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4615B1 -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615B1
KR100624615B1 KR1019997004123A KR19997004123A KR100624615B1 KR 100624615 B1 KR100624615 B1 KR 100624615B1 KR 1019997004123 A KR1019997004123 A KR 1019997004123A KR 19997004123 A KR19997004123 A KR 19997004123A KR 100624615 B1 KR100624615 B1 KR 10062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orque
maximum allowable
target
target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943A (ko
Inventor
바우어토어스텐
스트레이브마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6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7/00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7/02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f the functions being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7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 F02D31/009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for maximum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 F02D2200/1004Estimation of the 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6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by applying a torque lim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되며, 운전자 요구를 기반으로 구동 유니트 제어에 이용되는 목표 토오크값 또는 목표 출력값이 형성되며,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이 결정되고,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목표값은 최대 허용값으로 제한된다.
구동 유니트, 목표값, 토오크, 점화각, 충전 경로

Description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OF A VEHICL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주개념에 따라 자동차 구동 유니트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방법 및 장치는 독일 특허 공개 195 36 038호에 개시 되어있다. 구동 유니트의 제어를 위해 구동 유니트의 토오크 또는 출력이 적어도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어 요소의 위치에 따라 전기적으로 조정된다. 적어도 엔진 회전수와 제어 요소의 위치를 기초로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이 결정되며, 구동 유니트의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은 실질 구동 상태의 토오크 또는 출력을 초과할 수 없다. 엔진 회전수와 흡입 공기량 같은 작동 변수로부터 구동 유니트의 실제 조정된 토오크 또는 구동 유니트의 실제 조정된 출력이 결정되며, 이러한 실제 조정된 토오크 또는 출력이 최대 허용값과 비교되고, 계산된 토오크 또는 계산된 출력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을 초과할 때 에러 작동이 개시된다. 운전자 요구에 비해 상승된 구동 유니트의 토오크 발생이 확실한 방법으로 저지되기 때문에, 상기 비교 모니터링 조치를 통해 구동 유니트의 작동 안정성이 보장된다. 전술한 비교 모니터링에 대한 응답은 에러가 실제로 발생된 경우에만 요구된다. 또한 공차가 엄밀하게 주어지는 경우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비교 모니터링이 응답하게 되는, 예를 들어 전이 상태와 같은 작동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 거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비교 모니터링의 원하지 않는 거동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서 기술된다.
독일 특허 공개 196 19 320호에 토오크 기능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운전자에 의해 제어 가능한 요소의 위치에서 적어도 엔진 회전수를 고려하여 운전자 목표 토오크가 형성된다. 이러한 운전자 목표 토오크는 크랭크축과 연동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점화각과 같은) 간섭을 위한 조정기 및 충전 제어를 위한 조정기와 관련되어 있는 외부 및 내부 토오크 요건과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생성된 목표 토오크는 예를 들어, 목표 점화각과 목표 스로틀 밸브 위치로 전환된다. 그런 엔진 제어 시스템은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된다.
계산된 토오크와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출력을 기초로 하는 모니터링만 응답하고, 구동 유니트 토오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을 최대 허용 토오크로 제한하거나 엔진 제어가 토오크값 대신 엔진 출력 값을 계산할 때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통해, 실제로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에러 작동이 개시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써 운전의 안락함과 구동 유니트의 유용성이 현저하게 상승된다. 특히, 계산된 토오크와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출력을 기반으로 하는 구동 유니트의 모니터링시에 공차가 매우 엄밀하게 제시되어, 엔진 제어 영역 내의 실제 에러 상태에 대해 상기 에러 상태가 신속히 인지되고 대응 조치가 신속하게 개시될 수 있다.
