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8253B1 -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253B1
KR101838253B1 KR1020170052719A KR20170052719A KR101838253B1 KR 101838253 B1 KR101838253 B1 KR 101838253B1 KR 1020170052719 A KR1020170052719 A KR 1020170052719A KR 20170052719 A KR20170052719 A KR 20170052719A KR 101838253 B1 KR101838253 B1 KR 10183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ment
base material
material layer
barri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박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피
Priority to KR102017005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2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구성이 증가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는 플렉서블 소자부, 제1배리어부 그리고 제2배리어부를 포함한다. 제1배리어부는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배리어부는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에서 플렉서블 소자부의 둘레를 따라 제1배리어부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어 제1배리어부와 함께 플렉서블 소자부를 덮어 밀봉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ASSEMBLY OF FLEXI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증가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면 표시장치와 달리 최근에는 커브드 표시장치, 밴딩형 표시장치, 폴더블 표시장치, 롤러블 표시장치, 및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등과 같은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며,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소재의 고분자 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편광 필름 등의 층들이 적층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봉지(Encapsulation)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봉지 형태 중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플렉서블 소자(10)를 봉지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소자(1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제1배리어 필름(Barrier Film)(20) 및 제2배리어필름(30)을 배치하고, 플렉서블 소자(1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적용되는 접착제(40)를 이용하여 제1배리어필름(20) 및 제2배리어필름(30)을 접착하였다. 일반적으로 제1배리어필름(20) 및 제2배리어필름(30)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코팅층이 적층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접착제(40)는 칼슘(Ca) 등으로 대표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게터(Getter)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게터 접착제는 제1배리어필름(20) 및 제2배리어필름(30)과의 계면을 통해서 침투할 수 있는 산소와 수분을 수착하는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터 접착제는 수분투과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를 접착 폭에 비례하여 감소시키기 때문에, 충분한 넓이로 접착하지 않으면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하는 효과가 높지 못하다.
그리고, 접착제(40)를 이용하여 제1배리어필름(20) 및 제2배리어필름(30)을 접착하는 이러한 구조에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벤딩이 반복됨에 따라 접착제(40)와 배리어필름(20,30)의 접착 계면(41)의 취약에 따른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접착제(40)를 중심으로 접착제(4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제1배리어필름(20) 및 제2배리어필름(30)이 구비되는 이러한 구성에서는, 접착제(40)와 각 배리어필름(20,30)의 계면(41)을 타고 파손 메커니즘(Failure Mechanism)이 발생하기가 용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접착제(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리어필름(20,30)과의 계면(41)이 형성되기 때문에, 계면(41)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손 메커니즘의 생성 경로를 이루는 계면의 수를 줄이기 위한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 OLED에서 자체발광하는 유기물질 또는 퀀텀 닷(Quantum Dot) 물질은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자(10)가 OLED 소자 또는 컨텀 닷 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기술은 더욱 중요하다. 플렉서블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개선된 봉지기술은 플렉서블 소자(10)가 OLED 소자 또는 퀀텀 닷 소자인 경우에 한정됨이 없이 여러 종류의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6269호(2014.06.20.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구성이 증가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플렉서블 소자부;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배리어부;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배리어부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와 함께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를 덮어 밀봉하는 제2배리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모재층과,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과, 상기 제1모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코팅층을 가지고,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모재층과, 상기 제2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코팅층과, 상기 제2모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4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레이저 접합에 의해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중합체(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htylene naphthalate; PE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소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1배리어부가 마련되는 단계; b)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2배리어부가 마련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제2배리어부가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를 덮어 밀봉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제2배리어부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모재층과,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과, 상기 제1모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코팅층을 가지고,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모재층과, 상기 제2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코팅층과, 상기 제2모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4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접합에 의해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코팅층 및 상기 제3코팅층의 일부가 제거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모재부 및 제2모재부는 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저 접합 시, 모재 수준의 강도 및 기밀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코팅층 및 제3코팅층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1모재부 및 제2모재부에 직접 레이저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모재부 및 제2모재부의 접합면에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의 수가 종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즉, 종래에 게터 접착제를 사용하여 봉지가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는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이 형성되는 부분이 네 부분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이 형성되는 부분이 두 부분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계면을 통한 파손 메커니즘의 생성이 방지되도록 하거나, 지연되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봉지 형태 