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1337B1 -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 Google Patents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337B1
KR100681337B1 KR1020040046232A KR20040046232A KR100681337B1 KR 100681337 B1 KR100681337 B1 KR 100681337B1 KR 1020040046232 A KR1020040046232 A KR 1020040046232A KR 20040046232 A KR20040046232 A KR 20040046232A KR 100681337 B1 KR100681337 B1 KR 10068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
unit
handset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21081A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동방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337B1/en
Publication of KR2005012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핸드셋과 헤드셋을 자유롭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 통화를 다기능 전화기에 연결된 핸드셋 및 헤드셋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드셋 또는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한 내용 및 휴대폰 통화 내용을 외부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입력된 배경 음악 내지 사전에 기록된 통화 내용을 통화의 상대방과 함께 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설정신호 입력부, 감지부, 제어부, 음성신호 처리부 및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설정신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따라서 설정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부는 통화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는 입력된 설정신호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스위칭부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음성신호 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헤드셋 또는 핸드셋으로 출력하고 헤드셋 또는 핸드셋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를 통해 국선 전화망으로 출력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ultifunctional telephone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computer. The multifunctio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switched between the handset and the headset, and the mobile phone call can be performed using the handset and the headset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 telephon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all and the contents of the mobile phone call may be stored in the external computer using the handset or the handset, and the background music input from the computer or the previously recorded call contents may be listened to together with the counterpart of the call. The multifunctio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signal input unit, a sensing unit, a control unit,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switching unit. 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generates a setting signal according to the key value input from the user,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call state signal,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etting signal, and the switching unit generates a voice from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is output to the headset or the handset,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eadset or the handset is output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through the voice signal processor.

Description

컴퓨터로 제어가능한 다기능 전화기{Multi-functional teletphone}Multi-functional teletphone with computer control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이용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age environment of a multifunctional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functional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의 실행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ecution of a soft phone executed in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핸드셋과 헤드셋을 구비하고, 통화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telephone having a handset and a headset, and capable of recording a call.

일반적으로 다기능 전화기란 전화기 원래의 기능 이외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적하는 CID(Caller ID) 기능, 자동응답 메시지 녹음 기능 등이 추가되어 다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기이다. 이러한 다기능 전화기는 사 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내 가전제품들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축과 더불어 그 사용범위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a multi-function phone is a phone configured for multi-purpose convenience by adding a caller ID (CID) function to track a caller's phone number and an automatic response message record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phone's original function. Such multifunctional telephones are widely used in offices and homes. Recently, the range of their use is increasing with the construc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s that remotely control home appliances.

이와 함께, 최근에는 텔레마케터와 같이 많은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핸드셋과 헤드셋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가 판매되고 있으며, 통화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전화기도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발신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가 서비스를 개시하였다.In addition, recently, telephones that can use a handset and a headset are sold for a user who performs many telephone calls, such as a telemarketer, and a telephone capable of recording a call is also sold. Also, in recent years, an internet telephone that can make a call using the Internet network has started a servi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핸드셋과 헤드셋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는, 이미 설정된 호에 대해서는, 헤드셋 또는 핸드셋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를 수행하여야 하고, 통화중에 헤드셋과 핸드셋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없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andset and a telephone capable of using a headset together, for a call that has already been set up, must select either a headset or a handset to conduct a call, and cannot be freely switched between the headset and the handset during a call. There was discomfort.

아울러, 종래의 다기능 전화기는 전화기 내부에 저장된 소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만 자동 다이얼링이 가능하고, 털레마케터와 같은 다수의 전화 통화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전화번호를 수작업으로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ultifunction telephone is capable of automatically dialing only a small number of phone numbers stored in the phone, and in case of having to perform a plurality of phone calls such as a telemarketer, it is inconvenient to manually enter a phone number.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성립 후에 자유롭게 헤드셋 통화와 핸드셋 통화를 전환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elephone capable of freely switching headset calls and handset calls after establishment.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과 접속하여 휴대폰 통화를 전화기에 구비된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수행하며, 휴대폰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elephone that can connect to a mobile phone to perform a mobile phone call with a handset or a headset provided in the phone and record the contents of the mobile phone cal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에 기록된 대량의 전화번호에 자동으로 다이얼링이 가능한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dialing a larg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recorded on a comput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핸드셋 및 헤드셋을 구비하고, 휴대폰과 연결되며, 접속된 외부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로서, 전화기는 감지부, 설정신호 입력부, 음성신호 처리부, 제어부,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음성신호 처리부는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음성 신호 및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되는 제 2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 스위칭부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제 1 음성 신호를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하고, 제 2 음성 신호를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며,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음성 신호를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하고, 헤드셋 또는 핸드셋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4 음성 신호를 휴대폰으로 출력하며, 감지부는 핸드셋 및 헤드셋의 후크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핸드셋 통화 상태 및 헤드셋 통화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출력하고, 설정신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대응되는 제 1 설정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여, 핸드셋 통화 상태와 헤드셋 통화 상태간의 변경을 제어부에 요청하거나, 휴대폰 통화를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 요청하고, 제어부는 통화 상태 신호 및 제 1 설정신호에 따라서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로 출력한다.The multifunctional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ultifunctional telephone having a handset and a headset,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nd controlled by an external computer connected thereto, the telephone comprising a sensing unit, a setting signal input unit, and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and a switching unit, wherein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processes and outputs the first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the second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th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Accordingly, the first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is output to the handset or the headset, the second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handset or the headset and output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the third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handset or the headset. 4th sound output and input from headset or handset The voice signal is output to the mobile phone, and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state of the hook switch of the handset and the headset, generates a call state signal indicating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is input from the user. Outputting the first set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key value to the control unit, requesting the control unit to change between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or requesting the control unit to perform a mobile phone call with the handset or the headset, and the control unit calls state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first setting signal and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술한 다기능 전화기는, 제 1 내지 제 4 음성신호를 외부 컴퓨터에 기록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된 제 1 내지 제 4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외부 컴퓨터로 출력하는 PC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ultifunction telephone further includes a PC interface unit for amplifying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inputted from the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to the external computer so as to record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to the external computer. It is preferable.

