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180B1 -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4180B1 KR100674180B1 KR1020060049448A KR20060049448A KR100674180B1 KR 100674180 B1 KR100674180 B1 KR 100674180B1 KR 1020060049448 A KR1020060049448 A KR 1020060049448A KR 20060049448 A KR20060049448 A KR 20060049448A KR 100674180 B1 KR100674180 B1 KR 100674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wind pressure
- evaporative heat
- switch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장치용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설치되어서 열교환기에 착상이 되어 팬 송풍량이 정상치보다 일정량 감소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상 운전시점을 검출하는 차압작동스위치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an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따라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 상태가 증가하여 팬의 송풍압이 증가하고 그 송풍량이 감소할 시, 차압작동스위치가 작동되어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최적의 제상 시점을 식별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뿐 아니라 팬의 과부하를 방지시켜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an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ost state of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the blow amount decreases,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to perform defrost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oncept of the exchanger, there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preventing overload of the fan to prevent component damag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히트펌프난방장치의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ystem of a typical heat pump heating device
도 2는 종래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orced air evaporation heat exchanger for a conventional heat pump heating device
도 3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본 발명 풍압제상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nd pressure defrost sensor is installed in a forced air evaporation heat exchanger
도 4 내지 도 6은 풍압제상센서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단면도, 작동상태 단면도4 to 6 is a perspective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 operating stat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ind pressure defrost sensor
도 7 내지 도 13은 풍압제상센서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도들7 to 1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wind pressure defrost sens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31,51,111 :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 12 : 팬11,31,51,111: forced 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12: fan
20,40,60,70,90,100,120 : 차압작동스위치 21,41,61,71,91,101:스위치바디20,40,60,70,90,100,120:
22,73,96,102 : 리미트스위치 23,72,92,103 : 풍압차작동판22,73,96,102:
80 : 흡입량조절캡 81 : 커버80: suction volume control cap 81: cover
85 : 회전판 94 : 장력조절볼트85: rotating plate 94: tension adjusting bolt
95 : 스프링 104 : 가열히터95: spring 104: heating heater
112 : U형 트랩 113 : 마개112: U trap 113: stopper
본 발명은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제상 시점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제어하는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ump heating apparatus using a refrigeration refrigerating device and a freez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a wind pressure defrost point of a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that accurately detects a defrost time of a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controls the defrosting operation.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인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heat pump)난방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와 이 압축기(1)로부터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액상의 냉매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열교환기(2) 및 응축팬(3)과, 이 응축열교환기(2)로부터 응축된 액상의 냉매를 팽창시켜 액상 및 기상의 2상 상태 내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4)와, 이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되어진 2상의 냉매를 기화 증발시키는 증발열교환기(6) 및 증발팬(7)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general refrigeration apparatus and a heat pump heating apparatus using a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e a compressor (1)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nd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1). A condensation heat exchanger (2) and a condensation fan (3) for condensing in a refrigerant state, and an expansion valve (4) for expanding a liquid refrigerant condensed from the condensation heat exchanger (2) and changing it into a refrigerant in a two-phase state of a liquid phase and a gas phase. And an
이러한 종래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압축기(1)로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는 응축열교환 기(2)로 유입되어 액상 및 기상의 2상 상태로 변하고, 계속적인 열교환에 의해서 응축열교환기(2)의 출구 측에서는 냉매가 액상으로 변한다. 이때 냉동냉장장치에서는 위 응축열교환기가 실외기가 되어 더워진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터펌프난방장치에서는 위 응축열교환기는 실내기가 되어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을 실시하여 실내를 난방하게된다. 응축팬(3)의 회전에 의해 응축열교환기로 유입된 공기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고,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토출되어진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2)로부터 응축된 액상의 냉매는 팽창밸브(4)를 통과하여 압력과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여 액체 및 기체의 2상의 냉매로 변화되어 증발열교환기(6)로 유입된다. 이때 냉동냉장장치에서는 위 증발열교환기가 실내기가 되어 실내온도를 하강시키고,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터펌프난방장치에서는 실외기가 되어 차가워진 열을 방출시켜 열교환을 실시한다. 증발열교환기(6)로 유입된 2상 상태의 냉매는 열교환을 실시하면서 기체 상태의 냉매 가스로 증발되고, 다시 압축기(1)로 유입됨으로써 사이클을 반복한다.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the heat pump heating apparatus using the refrigeration apparatus,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1), the compresse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heat exchanger (2) to the liquid and
이때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에서의 열교환 작용은 흡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것이므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의 내부와 외부에는 온도차가 발생한다, 이렇게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일정 정도 이상 발생되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의 외벽에는 착상(着霜)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서리층은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전달을 방해하는 열저항체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가로막아 공기의 시스템 저항을 증가시키므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 내로 유입되는 풍 량을 감소시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의 공기측 열전달 계수를 감소시키고,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6)에서의 열전달량의 감소를 유발한다.At this time, since the heat exchange action in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absorbs heat from the sucked air,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side and outside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degree or more occurs, the implantation (着 霜) occurs on the outer wall of the forced-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This frost layer acts as a heat resistance that prevents heat transfer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and increases the system resistance of the air by blocking the flow path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orced 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By reducing the amount of air flowed into the air to reduce the air-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it cause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in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6).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매를 정상 운전시의 흐름과 반대로 흐르게 하는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도 하고, 착상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 주변에 설치된 별도의 전기히터를 동작시켜서 제상시키기도 하였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defros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a refrigera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a normal operation, or a defros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operating a separate electric heater installed around a forced forced-evaporation heat exchanger.
