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4989B1 -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 Google Patents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989B1
KR100634989B1 KR1020017010415A KR20017010415A KR100634989B1 KR 100634989 B1 KR100634989 B1 KR 100634989B1 KR 1020017010415 A KR1020017010415 A KR 1020017010415A KR 20017010415 A KR20017010415 A KR 20017010415A KR 100634989 B1 KR100634989 B1 KR 10063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loating
float
offshore structure
r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227A (ko
Inventor
풀 한스 반데
Original Assignee
풀 한스 반데
브이텐디직 홀딩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한스 반데, 브이텐디직 홀딩 비.브이. filed Critical 풀 한스 반데
Publication of KR2001010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E21B17/012Risers with buoyancy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부유 해상 구조물(1)은 수직관 구조물(6)을 현수하기 위한 현수 장치(7)를 포함한다. 현수 장치(7)는 작업 중에 해수면 근처로 연장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부유체(12)를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부유체(12)는 수직관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부유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해상 부유 구조물, 현수 장치, 수직관 구조물, 부유체, 결합 수단

Description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FLOATING OFFSHORE CONSTRUCTION, AND FLOATING ELEMENT}
본 발명은 수직관 구조물을 현수하기 위한 현수 장치를 포함하며, 현수 장치는 해상 구조물의 수직관 구조물에 의해 미치는 아래쪽 힘을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고 수직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 및 작업 중에 근처의 해수면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부유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은 미국특허 제3,858,40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기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부유 챔버를 구비한 수직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한다.
미국특허 제3,017,934호에는 수직관 구조물을 위한 텔레스코픽 장치를 가진 부유 해상 구조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부유 해상 구조물은 아래쪽 힘을 전달하도록 배열되지 않았고, 작업 중에 근방의 해수면으로 연장하며 수직관 구조물에 연결되는 부유체를 구비한 가이드를 포함한다. 작업 중에, 텔레스코픽 장치는 가이드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수직관 구조물의 상부 세그먼트에 고정된 부유체로부터 해상 구조물에 현수된 튜브형 기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3,858,401호에 따른 해상 구조물은 해상 탐사 및 해수면 아래의 비교적 깊은 해저에 있는 천연자원의 해저 웰스(wells) 탐사의 준비에 사용된다. 해저 웰스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시추선 또는 반잠수선인 부유 해상 구조물이 해저 웰스 위의 수면 상에 위치된다. 이어서, 부유 해상 구조물로부터 수직관 파이프가 하강하여 해저에 이미 제공되어 있는 스톱 밸브와 결합되고, 이 수직관은 보호 도관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탐사용 웰스를 준비하는 동안에 시추 도구가 하강하고, 탐사를 하는 동안에 천연자원은 바닷물에 접촉되지 않고 웰스로부터 해상 구조물로 이송될 수 있다.
수직관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수직관 세그먼트로부터 세워지며 하강하는 동안 결합되고 상승하는 동안에 다시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현수 장치의 호이스팅 장치 형성 부분에 의해 하나의 파이프 세그먼트 길이만큼 수직관 구조물이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수면에 비해 해저의 깊이가 비교적 깊기 때문에, 비부유 해상 구조물인 경우에는 이 해상 구조물은 해저 상에 다리로 지지될 수 없으나, 그라운드 앵커 또는 다이내믹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웰스 위에 부유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해상 구조물이 수직관 구조물과 관련하여 수표면의 파동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수 장치는 일반적으로 텔레스코픽 실린더에 의해 해상 구조물에 연결된 수직관 구조물을 수용하는 클램프 커플링 및/또는 케이블이 풀리를 따라 움직이도록 설계된 텐셔닝(tensioning) 시스템을 포함하며, 하강된 수직관 구조물에 의해 미치는 아래쪽 힘을 해상 구조물에 전달한다. 해상 구조물은 수직관에 의해 미치는 아래쪽 힘을 보상할 수 있도록 충분한 부력을 가져야 한다.