또한, 상술한 다기능 전화기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감쇠하여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PC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스위칭부는 음향 신호를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신호 처리부, 헤드셋, 핸드셋,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ultifunction telephone further includes a PC interface unit for attenu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computer to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switching unit outputs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voice signal processor, the headset, the handset, And output to at least one of a mobile phone.

또한, 상술한 다기능 전화기는, 제 1 음성신호 내지 제 4 음성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쇠하여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음향신호와 제 1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헤드셋 또는 핸드셋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향 신호는 외부 컴퓨터에서 재생된 배경음악 신호인 것일 수 있고, 외부 컴퓨터에 기록된 통화 내용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ultifunction telephone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amplifying or attenuating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performing noise filtering, and outputting the mixed voice signals and the first voice signals to a headset or a handset. Preferably, the sound signal may be a background music signal reproduced by an external computer, or may be a content of a call recorded in an external computer.

또한, 상술한 다기능 전화기는, 감지부로부터 통화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통화 상태 신호에 따라서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확립시키거나 확립된 호를 단절시키고, 다이얼링 신호를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통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통화 설정부는, 제 1 설정신호가 핸드셋 통화 상태와 헤드셋 통화 상태간의 변경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상태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성립된 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화 상태 신호는, 핸드셋 또는 헤드셋 중 어느 것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 후크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ultifunction telephone receives a call state signal from a sensing unit, establishes a call received from a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or disconnects an established call according to the call state signal, and sets up a call to transmit a dialing signal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The call se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etting signal indicates a change request between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so that the established call may be established even if the call state signal is changed. Preferably, the call state signal indicates whether the hook switch of the handset or the headset is in the off hook state.

또한, 상술한 다기능 전화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따라서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통화 설정부로 출력하는 다이얼링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 요청신호인 제 2 설정신호를 외부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통화 설정부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링부로 출력하고, 다이얼링부는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하여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고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ultifunction telephone further includes a dialing unit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according to a key value input from a user and outputting the dialing signal to a call se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and a second setting signal which is a dialing request signal to the telephone number.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computer,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 dialing signal for the telephone number and outputs it to the call setting unit, and outputs it to the dialing unit together with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dialing unit dials the telephone number as the receiving number.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nd transmit it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 telephon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의 이용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는 PSTN 망에 접속되어 있고, 핸드셋(500) 이외에 헤드셋(200)이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컴퓨터(400) 및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300)와 연결되어 있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usage environment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STN network, the headset 200 is connected to the handset 500, the external computer 4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300) Connected with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는 외부 컴퓨터(400)로부터 특정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 요청과 같은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고, 핸드셋(500), 헤드셋(200), 및 휴대폰(300)을 통한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외부 컴퓨터(400)로 전송한다.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setting information such as a dialing request to a specific telephone number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and perform dialing on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the handset 500, the headset 200,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mobile phone 300 can be recorded.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의 외관을 도 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화기의 구성에, 외부 컴퓨터(400)와 통신하기 위한 USB 포트, 헤드셋(200)과 연결하기 위한 헤드셋 연결부(220;헤드셋 잭), 및 휴대폰(300)과 연결하기 위한 휴대폰 연결부(230;휴대폰 잭)를 더 포함한다.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function phon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n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telephone, a USB por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mputer 400, a headset connection 220 (headset jack) for connecting with the headset 200, and a mobile phone 300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230 further includes a mobile phone jack.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는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및 시간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240),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250), 및 핸드셋 통화와 헤드셋 통화를 전환하기 위한 설정신호를 포함하는 설정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특수 키들(26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rystal display 240 for displaying a dialed telephone number or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nd time, a keypad 250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a handset call and a headset. Special keys 260 for inputting a setting signal including a setting signal for switching a call.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는 통화 설정부(110), 감지부(120), 음성신호 처리부(130), 제어부(160), 스위칭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다이얼링부(170), 설정신호 입력부(180), PC 인터페이스(195), 및 USB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 및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setting unit 110, the sensing unit 120,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he control unit 160, the switching unit 140, the interface unit 150, dialing unit 170 ), A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a PC interface 195, and a USB interface 190. The interface unit 150 also includes a headset interface unit 152, a handset interface unit 154, and a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통화 설정부(110)는 국선 전화망(PSTN 망)으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과 연관된 후크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서 통화를 성립시키거나 단절시키고,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다이얼링부(170)에서 생성된 다이얼링 신호를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함으로서 전화를 거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all setting unit 110 establishes or disconnects a call according to the state of a hook switch associated with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a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PSTN network), and when a user makes a call, A dialing signal generated by the dialing unit 170 is transmitted to a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to perform a call.