토오크 기반 기능 체계를 구비한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충전 경로에 대한 토오크 목표값은 물론 분사 억제를 통한 빠른 간섭 경로에 대한 토오크 목표값, 연료 공급의 영향 내지/또는 점화각의 영향이 최대 허용 토오크로 제한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전이 상태 그리고 특수 상태에서 최대 허용 토오크가 초과될 수 없고 따라서 토오크 모니터링에 대한 응답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출력 기반 기능 체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특히 빠른 간섭 변수인 경우에, 제한의 개시와 제한의 종료 사이의 히스테리시스가 제공되는 것이 장점이다.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MSR)의 영향은 유리하게 참작된다.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활성화될 경우에는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한이 비활성화된다. 이로써 엔진 구동 토오크 기능의 피해가 방지된다. 특히 이는 빠른 경로에서만 동작하고 단시간 동안 MSR이 토오크를 상승시킨다는 것이 장점이다.
점화각이 종료될 수 있는 간섭인 경우에, 점화각을 통해 조정된 토오크에 따라 제한이 개시될 수 있는 반면, 가속 페달 위치를 기초로 계산된 연료 공급을 위한 토오크에 따라 제한이 종료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종료된 점화각 간섭에 대해, 점화각에 대한 목표 토오크가 미리 입력된 특성 영역에서 조절된 기본 토오크에 대한 간섭이 없는 토오크에 이르게 되며, 이런 이유로 실질 토오크의 기본값으로의 제한이 이루어진다. 이는 작동 안정성에 유리하다.
다른 장점은 실시예의 다음 기술 및 종속 청구항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에 나타난 실시 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내연 기관 제어 장치의 블록 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구동 유니트의 제어 시스템의 토오크 기능 구조의 블록 회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은 최대 허용 토오크 결정 및 그에 따라 형성된 모니터링 조치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이다.
도4는 최대 허용 토오크에 따른 충전 경로용 목표 토오크 값의 제한을 도시한다.
도5와 도6은 빠른 간섭 경로에서 최대 허용 토오크로 목표 토오크를 제한하기 위한 두 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은 복수 실린더 내연 기관(10)을 위한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14), 입력 유니트(16)와 출력 유니트(18)로 이루어진 전자 제어 장치(12)를 포함한다. 입력 유니트(16), 출력 유니트(18)와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버스(2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 라인(22, 24, 28, 30)은 입력 유니트(16)로 유도된다. 입력 라인(22)은 가속 페달 위치(β)를 파악하는 측정 장치(32)로부터 인출되고, 입력 라인(24)은 엔진 회전수(nmot)를 파악하는 측정 장치(34)로부터 인출되고, 입력 라인(28)은 유입되는 공기량(hfm)을 파악하는 측정 장치(38)로부터 인출되며, 입력 라인(30)은 구동 슬립 제어(ASR), 변속기 제어(GS),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MSR)를 위한 제어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어기(40)로부터 인출된다. 공기량 파악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라 흡입관압 또는 연소실압의 파악을 위한 압력 센서, 공기 질량 측정기 또는 공기량 측정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기술된 작동 변수 이외에, 제어 유니트들은 엔진 온도, 차량 속도등과 같이 엔진 제어를 위해 필요한 변수들을 파악한다. 출력 유니트(18)는 내연 기관의 공기 흡입 시스템(46)에 장치된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스로틀 밸브(44)와 연결된 출력 라인(42)에 연결된다. 또한 내연 기관(10)의 실린더 내로의 연료 공급이나 각 실린더 내의 점화각 조정을 위한 장치(10)에 연결된 출력 라인(48, 50, 52, 54)이 도시되어있다.
도2는 내연 기관 제어의 토오크에 근거한 기능 체계에 따른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이 블록 회로도에 도시된 요소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의 실질부로서, 테이블, 특성 곡선, 특성 영역 내지/또는 연산 단계를 갖는 프로그램부를 나타낸다.
