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4130B1 -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130B1
KR100624130B1 KR1020050030061A KR20050030061A KR100624130B1 KR 100624130 B1 KR100624130 B1 KR 100624130B1 KR 1020050030061 A KR1020050030061 A KR 1020050030061A KR 20050030061 A KR20050030061 A KR 20050030061A KR 100624130 B1 KR100624130 B1 KR 10062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ing
engine
moto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수덕
김진완
신봉주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500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3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60K6/365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with the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차축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축전기에 전력을 축전하며, 이 회전력에 링형모터의 회전력을 가감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차축의 회전력을 가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과 모터의 회전수와 토크제어를 통해 무단으로 속도를 증, 감속할 수 있으므로 변속 충격이 전혀 없고 속도의 선형성이 유지되므로 운전의 정숙성 및 주행안전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모터동력이 엔진의 동력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변속기에 비해 최대 토크 및 순간 토크의 발생이 크다.
더불어 모터는 저속에서 토크 특성이 높고, 엔진은 고속에서 토크가 높으므로 상호 보완의 효과를 발휘하여 차량의 토크 곡선 제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엔진의 부담을 상당히 덜어주어 엔진수명 연장 및 배출가스 감소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링형모터, 유성기어, 링기어, 선기어, 하이브리드 등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ybrid emussion vehicleas}
도 1은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를 전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를 전체 도시한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만 구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진만 구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와 엔진을 동시에 가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성기어와 제1기어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기어와 케리어의 치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엔진 11; 출력축
20; 케리어 30; 링형모터
31; 축 40; 선기어
51; 유성기어 52; 제1기어
53,54; 기어산 55; 링기어
60; 변속부 70; 감속기어부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차축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축전기에 전력을 축전하며, 이 회전력에 링형모터의 회전력을 가감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차축의 회전력을 가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엔진에 의한 구동과 전기 모터에 의한 구동을 복합한 차량으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구동수단을 가변함으로써 주행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동은 HEV(Hybrid Emission Vehicle) 모드와 ZEV(zero Emission Vehicle) 모드로 구분된다.
여기서 전자인 HEV모드는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의 구동과 배터리 충전을 이루어 차량이 주행하는 것이며, 후자인 ZEV모드는 엔진의 구동 없이 배터리의 전원 공급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HEV모드와 ZEV모드를 이용한 무단변속장치는 그 개발이 미미하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실현가능성이 미약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차축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축전기에 전력을 축전하며, 이 회전력에 링형모터의 회전력을 가감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차축의 회전력을 가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에 치합되는 케리어와; 상기 케리어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링형모터와; 상기 좌우 링형모터의 축에 치합되는 좌우측 선기어와; 상기 엔진과 연결된 케리어와 상기 링형모터와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을 가감하여 차축에 전달하는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회전력을 기어 간의 치합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가; 상기 엔진에 케리어가 치합하여 회전력을 변속부에 전달하고, 좌우양단의 링형모터는 그 선기어를 통해 변속부로 전달하여, 엔진과 양측의 링형모터의 선택적 회전을 통해 그 회전력을 감속기어부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변속부는, 상기 케리어가 관통된 선기어의 일측단 외주면의 기어산에 맞물린 다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들의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며, 그 내주면 일측단은 케리어의 외주면 기어와 맞물린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유성기어의 외주면 기어산과 그 내주면의 기어산이 치합된 링기어가; 상기 케리어의 각각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며, 엔진의 회전력과 양측 링형모터의 회전력에서 발생된 상대속도를 변속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좌우측 링기어의 외주면의 기어산 과 치합된 1차감속기어와; 상기 1차감속기어에 치합된 2차감속기어가; 변속부의 회전속도를 받아 감속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감속기어부에는, 다양한 차량의 차축과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별도의 스프로켓과 체인이나 또는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를 부착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엔진에서 발생된 회전력과 좌우 양측의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다는 점과,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시켜 충전기에 충전시킬 수도 있다는 점 등의 현저한 효과를 발생시키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7에서처럼, 본 발명은 엔진(10)의 출력축(11)에 치합되는 케리어(20)가 있고, 상기 케리어(2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링형모터(30)가 비치된다.
또한 상기 좌우 링형모터(30)의 축(31)에 치합되는 좌우측 선기어(40)가 형성되며, 상기 엔진(10)과 연결된 케리어(20)와 상기 링형모터(30)와 연결된 선기어(40)의 회전을 가감하여 차축에 전달하는 변속부(60)가 비치된다.
