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6047B1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47B1
KR100666047B1 KR1020050000038A KR20050000038A KR100666047B1 KR 100666047 B1 KR100666047 B1 KR 100666047B1 KR 1020050000038 A KR1020050000038 A KR 1020050000038A KR 20050000038 A KR20050000038 A KR 20050000038A KR 100666047 B1 KR100666047 B1 KR 10066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bluetooth
built
carrier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600A (ko
Inventor
박주상
김건태
김홍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047B1/ko
Priority to US11/317,057 priority patent/US20060145934A1/en
Priority to CNA2005101359671A priority patent/CN1812191A/zh
Priority to EP06000086A priority patent/EP1677387A1/en
Publication of KR2006007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Foldable or folded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적용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상에 고정되는 일정 넓이의 상면과 일정 높이의 측면을 갖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용 방사체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설치되는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용 방사체와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메인 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통신용 방사체와 블루투스용 방사체가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로써 제공되기 때문에 별도의 블루투스용 안테나 설치에 따른 단말기 부피 증가 및 제조 원가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0032981-pat00001
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방사체, 블루투스, 캐리어, 메인 보드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BUILT-IN ANTENNA MODULE WITH BLUETOOTH RADIATO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이 실장되는 위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향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적용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built-in antenna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bluetooth)용 안테나 방사체를 내장형 안테나 모듈에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써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블루투스용 안테나 방사체의 설치에 따른 단말기의 부피 증가 및 회로 설계의 어려움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CDMA, PCS, DCS, GSM 등과 같은 다양한 대역을 별도로, 또는 공용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화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안테나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단말기의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로드 안테나(또는 휩 안테나) 및 헬리컬 안테나는 전방향 방사로 인한 우수한 특성이 구현되는 반면, 단말기의 낙하시 파손될 수 있는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되며,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플레이트 타입 내장형 안테나 모듈(소위 '인터널 안테나' 또는 '인테나' 라고 함)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내장형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2.4GHz대역의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상술한 블루투스 기능으로, 예를 들어,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이나, 이어마이크로폰과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등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 내부에는 소정의 블루투스 칩(소자)가 실장되어야 하며,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사체를 포함하게 된다.
상술한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단말기의 송수신용으로 사용되는 RF용 방사체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바, 기존에는 RF보드에 SMD타입으로 실장되었다.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로는 칩안테나(chip antenna)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RF 송수신용 안테나 방사체와 별도로 설치되는 블루투스용 안테나 방사체는 고가의 칩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특성상 보드의 최외곽에 설치하고 그 주변에는 접지면을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보드 artwork시 어려움 및 단말기의 부피 증가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부피 증가 없이 소망하는 방사 특성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형 안테나 모듈에 함께 구현시킴으로써 별도 설치에 따른 메인 보드의 공간 확대를 미연에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동작을 위한 고가의 개별적인 안테나 방사체를 사용하지 않아 단말기 생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기능을 위하여 플레이트 타입 방사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사 성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상에 고정되는 일정 넓이의 상면과 일정 높이의 측면을 갖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용 방사체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설치되는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용 방사체와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메인 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용 방사체와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메인 보드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메인 보드에 설치되던 고가의 칩 안테나가 불필요하며, 칩 안테나 설치로 인한 주변 접지면의 제거에 따른 공간의 제약을 받을 필요가 없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통신용 방사체와 같이 플레이트 타입으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방사체는 일정 폭을 갖는 슬릿에 의해 소망 패턴이 형성될 것이며, 이러한 패턴은 해당 단말기의 가장 우수한 방사 특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용 방사체와 블루투스용 방사체 는 일정 높이의 캐리어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는 플레이트 타입 단말기의 휨이나 구부러짐과 같은 현상으로 인한 방사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욱이, 상기 캐리어가 메인 보드상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방사체들은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지될 것이다. 