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340B1 - Wafer exposure equipment - Google Patents
Wafer exposur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3340B1 KR100663340B1 KR1020000035738A KR20000035738A KR100663340B1 KR 100663340 B1 KR100663340 B1 KR 100663340B1 KR 1020000035738 A KR1020000035738 A KR 1020000035738A KR 20000035738 A KR20000035738 A KR 20000035738A KR 100663340 B1 KR100663340 B1 KR 1006633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fer
- groove
- light
- exposure
- fl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83—Handling stress or warp of chucks, masks or workpieces, e.g. to compensate for imaging errors or considerations related to warpage of masks or workpieces due to their own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의 후면 에지를 진공압에 의하여 고정하고, 노광이 이루어지는 웨이퍼 중심 부분에는 웨이퍼를 지지함과 동시에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웨이퍼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웨이퍼에 국부적인 평탄도 저하가 발생하여 노광 공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웨이퍼 노광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퍼 척을 구동하여 웨이퍼의 전체 레벨을 조정하여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함은 물론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척에 의하여 웨이퍼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요철의 제거 및 국부적인 요철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또다른 레벨링 문제도 해결함으로써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어떠한 경우라도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노광 공정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edge of the wafer is fixed by vacuum pressure, and the wafer is support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wafer where the exposure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flatness of the wafer is adjusted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exposure surface and the optical system can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exposure apparatus in which a local flatness decrease is caused on a wafer by supplying air of an air, so that an exposure process defect does not occu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fer chuck is driven to adjust an entire level of a wafer to expose a wafer. The optical axis of the surface and the optical system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well as another leveling problem caused by the removal of local irregularities and local irregularities occurring on the wafer by the wafer chuck fixing the wafer. The optical axis of the optical system can be perpendicular to any case Defects that occur during the optical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웨이퍼 노광설비 Wafer Exposure Equipm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설비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fer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설비의 부분 블록도.2 is a partial block diagram of a wafer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설비의 웨이퍼 척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fer chuck unit of the wafer exposur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Ⅳ - Ⅳ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본 발명은 웨이퍼 노광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의 후면 에지를 진공압에 의하여 고정하고, 노광이 이루어지는 웨이퍼 중심 부분에는 웨이퍼를 지지함과 동시에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소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웨이퍼에 국부적인 평탄도 저하에 따른 노광 공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웨이퍼 노광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exposur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fix the rear edge of the wafer by vacuum pressure, to support the wafer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wafer where the exposure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tical axis of the exposure surface and the optical system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exposure apparatus in which an exposure process defect caused by localized flatness reduction does not occur on a wafer by supplying ai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최근들어 급속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반도체 제품은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 및 단위 시간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속도가 점차 빨라지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반도체 제품은 방대한 데이터를 단시간내 처리함으로써 고유의 성능을 발휘하는 전기, 전자, 우주 항공산업 등에 의하여 제 작되는 거의 대부분의 산업 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semiconductor products, which have undergon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being developed to increase the amount of data stored per unit area and the processing speed of processing data per unit time, and such semiconductor products process massive data in a short time. It is installed in almost all industrial devices manufactured by electric, electronic, aerospace, etc., which have inherent performanc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반도체 제품은 순수 실리콘 웨이퍼를 제작하는 공정, 웨이퍼에 반도체 칩을 제작하는 공정, 반도체 칩을 검사 및 리페어 하는 공정, 반도체 칩을 패키징 하는 공정을 거쳐 제작되는 바, 특히 이들 중 반도체 칩을 제작하는 공정은 매우 정밀한 반도체 박막 공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진행된다.The semiconductor products that play such a role ar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ure silicon waf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chip on a wafer, a process of inspecting and repair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 process of packaging a semiconductor chip. The chip manufacturing process is repeated several times with a very precise semiconductor thin film process.
이때, 정밀한 패턴을 갖는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웨이퍼에 소정 박막, 예를 들면, 산화막, 질화막 등을 소정 두께로 형성한 후, 광에 반응하여 화학적 성질이 바뀌는 특성을 갖는 포토레지스트라 불리우는 물질을 웨이퍼의 상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웨이퍼 중 패턴이 형성될 부분을 레티클이라 불리우는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시킴으로써 패턴이 형성될 부분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개구된 부분을 에천트에 의하여 식각 또는 별도의 박막 물질을 증착, 불순물을 주입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In this case, in order to form a semiconductor thin film having a precise pattern, a predetermined thin film, for example, an oxide film, a nitride film,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wafer, and then a material called a photoresist having a characteristic of changing chemical properties in response to light is formed on the wafer. After uniform applic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the photoresist 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is to be formed is removed by exposing a portion of the wafer on which the pattern is to be formed using a pattern mask called a reticle, and then the opened portion is etched by an etchant. A separate thin film material must be deposited and a series of processes to inject impurities.