비교적 얕은 곳에 위치된 웰스가 고갈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깊은 곳에 위치된 웰스의 탐사 및 탐사 준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요즘은 해저 1500 m 이하에 위치된 웰스의 탐사가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더욱 기다란 수직관 구조물이 필요하고 해상 구조물에 대한 아래쪽 힘이 더욱 크게 미쳐서, 현수 장치는 이에 알맞게 설계되어야 하고 해상 구조물의 부력은 더 커져야 한다. 실질적으로, 이것은 현수 장치의 제조비용 및 운전비용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유형의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은 수직관 구조물을 현수하기 위한 현수 장치를 포함하며, 이 현수 장치는 해상 구조물의 수직관에 의해 미치는 아래쪽 힘을 전달하도록 배열되고 수직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 및 작업 중에 근방의 해수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현수 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부유체를 더 포함하고, 이 부유체에는 수직관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 장치가 제공되며, 현수 장치는 가이드를 부유체에 연결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유체의 추가적인 부력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현수 장치를 통해 수직관 구조물에 의해 부유 해상 구조물에 미치는 아래쪽 힘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어서, 현수 장치가 간단한 설계로 될 수 있고 해상 구조물의 부력이 작아질 수 있는 것이다. 부유체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었기 때문에, 수직관 구조물과 결합하는 경우에 가이드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서 부유 해상 구조물이 수표면의 파동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평력, 즉 이를테면 해류 또는 바람에 의한 실질적으로 수표면 또는 수표면과 평행인 힘은 가이드에 의해 해상 구조물과 수직관 구조물 사이에서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관 또는 부유체와 해상 구조물 사이의 수직 조절가능한 연결은 수직 방향 또는 수표면과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상당히 간단한 설계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도관을 포함하며, 부유체는 부유 챔버가 제공되고 축방향 이동을 위해 도관 내에 수용된 기다란 슬리브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효과는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부유체와 해상 구조물 사이에서 적절한 힘의 전달이 가능한 것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신뢰적인 가이드가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횡방향 힘의 전달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유체는 축방향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가이드 내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효과는, 해상 구조물이 해수면의 파동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수직관 구조물의 비틀림이 축적될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은, 부유체에 조절가능한 밸러스트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이로 인한 효과는,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직관 구조물의 상부 또는 저부 이동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수직관 세그먼트로 수직관 구조물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 동안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직관의 상부 또는 저부 이동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은 부유 부재가 수직관을 그 내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중앙 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이로 인한 효과는, 수직관 구조물이 하강하는 동안 소정의 각도로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보어는 측벽을 가지고, 가이드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1 - 6°의 각도로 갈라지며 대략 3°가 바람직하다. 측벽에 의해 수직관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은 고무 라이닝과 같은 것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유체는 가이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로 인한 효과는, 해상 구조물이 수직관 구조물의 부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체를 갖는 수직관 구조물은 웰스 위에 부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가이드를 가진 해상 구조물은 별도의 유닛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은 해수면 위의 위치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로 인한 효과는, 수직관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이드가 해수면 위의 위치에서 조절될 수 있어서, 움직 이는 동안에 보다 바람직한 유동 저항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부유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첨부도면에 나타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정면도.
도 2a는 도 1의 해상 구조물의 부유체에 대한 개략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부유체에 대한 개략평면도.
도 3a, 3b,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업 포지션, 이동 포지션 및 분리된 포지션 각각의 개략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의 제4 실시예에 대한 개략측면도.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응되거나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반잠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부유 해상 구조물(1)을 나타낸다. 부유 해상 구조물은 레그(3)에 의해 부유체(4)에 연결된 작업용 갑판(2)을 포함한다. 부유체(4)에 의해, 부유 해상 구조물(1)은 이동 포지션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유체(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수면(5) 위에 위치하고, 반잠수 작업 포지션에서는 부유체(4)가 해수면(5) 아래에 위치한다. 작업 포지션에서, 부유 해상 구조물(1)은 여전히 해수면 상에 부유하고 있지만, 천천히 해수면(5)의 파동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작업 포지션에서는 현수 장치(7)에 의해 수직관 구조물(6)이 작업용 갑판(2)으로부터, 화살표(8)의 방향으로, 해저로 하강할 수 있다.
현수 장치(7)는 데릭(derrick) 내에 수용된 종래 유형의 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한다. 호이스팅 장치에 의해, 공지된 그 자체의 방식으로 수직관 구조물의 세그먼트(10)가 작업용 갑판(2)으로부터 공급되어, 이하에서 더욱 상술할 방식으로, 수직관 구조물(6)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현수 장치는 적어도 작업 포지션에 있는 동안 해수면 근처에 위치하고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11)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가이드(11)는 직사각형 세그먼트의 도관으로 설계된다. 부유체(12)는 수직관 구조물(6)에 의하여, 축방향 이동, 즉 해수면(5)과 대략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11) 내에 수용된다. 부유체(12)에는 수직관 구조물(6)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장치(13)가 제공된다.
