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9890B1 -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 Google Patents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890B1
KR100669890B1 KR1020050010703A KR20050010703A KR100669890B1 KR 100669890 B1 KR100669890 B1 KR 100669890B1 KR 1020050010703 A KR1020050010703 A KR 1020050010703A KR 20050010703 A KR20050010703 A KR 20050010703A KR 100669890 B1 KR100669890 B1 KR 10066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charge
pump
orbiter
compre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원
황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890B1/ko
Priority to US11/208,722 priority patent/US20060177339A1/en
Priority to CNB2005100915656A priority patent/CN10046787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8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는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방향 구조를 갖는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토출튜브 및 흡입튜브가 형성되는 횡방향의 쉘 내부에 편심부를 갖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압축부 및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압축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의해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부는 일측으로 흡입구를 갖는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회전축의 편심부에 결합되고 자전이 방지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 및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오비터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오일을 오일섬프에서 회전축으로 공급하는 급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에어컨의 실외기 등에 적용시 상기 실외기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일펌프, 흡입측 역지밸브, 토출측 역지밸브, 밸브체, 피스톤

Description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A horizontal type orbiter compressor}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타입 선회베인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압축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오일펌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밸브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도 6b는 본 발명의 급유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급유 차단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급유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구동부 P:압축부
100:쉘
101:흡입튜브 102:토출튜브
103:오일섬프(oil sump)
110:스테이터 120:로터
120a:균형추 130:오비터(orbiter)
130a:랩(wrap)
140:실린더
141:흡입구 142:내측링
143:작동공간
150:회전축
151:편심부 152:오일공
160:메인 베어링 170:서브 베어링
180:머플러 190:토출실
200:토출유로 210:올담링
220:오일펌프
221:펌프 하우징 221a:펌프 흡입구
221b:펌프 토출구 222:피스톤
223:스프링 224:흡입측 역지밸브
225:토출측 역지밸브 226:밸브 하우징
227,228:밸브체 227a:오일홈
229:밸브 스토퍼
230:오일튜브 240:오일 토출튜브
250:프로펠러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는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방향 구조를 갖는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회베인 압축기는 흡입구를 갖는 실린더의 내부에서 오비터가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타입의 선회베인 압축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타입 선회베인 압축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는 는 상부측 구동부(D)와 하부측 압축부(P)가 하나의 쉘(1) 내부에 밀폐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구동부(D)와 압축부(P)는 수직의 회전축(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6)은 편심부(6a)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D)는 쉘(1)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2)와,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6)을 회전시키는 로터(3)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부(P)는 회전축(6)의 편심부(6a)에 의해서 실린더(5)의 내부에서 오비터(orbiter)(4)가 선회운동을 하여 흡입구(51)를 통해 실린더(5)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5)는 내측링(52)을 가지며, 상기 내측링(52)과 실린더(5)의 내벽 사이에 환형의 작동공간(53)이 형성되어 상기 오비터(4)의 랩(wrap)(40)이 상기 작동공간(53)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함으로써 랩(40)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P)의 상.하부에는 메인 베어링(7) 및 서브 베어링(7a)이 구비되어 회전축(6)에 대한 양단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베어링(7a)에는 머플러(8)에 의해서 토출실(8a)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실(8a)은 압축부(P) 및 메인 베어링(7)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토출유로(9)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유로(9)를 통하여 압축된 냉매가스가 쉘(1)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은 흡입튜브이고, 12는 토출튜브이며, 10a는 자전방지기구인 올담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로터리 타입 선회베인 압축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구동부(D)의 로터(3)가 구동되어 상기 로터(3)에 수직으로 결합된 회전축(6)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축(6)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축(6)의 편심부(6a)에 결합된 오비터(4)가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5)의 작동공간(53) 내부에서 상기 오비터(4)의 랩(40)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구(51)를 통하여 실린더(5)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기 랩(40)의 양 압축실에서 압축하게 되고, 이 압축된 냉매가스는 실린더(5) 및 서브 베어링(7a)의 내.외측 토출구(미도시됨)를 통하여 토출실(8a)로 토출되는 것이며, 이 토출된 고압의 냉매가스는 다시 토출유로(9)를 통하여 쉘(1)의 내부로 토출됨으로써 토출튜브(11)를 통한 압축 냉매가스의 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압축부(P)는 오비터(4)의 랩(40)이 작동공간(53) 의 내부에서 화살표와 같이 선회운동을 하여 흡입구(51)를 통하여 상기 작동공간(53)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최초의 작동상태(0°)에서는 상기 흡입구(51) 및 랩(40)의 내측 흡입실(A1)을 통한 냉매가스의 흡입이 진행되고, 랩(40)의 외측 압축실(B2)은 흡입구(51)와 외측 토출구(53b)가 차단된 상태에서 압축이 시작되며, 내측 압축실(A2)은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90°회전된 상태에서는 랩(40)의 외측 압축실(B2)에 대한 압축이 계속 진행중이며, 랩(40)의 내측 압축실(A2)은 내측 토출구(53a)를 통한 압축 냉매가스의 토출이 거의 완료된 상태가 되고, 전 단계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외측 흡입실(B1)이 생성되어 흡입구(51)를 통해 냉매가스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180°회전된 상태에서는 전 단계에서 존재하던 내측 흡입실(A1)은 사라지고, 그 대신 상기 내측 흡입실(A1)이 내측 압축실(A2)로 되어 압축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며, 외측 흡입실(B1)은 외측 토출구(53b)와 통하게 되어 압축된 냉매가스에 대한 토출이 진행된다.