이러한 종래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제상방법은, 일정 시간마다 제상 운전이 동작되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마다 제상 히터가 작동되도록 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였다.In the conventional defrosting method of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the defrosting operation is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or the defrost heater is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to remove frost formed on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그런데 이러한 종래 제상 방법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즉,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제상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착상 상태가 점차 증가하여 팬의 송풍압이 증가되고 송풍 효율이 저하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 제상하는 종래 제상장치로는 최적의 제상 시점을 찾지 못하였으며, 불필요하게 제상 운전이 빈번하게 작동되거나 최적의 제상 시점을 지난 후 제상 운전되므로 열손실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defrosting method was not effective. That is, an important point in the defrost of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is the time when the state of landing in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gradually increases, increasing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an and lowering the blowing efficiency. Therefore, the conventional defrosting device which defrosts every predetermined time did not find the optimum defrosting point, and the defrosting operation was frequently performed unnecessarily or defrosting after the optimal defrosting point, thus increasing the heat loss relatively. .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상태에서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wind pressure defrosting point detection apparatus of a forced cooling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apparatus using a refrigeration apparatus and a refrigeration apparatus to perform a defrosting operation in an optimal state. ha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 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는, 팬이 설치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팬에 부하가 걸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동작시키도록하는 차압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a forced air evaporation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freezer refrigerating device and a refrigerating device, in a system having a forced air evaporation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a f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to detect the load on the fan of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of the system and to operate the defrosting operation.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차압작동스위치는, 상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설치되고 상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바디와, 상기 스위치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제상 운전 시점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바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풍압차작동판으로 이루어진다.Another feature of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the freezing device,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in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the forced air type The limit switch is operated by a switch body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 limit switch installed inside the switch body and controlling a defrosting operation time point, and air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and sucked into the switch body. The wind pressure differential working plate is made.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위치바디에, 상기 풍압차작동판의 동작 시점을 조절하도록,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Another feature of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the freezing device, the air pressure to adjust the operation time of the wind pressure difference operation plate on the switch body Differential operation plate adjust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은, 상기 스위치 바디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풍압차작동판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량 조절캡으로 이루어진다.Another feature of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the freezing device, the wind pressure difference operation plate adjusting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witch body, the wind pressure It consists of a suction amount adjusting cap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operation plate side.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풍압차작동판 조절 수단은, 상기 풍압차작동판을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반대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a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a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ing device may include: A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and is made of a tension adjusting bolt connected to the spring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차압작동스위치에, 저온에 의한 상기 차압작동스위치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도록 가열히터가 더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a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a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ing devic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due to low temperature. The heating heater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차압작동스위치가 상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저면에 설치될시, 상기 차압작동스위치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수분이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강제송풍식열교환기의 저면과 차압작동스위치 사이에 U형 트랩이 설치된다.Another feature of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the freezing devic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 U-shaped trap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orced blow type heat exchange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so that foreign matters or moisture flows into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이 U형 트랩은, 그 내부에 모인 이물질이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그 중앙 하단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U형 트랩의 관통 부분에 마개가 개폐된다.The U-trap is penetrated by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o as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nd water collected therein to the outside, and a plug is opened and closed at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U-trap.
