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658B1 - Two-way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Two-way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2658B1 KR100622658B1 KR1020040062525A KR20040062525A KR100622658B1 KR 100622658 B1 KR100622658 B1 KR 100622658B1 KR 1020040062525 A KR1020040062525 A KR 1020040062525A KR 20040062525 A KR20040062525 A KR 20040062525A KR 100622658 B1 KR100622658 B1 KR 1006226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main body
- mobile phone
- closed
- ope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이 개시된다. 본체와, 본체에 포함되는 액정디스플레이와, 본체와 연결되는 제1패널과, 제1패널과는 다른 면에서 본체와 연결되는 제2패널과, 제1패널 또는 제2패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다이얼버튼부와, 제1패널 또는 제2패널 중 다이얼버튼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부가서비스버튼부를 포함하되, 본체의 표면에는 통화버튼 또는 종료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은 양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게임, 음악,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버튼을 기능에 따라 분리하여 배치하므로 필요에 따라 해당 기능이 있는 조작패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작이 명료해지고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obile phone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A main body,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d in the main body, a first panel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econd panel connected to the main body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first panel, and a first panel or a second panel. And a dial button part and an additional service button part formed on the other part of the first panel or the second panel which is not formed of the dial button part, wherein at least one of a call button or an end butt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obile phon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can be operated with both hands, so that various services such as games, music, and multimedia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It can only be withdrawn and used, which makes the operation clear and prevents misoperation.
휴대폰, 양방향, 개폐방식Mobile phone, bidirectional, open / close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폰에 대한 측면도.1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1A.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폰에 대한 측면도.2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a is a side view showing a switch unit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위치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3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unit shown in FIG. 3A is press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 102 : 액정디스플레이 104 : 통화버튼100: main body 102: liquid crystal display 104: call button
106 : 종료버튼 108 : 가이드돌기106: end button 108: guide projection
200 : 제1패널 202 : 다이얼버튼부200: first panel 202: dial button portion
300 : 제2패널 302 : 부가서비스버튼부300: second panel 302: additional service button unit
502 : 누름부 504 : 지지점 506 : 연결축502: pressing part 504: support point 506: connecting shaft
508 : 스위치부 510 : 걸림돌기 512 : 걸림홈508: switch unit 510: locking projection 512: locking groov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휴대폰의 개폐방식에 관한 기술로는 플립형, 폴더형이 보편적이며, 최근에는 슬라이드형도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휴대폰을 한손으로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 덮개를 폐쇄했을 경우에는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덮개를 개방했을 경우에는 통화, 문자메세지 등 사용의 편의성을 주안점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을 이용하여 각종 게임, 음악, 멀티미디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구조에 대한 요구 또한 증대되고 있다. 즉, 종래의 휴대폰의 버튼배열은 양손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므로 휴대폰을 양손으로 잡고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이용시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As a technology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phone, a flip type and a folding type are common, and recently, a slide type is also used.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premise of using a mobile phone with one hand, and when the cover is closed, it is easy to carry, and when the cover is opened, it is developed with the convenience of using a call, a text message, and the lik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using various games, music, multimedia, and Internet services using a mobile phone has increased, and accordingly, a demand for a mobile phone structure capable of using both hands has also increased. That is, since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is not based on the use of both hands, even if the mobile phone is held with both han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eration is inconvenient when using a service such as a game.
또한 종래의 휴대폰 버튼부의 경우 모든 버튼이 하나의 조작판에 형성되어 있어 기능을 명확하게 파악하는데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경우도 있고, 휴대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오조작을 일으켜 불필요한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button part, all the buttons are formed on one operation panel, so it may be an obstacle to clearly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users who are not used to using the mobile phone may cause misoperation and cause unnecessary charges. There is.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으로 조작하 는 것이 용이하고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액정표시부의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it is easy to operate with both hands and convenient to car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 문자메세지 등 휴대폰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부와,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부를 분리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버튼부만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상 명료하고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 and clear in use by opening the button unit to separate the button unit for implementing the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such as a call, text messages, and the button unit for implement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Internet, multimedia, if necessary It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hat can prevent misoperation in adva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휴대폰은 액정디스플레이(102)와 조작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는 제1패널(200)과; 상기 제1패널(200)과는 다른 면에서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는 제2패널(300)을 포함하는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한 휴대폰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phone is formed with a
상기 본체(100)는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 중 어느 하나는 다이얼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f the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 중 어느 하나는 부가서비스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f the
