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2532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532B1
KR100672532B1 KR1020050042721A KR20050042721A KR100672532B1 KR 100672532 B1 KR100672532 B1 KR 100672532B1 KR 1020050042721 A KR1020050042721 A KR 1020050042721A KR 20050042721 A KR20050042721 A KR 20050042721A KR 100672532 B1 KR100672532 B1 KR 10067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using
motor
dust
clea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9586A (en
Inventor
정회길
황만태
김영호
황정배
박민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532B1/en
Publication of KR2006011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53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 부피가 감소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타측부에 내장되는 배기 하우징; 그리고 그 축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with a reduced overall volu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uni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An exhaust housing embedded i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motor-fan assembly housed in the exhaust housing such that its axi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horizontal.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는 부피가 감소되어, 진공 청소기의 운반이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reduced in volum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carrying or using the vacuum cleaner.

청소기 본체, 배기 하우징, 모터-팬 수용부, 배기 챔버, 배기 커버 Cleaner body, exhaust housing, motor-fan housing, exhaust chamber, exhaust cover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집진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vacuum cleaner body and a dust collecting uni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진유닛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is separ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배기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haust housing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배기 하우징을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haust housing of FIG. 6 taken along line A-A.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유닛100: cleaner body 200: dust collecting unit

300 : 모터-팬 어셈블리 310 : 모터 챔버300: motor-fan assembly 310: motor chamber

400 : 배기 하우징 410 : 모터-팬 수용부400: exhaust housing 410: motor-fan accommodation

420 : 배기 챔버 430 : 흡입 챔버420: exhaust chamber 430: suction chamb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which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by driving a motor and separates foreign matters from the sucked air.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동로상에 통기 가능한 먼지봉투를 설치하여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백타입 진공 청소기와, 공기와 먼지의 원심력 차이를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로 구분된다.Generally, a vacuum cleaner is a bag type vacuum cleaner that separates dust from flowing air by installing a ventable dust bag on an air flow path, and a cyclone vacuum cleaner that separates dust using a difference in centrifugal force between air and dust. Are distinguished.

그러나, 근래에는 집진성능을 향상과 집진된 먼지 배출의 용이성을 위하여 싸이클론 집진유닛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is mainly used for improving dust collecting performance and ease of dust collecting.

한편, 먼지 집진용량의 증대와 먼지 분리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진공 청소기의 부피가 점차로 증가하나, 진공 청소기의 부피 증가는 청소기의 운반이나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 of the vacuum cleaner is gradually increased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capacity and to improve the dust separation performance, the increase of the volume of the vacuum cleaner has a problem that makes the transportation or use of the cleaner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되어 사용이 편리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is easy to use the overall volume is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모터-팬 어셈블리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of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pair or replace a motor-fan assembly forcing the flow of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의 타측부에 내장되는 배기 하우징; 그리고 그 축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uni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An exhaust housing embedded in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 motor-fan assembly housed in the exhaust housing such that its axi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horizontal.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body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n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nozzle (not shown)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a floor to be cleaned, and the suction nozzle Cleaner body 1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pipe and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and the cleaner body 100 and at the same time to guide the contaminated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body 100 (not show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된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에 쌓인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Here, a nozzle suction por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air suction device built in the cleaner body 100.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집진유닛(200)이 장착되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타측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모터-팬 어셈블리가 내장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to separate and sto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wing air, and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flows air. The motor-fan assembly is built in to force the

상기 집진유닛(200)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preferably,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하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반을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 상부로 곡률지게 형성되는 본체 손잡이(1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clean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hose connec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the lower end of the cleaner body 100, the cleaner body for the transport of the cleaner body 100 The main body handle 120 is formed to be curv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100 is provided.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3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미도시)가 연결된다.In addition, wheels 130 are rotatably mounted on both rear sides of the cleaner body 100 so as to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bottom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A caster (not shown) of rotating material is connec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100.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상기 집진유닛(2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to separate and collect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erein. Fun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는 집진유닛 장착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유닛(20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에서 장착된다.To this end, a dust collecting unit mounting unit 1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00.

여기서,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40)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40)의 전면 높이는 상기 집진유닛(20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mounting unit 140 has a receiv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the front heigh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mounting unit 140 is substantially the heigh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ame.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200)은,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소정 형상의 집진통(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of a predetermined shape to separate and collect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the flowing air.

