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384B1 - Polluted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Polluted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5384B1 KR100675384B1 KR1020050083102A KR20050083102A KR100675384B1 KR 100675384 B1 KR100675384 B1 KR 100675384B1 KR 1020050083102 A KR1020050083102 A KR 1020050083102A KR 20050083102 A KR20050083102 A KR 20050083102A KR 100675384 B1 KR100675384 B1 KR 100675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minated water
- separator
- reservoir
- precipitated
- transfer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003 al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93 chemical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5 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순서적으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와 부유물질분리기를 구비하는 분리장치;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온 오염수가 저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온 오염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화학처리장치;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화학처리장치로 오염수를 이송시키는 제1이송관; 상기 화학처리장치로부터 온 오염수 내의 오염물질이 첨가된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반응공간을 가지는 반응조; 상기 분리장치 및 반응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하이드사이클론분리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상기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관; 및 상기 반응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상기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관; 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는 상측으로 부유물질제거구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개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수집된 오염물질의 제거가 편리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 chamber and a hydrocyclone separator and a suspended matter separator in the chamber; A reservoir for storing contaminated water from the separator; A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for adding a chemical to the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eservoir; A first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eservoir to the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A reaction tank having a reaction space in which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from the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react with the added chemicals;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precipitated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separator and the reaction tank; A second transfer pipe transferring the precipitate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hydrocyclone separator to the storage tank; And a third transfer pipe transferring the precipitate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reaction tank to the storage tank. The hydrocyclone separator may include a floating material removal opening or an opening at an upper side thereof, so that the polluted water generated from the nonpoint source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collected pollutant may be removed. Disclosed is a technique related to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device which is convenient.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염수 정화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오염수 정화장치에 적용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의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yclone separator applied to the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도3은, 도1의 부유물질분리기의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spended solids separator of FIG.
도4는, 도1의 오염수 정화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오염수 정화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1.
도5 내지 도11은, 도1의 오염수 정화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5 to 11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polluted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분리장치100: separator
11 : 챔버 12 :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1
13 : 부유물질분리기13: suspended solids separator
200 : 저수조200: reservoir
300 : 화학처리장치300: chemical processing device
400 : 제1이송관400: first transfer pipe
500 : 반응조500: reactor
600 : 저장조600: reservoir
700 : 제2이송관700: 2nd transfer pipe
800 : 제3이송관800: 3rd transfer pipe
본 발명은, 오염원, 특히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된 오염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from a pollutant, in particular a nonpoint source.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과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ion Source)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water pollution sources are divided into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for the convenience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점오염원에 따른 오염수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과 같이 오염물질이 특정한 지점 또는 비교적 좁은 지역 안에서 발생하며, 오염물질이 비교적 특정되어 있고, 오염수가 발생되는 지점을 분명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다.Polluted water by point source is generated within a certain point or relatively narrow area, such as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 livestock waste, etc., and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point where the pollutant is relatively specified and where the polluted water is generated. The treatment is relatively easy.
그에 반하여 비점오염원에 따른 오염수는, 양식장·야적장·농경지배수·도시노면배수 등과 같이 광범위한 배출경로 상에서 발생하며, 오염물질이 특정되어지기 어렵고 대개 비와 함께 발생되기 때문에, 일간·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울 뿐더러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지질·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그 처리가 곤란하다.On the other hand, contaminated water from non-point sources is generated over a wide range of discharge paths, such as farms, yards, agricultural drainage, urban road drainage, etc., and because pollutants are difficult to identify and usually occur with rain, It is difficult to process because it has a large difference, difficult to predict and quantify, and has many characteristics that are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geology, and terrain, which are difficult to artificially control.