중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10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소자부(110)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플렉서블 소자부(110)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소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100)는 블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소자부(110)는 OLED 소자 또는 퀀텀닷 소자와 같은 자체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자체발광을 하지 않는 형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소자부(100)는 발광소자와 구동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플렉서블 소자부(110)는 발광 소자가 아닌 다른 형태의 소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소자부(110)는 플렉서블한 반도체(Semiconductor) 소자, 태양 전지(Solar Cell) 소자, 배터리(Battery) 소자, 센서(Sensor)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100)는 플렉서블 반도체, 플렉서블 태양 전지, 플렉서블 배터리, 플렉서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배리어부(12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리어부(120)는 제1모재층(121), 제1코팅층(122) 및 제2코팅층(123)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부/상측 및 하부/하측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제1모재층(121)은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모재층(121)은 가요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기판(Substrate)일 수 있다. 제1모재층(121)은 중합체(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htylene naphthalate; PE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코팅층(122)은 제1모재층(121) 및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코팅층(122)은 제1모재층(12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코팅층(122)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코팅층(122)은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코팅층(122)은 제1모재층(121)와 플렉서블 소자부(110)가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2코팅층(123)은 제1모재층(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코팅층(123)은 제1모재층(121)을 보호할 수 있다. 제2코팅층(12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코팅층(123)은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100)의 두께를 보강하여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10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배리어부(13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배리어부(13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배리어부(130)는 제2모재층(131), 제3코팅층(132) 및 제4코팅층(133)을 가질 수 있다.
제2모재층(131)은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모재층(131)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제2모재층(131)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코팅층(132)은 제2모재층(131) 및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코팅층(132)은 제2모재층(13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코팅층(132)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제3코팅층(132)은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코팅층(132)은 제2모재층(131)과 플렉서블 소자부(110)가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4코팅층(133)은 제2모재층(13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코팅층(133)은 제2모재층(131)을 보호할 수 있다. 제4코팅층(133)은 패럴린(Parylene)을 포함하는 유기물 소재의 투명층(미도시)을 포함 수 있다. 그리고, 제4코팅층(133)은 무기층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무기층은 SiO2, Al2O3, SiNx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둘레를 따라 레이저 접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코팅층(122)에서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부분(125) 및 제3코팅층(132)에서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부분(135)은 레이저 접합 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미리 제거될 수 있으며,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레이저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는 레이저 접합부(14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는 함께 플렉서블 소자부(110)를 덮어 밀봉(Seal)할 수 있다.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는 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저 접합 시, 모재 수준의 강도 및 기밀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코팅층(122) 및 제3코팅층(132)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에 직접 레이저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의 접합면에 의한 계면(141) 만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141)은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의 접합면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141)의 수가 종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즉, 종래에 게터 접착제를 사용하여 봉지가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는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41)이 형성되는 부분이 네 부분인 반면(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파손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 계면(141)이 형성되는 부분은 두 부분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계면을 통한 파손 메커니즘의 생성이 방지되도록 하거나, 지연되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배리어필름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접착제가 생략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경제성도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계면(141)을 포함하는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의 테두리 부분에 게터 접착제가 더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계면(141)에 대한 밀봉 수준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하부에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1배리어부(120)가 마련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상부에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2배리어부(130)가 마련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가 플렉서블 소자부(110)를 덮어 밀봉하도록,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외측에서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둘레를 따라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레이저 접합에 의해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는 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저 접합이 이루어졌을 때, 충분한 접합 강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S230 단계에서,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이 서로 밀착되도록, 제1코팅층(122) 및 제3코팅층(132)의 일부가 제거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코팅층(122) 및 제3코팅층(132)에서 각각 일부분(125,135)이 제거되는 공정은 공정의 편의상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가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하면 및 상면에 마련되기 전 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배리어부(120)에서 제1코팅층(122)의 일부분(125)이 제거되는 공정이 먼저 진행되고, 이후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하면에 제1배리어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리어부(130)에서 제3코팅층(132)의 일부분(135)이 