입력 라인(22, 24, 28)은 운전자 요구 토오크(miped)를 결정하기 위한 유니트(100)로 유도된다. 이는 라인(102)을 통해 요소(104, 106)로 향하며, 이 요소들에 라인(30)이 각각 유입된다. 요소(104, 106)는 외부 간섭(miext, 예를 들어, ASR, GR, MSR)과 내부 간섭(miint, 예를 들어, 회전수 제한, 차량속도 제한)은 물론 운전자 요구의 제공된 목표 토오크값에 따라 엔진 제어를 위해 사전 제공된 목표 토오크 값(milsol 및 misol)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된 목표값은 라인(108, 110)을 통해 연산 유니트(112, 114)로 각각 유입된다. 연산 유니트(112)는 적어도 엔진 회전수와 공기량(실제 새로운 가스 충전)에 따라 유입된 목표값으로부터 점화각 내지/또는 분사 억제 내지/또는 혼합물 영향의 교정을 연산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연산 유니트(114)는 유입된 목표값으로부터 적어도 엔진 회전수와 공기량(실제 새로운 가스 충전)에 따라 라인(42)을 통한 스로틀 밸브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충전을 계산한다.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연산 유니트(112, 114)가 라인(116)으로 연결된다.
도2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흡기관 내의 스로틀 밸브에 의한 충전을 조정(보다 느린 간섭)하거나 그리고/또는 연료 공급과 점화각을 조절(보다 빠른 간섭)함으로써, 내연 기관의 회전 토오크에 대한 다양한 간섭(운전자로부터 ASR, MSR, 변속기 제어 등의 간섭)이 조정된다.
도1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은 입력 변수로부터 내연 기관의 출력 변수를 계산하므로, 계산 범위에서 에러에 의해 내연 기관의 초과 구동력이 야기되어 위험한 운행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도3에 의하면 출력 제어를 위해 산출된 계산의 정확도가 재검된다. 이는 전술한 것처럼, 최대 허용 토오크(mizul)가 결정되고, 내연 기관의 계산된 실제 토오크(miist)와 비교되며, 실제 토오크가 최대 허용 토오크를 넘을 때 연료 공급(SKA)의 차단인 에러 작동 조치를 수행한다.
최대 허용 토오크를 결정하고 토오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선택된 방법은 도3에 실시예에서 도시된다. 또한, 후속 도면에서도 개략적인 블록 회로가 선택된다. 동작 기능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실행된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 영역(200)에서 가속 페달 위치(β)와 엔진 회전수(nmot)의 입력 변수에 근거하여 최대 허용 토오크(mizul)가 판독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는 미리 결정된 특성 영역에 근거하여 일어난다. 특성 영역에서 일정 회전수에서 허용되는 페달의 최대 토오크 요건은, 예를 들어 아이들링 제어와 같은 토오크 상승 기능의 고려하에 특정 영역에 저장한다. 특성 영역에서 판독된 값은 앞서 기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도시되지 않은 저대역(low-pass)필터를 통해 필터링된다. 이는 특성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값이 음의 기울기일 때만 활성화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엔진 회전수와 가속 페달 위치에 따른 두 개의 특성 영역이 주어지며, 최대 허용 토오크가 두 개의 특성 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특성 영역에서 최대 허용 토오크가 증가하는 목표 회전수 이하의 회전수에 대한 시동과 아이들링 제어가 고려된다. 그런 다음 필터링은 다른 특성 영역의 값에 대해서만 나타난다.
이렇게 결정된 허용 토오크(mizul)는 최대값 선택기(MAX)로 제공되어, 주어진 고정값(mdimax)과 비교된다. 이 값은 최대 조정 가능한 토오크를 나타낸다. 이 값(mdimax)은 차량 속도 제어기가 활성화(FGR_ein)일 때 출력된다. 차량 속도 제어기가 비활성일 때는 최대값 선택기의 상응하는 입력에 0이 제공된다. 제공된 토오크 값(mizul, mdimax 또는 0)의 최대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로 처리된다. 이 방식으로 차량 속도 제어 작동에서 가속 페달의 해제시 최대 허용 토오크는 너무 작지 않고, 에러 작동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는 도4 내지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토오크의 제한에 쓰인다.("출력 A")
이 최대 허용 목표 토오크에서 실제 토오크가 유래된다. 상기 고 레벨 모니터링 부위에서 실제 토오크(miist)와 허용 토오크(mimax)는 비교된다.