즉, 메인 보드와 방사체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본딩, 솔더링과 같은 공정이 필요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일반 폴더 타입 단말기, 플립 타입 단말기, 플립업 타입 단말기, 일반 PDA등 내장형 안테나 모듈이 적용되는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이 실장되는 위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100)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로써,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동작(도 1의 화살표 방향)을 수행하여 개방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바람직하게는 고화질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한 키 버튼 장치(122)가 설치될 것이다. 상기 키 버튼 장치(122)는 단말기(10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 버튼일 수 있다. 그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 된다. 상기 스피커 장치(123)의 일측에는 피사체 촬영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전식 카메라 모듈(125)이 설치 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보이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면상에는 다수의 키패드 어셈블리(111)가 설치될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1)는 바람직하게도 3×4 키 버튼 장치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1)의 하측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112)가 설치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외부에 돌출된 안테나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후면의 상측(도 2의 A부분) 내부에 소정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built-in module)이 설치됨으로써 단말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근거리(약 10m 내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내부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용 방사체가 상술한 통신 기능을 위한 안테나 방사체와 별도로 구비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 기능을 위한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에 상 기 블루투스 방사체가 함께 하나의 모듈로써 설치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써, 메인 보드(113)와, 상기 메인 보드(113)상에 설치 고정되는 일정 크기의 캐리어(50)와, 상기 케리어(50)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방사체(20, 30)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체(20, 30)는 통신용 방사체(20)와 블루투스용 방사체(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통신용 방사체로써 두 개의 전기적 접속부를 갖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를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공지된 하나의 접속부를 갖는 모노폴 안테나 또는 세 개 이상의 접속부를 갖는 다중 접점 안테나가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중 대역, 예를 들어, DCS, PCS, GSM, CDMA의 대역에서 겸용으로 동작하는 형태의 PIFA를 도시하였다.
상기 메인 보드(113)에는 급전부(114)와 상기 급전부(114)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접지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부(115)와 급전부(114)에는 후술될 통신용 방사체(PIFA)의 급전핀(24) 및 접지핀(25)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것이다. 상기 접지부(115)는 메인 보드(113)상에 형성되는 접지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것이며, 상기 급전부(114)는 메인 보드(113)에 설치되는 RF 컨넥터(116)와 소정의 패턴(1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113)의 적소에는 블루투스용 방사체(30)의 급전핀(3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블루투스용 급전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블루투스용 급전부(118)는 소정의 패턴(119)에 의해서 메인 보드(113)에 실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캐리어(50)는 장방형 형태로써 상기 방사체들(20, 30)이 고정되기 위한 상면(51, 52)과, 상기 상면과 메인 보드(113)간의 간격을 제공하는 측면(5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PIFA 타입 방사체(20)가 소정의 접지면(메인 보드에 형성됨)을 요구하고, 상기 접지면과 방사체(20)간을 일정 거리 만큼 이격시켜야 소망하는 방사 특성이 발현되는 것에 기인한다. 상기 상면(51, 52)은 상기 통신용 방사체(20)가 고정되기 위한 면(51)과,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30)가 고정되기 위한 면(52)으로 나뉘어져 있다. 도 3에 도시한 캐리어(50)의 상면 중 빗금친 부분(52)은 블루투스용 방사체(30)가 고정되기 위한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 통신용 방사체(20)와 블루투스용 방사체(30)는 캐리어(50)의 상면(51, 52)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단지 각 방사체(20, 30)의 하측에서 인출된 각 접속핀(24, 25, 36)만이 메인 보드(113)의 대응 접속부(114, 115, 118)에 접속될 것이다.
상기 방사체들(20, 30)은 소정의 금속성 플레이트로 형성 된다. 상기 통신용 방사체(20)는 일정폭을 갖는 슬릿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는 상면(21)과, 상기 상면(21)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면(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방사체(20)의 일측에는 하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접속핀(24, 25)이 형성 된다. 상기 두 개의 접속핀(24, 25)은 상기 메인 보드(113)의 급전부(1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급전핀(24)과, 접지부(1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지핀(2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30) 역시 소정의 슬릿에 의해 소망 패턴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방사체(30)의 일측에 역시 일정 길이 만큼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급전핀(36)이 형성 된다. 상기 급전핀(36)은 상술한 통신용 방사체(20)에 형성되는 접속핀(24, 25)들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전핀(36)은 상기 메인 보드(113)에 형성되는 블루투스용 급전부(1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것이다.