따라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 상태가 증가하여 팬의 송풍압이 증가하고 그 송풍량이 감소할 시, 차압작동스위치가 작동되어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최적의 제상 시점을 식별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뿐 아니라 팬의 과부하를 방지시켜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an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ost state of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the blow amount decreases,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operated to perform defrost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oncept of the exchanger, there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orced-air evaporative heat exchanger, as well as preventing overload of the fan to prevent component damage.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본 발명에 따른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팬(12)이 구비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차압작동스위치(20)로 이루어진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가 설치된다.Figure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orced air type
차압작동스위치(20)는,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설치되어서 팬(12)의 송풍압이 증가할 시 이를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압작동스위치(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바디(21)와, 리미트스위치(22), 풍압차작동판(23)으로 이루어진다.The differential
스위치바디(21)는,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고,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설치되어서 외부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치바디(21)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결합은, 스위치바디(21)의 플랜지(21a)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케이스에 볼트 및 너트나, 리벳 등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후술할 다양한 방법들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이러한 스위치바디(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사각형이나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리미트스위치(22)는, 스위치바디(21) 내부에 설치되며, 스위치바디(2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시 작동된다. 즉,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에 의해 팬(12)에 부하가 걸리고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의 공기 흐름이 저하될 시 외부의 공기가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스위치바디(21)를 통해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리미트스위치(22)는 후술할 풍압차작동판(23)에 의해 동작된다.The
풍압차작동판(23)은, 스위치바디(21) 내에 구비되고 리미트스위치(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스위치바디(21) 내부로 유입될시 그 공기 흐름에 의해 리미트스위치(22) 측으로 밀리면서 리미트스위치(22)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wind pressure
이러한 풍압차작동판(23)은, 그 외주면의 형태가 스위치바디(21)의 내주면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주면의 면적이 스위치바디(21)의 내주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wind pressure
여기서, 풍압차작동판(23)의 외주면과 스위치바디(21)의 내주면의 틈새가 작으면 작을수록 스위치바디(21) 내에 약간의 공기의 흐름으로도 풍압차작동판(23)이 작동된다. 즉, 이들의 틈새가 작으면 이들 사이의 공기통로가 그만큼 작으므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가 비교적 작아도 풍압차작동판(23)이 작동된다.Here, the smaller the clear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 pressure
반대로 풍압차작동판(23)의 외주면과 스위치바디(21)의 내주면의 틈새가 크면 클수록 스위치바디(21) 내에 다량의 공기의 흐름이 있어야 풍압차작동판(23)이 작동된다. 즉, 이들의 틈새가 크면 팬(12)에 비교적 큰 부하가 걸려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가 커서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어야 풍압차작동판(23)이 동작된다.On the contrary, the larger the clear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 pressur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는, 도 3과 같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착상이 발생되면 작동된다. 즉,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에 의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면, 팬(12)에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의 풍압차가 발생된다.Wind pressure defrost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evaporation heat exchanger for the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ion refrigeration unit and the refrigeration unit of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It is activated when an frost is generated in the blown evaporative heat exchanger (11). That is, whe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forced blow type
이러한 풍압차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차압작동스위치(2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로 흡입된다.The wind pressure difference serves to suck the outside air into the forced air type