상기 본체(100) 표면에 통화버튼(104) 또는 종료버튼(10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상기 본체(100)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과의 연결부위에는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은 상기 본체(100)의 홈에 대응하여 돌기, 또는 돌기에 대응하여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상기 휴대폰은 전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phone includes an electric motor, and the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의 연결부위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는 가압에 의해 걸림돌기(510)를 이동시키는 지렛대 구조의 스위치부(508)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은 상기 걸림돌기(510)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는 걸림홈(5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상기 걸림돌기(510)에는,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이 본체(100)쪽으로 삽입될 때 접하는 면에는 삽입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이 본체(100)로부터 인출될 때 접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없거나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렛대 구조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지지점(504)과 상기 지지점(504)에 탄성수단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연결축(50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에 덧붙여, 2개의 스위치부(508)와 연결되어 있어, 특정부분의 가압에 의해 스위치부(508)의 걸림돌기(510)를 각각 또는 동시에 이동시키는 누름부(5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체(100), 액정디스플레이(102), 통화버튼(104), 종료버튼(106), 가이드돌기(108), 제1패널(200), 다이얼버튼부(202), 제2패널(300), 부가서비스버튼부(302)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ure 1a.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ure 2a. 1A, 1B, 2A, and 2B, the
상기 본체에(100)는 액정디스플레이(102)가 포함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디스플레이(102) 없이 커버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 휴대폰은 양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양쪽으로 제1패널(200)과 제2패널(300)(통칭하여 '조작패널'이라 한다)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 조작패널에는 전화기능과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패널(200)은 전화다이얼용 버튼부를 포함하며, 제2패널(300)은 부가서비스버튼부(3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통상 휴대폰은 전화를 걸기 위한 전화기능과 인터넷, 게임 등을 즐기기 위한 부가서비스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operation with both hands, and the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제1패널(200)과 상기 제2패널(300)에 각각 다이얼버튼부(202)와 부가서비스버튼부(302)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각 패널에 일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부가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제1패널(200) 및 제2패널(300)에 숫자버튼부, 방향버튼부, 게임버튼부, 멀티미디어버튼부 등으로 버튼들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 버튼그룹이 제1패널(200) 또는 제2패널(300)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각 버튼부가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의 상태에 따라 2 이상의 기능을 중첩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본 휴대폰을 사용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제1패널(200) 또는 제2패널(300)만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두 패널을 모두 개방시켜 양손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손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액정표시부가 가로방향으로 놓이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이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is mobile phone, only the
한편 상기 본체(100) 표면에도 통화버튼(104)과 종료버튼(106)이 포함되어 있는데, 휴대폰의 통화버튼(104)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하고자 할 때 사용되지만 직전에 통화했던 번호로 재발신 하고자 할 경우에도 사용되며, 종료버튼(106)의 경우 통화를 마칠 때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자 할 때에도 사용되므로, 다른 버튼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는 통화버튼(104)과 종료버튼(106)을 제1패널 (200)이나 제2패널(300)이 아닌 본체(100)에 형성하여 조작부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일반적으로 전화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인 문자메세지 전송을 위한 버튼을 본체(100)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refore, for convenience of use, the
상기 조작패널들은 본체(100)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와 조작패널들의 연결부위에는 한쌍의 대응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평소에는 본체(100)쪽으로 조작패널들이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시 인출된다. 따라서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패널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패널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The operation panels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본 발명 조작패널들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 및 디자인의 측면에서 폴더형, 회전형 등으로 결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opera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coupl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lide movem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an be combined in a clamshell, a rotary type, etc. in terms of function and desig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폰은 수동으로 양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조작패널들의 개폐가 가능하나, 상기 본체 또는 조작패널 중 일부분에 전동기(미도시)를 결합하고 상기 전동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동기를 작동시켜 조작패널, 즉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on panels by bidirectional slide movement, but a switch capable of coupling an electric motor (not shown) to the main body or a part of the operation panel and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not shown). By installing the switch,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switch so that the operation panel, that is, the
이를 위해서는 휴대폰과 조작패널 간의 연결부위에 톱니 또는 스크류를 형성 하고 상기 톱니 또는 스크류를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시키는 방법, 휴대폰과 조작패널을 힌지구조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구조를 전동기에 의해 회전시키는 방법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휴대폰과 조작패널 간의 연결수단에 전동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o this end, a tooth or a screw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operation panel, and the tooth or screw is reciprocated by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It is apparent that the metho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y coupling an electric motor to a connection means between a mobile phone and an operation panel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1패널(200) 또는 상기 제2패널(300)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수단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휴대폰의 조작패널은 사람의 조작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되므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 및 조작패널에 한쌍의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편의성의 측면에서는 본체(100)와 조작패널의 연결부위에 탄성수단이 개재되어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개폐방식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elastic means is interposed between the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스위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위치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누름부(502), 지지점(504), 연결축(506), 스위치부(508), 걸림돌기(510), 걸림홈(512)이 도시되어 있다.3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witch unit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switch unit illustrated in FIG. 3A. 3A and 3B,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폰의 본체(100)와 조작패널의 연결부위에는 사용의 편의상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스위치의 조작으로 자동으로 열리고 수동으로 닫히는 방식, 수동으로 열고 스위치의 조작으로 자동으로 닫히는 방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식 등 탄성수단을 이용한 개 폐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자동으로 열리고 사용 후 수동으로 가압하여 닫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도 3a 및 도 3b는 이러한 개폐방식의 일 구성요소인 스위치부(508)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100)에는 일단부에 걸림돌기(510)를 포함하는 연결축(506)이 본체(100)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점(50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축(506)의 타단부에 스위치부(508)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506)은 지지점(50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부(508)를 가압하여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연결축(506)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510)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3A and 3B show a
