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0353B1 - 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353B1
KR100630353B1 KR1020060035700A KR20060035700A KR100630353B1 KR 100630353 B1 KR100630353 B1 KR 100630353B1 KR 1020060035700 A KR1020060035700 A KR 1020060035700A KR 20060035700 A KR20060035700 A KR 20060035700A KR 100630353 B1 KR100630353 B1 KR 10063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upled
flange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만
Original Assignee
(주)픽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픽슨 filed Critical (주)픽슨
Priority to KR102006003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53B1/ko
Priority to PCT/KR2007/000798 priority patent/WO2007123306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가 단부에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플랜지 몸체가 강관의 단부에 사출성형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의 외주면 상,하부에 반원형태로 만곡된 양단부로 체결홈이 형성된 연결구의 내주면이 각각 맞닿아 상기 체결홈으로 삽입되는 수직볼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축방향의 연결홈을 갖는 연결가이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와 또 다른 강관의 플랜지 사이에 패킹이 개재되어지고, 상기 각각 연결가이더에 수평볼트가 결합되어 강관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다른 강관에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재에 이를 결합시켜 사용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플랜지, 단턱, 체결홈, 수직볼트, 연결가이더, 패킹

Description

강관 연결구조{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구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리 상태시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1:단턱 110:플랜지 몸체
121,121',122,122':체결홈 120a,120b:연결구
130:수직볼트 140a,140b:연결가이더
141a,141b:연결홈 150:수평볼트
160:패킹 200,200'::강관
본 발명은 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관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진 플랜지 몸체의 단턱에 반원형태로 분리된 연결구를 수직볼트로 고정하고,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가이더에 수평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강관 사이의 결합시 볼트를 끼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다른 강관에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 등에는 통상 콘크리트로 양생되어진 콘크리트관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관은 이를 제조하는데 따른 많은 인력과 비용이 지출되고, 또한 제조된 콘크리트관을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에 그 무게가 무거움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낮아 공기가 길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비하여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인 안정성 및 내구성과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강관(평강관, 골강관, 파형강관)이 제안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강관은 그 내외벽이 물결 모양의 주름진 형태를 갖는 것으로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진 후 별도의 강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상태로 매설되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강관 연결구는 강관의 단부에 합성수지재의 한쌍 플랜지를 구비하여 접착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가열압착하여 기밀유지되도록 결합시켰으나, 결합 후 분리되지 못함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강관의 단부에 관통홈이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고, 관통홈에 볼트를 끼워 조임에 따라 각각의 플랜지를 결합시켜 기밀 유지되어지도록 할 경우, 그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으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 무게가 많이 나가는 강관의 경우 볼트를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홈 삽입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홈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그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강관 단부에 결합되어진 플랜지의 단턱에 반원형태로 분리된 연결구를 수직볼트로 고정하고,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가이더에 수평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강관 사이의 플랜지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랜지가 단부에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외주면에 단턱(111)이 형성된 플랜지 몸체(110)가 강관(200)의 단부에 사출성형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111)의 외주면 상,하부에 반원형태로 만곡된 양단부로 체결홈(121)(121')(122)(122')이 형성된 연결구(120a)(120b)의 내주면이 각각 맞닿아 상기 체결홈(121)(121')(122)(122')으로 삽입되는 수직볼트(13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구(120a)(120b)의 외주면에 축방향의 연결홈(141a)(141b)을 갖는 연결가이더(140a)(14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와 또 다른 강관(200')의 플랜지 사이에 패킹(160)이 개재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연결가이더(140a)(140b)에 수평볼트(150)가 결합되어 강관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강관(200')의 플랜지는 다른 연결홈(310)이 형성된 연결부재(300)를 사출성형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다른 연결홈(310)에 수평볼트(150)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플랜지와 연결부재(300) 사이에 패킹(160)이 개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160)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링형태로 외주면에 관통홈(161)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편(16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연결가이더(140a)(140b)로 삽입되는 수평볼트(15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가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강관(200)(200')이 기밀유지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플랜지(100)는 강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플랜지 몸체(110)와, 상기 플랜지 몸체(110)에 수직볼트(130)로 결합되어지는 분리된 상태의 연결구(120a)(120b)(120a')(120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랜지 몸체(110)는 강관(200)의 단부인 절단된 곳을 포함하여 그 내,외주연부를 소정 깊이로 커버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강관(200)과 별도로 분리시켜 제조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강관(200)으로 제조된 단부에 몰드 금형을 구비하고, 용융된 폴리에틸렌을 고압으로 주입(사출)시켜 그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면에는 타측으로 위치하는 다른 강관(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단턱(111)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연결구(120a)(120b)가 수직볼트(13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강관(200)의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a)(120b)는 사출성형된 플랜지 몸체(110)에 이를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하고, 결합된 연결구(120a)(120b)가 플랜지 몸체(11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평볼트(150)의 체결력에 