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4063B1 -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 Google Patents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063B1
KR100644063B1 KR1020040038376A KR20040038376A KR100644063B1 KR 100644063 B1 KR100644063 B1 KR 100644063B1 KR 1020040038376 A KR1020040038376 A KR 1020040038376A KR 20040038376 A KR20040038376 A KR 20040038376A KR 100644063 B1 KR100644063 B1 KR 10064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binder polymer
acrylate
dispersant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400A (ko
Inventor
한장선
김해영
김주현
류동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4010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0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J5/224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 C08J5/22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containing fluor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체 및 상기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용 슬러리, 전극, 2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에 의해, 라텍스 안정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며, 이를 이용한 슬러리의 분산특성, 전극의 코팅특성 및 전지 용량과 싸이클 특성을 우수하게 한다.
이차 전지, 분산제, 바인더

Description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COMPOSITE BINDER FOR AN ELECTRODE WITH DISPERSANTS CHEMICALLY BOUND}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체 및 상기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소형화, 경량화를 위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 전지는 고용량화, 소형화, 경량화, 박리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높은 전압, 오랜 수명,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장점 때문에 활발한 연구와 함께 생산, 판매되고 있다.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에서의 구성은 양극-전해액-분리막-전해액-음극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리튬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여 흡장되는 충전 과정과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방전과정에 의해 전지 특성을 발휘하게 된다.
전극(양극, 음극)은 집전체와 전극 필름으로 구성되며, 전극 필름은 전극 활물질, 도전제 그리고 전극 바인더로 구성된다. 궁극적으로 전극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활물질이지만, 전극 활물질 사이에 접착력을 부여하고 전극 필름을 집전체에 고정시켜 주는 전극 바인더의 역할도 중요하다.
또한 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이 전극 활물질, 도전제, 전극 바인더를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극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전극 슬러리를 집전체에 코팅하는 방식일 경우, 전극 슬러리의 분산특성과 코팅특성이 중요한 물성으로 작용하게 된다.
전극 바인더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바인더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계 고분자로 NMP(N-methyl-2-pyrrolidone)와 같은 유기용매에 녹여서 바인더 조성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DF계 바인더는 NMP 유기용매 사용에 따른 환경적인 문제가 있으며, 고용량의 2차 전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투입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이고 적은 투입량으로도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계 바인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전극 슬러리의 분산특성과 코팅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수계 바인더에 관한 발명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체의 중합시 중합 전환율이 50 % 이상 진행된 후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바인더 중합체의 표면에 분산제를 화학결합시킨 경우, 분산제가 전극 슬러리의 분산특성과 코팅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유리하고, 전지의 용량 증가와 싸이클 특성 향상에도 기여하였다는 실험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특성과 코팅특성이 뛰어난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포함하여 분산특성과 코팅특성이 뛰어난 활물질 슬러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활물질 슬러리로 집전체와의 접착력이 뛰어난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전극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전극으로 전지 용량과 싸이클 특성이 뛰어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체 및 상기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산제가 바인더 중합체에 화학결합, 구체적으로 공유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산제는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 전체에 투입할 수 있지만, 분산제가 코팅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인더 중합체 중합시 중합 전환율이 50 % 이상 진행된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최소량의 바인더 양으로 전지 특성에 필요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바인더 중합체의 중합 전환율이 50 % 이상 진행된 후에 분산제를 투입하여 바인더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산제는 수용성 단량체 혹은 그 중합체로 구성되며, 소수성인 바인더 고분 자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바꿔주어 분산매인 물에 보다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인더 중합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복합 바인더 입자는, 분산제가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흡착된 경우와 달리, 활물질 슬러리 제조시 외부 힘이 가해져도(예, 교반시) 분산제가 바인더 중합체와 견고히 결합되어 있어서, 활물질 슬러리에서 균일한 분산특성을 나타내며, 집전체에 도포하는 코팅특성이 우수하고, 전극 표면에서 균일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전지의 용량 증가와 싸이클 특성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바인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로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등); 공역디엔계 단량체 (예,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등);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예,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 니트릴계 단량체 (예,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타콘산, 글루타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가 있으며, 상기 단량체를 단독으로 중합하거나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바인더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의 경우 2종 내지 10종의 단량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중합 첨가제로서 t-도데실멀캅탄, n-도데실멀캅탄, n-옥틸멀캅탄 등의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 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 등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는 가교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어떠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조 비스 부틸로 니트릴,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수용성 또는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한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로는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제1 분산제),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유래의 단량체(제2 분산제),