그리고, 상기 집진통(21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부(2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provided with a cover 22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집진유닛 커버(221), 그리고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ver part 220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1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an upper cover 222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1. It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22)는, 상기 집진용기 커버(2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 커버(222a), 그리고 상기 결합 커버(222a)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커버를 보호하는 보호 캡(2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222, the coupling cover 222a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21, and a protective cap 222b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upling cover 222a to protect the coupling cov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상기 집진유닛(22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와 2차 집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통(210)의 바닥은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 primary dust collector and a secondary dust collecto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lower panel 2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Do.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집진부는, 1차 먼지 분리부와 1차 먼지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통(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primary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rimary dust separating part and a primary dust storing part 212, and is configured 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do.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 상기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 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와 2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dust collector may include a secondary dust separator and a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collector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dust collector. Is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는 각각,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5)들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ion unit, each of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and a plurality of small secondary cyclone unit 215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in a cyclone manner It is compos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 측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110)와 연통하는 제 1 흡입구(214a)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천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배기구(214b)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has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of which the lower end is opened, and a first suction port 214a communicating with the hose connecting portion 110 is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The first exhaust port 214b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iling center portion of the cyclone portion 214.

여기서, 상기 제 1 흡입구(214a)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호스 연결부(110)을 거쳐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suction port 214a guides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the hose connection part 110 to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art 214 in a tangential direction, and the first suction port. The air flowing into 214a is configured to make a spiral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유닛(21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구간에 배열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small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10 are forme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upper circumference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 위로 돌출된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 1 배기구(214b)와 연 통하는 제 2 흡입구(215a)를 형성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개방되어 제 2 배기구(215b)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protruding above the upper en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intak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xhaust port (214b) 215a, and an upper end of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is opened to form a second exhaust port 215b.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 흡입구(215a)룰 통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흡입구(215a)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측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한다.In more detail,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through the second inlet 215a may allow spiral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The second suction port 215a guides the air flowing in from the side of the first exhaust port 214b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흡입구(215a)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1차 배기구(214b)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선 방향의 가이드 베인(215c)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a tangential guide vane 215c extending toward the primary exhaust port 214b may be integrally formed at one edge of the secondary inlet port 215a.

한편,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콘부(215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단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이물질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nical cone portion 215d of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not shown) penetrated up and down is formed to be discharged.

여기서, 인접하는 2차 싸이클론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the adjacent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are integrally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ir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1 is mounted on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의 제 2 배기구(215b)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3 배기구(221a)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At the edges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1, third exhaust ports 221a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xhaust ports 215b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집진유닛 커버(221)의 상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결합 커버(222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Next,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1, the coupling cover 222a, the lower end of which is mounted detachably.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유닛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걸림 돌기(222)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222)들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세개의 걸림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22)와 걸림홈의 위치와 수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o this end, three locking projections 22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 220, and three locking grooves (not illustrated) are inserted and lock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cover 230. Poems are formed. Of course,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locking projections 222 and the locking groove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결합 커버(222a)의 외주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4 배기구(22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커버(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4 배기구(223)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ourth exhaust port 223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cover 222a to discharge air into a predetermined flow path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cover 230 is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exhaust port 22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에 저장된 후, 상기 하부 패널(211)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After the dust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and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When the lower panel 211 is opene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여기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Here,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is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Stored dust.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2)와 상기 집진통(210)의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경계벽(216)에 의해 구획된다.In additio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are provided on the boundary wall 216 provided between the primary cyclone unit 212 and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partitioned by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 며,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은 상기 집진통(21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The boundary wall 21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and the lower end of the boundary wall 216 is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at is, the lower panel 211. It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측면에는 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에 밀착되는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lower panel 21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not show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oundary wall 216.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the boundary wall 216 prevents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상기 경계벽(216)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상, 즉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하 방향의 수직한 홈들이 교대로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undary wall 216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a shape in which vertical gro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경계벽(216)이 원주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 내부에서 공기의 나선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된 먼지가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상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boundary wall 216 is formed to be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piral flow of air is prevent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us,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may flow into air. The rising to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집진통(210)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연통하는 보조 먼지 저장부(212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ust storage unit 212a communicating with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이를 위하여, 상기 경계벽(216)의 일부는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며, 상기 보조 먼지 저장부(212a)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의 하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집진부의 먼지 집진성능이 최대화 될 수 있다.To this end, a part of the boundary wall 216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auxiliary dust storage unit 212a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size under the first suction port 214a. Therefor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primary dust collecting part can be maximized.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집진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서 저장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하여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 높이의 비산방지 부재(2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 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vided in 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to prevent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from scattering by spiral flow. 217).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포집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7 functions to prevent dust collect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from rising by the spiral flow and entering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여기서,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하단 높이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단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height of the scatter preventing member 217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ttom height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그리고, 싱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surface of the thinner scattering member 217 is more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In more detail, 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7 ha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제 1 배출구(214a)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side of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214a)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 218).

