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0939B1 -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939B1
KR100640939B1 KR1020000040653A KR20000040653A KR100640939B1 KR 100640939 B1 KR100640939 B1 KR 100640939B1 KR 1020000040653 A KR1020000040653 A KR 1020000040653A KR 20000040653 A KR20000040653 A KR 20000040653A KR 100640939 B1 KR100640939 B1 KR 10064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ice
announcement
voice mailbox
mailbox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004A (ko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0004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9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9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충분히 안내방송을 한 다음 과금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은 발신측 단말기가 착신측 단말기와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로가 설정되지 않아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접속되면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녹음한 안내방송 혹은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안내방송 혹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메시지를 남겨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음성 사서함 사용시 과금된다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전화를 끊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단위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방송 과금

Description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Method for billing announcement in voice mail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전화 가입자에게 충분히 안내방송을 한 다음 과금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으로 구성되며, 이동 단말기는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 Digital Cellular Network),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와 같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이고,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제어기사이에서의 신호 포맷을 무선 링크와 유선링크에 적합하도록 바꾸며, 기지국 제어기는 기 지국의 각 요소별 기능과 셀 운용자 사이의 접속 수단이 되며, 기지국 운용 관리, 기지국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 관리,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수집, 기지국 운용, 감시 및 고정에 관련된 하부장치 등의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 관리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전화망 혹은 동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간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한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비용이 저렴해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도 고품질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품질도 향상되고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 급증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이 상대방과 즉각적인 통화를 원하거나,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응답하기 위한 것인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상대방과 직접적으로 통화하지 못하거나 자신에게 착신된 전화를 받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 : Voice Mail System)은 인간의 음성에 의한 메시지를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전화기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시스템 내의 디스크 등에 일시 저장했다가 지정된 전화기에 지정된 방법으로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컴퓨터 기술을 구사한 '음성 저장 전달(voice store and forward)'이라고 부르는 고도의 기능으로 음성 정보가 디지 털화되어 망(網) 상에 존재하는 기억 장치나 메시지 전달의 수신측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이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후에 수신자의 요구에 의해 읽혀진다.
이와 같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또는 교환기)에 설치되거나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된다.
그와 같은 부가서비스중의 하나는 Power off, Busy, No Paging Response, No Answer 등으로 응답을 할 수 없는 경우 음성 메시지에 녹음하여 두거나,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메시지를 남겨두거나(상대방 단말기로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음성 메시지가 있으므로 원할 경우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호출 번호를 남기는 것 등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은 임의의 발신측 단말기가 임의의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통화를 하기 위해 통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화 방법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면, 이동 교환국에서는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이용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검색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있는 기지국을 통해 착신측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 그러면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서는 착신 호를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의 플립을 열거나 통화버튼을 눌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Power off, Busy, No Paging Response, No Answer의 경우에는 이동 교환국이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 통화로를 설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 교환국이 음성 사서함 시스템(Voice Mail System)과 발신측 단말기간 통화로를 설정한다(S10).
그러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는 발신측 단말기로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통화가 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하여 안내방송을 제공한다(S11). 이때 안내방송으로는 '고객이 전화를 받을 수 없어 음성 사서함에 연결된다'는 내용과, '음성 사서함 이용시에는 통화료가 부과되므로 원치 않으면 끊어달라'는 내용이 있다. 이와 같은 통화료 부과는 이동 통신 서비스 초기에는 발신측 단말기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연결되면 발신측 단말기에 과금계산이 실행됐지만, 현재는 정보통신부 명령에 의거 '음성 사서함 이용에는 통화료가 부과된다'는 안내방송 후 소정시간(약 2-3초)내에 발신측 단말기에서 통화를 종료(온 후크 또는 플립을 닫거나, 종료 키를 누르면)하면 통화료를 부과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소정시간동안 발신측 단말기에서 통화를 종료하지 않으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은 발신측 단말기로, 착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녹음한 안내방송(일반적으로는 음성 메시지로서, 착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전화를 받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미리 저장해 놓는 경우)이나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방송 또는 방송 없음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방송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12). 여기서부터는 이동 교환국에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과금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에서는 발신측 단말기로 '메시지 녹음은 1번, 연락 받으실 전화번호는 2번, 팩스 전송은 4번' 등과 같은 안내방송을 제공한다(S13).
