)에는 코일 부착부(23)와 요크 맞닿음부(2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코일 부착부(23)가 요크(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일 부착부(23)에는 코일(10)을 접착 고정하고 있고, 플랜지부(21)가 요크(3)의 개구를 이동하고 또한 요크(3)의 개구단(開口端)에 플랜지부(21)의 요크 맞닿음부(25)가 맞닿아서 렌즈 지지체(7)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며, 플랜지부(21)에는 요크 맞닿음부(25)보다도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쑥 들어간 접착제 도피부(27)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ING APPARATUS}
도 1은 도 3에 나타내는 렌즈 지지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5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a)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5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b)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도면이며, 렌즈 지지체의 구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도면이며, 렌즈 지지체의 구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래예에 따른 렌즈 지지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예에 따른 렌즈 지지체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구동 장치 3 : 요크
7 : 렌즈 지지체 10 : 코일
21 : 플랜지부 23 : 코일 부착부
25 : 요크 맞닿음부 27 : 접착제 도피부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및 도 7, 도 8에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렌즈 지지체(107)에 있어서, 렌즈 지지체(107)의 플랜지부(121)에는 코일 부착부(123)와 요크 맞닿음부(1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부착부(123)에 코일(110)을 접착 고정하고, 플랜지부(121)가 요크(103)의 개구를 이동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4-28003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종래기술은, 플랜지부(121)에 코일의 부착부(123)와 요크의 맞닿음부(1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110)을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한 접착제(S)가 코일 부착부(123)로부터 밀려 나와, 요크의 맞닿음부(125)에 흘러 들어 올 우려가 있다. 접착제(S)가 요크 맞닿음부(125)에 흘러 들어 오면, 요크(103)의 개구단(103a)이 접착제(S)에 맞부딪쳐서, 렌즈 지지체(107)가 정밀도 좋게 이동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렌즈 지지체가 정밀도 좋게 이동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를 얻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렌즈 지지체와, 렌즈 지지체의 외주측에 고정한 코일과,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내주측에 개구를 갖는 요크와, 상기 요크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한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통전(通電)해서 상기 렌즈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렌즈 지지체는 외주에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코일 부착부와 요크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부착부는 요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코일을 접착 고정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요크 맞닿음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 지지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요크 맞닿음부보다도 짧은 접착제 도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피부의 외주 측면이 요크 맞닿음부의 외주 측면보다도 상기 코일 부착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착부에는 다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3에 표시한 렌즈 지지체를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5에 표시한 (a) 부분을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5에 표시한 (b) 부분을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도면으로서, 렌즈 지지체의 구동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도면으로서, 렌즈 지지체의 구동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는, 휴대 전화의 오토포커스 렌즈(autofocus lens)에 조립되는 것이며, 대략 원통 형상의 요크(3)와, 이 요크(3)가 장착되는 베이스(base)(5)와, 이 베이스(5)를 지지하는 프레임(frame)(6)과, 요크(3)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렌즈 지지체(7)와, 이 렌즈 지지체(7)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코일(10)과, 렌즈 지지체(7)의 전후 방향에 배치되는 전방 스프링(9) 및 후방 스프링(11)을 구비하고 있다.
요크(3)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이며, 외주측의 외측(外側) 요크(3a)와 내주측의 내측(內側) 요크(3b)로 이루어지고, 외측 요크(3a)의 내주면(內周面)에 링(ring) 형상의 자석(13)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13)은 링 형상이며, 원주 방향을 따라 4개의 원호 형상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
베이스(5)는 요크(3)의 외주를 따른 형상으로 외주벽(外周壁)(5a)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5)의 저면(底面) 측에는 센서 홀더(sensor holder)(29)를 부착하고 있다.