270°회전된 상태에서 랩의 외측 압축실(B2)은 외측 토출구(53b)를 통한 압축된 냉매가스에 대한 토출을 진행하게 되며, 내측 압축실(A2)도 압축을 계속 진행하고, 외측 흡입실(B1)에 대한 압축이 시작되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90°더 회전하면 전 단계에서 존재하던 외측 흡입실(B1)이 외측 압축실(B2)로 되어 상기 외측 압축실(B2)에 대한 압축을 진행하면서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회전축 의 1회전을 기준으로 한 사이클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로터리 타입 선회베인 압축기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입형 압축기로서, 이러한 입형 압축기를 에어컨의 실외기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로 인하여 실외기의 소형화가 어려운 반면에, 횡형 압축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쿨링팬의 하부측에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콤팩트한 실외기의 설계가 가능해지므로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고, 상기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를 설계할 때, 가장 고려되어야할 부분은 급유구조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는 선회베인 압축기를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로 구성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로 구성함에 따른 급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급유 구조의 개선과 함께 오일의 흐름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로 토출튜브 및 흡입튜브가 형성되는 횡방향의 쉘 내부에 편심부를 갖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압축부 및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압축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의해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부는 일측으로 흡입구를 갖는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회전축의 편심부에 결합되고 자전이 방지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 및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오비터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오일을 오일섬프에서 회전축으로 공급하는 급유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브 베어링의 토출구측으로 머플러를 형성하여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토출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부를 관통하여 토출실과 연통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유수단은 일측 및 타측에 오일섬프 내의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튜브와 회전축과 연통하는 오일 토출튜브를 가지며, 오비터와 연동하여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는 오일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는 오비터의 선회운동 및 펌프 하우징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펌프 흡입구에 밸브 하우징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오일 흡입튜브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오일홈을 갖는 밸브체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된 흡입측 역지밸브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펌프 토출구에 밸브 하우징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오일 토출튜브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오일홈을 갖는 밸브체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된 토출측 역지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오일공 입구측에 오일 흡입 능력을 갖는 프로펠러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밀폐된 쉘(100) 내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 압축부(P)와 구동부(D)가 구비되어 편심부(151)를 갖는 회전축(1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D)는 쉘(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10)와,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수평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50)을 회전시키는 로터(12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부(P)는 회전축(150)의 편심부(151)에 의해서 실린더(140)의 내부에서 오비터(orbiter)(130)가 선회운동을 하여 흡입구(141)를 통해 실린더(140)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140)는 내측링(142)을 가지며, 상기 내측링(142)과 실린더(140)의 내벽 사이에 환형의 작동공간(143)이 형성되어 상기 오비터(130)의 랩(wrap)(130a)이 상기 작동공간(143)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함으로써 랩(130a)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P)의 일측 및 타측에는 메인 베어링(160) 및 서브 베어링(170)이 구비되어 회전축(150)에 대한 양단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베어링(170)에는 머플러(180)에 의해서 토출실(190)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실(190)은 압축부(P) 및 메인 베어링(160)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의 토출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유로(200)를 통하여 압축된 냉매가스가 쉘(10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오비터(130)의 하부측에는 급유수단으로서 오일펌프(220)가 구비되어 상기 오일펌프(220)의 작동에 의해서 오일을 오일섬프(oil sump)(103)에서 회전축(15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오일펌프(220)의 양측에는 오일섬프(103) 내의 오일 흡입튜브(230)와, 회전축(150)과 연통하는 오일 토출튜브(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1은 흡입튜브이고, 102는 토출튜브이며, 210은 자전방지기구인 올담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구동부(D)의 로터(120)가 구동되어 상기 로터(12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5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축(150)의 편심부(151)에 결합된 오비터(130)가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140)의 작동공간(143) 내부에서 상기 오비터(130)의 랩(130a)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구(141)를 통하여 실린더(140)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기 랩(130a)의 양 압축실에서 압축하게 되고, 이 압축된 냉매가스는 실린더(140) 및 서브 베어링(170)의 내.