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4904B1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904B1
KR100624904B1 KR1019990038659A KR19990038659A KR100624904B1 KR 100624904 B1 KR100624904 B1 KR 100624904B1 KR 1019990038659 A KR1019990038659 A KR 1019990038659A KR 19990038659 A KR19990038659 A KR 19990038659A KR 100624904 B1 KR100624904 B1 KR 10062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st
heat treatment
forming
layer
atmosphe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082A (ko
Inventor
조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3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9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9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82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 H10D1/684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the dielectric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buffer layers, seed layers or gradi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9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the material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e.g. BaTi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41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042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using deposition processes to form electrode extens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6Electrode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ST를 유전체로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BST 유전체를 1차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400 내지 800℃의 온도로 열처리하고, 1차 증착된 BST층상에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BST 유전체를 2차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400 내지 8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BST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다. 본 발명의 NH3 후속 열처리는 기존의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O2나 N2O 플라즈마 처리나 UV-O3 처리를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N과 H로 구성된 환원성 분위기에서 진행하므로 확산 방지막으로 N2 확산이 이루어져 확산 방지막의 내산화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 보다 높은 온도에서 2차에 걸쳐 증착 및 NH3 후속 열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BST 유전체층 내의 불순물 제거 효과 및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유전체 캐패시터, BST 유전체층, NH3 후속 열처리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접합부 11: 반도체 기판
12: 층간 절연막 13: 콘택 플러그
14: 접촉막 15: 확산 방지막
16: 희생 산화막 17: 하부 전극
18: BST 유전체층 18a: 제 1 BST층
18b: 제 2 BST층 19: 상부 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BST를 유전체로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공정중 BST 유전체층을 증착한 후에 실시하는 후속 열처리 공정시 O2 확산에 의한 확산 방지막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안정된 BST 유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 및 소형화되어감에 따라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 또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캐패시터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자의 동작에 필요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확보되어야 한다.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 전극을 3차원 구조로 형성하여 유효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이 방법 역시 한계에 도달하여 256M DRAM급 이상의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는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사용하여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최근, 높은 유전율을 갖는 BST를 사용하여 BST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BST 캐패시터는 폴리실리콘 콘택 플러그 및 TiN, TiSiN, TiAlN과 같은 물질로 확산 방지막을 형성하고, Pt, Ru, Ir 등과 같은 노블 메탈(noble metal)을 사용하여 하부 전극을 형성하고, 노블 메탈 하부 전극 상에 BST를 증착 및 열처리하여 BST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노블 메탈을 사용하여 상부 전극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있어서, BST 유전체층은 400 내지 450℃의 온도 조건에서 BST 전구체(precursor)를 이용한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MOCVD)법으로 BST를 증착한 후, 유전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형성한다. 열처리 공정은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O2나 N2O 플라즈마 처리하거나 UV-O3 처리하여 탄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600 내지 750℃의 온도에서 N2 분위기로 열처리를 실시한다. 그런데, 하부 전극으로 사용되는 노블 메탈은 O2의 확산을 방지하는 능력이 낮기 때문에 BST를 증착한 후에 실시하는 O2나 N2O 플라즈마 처리나 UV-O3 처리 동안에 O2가 노블 메탈 하부 전극을 통해 확산 방지막으로 확산되어 확산 방지막의 산화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하여 캐패시터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O2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후처리 온도를 더욱 낮게 하거나 플라즈마 여기 전력을 낮추어야 하는데, 이 경우 BST 유전체층 내의 탄소와 같은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BST 유전체층의 충분한 결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BST 유전체층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고, 결국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BST 유전체층 증착 후에 실시하는 후속 열처리 공정시 O2 확산에 의한 확산 방지막의 산화를 방지하면서 안정된 BST 유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콘택 플러그, 접촉막 및 확산 방지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 상에 BST를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BST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BST 유전체층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 O2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은 층간 절연막에 콘택 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콘택 홀 내에 콘택 리세스를 갖는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 플러그의 콘택 리세스 내에 접촉막 및 확산 방지막을 형성한 후, 전체 구조상에 희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산화막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확산 방지막이 노출되는 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산화막의 홀 패턴 부분에 상기 확산 방지막과 연결되는 실린더 구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희생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BST를 1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1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1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 1 BST층상에 BST를 2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2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2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BST층으로 된 BST 유전체층상에 상부 전 극을 형성한 후, O2 분위기에서 제 3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1) 상에 층간 절연막(12)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막(12)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접합부(10)가 노출되는 콘택 홀을 형성한 후, 콘택 리세스(recess)를 갖는 콘택 플러그(13)를 콘택 홀 내에 형성한다. 콘택 플러그(13)의 콘택 리세스 내에 접촉막(14) 및 확산 방지막(1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콘택 플러그(13)는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콘택 홀이 완전히 매립되도록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전면 식각 공정이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을 과도하게 실시하여 콘택 홀의 입구로부터 내부 쪽으로 폴리실리콘이 500 내지 2000Å 더 식각되도록 하여 리세스를 갖도록 형성한다.
