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3854B1 -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854B1
KR100633854B1 KR1019980019478A KR19980019478A KR100633854B1 KR 100633854 B1 KR100633854 B1 KR 100633854B1 KR 1019980019478 A KR1019980019478 A KR 1019980019478A KR 19980019478 A KR19980019478 A KR 19980019478A KR 100633854 B1 KR100633854 B1 KR 10063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preading
related data
power level
spr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458A (ko
Inventor
카리 페코넨
하리 릴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489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338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8008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8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006Conversion to or from arithmetic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H04B10/25754Star network top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3Code application, i.e. aspects relating to how codes are applied to form multiplexe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77Multicode, e.g. multiple codes assigned to on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9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tempor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10S370/906Fiber data distribution interface, FDD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10S370/907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채널 관련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하여,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가 제1 스프레딩 코드(CI)와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병렬적으로 스프레드되고,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가 제1 스프레딩 코드(CI)와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병렬적으로 스프레드되며, 스프레딩 후의 상기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이 스프레딩 후의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변경(G)되고, 제1 채널 관련 스프레드 데이터와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스프레드 데이터로부터 전송이 컴파일된다.

Description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부호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병렬 채널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들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과 데이터 완전도를 고려할 때 서로 다른 데이터 통신 요구소건을 갖는 두 채널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그 동작상, 이동전화들과 같은 셀방식 시스템들내에서의 단말기들은 페이로드(payload) 또는 사용자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보다 상당히 적거나 전송되는 정보의 완전도를 고려할 때 각기 다른 품질요건을 갖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는 논리상 개별적인 채널에서 전송되고, 그러한 채널들을 공통의 물리적인 무선 주파수 채널로 멀티플렉싱하는 몇가지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무선 장치에 의하여 전송되는 정보는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이를테면, 시간도메인 내에서 멀티플렉싱된, 시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프레임 구성요소들내에 위치한 프레임들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송방법은 제어데이터의 전송이 그 데이터의 특성 때문에 연속적이야 한다면 일명 불연속 전송(DTX: discontinuos transmission)에 적합하지 않다. 불연속 전송에서는 발송할 실질적인 데이터가 없을 때(예를들어, 이동전화의 사용자가 통화 도중에 이야기를 중지하였을 때)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 잠시 중단된다. 하지만,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몇몇 제어데이터를 항상 발송함으로써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불연속 전송(DTX)의 사용은 프레임 내에서의 펄스식 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서는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각기 다른 코드 채널내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도 1에는 각기 다른 논리채널들을 하나의 전송으로 결합하는 다른 알려진 방법들을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른 장치는 본 특허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의 특허자료 FI 97387호로부터 공지된다. 신호선(10)은 그다지 오차 결정적(error critical)이지 않지만 최대 10-3 비트오차율(BER: bit error ratio)이 허용되는 전송 비트스트림을 나타내고, 신호선(11)은 비트오차율(BER)이 10-6보다 낮아야 하는 오차 결정적인 비트스트림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양호한 비트오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호선(11)의 비트스트림은 블록(12)에서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딩되고 블록(13)에서 인터리빙된다. 신호선들(10, 11)로부터의 비트스트림들은 블록(14)에서 결합되고 블록(15)에서는 상기 비트스트림들에 일정 꼬리비트들(tail bits)이 부가되며 그 다음에 블록(16)에서는 결과적인 결합 비트스트림이 콘벌루션(convolution) 코딩된다. 에러정정되지 않고 콘벌루션 코딩되지 않은 비트스트림을 갖는 신호선(18)은 블록(17)에서 동일 코드채널상으로 멀티플렉싱된다. 소망의 심볼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시 블록(19)에서 심볼 반복이, 블록(20)에서 인터리빙이 사용될 수 있다. 코딩 엘리먼트(21)에서는 PN1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딩(spreading)이 수행되고, 그 다음에는 결과적인 심볼 스트림이 하부 코드채널과 함께 무선 주파수 전송을 발생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블록(22)의 지로(I)에 인가되어 안테나(23)에 인가된다.
하부 코드 채널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 비트들은 신호선(24)을 통하여 코딩블록(25)에 인가되고 그로부터 심볼반복(25)과 인터리빙(27)을 경유하여 전력제어(PC: power control) 심볼들(30)과 함께 수신기를 동기시키는데 필요한 기준심볼들(29)이 심볼 스트림에 부가되는 블록(28)에 인가된다. 코딩 엘리먼트(31)는 상술한 코드(PN1)와 상이한 PN2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딩을 수행하고, 그 다음에는 심볼 스트림이 상부 코드채널과 함께 안테나(23)에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전송을 발생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블록(22)의 지로(Q)에 인가되기 이전에 지연 엘리먼트(32)에 의하여 상부 코드채널에 대한 하부 코드채널의 타이밍이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지연 엘리먼트(32)에 의하여 발생된 지연은 0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직각 위상쉬프트키잉(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무선 장치에서는 하부 코드채널상에서의 더 낮은 비트율 때문에 상부 코드채널상에서 보다 낮은 전력수준을 사용함에 따라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소형 셀방식 무선 시스템 단말기들에서 전송시 전력의 절감은 배터리의 방전시간 연장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잡음수준을 제한을 하는데 유리하다. 하지만 도 1에 따른 장치는 무선 주파수블록(21)내의 전력증폭기(미도시)와 상기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왜곡 때문에 각기 다른 전력수준들을 사용한다는 견지에서 최적이 아니다.