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응형 계면활성제(제3 분산제)
4) 상기 제1 분산제의 단량체를 50 내지 90 중량%, 상기 제2 분산제의 단량체를 5 내지 45 중량%, 상기 제3 분산제의 반응형 계면활성제를 0.5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제4 분산제)
5)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복시산계 단량체(제5 분산제)
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산제를 단독으로 투입하거나, 2 내지 5 종의 분산제를 혼합하여 투입하여도 좋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2O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R3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며, n은 1 내지 5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M1은 수소,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6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 페닐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페닐렌이고, R7O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될 수 있고, M2는 수소원자, 1가 금속원자, 2가 금속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기이며, m은 10 내지 50의 정수이고, r은 0 또는 1이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8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9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이며, t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로는 메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 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 산의 1가 금속염, 2가 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 아민염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로는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알릴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알릴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알릴에테르,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2-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2-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2-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부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펜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펜테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펜테닐에테르 등의 설폭시폴리알킬렌옥사이드알릴에테르류;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프로페닐-5-프로필)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프로페닐-5-프로필)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등의 설폭시폴리알킬렌옥사이드알킬비닐페닐에테르류; 2-설폭시폴리에 틸렌옥사이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설폭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설폭시폴리부틸렌옥사이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등의 2-설폭시폴리알킬렌옥사이드-3-(4-알킬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류 등과 이들을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염 및 유기 아민으로 중화한 것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로는 폴리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카르복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르복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로 사용되는 상기 단량체들의 특징은 수용성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분산제가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존재할 경우, 분산제는 바인더 중합체의 중합 안정성과 저장 안정성에 기여하고, 활물질 슬러리 제작시 바인더가 슬러리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여 활물질과 활물질 사이의 균일한 접착력에 기여하고, 전극 제작시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에서도 균일하고 우수한 접착력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복합 바인더 중합체에서 분산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고형분의 0.01 중량% 내지 30 중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 투입량이 0.01 중량% 이하이면 바인더 특성이 저하되고, 30 중량% 이상이면 라텍스 안정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분산제 단량체를 바인더 중합 과정의 후반(중합 전환율이 50% 이상 진행)에 투입하면 바인더 입자의 표면에 상기 분산제 성분의 함량이 높게 구성된다. 이로써, 라텍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극 슬러리의 분산특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된 전극의 활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바인더가 고르게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분산제 단량체를 중합 전환율이 50% 이하에서 투입하면 분산제 단량체가 바인더 입자의 내부에 묻혀서 분산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고, 중합이 완료된 후에 투입하면 단순히 물리적인 혼합 상태가 되어 라텍스 안정성과 분산 특성에 기여하는 바가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유화중합을 통해 바인더 중합체 및 분산제를 포함한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중합 단량체들과 분산제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바인더 중합체는 물을 분산매로 하여 수계 바인더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NMP 유기용매를 분산매로 하는 PVDF 대신 물을 분산매로 하는 수계 고분자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환경 친화적으로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슬러리의 제조 공정에서 분산특성이 우수하고,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는 코팅특성도 우수할 뿐 아니라, 이렇게 제조된 전극을 사용한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전지용량과 싸이클 특성도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은 1) 전극 활물질 및 2) 본 발명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포함한다.