스위치바디(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풍압차작동판(23)에 부딪히면서 이를 밀게 되고, 풍압차작동판(23)은 도 6과 같이 회동되면서 리미트스위치(22)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air flowing into the
이와 같이 차압작동스위치(20)가 작동되면, 종래와 같이 제상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상 작업은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의 냉매를 난방 운전시의 흐름과 반대로 흐르게 하거나,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 주변에 설치된 별도의 전기히터를 동작시켜서 제상시킬 수도 있다.When the differential
이러한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 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는,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 상태가 증가하면 팬(12)에 부하가 걸리면서 그 송풍량이 감소되며, 외부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 사이에 풍압차가 발생된다. 이때 그 풍압차에 의해 차압작동스위치(20)가 작동되어 제상 운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는 불필요하게 일정 시간마다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에 착상이 이루어져서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때 제상 운전을 하게 한다. 따라서 최적의 제상 시점을 식별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ion refrigerator and a freezer is loaded on the
또한 본 발명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에 의해 팬(12)에 과부하가 걸리면 차압작동스위치(20)가 곧바로 작동되어 팬(12)의 과부하를 해소하므로 팬(12)이 손상되는 문제가 해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7은 본 발명 냉동냉장장치 및 냉동장치를 이용한 히트펌프난방장치용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단면도로써, 이는, 차압작동스위치(40)의 스위치바디(41)에 수나사부(41a)가 형성되고, 강제송풍식열교환기(31)에는 스위치바디(41)의 수나사부(41a)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압작동스위치(40)의 수나사부(41a)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31)의 암나사부(31a)에 체결시켜서 이들을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 pressure defrosting time detection device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a heat pump heating apparatus using the freezing refrigerator and the freezing apparatus, which is a switch of a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40 A male screw portion 41a is formed in the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6에 비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31)와 차압작동스위치(40) 사이의 결합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from the structure of coupling between the forced air typ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단면도로써, 차압작동스위치(60)의 스위치바디(61)에 암나사부(61a)가 형성되고,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51)에 수나사부(53)가 형성된 별도의 체결구(52)를 볼트(54)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압작동스위치(60)의 암나사부(61a)를 체결구(52)의 수나사부(53)에 대향시킨 후 이들을 체결시켜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52) 없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에 수나사부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이러한 본 발명도 도 3 내지 도 6에 비해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51)와 차압작동스위치(60) 사이의 결합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only from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orced air typ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및 그 부분 분리 사시도로써, 이는, 차압작동스위치(70)의 작동 시점을 조절하도록 스위치바디(71)에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9 and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 separation perspective view thereof, which means, the wind pressure differential operation plate adjusting means on the
이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은, 스위치바디(71) 일측에 결합되어 풍압차작동판(72)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량조절캡(80)으로 이루어지며, 흡입량조절캡(80)은, 커버(81)와 회전판(85)으로 이루어진다.The wind pressure differential operation plate adjusting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커버(81)는, 스위치바디(71)의 일단에 결합되고 방사상으로 세개의 공기구멍(82)들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81)의 중앙에는 결합구멍(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가이드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 회전판(85)은 그 중앙에 커버(81)의 결합구멍(8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87)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커버(81)의 가이드구멍(84)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안내되도록 손잡이(8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85)에는 커버(81)의 공기구멍(82)들에 대향되도록 세개의 공기구멍(86)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rotating