이때, 패턴이 형성될 부분을 정밀하게 개구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스텝퍼(stepper)라 불리우는 노광 장비가 사용되는 바, 노광 공정을 진행하는 스텝퍼는 매우 짧은 파장을 방출하는 광원, 광원의 하부에 놓여지며 소정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만 광을 통과시키는 레티클, 레티클을 통과한 광이 광학적으로 축소되어 웨이퍼의 소정 부분에 도달하도록 하는 축소투영렌즈 및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고정 척 및 웨이퍼 레벨링 장치가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설치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precisely open the portion where the pattern is to be formed, an exposure apparatus called a stepper is commonly used. A stepper for performing an exposure process is a light source emitting a very short wavelength, a light source emitting a very short wavelength, and a predetermined pattern. Basic components include a reticle that passes light only, a reduction projection lens that optically reduce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ticle, and reach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wafer, a wafer holding chuck that fixes the wafer, and a wafer leveling device. do.
스텝퍼에서 정상적인 노광이 수행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축소투영렌즈의 광축과 웨이퍼의 노광할 면과 직교되도록 세팅되어야 한다. 이는 광축과 웨이퍼의 노 광할 면이 직교되도록 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광 공정이 진행될 경우, 포토레지스트 코팅 막질의 프로파일 수직성이 보장되지 않고, 그로 인하여 후속되는 식각 공정에서 심각한 불량 발생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perform normal exposure in the stepper, it should basically be set to be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of the reduction projection lens and the surface to be exposed on the wafer. This is because the profile perpendicularity of the photoresist coating film is not guaranteed when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optical axis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wafer are not set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ich may cause serious defects in subsequent etching processes. Because.
이와 같은 이유로 어떠한 경우에도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축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웨이퍼의 노광면이 광축과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For this reason, in any case, the exposure surface and the optical axis of the wafer should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exposure surface of the wafer is not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various reasons.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웨이퍼 척의 하부에 설치된 웨이퍼 레벨링 장치가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축이 수직이 되도록 조절한다.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the wafer leveling device provided under the wafer chuck is adjusted so that the optical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exposure surface of the wafer.
이와 같은 웨이퍼 레벨링 장치는 웨이퍼 전체가 광축과 수직이 되도록 조절하지만, 웨이퍼 척 자체에 의한 요인, 예를 들면, 웨이퍼의 후면 중 일부를 진공 흡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웨이퍼의 국부적인 평탄도 저하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노광 공정 중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Such a wafer leveling device adjusts the entire wafer to b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ut is locally localized due to a factor caused by the wafer chuck itself, for example, local flatness of the wafer caused by vacuum suction of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wafer. This causes a problem that a defect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exposure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와 직접 접촉되어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척에 의하여 웨이퍼 노광면과 광축이 국부적으로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것을 개선하여 노광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fact that the optical exposure of the wafer exposure surface and the optical axis are not locally perpendicular to the wafer chuck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fer to fix the wafer. It does not happ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상세하게 후술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웨이퍼 노광 설비는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수단, 광공급수단에 의하여 발생한 광이 소정 패턴 형상으로 통과되는 패턴 마스크와, 패턴 마스크를 통과한 광을 축소투영하는 패턴 축소투영수단과, 패턴 축소투영수단을 통과한 광이 웨이퍼에 도달하도록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척 유닛을 포함하며, 웨이퍼 척 유닛은 웨이퍼의 평면적보다 큰 