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391B1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6391B1 KR100866391B1 KR1020070119134A KR20070119134A KR100866391B1 KR 100866391 B1 KR100866391 B1 KR 100866391B1 KR 1020070119134 A KR1020070119134 A KR 1020070119134A KR 20070119134 A KR20070119134 A KR 20070119134A KR 100866391 B1 KR100866391 B1 KR 100866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guide
- stopper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통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tes to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lide in both vertical directions.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 화면, 카메라, 스피커 등이 구비된 제2 부재를 키패드와 배터리가 구비된 제1 부재 상에서 밀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hich opens and cl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ushing a second member including a screen, a camera, a speaker, and the like on the first member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batte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
상기의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각각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서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드 된다.I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lide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slide with each other.
도 1을 참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살펴보면,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제1 부재(110)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슬라이딩되고 화면(122)과 기능키(123)가 구비되는 제2 부재(120)에 체결되는 이동 플레이트(121)가 구비된다. Looking at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pplied to the
여기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11)와 이동 플레이트(121)를 탄성 지지하고 신 축되는 액튜에이터(130)가 구비되어 상기 액튜에이터(1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개폐되도록 한다.Herein, a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살펴보면,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20)가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2 부재(120)가 위로 올려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패드들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될 수 밖에 없다.However, looking at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MP3, DMB, 카메라와 같이 각종 기능들이 부가됨으로써, 부가되는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서 더 많은 키패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하여야 한다.Recently, as various functions such as MP3, DMB, and camera are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keypads have to b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n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manipulate the added function.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부재(120)가 한 방향, 즉 위로 올려지는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제2 부재(120)의 이동으로 인하여 드러나는 공간이 제1 부재(110)의 하부측 상부면으로 한정적이어서, 더 많은 수의 키패드를 구비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However, the
또한, 제2 부재(120)이 상부면에는 화면(122)과 함께 통상적으로 각종 기능키(123)들이 배치되는데, 화면(122)과 각종 기능키(123)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화면(122)의 크기를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화면(122)의 크기를 크게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의 상부의 상부면도 외부로 드러나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lide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ls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1 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2 부재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링크와, 신축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상에서 이동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고정 플레이트의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한다.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vable plate slid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 rotary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able pl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elastically forme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plate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the actuator sliding the moving plate on the fixed plate, and position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moving plate at a fixed position of the fixed plate.
상기 위치제어수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안내자와, 상기 안내자를 안내홈의 정해진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control means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movable plat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ovable plate, a guide fixed to the fixed plate and sliding i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A stopper for selectively stopp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상기 안내홈의 일측으로 안내홈과 수직하게 스 토퍼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선단부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홈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장착홈에 탄력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자와 접촉하여 상기 안내자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stopper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movable plate to the side of the guide groove perpendicular to the guide groove, the stopper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is curved and the tip end of the stopper is exposed to the guide groove It is preferred that the mounting groove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tip of the stopper contacts the guide to restrain the guide.
상기 스토퍼의 선단의 양측단에는 상기 안내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stopper so that the guide may be seated.