RF 증폭기들은 그 증폭기의 포화영역 근처에서 동작될 때 선형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특히 넓은 진폭변화를 갖는 변조방법들의 경우 증폭기에서 발생된 상호변조 결과물을 일명 백오프(backed-off) 모드에서 상기 증폭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는 증폭기 입력 전력이 상기 증폭기를 포화상태로 가져갈 수 있는 전력에 비하여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인 출력전력의 감소는 출력 백오프(OBO: output back-off)라 칭한다. 출력 백오프(OBO)가 높을수록 소모되는 DC 전력에 대한 발생된 RF 전력의 비율로 계산되는 증폭기 효율이 저하된다. 도1에 따른 장치에서 출력 백오프는 코드채널들의 전력차이에 비례하므로 하부 코드채널의 전력수준이 상부 코드채널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감소되면 출력 백오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논리채널을 종래기술보다 양호한 효율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논리채널들에 대하여 두 스프레딩 코드들을 사용하고, 무선주파수부내에서 다른 채널들의 스프레드 신호들의 합으로써 제1 지로의 신호가 발생되며 다른 채널들의 스프레드 신호들의 차로써 제2 지로의 신호가 발생되는 IQ 변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1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딩하는 제1 스프레딩 수단과, 제1 채널과 관련된 상기 데이터를 제2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딩하는 제2 스프레딩 수단; 제2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딩하는 제3 스프레딩 수단과, 제2 채널과 관련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스프레명하는 제4 스프레딩 수단;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제2 채널과 관련된 상기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수단; 및 제1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 데이터와 이득이 변경되어진 제2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 데이터로부터의 전송을 컴파일하는 결합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기 장치들중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특징들을 만족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스프레딩 코드와 제2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스프레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프레딩 코드와 상기 제2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제2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스프레딩하는 단계;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제2 채널과 관련된 상기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단계; 및 제1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 데이터와 이득이 변경되어진 제2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 데이터로부터의 전송을 컴파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채널의 코딩 방법은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사용하여 두 채널의 비트스트림들이 개별적으로 스프레딩되도록 두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한다.
제1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1 채널과 제2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2 채널은 서로에 대하여 감산되고, 제2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1 채널과 제1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2 채널은 합산된다. 상기 합산 및 감산 동작들 이전에 제2 채널의 스프레드 형태에는 영보다 큰 실수 계수인 전력정정 계수가 곱해진다. 합산 및 감산 동작들로부터 얻어진 신호들은 IQ 타입 무선주파수부의 지로들에 인가되며, 상기 지로들로부터 얻어진 신호들은 합산되어 전송되기 위하여 안테나에 인가된다. 상기 제1 및 제2 코드들에 의한 코딩이전에 쇼트코드들이 스프레딩 코드들로서 적절히 작용하고 제1 및 제2 코드들이 신호 스크램블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채널들의 비트스트림들은 예를들어 일명 쇼트 코드들(short codes)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코딩될 수 있다. 인터리빙, 오류정정코딩 및 그루핑(grouping)과 같은 다른 알려진 동작들이 비트스트림들상에 가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예로써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종래기술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이 참조되었으며, 본 발명의 설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도 2a 내지 도 6이 참조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어진다.
도 2a와 도 2b에는 코드분할을 사용하여 두 병렬채널들을 전송하는 상호 대안적인 두 장치들을 도시하였다. 이 예에서 제1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 채널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채널은 전용 트래픽 채널(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 제2 채널은 물리적 제어채널(PCCH: physical control channel)이라 칭한다. 채널들의 이름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응용분야들을 어떤 특정한 통신시스템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우, 채널상으로 어떤 종류의 정보가 전송되는지 또는 다른 채널들에 대한 데이터 전송요건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는 서로 무관하다. 본 발명은 시스템의 동작중에 채널들 사이의 차이에 대한 동적인 변화를 허용한다.
DTCH 채널의 비트스트림은 신호선(40)을 통하여, PCCH 채널의 비트스트림은 신호선(4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가된다. 신호선(42)은 다음에 그 의미가 논의될 이득계수(G)를 나타낸다. 심볼(CI)로 표시되는 제1 코드는 신호선(43)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 인가되고 심볼(CQ)로 표시되는 제2 코드는 신호선(44)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 인가된다. 코드들(CI, CQ)은 예를들어 긴 골드코드들(Gold codes) 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것과 그것의 사용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는 것은 아다치외(Adachi et al.)에 의한 자료["Coherent Multicode DS-CDMA Mobile Radio Accesee(코히런트 다중부호 DS-CDMA 이동 무선 접속)", IEICE Trans. Commun. Vol E79 B. No 9, 1996. 9, pp. 1316 ∼ 1325]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 2a에는 코딩과 변조와 관련된 다른 동작들 이전에 개별적인 일명 쇼트코드(short code)를 사용하여 DTCH 및 PCCH 채널 모두를 스프레딩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블록(45)에서는 DTCH 채널의 비트스트림이 쇼트코드(SCi)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블록(46)에서 PCCH 채널의 비트스트림이 쇼트코드(SCj)에 의하여 스프레드된다.