제거되는 공정이 진행된 후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상면에 제2배리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공정 순서를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소자부(110)에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가 마련된 상태에서, 제1모재층(121) 및 제2모재층(131)의 레이저 접합 영역을 고려하여 제1코팅층(122) 및 제3코팅층(132)에서 각각 일부분(125,135)이 제거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S230 단계에서, 레이저 접합은 조사부(3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320)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조사부(310)는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주위를 따라 이동되면서 레이저(320)가 연속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조사부(310)는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가 조사되고, 플렉서블 소자부(100),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레이저 접합 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나아가, 조사부(310)는 복수개가 마련되고, 복수개의 조사부(310)에서 동시에 플렉서블 소자부(110)의 주위를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레이저(320)가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이저 접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제조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그리고, S230 단계 이후에, 계면(141)에 대한 밀봉 수준이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계면(141)을 포함하는 제1배리어부(120) 및 제2배리어부(130)의 테두리 부분에 게터 접착제가 더 마련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플렉서블 소자
20: 제1배리어필름
30: 제2배리어필름
40: 접착제
41,141: 계면
100: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110: 플렉서블 소자부
120: 제1배리어부
121: 제1모재층
122: 제1코팅층
123: 제2코팅층
130: 제2배리어부
131: 제2모재층
132: 제3코팅층
133: 제4코팅층
310: 조사부
320: 레이저

Claims (8)

  1. 플렉서블 소자부;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배리어부;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배리어부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어 상기 제1배리어부와 함께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를 덮어 밀봉하는 제2배리어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모재층과,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과, 상기 제1모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코팅층을 가지고,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모재층과, 상기 제2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코팅층과, 상기 제2모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4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레이저 접합에 의해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중합체(Poly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htylene naphthalate; PE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6. a)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1배리어부가 마련되는 단계;
    b)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제2배리어부가 마련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제2배리어부가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를 덮어 밀봉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외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배리어부 및 상기 제2배리어부가 연속적으로 레이저 접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모재층과,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과, 상기 제1모재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코팅층을 가지고,
    상기 제2배리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모재층과, 상기 제2모재층 및 상기 플렉서블 소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3코팅층과, 상기 제2모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4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접합에 의해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모재층 및 상기 제2모재층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코팅층 및 상기 제3코팅층의 일부가 제거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170052719A 2017-04-25 2017-04-25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3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19A KR101838253B1 (ko) 2017-04-25 2017-04-25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19A KR101838253B1 (ko) 2017-04-25 2017-04-25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253B1 true KR101838253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7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8253B1 (ko) 2017-04-25 2017-04-25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857A (en) * 2020-01-10 2021-10-13 Polysolar Ltd Photovoltaic Modules including solar cell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045A (ja) 2010-05-17 2016-12-01 ハイコン リミテッドHighcon Ltd 表面接着ルール技術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045A (ja) 2010-05-17 2016-12-01 ハイコン リミテッドHighcon Ltd 表面接着ルール技術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857A (en) * 2020-01-10 2021-10-13 Polysolar Ltd Photovoltaic Modules including solar cell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64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925062B2 (en) Display device having film with protruding portion
TWI645593B (zh) 具有撓性基板之有機發光顯示裝置
EP318247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2329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233217B2 (en) Encapsulation structur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ach having edge encapsulation member on edge of encapsulation film
KR2017014049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027599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386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23123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226201A (zh) 一种柔性oled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09187941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790857B2 (ja)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5181B2 (ja) 有機el発光装置、及び有機el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2693569B1 (ko) 표시 장치
KR101838253B1 (ko) 플렉서블 소자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15023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device
WO2019085018A1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封装方法
KR102203908B1 (ko)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873598B1 (ko) 밀봉특성이 개량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655244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4153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7123342A (ja)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136872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2743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