감지부(120)는 후크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호신호가 수신 되면 전화벨이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미도시 됨)를 통해서 울리거나, 헤드셋(200)을 통해서 울린다.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위해서 핸드셋(500)을 들거나, 헤드셋(200)에 부착된 통화 연결 버튼을 누르면, 감지부(120)는 헤드셋(200)과 핸드셋(500) 중 어떤 기기의 후크 스위치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감지하고, 현재 어떤 기기를 통해서 통화가 수행되는지에 관한 통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서 헤드셋(200)의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핸드셋(500)을 드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The detector 120 detects a state of the hook switch. Specifically,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the phone rings through a speaker (not shown) built into the phone or through the headset 200. When the user lifts the handset 500 or presses a call connection button attached to the headset 200, the detector 120 detects that the state of the hook switch of the device 200 of the headset 200 or the handset 500 is changed. It detects whether the change has been made, and generates call state information on which device a call is currently mad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60. The same is tru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of the headset 200 or lifts the handset 500 to make a call.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을 통해서 사용자가 듣기 좋도록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한 후, 스위칭부(140)를 통해서 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으로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부(140)를 통해서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파형으로 변형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감지부(120)를 통해서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changes the waveform of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performs noise filtering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it through the headset 200 or the handset 500, and then performs noise filtering. 200 or handset 500.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inputted from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hrough the switching unit 140 is transformed into a waveform suitable for transmission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noise is removed so that the call setting unit ( Output to 110).

설정신호 입력부(180)는 전화기에 구비된 특수키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특수 키값에 따라서 제 1 설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제 1 설정신호는 주로 핸드셋(500)과 헤드셋(200)간의 통화 상태를 변경하도록 스위칭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부(160)에 요청하거나, 휴대폰(300) 통화를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부(160)에 요청하는 신호이다.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is composed of special keys provided in the telephone, and generates a first setting signal according to the special key value input by the user and outputs the first sett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The first setting signal mainly requests the control unit 16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140 to change the call state between the handset 500 and the headset 200, or the mobile phone 300 calls the handset. The signal is a request for the controller 16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140 to be performed through the 500 or the headset 200.

제어부(160)는 설정신호 입력부(180)로부터 입력된 제 1 설정신호, 외부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된 제 2 설정신호, 및 상기 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된 통화 상태 신호에 따라서, 스위칭부(140)를 제어하는 제 1 제어신호, 및 통화 설정부(110)를 제어하는 제 2 제어신호, 및 다이얼링부(170)를 제어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 밖에, 제어부(160)는 mute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하는 등, 다양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160 switches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setting signal input from 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the second setting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and the call state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140,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ll setup unit 110, and a thir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aling unit 170 are genera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mute signals and outputs them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스위칭부(140)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신호 처리부(130)로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으로 출력한다. 또한, 통화내용을 외부 컴퓨터(400)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 인터페이스(195)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the headset 200 or the handset 5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may be stored in the PC interface 195 to store the contents of the call in the external computer 400. Can be printed as

한편, 스위칭부(140)는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휴대폰(300)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휴대폰(3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 출력하고,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휴대폰(3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140)는 휴대폰(300) 통화 내용을 외부 컴퓨터(400)에서 기록할 수 있도록 휴대폰(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 및 휴대폰(300)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witching unit 140 receive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30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the mobile phone 300 can be called using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he headset 200 may output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o the mobile phone 300.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40 transmi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300 and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obile phone 300 so that the mobile phone 300 can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on the external computer 400. It can be output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PC 인터페이스(195)는 통화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서 헤드셋(200), 핸드셋(500), 및 휴대폰(300)으로부터 스위칭부(140)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 를 증폭하여 외부 컴퓨터(400)로 출력하고, 외부 컴퓨터(400)에서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감쇠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 이 때, 외부 컴퓨터(400)에서 PC 인터페이스(195)로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통화중에 배경으로 연주되는 BGM 음악 데이터, 및 기존의 통화 내용을 기록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PC interface 195 amplifi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140 from the headset 200, the handset 500, and the mobile phone 300 to record the conversation, and outputs it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e attenuated sound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is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At this time, the acoustic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to the PC interface 195 includes BGM music data played in the background during a call, and voice data recording existing call contents.