상술한 방사체들(20, 30)은 소정의 금속성 플레이트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유사한 패턴 형상을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상부는 도전체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캐리어(50)는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방사체들(20, 30)은 상기 캐리어(50)상에 본딩, 열 융착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여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캐리어(50) 역시 메인 보드(113)상에 공지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크류등에 의한 체결, 캐리어와 메인 보드간의 스냅-핏(snap-fit) 결합등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캐리어(50)에는 상기 각 방사체(20, 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접속핀들(24, 25, 36)과 상응하는 부분에 소정의 관통 구멍(54, 55, 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사체들(20, 30)의 각 접속핀들(24, 25, 36)은 캐리어(50)상의 각각 대응 관통 구멍(54, 55, 56)에 관통된 후, 메인 보드(113)의 대응 접속부(114, 115, 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이는 캐리어(50)가 메인 보드(113)에 고정될 때, 이와 동시에 각 접속핀(24, 25, 36)이 자연스럽게 메인 보드(113)의 각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통신용 방사체와 블루투스용 방사체가 하나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로써 제공되기 때문에 별도의 블루투스용 안테나 설치에 따른 단말기 부피 증가 및 제조 원가의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상에 고정되는 일정 넓이의 상면과 일정 높이의 측면을 갖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용 방사체; 및
    상기 캐리어의 상면 적소에 설치되는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용 방사체와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메인 보드상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방사체 및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하되, 소정의 슬릿에 의해 방사 패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방사체는 적어도 두 개의 접점을 갖는 다접점 다중 대역 PIFA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방사체는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RF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부와, 접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핀 및 접지핀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통신용 방사체의 급전핀과 접지핀이 관통하기 위한 관 통 구멍을 형성시키되, 상기 캐리어가 메인 보드에 고정될 때, 상기 방사체의 급전핀과 접지핀이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시키며, 상기 통신용 방사체 및 블루투스용 방사체의 면상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켜 열 융착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방사체 및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상부에 도전체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B)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는 하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급전핀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보드에 실장되는 블루투스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블루투스용 급전부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블루투스용 방사체의 급전핀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형성시키되, 상기 캐리어가 메인 보드에 고정될 때, 상기 방사체의 급전핀이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메인 보드의 블루투스용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KR1020050000038A 2005-01-03 2005-01-03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38A KR100666047B1 (ko) 2005-01-03 2005-01-03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US11/317,057 US20060145934A1 (en) 2005-01-03 2005-12-22 Built-in antenna module including a bluetooth radiato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A2005101359671A CN1812191A (zh) 2005-01-03 2005-12-29 便携式无线终端中的包括蓝牙辐射体的内置天线模块
EP06000086A EP1677387A1 (en) 2005-01-03 2006-01-03 Built-in antenna module including a bluetooth radiato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38A KR100666047B1 (ko) 2005-01-03 2005-01-03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00A KR20060079600A (ko) 2006-07-06
KR100666047B1 true KR100666047B1 (ko) 2007-01-10

Family

ID=3592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047B1 (ko) 2005-01-03 2005-01-03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45934A1 (ko)
EP (1) EP1677387A1 (ko)
KR (1) KR100666047B1 (ko)
CN (1) CN1812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75B1 (ko) 2008-04-25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685B1 (ko) * 2005-09-16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DE102006037244B4 (de) * 2006-08-09 2008-05-15 Siemens Ag Österreich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mit integrierter Schlitzantenne
KR100849339B1 (ko) * 2006-09-04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809913B1 (ko) * 2006-09-2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2008160314A (ja) * 2006-12-21 2008-07-10 Fujitsu Ltd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794252B1 (ko) * 2007-01-24 2008-01-11 주식회사 월드프라텍 무선통신 단말기용 인테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인테나
CN101291010B (zh) * 2007-04-16 2013-02-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天线结构
CN101312264B (zh) * 2007-05-25 2012-10-31 佳邦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托架结构及具有天线托架结构的天线装置
KR101404753B1 (ko) * 2008-01-17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TWI398039B (zh) * 2008-02-04 2013-06-01 Hon Hai Prec Ind Co Ltd 多頻天線