그러면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메시지(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에 있는 키 패드의 1번을 누르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잠시후 음성을 남기고, 음성이 끝나면 단말기의 임의의 버튼(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설정한)을 누르라'는 안내음성이 나오면 착신측 단말기에 남기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신의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분(마이크)을 통해 얘기한 후 임의의 버튼을 누르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자신의 음성이 녹음된다(S14). 이와 같은 음성 녹음은 착신측 단말기로 착신측 단말기에 음성녹음이 되어 있다는 메시지가 전달되고,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 사서함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로 호출번호를 남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2번을 누르면, '호출하고자 하는 번호를 누른 후, 임의의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음성이 나오고, 착신측 단말기에 남기고자 하는 호출번호(예를 들면 자신의 단말기번호)를 누른다(S15). 그러면, 이동 교환국에서는 착신측 단말기로 메시지가 왔음을 알리고, 착신측 단말기로 호출한 단말기의 번호를 전송하면, 호출된 착신측 단말기는 그 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착 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착신측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팩스전송의 4번을 누르면, '시작 버튼 또는 start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는 메시지가 나오고, 4번을 누른 후 다음 안내방송에 따라 다음 과정을 진행시킨다(S16).
이와 같은 종래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에 있어서는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며 음성 사서함 연결시 통화료가 부과된다'는 안내음성 후 곧바로 과금(통화료 부과)이 시작되므로 그 다음 단계(S12)에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고객)가 남겨놓은 메시지를 듣거나,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안내방송을 듣는 경우에도 통화료를 납부해야 한다. 이때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없다는 메시지(예를 들면, "현재 어떠한 사정 때문에 언제까지 통화를 할 수 없다")를 남겨놓은 경우에도 통화료를 부과해야 한다. 즉,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되어야 하는 정확한 사유도 모르는 상태에서 통화료가 부과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으로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전화 가입자가 안내방송이나 메시지를 충분히 청취한 다음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가입자의 통화료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발신측 단말기가 착신측 단말기와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로가 설정되지 않아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접속되면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녹음한 안내방송 혹은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안내방송 혹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메시지를 남겨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음성 사서함 사용시 과금된다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전화를 끊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단위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은 임의의 발신측 단말기가 임의의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통화를 하기 위해 통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화 방법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면, 이동 교환국에서는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이용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검색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중인 기지국을 통해 착신측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 그러면 착신측 이동 단말기에서는 착신 호를 인식하여 이 동 단말기의 플립을 열거나 통화버튼을 눌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때에도 Power off, Busy, No Paging Response, No Answer의 경우에는 이동 교환국이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 통화로를 설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 교환국이 자신과 유선 연결된 음성 사서함 시스템(Voice Mail System)과 발신측 단말기간 통화로를 설정한다(S20).
그러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은 발신측 단말기로, 1. 착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녹음한 메시지(일반적으로는 음성 메시지로서, 착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전화를 받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미리 저장해 놓는 경우)이나, 2.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방송(S21), 또는 3. 방송 없음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방송을 선택하여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22).