따라서 회전판(85)의 손잡이(88)를 잡고 가이드구멍(84)을 따라 회전시켜서 커버(81)의 공기구멍(82)들과 회전판(85)의 공기구멍(86)들을 일치시키면 공기통로의 크기가 극대화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81)의 공기구멍(82)들과 회전판(85)의 공기구멍(86)들을 조금씩 서로 엇갈리게 할수록 공기통로가 점차 감소된다.Therefore, by grasping the
이러한 흡입량조절캡(80)을 이용하여서 도 3의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제상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 상태가 비교적 작아서 팬(12)에 걸리는 부하가 그다지 크지 않은 상태인 반면에 흡입량조절캡(80)을 최대로 열어 놓은 경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가 비교적 크지 않다. 따라서 공기구멍들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매우 느리게 되고 공기 흡입량도 적어서 풍압차작동판(72)을 제대로 밀지 못하며,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73)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By using the su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 상태가 점차 증가 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 내부와 외부의 풍압차가 점차 증가할 경우, 공기구멍(82)(86)들을 통과하는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하게 되며, 결국 풍압차작동판(72)이 밀릴 때의 힘보다 풍압차작동판(72)을 미는 공기의 힘이 더 커지게 되어 리미트스위치(73)가 작동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rost state of the forced-air
이와 같이 흡입량조절캡(80)의 공기구멍(82)(86)들을 최대로 열어 놓은 경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이 충분히 진행될 때까지 차압작동스위치(70)의 동작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air holes 82 and 86 of the suction
반대로 흡입량조절캡(80)의 공기구멍(82)(86)들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공기 통로가 최소의 공기통로만 유지시킨 경우, 도 3의 팬(12)에 걸리는 부하가 그다지 크지 않더라도 공기 통로가 매우 좁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유속이 비교적 크며, 이에 따라 풍압차작동판(72)을 미는 힘이 그만큼 증가되어 차압작동스위치(70)를 동작시키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와 같이 흡입량조절캡(80)의 공기구멍(82)(86)들을 조금만 열어 놓은 경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의 착상이 진행되는 초기에 차압작동스위치(70)를 동작시키게 된다.As such, when the air holes 82 and 86 of the suction
이러한 흡입량조절캡(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81)에 대해 회전판(85)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그 반대로 내측의 판이 스위치바디에 고정되고 외측의 커버가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공기구멍(82)(86)들은 각각 3개씩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3개보다 적게, 또는 3개보다 더 많이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suc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풍압차작동판(92)을 상기 리미트스위치(96)의 반대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5)과, 이 스프링(95)에 연결되어 스프링(9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볼트(94)로 이루어진다.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 pressure differential operating plat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이러한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은, 장력조절볼트(94)를 조여서 그 단부를 스프링(95) 측으로 이송시키면 스프링압이 증가하면서 풍압차작동판(92)의 작동압이 그만큼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장력조절볼트(94)를 풀어서 그 단부를 스프링(95)의 반대측으로 이송시키면 스프링압이 감소하면서 풍압차작동판(92)의 작동압이 그만큼 감소한다.The wind pressure differential operation plate adjusting means, by tighten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 풍압차작동판 조절수단에 의해 풍압차작동판(92)의 작동압을 조절하면 차압작동스위치(90)의 스위치바디(91)에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속도의 공기가 흡입되어도 풍압차작동판(92)의 작동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wind-pressure
도 12는 본 발명 차압작동스위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써, 이는, 차압작동스위치(100)의 스위치바디(101) 둘레에, 저온에 의한 동작 불량을 방지하도록 가열히터(104)가 더 구비되어 있다.Figure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본 발명 차압작동스위치(100)는, 그 주변의 낮은 온도에 의해 부품들이 얼어서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시킨다. 즉, 차압작동스위치(100) 주변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가열히터(104)가 작동되어서 리미트스 위치(102) 및 풍압차작동판(103)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스위치바디(101) 내부를 적절히 가열하게 된다.The
도 13은 본 발명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가 설치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저면에 U형 트랩(112)이 설치되고, 이 U형 트랩(112)의 상단에 차압작동스위치(120)가 설치된다.Figure 1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ced blow type
이러한 본 발명은, 차압작동스위치(120)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저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U형 트랩(112)없이 차압작동스위치(120)를 곧바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저면에 설치할 경우,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에서 발생된 수분이 하측으로 흐르면서 차압작동스위치(120) 내부로 유입될 것이며, 차압작동스위치(120)의 작동시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이 차압작동스위치(120) 내부로 그대로 흡입될 것이다. This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differential