전극 활물질은 전지의 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물질로서, 양극에 사용되는 활물질에는 폴리피롤, 폴리아닐닌, 폴리아세틸렌, 폴리티오픈과 같은 도전성 고분자, TiS2, TiS3, Cu2V2O3, 비정질 V2O-P 2O5, V6O13 및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망간산화물 등의 금속산화물, 그리고 금속산화물과 도전성 고분자의 복합금속산화물 등이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로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MPCF, MCMB, PIC, 페놀 수지 소성체, PAN계 탄소섬유, 그라파이트 등의 탄소질 물질, 폴리아센과 같은 도전성 고분자, 리튬금속, 리튬합금 등의 리튬계 금속 등이 있다.
전극 슬러리는 활물질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도전제와 점도 조절제(증점제), 보조결착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로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에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카르복실에틸메틸셀룰로오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제는 전지에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자 전도성 재료를 사용한다. 인장 흑연, 비늘 조각 모양 흑연, 토상 흑연 등의 천연 흑연, 석유 코크스, 셀룰로오스류, 당류, 메소페주피치, 인공흑연(예, 그래파이트류, 아세틸렌 블랙, 케첸부락, 채널블랙등 카본 블랙, 아스팔트 피치, 콜타르, 활성탄등)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은 LiPF6, LiClO4, LiBF4, LiN(SO2CF3)2 등을 지지 전해질로 하고 고유전성 용매인 에틸카보네이트, 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 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를 적절히 혼합한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바인더 중합체의 제조]
이온교환수 93.0 g을 반응기 내부에 투입하고 온도를 75 ℃까지 상승시켰다. 이온교환수의 온도가 75 ℃에 도달하면 부틸아크릴레이트 5.8 g, 스티렌 4.3 g,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1 g을 투입하였다. 반응기내 온도를 75 ℃로 유지하면서 포타슘퍼설페이트 0.08 g을 5.0 g의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 투입함으로써 시이드를 완성하였다.
상기 시이드에 이온교환수 93.0 g, 스티렌 30.0 g, 부틸아크릴레이트 60.1 g 아릴메타크릴레이트 0.8 g,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15 g을 혼합하여 유탁시킨 반응물을 3시간에 나누어 투입하면서, 포타슘퍼설페이트 0.21 g을 10.0 g의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 마찬가지로 3시간동안 투입함으로써 바인더 중합 반응을 진행시키는데, 반응 종료 1시간 전에 분산제로 제1 분산제인 에톡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아크릴레이트 5.5 g 을 유탁시킨 반응물에 투입함으로써 분산제를 바인더 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켰다.
상기 중합 결과물에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pH=7이 되게 조절하여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를 완성하였다.
[전극 슬러리의 제조]
음극은 물을 분산매로 하여 천연흑연 94 g, 도전재로 아세틸렌 블랙 1.0 g, 상기 제조된 복합 바인더 중합체 2.4 g, 증점제로 수용성 고분자인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2.5 g의 비율로 혼합하고, 전체 고형분 함량이 45 %가 되도록 하여 음극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양극은 활물질인 LiCoO2 94 g, 도전성 고분자인 아세틸렌 블랙 1.0 g, 상기 제조된 복합 바인더 중합체 5.0 g의 비율로 혼합하고, 마찬가지로 고형분 함량이 45 %가 되도록 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분산특성 평가]
제조된 슬러리의 분산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Rheometer에 슬러리를 위치시킨 다음, 전단속도를 0.01에서 1000까지 올리면서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점도가 계속해서 떨어지지 않고 상승하는 구간이 나타나면 이는 슬러리의 분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보다 균일한 분산 상태로 만들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러리의 분산특성은 이러한 점도 상승 구간의 유무에 따라 O, X 로 평가하였다. (O:점도 상승이 나타나지 않아 분산특성이 우수한 경우, X:점도 상승이 나타나 분산특성이 나쁜 경우)
[전극의 제조]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음극은 구리박에, 양극은 알루미늄박에 각각 200 μm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를 90 ℃의 드라이 오븐에 넣고 20 분간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적당한 두께로 압연하여 전극을 완성하였다.