초당 비트 단위의 PCCH 채널상의 비트스트림 속도는 일반적으로 DTCH 채널상의 비트스트림 속도보다 낮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두 블록들(45,46)의 비트스트림 들로부터 발생된 심볼스트림들이 동일한 심볼율(symbol rates)을 갖는다면, 블록(46)에서의 일명 프로세싱 이득은 블록(45)에서 보다 높을 수 있으며, 즉 블록(45)에서보다 비트스트림 비트당 더 많은 심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블록들(45,46)에 따른 바와 같은 개별적인 스프레딩은 본 발명의 경우 필수적이지 않다. 하지만, 스프레딩의 사용은 셀방식 무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을 배치 하는데 있어 확실한 장점을 가져온다. 셀방식 무선 시스템의 단말기들에 도 2a에 따른 전송장치를 사용하면, 각 단말기는 그 단말기에 의하여 전송된 병렬코드채널들 사이의 구별을 위하여 상호 직교적 또는 비직교적 코드들중에서 쇼트코드들이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각 단말기는 기지국 수신기가 다른 단말기들에 의하여 발송되는 신호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그들만의 쇼트 코드 또는 롱 코드(long code)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운링크(downlink) 전송에서 각 기지국은 셀 내에서 단말기들로 발송된 신호들이 각기 다른 쇼트코드들을 사용하여 구별될 수 있도록 자신만의 롱코드들을 가질 수 있다. 블록들(45,46)에 의하여 쇼트코드들을 결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을 한정시키지 않으며, 이러한 블록들에 의하여 표현되는 스프레딩에 롱코드들이 사용될 수있다.
블록(45)내에서 DTCH 채널상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발생된 심볼스트림은 두 병렬 지로들과 더 나아가 블록들(47,50)에 인가된다. 만일 DTCH 채널상의 비트스트림이 도 2a의 블록(4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드된다면, 블록들(47,50)내에서 코드들(CI,CQ)에 의하여 심볼스트림상에 수행되는 동작은 스크램블링(scrambling)이라 칭한다. 스크램블링은 사용된 대역폭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지만 스크램블된 심볼스트림의 데이터 내용물이 사용된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결정되는 방법에 따라 의사 무작위적(pseudo-randomly)으로 분할되는 특별한 경우의 스프레딩으로 간주될 수 있다. 블록들(45,46)에 따른 스프레딩이 사용되지 않으면 DTCH 채널의 비트스트림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들(47,50)에 인가되고 블록(47)에서는 부호(CI)에 의하여 블록(50)에서는 부호(CQ)에 의하여 각각 스프레드 된다. 따라서, PCCH 채널 비트스트림 또는 그로부터 블록(46)에서 발생되는 심볼스트림은 비트스트림이 스프레드되거나 심볼스트림이 블록(48)에서는 부호(CQ)와 또한 블록(49)에서는 부호(CI)와 스크램블되는 두 병렬 지로로 인가된다.
블록들(51,52,53,54)은 스프레딩에서 발생되는 심볼들에 포함된 비트값들과 해당 양 또는 음의 값들 사이에서 NRZ(non-return-to-zero) 변조(위상 변조방법)를 수행한다. 승산기들(55,56)에서는 PCCH 채널 데이터를 운반하는 신호들에 이득계수(G)가 곱해진다. 그 다음에는 무선주파수부의 I 및 Q 지로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이 가산기들(57,58)에서 발생된다. I 지로로 인가되는 신호는 코드(CI)에 의하여 스프레드된(또는 코드(SCi)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코드(CI)에 의하여 스크램블된) DTCH 채널과, 코드(CQ)에 의하여 스프레드된(또는 코드(SCj)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코드(CQ)에 의하여 스크램블된) PCCH 채널의 차이고, 여기서 후자는 이득계수(G)가 곱해진다. 따라서, Q 지로로 인가되는 신호는 코드(CQ)에 의하여 스프레드된(또는 코드(SCi)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코드(CQ)에 의하여 스크램블된) DTCH 채널과, 코드(CI)에 의하여 스프레드된(또는 코드(SCj)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코드(CI)에 의하여 스크램블된) PCCH 채널의 합이고, 여기서 후자는 이득계수(G)가 곱해진다. 무선주파수부에서 국부발진기(59), 승산기(60), 위상쉬프터(61), 및 승산기(62)에 의하여 수행되는 IQ 변조는 종래기술에 따른다. I 및 Q 지로 신호들은 가산기(63)에서 결합되어 전송을 위하여 안테나(64)에 인가된다.