이 허용 토오크는 허용 목표 토오크와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된다. 그러한 계산의 예는 앞서 기술된 종래 기술에서 기술됐다. 이 계산은 연산 단계부(203)에서 진행된다. 최대 허용 토오크(mimax)는 제한을 위해 사용되는 허용 토오크(mizul)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다. 203에서 필터링은 흡기관 시간 상수, 위치 제어 지연과 토오크 상승 기능(예로 대쉬 포트)을 고려한다.
실제 토오크(miist)가 최대 허용 토오크(mimax)를 넘으면 (비교기 204) 알려진 에러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지연 시간 후에 연료 공급(SKA)의 차단이 일어난다. 실제 토오크(miist)는 적어도 엔진 회전수(nmot)와 공기량(hfm)을 근거로 205에서 계산된다.
도4에는 충전 경로를 위한 목표 토오크값(milsol)의 제한이 도시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는 조정기(104)내에서 실행되고, 운전자에 의해 목표된 페달 토오크(miped)는 최대값 선택기(MAX)에서 MSR과 같이 토오크를 상승시키는 외부 및 내부 간섭과 비교된다. 그런 다음 가장 큰 값은 최소값 선택기(MIN)에서 ASR 제한, 회전수 제한, 차량 속도 제한 등과 같이 토오크를 하강시키는 외부 및 내부 간섭과 비교된다. 상기 최소값 선택기(MIN)에 추가적으로 최대 허용 토오크(mizul)가 유도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목표 토오크 중 최소값이 선택되어, 충전 경로를 위한 목표 토오크값(milsol)으로 출력된다. 모든 토오크 요구가 최대 허용 토오크를 초과하면, 이는 충전 경로용 목표값으로 주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충전 경로를 위한 목표 토오크(milsol)값은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로 제한된다.
제한은 크랭크축 연동인 간섭 경로에서 수행된다. 도5는 조정기(106)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4에 따라 주어진 방법과 비교되는 방식으로 페달 토오크(miped), 외부 목표 토오크(miext) 및 내부 목표 토오크(miint)로써의 최대값 선택기(MAX) 내지/또는 최소값 선택기(MIN)에서 크랭크축 연동하는 간섭 경로용 목표 토오크(misolv)를 형성한다. 결정된 목표 토오크(misolv)는 비교기(300)에서 허용 토오크(mizul)와 비교된다. 계산된 목표 토오크(misolv)가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를 초과하면 비교기(300)는 AND 게이트(302)로 제공되는 논리 1-신호를 발생한다. 목표 토오크(misolv)가 비교기(304)로 제공되어,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로부터 형성된 값(mizul-mihyst)과 비교된다. 상기 값은 최대 허용 토오크에서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토오크(mihyst)를 뺀 값이다. 목표 토오크값이 상기값 이하이면, 논리 1-신호는 OR 게이트(306)로 출력된다. OR 게이트의 출력은 RS-플립 플롭(308)의 리셋(reset) 입력과 AND 게이트(302)의 부(negative) 입력으로 제공된다. OR 게이트(306)로 신호(B_msr)도 제동되며, 이 신호는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활성화될 때, 정(positive) 신호 레벨을 이룬다. AND 게이트(302)의 출력은 RS-플립 플롭(308)의 세트 입력(S)으로 제공된다. 플립 플롭(308)의 출력 신호(Q)는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칭 상태로 변환되는 스위치 요소(310)로 제공되며, 스위칭 상태에서 목표 토오크값(misolv) 대신에 최대 허용 토오크(mizul)가 빠른 간섭 경로용 목표 토오크(misol)로서 전송된다.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비활성일 때(b-msr=0) 목표 토오크(misolv)가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를 초과하면, 플립 플롭(308)은 AND 게이트(302)를 통해 설정된다. 출력(Q)은 "하이"(high) 레벨로 변환되어, 스위치(310)는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전환된다. 목표 토오크가 히스테리시스값 만큼 감소된 최대 허용 토오크 이하로 떨어지면, 플립 플롭(308)을 리셋시키는 신호가 비교기(304)에 의해 형성되며, 동시에 세트-입력에서 논리 0으로의 레벨 변화가 AND 게이트(302)를 통해 발생한다. 플립 플롭(308)의 출력(Q)을 통해 스위치(310)는 실선 위치로 다시 스위치된다.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활성화이면(B_msr=1), 리셋 입력은 OR 게이트(306)를 통해 플립 플롭(308)의 논리1-레벨로 설정되는 반면에, 설정 입력에 지속적으로 레벨 0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위치(310)는 실선 위치를 유지하므로, 활성화된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시에, 빠른 간섭 경로를 위한 목표 토오크(misol)는 경우에 따라서 최대 허용 토오크(mizul)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도6에서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최소/최대 선택기(MIN MAX)에 의해 결정된 목표 토오크값(misolv)으로부터 점화각 간섭을 위한 목표 토오크값(misolz)이 유도된다. 