부유체(1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장치(14)에 의해 가이드(11)와 연결되며 여기서는 텔레스코픽 연결 장치로 설계되었다.
도 2a 및 도 2b에는 부유체(12)를 도시하였다. 부유체(12)는 직사각형 세그먼트의 슬리브(15)를 포함하고, 슬리브(15)는 상부(16) 및 저부(17)가 폐쇄되어 부유 챔버(18)를 형성한다. 부유체(12)는 직사각형의 슬리브(1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가이드(11) 내에 수용된다. 부유체(12)에는 그 내부에서 수직관 구조물(6)의 세그먼트(10)를 안내하는 중앙 보어(19)가 제공된다. 결합 장치(13)에 의해, 부유체(12)는 수직관 구조물(6)의 상부 세그먼트(10) 상에 클램프된다. 물론, 다른 결합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후크 조인트에 결합 장치(13)를 제공함으로써, 클램프된 수직관 구조물(6)은 피벗 축(20, 21)을 중심으로 부유체(12)에 대하여 약간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중앙 보어가 해수면(5)과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보어의 종방향 축에 대한 측벽이 화살표(8) 방향으로 대략 3°의 각도로 갈라지기 때문에, 하강하는 동안에 수직관 구조물(6)의 연속적인 세그먼트(10)는 적절한 각도로 아래쪽으로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100831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직관 세그먼트는, 그 자체가 부력을 가질 뿐 아니라 근처의 외부 환경이 보호되어서, 가이드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부유체(12)에는 조절가능한 밸러스트 수단(22)이 제공됨으로써, 부유체(12) 상의 위쪽 힘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조절가능한 밸러스트 수단(22)을 압축 공기 및 물을 공급 및 배출하는 밸브로 설계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밸러스트 수단(22)에 의해, 가이드(11) 내부의 부유체(12)의 상부 및 저부 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 휠(23) 또는 유사한 가이드 부재의 수단에 의해 가이드(11) 내에 부유체(12)를 포함시킴으로써 가이드(11) 내부의 부유체(12)의 축방향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작업 포지션에서, 수직관 구조물(6)은 결합 장치(13)에 의해 부유체(12)와 연결된다. 부유체(12)는 수직관 구조물(6)에 의해 발생되는 아래쪽 힘을 보상할 수 있는 위쪽 힘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현수 장치(7), 특히 텔레스코픽 연결 장치(14)와 호이스팅 장치, 또는 부유 해상 구조물 전체는 상당히 경량의 설계로 될 수 있으며, 부유체(4)의 부력은 상당히 작은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1)는 대략 해수면(5) 또는 해수면과 평행한 힘을 흡수하여 텔레스코픽 연결 장치가 해수면(5)과 대략 횡방향으로 로드되고 상당히 간단한 설계가 되도록 한다. 특히, 수직관의 반대쪽에 놓인 텔레스코픽 실린더의 작동은 동등하게 수축 및 연장하므로 상단히 단순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에 의해,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직관의 연결은 부유체를 사용하지 않고 그 자체가 이미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도 부유 해상 구조물은 반잠수 가능형으로 설계된다. 도 3a는 작업 포지션에서의 반잠수 상태를 나타내고, 3b는 이동 포지션에서의 반잠수 상태를 나타낸다. 텔레스코픽 실린더(24)에 의해, 가이드 장치(11)는 해수면(5) 위의 위치에 높이가 조절가능하도록 부유 해상 구조물(1)과 연결된다. 물론, 다른 유형의 조절식 연결 수단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 포지션에서, 가이드 장치(11)는 부유체(12)와 함께 해수면 위의 위치로 인상되어 이동 중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해상 구조물이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체(12)가 결합 수단에 의해 가이드(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3a에 도시한 작업 포지션으로부터 부유체(12)가 분리될 수 있고 부유 해상 구조물(1)은 작업 포지션으로 되고 인상된 가이드(11)와 함께 위치되며, 부유체(12)는 그대로 남겨둔다. 부유체와 가이드 또는 해상 구조물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은 다른 구조적인 변형이 응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해상 구조물의 구조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이 변형예에서, 부유 해상 구조물은 시추선으로서 설계된다. 시추선은 선체(25) 및 구동 수단(26)을 포함한다. 선체(25)는 종래의 선박 유형이며 해수면(5)과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도관(11)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유체(12)가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에서, 부유체(12)의 작동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와 대체로 동일하다. 부유체(12)에 수직관 구조물(6)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선체(25)의 바닥(27) 위의 위치로 인상되고 조절식 밸러스트 수단(22) 및 텔레스코픽 연결 장치(14)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 도관(11)은 도시되지 않은 폐쇄 수단에 의해 근방의 바닥(27)에서 폐쇄되어 항해 중에 선체(25)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5는 작업용 선박으로 설계된 부유 해상 구조물(1)을 도시한다. 작업용 선박은 구동 수단(26) 및 작업용 갑판(29)이 제공되는 선체(28)를 포함하며, 선체(28)는 작업 포지션에서 잠수된다. 작업용 갑판(29)은 연결 수단에 의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선체(28)와 연결되어 작업용 선박은, 작업용 갑판(29)이 선체(28) 근방에 위치되는 이동 포지션과 작업용 갑판(29)이 해수면(5) 위에 있어서 해수면(5) 아래에 있는 선체(28)와 이격되는 반잠수 포지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다. 선체(28)는 중앙 작업 기둥(30)을 포함하며, 그 내부에는 가이드 도관(31)이 제공된다. 도 5에서 작업용 선박은 작업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가이드 도관(31)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유체(12)가 배치된다. 가이드 도관(31)은 가이드로 작용한다. 부유체 및 가이드의 구조적인 효과 및 작동 원리는 이미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다. 작업용 선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1010884호에 기재되어 있다.