[코팅특성 평가]
코팅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형분 함량을 기존의 45 %에서 51 %로 높여서 슬러리를 만든 다음, 마찬가지로 집전체에 200 μm의 두께로 도포하여 도포된 상태를 O, X 로 평가하였다. (O: 슬러리가 집전체에 완전히 도포되어 코팅특성이 우수한 경우 X:도포되지 않은 집전체 표면이 나타나 코팅특성이 나쁜 경우)
[접착력 평가]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전극 표면에 에폭시 판을 부착시켜 활물질을 고정시키고, 일정 두께로 자른 집전체를 벗겨 내며 180° 벗김 강도를 측정하였다. 평가는 5 개 이상의 벗김 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정하였다.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조]
상기 완성된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으로 만들어진 분리막을 넣어서 코인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EC(Ethyl Carbonate) : EMC(Ethyl Methyl Carbonate) = 1 : 2(체적비)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LiPF6 전해질을 1몰/리터의 농도로 용해시킨 전해액을 투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전지 성능 평가]
전지 특성은 0.1 C 정전류법으로 3 싸이클과 30 싸이클의 충방전을 반복하였으며, 초기용량, 3 싸이클 후의 용량, 30 싸이클 후의 용량을 비교하였다. 평가는 동일한 바인더 조성물에 대해 5 개 이상의 코인형 전지를 제작하여 평가한 후, 평균값으로 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제2 분산제인 아크릴산 5.5 g 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제3 분산제인 설폭시폴리에틸렌옥사이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5.5 g 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제4 분산제인 하기 화학식 5의 CP-WB (한국특허공개번호 2004-0001763에 기재된 분산제) 5.5 g 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5
실시예 5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제5 분산제인 폴리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5.5 g 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2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표 1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6
실시예 13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 투입량을 16.5 g 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반응 종료 2시간 전에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반응 종료 후에 투입하여 바인더 중합체에 분산제가 화학적 결합되지 아니하고 단순 혼합상태로 만드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4의 복합 바인더 중합체 제조과정에서 분산제를 반응 종료 후에 투입하여 바인더 중합체에 분산제가 화학적 결합되지 아니하고 단순 혼합상태로 만드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전극 슬러리, 전극,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제작 및 평가방법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평가결과]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전지성능, 분산특성, 코팅특성, 접착력 평가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7
본 발명은 바인더 중합 후반부에 첨가된 분산제에 의해 바인더 라텍스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극 슬러리의 분산특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코팅 특성과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제작된 2차 전지의 용량이 크게 나타나며 싸이클 테스트에서 전지 용량의 저하가 적은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바인더 중합체 및 상기 바인더 중합체 표면에 화학결합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로서, 상기 분산제는 수용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중합 가능한 단량체 또는 이의 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 중합체 중합시 중합 전환율이 전체 반응의 50 % 이상 진행된 후에 분산제가 첨가된 것이 특징인 복합 바인더 중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바인더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공역디엔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니트릴계 단량체,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단량체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복합 바인더 중합체.
  4. 제 3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이고; 공역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이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이며;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타콘산, 글루타콘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인 것이 특징인 복합 바인더 중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분산제는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옥사이드(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유래의 단량체;
    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응형 계면활성제;
    4) 상기 제1 분산제의 단량체를 50 내지 90 중량%, 상기 제2 분산제의 단량체를 5 내지 45 중량%, 상기 제3 분산제의 반응형 계면활성제를 0.5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5)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복시산계 단량체(제5 분산제) 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합 바인더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2O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 는 랜덤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R3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며, n은 1 내지 50의 정수임.
    [화학식 2]
    Figure 112004022878678-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M1은 수소,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임.
    [화학식 3]
    Figure 112004022878678-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6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 페닐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페닐렌이고, R7O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될 수 있고, M2는 수소원자, 1가 금속원자, 2가 금속원자,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기이며, m은 10 내지 50의 정수이고, r은 0 또는 1임.