접촉막(14)은 리세스를 갖는 콘택 플러그(13)를 포함한 층간 절연막(12) 상에 Ti를 스퍼터법이나 화학기상증착법으로 100 내지 1000Å의 두께로 증착한 후, 550 내지 950℃ 의 온도에서 30 내지 120초간 급속 열 질화(RTN : Rapid Thermal Nitridation)처리하여 콘택 플러그(13)의 표면에 티타늄실리사이드를 형성하고, 미반응된 TiN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접촉막(14)은 Ti 대신에 Ta를 사용하여 탄탈륨실리사이드로 형성할 수 있다.
확산 방지막(15)은 TiAlN, TaN, TiN, TaN, TiSiN, TaSiN, TaAlN 등을 스퍼터링이나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증착한 후, 전면 식각 공정이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접촉막(14) 상에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확산 방지막(15)을 포함한 층간 절연막(12) 상에 희생 산화막(16)을 증착한 후, 하부 전극이 형성될 부분의 희생 산화막(16)을 식각하여 확산 방지막(15)이 노출되는 홀 패턴을 형성하고, 홀 패턴 부분에 확산 방지막(15)과 연결되는 실린더 구조의 하부 전극(1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하부 전극(17)은 Pt, Ir, Ru, RuO2, IrO2등을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증착한 후, 전면 식각 공정이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해 형성하며, 하부 전극(17)의 높이는 희생 산화막(16)의 증착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희생 산화막(16)은 식각이 용이한 도프트 산화물(doped oxide)인 PSG를 사용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희생 산화막(16)을 제거한다. 제 1 BST층(18a)은 실린더 구조의 하부 전극(17)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BST를 증착한 후, 후속 열처리를 실시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1 BST층(18a)은 전구체(precursor)로 Ba(TMHD)2-폴리아민 (polyamine), Sr(TMHD)2-폴리아민 및 Ti(O-iPr)2(TMHD)2 를 사용하거나, Ba(METHD)2, Sr(METHD)2 및 Ti(MPD)(THD)2를 사용하여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30 내지 100Å 두께로 증착한다. 후속 열처리는 400 내지 800℃의 온도 및 NH3 가스 분위기에서 10 내지 100 분 동안 열처리하거나, 400 내지 800℃의 온도 및 NH3 가스 분위기에서 1 내지 10 분 동안 급속 열처리하거나,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NH3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1 BST층(18a)을 결정화시키고 탄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제 2 BST층(18b)은 제 1 BST층(18a)상에 BST를 증착한 후, 후속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BST 유전체층(18)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BST층(18a)은 전구체로 Ba(TMHD)2-폴리아민, Sr(TMHD)2-폴리아민 및 Ti(O-iPr)2(TMHD)2 를 사용하거나, Ba(METHD)2, Sr(METHD)2 및 Ti(MPD)(THD)2를 사용하여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 1 BST층(18a)의 두께와 합한 최종 두께가 100 내지 500Å 두께가 되도록 증착한다. 후속 열처리는 400 내지 800℃의 온도 및 NH3 가스 분위기에서 10 내지 100 분 동안 열처리하거나, 400 내지 800℃의 온도 및 NH3 가스 분위기에서 1 내지 10 분 동안 급속 열처리하거나,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NH3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 2 BST층(18b)을 결정화시키고 탄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BST 유전체층(18)상에 Pt, Ir, Ru, RuO2, IrO2등을 사용하 여 상부 전극(19)을 형성하고, BST 유전체층(18)의 산소 결핍을 해소하기 위하여 350 내지 450℃의 온도 및 O2 가스 분위기의 전기로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열공정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캐패시터가 완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하부 전극 상에 제 1 BST층 증착 후에 NH3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하고, 제 1 BST층상에 제 2 BST층을 증착한 후에 다시 NH3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제 1 및 제 2 BST층으로 된 BST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BST 유전체층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에 BST 유전체층의 산소 결핍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온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BST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NH3 후속 열처리를 기존의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O2나 N2O 플라즈마 처리나 UV-O3 처리를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N과 H로 구성된 환원성 분위기에서 진행하므로 질화계 확산 방지막에 포함된 산소 함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질화 시킬 수 있어 확산 방지막의 내산화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 보다 높은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2차에 걸쳐 BST 증착 및 NH3 후속 열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BST 유전체층 내의 불순물 제거 효과 및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차에 걸친 NH3 처리에 의해 BST 유전체층의 산소 결핍을 확산 방지막이 다시 산화되지 않는 450℃ 이하의 저온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단계 증착 및 NH3 후속 열처리를 통해 BST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1단계 또는 2단계 이상의 증착 및 NH3 후속 열처리를 통해 BST 유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BST 유전체층을 증착한 후에 실시하는 후속 열처리 공정시 확산 방지막의 산화 없이 BST 유전체층 내의 탄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결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정전 용량과 낮은 누설 전류 특성을 갖는 BST 캐패시터를 제작할 수 있어 소자의 수율 및 신뢰성 향상은 물론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0)

