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8032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32B1
KR100638032B1 KR1020050041699A KR20050041699A KR100638032B1 KR 100638032 B1 KR100638032 B1 KR 100638032B1 KR 1020050041699 A KR1020050041699 A KR 1020050041699A KR 20050041699 A KR20050041699 A KR 20050041699A KR 100638032 B1 KR100638032 B1 KR 10063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ubstrate
getter
seala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화
김석주
김상전
신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의 두께(높이)를 감소시키고 캡과 기판의 밀봉 영역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에 각종 요소들이 형성된 기판 및 기판 외곽부의 캡 부착 영역에 부착되어 각종 요소를 보호하는 밀봉 캡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대응하는 캡의 외곽부 저면 내측부에 게터가 부착되어, 캡과 기판의 접착시 기판의 캡 부착 영역 외곽부에는 실란트가, 그 내측에는 게터가 위치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실란트, 게터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캡을 제거한 상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은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서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리 기판(1), 유리 기판(1) 상부에 형성되어 애노드(anode) 전극으로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2; Indium Tin Oxide film; "ITO 층"), 절연층과 유기물층(3) 및 캐소드(cathode) 전극인 금속 전극(4)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각 격벽(W)은 ITO 층(2) 상에 다수의 금속막(4)을 분리된 상태로 증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캡(6)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에 형성된 다수의 ITO층(2)과 금속층(4)은 액티브 영역(A) 외곽으로 연장되며, 각 단부가 기판(1)의 한 부분으로 집중되어 패드부(P)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각 요소들(2, 3, 4 및 W)로 이루어진 액티브 영역(A)을 형성한 후, 실란트(5; sealant)를 이용하여 캡(6)을 기판(1)의 외곽부에 부착한다. 캡(6)이 부착되는 영역은 기판(1) 외곽부, 즉 액티브 영역(A)의 외측 영역(S1 및 S2)이다. 캡(6)에 의하여 모든 액티브 영역(A)은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며, ITO층(2)과 금속층(4)이 집중된 패드부(P)만이 캡(6)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과 기판(1) 사이에는 소정의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이 밀폐 공간 내에 위치한 요소들(2, 3, 4 및 W)은 습기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캡(6)은 주로 금속 또는 글라스로 제조되며, 실란트(5)로서는 자외선(U.V.) 경화성 접합제가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캡을 기판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캡 트레이(도시되지 않음)에 적재된 다수의 캡(6)의 기판 부착 영역(또는 기 판의 액티브 영역(A)의 외측 영역(S1 및 S2))에 실란트(5)를 분배한다. 기판(1)과 캡(6)을 정렬시킨 후, 기판(1)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A)의 외측 영역(S1 및 S2; 캡 부착 영역)에 캡(6)을 부착하며, 캡(6)의 부착 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기판(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에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실란트(5)를 경화시킨다.
한편, 소자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가 수용된, 밀봉 캡(6)과 기판(1) 사이의 공간에는 밀봉 캡(6) 부착 공정 이전에 존재하는 수분(습기)이 잔류하게 되며, 이 습기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테이프(7)에 의하여 캡(6)의 저면에 부착된 게터(8; getter)로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게터(8)는 흡습(吸濕)제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불투명 재질(예를 들어, Ba 또는 Ca 등)로 만들어지며, 필름, 페이스트(paste) 또는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게터(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액티브 영역(A)에 형성된 각종 소자 요소들(2, 3, 4 및 W)이 위치한다. 게터(8)와 소자 요소들(2, 3, 4 및 W), 특히 격벽(W)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6)과 기판(1)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서는 캡(6)의 높이를 증가시켜야만 한다. 그 결과, 소자의 전체 크기(즉, 높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액티브 영역(A)에 형성된 각종 소자 요소들(2, 3, 4 및 W)의 밀봉은 캡(6)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캡(6)의 완벽한 밀봉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캡(6)의 밀봉 불량이 발생, 즉 실란트(5)의 불완전한 경화 로 인하여 캡(6)과 기판(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 사이에 미세한 균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균열을 통하여 외부의 대기(수분)가 소자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캡(6)과 기판(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 사이에 존재하는 균열을 통하여 소자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수분은 게터(8)로 흡수되나, 게터(6)가 소자의 내부 공간 상부, 즉 기판(6)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의 경로 상에 소자의 각종 요소들(2, 3, 4 및 W)이 위치하게 되어 각 요소들은 수분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게터의 부착 위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자의 두께(높이)를 감소시키고 캡과 기판의 밀봉 영역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에 각종 요소들이 형성된 기판 및 기판 외곽부의 캡 부착 영역에 부착되어 각종 요소를 보호하는 밀봉 캡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대응하는 캡의 외곽부 저면 내측부에 게터가 부착되어, 캡과 기판의 접착시 기판의 캡 부착 영역 외곽부에는 실란트가, 그 내측에는 게터가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에서의 편의상 소자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지 않고 캡, 기판 및 실란트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고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게터(8)가 캡(6)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소자의 한 구성 부재인 캡(6)의 외곽부(6A) 저면, 즉 기판(1)의 캡 부착 영역(도 2의 S1 및 S2)에 대응되는 영역의 내측부에 게터(8A)를 부착하였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로서, 캡(6)의 전체 외곽부(6A)의 저면 내측에 게터(8A)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캡(6)의 외곽부(6A) 저면 내측부에 게터(8A)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실란트(5A)를 분배 또는 기판(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 외곽부에 실란트(5A)를 분배한 후, 캡(6)을 기판(1)에 부착한다(도 3의 상태). 따라서, 기판(1)에 캡(6)을 부착시키는 실란트(5A)의 내측, 즉 소자의 내부 공간에 인접한 부분에 게터(8A)가 위치한다.