한편, 오염물질은, 물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입자성물질과, 물의 비 중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입자성물질, 물에 용해된 상태로 이동하는 물질, 콜로이드상태로 함께 이동하는 물질, 유기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와는 달리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그러한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물의 비중보다 큰 비중이나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입자성물질은 물리적인 침전이나 부력을 이용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며, 용해성 물질 및 콜로이드상태의 물질의 경우에는 화학적처리방법에 의해 침전 또는 부상하게 함으로써 분리시켜 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여과나 흡착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분리해 내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ollutants include particulate matter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water, particulate matter having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substances moving in a dissolved state of water, substances moving together in a colloidal state, organic matters, and the like. There are many varieties, and unlike contaminated water from point sources, contaminated water from nonpoint sources can contain all such contaminants. Here, the particulate matter having a specific gravity larger or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can be separated using physical precipitation or buoyancy, and in the case of soluble materials and colloidal materials, they are separated by precipitation or flotation by chemical treatment. You can make it. For reference, a method of separating contaminants by filtration or adsorption is also disclosed.
위와 같이 비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수는 오염물질의 특정이 어렵고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을 다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정화방법만을 가지는 정화장치에 의해서는 뛰어난 정화율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다양한 정화방법을 가지는 정화장치가 필요된다.Since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from the nonpoint source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ontaminants and may contain all kinds of contaminants, the purification device having only a specific purification method may not have an excellent purification r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그러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41628호(발명의 명칭: 싸이크론식 분리기와 회전식 디스크 여과기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이하 '인용기술'이라 함)에 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from such nonpoint source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41628 (Invention name: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method using a cyclone separator and a rotary disk filter, and its treatment apparatus) Or quoting techniques).
인용기술에 의하면, 침사조, 저류조, 인입펌프, 사이클론식분리기, 회전식 디스크 여과기, 금속침전조, 슬러지저류조 등을 순서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인용기술에 의하면, 오염수가 초대부유물질 및 비중이 큰 조대물질이 침사조에서 분리된 후 저류조로 이동하면, 인입펌프의 가동에 따라 사이클론식분리기, 회전식 디스크 여과기 및 급속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화된 후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cited technology, a sedimentation tank, a storage tank, an inlet pump, a cyclone separator, a rotary disk filter, a metal precipitation tank, a sludge storage tank, etc. are provided in order. According to such cited technology, when the contaminated water is separat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coarse material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is moved to the storage tank, the condensed water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cyclone separator, the rotary disk filter, and the rapid sedimentation tan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let pump. Purified and discharg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인용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 cited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인용기술에 따르면 부유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해 침사조에 경사세목스크린을 구비시키고 있으나, 그러한 경사세목스크린에 의해 모든 부유물질을 분리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분리되지 아니한 부유물질들(나뭇가지 등)은 사이클론식분리기, 회전식 디스크 여과기 및 급속침전조로 이어지는 오염수의 이동로 상에서 오염수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거나, 기기의 처리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First, according to the cited technology, the inclined tubular screen is provided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separate the suspended solids, but there is a limit in separating all the suspended solids by the inclined tubular screen, and the suspended solids (such as twigs) are not separated. This will interfere with the smooth movement of the contaminated water on the contaminated water flow path leading to the cyclone separator, the rotary disk filter, and the rapid settling tank, or result in poor processing of the device.
둘째, 인용기술에 따르면 비중이 큰 입자상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해 침사조에 바플옹벽을 구비시키고 있으나, 소나기나 폭우 등에 따른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으로 인해 바플옹벽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만일 바플옹벽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려면 바플옹벽에 의해 분리된 후 퇴적된 입자상물질을 번번히 제거시켜주어야 하는 수고로움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나 우천시의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인력의 낭비를 가져온다.Second, according to the cited technology, the baffle retaining wall is provided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separate the particulate matter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but the baffle retaining wall loses its function due to heavy rain or rainy season due to rain or heavy rain. If the baffle retaining wall is to maintain its function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trouble of removing the particulate matter separated by the baffle retaining wall repeatedly, but the work in the rainy day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waste of manpower.