PCCH 채널에서 발생된 심볼스트림들에 1이 아닌 이득계수(G)를 곱하는 것은 DTCH 채널과 PCCH 채널 사이의 전력차이를 발생시킨다. 만일 이득계수(G)가 영과 일 사이이면, 블록(46)내의 DTCH 채널상에서보다 높은 PCCH 채널상에 앞서 부과된 처리이득(processing gain)과 블록들(55,56)에서의 이득계수(G)에 의한 전력감소가 서로 상쇄되며, 이는 전체적인 장치에서 채널의 전력이 이득계수(G) 만큼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PCCH 채널의 확률비트 오차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CCH 채널 비트스트림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PCCH 채널에서 발생되어 DTCH 채널상에서와 동일한 심볼스트림의 심볼률에 대하여 블록(46)에서의 처리이득도 역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비트오차율을 변경하기 위하여 PCCH 채널의 이득계수(G)가 사용될 수있다. 만일 예를들어 전송 및 수신 무선장치 사이의 접속에서 비트오차율이 너무 높게 측정되면, 수신장치는 비트오차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송장치에 이득계수(G)를 높이라고 요청한다. 만일 PCCH 채널상의 비트스트림 속도가 변화하면, PCCH 채널상의 통신특성은 소망하는 바 대로 처리이득 및 이득계수(G)를 선택함으로써 융통성있는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간략하게 도 2a 와 도 2b에는 변조처리에 적절하게 기여하지 않는 전송기 증폭기들과 필터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부호분할 전송을 만드는 전송기 장치내의 증폭기들과 필터들에 대한 사용 및 배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당업자는 도 2a와 도 2b의 블록도의 필요한 곳을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스프레드 코딩장치들, 변조장치들, 승산기들, 가산기들, 발진기들 및 위상쉬프터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무선-주파수 부품들이다. 도 2a와 도 2b에서 가산기들(57,58)의 역할은 바뀌어질 수 있고, 이를테면, 가산기(57)는 입력되는 신호들의 합을 계산하고 가산기(58)는 입력되는 신호들의 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장치에 의하여 구현되는 본 발명의 사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위상-변조된 무선신호의 성좌점들(constellation points), 즉, 신호를 표시하고 이득계수값 0(도 3a), 0.5(도 3b) 및 1(도 3c)을 갖는 IQ 좌표계의 원점에서 시작하는 벡터의 가능한 끝점들을 도시하였다. I 및 Q 축의 눈금은 예시적이고 눈금표들 사이의 각 간격은 한 채널(말하자면, DTCH 채널)의 전력수준을 나타내도록 상대적인 전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한 채널의 전력수준이 1로 표시될 때 성좌점들의 좌표들은 (1+G, 1-G), (1-G, 1+G), (-1+G, 1+G), (-1-G, 1-G), (-1-G, -1+G), (-1+G, -1-G), (1-G, -1+G) 및 (1+G, -1+G)가 된다 도 3a에서는 신호가 오직 DTCH 채널만을 기초로 형성되도록 이득계수(G)는 0의 값을 갖는다. 성좌점들은 (1, 1), (-1, 1), (-1, -1) 및 (1, -1)의 네 점들로 줄어든다. 이득계수(G)의 값은 0에서 시작하여 1까지 증가되기 시작하고, 도 3a 그래프의 각 성좌점은 원점을 통과하는 대각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동일한 상한에 위치하는 두 성좌점들로 분리되고 이득계수(G)의 값이 보다 클수록 서로 더 멀어진다. 도 3b에서 이득계수(G)는 0.5의 값을 갖는다. 이득계수(G)가 1이 되면 성좌점들은 도 3c에 따라서 (2, 0), (0, 2), (-2, 0), (0, -2)의 네 점으로 다시 감소된다.
성좌점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논리는 이득계수(G) 값이 1 보다 큰 경우에 적용하도록 용이하게 일반화할 수 있다. 도 3b는 일반적으로 각기 다른 채널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 사이에 전력차이가 있는 경우의 성좌점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논리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갖는 채널이 PCCH 채널을 대신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갖는 채널이 DTCH 채널을 대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전송기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의 이율은 채널들 사이의 전력차이에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도 1 참조)에서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의 비율은 전력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전송기의 평균전력은 최대전력으로 전송되는 성분들이 전송기 전력 증폭기의 포화 때문에 왜곡되지 않도록 감소되어야 한다. 이는 효율을 저하시킨다.
