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571B1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1571B1 KR100631571B1 KR1020050041339A KR20050041339A KR100631571B1 KR 100631571 B1 KR100631571 B1 KR 100631571B1 KR 1020050041339 A KR1020050041339 A KR 1020050041339A KR 20050041339 A KR20050041339 A KR 20050041339A KR 100631571 B1 KR100631571 B1 KR 100631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brush
- vacuum cleaner
- suction port
- suction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와 연동되는 팬블레이드를 구비하며, 토출측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통되는 원심팬; 및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상기 흡입구와 구별되게 하향 개구되어 상기 원심팬의 중심 부근으로 흡입 유로를 안내하는 측면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진공에 의한 강제적인 공기의 흡입력 외에 원심팬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방향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이 더하여지게 되어 측면흡입부의 개구쪽으로 더욱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구석진 청소면에 대한 사각이 없이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운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t a bottom thereof; A brush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inside the suction port; A centrifugal fan having a plurality of radially formed at the ends of the brush, the fan blades interlocked with the brush, and a discharg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a side suction part configured to downwardly open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to distinguish the suction port, and guide the suction flow path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fa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s a resul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fan is added to the suction force of the forced air by the vacuum, so that a stronger suction force acts toward the opening of the side suction part, so that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cleanly without a blind spot on the corner cleaning surface. In addition to saving energy, it is possible to save the driving of the clean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흡입헤드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입헤드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흡입헤드의 부분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ead of FIG.
도 5는 도 3의 원심팬과 브러시의 결합체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d the brush of FIG.
도 6은 구석진 청소면에 대하여 도 3의 흡입헤드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 단면도,6 is an opera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eaning using the suction head of Figure 3 with respect to the corner cleaning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흡입헤드 111: 케이싱100: suction head 111: casing
114: 회전몸체 115: 브러시114: rotating body 115: brush
119: 관통공 160: 측면흡입부119: through hole 160: side suction
170: 원심팬 171: 팬블레이드170: centrifugal fan 171: fan blade
172: 격판 180: 개폐판172: plate 180: opening and closing plat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흡입력을 향상시켜 구석진 청소면에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er for improving side suction input to easily remove dust accumulated on a corner cleaning surface.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팬에 의하여 집진통을 진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청소면에 쌓인 먼지를 강제로 흡입시켜 청소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by forcibly suctioning the dust accumulated on the cleaning surface by forming a dust collecting chamber by a vacuum fan.
이러한 예로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첨부한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면을 따라 구르며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헤드(10)와, 흡입헤드(10)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어(立設) 흡입헤드(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20)와, 몸체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30) 및, 흡입헤드(10)와 몸체부(20)를 연결하는 흡입관(40)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uch an exampl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th the upright vacuum cleaner.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upright vacuum cleaner includes a
상기 몸체부(20)는, 전방 개구된 통형의 케이스프레임(21)과, 케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40)으로부터 들어온 공기와 먼지의 혼합물로부터 먼지나 오물만을 거르는 필터(23)가 포함된 집진통(22)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와, 집진통(22)의 하부에 필터(23)를 통과한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배출구(24)가 구비된다.The
흡입헤드(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수용공간(12)과 연통되도록 저면에 흡입구(13)가 형성된 커버(11)와, 커버 (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몸체(14)와, 회전몸체(14)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 형성된 브러시(15)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선 자세에서 핸들부(30)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흡입헤드(10)가 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면 브러시(15)는 회전하며 청소면에 쌓인 먼지를 강제로 터는 동작을 하게 됨과 동시에 몸체부(20) 내에 형성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와 공기가 강제로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로 빨려 들어가게 되어 청소가 이루어진다.As a result, the user moves the