웨이퍼 척 몸체와, 웨이퍼 척 몸체에 웨이퍼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소정 깊이의 제 1 홈과, 제 1 홈 중 웨이퍼의 에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하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제 2 홈과, 제 1 홈 중 웨이퍼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고정수단과, 제 2 홈에 형성되어 웨이퍼가 소정 공간에 유입된 유체압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웨이퍼 지지수단을 포함한다.The wafer exposure apparatus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supply means for supplying light, a pattern mask through which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upply means pass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and to reduce and projec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attern mask And a wafer chuck unit that fixes the wafer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pattern reduction projection means reaches the wafer, wherein the wafer chuck unit includes a wafer chuck body larger than the planar area of the wafer, and a wafer on the wafer chuck body. A firs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to be seated, a second groov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except for an edge portion of the wafer, and a portion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that contacts the wafer A wafer holding means for fixing the wafer, and formed in the second groove so that the wafer is supported by the fluid pressure introduced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Wafer support mean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 설비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fer exposur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1,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 설비(6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웨이퍼 노광 설비(600)는 전체적으로 보아 광 공급장치(100), 레티클(200), 축소투영렌즈 유닛(300), 웨이퍼 척 유닛(400), 웨이퍼 척 레벨링 유닛(5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550,도 2 도시)로 구성된다.1 and 2,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웨이퍼 노광 설비(600)중 광 공급장치(100)는 웨이퍼(1)의 노광에 필요한 소정 파장을 갖는 광을 공급하는 장치로, 광 공급장치(100)의 하부에는 웨이퍼(1)에 형성할 패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패턴 마 스크인 레티클(200)이 위치하며, 레티클(200)의 하부에는 레티클(200)의 패턴을 웨이퍼(1)에 축소 투영하기 위한 축소투영렌즈 유닛(300)이 설치된다.The
한편, 축소투영렌즈 유닛(300)의 하부에는 웨이퍼 트랜스퍼(10)에 의하여 이송된 웨이퍼(1)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웨이퍼 척 유닛(400)이 설치된다.Meanwhile, a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척 유닛(400)은 웨이퍼(1)를 고정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웨이퍼(1)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다.The
이를 구현하기 위한 웨이퍼 척 유닛(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구성에 따른 독특한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uniqu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웨이퍼 척 유닛(400)은 첨부된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척 몸체(410), 웨이퍼 고정장치(420), 웨이퍼 지지장치(430) 및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 및 다공 플레이트(460)로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웨이퍼 척 몸체(410)는 웨이퍼(1)의 두께보다는 매우 두꺼운 두께 및 소정 평면적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웨이퍼 척 몸체(410)의 평면적은 최소한 웨이퍼(1)의 평면적 보다는 큰 형상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웨이퍼 척 몸체(410)는 웨이퍼(1)와 닮은꼴로 웨이퍼(1)보다 다소 큰 평면적을 갖는 원판 형태를 갖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웨이퍼 척 몸체(410)의 상부에는 웨이퍼(1)가 꼭맞게 삽입되는 평면적을 갖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제 1 홈(412)이 형성되고, 제 1 홈(412)의 기저면에는 웨이퍼(1)의 플랫존(1a) 부분만이 안착되는 직경 및 소정 깊이를 갖는 제 2 홈(414)이 형성되고, 제 2 홈(414)의 기저면에는 다시 제 2 홈(414)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으며 소정 깊이를 갖는 제 3 홈(415)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여기서, 제 1 홈(412)의 기저면에는 웨이퍼(1)가 안착됨으로 이하, 제 1 홈(412)을 웨이퍼 안착홈이라 정의하기로 하며 제 1 홈(41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제 2 홈(414)에는 상세하게 후술될 다공 플레이트(460)가 안착됨으로 다공 플레이트 안착홈이라 정의하기로 하며, 제 2 홈(414)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The
제 3 홈(415)의 바닥면을 통해서는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배기됨으로 제 3 홈(415)을 에어 입출입 홈이라 정의하기로 하며, 제 3 홈(415)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Since the air is supplied / exhaus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미설명 도면부호 412a는 웨이퍼 안착홈 측벽, 412b는 웨이퍼 안착홈 바닥면, 414a는 다공 플레이트 안착홈 측벽이다.
