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0705B1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705B1
KR100630705B1 KR1020040083971A KR20040083971A KR100630705B1 KR 100630705 B1 KR100630705 B1 KR 100630705B1 KR 1020040083971 A KR1020040083971 A KR 1020040083971A KR 20040083971 A KR20040083971 A KR 20040083971A KR 100630705 B1 KR100630705 B1 KR 10063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gnition
barrel
recognition chip
fpcb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929A (ko
Inventor
김동한
강사윤
장우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705B1/ko
Priority to US11/254,380 priority patent/US20060082673A1/en
Publication of KR2006003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7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40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 H10F77/407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in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5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구비한 경통, 경통 하단에 상면이 부착된 화상 인식용 칩, 및 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경통 및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Camera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이용되는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120', 120"...화상 인식용 칩 123a...출력 패드
123b...테스트 패드 124...비아
126, 127...단차 140...렌즈
150, 151, 152, 153, 154...경통 160...IR 차단 필터
170...FPCB
본 발명은 모바일 폰(mobile phone)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카메라용 화상 인식 반도체 모듈(이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인터넷 영상 통신 등과 함께 사용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차세대 이동 통신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소형 정보 통신 단말기를 화상 통신 등에 이용하기 위한 소형 카메라 모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 제품의 고기능화 및 다기능화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용 모바일 폰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소형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며, 이 때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발 요건은 모듈의 크기(size)이다.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크면 모바일 폰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기판으로 사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10) 상면에 화상 인식용 칩(20)이 부착되어 있다. PCB(10)와 화상 인식용 칩(20)은 PCB(10)의 배선 패턴과 화상 인식용 칩(20)의 패드가 와이어(30)로 본딩되어 전기적 도통 상태에 있다. 렌즈(40)가 구비된 경통(렌즈 홀더)(50)은 본딩된 와이어(30) 주변의 일정한 PCB(10) 면에 안착되며 경통(50)에는 특정 가시광 영역만을 투과시키기 위한 IR 차단 필터(IR cut filter)(60)가 붙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OB(Chip On Board) 타입, 즉 PCB(10) 위에 화상 인식용 칩(20)을 부착하고(chip attach)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30) 본딩을 실시한 후(wire bonding), 렌즈(40)와 IR 차단 필터(60)가 장착되어 있는 경통(50)을 화상 인식용 칩(20)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PCB(10)와 외부 저장장치(미도시) 등을 연결하기 위해 주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70)를 사용하고 있다. FPCB(70)는 PCB(10)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80) 본딩되어 있다. 화상을 받는 순서는 렌즈(40) → IR 차단 필터(60) → 화상 인식용 칩(20)으로 이어져 화상 인식용 칩(20)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뀌어 와이어(30) → PCB(10) → FPCB(70)의 전선을 통하여 전송된다.
도 1은 화상 인식용 칩(20)만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것이나, 화상 인식용 칩(20) 이외에 추가 칩을 가진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도 모듈의 중간 부분에 PCB(10)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화상 인식용 칩(20)을 지지하거나 배선을 연결하기 위해 PCB(10)를 사용하고 이 PCB(10)에 FPCB(70)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도 1에서와 같이 PCB(10)가 경통(50)보다도 커야 FPCB(70)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30) 본딩 공간이 필요하므로 모듈의 크기가 기본적으로 크다. 모듈의 크기가 크면 부품의 크기도 커져 소재 비용이 높고 공정이 많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도 1에 제시한 구조는 칩 부착(chip attach)과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이 필요한 구조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크기 축소가 유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과정을 단순화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구비한 경통, 상기 경통 하단에 상면이 부착된 화상 인식용 칩, 및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경통 및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일측이 상기 경통 하단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일측의 상면에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이 상기 돌출된 일측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보다 길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이고 상기 FPCB는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비아에 의해 상기 화상 인식용 칩 하면에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전기적 도통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보다 작고,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FPCB가 신장하는 쪽의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사이에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경통 하단이 반대편 상기 경통 하단보다 상기 FPCB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사이는 접착제로써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은 웨이퍼 레벨 패키지(wafer level package)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된 일측으로 출력 패드(output pad)를 모으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으로 테스트 패드(test pad)를 모은 것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에서는, 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게 FPCB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제공하여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에 상기 경통 하단을 부착한다. 