상기 안내자의 외측에는 상기 안내홈에 접하여 상기 안내홈에서 주행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ide of the guid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ller running in the guide groove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신장시 상기 회전링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단턱지게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의 내부에 상기 회전링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plate has an operating groove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movable plate to limit the angle at which the rotary link rotates and to support the rotary link when the actuator is extended, and the rotary link is formed inside the operat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부재의 하부측 상부면 뿐만 아니라, 상부측의 상부면도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추가로 외부로 드러나는 제1 부재의 상부측 상부면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키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 firs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arrange additional function keys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member.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던 각종 기능키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pace for arranging various function key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cur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cre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2A to 2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mobile communication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terminal, and FIGS. 5 to 9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10)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의 하부면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2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와 이동 플레이트(20)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20)를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30)와, 일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링크(4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20)를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한다.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10) faste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a second memb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moving
고정 플레이트(10)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 부재(2)의 상부면에 체결된다.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통상적으로 키패드(4), 배터리 등이 장착되는 제1 부재(2)의 상부면에 고정 플레이 트(10)를 체결하도록 한다.The fixing
상기 고정 플레이트(10)는 일정한 면적을 갖고 다수의 체결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이용하여 고정 플레이트(10)를 제1 부재(2)에 체결한다.The fixing
이동 플레이트(20)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제2 부재(3)의 하부면에 체결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20)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화면(5), 기능키(6), 스피커 등이 장착되는 제2 부재(3)의 하부면에 일정한 면적을 갖고 다수의 체결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20)가 제2 부재(3)의 하부면에 체결된다.The moving
여기서, 이동 플레이트(2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가이드 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 가이드 레일(2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홈(11)의 내부에 가이드 레일(21)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20)는 고정 플레이트(10)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Here, the moving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와 이동 플레이트(20)의 사이에는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20)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액튜에이터(30)가 구비된다.An
액튜에이터(30)는 신축(伸縮)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신축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20)를 고정 플레이트(10)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예컨대, 액튜에이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과, 상기 하 우징(31)의 양단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더(32)와, 상기 슬라이더(32)를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32)를 탄력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3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항상 외측으로 신장되려 한다.The
이러한, 액튜에이터(30)는 양단이 각각 고정 플레이트(10)와 이동 플레이트(20)이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과 상기 액튜에이터(30)에 의해서, 고정 플레이트(10) 상에서 이동 플레이트(20)를 슬라이딩시키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서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20)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의 위치에서, 도 2c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를 제1 부재(2)에 대하여 아래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와 액튜에이터(30) 사이에 회전링크(41)가 개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mber of the