KR101595349B1 (ko) * 2008-10-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TWI403254B (zh) * 2011-06-22 2013-07-21 Inventec Corp 電子裝置及其固定結構
CN102522622A (zh) * 2011-12-02 2012-06-27 福建鑫诺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支持不同通讯模块的天线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126565B1 (ko) * 2013-08-28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합 구조물
KR101547131B1 (ko) * 2014-03-20 2015-08-25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융착 고정된 방사체를 구비한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17648B2 (en) 2015-10-14 2022-12-06 Northwestern University Nanofiber paste for growth factor delivery and bone regeneration
KR102232992B1 (ko) * 2019-12-12 2021-03-2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643A1 (en) 2000-02-22 2001-12-13 Igor Egorov Small-size broad-band printed antenna with parasitic element
KR20030064717A (ko) * 2003-07-15 2003-08-02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트리플 밴드 내장형 안테나
KR20040031805A (ko) * 2002-10-01 2004-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용 안테나 일체형 rf모듈
US20040085244A1 (en) * 2002-11-06 2004-05-06 Kadambi Govind Rangaswamy Planar inverted-f-antenna (pifa) having a slotted radiating element providing global cellular and gps-bluetooth frequency response
KR20050000386A (ko) * 2002-04-16 2005-01-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및 에칭 잔여물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67379A1 (ja) * 2001-02-23 2004-07-02 株式会社ヨコオ フィルタ内蔵アンテナ
US20040137950A1 (en) * 2001-03-23 2004-07-15 Thomas Bolin Built-in, multi band, multi antenna system
JP2003069330A (ja) * 2001-06-15 2003-03-07 Hitachi Metals Ltd 表面実装型アンテナ及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機器
US6448932B1 (en) * 2001-09-04 2002-09-10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Dual feed internal antenna
JP3894007B2 (ja) * 2002-03-15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機器
FI114837B (fi) * 2002-10-24 2004-12-31 Nokia Corp Radiolaite ja antennirakenne
FI115261B (fi) * 2003-02-27 2005-03-31 Filtronic Lk Oy Monikaistainen tasoantenni
KR100530667B1 (ko) * 2003-11-20 2005-11-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 안테나
TWI274439B (en) * 2004-09-17 2007-02-21 Asustek Comp Inc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plane antenna thereof
EP1943850B1 (en) * 2005-11-01 2015-09-16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 wrap-around antenna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0643A1 (en) 2000-02-22 2001-12-13 Igor Egorov Small-size broad-band printed antenna with parasitic element
KR20050000386A (ko) * 2002-04-16 2005-01-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및 에칭 잔여물 제거방법
KR20040031805A (ko) * 2002-10-01 2004-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용 안테나 일체형 rf모듈
US20040085244A1 (en) * 2002-11-06 2004-05-06 Kadambi Govind Rangaswamy Planar inverted-f-antenna (pifa) having a slotted radiating element providing global cellular and gps-bluetooth frequency response
KR20030064717A (ko) * 2003-07-15 2003-08-02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트리플 밴드 내장형 안테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00038 - 69685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575B1 (ko) 2008-04-25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5934A1 (en) 2006-07-06
CN1812191A (zh) 2006-08-02
KR20060079600A (ko) 2006-07-06
EP1677387A1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04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KR101339053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84634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17007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02099962B (zh) 天线结构
KR1016071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130108752A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03594777B (zh) 移动终端的内部天线
KR10074008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634883B1 (ko) 이중대역 칩 안테나 모듈
KR10066456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튜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6968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8581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odule
KR1012426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WO2008082088A1 (en) A multi-layered internal antenna
KR10072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3488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0471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안테나 장치
KR101075995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113458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JP2006165608A (ja) 小型内蔵アンテナ
KR1005969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 안테나 접지 구조
KR20050105908A (ko) 내장형 복합 모듈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60072265A (ko) 커버 교체형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8001353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