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226Y1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Google Patents
Hydrocyclone type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226Y1 KR200366226Y1 KR20-2004-0023484U KR20040023484U KR200366226Y1 KR 200366226 Y1 KR200366226 Y1 KR 200366226Y1 KR 20040023484 U KR20040023484 U KR 20040023484U KR 200366226 Y1 KR200366226 Y1 KR 2003662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minant
- inlet
- contaminants
- chamber
- treatment liq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천시 빗물과 함께 배수될 수 있는 도로나 교량 혹은 공사장의 지표에 쌓여 있는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측벽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챔버와 상기 유입구로 상기 챔버의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오염액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오염물이 제거된 처리액을 배출구와 연결시켜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배출되는 상기 처리액에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cyclone separator for efficiently removing contaminants accumulated on roads, bridges, or construction sites that can be drained wit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Preventing the inflow of suspended solids into the formed chamber and the inlet, the inlet pipe for introducing the contaminated liqui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and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removed treatment liquid to the outlet and the discharged treatment liqui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tube for.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비중에 따른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수집된 오염물이 폭우 등으로 유실될 염려가 없다.The hydrocyclone 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handle contaminants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collected contaminants will be lost due to heavy rain.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중에 따른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으며, 폭우시에도 수집된 오염물이 유실될 염려가 없는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move and remove contaminants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and relates to a hydrocyclone separator which does not have a risk of losing collected contaminants even in heavy rain.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을 발생원인에 따라 구분하면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ces)은 도로, 교량의 표면에 쌓여있는 차량배기가스, 타이어 등의 미세분진 또는 골프장, 주차장, 농지, 건설현장 등의 지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오염물질 등과 같이 우천시 빗물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면 수질오염의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따로 배출구가 없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조대입자상물질, 부유물질, 탁도 그리고 무기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방법에는 크게 물리적 처리법과 화학적 처리법이 있다.In general, if the polluta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use of occurrence, they can be classified into point pollutants and nonpoint pollutants. Among them, non-point sources include vehicle exhaust gases and tires accumulated on the surfaces of roads and bridges. When it flows into rivers throug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such as fine dust or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golf courses, parking lots, farmland, construction sites, etc., it is a source of water pollu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se nonpoint polluta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coarse particulate matter, suspended matter, turbidity and inorganic substances. There are two methods of treating such nonpoint pollutants: physical treatment and chemical treatment.
이 중 스크린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법은 조대입자상물질을 처리할 수는 있으나 스크린의 간격이 1~3mm 이기 때문에 그 이하의 입자는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범람으로 스크린에 모여 있던 오염물이 오히려 역류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화학물질을 이용한 슬러지 형성유도반응을 이용한 방법은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문제와 침전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의 침전조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된 화학물질로 인하여 처리액이 오염되는 등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비점오염물질은 이러한 오염물질이 고정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우천시 빗물과 혼합되어 발생되는 오염물질이기 때문에 계절강수량과 오염물질의 배출량 및 농도변화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m, the physical treatment method using the screen is capable of treating coarse particulate matter, but since the screen distance is 1 to 3 mm,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particles below it, and the contaminants gathered on the screen may overflow due to flooding. There is also a problem. 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sludge formation reaction using chemicals has the disadvantage of the cost of using the chemicals and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large area settling tank to increase the amount of sedimen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pollution may occur. And most of all, non-point pollutants are not polluted in a fixed way, but are pollutants generated by mixing wit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의 선회류를 이용하여 비중에 따른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물리적 현상만을 이용하므로 설치비 외의 추가유지비가 소요되지 않고, 수집된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하며, 폭우 등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오염액의 량이 늘어나는 경우에도 수집되었던 오염물이 유출될 염려가 없는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contaminants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by using the swirl flow of the fluid, and using only the physical phenomenon does not require additional maintenance costs other than installation costs In addi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collected contaminants, and even if the amount of contaminants introduced suddenly due to heavy rain, etc., to provide a hydrocyclone separator without the risk of collecting the collected contaminant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사시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사용상태도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3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응용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응용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6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of a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1: 챔버 2: 유입관1: chamber 2: inlet pipe
3: 배출관 4: 가이드관3: discharge pipe 4: guide pipe
11: 유입구 12: 배출구11: inlet 12: outlet