여기서, 상기 유출부(218)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portion 218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n the axi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open and the lower end is in a closed shape, made of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at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desirable.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8)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the speed of the spiral flow de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so that the dust fall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suction force of the outlet portion 218. To be unaffected by

그리고, 상기 유출부(218)의 상단은 상기 제 1 배기구(214b)의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218)의 상단과 상기 제 1 배기구(214b) 사이에 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환형의 씰링(sealing;미도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outlet 218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rst exhaust port 214b, and maintains airtightness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218 and the first exhaust port 214b. It is preferred that an annular sealing member is provided.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는 상기 유출부(218)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되고,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의 저면에는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와 일체로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의 손잡이부(217a)가 구비된다.The shatterproof member 217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let 218 and is supported, and a cross-shaped hand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tterproof member 217 on the bottom of the shatterproof member 217. The part 217a is provided.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집진유닛(200)의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후방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의 집진유닛 손잡이(23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handle 230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 하우징이 내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body 100, the exhaust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and guides the air flowing in the cleaner body 100 is built.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기 하우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leaner body of a vacuum cleaner and an exhaust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leaner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기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4의 배기 하우징을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ase is separated from an embodiment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haust housing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haust housing of FIG. 4 taken along line AA.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되는 각종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150),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케 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cleaner body 100 is coupled to an upper case of a lower case 150 supporting various components embedded in the cleaner body 10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case 160 forming the upper appearance of the cleaner body (100).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흡입 노즐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노즐 파킹부(15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 파킹부(152)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다.Here,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nozzle parking unit 152 for fixing the su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to the cleaner body 100. In this embodiment, the nozzle parking portion 1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6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6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측면 커버들(171, 172)이 장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lower case 150 and the upper case 160 are coupled to each other, side covers 171 and 17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150 and the upper case 160, respectively. ) May be mounted to form a side appearance of the cleaner body 100.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상기 배기 하우징(400)이 내장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는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수용한다.The exhaust housing 400 is built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to accommodate the motor-fan assembly 300 including a motor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and a fan rotated by the motor.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는 대략 원통형상의 모터 챔버(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의 흡입구에는 소정의 패킹부재(320)가 구비된다.The motor-fan assembly 300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motor chamber 310, and a predetermined packing member 320 is provided at an inlet of the motor-fan assembly 300.

그리고, 상기 모터 챔버(31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상기 모터 챔버(310)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11)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motor-fan assembly 300 into the motor chamber 3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tor chamber 310, and supports the motor-fan assembly 300 at the other side. A supporting member 311 is provided.

또한, 상기 모터 챔버(310)의 둘레면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다수개의 통공(310a)들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a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chamber 310 to discharge air.

그리고,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모터 챔버(310)에 수용된 상태 로 상기 배기 하우징(400)의 내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the motor-fan assembly 300 is accommodated in the exhaust housing 40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motor chamber 310.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의 수용을 위하여, 상기 배기 하우징(400)은 모터-팬 수용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300, the exhaust housing 400 includes a motor-fan accommodating part 410.

상기 모터-팬 수용부(410)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411),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4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The motor-fan accommodating part 41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411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nd a housing cover 412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411.

여기서, 상기 하우징 커버(412)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함께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Here, the housing cover 412 together with the lower housing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300.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411)의 개구부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테두리 중 어느 일측에는 공기의 누설이나 누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 pack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411 and the edge of the housing cover to prevent leakage or leakage of air.