그런데, 흡입구(13)의 흡입력은 전 영역에 걸쳐 균등하지는 않으므로 청소능력은 흡입구(13)를 통과하는 유속에 영향을 받는 바, 특히, 흡입노즐과의 거리가 먼 흡입헤드의 양 측단으로 갈수록 흡입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특히, 청소면이 상하벽과 만나는 구석과 같은 곳은 흡입헤드(10)의 커버(11)나 브러시(15)의 장착에 따른 거리만큼은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사(死)구간(도 2에서 W로 표시된 구간)이 생기게 되어 이 곳에 쌓인 먼지나 오물 등(50)은 공기의 흐름이 약화되므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suction force of th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헤드의 측면에 흡입을 위한 슬릿을 두거나 별도의 흡입유도 장치를 두어 측면청소를 하도록 하는 예가 개시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별도의 구석 청소 장치에 관한 미합중국 공개특허 20040148731호나, 측면청소용 흡입 노즐에 관한 미합중국 등록특허 4,499,628호 등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발명들은 청소기의 주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측면청소를 유도하는 것이므로 측면 청소시 흡입력의 상대적인 상승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xampl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side slit for suction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suction head or a separate suction guide device is provided for side cleaning. For example, there is US Patent Publication No. 20040148731 for a separate corner cleaning device, US Patent No. 4,499,628 for a side cleaning suction nozzle, etc., but the invention is to induce the side cleaning using only the main suction force of the clean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relative increase in suction power during clea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헤드의 측면 흡입력을 향상시켜 구석진 청소면에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er to improve the sid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head to easily remove dust accumulated on the corner cleaning surface. hav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와 연동되는 팬블레이드를 구비하며, 토출측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통되는 원심팬; 및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 상기 흡입구와 구별되게 하향 개구되어 상기 원심팬의 중심 부근으로 흡입 유로를 안내하는 측면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casing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space on the bottom; A brush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inside the suction port; A centrifugal fan having a plurality of radially formed at the ends of the brush, the fan blades interlocked with the brush, and a discharg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a side suction part configured to downwardly open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to distinguish the suction port, and guide the suction flow path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centrifugal fan. It provides a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 경우, 상기 브러시의 회전몸체와 상기 팬블레이드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팬블레이드의 중심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diaphragm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body of the brush and the fan blade to prevent air from flowing into the center side of the fan blade from the suction port.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양 측면에 상기 브러시 및 원심팬의 회전축 양단을 지지하도록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주위에 상기 측면흡입부에서 안내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ss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to suppor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s of the brush and the centrifugal fan,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to allow air guided by the side suction unit to pass around the boss.
상기 측면흡입부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흡입부에 슬라이드 가 능하게 개폐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to be able to slide the side suction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side suction portion.
상기 측면흡입부는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suction part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in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입헤드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흡입헤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원심팬과 브러시의 결합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구석진 청소면에 대하여 도 3의 흡입헤드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단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상 생략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ead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centrifugal fan and the brush of Figure 3 6 is an opera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eaning state using the suction head of FIG. 3 with respect to the corner cleaning surfac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part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흡입헤드(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며 저면에 수용공간(112)과 연통되는 흡입구(113)가 마련된 케이싱(111)과, 흡입구(113)의 내측에 케이싱(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몸체(114)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브러시(115)와, 회전몸체(114) 및 브러시(115)의 단부에 회전몸체(114)의 회전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회전몸체(114) 및 브러시(115)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팬블레이드(171)를 구비하며 토출측이 수용공간(112)으로 연통되는 원심팬(170)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그리고, 흡입구(11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흡입구(113)와 구별되게 하향 개구되어 원심팬(170)의 중심 부근으로 흡입 유로를 안내하는 측면흡입부(160)가 구비된다. 이때, 측면흡입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1)의 측벽에 평행한 채널 형태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생산비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케이싱(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원심팬(170) 및 브러시(115)의 회전축(114a)을 축 지지하는 보스(118)의 주위에는 상기 측면흡입부(160)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170)의 중심측으로 관통공(119)이 형성된다. Through-