프레임(6)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내주에 걸림 돌기(突起)(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돌기(8)와 캡(cap)(15)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16)가 걸려서, 캡(15)의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전방 스프링(9)은 금속제의 링 형상의 판스프링이며, 내주부(9a)와 외주부(9b)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부(9a)는 외주부(9b)에 대하여 전후로 가세(加勢)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주부(9a)는 렌즈 지지체(7)와 캡(15)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서 고정되고, 외주부(9b)는 요크(3)와 프레임(6)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후방 스프링(11)은 전방 스프링(9)과 마찬가지로 금속제의 링 형상의 판스프링이며, 내주부(11a)와 외주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부(11a)는 외주부(11b)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가세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주부(11a)는 렌즈 지지체(7)와 베이스(5)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서 고정되고, 외주부(11b)는 후방 스페이서(spacer)(19)와 베이스(5)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렌즈 지지체(7)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그 내부에 렌즈(1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렌즈 지지체(7)는 외주에 플랜지부(21)를 구비하고, 플랜지부(21)에는 코일의 부착부(23)와 요크의 맞닿음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요크(3b)의 개구단(3c)과 요크의 맞닿음부(25)와의 사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련 개구를 플랜지부(21)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지지체(7)가 최후방에 위치했을 때에는 렌즈 지지체(7)가 베이스(5)에 맞닿게 되어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지지체(7)가 최전방에 위치했을 때에는, 내측 요크(3b)의 개구단(3c)이 렌즈 지지체(7)의 요크 맞닿음부(25)의 맞닿음 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부(21)에는 요크 맞닿음부(25)의 맞닿음 면보다도 렌즈(10)의 이동 방 향으로 쑥 들어간 접착제 도피부(27)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접착제 도피부(27)의 외주 측면(27a)이 요크 맞닿음부(25)의 외주 측면(25a)보다도 코일 부착부(23)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코일 부착부(23)는 그 표면에 무수한 요철(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조립,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렌즈 구동 장치(1)를 조립할 경우, 렌즈(12)를 내장한 렌즈 지지체(7)에 후방 스프링(11)을 부착하고, 그 후, 자석(13)과 렌즈 지지체(7)에 고정한 코일(10)을 요크(3)의 내측에 배치하고, 렌즈 지지체(7)는 후방 스페이서(19)를 사이에 끼워서 베이스(5)에 고정한다. 코일(10)은 렌즈 지지체(7)의 요크 맞닿음부(25)의 외주 측면(25a) 및 접착제 도피부(27)의 외주 측면(27a)으로 위치 결정한 후, 코일(10)의 저면부(10a)와 코일 부착부(23)의 요철(23a)과의 사이, 요크 맞닿음부(25)의 외주 측면(25a)과 코일의 내주 측면(10b)과의 사이, 및 접착제 도피부(27)의 외주 측면(27a)과 코일의 내주 측면(10b)과의 사이에 접착제(S)를 충전해서 코일(10)을 접착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 스페이서(17)와 프레임(6)과의 사이에 전방 스프링(9)의 외주부(9b)를 끼우고, 캡(15)과 렌즈 지지체(7)와의 사이에 전방 스프링(9)의 내주부(9a)를 끼워, 베이스(5)와 프레임(6)을 고정한다.
상기의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 코일(10)에 통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렌즈 지지체(7)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며, 코일(10)에 통전하면, 렌즈 지지체(7)는 전방 방향으로 전자력을 받아서 도 5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다 시 코일(10)에의 통전을 절단하면, 전방 스프링(9) 및 후방 스프링(11)의 가세력(加勢力)에 의해, 렌즈 지지체(7)는 후방 방향에의 힘을 받아, 도 4에 나타내는 원래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1)에는 요크 맞닿음부(25)보다도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쑥 들어간 접착제 도피부(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10)을 코일 부착부(23)에 접착 고정할 경우에, 코일 부착부(23)로부터 밀려 나온 접착제(S)가 접착제 도피부(27)에 흘러 들어 오기 쉽고, 요크 맞닿음부(25)에 접착제(S)가 흘러 들어 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요크 맞닿음부(25)에 접착제(S)가 부착되기 어려워, 렌즈 지지체(7)가 이동할 때, 요크의 개구단(3c)이 요크 맞닿음부(25)에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고, 렌즈 지지체(7)가 정밀도 좋게 이동할 수 있다.
접착제 도피부(27)의 외주 측면(27a)이 요크 맞닿음부(25)의 외주 측면(25a)보다도 코일 부착부(23)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접착제 도피부(27) 쪽이 요크 맞닿음부(25)보다도 코일 부착부(23) 측에 근접하게 되어, 접착제(S)가 더욱 접착제 도피부(27) 쪽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코일 부착부(23)에는 무수한 요철(2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S)의 접착 면적이 평활한 경우에 비해서 넓어져, 코일(10)의 접착 강도(强度)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렌즈 지지체(7)의 요크 맞닿음부(25)의 외주 측면(25a) 및 접착제 도피부(27)의 외주 측면(27a)에 요철을 형성해도 좋다.