13: 제1오염물제거구 14: 통과홀13: first pollutant removal port 14: through ho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오염물이 혼재된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오염물이 제거된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격리되어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오염액이 원심력을 받아 상기 처리액보다 비중이 큰 오염물을 상기 오염액으로부터 분리하는 챔버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오염액이 상기 원심력을 받도록 상기 챔버의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상기 오염액을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처리액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처리액이 모여드는 상기 챔버 내의 소정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처리액에 상기 처리액보다 비중이 낮은 오염물이 혼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유입구와 같거나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는 천정에 제1오염물제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제1오염물질제거구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오염물제거구 및 상기 가이드관을 통과하는 오염물제거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의 바닥에 쌓인 오염물질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의 바닥에 상기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오염물제거구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Hydrocyclone-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n the side wall is separated from the inlet port in which the contaminant mixed contaminant is introduced and the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s discharged to the inlet port The contaminan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connected with the inlet and the chamber for separating the contaminant having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the treatment liquid from the contaminant under the centrifugal force to receive the centrifugal force. An inlet pipe for supplying a liquid and a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at leas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hamber into which the treatment solution is collected to discharge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discharge tube and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treatment solution in the treatment solution; At least with the inlet port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mixing Or that comprises a guide tube extending to a higher position is characterized. The cha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pollutant removal port on the ceiling, and the guide tube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first pollutant removal port, so that the pollutant removal hos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lutant removal port and the guide tube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to the outside, a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aminant removal port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is further formed.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오염물이 혼재된 오염액이 측벽 측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염액으로부터 상기 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와 격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보다 높은 소정 위치에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된 상기 오염액의 높이가 상기 소정 위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오염액이 상기 통과홀을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챔버,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오염액이 원심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상기 오염액을 공급하는 유입관 및 상기 처리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처리액이 모여드는 상기 챔버 내의 특정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hydrocyclone type separato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contaminants mixed with contaminants are introduced to the side wall side,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ment liquid separated from the contaminant and the inlet and the inle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which is formed in isolation, and the chamber allows the contaminant to escape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the height of the contaminated liquid contained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at least a specific position in the inlet pipe for supplying the contaminan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contaminant introduced therein is subjected to a centrifugal force, an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chamber in which the treatment solution gathers to discharge the treatment solution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대략적으로 챔버(1), 유입관(2), 배출관(3), 가이드관(4)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composed of a chamber 1, an inlet tube 2, an outlet tube 3, and a guide tube 4.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이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하여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장치의 일종을 말하는 것으로 유체 속에 현탁해 있는 고체입자 또는 다른 종류의 액적을 분리하거나 혹은 액체 속에 현탁해 있는 고체입자의 입도 또는 비중의 차이에 의한 분리 등에 사용된다.Hydrocyclone refers to a type of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that is caused by the swirling flow of fluid. The particle size or specific gravity of solid particles suspended in a fluid or other types of droplets separated from or suspended in a liquid Used for separation due to differences in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은 밀도·크기가 큰 입자는 원심력(F=mrω2)에 의하여 선회하면서 벽 쪽으로 모이고 대부분의 액체는 조건에 따라 크기·밀도가 작은 입자를 수반하여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중심부에 모여서 상승선회와류를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In general, these hydrocyclones are gathered toward the wall by turning centrifugal force (F = mrω 2 ) with large and dense particles.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swirling swirl.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이러한 하이드로사이클론의 특성을 이용한 오염물 분리기로서, 상기 챔버(1)는 바닥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확장된 원통형으로 그 측벽에 오염물이 혼재된 오염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상기 오염물이 제거된 처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격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에는 제1오염물제거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유입구(11)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켜 오염액의 유입과 처리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제1오염물제거구(13)는 상기 챔버(1)의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맨홀 등과 같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는 설비와 대향되도록 설치한다.Hydrocyclone-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minant separato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cyclone, the chamber (1) is a cylindrical convex bottom extending convex downwards, the contaminant mixed with contaminants in the sidewall flows 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removed treatment liquid is discharged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13 is formed on the ceiling. The outlet 12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inlet 11 to facilitate the inflow of contaminant and discharg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13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1.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contaminated material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equip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such as a manhole.