  1. 콘택 플러그, 접촉막 및 확산 방지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 상에 BST를 1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1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1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 1 BST층상에 BST를 2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2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2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BST층으로 된 BST 유전체층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 O2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H3 분위기 열처리는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2 분위기 열처리는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4. 층간 절연막에 콘택 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콘택 홀 내에 콘택 리세스를 갖는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 플러그의 콘택 리세스 내에 접촉막 및 확산 방지막을 형성한 후, 전체 구조상에 희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산화막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확산 방지막이 노출되는 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산화막의 홀 패턴 부분에 상기 확산 방지막과 연결되는 실린더 구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희생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BST를 1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1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1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 1 BST층상에 BST를 2차로 증착한 후, NH3 분위기에서 제 2 열처리를 실시하고, 이로 인하여 제 2 BST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BST층으로 된 BST 유전체층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 O2 분위기에서 제 3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막 티타늄실리사이드나 탄탈륨실리사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방지막은 TiAlN, TaN, TiN, TaN, TiSiN, TaSiN 및 TaAlN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BST층은 Ba(TMHD)2-폴리아민, Sr(TMHD)2-폴리아민 및 Ti(O-iPr)2(TMHD)2 를 사용하거나, Ba(METHD)2, Sr(METHD)2 및 Ti(MPD)(THD)2를 사용하여 금속 유기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처리는 4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처리는 3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은 Pt, Ir, Ru, RuO2, IrO2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19990038659A 1999-09-10 1999-09-1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59A KR100624904B1 (ko) 1999-09-10 1999-09-1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59A KR100624904B1 (ko) 1999-09-10 1999-09-1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082A KR20010027082A (ko) 2001-04-06
KR100624904B1 true KR100624904B1 (ko) 2006-09-19

Family

ID=1961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6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904B1 (ko) 1999-09-10 1999-09-1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50B1 (ko) * 2001-12-28 2007-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151B1 (ko) * 1999-12-28 2006-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827521B1 (ko) * 2001-12-04 2008-05-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2748B1 (ko) * 2001-12-20 2007-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220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キャパシタ形成方法
JPH1079470A (ja) * 1996-09-04 1998-03-24 Fujitsu Ltd 誘電体薄膜キャパシタ
KR19980069264A (ko) * 1997-02-27 1998-10-26 김광호 고유전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JPH11186509A (ja) * 1997-12-18 1999-07-09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14385A (ja) * 1998-01-28 1999-08-06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220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キャパシタ形成方法
JPH1079470A (ja) * 1996-09-04 1998-03-24 Fujitsu Ltd 誘電体薄膜キャパシタ
KR19980069264A (ko) * 1997-02-27 1998-10-26 김광호 고유전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JPH11186509A (ja) * 1997-12-18 1999-07-09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14385A (ja) * 1998-01-28 1999-08-06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50B1 (ko) * 2001-12-28 2007-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08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7250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235949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505397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US20030059959A1 (en)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KR100308131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2490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76268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67160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JP4223248B2 (ja) 半導体素子の誘電膜形成方法
KR100503961B1 (ko)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474589B1 (ko) 캐패시터제조방법
KR100614576B1 (ko)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7072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KR100559720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48243B1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68563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46922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80491B1 (ko)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309127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9990055181A (ko) 플라즈마 처리법을 이용한 강유전막 형성 방법
KR10035978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62197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685637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20015421A (ko) 고유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20055250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