아니면 순서를 달리 하여,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제공하여 화상 인식용 칩 상면에 상기 경통 하단을 부착한다. 그런 다음, 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게 FPCB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일측이 상기 경통 하단보다 돌출되도록 하며, 그 돌출된 일측의 상면에 상기 FPCB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이 상기 돌출된 일측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보다 길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에 상기 상면 모서리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화상 인식용 칩에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FPCB가 상기 비아에 의해 상기 화상 인식용 칩 하면에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전기적 도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보다 작도록 하고,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에 상기 상면 모서리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FPCB가 신장하는 쪽의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사이에 상기 FPCB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경통 하단이 반대편 상기 경통 하단보다 상기 FPCB 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사이를 접착제로써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상기 FPCB 사이를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카메라 모듈에 사용하던 PCB를 생략하고, 화상 인식용 칩 위에 경통을 올리고 화상 인식용 칩과 FPCB를 바로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듈 크기 축소에 유리하며, 카메라 모듈 조립 과정이 단순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에 경통(150)과 FPCB(170)가 PCB 개재없이 바로 부착되어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의 화상 인식용 칩(120)은 웨이퍼의 후면(소자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연마하지 않아 예컨대 약 750 ㎛ 정도 두께를 유지한 웨이퍼 레벨 패키지이다. 그리고 화상 인식용 칩(120)은 도 3의 상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APS(Active Pixel Sensor)(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의 일측으로 FPCB(17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출력 패드(123a)는 일측, 예컨대 우측변에 모으고 타측, 즉 좌측변에 테스트 패드(123b)를 모은 것이다.
경통(150)에는 렌즈(140)가 구비되어 있다. 렌즈(140) 하측으로 추가 렌즈(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IR 차단 필터(16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경통(150)은 플라스틱 또는 메탈 재질의 전자파 차폐 기능 재질로 제작된 것일 수 있으며, 렌즈(140)와 IR 차단 필터(160)는 일반적인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통(150) 하단과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은 열경화성 접착제나 UV로 소성 가능한 소성 접착제가 사용되어 부착된다.
화상 인식용 칩(120)의 일측은 경통(150) 하단보다 돌출되어 있다. 그 돌출된 일측의 상면에 FPCB(170)가 부착되어 경통(150) 및 화상 인식용 칩(120)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한다. FPCB(170) 앞면에는 필요한 패드 및/또는 배선 패턴들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 및/또는 배선 패턴들이 화상 인식용 칩(120)의 출력 패드(123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FPCB(170)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소자(182) 및/또는 커넥터(18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 인식용 칩(120)과 FPCB(170) 사이는 ACF(180)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데, 이것은 FPCB(170)에 직접 도포될 수 있고, 또 강화제(stiffener)의 양면에 도포되어 한쪽 면은 FPCB(170)에 또 다른 한 면은 화상 인식용 칩(120)과 접착을 이 루도록 할 수 있다. 화상 인식용 칩(120)과 FPCB(170) 사이는 골드(Au) 범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CF(180)를 이용해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에 FPCB(170)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렌즈(140)를 구비한 경통(150)을 제공하여 열경화성 접착제나 UV로 소성 가능한 소성 접착제를 써서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에 경통(150) 하단을 부착한다. 아니면 순서를 달리 하여, 렌즈(140)를 구비한 경통(150)을 제공하여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에 경통(150) 하단을 먼저 부착한 다음,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에 FPCB(170)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 카메라 모듈은 구조적으로는 종래와 같은 PCB 및 와이어가 없으며, 공정적으로는 칩 부착과 와이어 본딩 공정이 없다.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와이어 본딩 면적 때문에 화상 인식용 칩(20)보다 경통(50)이 커야 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본딩 면적이 필요 없으므로 경통(150) 하단의 폭이 화상 인식용 칩(120)의 폭 이하가 될 수 있어 화상 인식용 칩(120)보다 카메라 모듈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모듈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모듈 크기 축소에 유리하다. 그리고, 칩 부착과 와이어 본딩 공정이 없기 때문에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 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의 화상 인식용 칩(120')도 웨이퍼 레벨 패키지이며, 출력 패드를 일측으로 모으고 테스트 패드를 타측에 모은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 인식용 칩(120')의 폭이 경통(151) 하단의 폭 이하이고, 화상 인식용 칩(120')에 구멍을 뚫고 도전체를 채워 비아(124)를 형성, 화상 인식용 칩(120') 하면에 FPCB(170)를 연결하여 화상 인식용 칩(120')과 전기적 도통되게 한 구조이다. 즉, 비아(124)를 이용해 화상 인식용 칩(120')의 하면에서 화상 인식용 칩(120') 상면의 출력 패드와 FPCB(170)를 전기적 접속시킨다. 도 2의 경우보다 화상 인식용 칩(120')을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크기도 줄어드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며, 화상 인식용 칩(120')에 경통(151)이나 FPCB(170)를 부착하기 전에 비아(124)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르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제시한 카메라 모듈은 도 2의 카메라 모듈과 거의 동일하다. 단, FPCB(170)가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경통(152) 하단(A)이 FPCB(170)가 돌출된 일측 부분의 경통(152) 하단(B)보다 길고, FPCB(170)가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경통(152) 하단(A) 내측에 화상 인식용 칩(120)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1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인식용 칩(120)과 경통(152)을 조립, 부착하는 공정에서 경통(152)의 단차(126)에 화상 인식용 칩(120)을 끼워 맞춰 조립할 수 있다. 즉, 정렬을 자동 결정되게 함으로써 조립 고정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의 화상 인식용 칩(120")도 웨이퍼 레벨 패키지이며, 출력 패드를 일측으로 모으고 테스트 패드를 타측에 모은 것이다.