부유체 및/또는 가이드는 항복점이 최소한 800 N/㎟,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100 N/㎟ 인 고강도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강철로는 스웨덴의 SSAB 사에서 제조한 상표명 Weldox 1100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부유체는 다른 형태의 수직관 구조물과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부유체는 여러 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는 내부에 수직관 구조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보어가 없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수직관 구조물이 부유체를 따라 지나갈 수 있다. 또한, 중앙 보어의 측벽은 더욱 커다란 각도로 바깥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측벽이 보어를 가압하여 측벽이 손상될 수 있는 경우에 수직관 세그먼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가이드는 여러 개의 가이드 레일을 갖는 개방된 가이드와 같은 가이드 도관 외에 둘레의 부유체가 가이드되는 중앙 가이드 로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는 바닥 쪽이 폐쇄될 필요가 있기도 하지만,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유형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이 부유체 및/또는 가이드와 해상 구조물 사이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풀리 또는 가이드웨이(guideway)를 따라 이동하는 윈치 케이블이 있다.
또한, 부유체 및 가이드의 섹션은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설계되어 가이드 내에서의 축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섹션은 예를 들어 축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와 협동하는 돌출부가 제공되는 경우, 원형으 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들이 이미 이해하고 있는 사실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장치에 의하여 가이드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추가 부유체를 갖는 현수 장치를 제공하고, 이 부유체에 수직관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부유체가 순부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부하가 수직 방향에만 있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현수 장치가 보다 경량으로 설계될 수 있다.

Claims (8)

  1. 수직관 구조물(6)을 현수하기 위한 현수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 장치(7)는 상기 해상 구조물(1)의 수직관 구조물(6)에 의해 미치는 아래쪽 힘을 전달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수직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 및 작업 중에 근방의 해수면으로 연장하는 가이드(11)를 포함하는 부유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현수 장치(7)는 가이드(1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부유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12)에는 상기 수직관 구조물(6)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 장치(13)가 제공되며, 상기 현수 장치(7)는 상기 가이드(11)를 상기 부유체(12)에 연결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장치(14)를 더 포함하는
    부유 해상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가 도관 및 부유 챔버(18)가 제공된 슬리브(15)를 포함하는 부유체(12)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15)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도관 내에 수용되는 부유 해상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2)는 축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11) 내에 수용되는 부유 해상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2)가 조절식 밸러스트 수단(22)을 구비한 부유 챔버(18)를 포함하는 부유 해상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2)가, 상기 부유체(12)의 내부에서 수직관 구조물(6)을 가이드하기 위해 측벽을 구비하는 중앙 보어(19)를 갖는 부유 해상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2)는 상기 가이드(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유 해상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는 해수면 위의 위치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해상 구조물(1)과 연결되는 부유 해상 구조물.