더불어 상기 변속부(60)의 회전력을 기어 간의 치합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10)에 케리어(20)가 치합하여 회전력을 변속부(60)에 전달 하고, 좌우양단의 링형모터(30)는 그 선기어(40)를 통해 변속부(60)로 전달하여, 엔진(10)과 양측의 링형모터(30)의 선택적 회전을 통해 그 회전력을 감속기어부(70)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변속부(60)는, 상기 케리어(20)가 관통된 선기어(40)의 일측단 외주면의 기어산에 맞 물린 다수의 유성기어(51)가 있고, 상기 유성기어(51)들의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며, 그 내주면 일측단의 기어(B)는 케리어(20)의 외주면 기어(A)와 맞물린 제1기어(52)가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5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유성기어(51)의 외주면 기어산(53)과 그 내주면의 기어산(54)이 치합된 링기어(55)가 비치된다.
따라서 상기 케리어(20)의 각각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며, 엔진(10)의 회전력과 양측 링형모터(30)의 회전력에서 발생된 상대속도를 변속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감속기어부(70)는, 상기 좌우측 링기어(55)의 외주면의 기어산(56)과 치합된 1차감속기어(71)가 있고, 상기 1차감속기어(71)에 치합된 2차감속기어(72)가 비치되어 상기 변속부(60)의 회전속도를 받아 감속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한편 상기 링형모터(30)는, 차체에 설치된 MCU(모터제어기; 미도시)를 통해 운전상황에 따라 제어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또한 상기 링형모터(30)는, 측면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름을 키우고, 폭을 좁게 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또한 상기 링형모터(30)는, AC(3상 4극) 중공모터(링형모터)에 냉각을 위한 팬(미도시)이나 또는 냉각핀(미도시)을 설치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더불어 상기 감속기어부(70)에는, 다양한 차량의 차축과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별도의 스프로켓과 체인이나 또는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를 부착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이다.
그럼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엔진의 회전력과 변속부(60) 좌우에 배치한 링형모터(30)의 회전력을 가감하여 그 상대속도만큼의 속력을 낼 수 있다는 점과, 차량의 좌우측 차축의 회전속도도 각각 변화가 가능하여 회전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엔진(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링형모터(30)에 전달되는 전력을 얻기 위해 축전할 수 있다는 점등에서 큰 특징이 있으며, 이 모든 것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서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작동 중 링형모터(30) 만을 구동시켜 회전력을 얻는 경우 즉, 출발 및 저속 주행구간에 사용되면 용이한 작동을 도 1 내지 3과 함께 살펴보면, 도시된 좌우측의 링형모터(30)가 그 전력의 힘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형의 모터축(31)은 관통된 관의 형태이며 그 내부에 기어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기어산 치합된 선기어(40)가 끼워진 상태이다.
또한 상기 링형모터(30)의 외곽면은 차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선기어(40)는 회전을 하고, 도시된 제1기어(52)의 측면에서 일 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유성기어(51)가 선기어(40)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지만,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케리어(20)는 회전이 정지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유성기어(51)의 회전은 그와 치합된 링기어(55)를 회전시키고, 이 링기어(55)의 회전은 1차감속기어(71)를 회전시키고, 1차감속기어(71)의 회전은 2차감속기어(72)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물론 상기 2차감속기어(72)의 회전력은 차축에 전달되고, 차량을 운행시키는 동력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특이한 점은 상기 링형모터(30)가 좌측과 우측으로 따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가 구성된 차량에 비치된 별도의 MCU(모터제어기; 미도시)의 전류량 제어에 따라 좌우 양측의 링형모터(30)의 회전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가 있기에 좌우 바퀴의 회전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곡면을 달리는 자동차에서 좌우 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보다 용이한 커브를 돌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1, 