도 4는 도 2a에 따른 전송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송을 수신, 복조 및 디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의 간단한 블록도이다. 안테나(70)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는 국부발진기들(73) 및 90도 위상쉬프터(74) 뿐만 아니라 믹서들(71,72)에 의하여 다운콘버트(down-convert)되는 수신기의 I 및 Q 지로에 인가된다. 결과적인 신호들은 블록들(75,76)내에서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되어 두 병렬 심볼스트림을 발생한다. 디스프레딩(despreading)을 위하여 심볼스트림들은 정합필터들 또는 상관기들(77)에 인가되고, 이들은 입력으로서 전송기에 의하여 사용되는 롱 스프레딩 코드들(CI,CQ: long spreading codes)을 받는다. 제1 정합필터(77)에서 코드(CI)에 의하여 디코딩된 심볼스트림과 제2 정합필터(78)에서 코드(CQ)에 의하여 디코딩된 심볼스트림은 가산기(79)에서 합산되어 쇼트코드(SCi)에 따라 스프레딩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합필터(80)에 인가되는 DTCH 채널 심볼스트림을 발생한다. 상응하게, 가산기(81)는 제1 정합필터(77)에서 코드(CQ)에 의하여 디코딩된 심볼스트림과 제2 정합필터(78)에서 코드(CI)에 의하여 디코딩된 심볼스트림의 차이를 계산하여 쇼트코드(SCj)에 따라 스프레딩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합필터(82)에 인가되는 PCCH채널 심볼스트림을 발생한다.
도 4에 도시한 블록도는 도 2a에 도시한 블록도에 해당하며 도 4에는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고 복조 및 디코딩 과정에 적합한 의미가 없는 전송기들과 필터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전송기가 도 2b에 따른다면, 즉, 비트스트림들이 두 지로들로 분리되기 전에 비트스트림 스프레딩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도 4에 도시한 수신기에서 블록들(80,82)이 제외된다.
도 5에는 단말기들(100)과 기지국들(101)을 포함하는 셀방식 무선시스템내의 본 발명에 따른 전송기들 및 수신기들의 예시적인 장치를 도시하였다. 단말기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전송기(102)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103) 및 이동전화와 같은 단말기에 제어블록과 적절한 메모리 및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뿐만 아니라 오디오신호의 디지털 형태로의 변환, 전송기 지로 채널 엔코딩, 수신 지로 채널 디코딩 및 수신 디지털 신호의 오디오 신호로의 변환과 같은 알려진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기본 구성요소(104)를 포함한다. 기지국(10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소 스프레딩(complex spreading)과 QPSK 변조 및 각기 다른 방법들로 몇몇 동시적인 접속들과 관련되는 신호들에 대한 처리의 결합을 사용하는 결합 전송기/수신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2 및 도 4에 따른 몇몇 전송기 장치들(102)과 수신기 장치들(103)에 연결된 하나의 공통 전송 안테나(105)와 하나의 공통 수신 안테나(106)를 구비하는 기지국(101)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동시적인 무선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하나의 단말기와 기지국들 내에는 각기 다른 스프레딩 코드들을 사용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기지국(101)은 또한 기지국(101) 동작의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로 발송되는 비트스트림들을 발생시키고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비트스트림들을 처리하며 기지국과 통신 네트워크(108)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쌍방향 통신을 관리하는 알려진 기능들을 포함하는 기본 구성요소(107)를 구비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무선 전송을 발생하고 수신하는 유리한 방법을 나타내었다. 단계(110)는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의 발생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스트림은 음성, 화상,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것은 알려진 방법으로 발생된다. 단계(111)에서는 전송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발생된다.
위에서 논의된 PCCH 채널은 이것의 일예이다. 단계(112)는 도 2에 따라 제어 데이터 처리시에 이득계수(G)를 사용하는 복소 스프레딩과 QPSK 변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13)에서 전송기 장치는 발생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114)에서는 수신기 장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115)는 도 4에 따른 신호 복조 및 디스프레딩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16)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완전도가 체크섬(checksum) 계산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검사되고, 필요할 경우 재전송 요구(117)를 전송기 장치로 발송한다. 상기 요구는 또한 전송기 장치에서 사용된 이득 계수(G)를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신호의 무오차 수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명령을 수반할 수도 있다. 단계(118)에서는 비트스트림 형태로 운반된 정보가 소리 또는 화상들과 같이 사용자가 사용가능할 수 있게 만들어지며, 단계(119)에서는 수신장치의 동작에 제어 데이터가 사용된다.
