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7506B1 - Ptt 서비스 예약 방법 - Google Patents

Ptt 서비스 예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06B1
KR100677506B1 KR1020040085141A KR20040085141A KR100677506B1 KR 100677506 B1 KR100677506 B1 KR 100677506B1 KR 1020040085141 A KR1020040085141 A KR 1020040085141A KR 20040085141 A KR20040085141 A KR 20040085141A KR 100677506 B1 KR100677506 B1 KR 10067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receiving
transmitting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028A (ko
Inventor
이희정
손성무
김영애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06B1/ko
Priority to US11/253,747 priority patent/US20060087971A1/en
Priority to JP2007535620A priority patent/JP4651674B2/ja
Priority to CNA200580035257XA priority patent/CN101040511A/zh
Priority to RU2007108254/09A priority patent/RU2388165C2/ru
Priority to EP05808713A priority patent/EP1803287A4/en
Priority to PCT/KR2005/003509 priority patent/WO2006043792A1/en
Priority to BRPI0514638-0A priority patent/BRPI0514638A/pt
Publication of KR2006003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conference
    • H04M2203/5063Centrally initiated conference, i.e. conference server dials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75Methods and means to improve the telephone service quality, e.g. reservation, prioritisation or admiss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서비스 시스템에 예약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초대에 응할 수 없는 수신측과의 PTT통신을 위해, 매번 수신측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presence or Preference)를 확인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수신자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송신측 혹은 수신측 PTT server가 송수신 단말(혹은 클라이언트)로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PTT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단말이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가 상기 송신측망에 의해 수신측 망으로 전달되면, 상기 수신측 망이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측 망이 상기 송신측 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과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Push-to-talk, PTT, 예약 서비스

Description

PTT 서비스 예약 방법{METHOD FOR RESERVATION OF PTT SER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PTT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60 : PTT클라이언트 20, 50 : PTT서버
30, 40 :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
본 발명은 PTT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약 메커니즘이 적용된 PTT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TT(Push To Talk: 이하, PTT라 한다)는 무전기 서비스와 같은 즉시 통화 서비스로서, 단말 버튼의 원터치 조작만으로, 수신측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다.
PTT서비스는 다이얼 작업, 전화 연결을 위한 대기, 전화 연결음 등의 불필요한 과정을 거치치 않고, 통신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보다 매우 빠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이용자(일 대 일) 또는 그룹대화 세션 설정을 통해 다수의 이용자(일 대 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PTT서비스 시스템은 송신측 PTT클라이언트가 하나의 이용자(혹은 다수의 이용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면, 초대에 응하는 이용자(혹은 이용자들)와 송신자간의 PTT세션이 설정되어, 양자간의 PTT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PTT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PTT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신측이 송신자의 초대에 응하지 않는 경우, 수신측과의 PTT서비스 설정을 위해, 송신자는 어떤 이유로, 언제쯤 수신측과 PTT통신이 가능한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초대 메시지만을 반복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PTT망의 제어 하에 PTT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체크하고, 송수신단말로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는 PTT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예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방법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단말(or 클라이언트)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 단말(or 클라이언트)이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가 상기 송신측망에 의해 수신측 망으로 전달되면, 상기 수신측 망이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측 망이 상기 송신측 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과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 송신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초대메시지는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방법은 하나이상의 클라이언트들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단말이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가 상기 송신측망에 의해 수신측 망으로 전달되면, 상기 수신측 망이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를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방법은,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단말의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를 수신측 망에 전달하고,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체크하는 과정과;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송신측망을 통해, 송신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단말이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PTT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PTT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T클라이언트의 홈 네트워크는 PTT 클라이언트(10, 60), PTT서버(20, 50) 그리고 프리젠스 서버(30, 40)로 구성된다.