2, 4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가 엔진(10)만을 사용하여 운행을 하고, 전류를 축적시키는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 작동은 중속이나 고속 정속주행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엔진(10)이 작동하여 그 출력축(11)을 회전시키 면, 치합된 케리어(20)는 동일방향으로 회전을 진행하고, 도 7에 확대도시된 것처럼 케리어(20)의 외주면 기어산(A)과 제1기어(52)의 내주면 기어산(B)이 치합된 상태이기에 제1기어(52)가 회전을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52)의 내부는 유성기어(51)가 그 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기에 제1기어(52)의 전체 회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된 유성기어(51)들은 링기어(55)를 잡고 있는 결과가 되어, 상기 링기어(55)를 회전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유성기어(51)는 그 내부의 선기어(40)도 잡고 있는 결과를 가져와, 선기어(40)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선기어(40)의 회전은 코일로 둘러싸인 관형의 모터축(31)을 회전시키고, 코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모터축(31) 즉, 링형모터(30)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링형모터(30)는 발전기의 역할을 하며, 발생된 전류를 별도로 구비되는 충전기에 모아 다시 링형의 모터(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전력을 축적하는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상기 링기어(55)의 회전은 치합된 1차감속기어(71)와 2차감속기어(72)를 회전시키며 차축으로 그 회전력을 전달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이 운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이 엔진(10)만을 이용한 회전력은 좌우 양측의 바퀴에 동일하게 전달시켜, 어느 일측의 바퀴가 더 빨리 회전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엔진(10) 만을 이용한 자동차의 운행은 중속과 고속 진행중 정속 주행구간 즉, 일직선의 도로를 운행할 때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는 링형모터(30)와 엔진(10)을 동시에 가동하여 차량의 운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증속 및 고속주행기간으로 차량이 링형모터(30) 독립구동으로 일정한 속도이상 주행하고자 할 경우에 엔진(10)도 가동시켜 그 상대속도 차이만큼 증속시킬때 유용하다.
다시 말해서 도 5에서처럼, 좌우측의 링형모터(30)가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엔진(10)이 작동을 개시하면, 링형모터(30)의 회전은 유성기어(51)를 회전시키고, 이 유성기어(51)의 회전은 상기 링기어(5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엔진(10)의 회전도 상기 케리어(20)를 회전시키고, 제1기어(52)를 통해 링기어(55)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링기어(55)에 대한 모터(30)와 엔진(10)의 회전방향이 같다면 그 상대속도는 증가하여 증속을 달성할 것이고, 그 방향이 다르다면 링기어(55)의 회전속도를 감속될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링형모터(30)의 회전방향과 회전력은 별도로 마련된 MCU(모터제어기; 미도시)의 전류량 제어에 의해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기에 고속으로 달리면서도 그 커브길을 운행함에도 차량의 흔들림을 최대한 제어할 수도 있으며, 차량이 커브길의 외측으로 받는 원심력도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의 경우, 다양한 구조와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도 장착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감속기어부(70)에는, 차량의 차축과 인터페이스 를 위하여 별도의 스프로켓과 체인이나 또는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를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어부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체인이나 스프로켓을 통해 연결하여 차축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달성하거나,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를 이용하여 차축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무단변속장치가 다양한 구조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게 하는 보조수단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엔진과 모터의 회전수와 토크제어를 통해 무단으로 속도를 증, 감속할 수 있으므로 변속 충격이 전혀 없고 속도의 선형성이 유지되므로 운전의 정숙성 및 주행안전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모터동력이 엔진의 동력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변속기에 비해 최대 토크 및 순간 토크의 발생이 크다.
