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4937B1 -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937B1
KR100674937B1 KR1020050002462A KR20050002462A KR100674937B1 KR 100674937 B1 KR100674937 B1 KR 100674937B1 KR 1020050002462 A KR1020050002462 A KR 1020050002462A KR 20050002462 A KR20050002462 A KR 20050002462A KR 100674937 B1 KR100674937 B1 KR 10067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block
decoding
macroblock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199A (ko
Inventor
정창영
정득수
이용미
강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9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9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때 복잡한 컨텍스트 모델링 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비트를 동시에 복호화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는, 메모리 장치,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 컨텍스트 선택장치, 디코딩 엔진 블록 및 역 이산화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는,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및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를 활용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복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H.264 표준에 따른 CABAC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ABAC 장치에 대응되는 CABAD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컨텍스트 초기화 및 업데이트을 위한 메모리 및 레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컨텍스트 레지스터 그룹을 나타낸다.
도 6은 주변의 매크로 블록과 현재 매크로 블록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변 매크로 블록 당 저장할 정보 및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의 맵을 나타낸다.
도 8은 전체 영상 사이즈가 1920×1088인 H.264 메인 파일인 경우의 메모리 맵의 예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의 압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양이 매우 많으므로, 이를 압축한 후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정한 표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이러한 표준으로는 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 또는 ITU-T H.264가 있다. H.264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통신채널의 급속한 보급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종래의 회선교환방식에서 패킷교환서비스로 전환되는 다양한 통신 인프라(Infra)를 위한 것이다.
H.264는 종래의 표준인 MPEG-4 Part 2 비쥬얼 코덱(Visual Codec)에 비하여 부호화 효율을 50% 이상 증가시켰으며, 급변하는 무선 환경 및 인터넷 환경 등을 고려하여 오류가 적고 네트워크에 적응하기 쉬운 방식을 고려한 비디오 데이터 압축 표준이다.
종래에 개발된 대부분의 비디오 압축 표준은, 허프만 무 손실 코딩(Huffman Lossless Coding) 기법을 사용하였고, 최근에야 압축 효율이 보다 강화된 산술 코딩(Arithmetic Coding) 기법이 도입되었는데, H.264는 이러한 추세를 적극 반영하여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부호화(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이하 CABAC)라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상기 CABAC는 심볼(symbol)의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이다.
일반적인 산술 부호화는 알파벳에 기반을 둔 소스(Alphabet based source)를 이용하지만, CABAC는 컨텍스트에 기반을 둔 소스(Context based source)를 이용한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 상기 CABAC는, 컨텍스트(Context)를 정의하고 각각의 컨텍스트는 주변 블록 또는 이전에 부호화 된 값을 바탕으로 모델링 된다.
CABAC는 bin이라는 '0'과 '1'로 구성된 바이너리 스트링(Binary String)을 부호화한다. 상기 바이너리 스트링은 처리되는 과정에 정수로 변환되고, 따라서 정수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바이너리 변환과정은 신텍스에 따라서 다르게 된다.
CABAC는, IBM사에서 고안한 QM-Coder를 사용하여 바이너리 스트링을 부호화하는데, 상기 QM-Coder에는 곱셈 연산이 없고 단지 데이터의 이동(shift), 덧셈 및 뺄셈 연산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구현이 용이하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이너리 부호화에 적합한 자체 모델링 기법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H.264 표준에 따른 CABAC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CABAC 장치(100)는, 이진화 블록(110), 신텍스 블록(120), 컨텍스트 블록(130), QM-Coder(140), 모델블록(150) 및 모델 업데이트 블록(160)을 구비한다.
이진화 블록(110, Binarization block)은 수신한 부호화의 대상 값(Value)을 신텍스(120)에 대응하여 이진화를 수행한다. 이진화 된 바이너리 스트링은 QM- Coder(140)에 전달되어 복수 개의 비트 열(Bit Series)로 구성된 비트스트림(Bit stream)으로 부호화된다.