상기 PTT클라이언트(10, 60)는 PTT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preference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PTT서버(20, 50)는 PTT클라이언트의 선호정보(preference)와 프리젠스(presence) 정보를 체크하고 초대 메시지(INVITE message)를 송수신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젠스 서버(30, 40)는 PTT클라이언트(10, 60)의 상태 정보를 체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PTT서비스의 예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PTT클라이언트(10 or 60), PTT 서버(20 or 50) 그리고 프리젠스 서버(30 or 40)간의 신호전달 과정을 보여준다.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TT클라이언트A(10)를 통해, 수신자가 자신의 초대에 응할 수 없는 상태임을 확인하면, 송신자는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on"으로 설정한다. 이때 송신자는 예약기능의 deadline 즉, 예약기능이 만료되는 시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자의 PTT서비스 예약 설정은 PUBLISH method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PTT클라이언트A(10)를 통해 PTT서버 A(20)로 전달된다.(S10) 그리고 송신자의 PTT서비스 예약 요청을 수신한 PTT서버A(20)는 PTT서버 B(50)에게, 상기 PTT클라이언트B(60)가 송신자의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인지 묻는다.(S30) 그러면 PTT서버B(50)는 PTT클라이언트B(60)의 현재 상태 즉 PTT 클라이언트B(60)가 현재 온라인 상태인지 오프라인 상태인지를 알기 위해 상기 프리젠스 서버B(40)에게 PTT클라이언트B(60)의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한다(S40).
이후, PTT서버B(50)는 상기 프리젠스 서버B(40)로부터 PTT클라이언트 B(60)의 presence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50) 그리고 PTT클라이언트B(60)의 우선정보(preference)를 체크한다(S60). 이때, PTT서버B(50)는 수신측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송신자의 PTT세션 요구를 허용하거나 불허하기 위해, PTT서버를 제어하는 접근 리스트(Access list)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PTT세션 초대를 차단 위해 설정되는 ISB(Incoming session barring)와, 이미 열려진 PTT세션이 있을 경우에 새로운 초대 메시지가 오면 기존의 PTT세션을 끊고 새로운 PTT세션을 열 것인지 혹은 새로운 PTT세션을 열지않고 기존의 PTT세션을 유지할 것인지에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PTT세션 on holding"과 같은 우선정보(preference) 항목을 체크한다.
그리고 PTT클라이언트B측의 단말 전원이 꺼져있는지, PTT세션이 "busy"인지, PTT클라이언트B(60)가 현재 타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에 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이후, 상기 PTT클라이언트B(60)의 상태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PTT서버B(50)는 이를 PTT서버A(20)에게 보고한다.(S70)
그리고 PTT서버B(50)의 보고를 받은 PTT서버A(20)는 이번에는 프리젠스 서버A(미도시)로부터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하여, PTT클라이언트A(10)의 우선정보를 체크한다(S80). 이때, PTT서버A(20)는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혹은 PTT클라이언트B(60)가 다른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여전히 PTT클라이언트B(60)의 초대를 원하는지 등에 관해 체크한다.
상기 과정(S80)을 통해,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거나 그럴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PTT서버A(20)는 상기 두 PTT클라이언트(10, 60)에게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여 PTT서비스를 수행한다.(S90 ~ S120)
경우에 따라, 상기 PTT서버A(20)는 PTT클라이언트A(10)로 전송되는 초대 메시지(INVITE)에, PTT클라이언트B(60)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알림 메시지(문자 혹은 이미지의 형태)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정(S10)에서, PUBLISH method 대신에 MESSAGE method를 사용하여 PTT서비스를 예약할 수 있다. 상기 PUBLISH는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나 우선정보(preference)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1과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TT클라이언트A(10)를 통해, 수신자가 자신의 초대에 응할 수 없는 상태임을 확인하면, 송신자는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on"으로 설정하고, PTT서버A(20)에게 PTT서비스 예약을 요청한다.(S210)
그리고 송신자의 PTT서비스 예약 요청은 PTT서버A(20)를 거쳐 PTT서버 B(50)에게 전달된다.(S230)
송신자의 PTT서비스 예약 요청을 수신한 PTT서버B(50)는 PTT클라이언트 B(60)의 현재 상태를 알기 위해 상기 프리젠스 서버B(40)에게 PTT클라이언트 B(60)의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한다(S250). 그리고 PTT클라이언트 B(60)의 프리젠스 정보가 수신(S260)되면, PTT클라이언트B(60)의 우선정보(preference)를 체크한다 (S270). 이때, PTT서버B(50)는 수신측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송신자의 PTT세션 요구를 허용하거나 불허하기 위해, PTT서버를 제어하는 접근 리스트(Access list)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PTT세션 초대를 차단 위해 설정되는 ISB(Incoming session barring)와, 이미 열려진 PTT세션이 있을 경우에 새로운 초대 메시지가 오면 기존의 PTT세션을 끊고 새로운 PTT세션을 열 것인지 혹은 새로운 PTT세션을 열지않고 기존의 PTT세션을 유지할 것인지에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PTT세션 on holding"과 같은 우선정보(preference) 항목을 체크한다.