상기 유입관(2)은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상기 오염액이 원심력을 받도록 상기 챔버(1)의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상기 오염액을 공급한다. 상기 유입관(2)을 통하여 상기 챔버(1)의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오염액은 상기 챔버(1)의 내측 벽을 따라 하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염액 내에 혼재하는 오염물이 원심력을 받아 밀도가 큰 것부터 상기 챔버(1)의 측벽쪽으로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액은 상기 챔버(1) 내의 중심부로 모여들어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처리액이 모여드는 챔버 내의 중심부에 상기 배출구(12)와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3)을 설치한다.The inlet pipe 2 is connected to the inlet 11 and supplies the contaminan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so that the contaminant introduced therein is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The contaminant introduc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through the inlet pipe 2 comes down while turning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from the denser by the centrifugal force toward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and fall to the bottom. In addition, the contaminant separated treatment liquid is raised to the center of the chamber 1, and the discharge pipe 3 connected to the outlet 12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hamber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is collected.
상기 챔버(1)의 용량은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가 설치되는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에 따라 설계되며, 상기 유입관(2)의 모양이나 크기는 상기 유입관(2)과 연결되는 배수관의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배수되는 오염액이 충분히 흐를 수 있도록 설계하며,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배출관(3)의 위치와 넓이는 처리되는 오염물의 량, 종류, 밀도,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3)의 위치는 유체의 흐름을 고려하여 상기 유입구(11)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되, 처리용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바닥에서 높을수록 좋다.The capacity of the chamber (1)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in the area where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shape or size of the inlet pipe (2) is the size of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 In order to sufficiently drain the contaminated liqui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shape, the location and width of the outlet 12 and the discharge pipe 3 a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type, density, size, etc. of the pollutant to be treated. It is preferable.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ipe (3) is advantageous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let (11)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the fluid, but higher in the bottom to maximize the treatment capacity.
기존의 하이드로사이클론의 경우에는 챔버 내에 유입되는 오염액에 큰 원심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입관을 펌프 등 동력장치와 연결하여 유입속도를 빠르게 하고 배출관을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천정에 설치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염액의 유입속도가 강수에 따른 빗물의 유입속도인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처리액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땅 속에 설치될 경우 다른 배수시설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배출관(3) 및 배출구(12)의 위치를 상기 챔버(1)의 측벽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이 주위환경이나 처리되는 오염액의 종류에 따라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유입관에 펌프등의 동력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hydrocyclone, in order to give a large centrifugal force to the contaminant flowing into the chamber,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a power device such as a pump to increase the inflow speed and the outlet pip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ydrocyclone. In this case, even when the inflow rate of the contaminated liquid is the inflow rate of rainwater due to precipitation, the treatment liquid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and, when installed in the ground, the discharge pipe 3 and the discharge port ( The position of 12) was located on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at a power device such as a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kind of the contaminant to be treated.
상기 배출관(3)은 상기 가이드관(4)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관(4)은 상기 유입구(11) 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관(4)은 상기 배출관(3)으로 배출되는 처리액에 상기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관(3)의 위치가 유입구(11)보다 낮음에 따라, 상기 처리액이 배출관(3)으로 흘러가는 도중에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들어온 부유물이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비중이 처리액보다 큰 오염물 뿐 아니라 비중이 처리액보다 작은 오염물도 상기 처리액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discharge pipe 3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pipe 4, the guide pipe 4 is preferably exten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11). The guide tube 4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ontaminants introduced from the inlet 11 into the treatment liquid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tube 3, and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tube 3 is lower than that of the inlet 11. As a result, the processing liquid flows into the discharge pipe 3 and serves to prevent the floating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Therefore,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parating not only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e treatment liquid but also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e treatment liquid.