도 5에 제시한 카메라 모듈은 도 3의 카메라 모듈과 유사하나, 화상 인식용 칩(120")의 폭을 경통(153) 하단의 폭보다 작게 하고, 경통(153) 하단 내측에 화상 인식용 칩(120")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127)를 양측에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경우보다 화상 인식용 칩(120")을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크기도 줄어드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화상 인식용 칩(120")과 경통(153)을 조립, 부착하는 공정에서 경통(153)의 단차(127)에 화상 인식용 칩(120")을 끼워 조립할 수 있어, 조립 고정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 다. 도 2, 도 4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인식용 칩(120')의 폭이 경통(154) 하단의 폭 이하이다. FPCB(170)가 신장하는 쪽의 경통(154) 하단(B)과 화상 인식용 칩(120') 사이에 FPCB(170)가 부착되어 있다. FPCB(170)가 부착되어 있는 경통(154) 하단(B)이 반대편 경통(154) 하단(A)보다 FPCB(17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짧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상 인식용 칩(120')에 FPCB(170)를 부착한 후 경통(154)을 조립하는데, FPCB(170)가 신장하는 쪽의 경통(154) 하단(B)에 FPCB(170) 두께만큼의 틈을 만들어 주고 미리 FPCB(170)를 부착한 후 경통(154)을 부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화상 인식용 칩(120')이나 카메라 모듈 크기의 축소가 더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변형은 비록 기술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같이 하는 것은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화상 인식용 칩에 경통과 FPCB를 바로 부착하여 PCB를 없앤 구조로, PCB 가격의 절감 및 PCB 사용에 따른 연결부분의 크기 축소로 모듈 크기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칩 부착 공정과 와이어 본딩 공정 등도 생략되므로 제작 과정이 단순해지고 조립 기간이 짧아진다.

Claims (25)

  1. 렌즈를 구비한 경통;
    상기 경통 하단에 바로 상면이 부착된 화상 인식용 칩; 및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바로 부착되고 상기 경통에는 바로 부착되지 않는, 상기 경통 및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일측이 상기 경통 하단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일측의 상면에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은 웨이퍼 레벨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은 상기 돌출된 일측으로 출력 패드를 모으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으로 테스트 패드를 모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와 상기 FPC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이 상기 돌출된 일측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보다 길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이고 상기 FPCB는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비아에 의해 상기 화상 인식용 칩 하면에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전기적 도통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은 상기 돌출된 일측으로 출력 패드를 모으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으로 테스트 패드를 모은 것이며, 상기 비아에 의해 상기 출력 패드와 상기 FPC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보다 작고,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PCB가 신장하는 쪽의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사이에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경통 하단이 반대편 상기 경통 하단보다 상기 FPCB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사이는 접착제로써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a)화상 인식용 칩 상면 또는 하면에 바로 부착되고 렌즈를 구비한 경통에는 바로 부착되지 않게,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외측 일 방향으로 신장하게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부착하는 단계; 및
    (b)상기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제공하여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에 바로 상기 경통 하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일측이 상기 경통 하단보다 돌출되도록 하며, 그 돌출된 일측의 상면에 상기 FPCB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이 상기 돌출된 일측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보다 길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일측 반대편 부분의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에 상기 상면 모서리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화상 인식용 칩에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FPCB가 상기 비아에 의해 상기 화상 인식용 칩 하면에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전기적 도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보다 작도록 하고, 상기 경통 하단 내측에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상면 모서리와 맞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에 상기 상면 모서리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PCB가 신장하는 쪽의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사이에 상기 FPCB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PCB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경통 하단이 반대편 상기 경통 하단보다 상기 FPCB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의 폭이 상기 경통 하단의 폭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하단과 상기 화상 인식용 칩 상면 사이를 접착제로써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용 칩과 상기 FPCB 사이를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a)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0040083971A 2004-10-20 2004-10-20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71A KR100630705B1 (ko) 2004-10-20 2004-10-20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1/254,380 US20060082673A1 (en) 2004-10-20 2005-10-19 Camera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71A KR100630705B1 (ko) 2004-10-20 2004-10-20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29A KR20060034929A (ko) 2006-04-26
