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6277B1 -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 Google Patents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277B1
KR100666277B1 KR1020050084503A KR20050084503A KR100666277B1 KR 100666277 B1 KR100666277 B1 KR 100666277B1 KR 1020050084503 A KR1020050084503 A KR 1020050084503A KR 20050084503 A KR20050084503 A KR 20050084503A KR 100666277 B1 KR100666277 B1 KR 10066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outer tray
passenger
hook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영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7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0Foot rests or foo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발이 보관되는 장소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foot rest equipped with a shoe tray that can be used as a place where shoes are stored, as well as allowing the foot to be placed for the convenience of a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운전석 옆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뻗어 놓을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언더 플로워 사이에 풋 레스트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풋 레스트 공간에 승객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조수석 풋 레스트가 형성되는 구조에 있어서,The footrest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underfloor to allow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next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footrest is formed so that the passenger's foot can be placed in the footrest space. In

상부와 전방이 개방형성된 케이스로 상기한 풋 레스트 공간에 고정장착되는 아웃터 트레이와;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의 개방된 면을 통해 수납된 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고, 그 내부공간은 신발의 보관을 위한 슈즈 케이스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개방이 허용되는 인너 트레이와;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가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아웃터 트레이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아웃터 트레이의 일측면 하부에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가 차체에 대하여 탈부착될 수 있도록 아웃터 트레이의 일측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훅과, 상기 후방 훅의 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방 훅과, 상기 후방 훅과 전방 훅이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플로워 도중에 형성된 후방 및 전방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과; 상기한 후방 훅이 스톱퍼에 걸린 상태에서 아웃터 트레이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훅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후방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의 위치이동이 허용되도록 아웃터 트레이에 마 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한 후방 스프링 시트와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의 전방 끝부분에 형성되는 전방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와 전방 스프링 시트 간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uter tray fixedly mounted to the foot rest space with a case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n open portion; An inner tray which is accommodated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is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n inner space of which is allowed to be opened up and down to be used as a shoe case for storing shoes; One side of the outer tray allows the outer tray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allows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outer tray by a user's operation, and the outer tra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body on one side of the outer tray. Fastening means comprising a rear hook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hook, a front hook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rear hook, and a rear and front stopper formed during the under-floor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hook and the front hook correspond to each other; A rear spring seat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hook and a guide provided on the outer tray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rear spring seat to allow the rear hook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tate where the rear hook is caught by the stopper.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rail, a front spring shee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rear spring sheet,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pring sheet and the front spring shee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escription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Foot rest having a shoes tray}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Foot rest having a shoes tra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조수석 풋 레스트의 정면구성도.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ssenger seat foot rest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터 트레이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너 트레이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터 트레이의 작동상태도.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인너 트레이의 작동상태도.7 to 9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언더 플로워 12 : 블로워 유닛10: underfloor 12: blower unit

14 : 풋 레스트 공간 15 : 후방 스톱퍼14: foot rest space 15: rear stopper

16a : 1단 전방 스톱퍼 16b : 2단 전방 스톱퍼16a: 1st front stopper 16b: 2nd front stopper

20 : 풋 레스트 30 : 아웃터 트레이20: Foot Rest 30: Outer Tray

35 : 작동실 36 : 가이드 레일35: operating room 36: guide rail

37 : 제1가이드 38 : 힌지 가이드 레일37: first guide 38: hinge guide rail

39 : 작동공간 40 : 인너 트레이39: operating space 40: inner tray

41 : 베이스 플레이트 42 : 커버41 base plate 42 cover

44 : 가동 힌지 45 : 제2가이드44: movable hinge 45: second guide

51 : 후방 훅 52 : 전방 훅51: rear hook 52: front hook

53 : 후방 스프링 시트 54 : 전방 스프링 시트53: rear spring seat 54: front spring seat

55 : 스프링 57 : 푸쉬 스위치55: spring 57: push switch

본 발명은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체형과 습관이 각각 다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풋 레스트의 상하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탈거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이 보관되는 장소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foot rest provided with a shoe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put a foot for the convenience of a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oot rest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having different body shapes and habits. It relates to a passenger seat foot rest with a shoe tray that can be changed and removed when not in use, as well as being used as a storage location.