외측 토출구(미도시됨)를 통하여 토출실(190)로 토출되는 것이며, 이 토출된 고압의 냉매가스는 다시 토출유로(200) 를 통하여 쉘(100)의 내부로 토출됨으로써 토출튜브(102)를 통한 압축 냉매가스의 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급유는 오비터(130)의 하부측에 구비된 오일펌프(220)의 작동에 의해서 오일섬프(103)의 오일을 오일 흡입튜브(230)에서 흡입하여 오일 토출튜브(240)를 통하여 오일공(152)을 포함하는 회전축(150)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150)의 입구에는 오일의 흐름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도록 프로펠러(250)의 장착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펌프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오일펌프(220)는 오비터(130)의 선회운동 및 스프링(223)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222)이 펌프 하우징(221)의 내부에서 상.하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식 펌프로서, 상기 펌프 하우징(221)은 일측 및 타측에 수평의 동일 중심선상으로 펌프 흡입구(221a) 및 펌프 토출구(221b)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 흡입구(221a) 및 펌프 토출구(221b) 상에는 흡입측 역지밸브(224) 및 토출측 역지밸브(22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흡입측 역지밸브(224)는 펌프 하우징(221)의 펌프 흡입구(221a)에 밸브 하우징(226)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226)의 타측은 오일 흡입튜브(230)와 연결되며, 밸브 하우징(226)의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229)가 형성됨과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밸브체(227)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227)는 오일 흡입튜브(230) 및 펌프 흡입구(221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오일홈(227a)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오일 흡입튜브(230)와 펌프 흡입구(221a)는 동일 중심선 상에 형성된다.
상기 토출측 역지밸브(225)는 펌프 하우징(221)의 펌프 토출구(221b)에 밸브 하우징(226)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226)의 타측은 오일 토출튜브(240)와 연결되며, 밸브 하우징(226)의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22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스토퍼(229)와 함께 밸브 하우징(226)의 내부에 펌프 토출구(221b) 및 오일 토출튜브(240)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밸브체(228)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되고, 상기 밸브체(228)의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오일홈(227a)이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오일펌프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흡입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토출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오비터(130)의 선회운동은 측방향에서 상.하 직선왕복운동을 하므로 상기 오비터(130)의 하부측 피스톤(222)은 오비터(130)의 선회운동에 의해서 하부측으로 가압되고, 펌프 하우징(221) 내부의 스프링(223)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탄력 지지되어 오비터(130)와 함께 상.하 왕복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 직선왕복운동에 의해서 펌프 하우징(221)의 내부에 흡입압과 토출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222)의 상승하게 되면, 펌프 하우징(221)의 내부에 흡입압이 발생하게 되어 흡입측 역지밸브(224) 및 토출측 역지밸브(225)의 각 밸브체(227)(228)는 각각 펌프 하우징(221)의 펌프 흡입구(221a) 및 펌프 토출구(221b)측에 밀착되는데, 이때 흡입측 역지밸브(224)의 밸브체(227)는 밸브 스토퍼(229)에 의해서 펌프 흡입구(221a)를 폐쇄하지 못하고, 토출측 역지밸브(225)의 밸브체(228)는 펌프 토출구(221b)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일섬프의 오일은 오일 흡입튜브(230)와 흡입측 역지밸브(224) 및 펌프 흡입구(221a)를 통하여 펌프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피스톤(222)이 하강하게 되면, 펌프 하우징(221)의 내부에 토출압이 작용하게 되어 흡입측 역지밸브(224) 및 토출측 역지밸브(225)의 각 밸브체(227)(228)는 각각 오일 흡입튜브(230) 및 오일 토출튜브(240)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토출측 역지밸브(225)의 밸브체(228)는 밸브 스토퍼(229)에 의해서 오일 토출튜브(240)를 폐쇄하지 못하고, 토출측 역지밸브(225)의 밸브체(228)는 오일 흡입튜브(230)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펌프 하우징(221) 내부의 오일을 펌프 토출구(221b)와 토출측 역지밸브(225) 및 오일 토출튜브(240)를 통하여 회전축(150)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이 형성되는 선회베인 압축기를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로 구성함으로써 에어컨의 실외기 등에 적용시 상기 실외기의 소형화 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로 구성함에 따른 급유의 문제점을 오비터의 선회운동을 이용한 펌핑 작동에 의해서 오일섬프 내의 오일을 강제로 회전축의 오일공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유의 원활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일펌프와 함께 회전축의 오일공 입구측에 오일 흡입 능력을 갖는 프로펠러를 부가함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원주면에 토출튜브 및 흡입튜브가 형성되는 횡방향의 쉘 내부에 편심부를 갖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압축부 및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압축부의 좌.우측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의해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부는 일측으로 흡입구를 갖는 실린더 내부의 작동공간에서 회전축의 편심부에 결합되고 자전이 방지된 오비터의 랩이 선회운동을 하여 상기 랩의 내.외측으로 압축실 및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오비터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오일을 오일섬프에서 회전축으로 공급하는 급유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 베어링의 토출구측으로 머플러를 형성하여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토출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부를 관통하여 토출실과 연통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유수단은 일측 및 타측에 오일섬프 내의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튜브와 회전축과 연통하는 오일 토출튜브를 가지며, 오비터와 연동하여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는 오일펌프로 구성된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는 오비터의 선회운동 및, 양측으로 펌프 흡입구와 펌프 토출구를 갖는 펌프 하우징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펌프 흡입구에 밸브 하우징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오일 