  8. 제1항에 따른 해상 구조물(1)의 가이드(11) 내에 수용되는 부유체(12)에 있어서,
    상부(16) 및 저부(17)가 폐쇄되고 자신의 내부에 수직관 구조물(6)을 가이드 하기 위한 측벽을 구비한 중앙 보어(19)를 가진 부유 챔버(18)를 갖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수직관 구조물(6)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 장치(13)를 포함하는
    부유체.
KR1020017010415A 1999-02-16 2000-02-16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KR100634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1312 1999-02-16
NL1011312A NL1011312C1 (nl) 1999-02-16 1999-02-16 Drijvende offshore-constructie, alsmede drijf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27A KR20010108227A (ko) 2001-12-07
KR100634989B1 true KR100634989B1 (ko) 2006-10-17

Family

ID=1976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415A KR100634989B1 (ko) 1999-02-16 2000-02-16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752213B1 (ko)
EP (1) EP1169218B1 (ko)
JP (1) JP4545319B2 (ko)
KR (1) KR100634989B1 (ko)
CN (1) CN1139517C (ko)
AT (1) ATE270638T1 (ko)
AU (1) AU2700000A (ko)
BR (1) BR0008303A (ko)
CA (1) CA2362875C (ko)
DE (1) DE60012003T2 (ko)
DK (1) DK1169218T3 (ko)
ES (1) ES2223459T3 (ko)
NL (1) NL1011312C1 (ko)
NO (1) NO321327B1 (ko)
PT (1) PT1169218E (ko)
WO (1) WO2000048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347B1 (en) * 1999-07-29 2001-06-12 Dril-Quip, Inc. Subsea well drilling and/or completion apparatus
WO2002084068A1 (en) * 2001-04-11 2002-10-24 Cso Aker Maritime, Inc. Compliant buoyancy can guide
GB0117016D0 (en) * 2001-07-12 2001-09-05 K & B Beattie Ltd Riser system
NO315807B3 (no) * 2002-02-08 2008-12-15 Blafro Tools As Fremgangsmate og anordning ved arbeidsrorkopling
GB0509993D0 (en) * 2005-05-17 2005-06-22 Bamford Antony S Load sharing riser tensioning system
JP4947456B2 (ja) * 2005-12-09 2012-06-06 清水建設株式会社 浮体構造
NO2150742T3 (ko) * 2007-04-27 2018-04-14
US8919449B2 (en) * 2008-06-03 2014-12-30 Shell Oil Company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FR2934635B1 (fr) * 2008-07-29 2010-08-13 Technip France Installation de conduite montante flexible de transport d'hydrocarbures pour grande profondeur
US8162062B1 (en) * 2008-08-28 2012-04-24 Stingray Offshore Solutions, LLC Offshore well intervention lift frame and method
EP2186993B1 (en) * 2008-11-17 2019-06-26 Saipem S.p.A. Vessel for operating on underwater wells and working method of said vessel
US8322438B2 (en) * 2009-04-28 2012-12-04 Vetco Gray Inc. Riser buoyancy adjustable thrust column
US8191636B2 (en) * 2009-07-13 2012-06-05 Coles Robert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compensation during active intervention operations
US20110011320A1 (en) * 2009-07-15 2011-01-20 My Technologies, L.L.C. Riser technology
US20110091284A1 (en) * 2009-10-19 2011-04-21 My Technologies, L.L.C. Rigid Hull Gas-Can Buoys Variable Buoyancy
US20110209651A1 (en) * 2010-03-01 2011-09-01 My Technologies, L.L.C. Riser for Coil Tubing/Wire Line Injection
NO336206B1 (no) * 2011-02-01 2015-06-15 Sevan Marine Asa Produksjonsenhet med slakt hengende stigerør og med tilpasset skrog og moonpool
KR101323798B1 (ko) 2012-05-18 2013-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399596B1 (ko) * 2012-07-06 2014-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US9440708B2 (en) * 2012-10-16 2016-09-13 Wärtsilä Netherlands B.V. Closing cover for closing an opening in a hull of a marine vessel and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a lower part of a hoisting chamber
KR101741523B1 (ko) * 2015-03-06 2017-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플랫폼
US10358191B2 (en) * 2015-07-13 2019-07-23 Ensco International Incorporated Floating structure