회전링크(41)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41)에 액튜에이터(30)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신축과 더불어 상기 회전링크(41)가 회전함으로써,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회전링크(41)는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 정해진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링크(41)와 액튜에이터(30)가 연동하여 상기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4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신축시 액튜에이터(30)를 지지하게 위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는 이동 플레이트(20)의 상부면과 단턱지게 형성된 작동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24)의 내부에 회전링크(41)가 구비되도록 한다.Here,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위치제어수단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상에서 이동 플레이트(20)가 평상시의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플레이트(20)가 평상시의 상태(도2a와 같이 제2 부재가 제1 부재와 포개어진 상태), 이동 플레이트(20)가 상승한 상태(도 2b와 같이 제2 부재가 제1 부재에 대하여 위로 올려진 상태), 이동 플레이트(20)가 하강한 상태(도 2c와 같이 제2 부재가 제1 부재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진 상태)를 각각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In the position control means, the
이를 위하여, 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안내홈(22)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홈(22)에서 주행하는 안내자(12)와, 상기 안내자(12)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4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osition control means includes a
안내홈(22)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내부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로 형성된다. The
안내자(1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홈(22)의 내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22)의 내부에서 상기 안내홈(22)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되는 바, 상기 안내자(12)를 중심으로 안내홈(22)이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안내자(12)의 외측으로는 롤러(13)를 구비하 여, 상기 안내자(12)가 안내홈(22)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22)의 길이와 안내자(12)의 위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0)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이동 플레이트(20)의 상한과 하한에 맞게 결정한다. 즉, 상기 안내홈(22)의 하단에 안내자(12)가 위치하면 이동 플레이트(20)가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최대로 위로 슬라이딩한 상태가 되고, 상기 안내홈(22)의 상단에 안내자(12)가 위치하면 이동 플레이트(20)가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최대로 아래로 슬라이딩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안내홈(22)이 길이와 안내자(12)의 위치가 각각 결정된다.Here, the length of the
스토퍼(42)는 이동 플레이트(20)에 탄력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안내자(12)가 상기 안내홈(22)에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42)는 이동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스토퍼 장착홈(23)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42)의 선단이 상기 안내홈(22)의 중심축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안내자(12)가 정해진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스토퍼 장착홈(23)은 상기 안내홈(22)의 일측으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안내홈(2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스토퍼 장착홈(23)에 스토퍼(42)가 탄성부재(43)를 이용하여 탄력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42)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홈(22)의 중심축을 향해 노출되도록 한다.The
상기 스토퍼(42)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고, 만곡 된 부분이 상기 안내홈(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안내자(12)가 상기 스토퍼(42)의 만곡된 부분이 일종의 턱과 같은 역할을 하거나 캠과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안내자(12)가 스토퍼(42)의 양단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42)의 선단부가 상기 안내홈(22)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스토퍼(42)의 선단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곡선과 상기 안내홈(22)에 의해서 형성된는 직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상기 안내자(12)가 멈출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스토퍼(42)는 선단부의 양측단에 각각 오목하게 안착홈(42a, 4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안착홈(42a, 42b)에 안내자(12)가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안착홈(42a, 42b)은 상기 안내자(12) 또는 롤러(1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자(12)가 스토퍼(42)에 의해 정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동통신 단말기(1)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상시의 상태, 즉 대기 상태에서는 제1 부재(2)의 상부에 제2 부재(3)가 포개져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의 액튜에이터(30)가 신장하려 하기 때문에 이동 플레이트(20)를 고정 플레이트 상에서 밀어 올리려 한다. 상기 액튜에이터(30)에 의해서, 상기 액튜에이터(30)의 타단에 연결된 회전링크(41)의 일측단은 작동홈(24)의 내측벽에 접하고,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신장시 액튜에이터를 지지하게 된다. 타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액튜에이 터(30)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20) 및 제2 부재(3)를 아래로 밀어 내려 한다.In the normal state, that is, the standby state, as shown in FIG. 2A, the
하지만, 상기 스토퍼(42)에 의해서 상기 안내자(12)가 구속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20)는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계속해서 도 5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액튜에이터(30)에 의해서, 이동 플레이트(20)는 아래로 내려가려 하지만, 상기 안내홈(22)으로 선단부가 노출된 스토퍼(42)에 의해서 상기 안내자(12)는 정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된 안착홈(42a)에 안내자(12)가 위치함으로써, 안내자(12)는 안내홈(22)의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owever, as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부재(3)를 밀어 올리면,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액튜에이터(30)를 일시적으로 압축하였다가 최대로 압축된 일종의 임계상태(도 6 참조)를 통과하면, 상기 액튜에이터(30)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2 부재(3)가 위로 슬라이딩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up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부재(3)를 밀어올리기 시작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작용력이 상기 액튜에이터(3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므로, 일부 신장되어 있던 액튜에이터(30)는 슬라이더(32)가 하우징(31)의 내부로 삽입되어 더 압축된다. 이후 계속해서 제2 부재(3)를 밀어 올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30)는 최대로 압축된 일종의 임계상태가 되고, 이 상태를 넘어가면, 압축된 액튜에이터(30)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2 부재(3)를 밀어 올리지 않아도 제2 부재(3)가 위로 슬라이딩 된다. 즉, 상기 액튜에이터(30)는 계 속해서 신장되려하므로, 상기 액튜에이터(30)가 신장하면서 상기 안내자(12)가 안내홈(22)의 하단에 위치할 때까지 제2 부재(3)가 위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c와 같은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starts to push up the