또한 상기 가이드관(4)은 중공부가 상기 제1오염물제거구(13)에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1)의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물제거호스가 상기 제1오염물제거구(13) 및 상기 가이드관(4)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1)의 바닥까지 삽입될 수 있어 간편하게 상기 챔버(1)의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uide tube (4) is installed so that the hollow portion is opposed to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13). Therefore, a contaminant removal hose for removing contaminant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1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13 and the guide tube 4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1. There is simply to be able to remove the contaminants collected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1).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에 의해 오염물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로 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액이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contaminants are separated by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reatment fluid is separated from the contaminant is discharged to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관(2)을 통하여 상기 챔버(1)의 측벽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오염물이 혼재된 오염액이 원심력으로 인하여 상기 챔버(1)의 내측 벽을 선회하며 내려온다. 상기 오염액에 혼재된 오염물은 비중이 큰 것부터 상기 오염액의 흐름을 벗어나 상기 챔버(1)의 바닥부분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액은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중심부에 모여들어 상승하는데, 상기 처리액이 상기 배출관(3)이 설치된 높이까지 차오르게 되면 상기 배출관(3)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 때 배출관(3)과 관통되는 가이드관(4)을 구비하여 둠으로서 유입되는 부유물이 상기 처리액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물은 상기 배출관(3)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챔버(1)의 바닥으로 가라앉혀지지도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물은 맨홀 등 뚜껑을 열고 걸음망 등을 이용하여 제거 할 수 있다.2 and 3, the contaminant mixed with contaminants introduc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through the inlet pipe 2 pivots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Coming down. The contaminants mixed in the contaminant are separated from the flow of the contaminant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1 since the contaminants mixed in the contaminant have a high specific gravity. And the contaminant is separated from the treatment liquid is collec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 when it rises to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ipe (3) is installed. .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3) and the guide tube (4) penetrating is provided so as to prevent the floating material flowing into the treatment liquid. Therefore, the float is no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3) and can not be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1), such a float can be removed by opening the lid, such as a manhole, using a mesh.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습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discharging the pollutants collected on the bottom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는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맨홀과 상기 제1오염물제거구(13)가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바닥에 오염물이 처리량 이상으로 수집되면, 상기 맨홀의 뚜껑(8)을 열고 상기 제1오염물제거구 및 상기 가이드관(4)을 관통하도록 오염물제거호스(9)를 상기 챔버(1)의바닥까지 삽입한 후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챔버의 바닥에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천정에 제1오염물질제거구를 형성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가 설치되는 장소나 주위의 시설들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바닥부분에 제 2오염물제거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오염물제거구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4,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manhole and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13 to face the contaminants collected on the bottom efficiently. And when contaminants are collected in the bottom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than the throughput, the contaminant removal hose (9) to open the lid (8) of the manhole and penetrate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and the guide tube (4) After inserting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1 will be able to remove the contaminants collected. Therefore, contaminants collected on the floor can be easily remov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minant removal port is formed on the ceiling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However, the facilities or surrounding facilities where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e describ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ntaminant, a second contaminant removal port may be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contaminant may be removed through the second contaminant removal port.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가 응용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응용된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hydrocyclone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hydrocyclone typ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응용 예에서는 측벽의 상부, 다시 말하면, 상기 유입구(1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되는 오염액이 바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과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홀(14)은 여름에 갑자기 쏟아지는 폭우로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처리용량보다 많은 량의 오염액이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어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가 오염물을 분리할 수 없을 경우 기존에 이미 분리해 두었던 오염물이 쓸려나가거나 유출입관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의 측벽 상부에 형성시킨 것이다. 