인터페이스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 및 휴대폰(300) 인테페이스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부(150)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각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기기에 적합한 형태로 증폭하거나 감쇠하여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출력한다. 또한, 접속된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쇠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unit 150 includes a headset interface unit 152, a handset interface unit 154, and a mobile phone 300 interface unit, and each interface unit 150 receives an input voice signal for each interface. Amplify or attenuate the form suitable for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t, perform noise filtering, and output it. In addition, the amplified or attenuated voice signal input from the connected device is subjected to noise filtering and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스위칭부(140)를 통해서 음성신호 처리부(130) 또는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스위칭부(140)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믹싱하여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으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50 include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or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through the switching unit 140 and a sound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switching unit 140. The signals are mixed and output to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USB 인터페이스(190)는 제어부(160)로부터 다기능 전화기(10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프로토콜(바람직하게는, RS-232C)로 변환하여 외부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외부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설정 정보 및 그 밖의 정보를 제어부(16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다.The USB interface 19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from the control unit 160, converts it into a predetermined protocol (preferably, RS-232C), and transmit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mputer 400. The second setting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are converted into a signal suitable for 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다이얼링부(170)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키패 드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다이얼링부(170)는 사용자가 외부 컴퓨터(4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전화번호를 제어부(160)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받고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한다.When the user makes a phone call using the telephone, the dialing unit 170 generates a dialing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and outputs the dialing signal to the call setting unit 110.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a list of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external computer 400, the dialing unit 170 receives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controller 160 and generates a dialing signal to make a call. Output to the setting unit 110.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국선 전화망을 통해서 호 신호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에 구비된 스피커에 전화벨이 울림과 동시에, 연결된 헤드셋(200)으로 전화벨이 울린다.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a phone call using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 telephone bell rings to the speaker provided in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elephone bell rings to the connected headset 200.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서 헤드셋(200)의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핸드셋(500)을 들면, 전화기와 국선 전화망의 교환기 사이에 루프가 형성되고, 통화 설정부(110)는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부(120)를 통해서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한다. 감지부(120)는 핸드셋(500) 및 헤드셋(200)에 연결된 후크 스위치 중 어떤 후크 스위치가 오프 후크 상태로 변경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오프 후크 상태의 기기를 나타내는 통화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of the headset 200 or picks up the handset 500 in order to answer the call, a loop is formed between the telephone and the switchboard of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the call setting unit 110 receive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The signal is output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through the detector 120. The detector 120 detects which of the hook switches connected to the handset 500 and the headset 200 is changed to the off hook state, and generates a call state signal indicating a device in an off hook state to generate a call state signal. Will output

제어부(160)는 설정신호 입력부(180)로부터의 제 1 설정신호, 외부 컴퓨터(400)로부터의 제 2 설정신호, 및 감지부(120)로부터의 통화 상태 신호에 따라서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되어 통화 상태 신호가 헤드셋(200)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 후크상태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즉, 헤드셋(200) 통화 상태를 나타내면,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40)로 하여금 입력된 음성신호를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setting signal from 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the second setting signal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and the call state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20. .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and the call state signal indicates that the hook switch of the headset 200 is changed to the off hook state, that is, when the call state indicates the headset 200 call state,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switching unit 140 to perform a call. A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output the input voice signal to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is generated.

통화 상태 신호가 핸드셋(500)의 후크 스위치 상태가 오프 후크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즉, 핸드셋(500) 통화를 나타내면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40)로 하여금 음성신호를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When the call state signal indicates that the hook switch state of the handset 500 is changed to off hook, that is, when the call state indicates the handset 500 call,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switching unit 140 to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output to the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한편,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음성 신호를 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을 통해서 사용자가 듣기 좋도록, 음성 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한 후, 스위칭부(140)로 출력하고, 스위칭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된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하고,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 및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음성신호를 대응되는 기기에 적합하도록 증폭 또는 감쇠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changes the waveform of the voice signal and performs noise filtering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input voice signal through the headset 200 or the handset 500.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60.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the handset interface 154 and the headset interface 152 amplify or attenuate the input voice signal to a correspond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noise filtering to perform the handset 500. Or output to the speaker of the headset 200.

또한,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 또는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는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쇠 또는 증폭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하고, 스위칭부(140)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or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attenuates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of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and performs noise filtering to output the switching unit 140.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the input voice signal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에 노이즈 필터링을 수 행하고 국선 전화망에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파형으로 변경하여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하고, 통화 설정부(110)는 통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성신호를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performs noise filtering on the voice signal, changes the waveform into a waveform suitable for transmission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outputs it to the call setting unit 110. The call setting unit 110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while maintaining a call stat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핸드셋(500)으로 통화하는 중간에 헤드셋(200)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수신된 전화를 받기위해 핸드셋(500)을 들면 통화가 확립되고, 음성 신호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핸드셋(500)의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headset 200 in the middle of the call to the handset 500, when the user picks up the handset 500 to receive the received call, the call is established, the voice signal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of the handset 5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핸드셋(500)으로 통화하던 중 사용자가 헤드셋(200)으로 통화기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도 2 에 도시된 보류(hold) 버튼을 누르면, 설정신호 입력부(180)는 보류 버튼 신호를 입력받아 통화 상태 전환을 요청하는 제 1 설정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call device to the headset 200 while talking on the handset 500, when the user presses the hold button shown in FIG. 2, 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receives a hold button signal.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a first setting signal for receiving a call request to switch the call state.