또한 모터는 저속에서 토크 특성이 높고, 엔진은 고속에서 토크가 높으므로 상호 보완의 효과를 발휘하여 차량의 토크 곡선 제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엔진의 부담을 상당히 덜어주어 엔진수명 연장 및 배출가스 감소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기능이 발전기로 전환되어 정지, 감속, 제동시 등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재생하므로 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제동시는 부하장치로의 기능을 가지므로 보조제동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비해 모터를 좌, 우측 2개를 사용함으로 기존하이브리드 차량에 필요한 차동제한 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주행선택은 단지 모터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일반차량에서 필요한 변속용 기어가 필요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중립단 선택시 일반차량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무단변속기는 일반차량 및 미래 친환경차량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여 상대적인 적용 범위가 넓고 소형 및 중, 대형차량의 자동변속기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운전편의성 및 안락함, 연비개선, 무게, 체적 감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엔진(10)의 출력축(11)에 치합되는 케리어(20)와;
    상기 케리어(2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링형모터(30)와;
    상기 좌우 링형모터(30)의 축(31)에 치합되는 좌우측 선기어(40)와;
    상기 엔진(10)과 연결된 케리어(20)와 상기 링형모터(30)와 연결된 선기어(40)의 회전을 가감하여 차축에 전달하는 변속부(60)와;
    상기 변속부(60)의 회전력을 기어간의 치합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70)가;
    상기 엔진(10)에 케리어(20)가 치합하여 회전력을 변속부(60)에 전달하고, 좌우양단의 링형모터(30)는 그 선기어(40)를 통해 변속부(60)로 전달하여, 엔진(10)과 양측의 링형모터(30)의 선택적 회전을 통해 그 회전력을 감속기어부(7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60)는,
    상기 케리어(20)가 관통된 선기어(40)의 일측단 외주면의 기어산에 맞물린 다수의 유성기어(51)와;
    상기 유성기어(51)들의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며, 그 내주면 일측단은 케리어 (20)의 외주면 기어와 맞물린 제1기어(52)와;
    상기 제1기어(5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유성기어(51)의 외주면 기어산(53)과 그 내주면의 기어산(54)이 치합된 링기어(55)가;
    상기 케리어(20)의 각각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되며, 엔진(10)의 회전력과 양측 링형모터(30)의 회전력에서 발생된 상대속도를 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70)는,
    상기 좌우측 링기어(55)의 외주면의 기어산(56)과 치합된 1차감속기어(71)와;
    상기 1차감속기어(71)에 치합된 2차감속기어(72)가;
    변속부(60)의 회전속도를 받아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모터(30)는,
    차체에 설치된 MCU(모터제어기)를 통해 운전상황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모터(30)는,
    측면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름을 키우고, 폭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모터(30)는,
    축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7. 제 1항, 4항, 5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링형모터(30)는,
    AC 링형모터에 냉각을 위한 팬이나 또는 냉각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70)에는,
    다양한 차량의 차축과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별도의 스프로켓과 체인이나 또는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KR1020050030061A 2005-04-11 2005-04-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2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61A KR100624130B1 (ko) 2005-04-11 2005-04-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61A KR100624130B1 (ko) 2005-04-11 2005-04-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130B1 true KR100624130B1 (ko) 2006-09-19

Family

ID=3763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061A Expired - Lifetime KR100624130B1 (ko) 2005-04-11 2005-04-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0097A (zh) * 2012-06-01 2012-10-03 一汽海马汽车有限公司 无级变速传动机构
CN109532455A (zh) * 2017-09-21 2019-03-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199A (ja) * 1995-12-22 1997-07-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19990021823A (ko) * 1997-08-30 1999-03-25 구택서 차량용 무단 변속 장치
JPH11334397A (ja) 1998-05-26 1999-12-07 Kyowa Gokin Kk 自動車用駆動装置
JP2003278855A (ja) 2002-03-22 2003-10-0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変速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199A (ja) * 1995-12-22 1997-07-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19990021823A (ko) * 1997-08-30 1999-03-25 구택서 차량용 무단 변속 장치
JPH11334397A (ja) 1998-05-26 1999-12-07 Kyowa Gokin Kk 自動車用駆動装置
JP2003278855A (ja) 2002-03-22 2003-10-0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変速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0097A (zh) * 2012-06-01 2012-10-03 一汽海马汽车有限公司 无级变速传动机构
CN109532455A (zh) * 2017-09-21 2019-03-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CN109532455B (zh) * 2017-09-21 2021-10-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3938B2 (ja) 変速機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車駆動構造
US7207915B2 (en) Hybrid transmission
JP286077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CN107107733B (zh) 混合动力车辆的自动传动装置和混合动力车辆的控制方法
US20170282702A1 (en) Hybrid transmission having fixed gear shift stage
US6416437B2 (en) Transmissio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JP6352990B2 (ja) 動力伝達装置
US9109674B2 (en) Enhanced electrically variable drive unit
JP2005509554A (ja) 少なくとも二つの遊星歯車列を備えたパワー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JPH11217025A (ja) ハイブリッド車
CN109720333B (zh) 混合动力车辆的控制装置
CN107405991B (zh) 用于交通工具的动力总成
JP3646962B2 (ja) ハイブリッド車
JPH10217779A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3757845B2 (ja) 変速機付きハイブリッド車駆動構造の運転方法
JP4063294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CN114391215B (zh) 具有整体式变速箱的电动机
CN207809039U (zh) 混合动力驱动系统及车辆
CN102490597B (zh) 电动汽车自动变速动力总成系统
JP5337744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4258513B2 (ja) 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201501678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530613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062413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JP2000278809A (ja)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