특히 아이들링 제어(LLR)와 항 저크(antijerking) 기능(ARF)의 부가적인 교정 부분(Δmi)이 고려된다. 점화각 목표값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스위치 400), 일정한 작동 상황에서 목표 토오크값(misolv) 뿐만 아니라 기초 토오크값(mibas) 또한 점화 각도를 위한 목표 토오크값 형성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 기초 토오크(mibas)는 실질 구동 상태에서 사전 프로그램된 점화각 설정과 λ-설정을 고려하여 내연 기관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토오크에 대응한다. 기초 토오크는 공기량(hfm), 엔진 회전수(nmot)과 기초 점화각 및 λ기초 설정의 토오크 효율을 근거로 형성된다. 상기 두 목표 토오크 값의 제한 방법이 도5에 나타난 방법에 상응한다. 점화각 간섭용 목표 토오크 값은 비교기(300)로 제공되어, 제한되어야 하는 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에 반해 연료 경로용 목표 토오크값(misolv)은 제한의 종료에 대하여 결정하는 비교기(304)로 유입된다. 제한 기준 또는 차단 기준이 만족되면, 스위치(310)가 상응하여 작동한다. 제한을 위해 두 목표 토오크값(misol, misolz)은 최대 허용 토오크(mizul)로 대체된다.

Claims (10)

  1. 적어도 운전자 요구를 근거로 구동 유니트의 토오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 또는 구동 유니트의 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형성되는 단계와, 구동 유니트의 제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조절되는 단계와,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이 적어도 운전자 요구를 근거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내연 기관의 충전의 영향을 통해 조절되는 목표 토오크값 또는 목표 출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목표값을 형성하는 변수와 최대 허용값 사이에서 최소값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충전 경로용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크랭크축 연동 간섭용 목표 출력값 또는 출력 토오크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과 비교되고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최대 허용값이 목표값으로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으로부터 유도된 사전 제공된 값 이하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으로 제한되는 것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 구동 토오크 제어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으로 제한되는 것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용 목표값이 결정되고 추가적인 간섭을 고려한 점화각 경로를 위한 목표값이 결정됨으로써, 점화각 경로를 위한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으로 제한되는 것이 개시되며, 연료 공급용 목표값이 사전 제공된 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으로 제한되는 것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최대 허용 토오크 또는 최대 허용 출력이 구동 유니트의 계산된 실제 토오크 또는 계산된 실제 출력과 비교되고, 실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에러 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10. 적어도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구동 유니트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토오크 값 또는 목표 출력값이 결정되며, 구동 유니트의 토오크 또는 출력이 목표값으로 제어되며, 적어도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최대 허용 토오크값 또는 최대 허용 출력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구동 유니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이 최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목표값을 최대 허용값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장치.