제어부(160)는 제 1 설정신호에 따라서 스위칭부(140)에 음성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스위칭부(140)로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가 핸드셋(500)을 내려놓아 핸드셋(500)의 후크 스위치가 온 후크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통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제 2 제어신호를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40 to instruct the switching unit 140 to output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according to the first setting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ts down the handset 500 and the hook switch of the handset 500 is changed to the on-hook state, the second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maintain the call state is output to the call setting unit 110.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사용자는 통화하던 핸드셋(500)을 내려놓고,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통화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ser can put down the handset 500 that was used for the call and continue the call using the headset 200.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통화하던 사용자가 핸드셋(500)을 이용하여 통화를 지속하고자 하는 과정은, 스위칭부(140)에서 헤드셋 인터페이스(152)로 출력되던 음성신호가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별도의 보류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헤드셋(200)으로 통화하던 사용자가 핸드셋(500)을 들어 핸드셋(500)의 후크 스위치 상태가 오프 후크 상태로 변경되면, 감지부(120)가 이를 감지하여 통화 상태 신호를 변경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는 변경된 통화 상태 신호에 따라서 음성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user who has been talking on the headset 200 using the handset 500 may continue the call.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140 to the headset interface 152 may be transmitted to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The process is the same as the above except that it is output.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who is talking on the headset 200 lifts the handset 500 and the hook switch state of the handset 500 is changed to the off hook state without pressing a separate hold button, the detection unit 120 Detects this, changes the call stat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60, and the controller 16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to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according to the changed call state signal.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는 휴대폰(300)과 접속되어, 휴대폰(300) 통화를 전화기의 핸드셋(500) 또는 전화기에 접속된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기능 전화기(100)에 접속된 휴대폰(300)으로 전화가 수신되고, 휴대폰(300) 호가 확립되면, 사용자는 핸드셋(500)을 들거나 헤드셋(200)의 통화 버튼을 누른뒤 키패드의 휴대폰 통화 버튼을 누른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phon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300, the mobile phone 300 can be carried out using the handset 500 of the phone or the headset 200 connected to the phone Can be. Specifically,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300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 phone 100 and the call of the mobile phone 300 is established, the user lifts the handset 500 or presses the call button of the headset 200 and then the keypad. Press the mobile phone call button.

설정신호 입력부(180)는 휴대폰 통화 버튼 신호를 입력받아, 휴대폰(3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으로 출력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설정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한편, 감지부(120)는 어떤 기기의 후크 스위치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즉, 어떤 기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 후크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통화 상태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The setting signal input unit 180 receives a mobile phone call button signal and controls the first setting signal requesting to outpu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300 to the headset 200 or the handset 500. Will output Meanwhile, the detector 120 outputs a call state signal indicating to which controller the hook switch state of which device is changed, that is, whether the hook switch of the device is in the off-hook state, to the controller 160.