도 5와 도 6에 따른 장치들은 예를들어 단말기(100)로서 작용하는 이동전화가 접속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침묵상태일 때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형성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발송하지 않게되는 불연속 전송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데이터의 중단되지 않은 전송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전화는 PCCH 채널 정보를 지속적으로 발송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전송기는 연속적으로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 주변의 무선주파수 방해 뿐만 아니라 전송기 내의 글리치(glitch)가 제거된다. 또한, 기지국내 수신기의 경우 전송의 펄스성 성질로 인하여 접속이 간헐적으로 컷오프(cut-off)되는 것이 없다면 수신된 무선 전송에 동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한 전송 무선 장치내 전력증폭기의 출력 백오프가 적어도 0에서 9 데시벨 까지의 전력차이값을 갖는 DTCH 및 PCCH 채널들 사이의 전력차이에 대하여 거의 독립적이므로, 전송기 전력 증폭기의 효율은 채널들간에 10분의 1의 전력 차이로 양호하게 일정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는 일실시예에서 두 병렬 이득계수를 포함하고 첫번째 이득계수는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두 번째 이득계수는 제2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이득계수를 사용하여 구현한 장치에서, 제2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에 이득계수가 곱해지는 상술한 장치 대신에 이득계수가 제1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승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블록도에서 이는 승산기들(55,56)이 블록들(51,57)과 블록들(54,58) 사이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블록(52)에서 블록(57)까지가 직접 접속이고 블록(53)에서 블록(58)까지가 직접 접속이며 블록들(51,57)과 블록들(54,58) 사이는 블록들(51,5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에 이득계수(G)가 곱해지는 승산기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 단말기의 전송기는 연속적으로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 주변의 무선주파수 방해 뿐만 아니라 전송기 내의 글리치가 제거되고, 기지국내 수신기의 경우 전송의 펄스성 성질로 인하여 접속이 간헐적으로 컷오프되지 않으면 수신된 무선 전송에 동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도 1은 각기 다른 채널들을 전송하는 종래기술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채널들을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진 성좌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a에 따른 방법으로 형성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셀방식 무선 시스템내에서의 도 2a 또는 도 2b 및 도 4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3)

  1.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의 동시 전송을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제1 스프레딩 코드(CI)를 사용하여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1 스프레딩 수단(47);
    미리 결정된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2 스프레딩 수단(50);
    상기 제1 스프레딩 코드(CI)를 사용하여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3 스프레딩 수단(49);
    상기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4 스프레딩 수단(48);
    스프레딩 이후의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스프레딩 이후의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수단(42,55,56); 및
    제1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된 데이터와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과 관련된 스프레드된 데이터로부터의 전송을 컴파일하는 결합기 수단(57,58,59,60,61,62,63)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기 수단은,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수단과, 제 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의 합을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 수단은,
    제1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된 제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2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데이터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제1 가산수단(57);
    상기 차이에 소정의 제1 발진신호를 곱하는 제1 믹서(60);
    제2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되는 제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1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데이터의 합을 계산하는 제2가산수단(58);
    90도 위상 쉬프트함에 의하여 상기 제1 발진신호로부터 제2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쉬프터(61);
    상기 합에 상기 제2 발진신호를 곱하는 제2 믹서(62); 및
    상기 제1 믹서(60)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와 상기 제2 믹서(62)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를 결합하는 결합수단(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다른 스프레딩 코드들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제3 스프레딩 코드(SCi)에 의하여 스프레딩하는 제5 스프레딩 수단(45)과, 상기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다른 스프레딩 코드들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제4 스프레딩 코드(SCj)에 의하여 스프레딩하는 제6 스프레딩 수단(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딩 이후의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스프레딩 이후의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상기 수단(42,55,56)은,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계수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딩 이후의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스프레딩 이후의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변경시키는 상기 수단(42,55,56)은,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계수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딩 이후의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스프레딩 이후의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변경시키는 상기 수단(42,55,56)은,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첫 번째 이득계수와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두 번째 이득계수의 두 병렬 이득계수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각 단말기와 각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송기(102)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신기(103)을 포함하는, 단말기들(100)과 기지국(101) 사이에서 코드분할을 사용하여 다중 채널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기내에,
    미리 결정된 제1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1 스프레딩 수단;
    미리 결정된 제2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2 스프레딩 수단;
    상기 제1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3 스프레딩 수단;
    상기 제2 스프레딩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스프레딩하는 제4스프레딩 수단;
    제1 채널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상기 제2 채널에 관련된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시키는 수단; 및,
    제1 채널 관련 스프레드된 데이터와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스프레드된 데이터를 컴파일하는 결합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기 수단은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수단과, 제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의 합을 계산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8.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제1 스프레딩 코드(CI)와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제1 채널 관련 데이터(DTCH)를 병렬적으로 스프레드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프레딩 코드(CI)와 상기 제2 스프레딩 코드(CQ)를 사용하여 제2 채널 관련 데이터(PCCH)를 병렬적으로 스프레드하는 단계;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상기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G)하는 단계; 및
    제1 채널 관련 스프레드 데이터와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스프레드 데이터로부터 전송을 컴파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을 컴파일하는 단계는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와, 제 2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된 제 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 1 스프레딩 코드로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 2 채널 관련 데이터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컴파일 단계는,
    제1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된 제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2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이에 소정의 제1 발진신호를 곱하는 단계;
    제2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된 제1 채널 관련 데이터와, 제1 스프레딩 코드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고 전력수준이 변경된 제2 채널 관련 데이터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발진신호에서 90도 위상 쉬프트함에 의하여 제2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합에 상기 제2 발진신호를 곱하는 단계; 및
