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4133B1 -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133B1
KR100644133B1 KR1020040117873A KR20040117873A KR100644133B1 KR 100644133 B1 KR100644133 B1 KR 100644133B1 KR 1020040117873 A KR1020040117873 A KR 1020040117873A KR 20040117873 A KR20040117873 A KR 20040117873A KR 100644133 B1 KR100644133 B1 KR 100644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eel cord
super high
present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283A (ko
Inventor
공재도
김민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4011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1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1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pes Or Cabl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소함량이 0.80 ~ 0.86wt%인 와이어로드를 신선하는 1차 가공단계와, 상기 1차 가공 후 중간열처리 및 도금을 한 다음 97.5% 이상 100% 보다 작은 감면율을 갖도록 습식신선 가공하여 소선을 수득하는 2차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탄소함량이 적은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이용하여 슈퍼하이텐설(SHT) 스틸코드용 소선을 제조함에 따라, 소선 제조 시 단선발생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해 제조한 스틸코드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경감되고 직경이 축소되므로, 타이어 제조 시 스틸코드 사용량을 감소시켜 타이어 경량화 및 주행시 구름저항 감소로 인한 연비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틸코드 토핑 작업 시 고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타이어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filament for SHT steel cord}
본 발명은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선 등의 가공불량을 발생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코드(Steel Cord)는 타이어의 고무제품 보강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탄소함량이 0.6 ~ 0.95wt%인 탄소강으로 된 직경 5.0 ~ 5.5mm 인 와이어로드를 직경 1.0 ~ 2.0mm로 신선가공한 후 그 표면에 0.1 ~ 0.4㎛ 두께의 황동도금을 실시한 후 다시 신선가공을 행하여 생산한, 직경 0.10 ~ 0.40mm, 강도 280 ~ 340kg/㎟인 소선(Filament)을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예컨대, 1 × 3, 2 + 2, 2 + 7, 3 + 6, 3 + 9 + 15, 1 + 18, 3 / 8 + 13 등)로 꼬아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스틸코드는 소선의 인장 강도에 따라 하기의 표 1과 같이 분류한다.
[표 1] 스틸코드 분류
Figure 112004063105610-pat00001
상기 표 1에 구분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각각의 인장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노멀텐설(Normal Tensile)(NT) 스틸코드의 경우에는 탄소함량이 0.67 ~ 0.75%인 와이어로드(Wire Rod)를 사용하며, 하이텐설(High Tensile)(HT) 스틸코드는 탄소함량이 0.77 ~ 0.85%인 와이어로드를 사용하고, 슈퍼하이텐설(Super High Tensile)(SHT) 스틸코드는 탄소함량이 0.9 ~ 1.0%인 와이어로드를 사용하여, 직경 1.0 ~ 2.0mm로 신선가공 후 표면에 황동도금을 하고 다시 직경 0.10 ~ 0.40mm로 최종 신선가공하여 소선을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예로서, 미국특허 공고번호 US06293326에서는, 소선의 직경이 0.30mm인 경우, 하이텐설(HT) 스틸코드는 탄소함량이 0.80% 이상의 와이어로드로 소선을 제조하여 인장강도가 330kg/mm2이며, 슈퍼하이텐설(SHT)은 탄소함량이 0.78 ~ 0.86%인 탄소강에 0.3~1.0% 규소(Si) 및 기타 합금원소(Cr, Ni, Co, W, V, Nb 등)가 0.1 ~ 0.5% 첨가된 와이어로드로 소선을 제조하여 인장강도가 376kg/mm2이다.
그리고, 이 소선을 N가닥 꼬아서 1 × N(N=2~3) 구조의 스틸코드를 생산한다.
또한, 다른 종래예로서, 미국특허 공고번호 US06098393에서는 탄소함량이 0.91 ~ 2.0%인 와이어로드로 인장강도가 340kg/mm2 이상인 슈퍼하이텐설(SHT) 소선을 제조하여 1 × 2구조의 스틸코드를 생산한다.