상기와 같이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수용하는 상기 배기 하우징(40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내장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housing 400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300 is embed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기 하우징(400)은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전방부에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도 상기 배기 하우징(400) 내부에 그 축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exhaust housing 40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lower case 150 is laid horizontally, and the motor-fan assembly 300 is also installed inside the exhaust housing 400. It is preferred that the axial direction is receiv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여기서, 상기 배기 하우징(400)은,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전방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기 하우징(400)과 연통되는 본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배출구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측면 커버(171)에는 상기 본체 배출구에 대응되는 측면 배출구(171a)가 형성된다.Here, the exhaust housing 40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case 150, the main body outlet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housing 400 on one sid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0 Is formed, the side cover 171 which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00, the body outlet is formed is formed with a side outlet (171a) corresponding to the body outle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 파킹부(152)가, 상기 본체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측면 배출구(171a)가 형성되는 측면 커버(171)에는 상기 노즐 파킹부(15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노즐 파킹부(15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171b)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nozzle parking portion 15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00, the body outlet is formed, the side cover (171a) is formed ( 17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171b)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parking portion 15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nozzle parking portion 152.

또한, 상기 배기 하우징(400)은, 상기 모터-팬 수용부(410)와 상기 본체 배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배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배기 챔버(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exhaust housing 400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chamber 420 provided between the motor-fan accommodating part 410 and the main body outlet to accommodate an exhaust filter part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배기 챔버(420)와 상기 모터-팬 수용부(410)는 통기 가능한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xhaust chamber 420 and the motor-fan accommodating part 410 are preferably partitioned by ventilated partition walls.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모터-팬 수용부(410)의 흡입측에는, 후술하는 흡입 필터부를 수용하는 흡입 챔버(4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uction chamber 430 is provid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motor-fan receiving part 410 to accommodate the suction filter part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흡입 챔버(430)는 상기 집진유닛(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 챔버(430)로 안내하는 안내관(180)과 연결된다.Here, the suction chamber 430 is connected to the guide tube 180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to the suction chamber 430.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배기 하우징(4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haust housing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먼저, 상기 모터-팬 수용부의 하우징 커버(412)는 상기 하부 하우징(4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411)의 개구부를 개폐한다.First, the housing cover 412 of the motor-fan accommodating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41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41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 커버(412)는 상기 하부 하우징(411)에힌지부(413)에 의해 연결된다.In more detail, the housing cover 412 is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411 by a hinge portion 413.

따라서, 상기 하우징 커버(41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의 장착, 수리, 청소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us, in the state in which the housing cover 412 is open, mounting, repair,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motor-fan assembly 300 may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배기 챔버(42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 필터부(421)가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filter unit 421 is accommodated in the exhaust chamber 420.

여기서, 상기 배기 필터부(421)는, 상기 본체 배출구측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 챔버(420)의 필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배기 챔버(420)의 내벽에 부착됨이 없이 수용되는 것이 좋다.Here, the exhaust filter unit 421 is inserted through the filter insertion hole of the exhaust chamber 420 formed at the main body outlet side, it is preferably accommodate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xhaust chamber 420.

그리고, 상기 배기 챔버(420)의 필터 삽입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측방에서 탈착되는 배기 커버(422)에 의해 개폐된다.The filter insertion port of the exhaust chamber 420 is opened and closed by an exhaust cover 422 detachable from the side of the cleaner body 100.

상기 배기 커버(422)는, 상기 배기 챔버(420)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 필터부(421)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커버(422)는 상기 배기 필터부(421)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배기 필터부(42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The exhaust cover 422 is coupled to the exhaust chamber 42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xhaust filter unit 421. In addition, the exhaust cover 422 may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exhaust filter unit 421 to prevent shaking of the exhaust filter unit 421.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 커버(422)는, 상기 필터 삽입구의 테두리에 접촉되며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된 캡, 그리고 상기 캡의 내측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 필터부(421)의 측면을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exhaust cover 422 is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filter insertion hole, the cap formed with an exhaust port (not shown) for air discharge,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rim of the cap, the exhaust filter unit 42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nul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ide of).

그리고, 상기 환형의 지지체에는 상기 배기 커버(422)와 상기 배기 챔버(420)의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결합돌기(422a)들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챔버(420) 의 둘레벽에는 상기 결합돌기(422a)와 결합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홀(420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422a for coupling the exhaust cover 422 and the exhaust chamber 420 are formed on the annular suppo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22a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exhaust chamber 420. Coupling groove or coupling hole (420a) is coupled to be formed.

