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831B1 - Pop-up Device of Armrest - Google Patents
Pop-up Device of Arm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2831B1 KR101052831B1 KR1020090016529A KR20090016529A KR101052831B1 KR 101052831 B1 KR101052831 B1 KR 101052831B1 KR 1020090016529 A KR1020090016529 A KR 1020090016529A KR 20090016529 A KR20090016529 A KR 20090016529A KR 101052831 B1 KR101052831 B1 KR 101052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rest
- pop
- sliding
- guide groove
- 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abstract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암레스트의 팝업장치(10)는 승강작동구(14)가 브라켓(12)내의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르는 탄지작동으로 경사슬라이딩되어 암레스트(2)가 팝업가능케 구성하고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의 양단에는 상하측 걸림부(24a,24b)를 형성하며, 암레스트(2) 외부로 노출된 팝업버튼로드(20)에 연결되며 승강작동구(14)내에 장치된 로크유닛(18)의 작동에 의해 상하측 걸림부(24a,24b)에 승강작동구(14)가 걸림되게 구성함으로서,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암레스트의 높이조절을 하여 편안하게 팔을 걸칠 수 있다.The pop-up device 10 of the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sliding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operation tool 14 along the sliding inclined guide groove 22 in the bracket 12 so that the armrest 2 is configured to be pop-up and sliding Upper and lower locking portions 24a and 24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clined guide groove 22, and are connected to the popup button rod 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2, and are provided in the lifting operation 14. The lifting mechanism 14 is locked to the upper and lower locking portions 24a and 24b by the operation of the unit 18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armrest according to his / her physical condition and comfortably arm. Can wear.
암레스트, 승강작동구, 팝업버튼로드, 슬라이딩 경사안내홈, 로크유닛 Armrest, elevating actuator, popup button rod, sliding inclined guide groove, lock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의 커버로 사용되는 암레스트의 팝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arm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pup device of the armrest used as the cover of the console box.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장시간의 운전으로 인하여 피로를 느낄 때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켜 주기 위해 운전자가 팔을 걸칠 수 있는 암 레스트가 제공된다.In general,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arm rest that allows the driver to wear his or her arms to relieve the driver's fatigue when the driver feels tired due to prolonged driving.
상기 암 레스트의 종류에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에 사용되는 도어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 암 레스트, 자동차의 리어 시트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 암 레스트 및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플로어 패널에 배치되는 센터 암 레스트가 있다. The type of arm rest includes a door arm rest formed integrally with a door handle used to open and close a door of a car, a seat arm rest mounted at the center of a rear seat of a car, and a center disposed on a floor panel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a car. There is an arm rest.
상기 센터 암레스트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플로어 패널에 배치되는 콘솔박스가 이용된다.As the center armrest, a console box which is generally disposed on the floor panel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is used.
상기 콘솔박스는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 어 있고,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운전자가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콘솔박스와 센터 암레스트는 힌지부로 연결 설치된다.The console box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small items,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box is equipped with an armrest that opens and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llows the driver to seat the arm. The console box and the center armrest are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센터 암레스트에 의해 콘솔박스의 수용공간이 폐쇄될 경우에는 운전자는 센터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음으로써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센터 암레스트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될 경우에는 탑승자는 소정의 물품을 콘솔박스에 보관할 수 있어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sole box is closed by the center armrest, the driver can reduce fatigue by placing the arm on the center armrest, and when the accommodation space is opened by the center armrest, The occupant can store certain items in the console box, thereby preventing the goods from being lost.