그리고 PTT클라이언트B측의 단말 전원이 꺼져있는지, PTT세션이 "busy"인지, PTT클라이언트B가 현재 타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에 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이후, 상기 PTT클라이언트B(60)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PTT서버B(50)는 PTT서버A(20)에게 PTT클라이언트A(10)에 관한 프리젠스 정보를 PTT 서버A(20)에게 요청(S280)한다. 그리고 PTT서버B(50)의 요청에 따라, PTT서버A(20)는 프리젠스 서버A(미도시)로부터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하여, PTT클라이언트A(10)의 우선정보를 체크하고(S290), 체크된 결과를 PTT서버B(50)에게 보고한다. (S300)
상기 과정(S290)에서, PTT서버A(20)는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혹은 PTT클라이언트B(60)가 다른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여전히 PTT클라이언트B(60)의 초대를 원하는지 등에 관해 체크한다.
상기 PTT서버A(20)의 보고를 통해,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거나 그럴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PTT서버B(50)는 상기 두 PTT클라이언트(10, 60)에게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여 PTT서비스를 수행한다. (S310 ~ S36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TT서버A(20)는 송신자의 예약요청이 PTT서버B(50)에게로 전달되는 과정(S230)에서, PTT클라이언트A(10)의 프리젠스 정보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리젠스 정보요청 과정(S280, S290)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PTT서버A(20)가 프리젠스 서버A(미도시)에게 PTT클라이언트A(10)의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수신하는 과정은 생략이 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TT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1과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TT클라이언트A(10)를 통해, 수신자가 자신의 초대에 응할 수 없는 상태임을 확인하면, 송신자는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on"으로 설정하고, PTT서버A(20)에게 PTT서비스 예약을 요청한다.(S410)
그리고 PTT서버A(20)로부터 "OK"응답이 수신되면, PTT클라이언트A(10)는 PTT클라이언트B(60)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때에 그 사실(PTT클라이언트B(60)의 상태전환)을 알려줄 것을 PTT서버A(20)에게 요청한다.(S430) 이러한 PTT클라이언트 A(10)의 요청은 PTT서버A(20)를 거쳐 PTT서버B(50)에게 전달된다. (S440)
상기 PTT클라이언트A(10)의 요청을 수신한 PTT서버B(50)는 PTT클라이언트 B(60)의 현재 상태를 알기 위해 상기 프리젠스 서버B(40)에게 PTT클라이언트 B(60)의 프리젠스 정보를 요청한다(S450). 그리고 PTT클라이언트 B(60)의 프리젠스 정보가 수신(S460)되면, PTT클라이언트B(60)의 우선정보(preference)를 체크한다. (S470) 이때, PTT서버B(50)는 수신측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송신자의 PTT세션 요구를 허용하거나 불허하기 위해, PTT서버를 제어하는 접근 리스트(Access list)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PTT세션 초대를 차단 위해 설정되는 ISB(Incoming session barring)와, 이미 열려진 PTT세션이 있을 경우에 새로운 초대 메시지가 오면 기존의 PTT세션을 끊고 새로운 PTT세션을 열 것인지 혹은 새로운 PTT세션을 열지않고 기존의 PTT세션을 유지할 것인지에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PTT세션 on holding"과 같은 우선정보(preference) 항목을 체크한다.
그리고 PTT클라이언트B측의 단말 전원이 꺼져있는지, PTT세션이 "busy"인지, PTT클라이언트B가 현재 타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에 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이후, 상기 PTT클라이언트B(60)의 상태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PTT서버B(50)는 이를 PTT서버A(20)에게 보고한다.(S480)
그리고 PTT서버B(50)의 보고를 받은 PTT서버A(20)는 이번에는 프리젠스 서버A(미도시)로부터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하여, PTT클라이언트A(10)의 우선정보를 체크한다(S490). 이때, PTT서버A(20)는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혹은 PTT클라이언트B(60)가 다른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여전히 PTT클라이언트B(60)의 초대를 원하는지 등에 관해 체크한다.