셋째, 저류조에서 미세 입자들이 지속적으로 침전하여 퇴적됨에 따라 저류조의 저수용량이 작아지므로, 일정 기간에 걸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감내하여야만 한다.Third, sinc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becomes smaller as the fine particles are continuously deposited and deposited in the storage tank, it is necessary to take the hassle of removing the precipitate that has been deposited over a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수가 유입되면 부유물질을 두 차례에 걸쳐서 완벽하게 분리시킨 후 이 후의 처리과정으로 보내며, 침전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해 별도의 번거로움이나 인력의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는 오염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the suspended solids are completely separated in two times and then sent to a subsequent treatment process, to separate the sediment to separate It is to provide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ny hassle or manpow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을 분리해내기 위해, 인입구 및 인출구가 각각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오염수가 유입되어 배출되어 가는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와 부유물질분리기를 구비하는 분리장치;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이 분리된 오염수가 중력에 의해 이송된 후 저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온 오염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화학처리장치;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화학처리장치로 오염수를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제1펌프가 설치된 제1이송관; 상기 화학처리장치로부터 온 오염수가 첨가된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반응공간을 가지며, 반응공간에서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구를 가지는 반응조; 상기 분리장치 및 반응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분리장치의 하이드사이클론분리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상기 저장조로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제2펌프가 설치된 제2이송관; 및 상기 반응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상기 저장조로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제3펌프가 설치된 제3이송관; 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장치의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는, 상측으로 부유물질제거구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개구될 수 있으며, 측벽의 소정부분의 반경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유입되는 오염수가 확장된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큰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mber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to separate the sediment and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chamber. A separator having a hydrocyclone separator and a suspended matter separator in order in the direction; A reservoir in which contaminated water from which sediment and suspended matter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is transferred by gravity; A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for adding a chemical to the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eservoir; A first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water from the reservoir to the chemical treatment device, among which a first pump is installed; A reaction tank having a reaction space for reacting with the chemical substances added from the chemical treatment apparatus and having a purified water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spac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precipitated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separator and the reaction tank; A second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precipitated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separator to the storage tank, in which a second pump is installed; And a third transfer pipe which transfers the precipitated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reaction tank to the storage tank, in which a third pump is installed.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separation device may include a floating material removal opening or an opening, and a radius of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ide wall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side wall of the separation device may be exten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roduc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o receive a large centrifugal force.