CN114033894A (zh) * 2021-10-25 2022-02-11 深圳海油工程水下技术有限公司 动态立管末端月池限位机构及动态立管末端下放方法
CN114575740A (zh) * 2022-03-01 2022-06-03 中铁建设集团南方工程有限公司 一种水下基坑施工装置
KR102520555B1 (ko) * 2022-10-27 2023-04-12 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 해상 풍력발전용 하이브리드형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장치의 운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7934A (en) * 1955-09-30 1962-01-23 Shell Oil Co Casing support
US3354951A (en) 1964-02-24 1967-11-28 Offshore Co Marine drilling apparatus
US3858401A (en) * 1973-11-30 1975-01-07 Regan Offshore Int Flotation means for subsea well riser
US3952526A (en) * 1975-02-03 1976-04-27 Regan Offshore International, Inc. Flexible supportive joint for sub-sea riser flotation means
US3955621A (en) * 1975-02-14 1976-05-11 Houston Engineers, Inc. Riser assembly
US4557332A (en) * 1984-04-09 1985-12-10 Shell Offshore Inc. Drilling riser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US4913238A (en) * 1989-04-18 1990-04-0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Floating/tensioned production system with caisson
JPH04146890A (ja) * 1990-10-09 1992-05-20 Nkk Corp 原油処理貯蔵船におけるフレキシブルライザ
JP2678695B2 (ja) * 1991-08-08 1997-11-17 三井造船株式会社 ライザー管の設置・揚収用の可動作業床
NO310986B1 (no) * 1999-09-09 2001-09-24 Moss Maritime As Anordning for overhaling av hydrokarbonbronner til hav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517C (zh) 2004-02-25
NO20013980L (no) 2001-10-15
AU2700000A (en) 2000-09-04
PT1169218E (pt) 2004-11-30
NO20013980D0 (no) 2001-08-16
EP1169218A1 (en) 2002-01-09
CA2362875C (en) 2009-07-14
BR0008303A (pt) 2002-01-22
JP4545319B2 (ja) 2010-09-15
ATE270638T1 (de) 2004-07-15
WO2000048899A1 (en) 2000-08-24
KR20010108227A (ko) 2001-12-07
CN1343171A (zh) 2002-04-03
CA2362875A1 (en) 2000-08-24
NL1011312C1 (nl) 2000-08-17
DE60012003T2 (de) 2005-07-28
DE60012003D1 (de) 2004-08-12
NO321327B1 (no) 2006-04-24
US6752213B1 (en) 2004-06-22
EP1169218B1 (en) 2004-07-07
DK1169218T3 (da) 2004-11-22
JP2002537171A (ja) 2002-11-05
ES2223459T3 (es)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989B1 (ko) 부유 해상 구조물 및 부유 부재
US4421436A (en) Tension leg platform system
US4176722A (en) Marine riser system with dual purpose lift and heave compensator mechanism
US5421676A (en) Tension leg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ation therefor
CN103917439B (zh) 具有外置柱的离岸平台
US7600570B2 (en) Drilling rig placed on the sea bed and equipped for drilling of oil and gas wells
EP1509672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of deploying and installing subsea equipment
US4114393A (en) Lateral support members for a tension leg platform
US4537533A (en) Installation and levelling of subsea templates
AU2009283041B2 (en) Subsea structure installation or removal
CN1294654A (zh) 在大深度上安装的水下管道的底部至表面连接方法及系统
JPS5925713B2 (ja) 張力脱脚プラットホ−ムの据え付け方法及び装置
WO1995020074A1 (en) Tension leg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for
EA007215B1 (ru) Система установки якоря
EP0580714A1 (en) Deep water platform with buoyant flexible piles
US6210075B1 (en) Spar system
JPS61290194A (ja) ブイ
US4365912A (en) Tension leg platform assembly
US5224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mersion and installation of fundament structures on the sea bottom
GB2358032A (en) Heave compensation system for rough sea drilling
US4297965A (en) Tension leg structure for tension leg platform
AU2004218479A1 (en) Riser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USRE24083E (en) moneill
CN104024561A (zh) 用于将钢丝绳从浮船调整到水下油井中的方法和系统
GB2069450A (en) Self-standing production r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