의하여 그 사이로 개재되어지는 패킹(160)을 가압시켜 기밀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주된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120a)는 반원형태로 만곡된 양단부에 체결홈(121)(121')이 형성된 연결구(120a)(120b)가 플랜지 몸체(110)에 형성된 단턱(111)의 상부로 그 내주면이 안착되어지도록 하고,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연결구(120b) 역시 반원형태로 만곡된 양단부에 체결홈(122)(122')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120a)와 대칭되도록 단턱(111)의 하부에 그 내주면이 맞닿아 안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20a)의 양측단부에는 체결홈(121)(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121)(121')과 대향되는 다른 체결홈(122)(122')을 형성하여 그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후 수직볼트(130)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20a)(120b)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구(120a')(120b')와 결 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각각 축방향의 연결홈(141a)(141b)을 갖는 연결가이더(140a)(140b)를 형성하여 수평볼트(150) 및 너트(151)로 결합되어 양측의 강관(200)(200')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연결구(120a')(120b')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홈(141a)(141b)를 갖는 연결가이더(141a)(141b)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연결홈(141a')(141b')을 갖는 연결가이더(140a')(14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가이더(140a)는 연결구(120a)의 외주면에 일측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타측이 플랜지 몸체(110)에 형성된 단턱(111)까지 연장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연장되어진 연결가이더(140a)의 내측부분이 플랜지 몸체(110)의 외주연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연결구(120a)(120b)(120a')(120b') 사이에는 패킹(160)이 개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160)은 수평볼트(150)에 결합된 너트(151)와의 조임력에 의하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면에 관통홈(161)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편(16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가이더(140a)(140a')(140b)(140b')로 삽입되는 수평볼트(150)에 의하여 그 위치가 가변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강관(200)(200')의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플랜지 몸체(110)(110')와 각각의 연결구(120a)(120b)(120a')(120b')를 폴리에틸렌으로 사출 성형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폴리에틸렌 이외에 금속을 주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강관의 연결은 먼저, 강관(200)(2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강관(200)(200') 양측단에 금형을 씌운 다음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단턱(111)이 형성된 링형태를 갖는 플랜지 몸체(110)(110')가 사출성형되어지도록 하여 합성수지재의 플랜지(100)(100')를 갖는 강관(200)(200')을 얻는다.
다음, 연결구(120a)(120b)(120a')(120b')는 별도의 미도시한 연결구 사출형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고, 패킹(160)은 넓은 형태를 갖는 루버판을 펀칭공정을 통해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강관의 시공은 강관(200)(200')이 설치되어질 곳을 절토한 후 그 속에 플랜지(100)(100')가 형성된 강관(200)(200')을 삽입하고, 각각 강관(200)(200')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111)의 외주면에 연결구(120a)(120b) (120a')(120b')의 내주면이 맞닿도록 하고, 그 양측에 형성된 체결홈(121)(121') (122)(122')에 수직볼트(130)를 결합시킴으로써 연결구(120a)(120b)(120a')(120b')를 고정시킨다.
이때 일측의 연결구(120a)(120b)는 유동이 없도록 고정시키고, 타측에 결합되어지는 다른 연결구(120a')(120b')는 헐겁게 가조립시켜 단턱의 외주면을 따라 축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미소간격으로 자유롭게 회전되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연결구(120a)(120b)(120a')(120b')의 연결가이더(140a)(140b)(140a') (140b')에 형성된 연결홈(141a)(141a')에 수평볼트(150)를 삽입하고, 수평볼트(150)의 끝에 패킹(160)의 고정편(162)에 형성된 관통홈(161)이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관통홈(161)의 외측으로 노출된 수평볼트(150)의 끝을 다른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홈(141b)(141b')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같이 수평볼트(150)를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구(120a')(120b')의 양측단에 가조립된 상태로 있는 수직볼트(130)를 조여 유동이 없도록 고정시킨 후 너트(151)를 수평볼트(150)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강관(200)(200')이 연결되어진다. 그 위에 복토를 하는 것으로 강관시공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원 또는 만곡형태로 분리된 복수개의 연결구(120a)(120b) (120a')(120b')를 플랜지 몸체(110)의 단턱(111)에 수직볼트(130)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이를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시킨 후 그 사이에 패킹(160)을 개재하여 수평볼트(150)와 너트(151)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강관(200')에 결합된 플랜지를 연결홈(310)이 형성된 연결부재(300)를 사출성형시켜 결합되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연결홈(310)에 수평볼트(150)가 삽입되어 너트(151) 조임으로 고정되어지되, 그 사이에 즉, 연결부재(300)와 다른 플랜지(100) 사이에 패킹(160)이 개재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관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진 플랜지 몸체의 단턱에 반원형태로 분리된 연결구를 수직볼트로 고정하고,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가이더에 수평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강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강관에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경우에 따라 기존에 있는 강관에 직접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플랜지가 단부에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외주면에 단턱(111)이 형성된 플랜지 몸체(110)가 강관(200)의 단부에 사출성형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턱(111)의 외주면 상,하부에 반원형태로 만곡된 양단부로 체결홈(121)(121')(122)(122')이 형성된 연결구(120a)(120b)의 내주면이 각각 맞닿아 상기 체결홈(121)(121')(122)(122')으로 삽입되는 수직볼트(130)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구(120a)(120b)의 외주면에 축방향의 연결홈(141a)(141b)을 갖는 연결가이더(140a)(14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와 또 다른 강관(200')의 플랜지 사이에 패킹(160)이 개재되어지고, 상기 각각 연결가이더(140a)(140b)에 수평볼트(150)가 결합되어 강관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패킹(160)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링형태로 외주면에 관통홈(161)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편(16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연결가이더(140a)(140b)로 삽입되는 수평볼트(15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강관(200')의 플랜지는 다른 연결홈(310)이 형성된 연결부재(300)를 사출성형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다른 연결홈(310)에 수평볼트(150)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플랜지와 연결부재(300) 사이에 패킹(160)이 개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가 결합된 강관 연결구조.