측면 또는 구석 청소시 팬블레이드(171)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구(113)로부터 공기가 직접 원심팬(170)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팬블레이드(171)과 브러시(115) 및 회전몸체(114)의 사이에는 격판(172)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air from flowing directly from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회전몸체(114)가 수동이나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하는 경우, 팬블레이드(171)는 회전하면서 측면흡입부(160) 및 관통공(119)에 의하여 중심측으로 안내된 공기와 먼지의 혼합물을 원심방향으로 이동시켜 흡입구(113)를 통과한 공기와 함께 흡입노즐(16)로 향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흡입헤드(100)의 측면쪽의 먼지는 흡입구(113)보다는 측면흡입부(119)를 거치게 함으로써 강한 흡입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진공청소기의 몸체부(20)에 형성된 진공상태에 의한 강제적인 공기의 흡입력 외에 원심팬(170)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방향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이 더하여지게 되어 측면흡입부(160)의 개구쪽으로 더욱 강한 흡입력이 형성되는 원리인 것이다.Dust on the side of the
특히, 원심팬(170)은 일반적으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 의 팬, 예를 들어, 사류형이나 축류형보다는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의 차이가 큰 이점(利點)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구석진 청소면의 먼지를 강한 흡입압에 의하여 제거하는데 유리하다.In particular, th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측면흡입부(19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측면흡입부(19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180)과. 개폐판(180)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개폐판(180)의 소정위치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80a)가 구비된 형태를 보인 것이다.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적용된다.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ning and
이에 의하여, 면적이 넓은 일반적인 청소면에 대하여는 개폐판(180)을 슬라이드시켜 측면흡입부(190)의 유로를 닫고 주된 흡입구(113)를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으며, 구석진 청소면에 대하여는 개폐판(180)을 슬라이드시켜 측면흡입부(190)의 유로를 열어 측면흡입부(19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opening a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bu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며 저면에 수용공간(112)과 연통되는 흡입구(113)가 마련된 케 이싱(111)과, 흡입구(113)의 내측에 케이싱(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115)와, 브러시(115)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어 브러시(115)와 연동되는 팬블레이드(171)를 구비하며 토출측이 수용공간(112)으로 연통되는 원심팬(170) 및, 흡입구(113)의 일측에 흡입구(113)와 구별되게 하향 개구되어 원심팬(170)의 중심 부근으로 흡입 유로를 안내하는 측면흡입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모터팬의 진공에 의한 강제적인 공기의 흡입력 외에 원심팬(170)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방향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이 더하여지게 되어 측면흡입부(160)의 개구쪽으로 더욱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구석진 청소면에 대한 사각이 없이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운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ction head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339A KR100631571B1 (en) | 2005-05-17 | 2005-05-17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339A KR100631571B1 (en) | 2005-05-17 | 2005-05-17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1571B1 true KR100631571B1 (en) | 2006-10-09 |
Family
ID=3763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1339A Expired - Lifetime KR100631571B1 (en) | 2005-05-17 | 2005-05-17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157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170B1 (en) * | 2011-01-18 | 2014-02-28 | 민승기 | Indoor cleaning device |
CN104224047A (en) * | 2014-09-10 | 2014-12-24 | 苏州市利飞特电器有限公司 | Dust-sucking floor brush |
KR20180044063A (en) * | 2016-10-21 | 2018-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
-
2005
- 2005-05-17 KR KR1020050041339A patent/KR10063157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170B1 (en) * | 2011-01-18 | 2014-02-28 | 민승기 | Indoor cleaning device |
CN104224047A (en) * | 2014-09-10 | 2014-12-24 | 苏州市利飞特电器有限公司 | Dust-sucking floor brush |
KR20180044063A (en) * | 2016-10-21 | 2018-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
KR101962160B1 (en) | 2016-10-21 | 2019-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09175B1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KR100500848B1 (en) |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WO2018094776A1 (en) | Exhaust fume collecting hood for range hood, and range hood having same | |
KR101353311B1 (en) | Vacuum cleaner | |
TW201500026A (en) | Dust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of self-propelled cleaning equipment | |
JP2005296621A (en) | Suctio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09504235A (en) | Vacuum cleaner filter mounting structure | |
KR20090034493A (en) | robotic vacuum | |
KR100631571B1 (en)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
JP2016205003A (en) | Cutting dust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in pavement material cutting apparatus, and pavement material cut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apparatus | |
US7251855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100059551A (en) | Suction nozzle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EP2789282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090071234A (en) | Vacuum cleaner | |
KR100595557B1 (en) |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 |
KR101256102B1 (en) | Vacuum Cleaner | |
KR20090071233A (en) | Vacuum cleaner | |
KR100504892B1 (en) | Upright vacuum cleaner | |
KR101573740B1 (en) | A suction device of a vacuum cleaner having multiple suction ports and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uction device | |
JP2009005799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0356670Y1 (en) | The cyclone for a vacuum cleaner | |
KR100751813B1 (en) | Dust bin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KR101014704B1 (en) | Motor cooling structure of the water vacuum cleaner | |
KR20240045905A (en) |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565694B1 (en) | Suction nozz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