승용차 등의 차량에는 운전석의 옆에 동반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동반석이 형성되는데, 이 자리를 흔히 조수석이라고 부르고 있다.A driver's seat is formed in a vehicle such as a passenger car to allow a passenger to sit next to the driver's seat, which is commonly called a passenger seat.

한편,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발을 앞으로 뻗어 보다 편안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마련되는 블로워 유닛의 하부와 언더 플로워 사이에는 승객의 발이 놓일 수 있는 풋 레스트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tend the foot of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to be in a more comfortable state, a foot rest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and the underfloor of the blower unit provided inside the instrument panel.

그리고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풋 레스트 공간의 상부 위치에 해당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장갑 등과 같은 작은 물건들이 보관될 수 있는 글로브 박스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strume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foot rest space provided for the passenger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is provided with a glove box for storing small items such as gloves.

그런데 상기와 같이 운전자 동반석에 앉은 승객의 발을 뻗을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에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발의 편안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별도의 풋 레스트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서 승객에서 충분한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였다.However, in the space provided to extend the foot of the passenger seated in the driver's seat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no separate foot rest that could be comfortably placed on the foot of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and thus did not provide sufficient convenience in the passenger. .

한편, 일부 운전자의 경우에는 운전을 할 때에 바꿔 신기 위한 신발을 조수석의 앞 공간에 보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 차량의 실내 미관상으로 안좋았을 뿐만 아니라 그 자리에 승객이 탑승할 경우에 보관되어 있던 신발을 급하게 치워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some drivers store their shoes in front of the passenger seat to change them when driving.In this case, they are not only bad for the interior aesthetics of the vehicle, but also when the passengers are on the spot.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remove the shoes in a hur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체형과 습관이 각각 다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풋 레스트의 상하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탈거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이 보관되는 장소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it can be put on the foot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and the change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oot rest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with different body types and habi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ssenger foot rest with a shoe tray that is capable of being used and can be removed when not in use as well as a place where shoes are sto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운전석 옆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뻗어 놓을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언더 플로워 사이에 풋 레스트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풋 레스트 공간에 승객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조수석 풋 레스트가 형성되는 구조에 있어서,The footrest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underfloor to allow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next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footrest is formed so that the passenger's foot can be placed in the footrest space. In

상부와 전방이 개방형성된 케이스로 상기한 풋 레스트 공간에 고정장착되는 아웃터 트레이와;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의 개방된 면을 통해 수납된 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고, 그 내부공간은 신발의 보관을 위한 슈즈 케이스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개방이 허용되는 인너 트레이와;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가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아웃터 트레이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아웃터 트레이의 일측면 하부에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가 차체에 대하여 탈부착될 수 있도록 아웃터 트레이의 일측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훅과, 상기 후방 훅의 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방 훅과, 상기 후방 훅과 전방 훅이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플로워 도중에 형성된 후방 및 전방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과; 상기한 후방 훅이 스톱퍼에 걸린 상태에서 아웃터 트레이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훅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후방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의 위치이동이 허용되도록 아웃터 트레이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한 후방 스프링 시트와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의 전방 끝부분에 형성되는 전방 스프링 시트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와 전방 스프링 시트 간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uter tray fixedly mounted to the foot rest space with a case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n open portion; An inner tray which is accommodated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outer tray and is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n inner space of which is allowed to be opened up and down to be used as a shoe case for storing shoes; One side of the outer tray allows the outer tray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allows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outer tray by a user's operation, and the outer tra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body on one side of the outer tray. Fastening means comprising a rear hook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hook, a front hook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rear hook, and a rear and front stopper formed during the under-floor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hook and the front hook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ar spring seat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hook and the guide rail provided in the outer tray to allow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rear spring seat to allow the rear hook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outer tray while the rear hook is caught by the stopper. And a front spring sheet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rear spring sheet,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pring sheet and the front spring shee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풋 레스트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assenger seat foot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조수석 풋 레스트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터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너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터 트레이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인너 트레이의 작동상태도이다.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ssenger seat foot rest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n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9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of an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풋 레스트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과 40은 각각 아웃터 트레이와 인너 트레이를 지시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20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s a foot rest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s 30 and 40 designate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respectively.