  3. 삭제
KR1020060035700A 2006-04-20 2006-04-20 강관 연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00A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04-20 강관 연결구조
PCT/KR2007/000798 WO2007123306A1 (en) 2006-04-20 2007-02-15 Ste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00A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04-20 강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353B1 true KR100630353B1 (ko) 2006-10-02

Family

ID=3762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04-20 강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0353B1 (ko)
WO (1) WO200712330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15B1 (ko) * 2008-06-20 2011-01-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규격에 따른 도파관과 윈도우 접속 구조
KR101084398B1 (ko) 2009-03-06 2011-11-18 이석정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084444B1 (ko) 2009-03-06 2011-11-21 이석정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267032B1 (ko) * 2012-10-22 2013-05-24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267031B1 (ko) * 2012-10-22 2013-05-24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431591B1 (ko) 2014-04-18 2014-08-20 대한강관 주식회사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101438398B1 (ko) * 2013-05-29 2014-09-12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KR20160092804A (ko) * 2015-01-28 2016-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KR102277149B1 (ko) * 2021-04-29 2021-07-14 대한강관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1437B1 (it) * 2010-08-03 2013-07-26 Faic Srl Collarino di serraggio.
CN102979349A (zh) * 2012-11-15 2013-03-20 浙江永达电力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杆芯
US10781948B1 (en) 2019-11-04 2020-09-22 Trinity Bay Equipment Holdings, LLC Pipe connector with annula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3531A (en) * 1978-10-16 1980-04-19 Ikuhiro Iwata Method of connecting pipe made of polybutene-1 resin
US4620731A (en) * 1985-08-01 1986-11-04 Rushing Bendel S Apparatus for sealing pipe flanges
JPH05272670A (ja) * 1992-03-26 1993-10-19 Hayashi Eng Kk 合成樹脂管用の配管継手構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15B1 (ko) * 2008-06-20 2011-01-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규격에 따른 도파관과 윈도우 접속 구조
KR101084398B1 (ko) 2009-03-06 2011-11-18 이석정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084444B1 (ko) 2009-03-06 2011-11-21 이석정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267032B1 (ko) * 2012-10-22 2013-05-24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267031B1 (ko) * 2012-10-22 2013-05-24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438398B1 (ko) * 2013-05-29 2014-09-12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KR101431591B1 (ko) 2014-04-18 2014-08-20 대한강관 주식회사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20160092804A (ko) * 2015-01-28 2016-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KR101684373B1 (ko) 2015-01-28 201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의 냉각수를 부유식 발전플랜트에 공급하는 장치
KR102277149B1 (ko) * 2021-04-29 2021-07-14 대한강관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3306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353B1 (ko) 강관 연결구조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EP2102539B1 (en) Double-walled corrugated steel pipe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2044690B1 (ko)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FI129955B (en) Pass-through wa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890377B1 (ko)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KR101702881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060082483A (ko) 파형강관 연결구
KR101607825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343370B1 (ko) 상하수도관과 수구부재 연결 방법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4549268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KR20080103698A (ko) 나선 파형관 연결 조립구조
CN217603548U (zh) 构成装配式大口径塑料管道的弧形块结构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434270Y1 (ko) 관 연결구
KR101272215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1213505B1 (ko) 하수관 연결구의 압지편 구조
KR200384217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200231021Y1 (ko)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