제어부(160)는 통화 상태 신호 및 제 1 설정신호에 따라서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 이 때, 제 1 제어신호는 스위칭부(140)로 하여금 휴대폰(300)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통화 상태 신호가 나타내는 오프 후크 상태의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로서, 이러한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스위칭부(140)는 휴대폰(30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 출력하고, 이들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다시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로 출력함으로써, 휴대폰 통화를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l state signal and the first setting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40.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signal causes the switching unit 140 to output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300 to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in the off hook state indicated by the call state signal. A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he switching unit 140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300 to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and inputs from them. By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gain to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the mobile phone call can be performed using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휴대폰(300) 통화를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에 따라서 핸드셋(500)과 헤드셋(200)간에 통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Even when the mobile phone 300 calls are performed using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he call state may be changed between the handset 500 and the headset 2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의 구조와 동작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의 실행예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가 접속된 다기능 전화기(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So fa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to which the computer is connecte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xecution of a soft phone executed on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수행된 통화 내용을 외부 컴퓨터(400)에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컴퓨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음성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소프트 폰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환경 설정 항목 중 통화 내용 기록 항목(미도시 됨)을 클릭하면, 통화 내용을 기록할 것을 요청하는 제 2 설정신호가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제어부(160)로 전송되고, 제어부(160)는 상술한 통화 상태 신호와 제 2 설정신호에 따라서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First, a process of recording the call content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 the external computer 400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wants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in the form of an audio file that can be played on a computer, when the user runs the soft phon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licks the contents of the call record item (not shown) in the environment setting item, the contents of the call are displayed. The second setting signal requesting to recor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and 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l state signal and the second setting signal.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스위칭부(140)는 음성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제 1 제어신호가 나타내는 기기(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한편,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 전송하여 외부 컴퓨터(400)가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witching unit 140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includes an interface unit 150 corresponding to a device (headset 200 or handset 500) indicating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Output to the user, and transmit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PC interface 195 so that the external computer 400 can record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또한, 스위칭부(140)는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한편, 외부 컴퓨터(400)에서 사용자가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 출력하고, 외부 컴퓨터(400)는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소정의 음성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call counterpart. Outputs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PC interface 195 so that the user can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transmitted to the call counterpart, and the external computer 400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PC interface 195 to a predetermined voice. Save as a fil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휴대폰(300) 통화 내용을 외부 컴퓨터(400)에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폰(300) 통화내용을 컴퓨터에서 재생가능한 음성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소프트 폰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통화 내용을 기록할 것을 요청하는 제 2 설정신호를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어부(160)는 상술한 통화 상태 신호, 제 1 및 제 2 설정신호에 따라서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call content of the mobile phone 300 on the external computer 400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wants to record the call content of the mobile phone 300 in the form of a voice file that can be played on the computer, The second set signal requesting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by driving the soft phone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and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the call state signal, the first and the first signal. The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setting signal and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40.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스위칭부(140)는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제 1 제어신호가 나타내는 기기(헤드셋(200) 또는 핸드셋(500))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하는 한편,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 전송하여 외부 컴퓨터(400)가 휴대폰(300)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witching unit 140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has an interface unit 150 corresponding to a device (headset 200 or handset 500) in which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On the other hand, it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PC interface 195 so that the external computer 400 can record and store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300 interface.

또한, 스위칭부(140)는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폰(300)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휴대폰(300)으로 출력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한편,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발신되는 내용을 외부 컴퓨터(400)에서 기록할 수 있도록 PC 인터페이스(195)를 통해서 외부 컴퓨터(400)로 전송하여 외부 컴퓨터(400)가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a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from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to the mobile phone 300 through the mobile phone 300 interfac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all counterpart. By using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he external computer 400 transmits the content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o the external computer 400 through the PC interface 195 so that the external computer 400 can record the conten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may be recorded and stor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는 외부 컴퓨터(400)에서 재생된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내용중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화 통화중에 소정의 음향 신호(예컨데, 배경 음악, 이하 "배경 음악"을 예시적으로 설명함)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소프트 폰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BGM 항목(미도시 됨)을 선택하고, 재생될 음악 파일을 선택하면, 소프트 폰은 통화중에 배경음악을 들려줄 것을 나타내는 제 2 설정신호를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제어부(160)로 전송하고, 해당 배경음악을 재생한 아날로그 신호(이하, "배경음악 신호"로 통칭함)를 PC 인터페이스(195)로 전송한다. PC 인터페이스(195)는 수신된 배경음악 신호를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100)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레벨로 감쇠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sound signal reproduced from the external computer 400 can be inserted into the call content. Specifically, when a user wants to insert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for example, background mus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kground music") during a phone call, a soft phone program is run to display a BGM item (not shown). If the user selects the music file to be played, the soft phone transmits a second sett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 background music is to be heard during the call to the controller 160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and plays the background music. An analog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kground mus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C interface 195. The PC interface 195 attenuates the received background music signal to a level suitable for processing by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utputs it to the switching unit 140.

한편,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제 2 설정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40)로 출력하고, 제 1 제어신호를 수신한 스위칭부(140)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PC 인터페이스(195)로 입력된 배경음악 신호를 음성 신호와 함께 헤드셋 인터페이스부(152), 핸드셋 인터페이스부(154), 또는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로 출력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60 receiving the second setting signal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content,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40, and receives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unit 140 outputs the background music signal input to the PC interface 195 to the headset interface unit 152, the handset interface unit 154, or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do.

또한, 스위칭부(14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와 PC 인터페이스(195)로부터 입력된 배경음악 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하고, 음성신호 처리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배경음악 신호를 믹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4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interface unit 150 and the background music signal input from the PC interface 195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he voice signal and the background music signal are mixed and transmitted to the call counterpart.