그다음 발신측 단말기가 계속해서 통화로를 유지하고 있으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는 발신측 단말기로 '음성 사서함 이용시에는 통화료가 부과되므로 원치 않으면 끊어달라'는 안내방송을 한다(S23). 즉, 현재 정보통신부 명령에 의거 '음성 사서함 이용에는 통화료가 부과된다'는 안내방송 후 소정시간(약 2-3초)내에 발신측 단말기에서 통화를 종료(온 후크 또는 플립을 닫거나, 종료 키를 누르면)하면 통화료를 부과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므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으로 연결된다'는 안내방송이 제공되는 단계(S23) 이전 단계(S22)에서 착신측 단말기가 녹음한 메시지를 듣거나,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방송을 들을 수 있으므로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연결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겨야 할지, 호출을 해야할지, 아니면 전화를 끊어야 할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음성 사서함 시스템(VMS)에서는 발신측 단말기로 '메시지 녹음은 1번, 연락 받으실 전화번호는 2번, 팩스 전송은 4번' 등과 같은 안내방송을 제공한다(S24). 여기서부터는 발신측 단말기의 과금 계좌에 통화로 연결시간 동안에 대한 과금이 실시된다.
계속해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메시지(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에 있는 키 패드의 1번을 누르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잠시후 음성을 남기고, 음성이 끝나면 단말기의 임의의 버튼(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설정한)을 누르라'는 안내음성이 나오면 착신측 단말기에 남기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신의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분(마이크)을 통해 얘기한 후 임의의 버튼을 누르면,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자신의 음성이 녹음된다(S25). 이와 같은 음성 녹음은 착신측 단말기로 착신측 단말기에 음성녹음이 되어 있다는 메시지가 전달되고,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 사서함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로 호출번호를 남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2번을 누르면, '호출하고자 하는 번호를 누른 후, 임의의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음성이 나오고, 착신측 단말기에 남기고자 하는 호출번호(예를 들면 자신의 단말기번호)를 누른다(S26). 그러면, 이동 교환국에서는 착신측 단말기로 메시지가 왔음을 알리고, 착신측 단말기로 호출한 단말기의 번호를 전송하면, 호출된 착신측 단말기는 그 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착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착신측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팩스전송의 4번을 누르면, '시작 버튼 또는 start 버튼을 눌르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4번을 누른 후 다음 안내방송에 따라 다음 과정을 진행시킨다(S27).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방송의 순서를 바꿔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안내방송을 청취한 다음 안내 방송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통화료부과 없이 안내방송을 청취할 수 있어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료 부담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신측 단말기가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접속되면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녹음한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선택한 안내방송을 제공하거나,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메시지를 남겨줄 것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음성 사서함 사용시 과금된다는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전화를 끊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단위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안내방송 제공이나 메시지를 남겨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간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KR1020000040653A 2000-07-14 2000-07-14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4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53A KR100640939B1 (ko) 2000-07-14 2000-07-14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53A KR100640939B1 (ko) 2000-07-14 2000-07-14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004A KR20020007004A (ko) 2002-01-26
KR100640939B1 true KR100640939B1 (ko) 2006-11-02

Family

ID=1967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653A Expired - Lifetime KR100640939B1 (ko) 2000-07-14 2000-07-14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9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004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400B1 (en) Procedure to transmit information at telephone answering service
EP1530397A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s
US6094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answering service of portable telephone in a base station unit
KR20010046675A (ko) 광고 파일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0939B1 (ko)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 과금 방법
US643026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 acknowledgement to an A-subscriber
US20060258335A1 (en) Mobile handset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voice message and related method thereof
JPH05260185A (ja) 電話システム
JP2007221458A (ja) 電話端末、交換装置、呼接続制御方法
JPH10210192A (ja) 移動体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
JP4478308B2 (ja) 話中呼処理システム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710138B1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H0548728A (ja) 交換処理方式
JP2848265B2 (ja) 移動端末への伝言伝達方法および伝言伝達装置
KR20100118656A (ko) 유선단말로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652069B1 (ko) 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JP4152561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6025228A (ja) 最適着信者選択通話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53794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이동국, 기지국간 호처리 방법
KR100458455B1 (ko) 발신자 번호 지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685870B1 (ko) 음성 사서함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메시지 운용 시스템 및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7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1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