렌즈 구동 장치(1)는 휴대 전화에 관련된 카메라로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에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에는 요크 맞닿음부보다도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쑥 들어간 접착제 도피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 구동 장치의 조립 시에 코일을 코일 부착부에 접착 고정하는 경우, 코일 부착부로부터 밀려 나온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부에 흘러 들어 오기 쉽고, 요크 맞닿음부에 접착제가 흘러 들어 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요크 맞닿음부에 접착제가 부착되기 어려워, 렌즈 지지체가 이동할 때, 요크의 개구단이 요크 맞닿음부에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고, 렌즈 지지체가 정밀도 좋게 이동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접착제 도피부의 외주 측면이 요크 맞닿음부의 외주 측면보다도 코일 부착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접착제 도피부 쪽이 요크 맞닿음부보다도 코일 부착부 측에 근접하게 되어, 접착제가 더욱 접착제 도피부 쪽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코일 부착부에는 무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의 접착 면적이 평활한 경우에 비해서 넓어져, 코일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렌즈 지지체와, 렌즈 지지체의 외주측(外周側)에 고정한 코일과,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내주측(內周側)에 개구를 갖는 요크(yoke)와, 상기 요크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설치한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통전해서 상기 렌즈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
    상기 렌즈 지지체는 외주에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코일 부착부와 요크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부착부는 요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코일을 접착 고정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요크 맞닿음부 사이의 공간을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 지지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요크 맞닿음부보다도 짧은 접착제 도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피부의 외주 측면이 상기 요크 맞닿음부의 외주 측면보다도 상기 코일 부착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착부에는 다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 장치.
KR1020050026317A 2005-01-25 2005-03-30 렌즈 구동 장치 KR100681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6403 2005-01-25
JP2005016403A JP4677534B2 (ja) 2005-01-25 2005-01-25 レンズ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94A KR20060085894A (ko) 2006-07-28
KR100681621B1 true KR100681621B1 (ko) 2007-02-09

Family

ID=3696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17A KR100681621B1 (ko) 2005-01-25 2005-03-30 렌즈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77534B2 (ko)
KR (1) KR100681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1126B2 (ja) * 2005-10-17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7241095A (ja) * 2006-03-10 2007-09-20 Arima Device Kk レンズ駆動装置
JP2008058946A (ja) * 2007-06-13 2008-03-13 Tricore Corp ボイスコイルモータ式mpフォーカシングアクチュエータ
CN102062925B (zh) * 2009-11-18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及使用该镜筒的镜头模组
JP5654287B2 (ja) * 2010-08-24 2015-01-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825487B2 (ja) 2011-05-25 2015-12-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
JP2013190556A (ja) * 2012-03-13 2013-09-26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936386B1 (ko) * 2012-05-09 2019-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1909B1 (ko) * 2012-05-09 2018-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79759B1 (ko) * 2018-10-19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93773B1 (ko) * 2020-01-17 2020-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77696B1 (ko) * 2020-02-14 2020-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384415B1 (ko) * 2020-02-14 2022-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532809B1 (ko) * 2020-11-05 2023-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09U (ko) * 1990-04-20 1992-01-13
JP2000275490A (ja) * 1999-03-23 2000-10-06 Sony Corp 光軸補正装置および光軸補正装置製造方法
JP4004705B2 (ja) * 2000-02-29 2007-1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と撮像装置組立方法
JP3821718B2 (ja) * 2002-01-28 2006-09-13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273247B2 (ja) * 2003-03-13 2009-06-03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94A (ko) 2006-07-28
JP4677534B2 (ja) 2011-04-27
JP2006208427A (ja)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621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1335130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0600914B1 (ko) 렌즈 구동장치
TWI232310B (en) Lens driving device
JP2006058662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小型カメラ
CN101551504B (zh) 透镜驱动装置
CN101520539B (zh) 透镜驱动装置
US8988602B2 (en) Camera voice coil motor with resilient stop
JP2008026431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090109759A (ko) 렌즈 구동용 모터
JP2010197880A (ja) レンズ組立体
JP465435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987934B1 (ko) 렌즈 구동장치
JP489991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2013092219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310237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4714845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0362385C (zh) 透镜驱动装置
JP5767279B2 (ja) レンズ組立体
JP5424000B2 (ja)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
JP7003303B2 (ja) 電子機器
JP2006323251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048518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JP4553792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5303810B2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