상기 과정(S490)을 통해, PTT클라이언트A(10)가 PTT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거나 그럴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PTT서버A(20)는 상기 PTT클라이언트 A(10)에게 "PTT클라이언트B(60)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었다" 는 사실을 통보한다.(S500) 그리고 PTT서버A(20)의 통보를 수신한 PTT클라이언트 A(10)는 PTT클라이언트B(60)에게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여 PTT서비스를 수행한다.(S510 ~ S560) 그리고 이때, 상기 초대 메시지(INVITE)에는 송신자가 수신자를 초대하는 이유 등의 정보가 들어 갈 수도 있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T서비스 시스템에 예약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초대에 응할 수 없는 수신측과의 PTT통신을 위해, 매번 수신측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presence OR Preference)를 확인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수신자가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송신측 혹은 수신측 PTT server가 송수신 단말(혹은 클라이언트)로 초대 메시지(INVITE)를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PTT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단말이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가 상기 송신측망에 의해 수신측 망으로 전달되면, 상기 수신측 망이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측 망이 상기 송신측 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과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서비스 예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단말로 전달되는 상기 초대메시지는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서비스 예약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확인 후, 상기 수신측망이 상기 수신단말의 선호정보(Pre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서비스 예약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의 선호정보(Pre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서비스 예약 방법.
  5.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송신단말이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예약 요구가 상기 송신측망에 의해 수신측 망으로 전달되면, 상기 수신측 망이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측 망이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를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서비스 예약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확인 후,
    상기 수신측망이 상기 수신단말의 선호정보(Pre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예약 방법.
  7.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이 수신단말과의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망의 PTT서버를 통해 수신망의 PTT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송신망의 PTT서버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보고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예약 요구 전달 과정은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없는 경우, PTT서비스 예약 기능을 “ON”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예약 요구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예약 요구 전달 과정은
    Publish 메시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 확인 과정은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프리젠스 서버에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확인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 후,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수신단말의 선호정보(Pre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고 과정은 상기 선호정보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송신단말의 선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13.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이 수신단말과의 서비스 예약 요구를 송신망의 PTT서버를 통해 수신망의 PTT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프리젠스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단말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수신망의 PTT서버가 상기 송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달하여,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확인 후, 상기 수신망의 PTT 서버가 상기 송신단말의 선호정보(Pre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초대메시지의 전송은 상기 선호정보를 통해 상기 송신단말이 초대에 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 방법.
KR1020040085141A 2004-10-23 2004-10-23 Ptt 서비스 예약 방법 KR10067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41A KR100677506B1 (ko) 2004-10-23 2004-10-23 Ptt 서비스 예약 방법
US11/253,747 US20060087971A1 (en) 2004-10-23 2005-10-20 Method for reserving of PT system
JP2007535620A JP4651674B2 (ja) 2004-10-23 2005-10-21 Ptシステムのサービス予約方法
CNA200580035257XA CN101040511A (zh) 2004-10-23 2005-10-21 Pt系统的预约服务方法
RU2007108254/09A RU2388165C2 (ru) 2004-10-23 2005-10-21 СПОСОБ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УСЛУГИ В "Push-to" СИСТЕМЕ
EP05808713A EP1803287A4 (en) 2004-10-23 2005-10-21 METHOD FOR RESERVING PT SYSTEM SERVICE
PCT/KR2005/003509 WO2006043792A1 (en) 2004-10-23 2005-10-21 Method for reserving service of pt system
BRPI0514638-0A BRPI0514638A (pt) 2004-10-23 2005-10-21 método para reservar serviço de sistema p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41A KR100677506B1 (ko) 2004-10-23 2004-10-23 Ptt 서비스 예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28A KR20060036028A (ko) 2006-04-27
KR100677506B1 true KR100677506B1 (ko) 2007-02-02

Family

ID=3620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141A KR100677506B1 (ko) 2004-10-23 2004-10-23 Ptt 서비스 예약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87971A1 (ko)
EP (1) EP1803287A4 (ko)
JP (1) JP4651674B2 (ko)
KR (1) KR100677506B1 (ko)
CN (1) CN101040511A (ko)
BR (1) BRPI0514638A (ko)
RU (1) RU2388165C2 (ko)
WO (1) WO2006043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2302A1 (de) * 2005-07-11 2007-01-25 Infineon Technologies Ag Server-Einheit, Client-Einhei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rver-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Client-Einheit
KR101177948B1 (ko) * 2006-01-13 2012-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시스템에서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단말 장치 및 방법과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PoC 시스템