QM-Coder(140)는, 컨텍스트 블록(130)으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를 이용한 자체 모델링 과정을 통해 각 바이너리 심볼의 확률 및 상태를 결정한다. 컨텍스트 블록(130)은, 신텍스 블록(120) 및 모델 블록(150)으로부터 신텍스에 대한 정보 및 설정된 모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부호화 된 블록을 바탕으로 신텍스 별, 바이너리 위치 별로 컨텍스트를 선택한다.
하나의 슬라이스(Slice)가 상술한 블록들의 연산 수행을 통하여 비트 스트림으로 만들어지면, 상기 비트 스트림을 이용해서 컨텍스트 모델을 모델 업데이트 블록(160)에서 업데이트 하여 모델 블록(150)에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ABAC 장치에 대응되는 CABAD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CABAD(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장치(200)는, CABAC의 역 과정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CABAD 장치(200)는, CABAC 장치(100)로부터 비트 스트림 및 모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바탕으로 신텍스 블록(230)의 지시에 따라 컨텍스트를 컨텍스트 블록(220)에서 선택하고 각각의 컨텍스트 별로 QM-Coder(210)를 거쳐 복호화 된다. 이렇게 복호화 된 스트링은 신텍스 블록(230)의 지시에 따라 역 이진화 블록(240)에서 역 이진화 과정을 거쳐 실제의 값으로 매핑(Mapping)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시, 컨텍스트 모델링 부에 의해 수행되는 컨텍스트 모델링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비트 각각을 하나씩 복호화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때 복잡한 컨텍스트 모델링 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비트를 동시에 복호화할 수 있는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ABAD는, 메모리 장치,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 컨텍스트 선택장치, 디코딩 엔진 블록 및 역 이진화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현재 처리되고 있는 매크로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매크로 블록들의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에 대한 정보 및 컨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읽어 저장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는, 상기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로부터 수 신한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이용하여 컨텍스트 선택을 위한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를 생성한다.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는, 자체 내에 저장된 컨텍스트를 초기화하거나 현재 사용되어야 하는 컨텍스트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저장하고 사용되고 있던 컨텍스트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컨텍스트 선택장치는, 상기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에 응답하여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터 장치에 저장된 신텍스 엘리먼트의 빈(bin)별 컨텍스트들 중에서 일정한 컨텍스트를 선택한다.
상기 디코딩 엔진 블록은, 상기 컨텍스트 선택장치에서 선택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워드(word) 단위로 디코딩한다.
상기 역 이진화 블록은, 이미 저장된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디코딩 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심볼들을 출력한다.
상기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장치는, 콘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상기 컨텍스트 선택장치 및 상기 역 이진화 블록을 제어한다. 또한, 초기화 조건이 인가되면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 및 상기 디코딩 엔진을 초기화시키며,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장치(300)는, 메모리 장치(310),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320),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330),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340), 컨텍스트 선택장치(350), 디코딩 엔진 블록(360) 및 역 이산화 블록(370)을 구비한다.
메모리 장치(310)는, 현재 처리되고 있는 매크로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매크로 블록들의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에 대한 정보 및 컨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320)는, 메모리 장치(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읽어 저장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330)는,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320)로부터 수신한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이용하여 컨텍스트 선택을 위한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를 생성한다.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340)는, 자체 내에 저장된 컨텍스트를 초기화하거나 현재 사용되어야 하는 컨텍스트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저장하고 사용되고 있던 컨텍스트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컨텍스트 선택장치(350)는,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에 응답하여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터 장치에 저장된 신텍스 엘리먼트의 빈(bin)별 컨텍스트들 중에서 일정한 컨텍스트를 선택한다.
디코딩 엔진 블록(360)은, 컨텍스트 선택장치(350)에서 선택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바이트(byte) 단위로 디코딩한다.
역 이진화 블록(370)은, 이미 저장된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디코딩 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심볼들을 출력한다.
상기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장치(300)는, 콘트롤러(3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콘트롤러(380)는,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330), 컨텍스트 선택장치(350) 및 역 이진화 블록(370)을 제어한다. 또한, 초기화 조건이 인가되면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340) 및 디코딩 엔진(360)을 초기화시키며,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ABAD(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장치의 복호화 과정을 보다 간단하게 요약한다.