그러나, 철에 탄소나 합금원소의 함량이 높아지면, 강도는 높아지나 와이어로드 제조시 탄소편석(Carbon Segreation) 또는 비금속 개재물의 분포 및 크기 등의 조절이 어려워 와이어로드의 제조가 어렵고, 탄소편석이 존재하거나 비금속 재재물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스틸코드 생산 시 신선가공 또는 연선가공시 단선(斷線) 등의 가공불량을 발생하여 스틸코드의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탄소함량이 0.80 ~ 0.86%인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 사용하여 슈퍼하이텐설(SHT) 스틸코드용 소선을 제조함으로써, 소선 제조 시 단선발생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은, 탄소함량이 0.80 ~ 0.86wt%이고 직경이 5.0 ~ 5.5mm 와이어로드를 신선(伸線, wire drawing)하는 1차 가공단계와, 상기 1차 가공 후 중간열처리(Patenting) 및 황동도금을 한 다음 97.5% 이상 100% 보다 작은 감면율(단면 감수율)을 갖도록 습식신선 가공하여 소선을 수득하는 2차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수득되는 소선은, 직경 0.20 ~ 0.30mm에 인장강도 340 ~ 380kg/mm2가 되도록 습식신선 가공한다.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수득된 소선은 복수개를 꼬아서 스틸코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스럽게는 소선 3개를 꼬아서 1 × 3 구조의 스틸코드를 생산한다.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는, 습식 신선 가공시 감면율이 97.5% 이상이 되도록 해야함을 주의해야한다.
본 발명은 탄소함량이 0.80 ~ 0.86wt%인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사용하여 슈퍼하이텐설(SHT) 스틸코드용 소선을 제조하는 것이 주된 특징인데, 감면율이 97.5% 미만이 되면 인장강도가 저하되어 슈퍼하이텐설(SHT)가 아닌 하이텐설(HT) 스틸코드가 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3 × 0.28SHT)
탄소함량이 0.82%, 직경 5.5mm인 와이어로드를 직경이 2.3mm가 되도록 1차 신선한 후, 중간열처리 및 황동도금을 하고 직경 0.28mm까지 최종 습식신선을 실행하여 제조한 소선 3가닥을 꼬아 스틸코드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1 × 3 × 0.30HT)
탄소함량이 0.82%, 직경 5.5mm인 와이어로드를 직경이 1.75mm가 되도록 1차 신선한 후 중간열처리 및 황동도금을 하고 직경 0.30mm까지 최종 습식신선을 실행 하여 제조한 소선 3가닥을 꼬아 스틸코드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2+2 × 0.25HT)
탄소함량이 0.82%, 직경 5.5mm인 와이어로드를 직경이 1.45mm가 되도록 1차 신선한 후 중간 열처리 및 황동도금을 하고 직경 0.25mm까지 최종 습식신선을 실행하여 제조한 소선 4가닥을 꼬아 스틸코드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스틸코드 물성
Figure 112004063105610-pat00002
단, 상기의 표 2에 나타낸 물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선경, 코드경 : 마이크로메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절단강도 : 인스트론 인장시험기(1T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 절단강도 / 소선의 단면적
3) 단위중량 : 스틸코드 1m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하였다.
4) 경직도(Stiffness) : Taber-Stiffness를 측정하였다.
5) 피로한도 : RBT(Rotating Beam Tester, Beakert사 제품) 피로시험기를 사용하여 백만회 회전하는 동안 피로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최고의 하중을 표시한 것이다.
6) 접착력: ASTM D2229-85, ASTM D2229-79 규격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2의 감면율을 정리하면 하기의 표 3과 같다.