US7707286B2 (en) * 2006-05-11 2010-04-27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managing presence information in a real-time communications network
WO2008020705A1 (en) * 2006-08-14 2008-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sence notification based on presence attribute
WO2008139566A1 (ja) * 2007-05-08 2008-11-20 Fujitsu Limited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02007056725A1 (de) * 2007-11-26 2009-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dingten Aufbauen einer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 Telekommunikationskonferenz-Anordnung, und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s-Server
DE102007058948A1 (de) * 2007-12-07 2009-06-1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Ermitteln von mindestens einem Teilnehmergerät für eine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 Telekommunikationskonferenz-Anordnung, und Tele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s-Server
JP5405033B2 (ja) 2008-03-18 2014-02-05 株式会社Nttドコモ 呼制御装置
US10489132B1 (en) * 2013-09-23 2019-11-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uthenticating mobile device for on board diagnostic system access
US9591482B1 (en) 2014-10-31 2017-03-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for authenticating driver for registration of in-vehicle telematics unit
US9649999B1 (en) 2015-04-28 2017-05-1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remote operations control
US9604651B1 (en) 2015-08-05 2017-03-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telematics unit communication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ing
JP6724423B2 (ja) * 2015-09-30 2020-07-15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538A (ja) * 1993-11-04 1995-05-19 Hitachi Ltd 会議電話方式
JP3862154B2 (ja) * 2001-01-18 2006-12-27 オムロン株式会社 通信仲介システム
US6870916B2 (en) * 2001-09-14 2005-03-22 Lucent Technologies Inc. Targeted and intelligent multimedia conference establishment services
US7184415B2 (en) * 2001-12-07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rvice access system and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153340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joining a user to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54249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a member from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JP2003324533A (ja) * 2002-04-30 2003-11-14 Ntt Phoenix Communications Network Inc 会議スケジュール制御装置、会議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会議スケジュール制御方法、会議スケジュー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会議スケジュール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29725A (ko) * 2002-10-02 2004-04-08 이안기 통화가능여부 감지에 따른 통화 예약 및 연결 서비스의방법 및 장치
KR20040037668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알림 방법
US7444139B1 (en) * 2003-01-30 2008-10-2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intelligent network processing to prematurely wake up a terminating mobile station
US20040192363A1 (en) * 2003-03-24 2004-09-30 Rosetti David Albert Method for reducing latency in a push-to-talk set-up
US7415284B2 (en) * 2004-09-02 2008-08-19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essage server in a push-to-talk network
JP5038141B2 (ja) * 2004-09-21 2012-10-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セルラー(PoC)の動的なサービスオプション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28A (ko) 2006-04-27
JP4651674B2 (ja) 2011-03-16
BRPI0514638A (pt) 2008-06-17
JP2008516519A (ja) 2008-05-15
EP1803287A1 (en) 2007-07-04
WO2006043792A1 (en) 2006-04-27
US20060087971A1 (en) 2006-04-27
EP1803287A4 (en) 2009-04-22
RU2388165C2 (ru) 2010-04-27
RU2007108254A (ru) 2008-11-27
CN101040511A (zh)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4796B (zh) 模式转换通信系统和方法
EP2571298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
CN1774947B (zh) 管理通信会话的方法
EP1906684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group information by the invited user during the session
US200502668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alk session in push to talk (PTT) service providing system
US7983199B1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JP4967475B2 (ja) グループ通信切り替え方法
KR100677506B1 (ko) Ptt 서비스 예약 방법
CN101138201A (zh) 在无线一键通网络中识别响应客户机的方法和系统
EP1889441A1 (en) Method for poc server to handle poc caller preferences
KR100793343B1 (ko) PoC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US20060294243A1 (en) Management of group communication
JP4392043B2 (ja) PoCシステムの応答モードに基盤するPoC呼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EP1817935B1 (en) Improvements in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US79660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single PoC group session
CN101040547B (zh) 半双工通信系统免提模式
KR100700606B1 (ko) 피티티 서비스 제한방법
KR100666959B1 (ko) 피티티 시스템에서의 멀티 세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7981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PoC Call 서비스제공방법 및 IM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91231A (ko) 효율적인 그룹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453702B (zh) 一种提供会话内信息的方法、系统和设备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20060036030A (ko) 피티티 서비스 제한방법
KR20170047992A (ko) 통화 중 호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
KR20060104157A (ko) 공중 전화교환망 사용자를 위한 그룹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및 이를 이용한 그룹통신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