    제1 발진신호가 곱해진 상기 차이와 제2 발진신호가 곱해진 상기 합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를 다른 스프레딩 코드들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기 이전에 미리 결절된 제3 스프레딩 코드(SCi)에 의하여 스프레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채널(PCCH)관련 데이터를 다른 스프레딩 코드들에 의하여 스프레드되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제4 스프레딩 코드(SCj)에 의하여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이 이득계수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이 이득계수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제1 채널(DT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에 대하여 제2 채널(PCCH) 관련 데이터의 전력수준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채널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력수준은 제1 이득계수에 의하여 조절되고 제2 채널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상대적인 전력수준은 제2 이득계수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980019478A 1997-05-29 1998-05-28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3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72278A FI105377B (fi) 1997-05-29 1997-05-29 Menetelmä kahden rinnakkaisen kanavan koodijakoiseksi lähettämiseksi sekä menetelmän toteuttava radiolaite
FI972278 1997-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458A KR19980087458A (ko) 1998-12-05
KR100633854B1 true KR100633854B1 (ko) 2007-11-13

Family

ID=854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478A Expired - Lifetime KR100633854B1 (ko) 1997-05-29 1998-05-28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66321B1 (ko)
EP (1) EP0881786B1 (ko)
JP (1) JP3526741B2 (ko)
KR (1) KR100633854B1 (ko)
CN (1) CN100466499C (ko)
BR (1) BR9801707A (ko)
DE (2) DE19823504B4 (ko)
ES (1) ES2260816T3 (ko)
FI (1) FI105377B (ko)
GB (1) GB2327833B (ko)
RU (1) RU221406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23605D0 (en) 1998-10-29 1998-12-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108268B (fi) * 1998-11-12 2001-12-14 Nokia Corp Lisälaiterajapinta monikanavaisessa radiolaitteessa
KR100396508B1 (ko) * 1998-12-07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채널할당장치및방법
KR100492968B1 (ko) * 1999-05-29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 부상태에서의 단속적채널 송신 장치 및 방법
US6885691B1 (en) * 1999-08-02 2005-04-26 Lg Information & Communications, Ltd. Scrambling codes and channelization codes for multiple chip rate signals in CDM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19937142A1 (de) * 1999-08-06 2001-03-15 Vtq Vidiotronik Gmbh Einrichtung zur Funkübertragung von digital komprimierten Video- und Audio- sowie anderer digitaler und digitalisierter Informationen
KR100375145B1 (ko) * 1999-11-10 200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데이타 통신장치 및 방법
FR2805688A1 (fr) * 2000-02-28 2001-08-31 Mitsubishi Electric France Procede d'equilibrage de canaux de transport au sein d'un canal composite, dispositif et station de base correspondants
DE50104299D1 (de) 2000-05-19 2004-12-02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verstärkungsfaktoren eines datenkanals und eines kontrollkanals eines datenübertragungssystems
JP2002232346A (ja) * 2001-02-06 2002-08-16 Nec Corp 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cdma通信方法
KR100588753B1 (ko) * 2001-12-13 2006-06-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위상쉬프트키잉 방식의 변조기
US7289423B2 (en) 2002-01-29 2007-10-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188301B1 (en) * 2002-05-31 2007-03-0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concatenated turbo code modulation encoder
US20040032918A1 (en) * 2002-08-16 2004-02-19 Gadi Shor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burst symbol cycles
US6885322B2 (en) * 2003-08-05 2005-04-26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er phase shift compensation
GB2405296B (en) * 2003-08-19 2006-04-12 Thales Uk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 generation
US7474643B2 (en) * 2003-10-02 2009-0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control data using multiple slot formats
UA83256C2 (ru) * 2003-10-02 2008-06-25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эйте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множества каналов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одном канале упра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7283492B2 (en) * 2003-10-02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xing control information onto a physical data channel
DE102004014998B4 (de) * 2004-03-26 2006-02-02 Siemens Ag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endeleistung für eine Funkverbindung, die zwei unterschiedliche Kanäle benutzt, und entsprechende Funkstation
EP1598989A1 (de) * 2004-04-30 2005-11-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Teilnehmerstation und netzseitige Einrichtung zur Funkkommunikation insbesondere im Rahmen des HSDPA-Dienstes
DE102004054626B4 (de) 2004-11-11 2007-05-24 Siemens Ag Verfahren zur Multikode-Transmission durch eine Teilnehmerstation
US8730877B2 (en) * 2005-06-16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and data transmission in a quasi-orthogonal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H2222H1 (en) 2005-10-13 2008-08-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Normalized matched filter—a low rank approach
RU2333611C2 (ru) * 2005-12-28 2008-09-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фазомодулированного сигнала в приемном канал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фазомодулированного сигнала
RU2343638C1 (ru) * 2007-08-13 2009-0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Созвездие" Линия радиосвязи для сигналов с псевдослучайной перестройкой рабочей частоты
US8189708B2 (en) * 2008-08-08 2012-05-29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 downlink power control of composite QPSK modulated signals
US8565352B2 (en) 2010-05-03 2013-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gital IQ imbalance compensation for dual-carrier double conversion receiver
RU2526890C1 (ru) * 2013-02-01 2014-08-27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аниев Устройство селекции подвижных целей
CA2973073C (en) 2015-01-05 2020-03-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RU2607851C1 (ru) * 2015-08-04 2017-0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центр "АРМИНТ" Устройство селекции подвижных целей
CN107360556A (zh) * 2017-08-24 2017-11-17 彩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下发方法及装置
US20230093484A1 (en) * 2021-09-23 2023-03-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correlating coded signals in dual port transmiss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797A (en) * 1990-06-25 1995-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JPH08172419A (ja) * 1994-12-19 1996-07-02 Nec Corp Cdma送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4023B (it) * 1985-12-17 1987-10-22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codifica e decodifica del segnale vocale mediante analisi a sottobande e quantizzazione vettorariale con allocazione dinamica dei bit di codifica
FR2613154A1 (fr) * 1987-03-24 1988-09-30 France Etat Systeme de traitement numerique de signal a bancs de filtres
FI85201C (fi) 1988-08-16 1992-03-10 Nokia Mobira Oy En kombinerad analog/digital frekvensmodulator.