상기한 풋 레스트(20)는 자동차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뻗은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언더 플로워(10)와 블로워 유닛(12) 사이에 마련된 풋 레스트 공간(14)에 장착되므로서,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보다 편안한 상태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신발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oot rest 20 is mounted in the foot rest space 14 provided between the underfloor 10 and the blower unit 12 so that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can be in an extended state, Not only does it allow passengers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to place their feet more comfortably, but also allows the shoes to be stored in the spaces formed inside them.

조수석 승객이 보다 편안한 상태로 발을 올려 놓도록 하거나 그 내부공간에 신발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풋 레스트(20)는 크게 아웃터 트레이(30)와 인너 트레이(40)로 구분형성된다. 아웃터 트레이(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 플로워(10)에 장착되어 그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 이고, 인너 트레이(40)는 상기 아웃터 트레이(30)에 개방된 측을 통해서 수용된 후에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그 내부공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foot rest 20 is largely divided into an outer tray 30 and an inner tray 40 in order to allow the passenger to rest on the foot more comfortably or to store the shoes in the inner spac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tray 30 is mounted to the underfloor 10 and is formed to adjust its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inner tray 40 has a side open to the outer tray 30. After being accommodated through,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state.

우선, 아웃터 트레이(30)는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채로 바닥면(31), 후방면(32), 양측면(33,34)을 가진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측면(34)의 외측으로는 후설할 고정수단과 조절수단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의 작동실(35)이 별도로 마련된다.First, the outer tray 3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bottom surface 31, a rear surface 32, and both side surfaces 33 and 34 with the top and front sides open.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 34 of the one sid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chamber 35 of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fixing means and the adjustment means to be rearranged.

아웃터 트레이(30)의 바닥면(31) 중앙부분의 상부에는 인너 트레이(40)가 장착된 후에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너 트레이(4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36)이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 레일(36)의 상부측에는 가이드 레일(36)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제1가이드(37)가 연장형성된다.In order to not only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after the inner tray 4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31 of the outer tray 30, but also to allow the inner tray 40 to be slidably moved. The guide rail 36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first guide 37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rail 36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36.

아웃터 트레이(30)의 양측벽 내측에는 각각 인너 트레이(40)가 조립된 후에 인너 트레이(40)의 커버 부분이 회동동작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힌지 가이드 레일(38)이 호형상으로 형성된다.Hinge guide rails 38 for guiding that the cover portion of the inner tray 40 is rotated after the inner tray 40 is assembled, respectively, are formed in an arc shape inside both side walls of the outer tray 30.

그리고 인너 트레이(40)는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42)로 구분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41)와 커버(42)는 힌지축(43)로써 결합되어 그 힌지축(43)을 회전기점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1)에 대하여 커버(42)가 회동되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42)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기 편할 수 있도록 그 전방의 소정구간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The inner tray 40 is divided into a base plate 41 positioned below and a cover 42 positioned above, and the base plate 41 and the cover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shaft 43. The hinge shaft 43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s the cover 4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41 from the rotational starting point. The cover 42 has a predetermined section in front of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t the foot.

인너 트레이(40)의 폭은 아웃터 트레이(30)의 개방공간의 폭으로 형성되며, 커버(42)의 양측단 도중에는 상기 아웃터 트레이(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 가이드 레일(38)에 조립되기 위한 가동 힌지(44)가 각각 돌출형성된다.The width of the inner tray 40 is formed to be the width of the open space of the outer tray 30, and is assembled to the hinge guide rails 38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er tray 30 during both ends of the cover 42. The movable hinges 44 are each protruded.