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은, 저수조 내의 오염수로부터 침전된 침전물질이 상기 제1이송관의 끝단 측에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material precipitated from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reservoir can be collected at the end side of the first transfer pip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정화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염수 정화장치에 적용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염수 정화장치에 적용된 부유물질분리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yclone separator applied to the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3 is a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of Figure 1 A schematic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suspended solids separator applied to a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정화장치는, 분리장치(100), 저수조(200), 화학처리장치(300), 제1이송관(400), 반응조(500), 저장조(600), 제2이송관(700) 및 제3이송관(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각 구성들의 역할 및 세부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to 3, the contamin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분리장치(100)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을 분리해 내기 위해 챔버(11) 및 이 챔버(11) 내에 구비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와 부유물질분리기(13)를 구비하되,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와 부유물질분리기(13)는 오염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챔버(11)에는 각각 인입구(11a)와 인출구(11b)가 오염수가 인입되어 인출되는 방향으로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특허출원하여 등록 된 것(등록번호 10-0479717)을 적용시킨 것으로, 측벽의 소정부분의 반경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유입되는 오염수가 확장된 측벽(12a-1)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큰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으로 부유물질제거구(12a-4)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측으로는 침전물질배출구(12a-5)가 형성되어 있되, 침전물질이 침전물질배출구(12a-5) 측으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 방향으로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부유물질제거구(12a-4) 대신에 상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뚜껑을 구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는 케이싱(12a), 오염수유입관(12b), 오염수배출관(12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의 소정부분의 반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되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그 확장 정도가 점점 줄어들도록 되어 있으며, 오염수가 확장된 측벽(12a-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염수유입구(12a-2)와 처리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하는 오염수배출구(12a-3)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한 부유물질제거구(12a-4)가, 하측으로 상기한 침전물질배출구(12a-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염수유입관(12b)은 상기 오염수유입구(12a-2)로 오염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챔버(11)의 인입구(11a)를 통과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염수배출관(12c)은 케이싱(12a) 내에서 처리된 오염수가 상기 부유물질분리기(13)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 측이 상기 오염수배출구(12a-3)를 통과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오염수의 회전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이 분리된 오염수만이 배수되도록 ㅏ자 형상을 가진다.The
상기 부유물질분리기(13)는, 부유물질이 분리된 오염수가 통과하는 통과홀(13a-1)이 형성되는 있는 분리대(13a)와, 이 분리대(13a)의 통과홀(13a-1)을 소정 간격을 두고 차폐하되 부유물질이 분리된 오염수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과홀(13a-1)을 통과하도록 하는 차폐막(1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부유물질분리기(13) 또한 본 출원의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된 것(등록번호 : 10-0464640호)을 적용시키고 있다.The
상기 저수조(200)에는 상기 분리장치(100)의 챔버(11) 내에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 및 부유물질분리기(13)를 순서적으로 거친 후 챔버(11)의 인출구(11b)를 통해 배출된 오염수가 저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수조(200)의 바닥면은, 저수조(200) 내의 오염수로부터 침전된 침전물질이 상기 제1이송관(400)의 끝단 측에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The
상기 화학처리장치(300)에서는 상기 저수조(200)로부터 온 오염수에 화학물질(NaHO, Alum 등일 수 있다)을 첨가한 후 상기 반응조(500) 측으로 배출시킨다.In the
상기 제1이송관(400)은 상기 저수조(200)로부터 상기 화학처리장치(300)로 오염수를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강제 펌핑력을 주기 위한 제1펌프(410)가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반응조(500)는 상기 화학처리장치(300)로부터 온 오염수 내의 오염물질이 첨가된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반응공간(500a)을 가지며, 반응공간(500a)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측 방향에 형성된 정화수배출구(500b)와, 하 방향으로 침전된 침전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질배출구(500c) 및 부유물질을 제 거시키기 위해 상면에 부유물질제거구(500d)를 가지되, 침전물질이 침전물질배출구(500c) 측으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다.The
상기 저장조(600)는 상기 분리장치(100)의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 및 반응조(500)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조(600)의 상면에는 오염물질제거구(60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염물질제거구(600a)를 단속하기 위한 뚜껑(600b)이 구비된다.The
상기 제2이송관(700)은 상기 분리장치(100)의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12)의 침전물질배출구(12a-5)로부터 상기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강제 펌핑력을 주기 위한 제2펌프(710)가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제3이송관(800)은 상기 반응조(500)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반응조(500)의 침전물질배출구(500c)로부터 상기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며, 그 중도에는 강제 펌핑력을 주기 위한 제3펌프(810)가 설치되어 있다.The third transfer pipe (800) transfers the precipitated material precipitated in the reaction tank (500) from the sediment discharge outlet (500c) of the reaction tank (500) to the storage tank (600), among which to give a forced pumping forc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염수 정화장치 작동상태를 도4의 흐름도 및 참조도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and reference diagram of FIG. 4.