또한, 휴대폰 통화를 핸드셋(500) 또는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 스위칭부(140)는 헤드셋 인터페이스(152) 또는 핸드셋 인터페이스(154)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와 PC 인터페이스(195)로부터 입력된 배경음악 신호를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로 출력하고, 휴대폰 인터페이스부(156)는 음성 신호와 배경음악 신호를 믹싱하고, 적절한 음량으로 증폭하거나 감쇠하여하여 휴대폰(300)으로 출력함으로써 통화내용에 배경음악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call is performed using the handset 500 or the headset 200, the switching unit 140 may input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eadset interface 152 or the handset interface 154 and the PC interface 195. The background music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is output to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and the mobile phone interface unit 156 mixes the voice signal and the background music signal, amplifies or attenuates it to an appropriate volume, and outputs the call to the mobile phone 300. Background music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ent.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국선 통화 내용 및 휴대폰(300) 통화 내용을 기록하여 외부 컴퓨터(400)에 저장한 경우에, 상술한 배경음악을 통화 내용에 삽입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전에 기록된 통화 내용을 재생하여 상대방에 게 들려줄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of the CO line call and the mobile phone 300 are recorded and stored in the external computer 400, the background music is inserted into the call contents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the recorded call can be played back and then spoken to the other party.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100)는 외부 컴퓨터(400)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외부 컴퓨터(400)에서 소프트 폰 프로그램을 구동한 후, 자동 다이얼링, 핸드셋(500)과 헤드셋(200) 전환, 통화 녹음, 재발신 등을 기능을 선택하면, 외부 컴퓨터(400)는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다기능 전화기(100)의 제어부(160)로 제 2 설정신호를 출력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tele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using an external computer 400. Specifically, after driving the soft phone program in the external computer 400, and selects a function such as automatic dialing, handset 500 and headset 200 switching, call recording, redial, etc., the external computer 400 is a USB interface The phone may be controlled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outputting a second sett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of the multifunction phone 100 through the 190.

예컨대, 외부 컴퓨터(400)에 대량의 전화번호들을 등록한 후, 등록된 전화번호에 순차적으로 전화를 거는 경우에, 외부 컴퓨터(400)는 저장된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제어부(160)로, 전화번호 및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줄 것을 요청하는 제 2 설정신호를 전송한다. For example, after registering a larg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in the external computer 400, when dialing the registered telephone number sequentially, the external computer 400 selects one of the stored telephone numbers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a phone number and a second setting signal requesting to make a call to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제어부(160)는 입력된 제 2 설정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입력된 전화번호와 제 3 제어신호를 다이얼링부(170)로 출력한다. 다이얼링부(170)는 제 3 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통화 설정부(110)로 출력하고, 통화 설정부(110)는 다이얼링 신호를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외부 컴퓨터(4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 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다른 과정은,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 대신에 소프트 폰에 표시된 다이얼패드를 사용자가 클릭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USB 인터페이스(190)를 통해서 전송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다.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generate a dialing signal using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as a reception number according to the inputted second setting signal, and then dials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Output to unit 170. The dialing unit 170 generates a dial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third control signal, outputs the dialing signal to the call setting unit 110, and the call setting unit 110 transmits the dialing signal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In addition, another process of making a call using a soft phone running on the external computer 400, a user inputs a phone number by clicking on a dial pad displayed on the soft phone instead of a previously stored phone number, and inputs the entered phone number.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except that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B interface 19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통화 중에 자유롭게 핸드셋과 헤드셋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exchanged between the handset and the headset during a call,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접속된 외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경우에 사전에 전화번호를 컴퓨터에 등록하고 순차적으로 전화번호를 다기능 전화기로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전화번호에 오류없이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화 통화시에 국선 전화망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국선 전화망 또는 휴대폰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용량의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컴퓨터에서 재생될 수 있는 음향을 다기능 전화기로 출력하여 통화중에 음성신호에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음향 및 배경음악을 통화중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using a connected external computer. Therefore, when calling a number of phone numbers, by registering the phone number in the computer in advance and sequentially output the phone number to the multi-function ph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ke a call without error to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when the phone call It is effective to record a large amount of call contents by transmitting voice signal input from CO line or mobile phone and voice signal output from CO line phone or mobile phone to computer, and it can play sound from computer. By outputting to the voice signal during the call, it is possible to insert a variety of sound and background music during the call.

Claims (10)

