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7082B1 -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082B1
KR100667082B1 KR1020050104549A KR20050104549A KR100667082B1 KR 100667082 B1 KR100667082 B1 KR 100667082B1 KR 1020050104549 A KR1020050104549 A KR 1020050104549A KR 20050104549 A KR20050104549 A KR 20050104549A KR 100667082 B1 KR100667082 B1 KR 100667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layer
film
light emitting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억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082B1/ko
Priority to US11/591,910 priority patent/US797786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082B1/ko
Priority to US13/109,910 priority patent/US8604688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10/82Electrodes
    • H10K10/84Ohmic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금속막, 상기 제 1 금속막 상에 위치한 제 2 금속막 및 상기 제 2 금속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막은 접착금속막이며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반사율이 향상되고 제 1 전극과 평탄화막의 접착력이 향상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 제 1 전극, 접착력, 티타늄, 알루미늄, 은, 은 합금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버퍼층
120: 반도체층 130: 게이트 절연막
140: 게이트 전극 150: 층간절연막
160a,160b: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
170: 평탄화막 180: 제 1 전극
180a: 제 1 금속막 180b: 제 2 금속막
180c: 투명도전막 190: 유기막층
200: 제 2 전극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 1 전극과 평탄화막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반사형 즉,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투과형 즉, 빛을 투과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 2 전극 방향으로 방출시키는 전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형 제 1 전극으로는 반사특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일함수를 가지는 도전물질이 적당하나, 이러한 특성들을 동시에 만족하고 적용가능한 단일물질은 현재 없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현재 상기 반사형 제 1 전극을 다층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특성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사형 제 1 전극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반사금속막(11a)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사금속막(11a) 상에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도전막(11b)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투명도전막(11b)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투명도전막(11b)과 상기 반사금속막(11a)을 차례로 식각한다. 이로써, 상기 반사금속막(11a)과 상기 투명도전막(11b)이 차례로 적층된 제 1 전극(11)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스트립용액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전극(11) 상에 적어도 유기발광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한다.
상기 제 1 전극(11)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전막(11b)은 높은 일함수를 갖을 뿐 아니라 투명하며,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한 반사금속막(11a)은 반사특성이 우수한 막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11)는 상기 유기발광층으로 정공을 수월하게 주입할 뿐 아니라,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반사금속막(11a)과 상기 ITO막(11b)은 일함수의 차이가 커서, 이들 사이의 계면특성이 저하되므로 반사율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사금속막(11a)과 투명도전막(11b)의 식각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금속막(11a)과 투명도전막(11b)은 상기 스트립용액에 동시에 노출되게 되어, 상기 반사금속막(11a)과 투명도전막(11b) 사이에는 갈바닉(galvanic) 현상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금속막(11a)를 섬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반사금속막(11a)과 투명도전막(11b)이 상기 스트립용액에 동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이 또한 상기 반사금속막(11a)과 투명도전막(11b)의 패터닝을 별도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반사율을 향상시키고 제 1 전극과 평탄화막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금속막, 상기 제 1 금속막 상에 위치한 제 2 금속막 및 상기 제 2 금속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 상에 제 1 금속 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 1 금속막 상에 제 2 금속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 2 금속막 상에 투명도전막을 적층하고; 상기 투명도전막, 제 2 금속막 및 제 2 금속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제공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판(100) 상에 버퍼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을 사용하여 선택 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버퍼층(110) 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120a, 120c) 및 채널 영역(120b)을 갖는 반도체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120)은 상기 버퍼층(110) 상에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ELA(Excimer Laser Annealing),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또는 MILC(Ma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법을 사용하여 결정화하고 이를 패터닝한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도체층(12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13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20)과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막(130)의 소정 영역 상에 게이트 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40)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Mo 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몰리브덴-텅스텐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전극(140)을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층간절연막(150)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절연막(15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후속하여 형성될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60a, 160b)을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층간절연막(150)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140)을 식각하여 상기 소오스/ 드레인 영역(120a, 120b)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155a, 155b)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콘택홀(155a, 155b)을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120a, 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60a, 160b)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60a, 160b)은 배선 저항을 낮추기 위해 저저항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및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60a, 160b)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 상에 평탄화막(170)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막(17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및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을 사용하여 0.5 내지 1㎛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평탄화막(170)을 식각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160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비어홀(175)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비어홀(175)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160b)과 연통되도록 제 1 금속막(180a) 및 제 2 금속막(180b)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2 금속막(180a,180b)은 스퍼터링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금속막(180a)은 상기 평탄화막과의 접착력이 좋은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은 저항이 낮은 금속으로서, 상기 제 1 금속막(180a)과 드레인 전극과 거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드레인 전극과의 콘택시 저항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금속막(180b)는 광을 반사시키는 금속막으로 반사특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금속막(180a)의 두께는 50 내지 2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금속막(180a)의 두께가 50Å보다 작으면, 제 1 금속막(180a)의 두께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상기 제 1 금속막(180a)의 두께가 200Å보다 크면, 상기 제 1 금속막(180a)의 막 스트레스가 커져서 상기 제 1 금속막(180a)과 제 2 금속막(180b)의 접착력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금속막(180b)은 500Å 내지 1200Å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 금속막(180b)의 두께가 500Å보다 작으면 적절한 반사특성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상기 제 2 금속막(180b)의 두께가 2000Å보다 크면 막 스트레스가 커져서 상기 제 1 금속막(180a) 및 후속하여 형성될 투명도전막(180c)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제 2 금속막(180b) 상에 투명도전막(180c)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도전막(180c)은 전도성을 갖고 투명한 막으로 높은 일함수를 갖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투명도전막(180c)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투명도전막(180c), 제 2 금속막(180b) 및 제 1 금속막(180a)을 차례로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 1 금속막(180a), 제 2 금속막(180b) 및 투명도전막(180c)이 차례로 적층된 반사형 제 1 전극(18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스트립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 전극(180)은, 제 1 금속막(180a)으로 접착력이 좋 은 티타늄을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제 1 전극(180)과 상기 평탄화막(170)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180)에 있어서, 반사금속막인 제 2 금속막(180b)으로 반사율이 좋은 은 또는 은 합금을 사용하였으므로 제 1 전극(180)의 