1.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 분리<S401>1. Separation of sediment and suspended solids <S401>
상기 챔버(11)의 인입구(11a), 더 정확하게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의 오염수유입관(12b)을 통해 케이싱(12a)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오염수유입구(12a-2)를 통해 확장된 측벽(12a-1)으로 유입된 후 큰 원심력을 가지고 도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측벽을 타고 회전하면서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 때, 원심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입자상물질은 측벽 측으로 달라붙으면서 측벽을 타고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싱(12a)의 바닥으로 침전되고, 비중이 작은 부유물질은 상측으로 떠오르게 된다. 계속하여 침전물질이 분리되면서 하 방향으로 이동한 오염수는 도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승선회와류를 타고 케이싱(12a)의 수직 중심선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ㅏ자 형상의 오염수배출관(12c)을 통해 상기 부유물질분리기(13) 측으로 배출된다.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한편, 부유물질분리기(13) 측으로 배출된 오염수는 차폐막(13b)에 의해 가로막혀 곧바로 분리대(13a)의 통과홀(13a-1)을 통과하여 빠져나가지 못하고, 도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후 통과홀(13a-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 때,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에서 미처 분리되지 아니한 부유물질들은 상 방향으로 떠오르면서 재차 분리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o the floating
이와 같이 분리장치(100)에서 거의 모든 입자성 부유물질들(나뭇가지 등)이 분리되어 짐으로써, 이 후 처리과정으로 이동하는 오염수의 이동로 상에서 입자성 부유물질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거한다. 물론 액체성 부유물질들(기름 등)도 상당부분 함께 분리되어 진다.As such, almost all particulate suspended solids (such as tree branches)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2. 저수<S402>2. Storage <S402>
부유물질분리기(13)를 통과한 후 챔버(11)의 인출구(11b)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는 이어서 설치된 저수조(200)에 일시 저수된다.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여기서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에서 미처 분리되지 못한 미세한 입자상물질들(진흙 등)이 침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침전물질들은 저수조(200)의 바닥면 이 경사지게 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도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이송관(400)의 끝단 쪽으로 모이게 된다.Here, fine particulate matter (mud, etc.) that could not be separated in the
3. 화학물질 첨가<S403>3. Addition of chemicals <S403>
한편, 저수조(200)에 저수된 오염수는 제1펌프(410)의 가동에 의해 화학처리장치(300)로 이동하게 된 후, 화학처리장치(300)에서 화학물질이 첨가되어 진다. 이 때, 도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펌프(410)의 흡인력에 의해 저수조(200)의 바닥면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물질도 함께 흡인되어 이동하게 됨으로 인해 저수조(200)의 바닥면에 침전물질은 거의 제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minated water stored in the
4. 화학반응 및 정화수배출<S405>4. Chemical reaction and purification water discharge <S405>
계속하여 화학처리장치(300)에서 화학물질이 첨가된 오염수는 반응조(500)로 이동하게 되고, 반응조(500)에서는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한편, 미세한 침전물들도 다시 재침전하게 된다. 이 때, 반응조(500)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해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이 추가로 발생하게 됨으로 인하여, 도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반응조(500)의 바닥으로는 침전물질이 침전되어 퇴적되고, 정화수의 상측으로는 부유물질들이 표류하게 된다. 그리고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화수는 측면에 형성된 정화수배출구(500b)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contaminated water to which chemicals are added in the
5.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 제거<S405>5. Removal of sediment and suspended solids <S405>
한편,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의 바닥과 반응조(500)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질들은 제2펌프(710) 및 제3펌프(810)의 작동에 따라서 제2이송관(700) 및 제3이송관(800)을 따라서 저장조(600)로 이동하게 되고, 추후 관리자는 도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저장조(600)에 퇴적된 침전물질을 뚜껑(600b)을 열고 오염물질제거구(600a)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각 장치에 의해 분리된 침전물질들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그리고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12) 및 부유물질분리기(13)에 의해서 분리된 부유물질, 반응조(500)에서 부유된 부유물질은 부유물질제거구(12a-4, 500d) 등을 통해 부유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뜰채(나뭇가지 등)나 흡착재(기름 등)로 제거시킨다.In addition, the suspended solids separated by the
상술한 실시예는 주로 침전물질 및 부유물질과 화학적처리가 용이한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기타의 정화기(여과기, 흡착기)를 더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mainly described in terms of precipitates and suspended solids and pollutants that are easily treated chemically, it is obvious that other purifiers (filters, adsorbers) may be further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other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above embodiments, or can implement the invention in an equivalent area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수가 유입되면 부유물질을 두 차례에 걸쳐서 거의 완벽하게 분리시킨 후 이 후의 처리과정으로 보냄으로써, 이 후의 처리과정 중에 있는 오염수의 이동로 상에서 입자성 부유물질들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이드로사이클론분리기, 저수조, 반응조에서 침전된 침전물질을 저장조에 모아 일거에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the suspended solids are almost completely separated in two times, and then sent to a subsequent process, whereby particulate matter is transferred to the contaminated water moving path during the subsequ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caused by the suspended solids, there is a convenience to treat the sediment precipitated from the hydrocyclone separator, reservoir, reactor in a storage tank at once.