먼저 콘트롤러(380)에 초기화 조건이 인가되면 컨텍스트와 디코딩 엔진을 초 기화하고, 디코딩 조건이 인가되면 하나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디코딩을 수행하기에 앞서,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320)는, 주변 매크로 블록의 정보 특히 주변 매크로 블록의 신텍스 엘리먼트를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읽어온다. 동시에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340)는 해당 컨텍스트를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읽어온다. 그런 다음, 계산할 수 있는 컨텍스트 인텍스 인크리먼트(Context Index Increment)를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330)에서 구하는데, 이 때 디코딩 하여야 할 신텍스 엘리먼트가 생성된다. 컨텍스트 선택장치(350)는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의 빈 번호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선택한다.
해당 신텍스 엘리먼트의 빈 번호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바이트 단위로 디코딩한다. 그런 다음, 복호화된 빈 값을 계속 확인하면서 신텍스 엘리먼트와 계수(Coefficient)를 생성한다. 이 때, 변경된 컨텍스트는 다시 업데이트 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CABAD)의 중요한 부분들의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1.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340)
초기화 조건이 인가되면, 7비트 레지스터 8개를 하나의 세트(set)로 하는 2개의 세트를 이용하여 계산과 연산을 번갈아 하면서 컨텍스트를 초기화한다.
컨텍스트 업데이트 조건이 인가되면, 현재 사용해야 하는 컨텍스트를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읽어 저장하고, 이전에 사용하던 컨텍스트는 메모리 장치(310)에 저장시킨다.
도 4는 컨텍스트 초기화 및 업데이트을 위한 메모리 및 레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왼 쪽에는 7개의 레지스터 세트가 있고 오른 쪽에는 56×70의 메모리 영역을 나타낸다. 메모리 영역의 각각의 블록을 컨텍스트라하고, 각 컨텍스트를 구성하는 비트들을 일정하게 묶어서 신텍스 엘리먼트라 한다.
도 5는 컨텍스트 레지스터 그룹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텍스트는 그룹 별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다 읽은 후에는 이전에 업데이트한 컨텍스트를 다시 기록한다. 컨텍스트의 번호(Number of Context)는 컨텍스트의 개수를 의미하며, 채워지는 레지스터의 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레지스터 파일(Register File)은 레지스터 세트를 의미한다.
2.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320)
CABAD는 디코딩 시 주변 매크로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주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주변 블록의 주소를 수신하여 실제 메모리 주소를 계산한다.
도 6은 주변의 매크로 블록과 현재 매크로 블록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Current)을 중심으로 주변 블록(A 및 B)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주변 매크로 블록 당 저장할 정보 및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의 맵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장치의 주변 매크로 블록 당 저장하는 메모리의 맵은, 32×7이다. 주변 매크로 블록에 대한 정보는, MBAFF(Macro Block Adaptive Field/Frame) 모드 인 경우에는 전체 영상 사이즈의 최대 가로 2줄의 매크로 블록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8은 전체 영상 사이즈가 1920×1088인 H.264 메인 파일인 경우의 메모리 맵의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MBAFF의 경우 아래/위로 쌍을 형성하도록 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BAFF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쌍으로 표시할 필요는 없다. 실제 메모리 주소의 증가는 MBAFF 모드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증가한다.