한편, 상기 제2 부재(3)가 위로 슬라이딩되려는 상태에서는 액튜에이터(30)는 계속해서 신장되려하므로, 상기 회전링크(41)를 작동홈(24)의 측벽에 접하여 상기 액튜에이터(30)의 신장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member (3) is to slide up, the
이와 같이, 제2 부재(3)가 위로 슬라이딩되어 제1 부재(2)의 하부에 마련된 키패드(4)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키패드(4)를 이용하여 통화, SMS 전송을 위한, 전화번호,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한편, 상기의 역과정, 즉 대기 상태에서 제2 부재(3)를 위로 슬라이딩시키는 과정의 역순을 통하여 제2 부재(3)를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a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아래로 이동시켜 제1 부재(2)의 상부에 제2 부재(3)를 위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reverse process of the above, that is, the process of sliding the
특히, 상기 제2 부재(3)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상기 안내자(12)가 안내홈(22)의 상단이 가까운 중간부분에 위치하지만, 상기 스토퍼(42)의 선단부가 안내홈(22)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안내자(12)가 안내홈(22)의 상단에 접하지 않고, 스토퍼(42)의 안착홈(42a)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이동통신 단말기(1)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상시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을 통하여, 제1 부재(2)에 대하여 제2 부재(3)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부재(2) 상부면에 추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 로 구비된 추가 기능키(7)가 노출되도록 한다.In the usual state as the
사용자가 제2 부재(3)를 아래로 밀어 내리면,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안내자(12)가 스토퍼(42)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42)는 스토퍼 장착홈(23)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력지지되어 있는 상태로써,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안내자(12)가 상기 스토퍼(42)를 밀어내도록 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자(12)는 상기 안내홈(22)에서 상기 스토퍼(42)의 선단부에서 최대로 돌출된 부분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제2 부재(3)를 아래로 내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22)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홈(22)과 안착홈(42b)에 의해 구속된다.When the user pushes down the
사용자가 제2 부재(3)를 내리기 시작하여, 안내자(12)가 스토퍼(42) 만곡부의 정상부분에 도달하기 전까지, 즉 도 5의 도시된 상태에서 도 8의 상태가 되기까지만 제2 부재(3)를 내리면, 이후의 구간에서는 상기 스토퍼(42)의 형상이 만곡되어 있고 탄성부재(43)가 계속해서 스토퍼(42)를 안내홈(22)으로 밀어내려 하므로, 상기 스토퍼(42)가 안내홈(22)의 내부로 전진하면서 상기 안내자(12)가 안착홈(42b)에 안착되도록 한다.The user starts to lower the
이때, 상기 액튜에이터(30)는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플레이트(20)가 아래로 내려질 때, 상기 액튜에이터(30)의 타단이 상기 회전링크(41)를 잡아당겨 상기 회전링크(41)는 작동홈(24)의 내부에서 회전한다.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따라서, 제2 부재(3)가 아래로 내려질 때에는 액튜에이터(30)의 탄성부 재(33)에 의하지 않고, 스토퍼(42)에 장착된 탄성부재(43)에 의해서 제2 부재(3)가 아래로 내려진다.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 9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20)가 아래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아래로 이동한다.Through such a pro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and the mov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상기와 같이, 제2 부재(3)가 제1 부재(2)에 대하여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부재(2)의 상부면 중에서 상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1 부재(2)에 추가로 노출되는 부분이 생김으로써, 추가로 노출되는 부분에 각종 추가 기능키(7), 예컨대, MP3 조작스위치, DMB 조작스위치 등과 같이, 각종 추가 기능키(7)를 배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제2 부재(3)에서 화면(5)과 동일 평면에 배치된 기존의 기능키(4)들 중에서 일부를 새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부재(2)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도 화면(5)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Meanwhile, by moving a part of the existing
제2 부재(3)를 원래의 위치로 하려면, 사용자는 제2 부재(3)를 위로 올리게 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서, 앞서 설명한 과정의 반대의 과정에 의해서, 상기 안내자(12)가 스토퍼(42)를 타고 넘게 된다. 상기 안내자(12)가 스토퍼(42)를 타고 넘게 되면, 다시 안내자(12)는 스토퍼(42)와 안내홈(22)이 접하는 위치, 즉 스토퍼(42)의 안착홈(42a)에 위치하게 되어 초기의 상태인 도 2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o return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대기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위로 올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의 사시도.2A to 2C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and FIG. 2B is a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ised upward.