KR100630705B1 true KR100630705B1 (ko) 2006-10-02

Family

ID=3618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705B1 (ko) 2004-10-20 2004-10-20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82673A1 (ko)
KR (1) KR100630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5205A (zh) * 2007-06-14 2008-12-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感测晶片封装结构
DE102011013502A1 (de) 2011-03-10 2011-11-03 Daimler Ag Kamera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8055443B (zh) * 2012-08-15 2020-09-29 泉州台商投资区源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相机模组组件的组装方法
MY166697A (en) * 2012-11-22 2018-07-18 Qdos Flexcircuits Sdn Bhd A method of depositing an object onto wiring board and a system using the same
CN109005333A (zh) * 2018-10-19 2018-12-14 天津天地基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爆闪卡口相机及图像合成方法
TWI799943B (zh) * 2021-08-12 2023-04-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模組與應用於其中之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917A (ja) * 1991-09-02 1993-03-09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内視鏡用固体撮像装置
JPH09307087A (ja) * 1996-05-17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固体撮像装置
KR20020033024A (ko) * 2000-10-19 2002-05-04 아끼구사 나오유끼 촬상용 반도체 장치
KR20040002770A (ko) * 2002-06-28 2004-01-07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듈 카메라,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촬상소자 패키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및 촬상소자의 패키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062B2 (ja) * 2000-06-16 2010-01-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固体撮像装置
JP3613193B2 (ja) * 2001-03-30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4010688A1 (en) * 2002-07-18 2004-01-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mera module, holder for use in a camera modu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US7005310B2 (en) * 2002-08-14 2006-02-28 Renesas Technology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JP4510403B2 (ja) * 2003-05-08 2010-07-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526191B1 (ko) * 2003-06-18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KR100547745B1 (ko) * 2003-10-2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센서 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7061106B2 (en) * 2004-04-28 2006-06-13 Advanced Chip Engineering Technology Inc. Structure of image sensor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wafer level pack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917A (ja) * 1991-09-02 1993-03-09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内視鏡用固体撮像装置
JPH09307087A (ja) * 1996-05-17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固体撮像装置
KR20020033024A (ko) * 2000-10-19 2002-05-04 아끼구사 나오유끼 촬상용 반도체 장치
KR20040002770A (ko) * 2002-06-28 2004-01-07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모듈 카메라,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촬상소자 패키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및 촬상소자의 패키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330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2673A1 (en) 2006-04-20
KR20060034929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9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n image capture device on a flexible substrate
JP5260553B2 (ja) 折り畳まれたパッケージ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8854B1 (ko) 소형 촬상모듈
US8018526B2 (en) Optical device module, fabrication method thereof, optical device uni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539412B2 (en) Camera module with first and second image sensor chips, holders and lens
US8045026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US20070069395A1 (en) Image sensor module,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mera module
JPH08227984A (ja) 固体撮像装置
JP200929645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機
JP2010252164A (ja) 固体撮像装置
KR101632343B1 (ko) 이중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KR1006307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7429783B2 (en) Image sensor package
KR20080005733A (ko) 이미지 센서 모듈과 카메라 모듈
KR20060082223A (ko) 화상인식 반도체 모듈
KR100741830B1 (ko) 양면 fpcb를 사용한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10625B1 (ko)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184906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383A (ko) 카메라 모듈
KR100764410B1 (ko) 이미지센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215074Y1 (ko) Ccd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2003023574A (ja) 固体撮像装置
JPH08307777A (ja) 電子内視鏡用固体撮像装置
JP2004172436A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KR200285408Y1 (ko) Cmos 카메라 시스템용 이미지 센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