그러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센터 암 레스트는 일정높이로 고정되어 운전자의 키가 크거나 또는 작은 경우에는 암레스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기어 변속시 운전자의 팔이 상기 센터 암레스트에 걸려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the center arm rest dispos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s fixed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driver's arm does not function properly when the driver is tall or small, and the driver's arm moves the center arm during gear shifting. There was a case where I felt uncomfortable with the re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높이 조절이 용이한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rest tha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dri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암레스트의 팝업장치는, 차량의 콘솔박스의 커버로 사용되는 암레스트의 팝업장치에 있어서, 승강작동구가 브라켓내의 슬라이딩 경사안내홈을 따르는 탄지작동으로 경사슬라이딩되어 암레스트가 팝업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경사안내홈의 양단에는 상하측 걸림부를 형성하며, 암레스트 외부로 노출된 팝업버튼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작동구내에 장치된 로크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하측 걸림부에 상기 승강작동구가 걸림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Pop-up device of the arm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op-up device of the armrest used as the cover of the console box of the vehicle, the lifting operation inclined by the operation of the magazine along the sliding inclined guide groove in the bracket Sliding armrest is configured to be a pop-up, and both ends of the sliding inclined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pop-up button ro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rmrest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unit installed in the lifting operation op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engage the upper and lower locking portion.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암레스트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armrest according to his physical condition to rest the arm comfortab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팝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팝업장치에서 팝업버튼로드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팝업장치의 작동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팝업장치의 요부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팝업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팝업장치의 요부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팝업장치가 장치된 암레스트의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p-up button rod in the pop-up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n operation of the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nd, Figure 5 is a detail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p-up device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op-up device, Figure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armrest.
본 발명의 암레스트(2)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형성된 콘솔박스의 커버로 형성된다. 운전자는 장시간 운전시 팔의 피로감을 덜기 위해 암레스트(2)에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암레스트(2)는 팝업장치(10)가 장치되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Armres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over of the console box form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The driver can put the arm on the armrest 2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arm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the armres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op-up
상기 암레스트(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에 본체커버(8)가 씌워져 암레스트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6)는 바닥판에 측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본체커버(8)는 내외부의 이중커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암레스트(2)는 상기 암레스트본체내에 팝업장치(10)가 설치되어 본체커버(8)가 받침대(6)에 대해 팝업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armrest 2 covers the
본 발명의 암레스트의 팝업장치(10)는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내에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형성하고, 승강작동구(14)를 브라켓(12)내에 탄지연결하여 승강작동구(14)가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르는 탄 지작동으로 경사슬라이딩되어 암레스트(2)가 팝업가능케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의 양단에 상하측 걸림부(24a,24b)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작동구(14)내에 상기 상하측 걸림부(24a,24b)에 걸리는 로크유닛(18)을 장치하고, 암레스트(2) 외부로 노출된 팝업버튼로드(20)를 로크유닛(18)에 연결하여 구성한다.The pop-up
상기 승강작동구(14)와 브라켓(12)은 바닥판에 좌우측판과 후측판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작동구(14)의 좌우측판은 브라켓(12)과 탄지연결되어 브라켓(12)내에 수용된다. 상기 승강작동구(14)의 좌우측판과 브라켓(12)의 좌우측판은 스프링(16)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승강작동구(14)는 스프링(16)에 의한 탄지작동으로 브라켓(12)내에 경사슬라이딩하며 팝업된다. 이 경우, 상기 승강작동구(14) 및 브라켓(12)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홈(26)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홈(26)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바(28)가 형성되어 승강작동구(14)가 브라켓(12)내에서 경사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12)의 좌우측판 내측에 각각 2개의 슬라이딩바(28)를 형성하고, 승강작동구(14)의 좌우측판 외측에 상기 슬라이딩바(28)에 대응되게 각각 2개의 슬라이딩홈(26)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ifting and lowering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작동구(14)의 팝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로크유닛(18)과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설명한다.Now, the