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e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e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5 내지 도 9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5 to 9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포개어진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tack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2 부재가 위로 올려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이며,6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is lifted u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2 부재가 위로 올려진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이고,7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is lifted u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8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2 부재가 아래로 내려지고 있는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이며,8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ember is lowered d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9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2 부재가 아래로 내려진 상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ember is lowered d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이동통신 단말기 2 : 제1 부재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first member
3 : 제2 부재 4 : 키패드3: second member 4: keypad
5 : 화면 6 : 기능키5: screen 6: function key
7 : 추가 기능키 10 : 고정 플레이트7: additional function key 10: fixed plate
11 : 가이드홈 12 : 안내자11: guide home 12: guide
13 : 롤러 20 : 이동 플레이트13: roller 20: moving plate
21 : 가이드 레일 22 : 안내홈21: guide rail 22: guide groove
23 : 스토퍼 장착홈 24 : 작동홈23: stopper mounting groove 24: operating groove
30 : 액튜에이터 31 : 하우징30
32 : 슬라이더 33 : 탄성부재32: slider 33: elastic member
41 : 회전링크 42 : 스토퍼41: rotary link 42: stopper
42a, 42b : 안착홈 43 : 탄성부재42a, 42b: seating groove 43: elastic member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제1 부재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irst member
111 : 고정 플레이트 112 : 키패드111: fixing plate 112: keypad
120 : 제2 부재 121 : 이동 플레이트120: second member 121: moving plate
122 : 화면 123 : 기능키122: screen 123: function keys
130 : 액튜에이터130: actuato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134A KR100866391B1 (en) | 2007-11-21 | 2007-11-21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134A KR100866391B1 (en) | 2007-11-21 | 2007-11-21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6391B1 true KR100866391B1 (en) | 2008-11-03 |
Family
ID=4028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1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391B1 (en) | 2007-11-21 | 2007-11-21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3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3098A1 (en) * | 2009-02-12 | 2010-08-19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3343A (en) * | 2005-11-01 | 2006-02-09 | 백남용 | Up and down direction slide mobile terminal |
KR20060019213A (en) * | 2004-08-27 | 2006-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KR20060114085A (en) * | 2005-04-27 | 2006-11-06 | 주식회사 팬택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2007
- 2007-11-21 KR KR1020070119134A patent/KR1008663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9213A (en) * | 2004-08-27 | 2006-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KR20060114085A (en) * | 2005-04-27 | 2006-11-06 | 주식회사 팬택 |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KR20060013343A (en) * | 2005-11-01 | 2006-02-09 | 백남용 | Up and down direction slide mobile termina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3098A1 (en) * | 2009-02-12 | 2010-08-19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7673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mploying same | |
KR100518168B1 (en) | Sliding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
KR100735304B1 (en) | Slid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761527B1 (en) | Sliding device of mobile phone | |
KR100866391B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US20090239594A1 (en) |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25749Y1 (en) | Slide type mobile phone | |
KR100573452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20000014986A (en) | Cover switch for flip type radio telephone | |
KR10135148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70071B1 (en) | Cell phone | |
KR20060081875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with keypad raised horizontally against slide cover | |
KR101221342B1 (en) | Slide hinge for portable device | |
JP2009177343A (en) | Hinge module for rotary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machine and portable terminal machine using it | |
KR200214829Y1 (en) | Slider Type Hand-help Phone with moving LCD Part | |
KR101038930B1 (en) |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970250B1 (en) | Keypad Lift for Sliding Handheld Terminal | |
KR100939195B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KR200350570Y1 (en) |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100596917B1 (en) | Slide structur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40107153A (en) | Sliding means of mobile phone for slide type and thereof method | |
KR20060031729A (en)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083531A (en) | Apparatus for operating bodies of a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20070118404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ing in four directions | |
KR100721178B1 (en) | Sliding device of mobi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