    [화학식 4]
    Figure 112004022878678-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R8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 R9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이며, t는 1 내지 10의 정수임.
  6. 제 1항에 있어서, 분산제는 바인더 중합체 전체 고형분의 0.01 중량% 내지 30 중량% 차지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 바인더 중합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바인더 중합체와 전극 활물질을 함유한 전극용 슬러리.
  8. 제7항에 있어서, 분산매로 물을 사용하는 전극용 슬러리.
  9. 제8항에 기재된 슬러리가 집전체에 도포되어 제조된 전극.
  10. 제9항에 기재된 전극으로 제조된 2차 전지.
KR1020040038376A 2003-06-03 2004-05-28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Expired - Lifetime KR100644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5653 2003-06-03
KR1020030035653 200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400A KR20040104400A (ko) 2004-12-10
KR100644063B1 true KR100644063B1 (ko) 2006-11-10

Family

ID=3674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376A Expired - Lifetime KR100644063B1 (ko) 2003-06-03 2004-05-28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95821B2 (ko)
EP (1) EP1629556B1 (ko)
JP (1) JP4335215B2 (ko)
KR (1) KR100644063B1 (ko)
CN (1) CN100418257C (ko)
TW (1) TWI284142B (ko)
WO (1) WO2004107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66B1 (ko) * 2005-04-07 200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속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바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3400B2 (en) * 2004-12-14 2011-04-12 Nissan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an electrode for use in a battery
KR100686849B1 (ko) * 2005-03-24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N103730262A (zh) * 2005-03-30 2014-04-16 日本瑞翁株式会社 双电层电容器用电极、其材料及制造方法、双电层电容器
KR100803189B1 (ko) 2005-04-14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그 제조 방법, 바인더 조성물 및 이들을 채용한 리튬전지
CN100583514C (zh) * 2005-05-17 2010-01-20 Lg化学株式会社 用于包括多层堆叠电化学电池的电化学元件的聚合物粘合剂
KR100845702B1 (ko) * 2005-08-23 2008-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접착력 및 코팅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용 바인더
KR100790849B1 (ko) 2006-01-27 2008-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채용한 리튬 전지
KR101120434B1 (ko) * 2006-10-16 2012-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바인더
KR20080064590A (ko) * 2007-01-05 2008-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애노드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WO2008108360A1 (ja) * 2007-03-05 2008-09-12 Toyo Ink Mfg. Co., Ltd. 電池用組成物
EP2296208B1 (en) * 2008-06-04 2017-05-10 Toyo Ink Mfg. Co., Ltd Composition for battery
CN101685862A (zh) * 2008-09-26 2010-03-31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锂离子电池正极浆料、其制备方法及其制成的极片和电池
KR101688676B1 (ko) * 2009-06-08 2016-12-2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전극 합제, 전극 합제 페이스트, 전극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CN102640329B (zh) * 2009-09-30 2015-11-25 日本瑞翁株式会社 二次电池用多孔膜及二次电池
US7931985B1 (en) * 2010-11-08 2011-04-26 International Battery, Inc. Water soluble polymer binder for lithium ion battery
US8076026B2 (en) * 2010-02-05 2011-12-13 International Battery, Inc. Rechargeable battery using an aqueous binder
WO2011102497A1 (ja) * 2010-02-22 2011-08-25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極合剤、電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20110143206A1 (en) * 2010-07-14 2011-06-16 International Battery, Inc. Electrode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ing aqueous binder solution for li-ion batteries
KR101182128B1 (ko) 2010-07-22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US8102642B2 (en) * 2010-08-06 2012-01-24 International Battery, Inc. Large format ultracapacitors and method of assembly
KR101927700B1 (ko) * 2010-10-28 2018-12-11 제온 코포레이션 이차 전지 다공막, 이차 전지 다공막용 슬러리 및 이차 전지
CN102082273B (zh) * 2010-12-24 2012-09-05 上海中兴派能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的电极材料、电极浆料、电极及锂离子电池
EP2624338B1 (en) * 2012-02-02 2014-11-05 JSR Corporation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electrode slurry, electrode, and electrical storage device