인너 트레이(4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저면에는 아웃터 트레이(30)의 가이드 레일(36)에 마련된 제1가이드(37)와 계합되어 아웃터 트레이(30)와 인너 트레이(40)의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아웃터 트레이(30)에 대하여 인너 트레이(4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허용되도록 제2가이드(45)가 돌출형성된다. 제1가이드(37)와 제2가이드(45)의 각 끝단부에는 훅형상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41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ray 40 is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37 provided on the guide rail 36 of the outer tray 30 to form the outer tray 30 and the inner tray 40.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guide 45 is protruded to allow the inner tray 40 to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y 30. Each end of the first guide 37 and the second guide 45 preferably has a hook-shaped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전방으로는 사용자가 인너 트레이(40)를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46)가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된다.In front of the base plate 41, a handle 46 for allowing the user to pull the inner tray 40 by hand is protruded toward the front.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인너 트레이(40)는 그 양측면이 개방된 채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양측면에도 벽이 형성되어 닫힌 상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Inner tray 40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both sides of the open, but both sides may be formed in the wall is formed in a closed state.

한편, 상기한 풋 레스트(20)가 차체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아웃터 트레이(30)의 작동실(35)에는 후방 훅(51)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훅(51)의 전방으로는 상기 후방 훅(51)과 함께 차체의 언더 플로워(10)에 고정되기 위한 전방 훅(52)이 형성된다.Meanwhile, a rear hook 51 is formed in the operation chamber 35 of the outer tray 30 as a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oot rest 20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rear hook 51. In front of the front hook 52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under floor 10 of the vehicle body together with the rear hook 51.

상기한 전방 훅(51)과 후방 훅(52)와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플로워(10)의 도 중에는 후방 훅(51)과 전방 훅(52)의 하부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후방 스톱퍼(15)와 전방 스톱퍼(16a,16b)가 형성된다. 특히, 전방 스톱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1단 전방 스톱퍼(16a)와 2단 전방 스톱퍼(16b)로 형성된다.During the under-floor 1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hook 51 and the rear hook 52, the rear stopper 15 and the rear stopper 15 can be caught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rear hook 51 and the front hook 52 can be caught. Front stoppers 16a and 16b are formed. In particular, the front stopper is formed of a first stage front stopper 16a and a second stage front stopper 16b at predetermined intervals.

후방 스톱퍼(15)에 하단이 걸리도록 형성된 후방 훅(51)의 상부측으로는 스프링(55)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후방 스프링 시트(53)가 상부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53)의 전방으로 소정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후방 스프링 시트(53)와 대응되는 전방 스프링 시트(54)가 돌출형성된다. 후방 스프링 시트(53)와 전방 스프링 시트(54) 사이에는 상기한 후방 훅(51)을 탄력지지하기 위한 스프링(55)이 개재된다.The rear spring seat 53 extends upwardly so that one end of the spring 55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hook 51 formed to catch the lower end of the rear stopper 15, and the rear spring seat ( The front spring sheet 54 corresponding to the rear spring sheet 53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5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spring seat 53 and the front spring seat 54, a spring 5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hook 51 is interposed.

상기한 스프링(55)이 개재되는 위치를 제공하며 후방 훅(51)과 일체로 된 후방 스프링 시트(53)의 위치이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후방 시프링 시트(53)와 전방 스프링 시트(54)가 위치되는 아웃터 트레이(30)의 구간에는 작동공간(39)이 관통형성된다.The rear sifting seat 53 and the front spring seat (c) provide a position at which the spring 55 is interposed and allow the movement of the rear spring seat 53 integrated with the rear hook 51. In the section of the outer tray 30 where the 54 is located, the working space 39 is formed through.

한편, 전방 스톱퍼(16a,16b)에 위치되는 전방 훅(52)의 하단이 걸리는 위치가 1단 전방 스톱퍼(16a) 또는 2단 전방 스톱퍼(16b) 중에서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전방 훅(52)의 상단으로 하부 링크(55)가 연장형성되고, 아웃터 트레이(30)의 전방에 마련된 푸쉬 스위치(57)의 하부측으로 상부 링크(56)가 연장형성되며, 상기한 상부 링크(56)와 하부 링크(55)는 서로 힌지에 의해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전방 훅(52)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서 하부 링크(55)의 도중 은 아웃터 트레이(40)의 측면벽에 힌지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ow the lower end of the front hook 52 positioned on the front stoppers 16a and 16b to be selected from the first-stage front stopper 16a or the two-stage front stopper 16b. The lower link 55 is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52, the upper link 56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sh switch 57 provided in front of the outer tray 30, the upper link 56 and The lower link 55 is assembled so as to be rotatable by a hinge to each other, the middle of the lower link 55 is hinged to the side wall of the outer tray 40 in order to hold the position of the front hook (52).