상기 브라켓(12)의 좌우측판의 내측면에는 상하측 걸림부(24a,24b)를 가지는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이 형성되고, 승강작동구(14)에는 상기 슬라이딩 경사안내 홈(22)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측 걸림부(24a,24b)에 걸려 승강작동구(14)의 팝업을 구속하는 로크유닛(18)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2)에 형성된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은 승강작동구(14)가 팝업되는 높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Sliding
상기 브라켓(12)에 형성된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은 상측과 하측에 걸림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24a,24b)를 갖는다. 상기 승강작동구(14)의 바닥판과 좌우측판에는 로크유닛(18)을 수용 설치할 수 있도록 로크수용홈이 형성된다. 이 경우, 승강작동구(14)의 좌우측판에 형성된 로크수용홈은 후술할 로크(30)의 안내돌편(34)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liding
상기 로크유닛(18)은 한 쌍의 로크(30)가 스프링(32)으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로크(30)는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상하측 걸림부(24a,24b)에 수용되는 안내돌편(34)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프링(32)을 끼울 수 있도록 연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편(34)은 상기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게 중공된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돌기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32)이 끼워지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The
상기 한 쌍의 로크(30)는 연결편들에 스프링(32)이 끼워져 승강작동구(14)의 바닥판의 수용홈에 수용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로크(30)의 안내돌편(34)들은 승강작동구(14)의 좌우측판에 형성된 수용홈을 관통하여 브라켓(12)의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로크(30)의 안내돌편(34)들은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의 상측 또는 하측의 걸림부(24a,24b)에 걸린 상태에서 로크(30)들 사이에 연결된 스프 링(32)이 가압되면 걸림부(24a,24b)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24a,24b)로부터 이탈된 안내돌편(34)들은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The
상기 한 쌍의 로크(30)의 상측에는 팝업버튼로드(20)와 연결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되고, 팝업버튼로드(20)의 푸쉬동작에 의해 로크유닛(18)은 상기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A
상기 팝업버튼로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로크(30)의 가이드돌기(38)를 수용 안내하는 가이드홈(4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곡 연장되어 암레스트(2) 외부로 노출되는 로드(42)가 형성된다. 팝업버튼로드(20)는 가이드홈(40)에 로크유닛(18)의 가이드돌기(38)를 끼워 승강작동구(14)의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이 경우, 팝업버튼로드(20)의 푸쉬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팝업버튼로드(20)와 승강작동구(14)의 바닥판은 스프링(48)에 의해 탄지연결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facilitate the push operation of the pop-
팝업버튼로드(20)를 승강작동구(14)의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한 후, 팝업버튼로드(20)를 고정하는 고정판46)이 장착될 수 있다. After installing the pop-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팝업장치(10)의 팝업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4 and 5, the pop-up operation of the pop-up
상기 로드(42)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가이드돌기(38)가 상기 가이드홈(4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 쌍의 로크(30)를 연결하는 스프링(32)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하측 걸림부(24b)에 걸려있던 안내돌편(34)이 하측 걸림부(24b)로부터 이 탈하고, 승강작동구(14)와 브라켓(12)에 연결된 스프링(16)의 탄지작동으로 안내돌편(34)이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하여 상측 걸림부(24a)에 걸린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승강작동구(14)는 브라켓(12)내에서 팝업하게 된다. When the
승강작동구(14)의 팝업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다시 로드(42)를 전방으로 밀면서 승강작동구(14)를 하측으로 눌러준다. 이에 의해, 상측 걸림부(24a)에 걸려있던 안내돌편(34)이 상측 걸림부(24a)로부터 이탈하고, 승강작동구(14)와 브라켓(12)의 좌우측판에 연결된 스프링(16)이 가압되면서 안내돌편(34)이 슬라이딩 경사안내홈(22)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여 하측 걸림부(24a)에 걸린다.In order to release the pop-up of the lifting and lowering
상기와 같은 팝업장치(10)는 받침대(6)에 본체커버(8)가 씌워져 형성된 암레스트본체내에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커버(8)에는 팝업버튼로드(20)와 연결되는 팝업버튼(4)이 장치되고, 팝업버튼(4)의 푸쉬동작에 의해 본체커버(8)가 받침대(6)에 대해 팝업하거나, 팝업해제된다. The pop-up
상기 팝업버튼(4)은 운전자가 암레스트(2)의 본체커버(8)상에 팔을 올려 놓았을 경우 손이 위치되는 전면 측판에 형성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 용이하게 조작가능하다. 운전자는 팔을 암레스트(2)에 올려놓은 후 운전을 하면서 팝업버튼(4)을 이용하여 자유자재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The pop-up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팝업장치(10)를 설치한 암레스트(2)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운전자가 장시간 운전하더라도 팔에 무리가 오지 않으며, 편안한 상태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rmrest (2) provided with the pop-up
도 1은 본 발명의 팝업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팝업장치에서 팝업버튼로드를 분해한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pup button rod in the popup devic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팝업장치의 작동도,4 is an operation of the pop-u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팝업장치의 요부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p-up device of FIG.