KR1019997004123A 1997-09-10 1998-07-28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9564A DE19739564A1 (de) 1997-09-10 1997-09-1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9739564.3 1997-09-10
PCT/DE1998/002130 WO1999013207A1 (de) 1997-09-10 1998-07-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943A KR20000068943A (ko) 2000-11-25
KR100624615B1 true KR100624615B1 (ko) 2006-09-18

Family

ID=784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1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4615B1 (ko) 1997-09-10 1998-07-28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3721B1 (ko)
EP (1) EP0937198B1 (ko)
JP (1) JP4229474B2 (ko)
KR (1) KR100624615B1 (ko)
DE (2) DE19739564A1 (ko)
RU (1) RU2212555C2 (ko)
WO (1) WO1999013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1565B4 (de) * 1997-09-20 2007-1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814743A1 (de) * 1998-04-02 1999-10-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9851457B4 (de) * 1998-08-14 2011-01-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Drehmoments einer Antriebseinheit
DE19900740A1 (de) * 1999-01-12 2000-07-1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932309A1 (de) * 1999-07-10 2001-01-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9953767C2 (de) 1999-11-09 2002-03-28 Mtu Friedrichshafen Gmbh Regelsystem zum Schutz einer Brennkraftmaschine vor Überlast
DE19963759B4 (de) * 1999-12-30 2012-06-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ES2248313T3 (es) * 2000-04-04 2006-03-16 Robert Bosch Gmbh Metodo y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 la unidad de transmision de un vehiculo.
DE10048015A1 (de) * 2000-04-04 2001-10-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JP3578044B2 (ja) * 2000-04-21 2004-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ト車の内燃機関制御装置
DE10032110C2 (de) * 2000-07-01 2002-10-31 Mtu Friedrichshafen Gmbh Diagnose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036282A1 (de) * 2000-07-26 2002-02-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DE10065516B4 (de) * 2000-12-28 2008-01-10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FR2819554B1 (fr) * 2001-01-16 2003-07-18 Renault Systeme de commande d'un groupe motopropulseur de vehicule automobile
DE10129447B4 (de) * 2001-06-19 2012-02-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0134124B4 (de) * 2001-07-13 2006-04-20 Siemens Ag System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Drehmomentwunsches im Rahmen einer Motorsteuerung
WO2003006807A1 (de) * 2001-07-13 2003-01-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DE10135078A1 (de) * 2001-07-19 2003-02-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Antriebsmotors eines Fahrzeugs
DE10138493B4 (de) * 2001-08-04 2012-01-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ITTO20011222A1 (it) * 2001-12-27 2003-06-27 Gambro Lundia Ab Apparecchiatura per il controllo di flusso sanguigno in un circuito-extracorporeo di sangue.
DE10210684B4 (de) * 2002-03-12 2005-04-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Moments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FR2838774B1 (fr) * 2002-04-22 2005-04-08 Siemens Vdo Automotive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moteur vehicule
US6705286B1 (en) 2002-09-20 2004-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torque intervention of an electronic throttle controlled engine
DE10246710B4 (de) * 2002-10-07 2016-08-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grenzung einer Ausgangsgröße ein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JP2004183480A (ja) * 2002-11-29 2004-07-02 Denso Corp 内燃機関のトルク制御装置
DE10315410A1 (de) * 2003-04-04 2004-10-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brennungsmotors mit einer Drehmomentüberwachung
DE102004011599B4 (de) * 2004-03-10 2006-03-02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momentenorientierten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14368B4 (de) * 2004-03-24 2016-12-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Vorgängen in einem Fahrzeug
FR2870888B1 (fr) * 2004-05-26 2009-05-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control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02004048008A1 (de) * 2004-10-01 2006-04-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6307797A (ja) * 2005-05-02 2006-11-09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方法
DE102005041663A1 (de) * 2005-09-02 2007-03-15 Robert Bosch Gmbh Momentüberwachung für einen Hybridantrieb
JP3927584B2 (ja) * 2005-10-26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用動力制御装置
DE102005062870A1 (de) * 2005-12-29 2007-07-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Mehrmotorenantrieben
DE102005062869A1 (de) 2005-12-29 2007-07-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Vereinfachung der Momentenüberwachung, insbesondere bei Hybridantrieben