아웃터 트레이(40)의 전방에 마련되는 푸쉬 스위치(57)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푸쉬 스위치(57)의 하부가 리턴 스프링(58)으로써 탄력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 push switch 57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outer tray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art of the push switch 57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58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수석 풋 레스트의 작동상태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ssenger seat foot res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조수석 풋 레스트(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풋 레스트로 사용될 수도 있고 슈즈 트레이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인만큼, 그 사용상태의 설명을 풋 레스트로 사용할 경우와 슈즈 트레이로 사용할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passenger seat foot rest 20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used as a foot rest or a shoe tray by a user's selection,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use state is used as a foot rest and a shoe tray. The description will be divided into the case of use.

우선,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풋 레스트(20)를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풋 레스트(2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First, when using the foot rest 20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 sitting on the passenger seat for the purpose of placing the foo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oot rest 20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예를 들어, 풋 레스트(20)의 위치를 앞으로 당기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푸쉬 스위치(57)를 눌러 푸쉬 스위치(57)와 연동되는 전방 훅(52)이 1단 전방 스톱퍼(16a)에서 걸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전방 훅(52)이 1단 전방 스톱퍼(16a)에서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풋 레스트(20) 몸체를 전방으로 끌어 당기게 되면, 전방 스프링 시트(54)와 후방 스프링 시트(5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55)이 압축되면서 풋 레스트(20)의 몸체는 언더 플로워(10)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진다. 설정된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풋 레스트(20) 몸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전방 훅(52)의 하단이 2단 전방 스톱퍼(16b)에 걸리게 되면서 전방 스프링 시트(54)와 후방 스프링 시트(53)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55)이 압축된 상태에서 풋 레스트(20)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조수석에 앉은 승객에 대하여 발을 올려놓기 위한 부분이 보다 전진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pull the position of the foot rest 20 forward, the user presses the push switch 57 so that the front hook 52 interlocked with the push switch 57 is caught by the first-stage front stopper 16a. To be released. When the user pulls the foot rest 20 body forward while the front hook 52 is released from the first-stage front stopper 16a, between the front spring seat 54 and the rear spring seat 53 As the interposed spring 55 is compressed, the body of the foot rest 20 is slidably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nder follower 10. When the foot rest 20 body is moved within the set stroke range, the lower end of the front hook 52 is caught by the two-stage front stopper 16b,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spring seat 54 and the rear spring seat 53. The foot rest 20 is in a fixed state while the spring 55 is compressed. That is, the portion for placing the foot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is in a more advanced state.

사용자가 풋 레스트(20)의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푸쉬 스위치(57)를 눌러 2단 전방 스톱퍼(16b)로부터 전방 훅(5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면, 전방 스프링 시트(54)와 후방 스프링 시트(53) 사이에 압축된 채 개재되어 있던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위해서 풋 레스트(2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ot rest 20 backward, the push switch 57 is pressed to release the latching state of the front hook 52 from the two-stage front stopper 16b. Then, the foot rest 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fo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5 interposed while being compressed between the front spring seat 54 and the rear spring seat 53.

이상과 같이 풋 레스트(20)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조수석에 앉은 승객은 인너 트레이(40)의 전방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 발을 올려놓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in the state where the foot rest 20 is adjusted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exposed in front of the inner tray 40.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풋 레스트(20)를 슈즈 트레이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너 트레이(30)의 베이스 플레이트(41) 전방에 마련된 손잡이(46)를 앞으로 당기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foot rest 20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a shoe tray, the handle 46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plate 41 of the inner tray 30 is pulled forward.

베이스 플레이트(41)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에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커버(42) 사이를 구속하고 있는 힌지축을 회동기점으로 하여 커버(42)는 그 양 측에 구비된 가동 힌지(44)가 힌지 가이드 레일(38)의 안내를 받으며 회동되어진다.The cover 42 is provided with movable hinges 44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the hinge axis restraining between the base plate 41 and the cover 42 as the pivot point for the force to be pulled forward. Is rotated under the guidance of the hinge guide rail (38).