반사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트립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용액에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막(180a,180b)과 상기 투명도전막(180c)이 동시에 노출되더라도 갈바닉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이들을 일괄식각할 수 있으므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전극(180)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전극(180)의 표면을 물로 세정한 다음, 상기 투명도전막(180c) 상에 화소정의막(pixel defined layer; 18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화소정의막(185)을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함으로써, 상기 화소정의막(185) 내에 상기 투명도전막(180c)의 소정영역을 노출시켜,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186)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정의막(185)은 아크릴계 포토레지스트, BCB(benzocyclobutene), 페놀계 포토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노출된 투명도전막(180c) 상에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막층(19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막층(190)은 상기 유기발광층 외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기막층(190) 상에 제 2 전극(2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200)은 Mg, Ca, Al, Ag, Ba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하되, 빛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반사형 제 1 전극(180), 상기 제 2 전극(20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190)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금속막(180a)으로 접착력이 좋은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였으므로 상기 제 1 전극(180)과 상기 평탄화막(170)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반사금속막인 제 2 금속막(180b)으로 반사율이 좋은 은 또는 은 합금을 사용하였으므로 제 1 전극(180)의 반사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트립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용액에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막(180a,180b)과 상기 투명도전막(180c)이 동시에 노출되더라도 갈바닉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이들을 일괄식각할 수 있으므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 1 전극과 평탄화막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을 간소화하여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금속막, 상기 제 1 금속막 상에 위치한 제 2 금속막 및 상기 제 2 금속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한 투명도전막;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한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막은 접착금속막이며,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막의 두께는 50 내지 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막은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막의 두께는 500 내지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5.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 상에 제 1 금속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 1 금속막 상에 제 2 금속막을 적층하고;
    상기 제 2 금속막 상에 투명도전막을 적층하고;
    상기 투명도전막, 제 2 금속막 및 제 2 금속막을 차례로 식각하여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도전막 상에 적어도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막은 접착금속막이며, 티타늄(Ti) 또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막은 50 내지 2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막은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막은 500 내지 2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104549A 2005-11-02 2005-11-02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0667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49A KR100667082B1 (ko) 2005-11-02 2005-11-02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591,910 US7977860B2 (en) 2005-11-02 2006-11-01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3/109,910 US8604688B2 (en) 2005-11-02 2011-05-17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49A KR100667082B1 (ko) 2005-11-02 2005-11-02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082B1 true KR100667082B1 (ko) 2007-01-10

Family

ID=3786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549A Active KR100667082B1 (ko) 2005-11-02 2005-11-02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977860B2 (ko)
KR (1) KR100667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456A (ko) * 2004-05-25 2005-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7082B1 (ko) * 2005-11-02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0318B1 (ko) * 2007-04-12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7972B1 (ko) 2010-11-10 2017-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5969216B2 (ja) * 2011-02-11 2016-08-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これらの作製方法
KR101821167B1 (ko) * 2011-08-30 2018-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구조를 갖는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2709243B (zh) * 2012-05-18 2015-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114314B1 (ko) * 2013-06-26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654778B (zh) 2016-12-09 2019-03-21 南韓商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7170761B (zh) * 2017-06-12 2020-03-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08232028B (zh) * 2017-12-29 2020-11-06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8232032B (zh) * 2018-01-05 2020-10-09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JP7414730B2 (ja) * 2018-11-20 2024-01-1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EP4131396A4 (en) * 2020-03-27 2023-05-2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N112271268A (zh) 2020-11-05 2021-01-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802905A (zh) * 2021-02-04 2021-05-1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8205B2 (en) 2002-02-07 2004-1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using wet etching to trim a critical dimension
US20030181042A1 (en) 2002-03-19 2003-09-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tching uniformity in wet bench tools
JP2004200141A (ja) 2002-10-24 2004-07-15 Toyota Industries Corp 有機el素子
JP2006526274A (ja) 2003-04-23 2006-11-16 ツェン−ホン ルー 埋込み電荷注入電極を有する発光デバイス
KR100496425B1 (ko) 2003-05-30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8283679B2 (en) 2003-06-30 2012-10-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receiving element for transmitting among circuits formed over the plurality of substrates
US7205716B2 (en) * 2003-10-20 2007-04-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7427783B2 (en) 2004-04-07 2008-09-23 Samsung Sdi Co., Ltd.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auxiliary electrode to prevent voltage drop of upper electrode
KR100623252B1 (ko) * 2004-04-07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9198B1 (ko) 2004-09-08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358538B2 (en) 2004-10-28 2008-04-15 Zheng-Hong Lu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containing fullerene
KR101112534B1 (ko) 2005-03-04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7082B1 (ko) * 2005-11-02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081B1 (ko) * 2005-11-02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524226B2 (en) 2006-10-10 2009-04-2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device with adjusted filter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04688B2 (en) 2013-12-10
US20110215330A1 (en) 2011-09-08
US7977860B2 (en) 2011-07-12
US20070096613A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45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97786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181143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8167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52388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556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521295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976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0873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8636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20238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0600872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424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423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049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09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75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397B1 (ko) 평판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4550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