또, 저수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여 저수조의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는 미세한 입자상의 물질들을 펌핑시켜 이후의 처리과정으로 보낸후 반응조에서 재차 침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저수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번거로운 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is inclined to pump fine particulate matter that may b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so that it can be settled again in the reaction tank after being sent to the subsequent treatment process, thereby maintaining a low capacity of the reservoir.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the work.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3102A KR100675384B1 (en) | 2005-09-07 | 2005-09-07 | Polluted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3102A KR100675384B1 (en) | 2005-09-07 | 2005-09-07 | Polluted Water Purifi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5840U Division KR200401724Y1 (en) | 2005-09-07 | 2005-09-07 | Purifier for water poll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5384B1 true KR100675384B1 (en) | 2007-01-30 |
Family
ID=3801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31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384B1 (en) | 2005-09-07 | 2005-09-07 | Polluted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538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0670U (en) | 1974-07-11 | 1976-01-26 | ||
KR810001347B1 (en) * | 1976-04-28 | 1981-10-15 | 이마후꾸 야스오 | Fluid Sleeping Float Recovery System |
KR20010054440A (en) * | 1999-12-06 | 2001-07-02 |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 Low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calcium compound used pollution deposit treating method |
KR20050028619A (en) * | 2003-09-19 | 2005-03-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f dredging sediment |
-
2005
- 2005-09-07 KR KR1020050083102A patent/KR1006753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0670U (en) | 1974-07-11 | 1976-01-26 | ||
KR810001347B1 (en) * | 1976-04-28 | 1981-10-15 | 이마후꾸 야스오 | Fluid Sleeping Float Recovery System |
KR20010054440A (en) * | 1999-12-06 | 2001-07-02 |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 Low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calcium compound used pollution deposit treating method |
KR20050028619A (en) * | 2003-09-19 | 2005-03-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f dredging sedi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6637B1 (en) | Device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flowing liquids or gases | |
KR100862740B1 (en) | Non-point source treatment equipment by two-stage vortex and filtration | |
US20050145555A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1288471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US20140158596A1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Multiple Upflow Filters | |
KR101196653B1 (en) | First rainwater treatment aparatus | |
KR100877700B1 (en)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 |
KR101746524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 |
KR100621193B1 (en) | Pollution Purification Method of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and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 |
KR101754123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
KR100807192B1 (en) | Vortex Type Initial Excellent Treatment System | |
KR20050112624A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
KR100605267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0956138B1 (en) | The first flush treatment apparatus having vortex separator and the inclined fibrous screen | |
KR200366226Y1 (en)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
KR20100122373A (en)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195091B1 (en) |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 |
KR200401724Y1 (en) | Purifier for water pollution | |
US6899808B1 (en) | System for processing polluted water | |
KR101052546B1 (en) | Outstanding early treatment device for side mouth | |
KR100675384B1 (en) | Polluted Water Purifier | |
KR101106390B1 (en) | Vortex Trap Device | |
KR100856883B1 (en) | Detachable drainage system for easy removal of sedi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