도 6은 본 발명 팝업장치의 평단면도,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op-up device;
도 7은 본 발명 팝업장치의 요부개략도,7 is a schematic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p-up device;
도 8은 본 발명 팝업장치가 장치된 암레스트의 작동도이다. 8 is an operation of the armres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pop-up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암레스트 4 : 팝업버튼2: Armrest 4: Popup button
10 : 팝업장치 12 : 브라켓10: pop-up device 12: bracket
14 : 승강작동구 16,32,48 : 스프링14
18 : 로크유닛 20 : 팝업버튼로드 18: lock unit 20: pop-up button loading
22 : 슬라이딩 경사홈 24a,24b : 상하측 걸림부 22: sliding
34 : 안내돌편 42 : 로드34: guide stone 42: ro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529A KR101052831B1 (en) | 2009-02-26 | 2009-02-26 | Pop-up Device of Arm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529A KR101052831B1 (en) | 2009-02-26 | 2009-02-26 | Pop-up Device of Armre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538A KR20100097538A (en) | 2010-09-03 |
KR101052831B1 true KR101052831B1 (en) | 2011-07-29 |
Family
ID=4300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65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2831B1 (en) | 2009-02-26 | 2009-02-26 | Pop-up Device of Arm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28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6796B1 (en) * | 2023-09-13 | 2024-05-1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Console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97837A1 (en) * | 2012-09-21 | 2015-07-29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Vertically adjustable armrest assembly for a vehicle interior compon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325U (en) * | 1997-05-31 | 1998-12-05 | 양재신 | Automotive console cover with adjustable height |
KR19990020878U (en) * | 1997-11-28 | 1999-06-25 | 양재신 | Vehicle console box lead height adjuster |
KR20000003312U (en) * | 1998-07-22 | 2000-02-15 | 홍종만 | Position adjuster of center armrest |
JP2005041444A (en) * | 2003-07-25 | 2005-02-17 | Inoac Corp | Storage device in vehicle |
-
2009
- 2009-02-26 KR KR1020090016529A patent/KR1010528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325U (en) * | 1997-05-31 | 1998-12-05 | 양재신 | Automotive console cover with adjustable height |
KR19990020878U (en) * | 1997-11-28 | 1999-06-25 | 양재신 | Vehicle console box lead height adjuster |
KR20000003312U (en) * | 1998-07-22 | 2000-02-15 | 홍종만 | Position adjuster of center armrest |
JP2005041444A (en) * | 2003-07-25 | 2005-02-17 | Inoac Corp | Storage device in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6796B1 (en) * | 2023-09-13 | 2024-05-1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Conso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538A (en) | 201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13923B2 (en) | Storage device with lid | |
US8162369B2 (en) | Console box | |
JP6204452B2 (en) |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 |
US8074832B2 (en) | Hinge structure for a console box lid | |
KR101583952B1 (en) | Apparatus for opening a sliding armrest console | |
KR101836472B1 (en) | Sliding armrest for vehicle | |
CN108349438B (en) | Elbow rest equipped with hinged armrest comprising improved unlocking mechanism | |
US10697212B2 (en) | Console box | |
JPH11348665A (en) | Coverable container capable | |
KR101052831B1 (en) | Pop-up Device of Armrest | |
JP4293452B2 (en) | Vehicle storage box | |
US11541792B2 (en) |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 |
JP2007118623A (en) | Locking structure of slide member | |
JP2003237476A (en) | Console box | |
JP4332827B2 (en) | Rear cargo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 |
KR20140011834A (en) | Article storage device of vehilce | |
JP2018001982A (en) | Console box | |
JP2010023641A (en) | Console | |
KR100523581B1 (en) | Structure of glove box | |
KR101152332B1 (en) | Center consol armrest for automobile | |
JP2010070132A (en) | Console box | |
JP2011068309A (en) | Storage box | |
JP4551241B2 (en) | ROOF MEMBER LOCK DEVICE AND VEHICLE LOCK DEVICE FOR OPEN CAR | |
KR101852757B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able console armrest | |
JP6310518B2 (en) | Under-seat storag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