항상 현재 매크로 블록의 물리적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가, 주변 매크로 블록의 물리적 주소를 계산하여야 한다. 현재 매크로 블록의 물리적 주소는 매크로 블록의 사이즈 오프셋(Size Offset) 만큼 증가한다. 주변 매크로 블록의 번호가 주어지면, 현재 매크로 블록의 번호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오프셋만큼 곱하면 주변 매크로 블록의 실제 주소를 구할 수 있다. 주소를 구했으면 32비트씩 읽어들여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하나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이를 저장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디코딩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장치는,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때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복수 개의 비트를 동시에 복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현재 처리되고 있는 매크로 블록의 주변에 위치한 매크로 블록들의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에 대한 정보 및 컨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장치;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읽어 저장하는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
    상기 주변 매크로블록의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이용하여 컨텍스트 선택을 위한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를 생성하는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상기 컨텍스트를 초기화하거나 현재 사용되어야 하는 컨텍스트를 상기 매크로 블록 주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읽어 저장하고, 사용되고 있던 컨텍스트는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시키는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
    상기 컨텍스트 인덱스 인크리먼트에 응답하여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에 저장된 컨텍스트들 중에서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의 빈(bin)번호에 대응하는 컨텍스트를 선택하는 컨텍스트 선택장치;
    상기 컨텍스트 선택장치에서 선택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엔진 블록; 및
    이미 저장된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디코딩 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심볼들을 출력하는 역 이산화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매크로블록 정보장치는,
    상기 신텍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는,
    선택된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엔진 블록은,
    바이트 단위로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ABAD 장치는,
    상기 컨텍스트 인덱스 생성장치, 컨텍스트 선택장치 및 역 이산화 블록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초기화 조건이 인가되면, 상기 컨텍스트 업데이트 장치 및 상기 디코딩 엔진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가변 장(Variable Field) 부호화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BAD 장치.
KR1020050002462A 2005-01-11 2005-01-11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7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62A KR100674937B1 (ko) 2005-01-11 2005-01-11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62A KR100674937B1 (ko) 2005-01-11 2005-01-11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99A KR20060082199A (ko) 2006-07-18
KR100674937B1 true KR100674937B1 (ko) 2007-01-26

Family

ID=3717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462A Expired - Lifetime KR100674937B1 (ko) 2005-01-11 2005-01-11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99B1 (ko) 2005-07-08 2012-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코딩정보를 압축/해제하기 위해 모델링하는 방법
KR100878827B1 (ko) * 2005-07-08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코딩정보를 압축/해제하기 위해 모델링하는방법
US7894523B2 (en) 2005-09-05 2011-0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deling coding information of a video signal for compressing/decompressing coding information
KR100644713B1 (ko) * 2005-10-31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코딩 복호기에서 원소구문을 복호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복호화 장치
CN107277539B (zh) 2011-05-27 2020-11-06 寰发股份有限公司 减少用于上下文自适应熵解码中的行缓存的方法及装置
KR102303752B1 (ko) * 2014-03-31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호화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명령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99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451B2 (en) Golomb-Rice/EG coding technique for CABAC in HEVC
JP4295356B1 (ja) 画像および/またはビデオ符号器と復号器における変換係数を符号化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および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による読み出し可能な記憶媒体
US7385535B2 (en) Decod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JP4886755B2 (ja) コンテキスト適応バイナリ算術符号化と復号化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352452B2 (ja) ビデオ符号化における構文の2値化とコンテキスト適応型符号化の方法と装置
TWI514779B (zh) 熵編碼技術
CN104054342B (zh) 针对于hevc中的cabac的高吞吐量编码的方法和装置
KR100856398B1 (ko) 복수 매핑 테이블을 이용한 가변장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CN109923861B (zh) 用于上下文自适应二进制算术编码的方法和设备
US11425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ge derivation in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ES2878325T3 (es) Codificación aritmética binaria con máquinas de estados finitos de estimación de probabilidad parametrizadas
US7365659B1 (en) Method of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and co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3918273A (zh) 确定用于变换系数的二进制码字的方法
JP2018529273A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における係数レベルのコーディング
KR20040077921A (ko) 가변 길이 칼라 코드들로 팔레트화된 칼라 화상들의 압축
CN109417622B (zh) 使用简单本地预测器的改进的有效性标志译码的方法和装置
KR100717055B1 (ko) Cabac 복호기에서 복수의 이진 값들을 파이프라인방식에 의하여 복호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복호화 장치
KR100674937B1 (ko) 컨텍스트 적응형 이진 산술 복호화 장치
US20140269896A1 (en) Multi-Frame Compression
JP2008199100A (ja) 可変長符号復号装置
CN113115049A (zh) 对图像内容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及传输图像内容的系统
CN101188753B (zh) 一种视频熵解码查找表的构造方法及视频熵解码方法
KR101760070B1 (ko)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Choi et al. High throughput entropy coding in the HEVC standard
KR950035407A (ko) 영상데이타의 적응가변장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