이와 같이 정의된 웨이퍼 안착홈 바닥면(412b)에는 환형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버큠 홈(412c)이 적어도 1 개 이상이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웨이퍼 안착홈 바닥면(412b)에 2 개의 버큠 홈(412c)이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한다.The wafer seating
이 버큠 홈(412c)에는 버큠 홀(412d)이 형성되고, 버큠 홀(412d)에는 웨이퍼 고정장치(420)가 연결된다.A
웨이퍼 고정장치(420)는 버큠 배관(422,424;425) 및 버큠 장치(427)로 구성되는 바, 버큠 배관(425)에는 버큠 장치(427)이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버큠 장치(427)로 진공 펌프를 사용하기로 한다.The
한편, 다공 플레이트 안착홈(414)의 상면에는 다공 플레이트(460)가 안착되는 바, 다공 플레이트(460)는 다공 플레이트 안착홈 측벽(414a)에 꼭맞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적에 걸처 복수개의 관통홀(460a)이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에어 입출입 홈(415)의 바닥면에는 에어가 공급되기 위한 적어도 1 개 이상의 에어 공급 홀(432)이 형성됨과 동시에 에어가 배기되기 위한 적어도 1 개 이상의 에어 배기 홀(434)이 형성되며, 에어 공급 홀(432) 및 에어 배기 홀(434)에는 각각 에어 공급 배관(432a), 에어 배기 배관(434a)과 연통되고, 에어 공급 배관(432a) 및 에어 배기 배관(434a)들은 에어 조절장치(436)에 의하여 에어가 공급되거나 배기된다.Meanwhile, at least one
미설명 도면부호 470는 웨이퍼(1)가 웨이퍼 안착홈(412)에 로딩 또는 웨이퍼 안착홈(412)으로부터 웨이퍼(1)가 언로딩되도록 하는 이젝트 핀이고, 432b 및 434b는 전자식 개폐 밸브이다.
한편, 웨이퍼(1)가 웨이퍼 안착 홈(414)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웨이퍼(1)의 후면에 형성된 공간으로 과도한 에어가 공급될 경우, 웨이퍼(1)의 중심 부분이 볼록하게 되거나, 웨이퍼(1)의 후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에어가 부족하게 공급될 경우 웨이퍼(1)의 중심 부분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어 웨이퍼(1)의 노광면과 광축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부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excessive air is supplied to the spac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물론, 이와 같은 이유는 에어 조절장치(436)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함으로 극 복이 가능하지만,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웨이퍼(1)의 중심 부분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될 수 있음으로 실제 웨이퍼(1)의 상태에 따라서 에어 조절장치(436)를 제어하는 방식이 보다 합리적이다.Of course, such a reason can be overcome by adjusting the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웨이퍼 안착홈 측벽(412a) 및 다공 플레이트 안착홈 측벽(414a)에는 각각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2,445;440)가 장착된다.In order to implement this, wafer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는 바람직하게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442a,445a) 및 발광부(442a,445a)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442b,445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광원은, 예를 들어, 직진성이 뛰어난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발광부(442a,445a) 및 수광부(442b,445b)는 웨이퍼(1)를 기준으로 웨이퍼(1)의 양쪽에 각각 분리 설치한다.The
이와 같은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는 웨이퍼(1)가 웨이퍼 안착홈(41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웨이퍼(1)의 밑면, 웨이퍼(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다.The
이와 같은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는 웨이퍼(1)의 일부가 오목 또는 볼록할 경우, 발광부(442a,445a)에서 발광된 광이 오목 또는 볼록한 부분에 의하여 차단되어 수광부(442b,445b)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중앙처리장치(550)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 조절 장치(436)로부터 에어를 급기 또는 배기시켜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의 발광부(442a,445a)에서 발생한 광이 모두 수광부(442b,445b)에 도달할 때까지 조절한다.When a portion of the
물론, 이 광은 웨이퍼(1)의 레벨링에서만 사용되고 실제 웨이퍼(1)를 노광할 때에는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사용되지 않는다.Of course, this light is used only in the leveling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 노광 설비(600)의 보다 구체적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ore specific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선행 공정, 예를 들면, 스핀 코터 등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 도포 공정이 종료된 웨이퍼(1)는 웨이퍼 트랜스퍼(10) 등에 의하여 진공 흡착된 상태로 웨이퍼 노광 설비(600)로 이송된다.Referring to FIG. 3, the
이후, 웨이퍼(1)는 이젝트 핀(47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젝트 핀(470)이 하강하여 웨이퍼 안착홈(412)의 상면에 안착된다.Subsequently, in the state where the
웨이퍼(1)가 웨이퍼 안착홈(412)에 안착되면, 이젝트 핀(470)의 하강을 감지한 중앙처리장치(550)가 웨이퍼 고정장치(420)의 버큠 장치(427)를 작동시켜 웨이퍼(1)의 에지가 진공압에 의하여 웨이퍼 안착홈(412)에 진공 흡착되도록 한다.When the
웨이퍼 안착홈(412)에 웨이퍼(1)가 진공 흡착되면, 중앙처리장치(550)는 다시 에어 조절장치(436)의 에어 공급 배관(432a)을 통하여 웨이퍼(1)의 밀폐된 후면에 에어를 공급하여 웨이퍼(1)의 후면에 웨이퍼(1)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압력을 가한다.When the
이때, 중앙처리장치(550)는 웨이퍼(1)의 전면 또는 후면의 레벨을 감지하는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2,445)에 의하여 웨이퍼(1)가 평탄하지 않고 웨이퍼(1)의 상면이 볼록하거나 웨이퍼(1)의 하면이 볼록할 경우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단시간내 웨이퍼(1)가 노광공정에 적합한 평탄도를 갖도록 조절한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웨이퍼(1)가 평탄해지면, 웨이퍼 레벨 감지 센서(440)의 작동을 오프한 상태에서 웨이퍼 레벨링 유닛(500)이 웨이퍼(1)의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다시 한번 레벨링을 수행한 후, 광 공급장치(100)에서 발생한 광이 레티클(200), 축소투영렌즈 유닛(300)를 거쳐 웨이퍼(1)에 도달하도록 하여 웨이퍼(1)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박막중 광에 노출된 부분이 화학적으로 반응 후 제거되고 이후, 식각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하여 웨이퍼(1)에는 레티클(200)의 패턴과 닮으면서 축소된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다.When