DE102006037126A1 (de) * 2006-08-09 2008-02-14 Daimler Ag Ansteuersystem für eine Antriebseinheit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6057743B4 (de) * 2006-12-07 2015-07-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software von Steuergeräten in einem Steuergeräteverbund
DE102006061561A1 (de) * 2006-12-27 2008-07-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7023553B3 (de) * 2007-05-21 2008-12-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ntriebsaggregats
DE102007035097B4 (de) 2007-07-26 2016-05-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heit
JP2018009512A (ja) * 2016-07-14 2018-01-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AT527311B1 (de) * 2023-11-15 2025-01-15 Avl List Gmbh Prüfstand und Verfahren zur leistungsbegrenzten Prüfung eines Prüfli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6038A1 (de) * 1995-09-28 1997-04-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Kraftfahrzeugs
EP0771943A2 (de) * 1995-10-27 1997-05-07 Mercedes-Ben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Dieselmo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1270A (en) * 1983-12-27 1986-07-22 United Technologies Diese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orque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function of exhaust smoke level
JPS63124842A (ja) * 1986-11-14 1988-05-28 Hitachi Ltd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SU1636580A1 (ru) * 1988-06-24 1991-03-23 Коломен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Заочного Политехниче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двигателем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2861225B2 (ja) * 1990-03-26 1999-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内燃機関系の制御装置
JPH04203250A (ja) * 1990-11-29 1992-07-23 Mitsubishi Motors Corp 走行負荷分補償式速度制御部付ドライブバイワイヤ式車両
DE4239711B4 (de) * 1992-11-26 2005-03-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DE4314118B4 (de) * 1993-04-29 2006-08-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leistung eines Fahrzeugs
DE4407475C2 (de) * 1994-03-07 2002-11-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DE4435741C5 (de) * 1994-10-06 2007-05-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619320A1 (de) 1995-10-07 1997-04-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612455C2 (de) * 1996-03-28 1999-11-11 Siemens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Solldrehmoments an der 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JP3710073B2 (ja) * 1997-03-31 2005-10-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吸気絞り弁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6038A1 (de) * 1995-09-28 1997-04-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Kraftfahrzeugs
EP0771943A2 (de) * 1995-10-27 1997-05-07 Mercedes-Ben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Diesel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9474B2 (ja) 2009-02-25
EP0937198B1 (de) 2003-01-15
WO1999013207A1 (de) 1999-03-18
DE59806931D1 (de) 2003-02-20
EP0937198A1 (de) 1999-08-25
KR20000068943A (ko) 2000-11-25
RU2212555C2 (ru) 2003-09-20
DE19739564A1 (de) 1999-03-11
JP2001504918A (ja) 2001-04-10
US6223721B1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615B1 (ko) 자동차 구동 유니트 제어 방법 및 장치
US600037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78371B1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692472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motor vehicle
US6076500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torque of the drive unit of a motor vehicle
US4484497A (en) Fuel cut-off system for an engine coupled to an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with a lockup device
US62859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of a vehicle
JP2004504541A (ja) 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123377B2 (ko)
JPS6350540B2 (ko)
JPS6240536B2 (ko)
US625104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of a motor vehicle
KR950012968B1 (ko) 차량용 제어시스템
JP2795644B2 (ja) 内燃機関の燃料量の電子的測定方法
JP2000282931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759975B2 (ja) アイドリング中の自動車の駆動装置の回転速度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086327B2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4067142B2 (ja) 車両の内燃機関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20086708A (ko)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JP4165664B2 (ja) 内燃機関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038711B2 (ja) エンジンブレーキ運転における内燃機関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341768B1 (ko) 자동차의 주행중 엔진 스톨 방지 제어방법
KR100460921B1 (ko) 차량의 연료 차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17578B1 (ko) 엔진제어방법및장치
KR20030036679A (ko) 구동 유닛의 작동 변수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