따라서, 인너 트레이(40)의 커버(42)는 베이스 플레이트(41)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가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41)의 동작과 연결하여 커버(42)가 개방되는 동작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 사용자는 커버(42)를 직접 개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over 42 of the inner tray 40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41. When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cover 42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base plate 41 is not easy, the user may directly open the cover 42.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인너 트레이(40)의 커버(42)가 상부로 회동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41)가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서, 사용자는 아웃터 트레이(30)와 인너 트레이(40)의 조립에 의해서 슈즈 트레이로 사용될 내부공간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As the cover 42 of the inner tray 4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by the above operation, the base plate 41 is pulled forward, so that the user can assemble the shoes by the assembly of the outer tray 30 and the inner tray 40. The shoe can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that will be used as a tray.

그리고 풋 레스트(20)가 슈즈 트레이로 사용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풋 레스트(20)의 위치를 조절해가면서 풋 레스트(20)의 인너 플레이트(40) 경사면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And even when the foot rest 20 is used as a shoe tray, the user can put the foo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plate 40 of the foot rest 20 while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ot rest 20.

이상과 같이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는 조수석에 앉은 승객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풋 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풋 레스트 본연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또는 승객의 신발이 보관될 수 있는 슈즈 트레이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서 풋 레스트 공간에 신발이 노출된 채로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실내 미관에도 유리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seat footrest provided with the shoe tray can be used as a function of the footres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assenger seated in the passenger seat, and also store the driver's or passenger's shoes. It can also be used as a shoe tray, which prevents the shoes from being stored in the footrest space, which is a great advantage to the interior aesthetics of the vehicle.

Claims (4)