the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웨이퍼 척을 구동하여 웨이퍼의 전체 레벨을 조정하여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함은 물론 웨이퍼를 고정하는 웨이퍼 척에 의하여 웨이퍼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요철의 제거 및 국부적인 요철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또다른 레벨링 문제도 해결함으로써 웨이퍼의 노광면과 광학계의 광축이 어떠한 경우라도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광 공정중 발생하는 불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wafer chuck is driven to adjust the overall level of the wafer so that the optical surface of the wafer and the optical axis of the waf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well as local unevenness generated in the wafer by the wafer chuck fixing the wafer. Another leveling problem arising during the removal of the etch and the local unevenness is also solved,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wafer and the optical plane of the wafer can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defects during the exposure process. hav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5738A KR100663340B1 (en) | 2000-06-27 | 2000-06-27 | Wafer exposur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5738A KR100663340B1 (en) | 2000-06-27 | 2000-06-27 | Wafer exposur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1273A KR20020001273A (en) | 2002-01-09 |
KR100663340B1 true KR100663340B1 (en) | 2007-01-02 |
Family
ID=1967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57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3340B1 (en) | 2000-06-27 | 2000-06-27 | Wafer exposur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33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0236B1 (en) * | 2001-12-14 | 2008-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xposure device that can prevent halation |
KR101126997B1 (en) * | 2008-04-15 | 2012-03-27 | 토레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late-like member |
KR200452381Y1 (en) * | 2008-04-24 | 2011-02-22 | 김한나 | Exterior material fixing device of build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1398A (en) * | 1989-10-20 | 1992-12-15 | Nec Corporation | Equipment for sticking adhesive tape on semiconductor wafer |
-
2000
- 2000-06-27 KR KR1020000035738A patent/KR1006633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1398A (en) * | 1989-10-20 | 1992-12-15 | Nec Corporation | Equipment for sticking adhesive tape on semiconductor waf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1273A (en) | 2002-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209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situ metrology within a wafer process | |
US11203094B2 (en) | Substrate clean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clean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US7022190B2 (en) | Substrate coating unit and substrate coating method | |
JP4343018B2 (en)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EP1291910A1 (en) | Wafer chuck, exposur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US7809460B2 (en) | Coa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coating and develop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a computer-readable program is stored | |
JP2009200388A (en) | Method of processing substrate, program, computer storage medium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 |
KR20010051729A (en) | Silylation treatment unit and method | |
JP2012009883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63340B1 (en) | Wafer exposure equipment | |
JP2004221323A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alig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vice | |
US6536964B1 (en) |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JP2008198755A (en) | Stage device, lithograph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vice | |
JPH04208551A (en) | Substrate suction device | |
US20240234193A9 (en) | Wafer processing apparatus | |
JP2002343853A (en) | Substrate holding apparatus, exposure system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US20230152706A1 (en) | Irradiating module,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same | |
US20230067973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 |
US20230185206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 |
KR2021008597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 |
US7884950B2 (en)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 |
JP3631131B2 (en) | Silyl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silylation treatment method | |
US20230168586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 |
TW202522628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detecting method of tray tilting | |
JPH10166257A (en) | Polish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1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122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