다음으로, 상기 흡입 챔버(430)에는 상기 흡입 필터부(431)가 수용되어,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300)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한다.Next, the suction filter 431 is accommodated in the suction chamber 430 to purify the air sucked into the motor-fan assembly 30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필터부(431)는, 소정 형상의 흡입 필터가 장착된 필터 프레임(43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filter 431 may include a filter frame 431a to which a suction filter of a predetermined shape is mounted.

그리고, 상기 흡입 챔버(430)의 측벽에는 상기 안내관(180)의 출구단과 연결되는 소정크기의 흡입구(430a)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uction port 430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onnected to an outlet end of the guide tube 180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suction chamber 430.

여기서, 상기 안내관(180)은, 상기 집진유닛(200)의 제 4 배기구(223)와 연결되는 입구단(180a)를 가지며, 상기 집진유닛 장착부(140)의 상부 내벽에서 상기 흡입 챔버의 흡입구(430a)로 갈수록 하향 굴곡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부드럽게 안내한다.Here, the guide tube 180 has an inlet end 180a connected to the fourth exhaust port 223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chamber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unit mounting unit 140. It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toward the (430a), to smoothly guide the flow of air.

그리고, 상기 흡입 챔버(43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필터부(431)의 삽입을 위한 흡입필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필터 삽입구는 필터 커버(432)에 의해 개폐된다.In addition, a suction filter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suction filter unit 4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chamber 430, and the suction filter insertion ho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ilter cover 432.

여기서, 상기 필터 커버(432)는 상기 흡입 챔버(4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필터 삽입구를 차폐한다.Here, the filter cover 4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430, shielding the suction filter insert.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 커버(432)와 상기 흡입 챔버(430)는 힌지부 등의 회전 연결부(430b)에 의해 연결된다.To this end, the filter cover 432 and the suction chamber 430 is connected by a rotary connection portion 430b such as a hinge portion.

그리고, 상기 흡입 필터 삽입구의 테두리와 상기 필터 커버(432) 중 어느 일 측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member (not shown) for airtightness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dge of the suction filter insertion port and the filter cover 432.

또한, 상기 필터 커버(432)에는 상기 흡입 필터부(431)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체(432a)와 상기 흡입 챔버(4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부재(432b)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cover 432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support 432a for supporting the suction filter 431 and a deformation preventing member 432b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uction chamber 430.

여기서, 상기 필터 지지체(432a)는 상기 필터 커버(432)의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흡입 필터부(431)를 가압하여 상기 흡입 필터부(431)를 상기 모터-팬 수용부측으로 밀착시킨다.Here, the filter supporter 432a protrudes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filter cover 432 to press the suction filter part 431 to closely contact the suction filter part 431 to the motor-fan receiving part side. Let's do it.

그리고, 상기 변형 방지부재(432b)는, 상기 흡입 챔버(430)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필터 커버(432)의 내측 테두리부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mber 432b is preferably provided in plural inner edge portions of the filter cover 432 so as to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chamber 430.

한편, 상기 필터 커버(432)에는, 상기 필터 커버(432)를 잠그기 위한 잠금 버튼(433)과 상기 잠금 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후크부(434)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cover 432 is provided with a locking button 433 for locking the filter cover 432 and a hook portion 434 operated by the locking button.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 특히 상기 하부 케이스(150)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부(434)가 걸림되는 후크홈(43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hook groove 435 to which the hook part 434 is engaged is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0, in particular, the lower case 150.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external polluted air flows into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connection pipe.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에 의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Air flowing into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guided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by the first suction port 214a to form a spiral flow.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방지 부재(217)와 굴곡진 형상의 경계벽(216)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dust, which is relatively heavy and large in weight, is separated and lowered by the cyclone principle and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is scattered. The scattering is prevented by the 217 and the curved boundary wall 216.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8)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the air from which the relatively large dus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first exhaust port 214b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the side of the outlet portion 218, and then to the plurality of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It enters and goes through the dust separation process again.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2배기구(215b)와 상기 제 3 배기구(22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22)의 내부로 유입된다.Air from which relatively small dust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22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15b and the third exhaust port 221.