[표 3] 감면율
Figure 112004063105610-pat00003
상기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1 및 2와 동일한, 탄소함량이 0.82%인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사용하여 인장강도가 365kg/mm2인 슈퍼하이텐설(SHT) 스틸코드용 소선을 생산하였으며, 절단강도, 경직도(Stiffness), 피로한도 등이 비교예 1 및 2에 대비하여, 동등 또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은, 탄소함량이 0.80 ~ 0.86wt%이고 직경이 5.0 ~ 5.5mm인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신선한 후 중간열처리 및 황동도금을 한 다음 97.5% 이상 100% 보다 작은 감면율(단면 감수율)을 갖도록 습식신선 가공하여 수득한 소선을 이용해 슈퍼하이텐설용 스틸코드를 제조함으로써, 절단강도, 경직도, 피로한도 등이 우수하면서도 탄소함량이 적은 하이텐설(HT)용 와이어를 이용함에 따라 소선 제조 시 단선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 1 및 2에 대비하여 87 ~ 94% 정도의 중량이므로, 타이어 제조 시 스틸코드 사용량을 감소시켜 타이어 경량화 및 주행시 구름저항 감소로 인한 연비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비교예 1 및 2에 대비하여 스틸코드의 직경이 91 ~ 94% 수준으로 스틸코드 토핑 작업 시 고무 두께 를 얇게 할 수 있어 타이어 경량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함량이 0.80~0.86% 인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사용하여 슈퍼하이텐설(SHT) 스틸코드용 소선을 생산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탄소함량이 적은 하이텐설(HT)용 와이어로드를 이용함에 따라, 소선 제조 시 단선발생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해 제조한 스틸코드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경감되고 직경이 축소되므로, 타이어 제조 시 스틸코드 사용량을 감소시켜 타이어 경량화 및 주행시 구름저항 감소로 인한 연비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틸코드 토핑 작업 시 고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타이어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탄소함량이 0.80 ~ 0.86wt%이고 직경이 5.0 ~ 5.5mm 인 와이어로드를 신선하는 1차 가공단계; 및
    상기 1차 가공 후 중간 열처리 및 황동도금을 한 다음 97.5% 이상 100% 보다 작은 감면율을 갖도록 습식신선 가공하여 직경이 0.20 ~ 0.30mm이고 인장강도가 340 ~ 380kg/mm2인 소선을 수득하는 2차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117873A 2004-12-31 2004-12-31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44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73A KR100644133B1 (ko) 2004-12-31 2004-12-31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73A KR100644133B1 (ko) 2004-12-31 2004-12-31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83A KR20060078283A (ko) 2006-07-05
KR100644133B1 true KR100644133B1 (ko) 2006-11-10

Family

ID=3717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873A Expired - Lifetime KR100644133B1 (ko) 2004-12-31 2004-12-31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1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97A (ko) * 2002-06-10 2003-12-18 주식회사 효성 고무제품 보강용 극세강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97A (ko) * 2002-06-10 2003-12-18 주식회사 효성 고무제품 보강용 극세강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948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83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337B1 (ko) 고신장률 스틸 코드 및 상기 코드를 포함하는 공압 타이어
EP2414581B1 (en) High elongation steel cord with preformed strands
CN102066653B (zh) 橡胶制品加强用钢丝帘线及采用该钢丝帘线的充气轮胎
CN1359435A (zh) 用于轮胎胎体的多层钢缆
JP2772627B2 (ja) ゴム補強用超高強度スチールワイヤおよびスチールコード
KR100276014B1 (ko) 공기입타이어용고강도스틸코드
US20100261032A1 (en) Single wire steel cord
JP7535531B2 (ja) ゴム補強のためのスチールコード
JP2920474B2 (ja) ゴム補強用超高強度スチールワイヤおよびスチールコード
KR100644133B1 (ko) 슈퍼하이텐설 스틸코드용 소선 제조방법
JP3777166B2 (ja) 高強度極細鋼線の製造方法
KR20200085853A (ko) 고무 보강용 강철 코드
KR100785241B1 (ko) 래디얼 타이어용 스틸코드
KR101518602B1 (ko) 비틀림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의 제조방법
WO2022047714A1 (en) A steel cord for rubber reinforcement
KR101561304B1 (ko) 단선 스틸코드
JPH08226085A (ja) 超高強度スチールコ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ラジアルタイヤ
JP3299857B2 (ja) 疲労特性の優れた高強度極細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9360B2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KR101215778B1 (ko) 초고강도 스틸코드용 강선의 제조방법
KR20250000633A (ko) 1×2 구조 스틸코드를 포함하는 래디얼 타이어
JPH09241805A (ja) 高強度極細鋼線
WO2016080468A1 (ja) 炭素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2403B1 (ko) 2+5 구조의 차량용 타이어용 스틸코드
JP2005002518A (ja)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