FI83005C (fi) 1988-08-19 1991-05-10 Nokia Mobira Oy Kretsanordning foer generering av i,q-vaogformer.
US5568483A (en) 1990-06-25 1996-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ting of data for transmission
FI96072C (fi) 1991-08-27 1996-04-25 Nokia Mobile Phones Ltd Modulaattorin vaiheistuksen säätö
FI90165C (fi) 1991-12-13 1993-12-27 Nokia Mobile Phones Ltd I/q-modulator och demodulator
US5231364A (en) 1992-06-24 1993-07-27 Nokia Mobile Phones, Ltd. Phaseshift network for an IQ modulator
FI925472A7 (fi) 1992-12-01 1994-06-02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sekä -järjestelmä
US5371481A (en) 1993-03-24 1994-12-06 Nokia Mobile Phones Ltd. Tuning techniques for I/Q channel signals in microwave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US5392460A (en) 1993-04-23 1995-02-21 Nokia Mobile Phones Ltd. Dual mode radiotelephone terminal selectively operable for frequency modulated or phase modulated operation
MY112371A (en) * 1993-07-20 2001-05-31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spread spectrum sequence generation in variable data rate systems
FR2709029B1 (fr) * 1993-08-13 1995-10-20 Matra Communication Procédé de transmission pour des radio communications AMRC et dispositifs pour sa mise en Óoeuvre.
GB2281830B (en) 1993-09-11 1998-08-12 Nokia Mobile Phones Ltd I/q-modulator and i/q-demodulator
GB2282287B (en) 1993-09-25 1998-01-28 Nokia Mobile Phones Ltd A mixer
US5414728A (en) 1993-11-01 1995-05-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furcating signal transmission over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channels
FI96811C (fi) 1993-11-30 1996-08-26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piirijärjestely D/A-muuntimen DC-erojännitteen kompensoimiseksi
KR970011690B1 (ko) * 1994-11-22 1997-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파일럿트 채널을 이용한 대역확산 통신시스템의 데이타 송신기 및 수신기
US5598154A (en) 1994-12-02 1997-01-28 Unisy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pseudonoise code sequences
US20010026578A1 (en) * 1994-12-19 2001-10-04 Takeshi And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ransmitter and receiver
US6173007B1 (en) 1997-01-15 2001-01-09 Qualcomm Inc. High-data-rate supplemental channel for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797A (en) * 1990-06-25 1995-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JPH08172419A (ja) * 1994-12-19 1996-07-02 Nec Corp Cdma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3732D1 (de) 2006-05-04
GB2327833A (en) 1999-02-03
KR19980087458A (ko) 1998-12-05
CN100466499K3 (ko)
CN100466499C (zh) 2009-03-04
EP0881786B1 (en) 2006-03-08
FI972278L (fi) 1998-11-30
EP0881786A3 (en) 2003-09-10
FI105377B (fi) 2000-07-31
ES2260816T3 (es) 2006-11-01
EP0881786A2 (en) 1998-12-02
CN1204193A (zh) 1999-01-06
DE69833732T2 (de) 2006-11-16
GB9811666D0 (en) 1998-07-29
DE19823504A1 (de) 1998-12-03
JP3526741B2 (ja) 2004-05-17
JPH10341188A (ja) 1998-12-22
BR9801707A (pt) 1999-10-19
RU2214060C2 (ru) 2003-10-10
GB2327833B (en) 2002-06-19
DE19823504B4 (de) 2016-05-12
FI972278A0 (fi) 1997-05-29
US6266321B1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854B1 (ko) 부호분할을 사용하는 두 병렬채널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RU2242089C2 (ru)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4263749B2 (ja) 高データ速度cdma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33427B1 (ko) Cdma 단말기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0181319B1 (ko) 합성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313176C2 (ru) Абонентск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KR100208648B1 (ko)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디지탈 프로세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4120782A (ja) Cdmaシステムにおけるパイロット信号および不要トラヒック信号の消去
JP2009171588A (ja) 複数低データレートチャンネルでの高データレートによるデータ転送方法及び装置
KR20000029223A (ko)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송신기와 고전력 송신 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JPH08340279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3473693B2 (ja) Cdma端末の送信パワー調整方法及び装置
HK1017533A (en) Method for transmitting two parallel channels using code division and an apparatus realizing the method
KR20010029230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채널 확장 장치 및 방법
HK1068747B (en) A subscriber unit and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5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526

Appeal identifier: 2004101003613

Request date: 2004081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9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14

Effective date: 200605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40814

Decision date: 20060526

Appeal identifier: 2004101003613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0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11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