즉 이러한 통과홀(14)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액은 상기 배출관(3)을 통하여야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높은 유속의 다량의 오염액이 유입구를 통하여 입력되면,상승하는 처리액의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고도가 높아져 상기 가이드관(4)을 넘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바닥에 쌓여 있던 오염물이 동반되어 상승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오염액의 량이 상기 챔버(1)의 수용량 이상인 경우는 상기 통화홀(14)을 통하여 바로 빠져나가게 하면 바닥에 수집되어 있던 오염물이 역류하여 배출관 혹은 유입관으로 유출될 염려가 없다. 일반적으로 폭우 시 빗물에 섞여 유입되는 오염물의 량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데, 그 형태는 강우 초기 다량의 오염물이 빗물에 쓸려 내려오다, 점점 그 량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도로나 건설현장의 표면에 쌓여 있던 오염물은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대부분 먼저 배수구로 빠져나가고, 지표면에 쌓여 있던 이러한 오염물이 제거된 후에 내리는 빗물에는 사실상 포함될 오염물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처리량 이상의 배수를 바로 상기 통과홀(14)을 통하여 배출시키더라도 하천이나 하수처리시설에 오염물이 쓸려 내려갈 염려는 없게 되는 것이다.5 and 6, in the application example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nt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that is,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11 may immediately escape. The passage hole 14 is formed. The through-hole 14 is a heavy rain that suddenly pours in summer, the amount of contaminant more than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through the inlet 11 so that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contaminants. If it is not possible to form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1)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nts that have been previously separated to sweep out or block the outflow pipe. That is, when there is no such passage hole 14, the contaminated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discharge pipe 3,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contaminated liquid at a high flow rate through the inlet If input, the ascending speed of the processing liquid rises and the altitude becomes high, so that the guide pipe 4 can be exceeded, and above all,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floor may be accompanied.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the contaminant introduced is more than the capacity of the chamber 1, if the contaminants collected immedia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4 are not contaminated, the contaminants collected at the bottom flow back to the discharge pipe or the inlet pipe. In general, the amount of pollutants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during heavy rain changes over time, and the form of the pollutant is swept away from the rainwater in the early stages of rainfall, and the amount is gradually reduced. The reason is that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roads or construction sites are discharged to drains most of the tim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rain starts to fall, and the rainwater falling after these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surface is virtually free of contaminants. . Considering this point, even if the wast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4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passage hole 14, there is no fear that contaminants will be washed down in the river or sewage treatment facility.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응용 예에서는 상기 통과홀(14)을 측벽의 상부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분리된 오염물의 유실을 막는 것이 반드시 이러한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와 유량계 그리고 벨브를 이용하여, 상기 유량계로 확인된 오염액의 량이 본 고안의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의 처리량 이상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밸브를 단속하여 상기 유입구로 오염액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염액을 선회시켜 배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오염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이러한 방법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는 본 고안으로부터 자명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1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method to prevent the loss of separated contaminants. That is, by using a hydrocyclone separator, a flow meter and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the contaminant identified by the flow meter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oughput of the hydrocyclon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of the separated contaminants by using a method of blocking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inlet and turning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Such method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appl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form within the same category as the above embodiment, or by simply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devise an even area.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첫째, 유체에 선회류를 유도하여 비중이 큰 오염물을 분리하여 침전시키고, 가이드관을 설치하여 부유물을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시설로 비중에 따른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으며,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duce a swirl flow in the fluid to separate and settle the pollutant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and install a guide tube to separate the suspended solids. Efficient separation and removal
둘째, 물리적 현상만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분리하므로, 설치비용 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아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으며,Second, since it separates contaminants using only physical phenomena, it can be operated inexpensively because it does not incur any additional costs other than installation costs.