상기 상부 커버(22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4 배기구(232)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상기 안내관(180)을 통해 상기 흡입 챔버(430)로 유입된다.After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cover 222 is discharged through the fourth exhaust port 232, the suction chamber 430 is provided through the guide tube 18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leaner body 100. Flows into.

그리고, 상기 흡입 챔버(43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흡입 필터부(431)에서 정화된 후, 상기 모터-팬 수용부(410)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모터-팬 어셈블리(300)를 거쳐 상기 배기 챔버(420)로 유입된다.Then, after being purified by the suction filter unit 431 accommodated in the suction chamber 430, the motor-fan receiving unit 410 is provided through the motor-fan assembly 300 for forcing the flow of air It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chamber 420.

다음으로, 상기 배기 챔버(420)에 구비된 상기 배기 필터부(421)에서 재차 정화된 후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Next, after being purified again by the exhaust filter unit 421 provided in the exhaust chamber 4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100.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사용자는 먼지의 배출을 위해 상기 집진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서 분리하여, 상기 집진유닛(200)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By the above process, when the dust or more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user separates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from the cleaner body 100 for the discharge of dust, the dust collecting unit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ccumulated in the (200).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의 일측부에 수평하게 내장되는 배기 하우징에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모터-팬 어세블리가 그 축방향이 수평하게 수용되므로, 상기 배기 하우징이 차지하는 높이가 최소화되고 청소기 본체의 부피가 감소된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tor-fan assembly forcing the flow of air in the exhaust housing which is horizontally embedded i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is accommodated horizontally, the height occupied by the exhaust housing is increased. It is minimized and the volume of the cleaner body is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의 부피가 감소되어 진공 청소기의 운반이나 사용이 편리한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cleaner body is reduced, so that the transport or use of the vacuum cleaner is convenien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모터-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모터-팬 수용부의 상부가 개방되므로, 모터-팬 어셈블리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fan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is opened, it is easy to repair or replace the motor-fan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배기 하우징에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부들이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에서 재배출되는 먼지의 함량을 최소화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air,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dust to be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Claims (7)

청소기 본체의 후방부에 장착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A dust collecting unit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o separate and collect a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introduced into the cleaner;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부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장착되는 배기 하우징; 그리고An exhaust housing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그 축방향이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수평 방향이 되도록 상기 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모터-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의 높이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진공 청소기.And a motor-fan assembly housed in the exhaust housing such that its axi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horizont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height of the cleaner body is lowered toward the fro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 하우징은,The exhaust housing,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모터-팬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And a motor-fa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otor-fan assembl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터- 팬 수용부는,The motor-fan receiving unit,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그리고A lower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nd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함께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And a housing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an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tor-fan assembly together with the lower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And the housing cov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배기 하우징은,The exhaust housing,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구부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 커버 중 어느 일측에는 공기의 누설이나 누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Any one of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housing cover further comprises a pa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leakage or leakage of ai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기 하우징은,The exhaust housing, 상기 모터-팬 하우징과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 배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재차 정화하는 배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배기 챔버; 그리고An exhaust chamber provided between the motor-fan housing and a main body outle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to accommodate an exhaust filter unit for purifying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상기 배기 챔버의 필터 삽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배기 필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기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And an exhaust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filter insertion port of the exhaust chamber and prevents the exhaust filter from being separated. 삭제delete
KR1020050042721A 2005-05-20 2005-05-20 Vacuum cleaner Expired - Fee Related KR100672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21A KR100672532B1 (en) 2005-05-20 2005-05-2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21A KR100672532B1 (en) 2005-05-20 2005-05-20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86A KR20060119586A (en) 2006-11-24
KR100672532B1 true KR100672532B1 (en) 2007-01-24

Family

ID=3770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2532B1 (en) 2005-05-20 2005-05-20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53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86A (en)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07B1 (en) Vacuum cleaner
US8782850B2 (en) Vacuum cleaner
KR20080032180A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964699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20060128388A (en) Vacuum cleaner
KR100601451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100546629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77280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8B1 (en) Vacuum cleaner
KR100556442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672532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2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46627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1306695B1 (en) Dust Collecting Device
KR100546628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56444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617131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EP1679026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72533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9B1 (en) Vacuum cleaner
KR100556443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617093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46624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77275B1 (en) Vacuum cleaner
KR20060125956A (en) Dust collec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