US9187622B2 (en) 2012-02-09 2015-11-17 Samsung Sdi Co., Ltd. Composite binder for battery, and anode and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binder
EP2835850B1 (en) * 2012-04-03 2019-01-09 GS Yuasa International Ltd. Positive electrode for battery, and battery
CN104205444A (zh) * 2012-04-03 2014-12-10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电池用正极糊剂
JP5673648B2 (ja) * 2012-04-27 2015-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二次電池用正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系二次電池
WO2014010866A1 (ko) * 2012-07-11 2014-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US20150311533A1 (en) * 2012-09-14 2015-10-29 Mikuni Shikiso Kabushiki Kaisha Slurry containing dispersed acetylene black,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102367259B1 (ko) * 2013-06-27 2022-02-23 제온 코포레이션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WO2015133492A1 (ja) * 2014-03-04 2015-09-11 ダイソー株式会社 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極ならびに電池
KR102463477B1 (ko) 2014-04-18 2022-11-04 테슬라, 인크. 건식 에너지 저장 장치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EP3336940B1 (en) * 2015-08-11 2020-02-19 Showa Denko K.K. Slurry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obtained using slurry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0797343B2 (en) * 2015-09-16 2020-10-06 Zeon Corporation Binder for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ies, and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CN108604685B (zh) * 2016-02-17 2021-09-17 日本瑞翁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浆料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电极及非水系二次电池
WO2017195784A1 (ja) * 2016-05-13 2017-11-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バインダー粒子集合体、電気化学素子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CN105969214A (zh) * 2016-06-29 2016-09-28 哈尔滨永淇化工有限公司 一种基于甲基苯乙烯与乙基酯的阻燃蓄电池密封胶及制作方法
KR102244954B1 (ko) * 2016-09-13 2021-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06833448B (zh) * 2017-02-08 2019-02-15 北京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08441146A (zh) * 2018-02-26 2018-08-24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硅碳负极材料的粘结剂及其制备方法
JP7400713B2 (ja) * 2018-03-27 2023-12-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機能層用スラリー組成物、二次電池部材、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負極用スラ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
CN108767259B (zh) * 2018-05-24 2021-12-31 九江华先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
US20220069272A1 (en) * 2018-12-28 2022-03-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sitive electrode slurry, posi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PL3944381T3 (pl) * 2019-05-17 2023-05-08 Lg Energy Solution, Ltd. Dyspersja materiału przewodzącego oraz elektroda i akumulator litowy wytworzone z ich użyciem
CN111057184B (zh) * 2019-12-30 2022-02-25 宣城研一新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极片水性粘结剂的制备方法
CN110982008B (zh) * 2019-12-30 2022-01-07 浙江研一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水性粘结剂
CN111653784B (zh) * 2020-06-16 2022-06-17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负极浆料以及含有该负极浆料的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KR102711390B1 (ko) * 2020-09-21 2024-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음극용 바인더, 이차 전지 음극 및 이차 전지
CN113527572B (zh) * 2020-11-13 2023-03-31 深圳市研一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用水性增稠分散剂、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
WO2024055154A1 (zh) * 2022-09-13 2024-03-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嵌段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953A (ko) * 1997-03-04 2000-12-26 나카노 가스히코 전지용 바인더, 전지전극용 슬러리, 리튬2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2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59A (ja) 1991-07-30 1994-03-15 Lion Corp セラミックス成形用バインダー
JP3539448B2 (ja) * 1995-04-19 2004-07-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CN1155566A (zh) * 1995-12-04 1997-07-30 罗姆和哈斯公司 可交联的水性涂料组合物
AU720104B2 (en) 1995-12-04 2000-05-25 Rohm And Haas Company Waterborne crosslinkable coating compositions