운전석 옆의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발을 뻗어 놓을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언더 플로워 사이에 풋 레스트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풋 레스트 공간에 승객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조수석 풋 레스트가 형성되는 구조에 있어서,The footrest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underfloor to allow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next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footrest is formed so that the passenger's foot can be placed in the footrest space. In 상부와 전방이 개방형성된 케이스로 상기한 풋 레스트 공간(14)에 고정장착되는 아웃터 트레이(30)와;An outer tray 30 fixedly mounted to the foot rest space 14 in a case in which an upper portion and a front portion are opened;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30)의 개방된 면을 통해 수납된 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고, 그 내부공간은 신발의 보관을 위한 슈즈 케이스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개방이 허용되는 인너 트레이(40)와;The inner tray is accommodated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outer tray 30 and then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inner space is allowed to be opened up and down in order to be used as a shoe case for storing shoes. 40;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30)가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아웃터 트레이(30)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아웃터 트레이(30)의 일측면 하부에 상기한 아웃터 트레이(30)가 차체에 대하여 탈부착될 수 있도록 아웃터 트레이(30)의 일측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훅(51)과, 상기 후방 훅(51)의 전방에 소정 걸리를 두고 형성된 전방 훅(52)과, 상기 후방 훅(51)과 전방 훅(52)이 대응되는 위치의 언더 플로워(10) 도중에 형성된 후방 스톱퍼(15) 및 전방 스톱퍼(16a,16b)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과;The outer tray 3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outer tray 30 is allowed by a user's operation, and the outer tray 30 is disposed below one side of the outer tray 30. The rear hook 51 formed at the rear of the outer side of the outer tray 30 so that the vehicle body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ehicle body, the front hook 5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ook in front of the rear hook 51, and the rear hook. Fastening means comprising a rear stopper 15 and a front stopper 16a, 16b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nderfloor 10 at a position where the 51 and the front hooks 52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한 후방 훅(51)이 후방 스톱퍼(51)에 걸린 상태에서 아웃터 트레이(30)의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훅(51)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후방 스프링 시트(53)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53)의 위치이동이 허용되도록 아웃터 트레이(30)에 마련되는 작동 공간(39)과, 상기한 후방 스프링 시트(53)와 대응하여 작동공간(39)의 전방 끝부분에 형성되는 전방 스프링 시트(54)와, 상기 후방 스프링 시트(53)와 전방 스프링 시트(54) 간에 개재되는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A rear spring seat 53 exten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hook 51 to enabl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outer tray 30 in a state where the rear hook 51 is caught by the rear stopper 51; An operation space 39 provided in the outer tray 30 to allow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rear spring seat 53 to be permitted, and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space 39 corresponding to the rear spring seat 53.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front spring seat (54) and a spring (55)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pring seat (53) and the front spring seat (54); A passenger seat footrest provided with a shoe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인너 트레이(40)는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커버(42)로 분리형성된 후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커버(42)의 후방 상부부분의 양측면에는 각각 아웃터 트레이(30)에 조립되기 위한 가동 힌지(4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동 힌지(44)와 대응되는 아웃터 트레이(30)의 양측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가동 힌지(44)가 조립된 상태에서 회동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 가이드 레일(38)이 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The inner tray 40 is separately formed by the base plate 41 and the cover 42 and then hinged to each other, and movable to be assembled to the outer tray 30 on both sides of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cover 42, respectively. Hinge 44 is protruded, the hinge guide rail for rotating the movable hinge 44 in the assembled state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outer tray 30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hinge 44, respectively A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characterized in that (38) is formed in an arc sha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인너 트레이(40)와 아웃터 트레이(3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인너 트레이(40)는 아웃터 트레이(30)에 대하여 소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한 인너 트레이(40)의 바닥 하부면에는 제2가이드(45)가 돌출형성되고, 상 기 아웃터 트레이(30)의 바닥 상부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45)와 대응되는 제1가이드(37)가 구비된 가이드 레일(36)이 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The inner tray 40 and the outer tray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ut the inner tray 40 has a bottom lower surface of the inner tray 40 so that the inner tray 40 can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y 30. The second guide 45 is formed in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rail 36 having the first guide 37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uide 45 is provided on the bottom upper surface of the outer tray 30 is a groove. A passenger foot rest provided with a shoe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고정수단의 전방 훅(52)은 아웃터 트레이(30)의 전방에 노출형성되는 푸쉬 스위치(57)와 연계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훅(5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하부 링크(55)는 그 도중이 아웃터 트레이(30)의 측면벽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푸쉬 스위치(57)로부터 연장형성된 상부 링크(56)는 상기 하부 링크(55)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즈 트레이가 구비된 조수석 풋 레스트.The front hook 52 of the fixing means is a lower link 55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hook 52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switch 57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outer tray (30) Shoe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outer tray 30, the upper link 56 extending from the push switch 57 is hinged to the lower link (55). Passenger foot rest.
KR1020050084503A 2005-09-12 2005-09-12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503A KR100666277B1 (en) 2005-09-12 2005-09-12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503A KR100666277B1 (en) 2005-09-12 2005-09-12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277B1 true KR100666277B1 (en) 2007-01-10

Family

ID=3786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5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277B1 (en) 2005-09-12 2005-09-12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27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3076B1 (en) Half moving console for vehicle
US6135529A (en) Multi-position sliding center console
US7073863B1 (en) Infinitely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ssembly
US6045173A (en) Console with multi-position cover
KR101394083B1 (en) Electro-mechanical push button vehicle seat actuation mechanism
US20070210601A1 (en) Vehicle panel and seat assembly
JPH11348665A (en) Coverable container capable
JP5573363B2 (en) Center console device for vehicle
KR101836472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JP2007238081A (en) Rear seat back member having height-adjustable center armrest
WO2019065773A1 (en) Vehicular seat
US9216694B2 (en) Vehicle center console
JP2008279891A (en) Console box
KR20180096109A (en) Center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JP2011246004A (en) Center console device for vehicle
US7575263B2 (en) Center hide away floor storage with hi-rise feature
JP2003165388A (en) Console box structure for vehicle
KR100666277B1 (en) Passenger seat rest with shoe tray
JP2007118623A (en) Locking structure of slide member
JP2007118827A (en) Vehicle seat device
KR200391926Y1 (en) Push-button type lock assembly for automobile armrest
JP4437950B2 (en) Vehicle console box
KR101172138B1 (en) Structure of console arm rest
JP2008155766A (en) Vehicle console box structure
KR101052831B1 (en) Pop-up Device of Arm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