따라서 차압작동스위치(120) 측으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저면에 U형 트랩(112)을 설치하고, 이 U형 트랩(112) 상단에 차압작동스위치(120)를 설치한다. 여기서 U형 트랩(112)은, 그 내부에 모인 이물질이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그 중앙 하단이 관통되어 있고, U형 트랩(112)의 관통 부분에 마개(113)가 결합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or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differential
이러한 풍압제상시점검출장치가 설치된 강제송풍식시점검출열교환기(111)는, 차압작동스위치(120)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111)의 하부에 설치되지만 차압작 동스위치(120) 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압작동스위치(120)의 공기 흡입구가 상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외부 공기의 흡입시 바닥의 먼지가 유입되지 않는다.In the forced air type point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 상태가 증가하여 팬의 송풍압이 증가하고 그 송풍량이 감소할 시, 차압작동스위치가 자동되어 제상 운전이 이루어지므로, 최적의 제상 시점을 식별하여서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착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제송풍식 증발열교환기의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뿐 아니라 팬의 과부하를 방지시켜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wing state of the forced blow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increases and the blowing pressure of the fan increases and the blowing amount decreases, the differential pressure operation switch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perform the defrosting opera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can be eliminated, there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forced air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and preventing the overload of the fan to prevent component damag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9448A KR100674180B1 (en) | 2006-06-01 | 2006-06-01 |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9448A KR100674180B1 (en) | 2006-06-01 | 2006-06-01 |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4180B1 true KR100674180B1 (en) | 2007-01-24 |
Family
ID=3801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9448A Active KR100674180B1 (en) | 2006-06-01 | 2006-06-01 |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4180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270B1 (en) | 2006-11-13 | 2008-01-11 |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 Air heat pump |
KR101042061B1 (en) * | 2010-10-07 | 2011-06-16 | 임태혁 | Defros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 |
KR101056637B1 (en) * | 2011-04-13 | 2011-08-12 | 양성준 | Two-way wind pressure detection device |
WO2014137060A1 (en) * | 2013-03-04 | 2014-09-12 | 주식회사 두텍 |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to defrost evaporation heat exchanger based on bypass airflow measur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same |
KR101456456B1 (en) | 2013-07-05 | 2014-11-03 | 주식회사 신아 | Defrosting device of heat-exchanger for a cooler |
KR101463041B1 (en) * | 2013-06-03 | 2014-11-27 | 유한회사 이지시스템 | A deforsting system using a vacuum pressure |
KR101919378B1 (en) | 2018-03-29 | 2018-11-19 | 양승덕 | Defrosting method by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
KR200493807Y1 (en) * | 2021-03-10 | 2021-06-08 | 주식회사 와스코 | Dryer of clothing |
CN115451606A (en) * | 2022-10-13 | 2022-12-09 | 国家电投集团江西能源销售有限公司 | Heat exchange type air-cooling mobile energy station device and energy-saving defrosting method thereof |
KR20230045373A (en) | 2021-09-28 | 2023-04-04 | 양성준 | Defrost method by wind pressure chang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96629A (en) * | 1992-04-20 | 1993-11-09 | Sanden Corp | Vendor |
KR950019560A (en) * | 1993-12-06 | 1995-07-24 | 이헌조 | Defrost control circuit and defrost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
KR970007149A (en) * | 1995-07-21 | 1997-02-21 | 김광호 | Defros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ir Conditioner |
JPH10115477A (en) | 1996-10-09 | 1998-05-06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KR20030010292A (en) * | 2001-07-26 | 2003-02-05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Blast switch |
-
2006
- 2006-06-01 KR KR1020060049448A patent/KR1006741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96629A (en) * | 1992-04-20 | 1993-11-09 | Sanden Corp | Vendor |