KR100247527B1 (ko) 1996-04-03 2000-03-15 겐지 아이다 시멘트분산방법및시멘트조성물
DE59806774D1 (de) 1997-03-03 2003-02-06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ssrigen Dispersionen als Grundierung für Heisssiegelkleber
US6573004B1 (en) * 1997-11-10 2003-06-03 Nippon Zeon Co., Ltd. Binder containing vinyl alcohol polymer, slur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US6294015B1 (en) * 1998-01-22 2001-09-25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JP4552235B2 (ja) * 1998-04-03 2010-09-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H11297329A (ja) * 1998-04-03 1999-10-29 Nippon Zeon Co Ltd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その製法、電池電極用スラリー、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H11297313A (ja) * 1998-04-03 1999-10-29 Nippon Zeon Co Ltd 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4399904B2 (ja) 1999-07-15 2010-01-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3911145B2 (ja) 2000-11-10 2007-05-0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の電極用結合剤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CN1209433C (zh) * 2001-06-12 2005-07-06 成都茵地乐电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水性粘合剂制备方法
JP2003123766A (ja) 2001-10-19 2003-04-25 Sanyo Chem Ind Ltd 電気化学素子の電極用結合剤および電極
KR100484725B1 (ko) 2002-06-28 2005-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성능 감수효과를 가진 시멘트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953A (ko) * 1997-03-04 2000-12-26 나카노 가스히코 전지용 바인더, 전지전극용 슬러리, 리튬2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2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66B1 (ko) * 2005-04-07 200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속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바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5023A1 (en) 2007-03-08
JP2006519883A (ja) 2006-08-31
KR20040104400A (ko) 2004-12-10
TW200502343A (en) 2005-01-16
US7695821B2 (en) 2010-04-13
CN100418257C (zh) 2008-09-10
JP4335215B2 (ja) 2009-09-30
EP1629556A1 (en) 2006-03-01
EP1629556B1 (en) 2015-07-08
WO2004107481A1 (en) 2004-12-09
EP1629556A4 (en) 2011-03-09
TWI284142B (en) 2007-07-21
CN1765025A (zh)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063B1 (ko) 분산제가 화학결합된 전극용 복합 바인더 중합체
JP4768445B2 (ja) 電池特性、接着性、コーティング特性が調節された2相以上の構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
EP2526582B1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providing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cycle property
US8277976B2 (en) Binder with good rate property and long cycleability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07710470B (zh) 锂离子二次电池的负极用粘合剂、负极用浆料组合物及负极以及锂离子二次电池
KR102260940B1 (ko) 리튬이온전지용 도전성 탄소재료 분산제, 리튬이온전지 전극용 슬러리, 리튬이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온전지
KR100845702B1 (ko) 개선된 접착력 및 코팅 특성을 갖는 이차 전지용 바인더
KR20150132156A (ko) 리튬 이온 2 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리튬 이온 2 차 전지용 부극 및 리튬 이온 2 차 전지
CN103003991A (zh) 二次电池用水系电极粘结剂
WO2001029917A1 (en)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de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use thereof
CN112279981A (zh) 一种含有软相区和硬相区的聚合物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438102B2 (ja) 電池用バインダー、電池電極用スラリー、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00123781A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
JP4889067B2 (ja) 非水電池並びに該電池に用いる電極用ペースト及び電極
KR20200018804A (ko) 조성물, 정극용 바인더 조성물
CN117264571A (zh) 一种提高石墨负极性能的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64012A (ko)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방법
CN114243022B (zh) 一种锂离子电池用三维网络水系粘结剂、制备及其应用
JP2015099653A (ja) 二次電池電極組成物、二次電池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2021102710A (ja) 非水系二次電池用重合体組成物及び非水系二次電池
CN117089017A (zh) 一种锂离子电池正极非氟粘结剂及应用其的正极、电池
JP4240604B2 (ja) バインダー組成物、電池電極用スラリー、電極及び電池
KR20190064000A (ko)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 및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방법
JP2014241235A (ja) 二次電池電極成物、二次電池電極および二次電池
WO2024262531A1 (ja)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及びその利用、並びに、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