셋째, 폭우로 인하여 분리된 오염물이 유실되거나 오염물이 역류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separated pollutants are lost due to heavy rain or there is no fear that the pollutants will flow back.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3484U KR200366226Y1 (en) | 2004-08-17 | 2004-08-17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3484U KR200366226Y1 (en) | 2004-08-17 | 2004-08-17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4384 Division | 2004-08-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226Y1 true KR200366226Y1 (en) | 2004-11-04 |
Family
ID=4944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3484U Expired - Lifetime KR200366226Y1 (en) | 2004-08-17 | 2004-08-17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226Y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464B1 (en) | 2005-05-31 | 2006-10-16 | 녹스 코리아(주) | Early Rainfall Purification System |
KR100742388B1 (en) | 2005-12-26 | 2007-07-24 | (주)상원이티씨 | Centrifug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
KR100900054B1 (en) | 2008-12-04 | 2009-05-28 | (주)한솔환경건설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KR100966633B1 (en) * | 2009-12-17 | 2010-06-29 | (주)선일 엔바이로 |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 |
KR101070989B1 (en) | 2009-10-06 | 2011-10-06 | (주)엔비너지 | Storm-water treatment device with quadruple water path |
KR101275854B1 (en) | 2011-03-17 | 2013-06-17 |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 Drain system for rainwater, polluted water |
KR101385058B1 (en) | 2012-12-04 | 2014-04-14 | (주)신우에프에이 | Traffic signal controller having dust separation discharge function |
KR101465624B1 (en) * | 2013-04-16 | 2014-12-10 | 블루그린링크(주) | Cyclone purification device |
KR102249797B1 (en) * | 2020-12-29 | 2021-05-10 | 주식회사 신정기공 | Manhole pump room |
CN118007686A (en) * | 2024-04-09 | 2024-05-10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Pressure-bearing water precipitation well under dynamic water cond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04
- 2004-08-17 KR KR20-2004-0023484U patent/KR200366226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4464B1 (en) | 2005-05-31 | 2006-10-16 | 녹스 코리아(주) | Early Rainfall Purification System |
KR100742388B1 (en) | 2005-12-26 | 2007-07-24 | (주)상원이티씨 | Centrifug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
KR100900054B1 (en) | 2008-12-04 | 2009-05-28 | (주)한솔환경건설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KR101070989B1 (en) | 2009-10-06 | 2011-10-06 | (주)엔비너지 | Storm-water treatment device with quadruple water path |
KR100966633B1 (en) * | 2009-12-17 | 2010-06-29 | (주)선일 엔바이로 |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 |
KR101275854B1 (en) | 2011-03-17 | 2013-06-17 |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 Drain system for rainwater, polluted water |
KR101385058B1 (en) | 2012-12-04 | 2014-04-14 | (주)신우에프에이 | Traffic signal controller having dust separation discharge function |
KR101465624B1 (en) * | 2013-04-16 | 2014-12-10 | 블루그린링크(주) | Cyclone purification device |
KR102249797B1 (en) * | 2020-12-29 | 2021-05-10 | 주식회사 신정기공 | Manhole pump room |
CN118007686A (en) * | 2024-04-09 | 2024-05-10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Pressure-bearing water precipitation well under dynamic water cond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8007686B (en) * | 2024-04-09 | 2024-06-04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Pressure-bearing water precipitation well under dynamic water cond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25304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rainwater drainage | |
US7297266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US7722763B2 (en) |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for a fluid flow stream | |
KR100862740B1 (en) | Non-point source treatment equipment by two-stage vortex and filtration | |
CN104817209A (en) | Buried efficient treater of initial rainwater | |
KR200366226Y1 (en)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
KR100913315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 |
KR100906453B1 (en) | Combined rainfall runoff treatment device for automatic cleaning of media | |
CN204607764U (en) | Buried efficient early-stage rainwater treatment unit | |
KR100787625B1 (en) | Pollu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101067699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Using Vortex and Filtration | |
KR100742388B1 (en) | Centrifug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 |
US9963358B2 (en) | Oil stop valve assembly | |
KR101053995B1 (en) | Oil / water separator | |
KR100786511B1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arbide | |
KR100980412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SK154794A3 (en) | Separator of sludge and oil | |
CN216549868U (en) | Initial rainwater purifier | |
KR101777586B1 (en) | Tubular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for the bridge | |
KR101106390B1 (en) | Vortex Trap Device | |
KR100856883B1 (en) | Detachable drainage system for easy removal of sediment | |
KR100479717B1 (en)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
AU200531655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20100114734A (en) | Road trap apparatus | |
KR200366227Y1 (en) | Hydrocyclone type sepa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