한편, 조작패널을 폐쇄하여 본체(100)쪽으로 삽입할 경우 조작패널의 본체(100)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5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5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508)를 가압하여 조작패널에 걸려있던 걸림돌기(510)를 이동시키게 되면 조작패널은 본체(100)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Meanwhile, when the operation panel is closed and inserted into the
상기 걸림돌기(510)에는 조작패널과 접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사면이 형성되며, 조작패널이 본체(100)쪽으로 삽입될 때 접하는 면에는 삽입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조작패널이 본체(100)로부터 인출될 때 접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없거나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작패널을 삽입할 때에는 조작패널이 상기 걸림돌기(510)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받지 않도록 하고, 조작패널을 완전히 삽입하여 폐쇄된 후에는 조작패널과 본체(100) 사이에 개 재된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패널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기하기 위함이다.The locking
상기 연결축(506)과 지지점(504)은 탄성수단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부(508)를 가압하여 걸림돌기(510)가 이동된 후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야 조작패널을 폐쇄했을 때 자동으로 열리지 않고 다시 스위치부(508)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위치부(508)를 가압할 때 연결축(50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개재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조작패널이 2개이므로 스위치부(508) 또한 2개가 형성된다. 이 경우 2개의 스위치부(508)를 연결하는 누름부(502)를 추가로 결합하고 특정 스위치부(508)에 대응되는 위치의 누름부(502)를 가압하면 해당 스위치부(508)만 작동되고, 누름부(502)의 중간위치를 가압하면 2개의 스위치부(508)가 모두 작동되어 편의성이 증대된다.Since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wo operation panels, tw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을 양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게임, 음악,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operate the mobile phone with both hands, so that various services such as games, music, and multimedia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또한, 휴대폰의 버튼을 기능에 따라 분리하여 배치하므로 필요에 따라 해당 기능이 있는 조작패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인과 같이 휴대 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있어서 조작의 명료해지고 필요 없는 기능버튼을 누르게 되는 등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ttons of the mobile phone are separated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nly the operation panel hav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withdrawn and used as needed, which makes the operation clear and unnecessary for users who are not used to using the mobile phone such as the elderly. Misoperation such as pressing a function butt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25A KR100622658B1 (en) | 2004-08-09 | 2004-08-09 | Two-way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25A KR100622658B1 (en) | 2004-08-09 | 2004-08-09 | Two-way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906A KR20060013906A (en) | 2006-02-14 |
KR100622658B1 true KR100622658B1 (en) | 2006-09-14 |
Family
ID=3712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2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658B1 (en) | 2004-08-09 | 2004-08-09 | Two-way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26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61191A (en) * | 2018-12-20 | 2019-04-0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Press key expansion device, terminal, key expan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CN109714460A (en) * | 2018-12-20 | 2019-05-03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Press key expansion device, terminal, key expan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4219A (en) * | 2005-12-16 | 2007-06-20 | 백남용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KR100707696B1 (en) * | 2006-03-10 | 2007-04-16 | 주식회사 엠투시스 | Bidirectional sliding switch for communication terminal |
KR100822994B1 (en) * | 2007-06-14 | 2008-04-16 |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Dual sleep video c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2004
- 2004-08-09 KR KR1020040062525A patent/KR1006226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61191A (en) * | 2018-12-20 | 2019-04-0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Press key expansion device, terminal, key expan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CN109714460A (en) * | 2018-12-20 | 2019-05-03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Press key expansion device, terminal, key expan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906A (en) | 2006-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16197B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01795544B (en) |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hinge unit | |
EP1806909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 |
KR200367293Y1 (en) | Up and down direction slide mobile terminal | |
KR100640452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100622658B1 (en) | Two-way mobile phone | |
KR100693641B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ody and slide cover spread horizontally | |
CN101277321B (en) | Mobile terminal | |
KR100619270B1 (en) | Sliding-sw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75176B1 (en) | Display devic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81875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with keypad raised horizontally against slide cover | |
JP2009177343A (en) | Hinge module for rotary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0396211Y1 (en) | Rotatable sliding apparatus, and Mobile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 |
KR100719002B1 (en) | Bidirectional Multislide Handheld Terminal | |
KR20090125624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JP2012070114A (en) | Portable device, and engagement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 |
KR10068720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xiliary display | |
KR100866391B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KR100628633B1 (en) | Swing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09759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ouble-sided key input | |
KR100874765B1 (en) | Combined device of integrated mobile phone that can rotate and slide | |
KR200396210Y1 (en) | Rotatable sliding apparatus, and Mobile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 |
KR200374463Y1 (en) | Stopper for sliding assembly of portable phone | |
KR20090002525A (en) | Switchgear structure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is structure | |
KR10069356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otate two divided bodies at a certain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