흡입튜브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오일홈을 갖는 밸브체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된 흡입측 역지밸브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펌프 토출구에 밸브 하우징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오일 토출튜브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토출측으로 밸브 스토퍼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오일홈을 갖는 밸브체가 측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비된 토출측 역지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오일공 입구측에 오일 흡입 능력을 갖는 프로펠러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KR1020050010703A 2005-02-04 2005-02-04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703A KR100669890B1 (ko) 2005-02-04 2005-02-04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US11/208,722 US20060177339A1 (en) 2005-02-04 2005-08-23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CNB2005100915656A CN100467872C (zh) 2005-02-04 2005-08-23 卧式绕动叶片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703A KR100669890B1 (ko) 2005-02-04 2005-02-04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890B1 true KR100669890B1 (ko) 2007-01-19

Family

ID=3678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7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890B1 (ko) 2005-02-04 2005-02-04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77339A1 (ko)
KR (1) KR100669890B1 (ko)
CN (1) CN10046787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94A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49B1 (ko) * 2012-12-28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101973623B1 (ko) * 2012-12-28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092A (ja) * 1989-08-07 1991-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横置形回転圧縮機
KR940012888A (ko) * 1992-11-03 1994-06-24 백중영 무선 송수신기의 랜덤코드 처리장치 및 방법
KR950010176B1 (ko) * 1992-12-31 1995-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횡형 로타리 압축기의 급유장치
KR960001190Y1 (ko) * 1993-07-22 1996-02-08 엘지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급유장치
KR20040007984A (ko) * 2002-07-15 2004-01-28 김현진 베인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980A (ja) 1994-03-11 1995-09-26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JPH07293470A (ja) 1994-04-26 1995-11-07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JPH0921393A (ja) 1995-07-07 1997-01-21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JPH0988858A (ja) 1995-09-29 1997-03-31 Matsushita Refrig Co Ltd 回転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092A (ja) * 1989-08-07 1991-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横置形回転圧縮機
KR940012888A (ko) * 1992-11-03 1994-06-24 백중영 무선 송수신기의 랜덤코드 처리장치 및 방법
KR950010176B1 (ko) * 1992-12-31 1995-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횡형 로타리 압축기의 급유장치
KR960001190Y1 (ko) * 1993-07-22 1996-02-08 엘지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급유장치
KR20040007984A (ko) * 2002-07-15 2004-01-28 김현진 베인 압축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067092 *
1020040007984 *
201994001288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94A (ko) * 2016-08-30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2197862B1 (ko) * 2016-08-30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7339A1 (en) 2006-08-10
CN100467872C (zh) 2009-03-11
CN1815025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66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0602228B1 (ko) 저압식 선회베인 압축기
KR100581567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방법
KR100715772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KR100590494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KR100624374B1 (ko) 선회베인 압축기
KR100669890B1 (ko)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JP2005509802A (ja) 密閉型圧縮機
CN100494686C (zh) 旋转式流体机械
KR1005570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624378B1 (ko)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KR100679883B1 (ko) 밀폐형 선회베인 압축기
KR100575700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냉매흡입구조
KR100679885B1 (ko) 측방향 흡입구조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KR100408246B1 (ko) 밀폐형 회전식 트윈 압축기의 토출구조
JPS62199984A (ja) スクロ−ル型圧縮装置
KR100578662B1 (ko) 스크롤압축기의 진공방지장치
KR10036023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KR100635821B1 (ko) 인버터 압축기의 급유량 제어장치
KR10034368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가스 냉각장치
KR100581571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토출구 구조
KR100590493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KR100679886B1 (ko) 급유 기능을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용 선회베인
KR100581560B1 (ko) 확장 흡입유로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KR19980015241U (ko)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016

Appeal identifier: 2006101007680

Request date: 2006082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