KR950019560A (en) * | 1993-12-06 | 1995-07-24 | 이헌조 | Defrost control circuit and defrost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
KR970007149A (en) * | 1995-07-21 | 1997-02-21 | 김광호 | Defros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ir Conditioner |
JPH10115477A (en) | 1996-10-09 | 1998-05-06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KR20030010292A (en) * | 2001-07-26 | 2003-02-05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Blast switch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30010292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270B1 (en) | 2006-11-13 | 2008-01-11 |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 Air heat pump |
KR101042061B1 (en) * | 2010-10-07 | 2011-06-16 | 임태혁 | Defros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or for air conditioner |
KR101056637B1 (en) * | 2011-04-13 | 2011-08-12 | 양성준 | Two-way wind pressure detection device |
CN102778321A (en) * | 2011-04-13 | 2012-11-14 | 梁承德 | Bidirectional win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
WO2012141521A3 (en) * | 2011-04-13 | 2012-12-13 | Yang Seung Duk | Apparatus for detecting bi-directional wind pressure |
US8667850B2 (en) | 2011-04-13 | 2014-03-11 | Seung Duk YANG | Bidirectional win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
CN102778321B (en) * | 2011-04-13 | 2015-01-21 | 梁承德 | Bidirectional win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
WO2014137060A1 (en) * | 2013-03-04 | 2014-09-12 | 주식회사 두텍 | Apparatus for detecting time to defrost evaporation heat exchanger based on bypass airflow measur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same |
KR101463041B1 (en) * | 2013-06-03 | 2014-11-27 | 유한회사 이지시스템 | A deforsting system using a vacuum pressure |
KR101456456B1 (en) | 2013-07-05 | 2014-11-03 | 주식회사 신아 | Defrosting device of heat-exchanger for a cooler |
KR101919378B1 (en) | 2018-03-29 | 2018-11-19 | 양승덕 | Defrosting method by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
WO2019190260A1 (en) * | 2018-03-29 | 2019-10-03 | 양승덕 | Apparatus for detecting defrosting time |
KR200493807Y1 (en) * | 2021-03-10 | 2021-06-08 | 주식회사 와스코 | Dryer of clothing |
KR20230045373A (en) | 2021-09-28 | 2023-04-04 | 양성준 | Defrost method by wind pressure change |
CN115451606A (en) * | 2022-10-13 | 2022-12-09 | 国家电投集团江西能源销售有限公司 | Heat exchange type air-cooling mobile energy station device and energy-saving defrosting method thereof |
CN115451606B (en) * | 2022-10-13 | 2023-08-18 | 国家电投集团江西能源销售有限公司 | A heat-exchanging air-cooled mobile energy station device and its energy-saving defrost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4180B1 (en) | Wind Pressure Defrost Point Detection Device of Evaporative Heat Exchanger | |
KR100885583B1 (en) | Refrigerator | |
CN102062492B (en) | Air conditioner | |
JP2003207248A (en) | Refrigerator | |
KR100821728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06091504A (en) | A kind of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efrosting system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705515B (en) | Air-conditioning system and air-conditioning | |
US20070277539A1 (en) | Continuously Operating Type Showcase | |
CN110940136B (en) | Refrigerator refrigerating system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8036569A (en) | A kind of Air-drying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090069694A (en) | Multi-roach type throttling valve-equipment multistage compression type compressor | |
JP4183517B2 (en) | Cooling system | |
KR100937202B1 (en) | A refrigerator for dryer and cold store | |
JP2005083616A (en) | Air conditioner | |
CN113074465B (en) | Refrigeration cycle system, refriger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5037052A (en) | Air conditioner | |
KR200236514Y1 (en) | Onebody refrigerator of agricultural products low temperature storage | |
KR102765014B1 (en) | Air conditioner | |
WO2020049660A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JP2003294346A (en) | Refrigerator | |
CN219454100U (en) | Integral air conditioner | |
JP2003302146A (en) | Refrigerator | |
KR102345055B1 (en) | Air conditioner of one assembled | |
CN213237757U (en) | Air-cooled air conditioner | |
KR20010098290A (en) | Outdoor unit condensate water control device for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