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2700B1 -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700B1
KR100622700B1 KR1020040107110A KR20040107110A KR100622700B1 KR 100622700 B1 KR100622700 B1 KR 100622700B1 KR 1020040107110 A KR1020040107110 A KR 1020040107110A KR 20040107110 A KR20040107110 A KR 20040107110A KR 100622700 B1 KR100622700 B1 KR 10062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s
bracket
headrest
hinge
right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421A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7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7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형상의 블로어물이 일체로 성형되어 헤드레스트 내부에 설치되는 좌,우측 이동브라켓과,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의 양단에서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에 대하여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전,후방 회동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이 평행하게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 힌지브라켓 및 전,후방 회동브라켓이 4절의 링크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을 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이 록킹해제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후면 부위와 면접촉되도록 직선왕복되는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와 최대한 인접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어 차량사고에 의한 후방 충돌시에는 승객의 목부분의 상해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좌우이동브라켓, 전후회동브라켓, 힌지브라켓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Sliding device of head re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가 블로우물과 성형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슬라이딩되는 궤적상태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헤드레스트가 슬라이딩 되는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 2 ; 헤드레스트 폴
10 ; 블로어(blow)물 20,30 ; 좌,우측 이동브라켓
40 ; 힌지브라켓 41,42 ; 제1,2 회동축
43 ; 록킹홈 44 ; 록킹부
50 ; 전방 회동브라켓 51,52 ; 리벳 힌지
60 ; 후방 회동브라켓 62 ; 제3 회동축
70 ; 비틀림 스프링 80 ; 록커
82 ; 록킹돌기 84 ; 지지부
90 ; 록킹해제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머리 위치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후면부위를 헤드레스트의 전면부위가 면접촉되면서 지지하도록 헤드레스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통상적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헤드레스트의 편의성을 부여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팅 구조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틸팅 구조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기어를 사용하는 전동식 회전구조도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틸팅 구조를 갖는 헤드레스트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승객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와 안정적으로 면접촉되지 않고, 단순히 일부분만 선접촉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태가 불안정하여 지지 성능이 저하되고, 헤드레스트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순 힌지 타입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록킹장치가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후방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객의 목부분에서 발생되는 상해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머리 위치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객의 머리후면부위를 면접촉하여 지지하도록 한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형상의 블로어물이 일체로 성형된 좌,우측 이동브라켓과, 시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과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전,후방 회동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이 평행하게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 힌지브라켓 및 전,후방 회동브라켓을 4절의 링크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록킹해제시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은 하단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하부 선단에 설치되는 제1 회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은 하단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는 제2 회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과 리벳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과 제3 회동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일측 상면에는 수개의 록킹홈이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록킹홈과 맞물리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록커와, 일단은 상기 록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록커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록킹해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2 회동축에 장착되어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의 전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가 블로우물과 성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헤드레스트 형상의 블로어물(10)이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을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시트(1)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2)의 상면에 제1,2 회 동축(41)(42)이 설치된 힌지브라켓(40)이 용접고정되어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하여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1 회동축(41)에는 전방 회동브라켓(50)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전방 회동브라켓(50)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의 선단과 리벳 힌지(51)(5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2 회동축(42)에는 후방 회동브라켓(60)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때, 후방 회동브라켓(60)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의 후단과 제3 회동축(62)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2 회동축(42)에는 일단은 힌지브라켓(40)의 스프링고정홈(40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60)의 전면을 탄성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7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일측 상면에는 수개의 록킹홈(43)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부(44)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록킹부(44)에 걸려고정되는 록커(80)가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록커(80)는 일측에 상기 힌지브라켓(40)의 록킹부(44)에 형성된 수개의 록킹홈(43)과 맞물리는 록킹돌기(8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전방 회동브라켓(50)에 형성된 록킹홈(53)에 삽입되어 전방 회동브라켓(50)을 지지하는 지지부(8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커(80)의 일단에는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록커(80)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록킹해제 스프링(90)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1,2 회동축(41)(42)과,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 힌지(51)(52) 및 제3 회동축(62)을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 힌지브라켓(40) 및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링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4절 링크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헤드레스트의 이동궤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머리를 면접촉되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시트(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가 이격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커(80)의 록킹돌기(82)가 힌지브라켓의 록킹부(44)에 형성된 록킹홈(43)중 최하단에 형성된 1단 록킹홈에 삽입되어 있다.
승객의 머리쪽으로 헤드레스트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헤드레스트를 밀어주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이 전방으로 힘을 받게 되면서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리벳 힌지(51)(52) 및 제3 회동축 (62)으로 결합되어 있는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힌지브라켓(40)의 제1 회동축(41) 및 제2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힌지브라켓(40)의 제2 회동축(42)에 장착되어 있는 비틀림 스프링(70)은 후방 회동브라켓(6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힌지브라켓(40)의 제1,2 회동축(41)(42)에 대하여 회전되는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은 힌지브라켓(40)이 헤드레스트 폴(2)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리벳 힌지(51)(52)와 제3 회동축(62)으로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을 헤드레스트 폴(2)이 고정된 시트(1)에 대하여 전방으로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이 직선이동되는 동작은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 힌지브라켓(40) 및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서로를 구속하는 4개의 링크 기구라고 할 때, 4개의 절 중 1개를 고정하면 다른 절을 직선 왕복 운동을 시킬 수 있는 4절 링크의 원리에 의한 것이다.