핸드셋 및 헤드셋을 구비하고, 휴대폰과 연결되며, 접속된 외부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기로서,A multifunctional telephone having a handset and a headset,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nd controlled by a connected external computer, 상기 전화기는 감지부, 설정신호 입력부, 음성신호 처리부, 제어부, 스위칭부, 인터페이스부, 및 PC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The telephone includes a sensing unit, a setting signal input unit,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 control unit, a switching unit, an interface unit, and a PC interface unit.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는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음성 신호 및 상기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되는 제 2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고,The voice signal processor may signal-process and output a first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nd a second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 1 음성 신호를 상기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음성 신호를 상기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음성 신호를 상기 핸드셋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하고, 상기 헤드셋 또는 핸드셋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4 음성 신호를 상기 휴대폰으로 출력하며,The switching unit outputs the first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handset or the headset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outputs the second voice signal to the handset or headset. Receiving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and outputting the third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handset or the headset, and outputting the fourth voice signal input from the headset or handset to the mobile phone, 상기 감지부는 핸드셋 및 상기 헤드셋의 후크 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핸드셋 통화 상태 및 헤드셋 통화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state of the hook switch of the handset and the headset, generates a call stat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and outputs to the control unit, 상기 설정신호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대응되는 제 1 설정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핸드셋 통화 상태와 상기 헤드셋 통화 상태간의 변경을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거나, 휴대폰 통화를 상기 핸드셋 또는 상기 헤드셋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고,The set signal input unit outputs a first se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value input from a user to the controller, requesting the controller to change between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or making a mobile phone call to the handset or the headset. Request the controller to perform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상태 신호 및 상기 제 1 설정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며,The controller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call state signal and the first setting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상기 PC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음성신호를 상기 외부 컴퓨터에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된 제 1 내지 제 4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외부 컴퓨터로 출력하고,The PC interface unit amplifies and outputs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inputted from the switching unit to the external computer so that the first to fourth voice signals can be recorded on the external computer.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음성신호 내지 상기 제 4 음성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쇠하고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음향신호와 상기 제 1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헤드셋 또는 상기 핸드셋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The interface unit amplifies or attenuates the first voice signal to the fourth voice signal, performs noise filtering, and outputs the noise. The interface unit mixes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computer with the first voice signal. Multifunctional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to the hands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PC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감쇠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 헤드셋, 핸드셋,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The PC interface unit attenuates the sound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outputs the sound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 headset, a handset, and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Multifunction Pho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상기 외부 컴퓨터에서 재생된 배경음악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And a background music signal reproduced by the external 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상기 외부 컴퓨터에 기록된 통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Multifunctional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recorded on the external 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통화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통화 상태 신호에 따라서 국선 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확립시키거나 확립된 호를 단절시키고, 다이얼링 신호를 상기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통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Receiving a call state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establishing a call received from a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according to the call state signal or disconnecting an established call, and further comprising a call se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dialing signal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 상기 통화 설정부는, 상기 제 1 설정신호가 상기 핸드셋 통화 상태와 헤드셋 통화 상태간의 변경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화 상태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성립된 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The call setting unit receives a secon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etting signal indicates a change request between the handset call state and the headset call state, and establishes a call established even if the call state signal is changed. Multifunction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hol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상태 신호는8. The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call status signal is 상기 핸드셋 또는 상기 헤드셋 중 어느 것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 후크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And the hook switch of either the handset or the headset is in an off hook sta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따라서 상기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화 설정부로 출력하는 다이얼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And a dialing unit for generating the dialing signal according to a key value input from a user and outputting the dialing signal to the call sett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 요청신호인 제 2 설정신호를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화 설정부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다이얼링부로 출력하고, The control unit receives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and a second setting signal, which is a dialing request signal to the telephone number, from the external computer, generates a dialing signal for the telephone number, and instructs to output to the call setting unit; Generates a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ialing unit together with the telephone number; 상기 다이얼링부는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하여 다이얼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국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And the dialing unit generates a dialing signal using the telephone number as a reception number and transmits the dialing signal to the trunk line telephone network.
KR1020040046232A 2004-06-21 2004-06-21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KR100681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232A KR100681337B1 (en) 2004-06-21 2004-06-21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232A KR100681337B1 (en) 2004-06-21 2004-06-21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081A KR20050121081A (en) 2005-12-26
KR100681337B1 true KR100681337B1 (en) 2007-02-15

Family

ID=3729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232A KR100681337B1 (en) 2004-06-21 2004-06-21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3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52A (en) * 2001-12-24 2002-03-29 안명훈 Internet phone dual purpose wire/wireless phone
US6404761B1 (en) 1994-06-17 2002-06-11 Home Wireless Networks, Inc. Communications webs with personal communications links for PSTN subscribers
KR20030048963A (en)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lephone having pc sound interface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761B1 (en) 1994-06-17 2002-06-11 Home Wireless Networks, Inc. Communications webs with personal communications links for PSTN subscribers
KR20030048963A (en)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lephone having pc sound interface function
KR20020023852A (en) * 2001-12-24 2002-03-29 안명훈 Internet phone dual purpose wire/wireless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081A (en)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481B2 (en) Remote internet telephony device
US20070149188A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the same with interrupting caller
US7058171B2 (en) IP telephone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KR19990088105A (en) A telephone apparatus
KR100221772B1 (en) Network-telephone
KR100681337B1 (en) Computer Controlled Multifunction Phone
KR100353228B1 (en) Telephone call assistance system
KR100405591B1 (en) Internet phone exchanger with gateway feature
JPH098956A (en) Hand-free device
JPH05219226A (en) Malicious call recording system in digital electronic exchange
JP3815409B2 (en)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JP3713746B2 (en) Network control device
JPH1168931A (en) Mobile phone equipment
JP5010779B2 (en) Cordless telephone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JP3412428B2 (en) Telephone terminal device
KR20110044445A (en) Multifunction Customer Service Phone System
JP4348911B2 (en) Call system
JP3855878B2 (en)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KR20010062908A (en) Wireless mouse for with function of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elephone of wireless mouse
KR100455783B1 (en) Method of auto-redialing and notifying call-recivable person in terminal
KR200347947Y1 (en) system for generating sound of the bell using a record process
JPH1168933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KR20010036843A (en) Telephone card device for computer
KR20010091290A (en) Exterior switch for connecting a normal telephone and a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hone, and telephone set using the same
JPS62132460A (en)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