한편, 도 3에서는 게터(8A)가 기판(1)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기판(1)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도 2의 2 및 4)과 게터(8A)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분을 흡수하는 게터(8A)와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이 접촉할 경우, 금속성의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이 수분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 한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게터(8A)의 배치 예정 영역에 실란트(5A)를 분배한 후, 실란트(5A) 상에 게터(8A)를 위치시킴으로서 게터(8A)와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은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캡(6) 외곽부 저면에 게터(8A)를 견고한 접착하기 위하여 게터(8A)의 상부에도 실란트(5A)가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는 실란트의 기능(즉, 캡과 기판의 부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게터의 기본적인 기능, 즉 소자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의 흡습 기능과 함께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내부 공간의 흡습 기능을 수행하는 게터(8A)가 캡(6)의 외곽부(6A)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기판(1)의 액티브 영역(도 2의 A)에 형성된 각종 소자 요소들(도 1의 2, 3, 4 및 W)과 캡(6)의 저면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캡(6)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여유가 존재하게 되어 소자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캡(6)의 밀봉 불량이 발생, 즉 실란트(5A)의 불완전한 경화로 인하여 캡(6)과 기판(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이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대기(수분)는 캡(6)의 외곽부(6A)의 내측에 부착된 게터(8A)와 먼저 접촉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소자의 각종 요소들에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소자 내부 공간의 완전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기판 외곽부의 캡 부착 영역에 부착되는 밀봉 캡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캡 부착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밀봉 캡의 외곽부 저면의 내측부에 위치되는 게터; 및
    상기 캡 부착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밀봉 캡의 외곽부 저면의 외측부에 위치되는 실란트를 포함하되,
    상기 실란트는 상기 게터의 상부에 더 위치되어 상기 게터가 상기 밀봉 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는 상기 게터의 하부에 더 위치되어, 상기 게터가 상기 기판 표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삭제
KR1020050041699A 2005-05-18 2005-05-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xpired - Lifetime KR10063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99A KR100638032B1 (ko) 2005-05-18 2005-05-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99A KR100638032B1 (ko) 2005-05-18 2005-05-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032B1 true KR100638032B1 (ko) 2006-10-23

Family

ID=376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699A Expired - Lifetime KR100638032B1 (ko) 2005-05-18 2005-05-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0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054B2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154200B2 (en) Encapsulation of organic devices
CN102484079B (zh) 电子器件的封装工艺及结构
KR10151386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417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봉지 방법
JP2000311782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413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3803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655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8878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83008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uxiliary patterns in cap bonding area
CN111354864A (zh) 一种具有特殊封装结构的oled面板
CN101001509A (zh) 一种湿敏电子器件及其封装盖板、器件基板
KR10169501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976595B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US20160343971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 light-emitting device
KR101838253B1 (ko)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251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TWI400829B (zh) 有機發光二極體之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KR10062336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31297B1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의 봉지 구조
KR100583781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시베이션 방법
KR20090035275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251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12116B1 (ko) 밀봉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