힌지브라켓(40)에 대하여 회전되는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중 전방 회동브라켓(50)의 회전동작시 전방 회동브라켓(50)의 측벽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록커(80)는 힌지브라켓(40)의 록킹부(44)에 형성된 록킹홈(43)들을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어 2단,3단 또는 4단의 록킹홈(43)에 순차적으로 착탈된다.
이처럼 록킹홈(43)에서 순차적으로 착탈되는 록킹돌기(82)는 헤드레스트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그 해당되는 위치에서 록커(80)는 록킹돌기가 록킹홈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록커(80)의 지지부(84)가 전방 회동브라켓(50)의 록킹홈(53)에 삽 입된 상태로 전방 회동브라켓(50)을 고정시키게 되어 전방 회동브라켓(50)과 기구적으로 링크된 힌지브라켓(40)과 후방 회동브라켓(60) 및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을 록킹시키게 된다. 이때,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은 헤드레스트 폴(2)에 대하여 평행하게 직선이동된 상태이므로 승객의 머리 후면부위를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헤드레스트를 끝까지 밀어주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회전될 수 있는 범위까지 완전히 회전되는데, 이때 록커(80)는 록킹해제 스프링(90)에 의해 록킹돌기(82)가 힌지브라켓(40)의 록킹부(44) 선단에 록킹해제홈(43a)에 도달하게 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전방 회동브라켓(50)을 지지하고 있던 록커(70)의 록킹력을 해제되고 동시에 후방 회동브라켓(6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던 비틀림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 회동브라켓(60)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전방 회동브라켓(50)이 연동되어 힌지브라켓(40)의 제1,2 회동축(41)(4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의 회전동작에 의해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은 본래의 위치로 직선이동되면서 헤드레스트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는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에 대하여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후면 부위와 면 접촉되도록 직선왕복되는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와 최대한 인접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어 차량사고에 의한 후방 충돌시에는 승객의 목부분의 상해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헤드레스트 형상의 블로어물(10)이 일체로 성형된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시트(1)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2)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브라켓(40)과,
    상기 힌지브라켓(4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하여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이 평행하게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 힌지브라켓(40) 및 전,후방 회동브라켓(50)(60)이 4절의 링크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50)(60)이 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록킹해제시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50)(60)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은 하단이 상기 힌지브라켓(40)의 하부 선단에 설치되는 제1 회동축(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60)은 하단이 상기 힌지브라켓(40)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는 제2 회동축(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리벳 힌지(51)(5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60)은 상단이 상기 좌,우측 이동브라켓(20)(30)과 제3 회동축(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일측 상면에는 수개의 록킹홈(43)이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부(44)와,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록킹홈(43)과 맞물리는 록킹돌기(82)가 형성된 록커(80)와, 일단은 상기 록커(8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회동브라켓(50)에 고정되어 상기 록커(80)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록킹해제 스프링(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2 회동축(42)에 장착되어 일단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회동브라켓(60)의 전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KR1020040107110A 2004-12-16 2004-12-16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110A KR100622700B1 (ko) 2004-12-16 2004-12-16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110A KR100622700B1 (ko) 2004-12-16 2004-12-16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421A KR20060068421A (ko) 2006-06-21
KR100622700B1 true KR100622700B1 (ko) 2006-09-19

Family

ID=3716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700B1 (ko) 2004-12-16 2004-12-16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80B1 (ko) 2007-02-28 2011-10-10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807B1 (ko) * 2006-04-14 2008-06-26 최순봉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101995345B1 (ko) * 2017-07-25 2019-07-0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2041844B1 (ko) * 2018-03-26 2019-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락킹 강건성 유지 방식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CN111873879A (zh) * 2020-08-29 2020-11-03 北京现工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80B1 (ko) 2007-02-28 2011-10-10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421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0364B2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US6129421A (en) Foldable halo style headrest
JP3759907B2 (ja) 折り畳み式の背もたれを有するシート装置
EP1584514B1 (en) A neck rest for seats of automobiles
JP2009520640A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
JP3776200B2 (ja) 車両用座席
US7237843B2 (en) Folding head restraint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010089220A (ko) 승물용 테이블
EP2046600B1 (en) Seat assembly provided with an articulated-quadrilateral suppor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0622700B1 (ko)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US7618076B2 (en) Adjustable seat for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said seat
JP6524198B2 (ja) 車両用シート
JP6262451B2 (ja) 車両用シート
JP623623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229441B1 (ko) 자동차용 이동식 헤드레스트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62341A (ja) 車両用シート
JP3606181B2 (ja) 車両用シート
JP6412213B2 (ja) 車両用シート
GB2359015A (en) Stowable vehicle seat assembly
KR101039675B1 (ko) 상해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틸팅 헤드레스트
JP6691308B2 (ja) 車両用シート
CN221519554U (zh) 一种车辆座椅靠背
WO2023182310A1 (ja) 車両用ドア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