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2568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68B1
KR100622568B1 KR1020030078470A KR20030078470A KR100622568B1 KR 100622568 B1 KR100622568 B1 KR 100622568B1 KR 1020030078470 A KR1020030078470 A KR 1020030078470A KR 20030078470 A KR20030078470 A KR 20030078470A KR 100622568 B1 KR100622568 B1 KR 10062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input
letter
sequ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548A (ko
Inventor
강윤기
강훈기
Original Assignee
강윤기
강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기, 강훈기 filed Critical 강윤기
Priority to KR102003007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5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각 키에 할당된 문자중에서 그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를 기능키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제 1 및 제 2 기능키와, N개의 문자가 각각 할당된 단축키가 배치되어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단축키에 각각 할당된 N-1번째 문자는 해당 키를 길게 눌러 입력하고, N번째 문자는 해당 키를 길게 누르고나서 다시 짧게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일본어, 기능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게누름을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의 흐름도.
도 3은 기능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의 원리도.
도 4는 각 키마다 소정개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일반적인 휴대용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용 단말기 120: 표시부
140: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각 키에 할당된 문자중에서 그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를 기능 키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휴대용단말기는 기본적인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문자 메시지 작성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휴대폰(100)의 전면하부에 배치된 키패드(140)에는 소정개수의 일문자가 각 키마다 할당되어 있다. 숫자키「1」에는 「あ,い,う,え,お」, 숫자키「2」에는 「か,き,く,け,こ」, 숫자키「3」에는 「さ,し,す,せ,そ」, 숫자키「4」에는 「た,ち,つ,て,と」, 숫자키「5」에는 「な,に,ぬ,ね,の」, 숫자키「6」에는 「は,ひ,ふ,へ,ほ」, 숫자키「7」에는 「ま,み,む,め,も」, 숫자키「8」에는 「や,ゆ,よ, ″,°」, 숫자키「9」에는 「ら,り,る,れ,ろ」, 숫자키 「0」에는 「わ,を,ん, ·, 一」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어 'えんとつ'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1」을 4회 누르고('え' 입력), 숫자키「0」을 3회 누르고('ん' 입력), 숫자키「4」를 5회 누르고('と' 입력), 숫자키「4」를 3회 누르면 된다('つ' 입력).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문자입력 방법에서는 소정의 일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키를 수회 눌러야 하기 때문에 문자입력 시간이 길어지며 오타가 발생하기도 쉽다. 더욱이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예를 들면, 'えんとつ'의 경우에 'え' 와 'と'는 각각 숫자키「1」을 4회 및 숫자키「4」를 5회 눌러야 함)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각 키에 할당된 문자중에서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를 기능키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은 각 키마다 N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N개의 문자들은 각키 내에서 서열을 가지며, 상기 각 서열 문자마다 고유한 키조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서열 N-1 번째의 문자는 해당키를 길게 눌러 입력하고, 상기 서열 N번째의 문자는 해당키를 길게 누르고나서 다시 짧게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와, 각 키마다 N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N개의 문자들은 각키 내에서 서열을 가지며 상기 각 서열 문자마다 고유한 키조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서열 N-1번째의 문자는 해당 키를 1회 누르고나서 상기 기능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상기 서열 N번째의 문자는 해당 키를 1회 누르고나서 상기 기능키를 2회 눌러 입력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유한 키조작은 해당 키의 누름횟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서열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는 다중타 방식의 키조작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축키에 각각 할당된 서열 N-1번째 문자는 え, け,せ,て,ね,へ,め,れ 이고, 상기 단축키에 각각 할당된 서열 N번째 문자는 お,こ,そ,と,の,ほ,も,ろ 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와, 일문자와 영문자가 각 키에 할당된 단축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기능키를 짧게 눌러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사이를 또는 제 3 모드와 제 4 모드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눌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3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일문자의 히라가나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일문자의 가다카나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영문자의 소문자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4 모드는 상기 영문자의 대문자 입력 모드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일문자의 탁음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일문자의 반탁음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숫자 입력 모드이고, 상기 제 4 모드는 기호 입력 모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여러 문자중에서 일본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게누름을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기능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방법의 원리도이다. 도 4 는 각 키마다 소정개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일반적인 휴대용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에서는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의 입력시 해당 키를 길게누름으로써 빠르게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숫자키 할당된 문자(회) 1 2 3 4 5 길게누름 다시 짧게누름
1 あ,い,う,え,お
2 か,き,く,け,こ
3 さ,し,す,せ,そ
4 た,ち,つ,て,と
5 な,に,ぬ,ね,の
6 は,ひ,ふ,へ,ほ
7 ま,み,む,め,も
8 や,ゆ,よ,″,° °
9 ら,り,る,れ,ろ
0 わ,を,ん,·,一 ·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숫자키에 있어서 4번째 할당된 문자는 해당 키를 길게 눌러 입력하고, 5번째 할당된 문자는 해당 키를 길게 누르고나서 다시한번 짧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あえ'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 「1」을 1회 누르고 나서('あ' 입력), 숫자키「1」을 길게 누르면('え' 입력) 입력되기 때문에 종래('あ' 입력(1회)+ 'え' 입력(4회)= 5회) 보다 적은 횟수인 2 회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 'えお'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1」을 길게 누르 고 나서('え' 입력), 숫자키「1」을 길게누르고 나서 다시 짧게 누르면('お' 입력) 입력되기 때문에 종래('え' 입력(4회)+ 'お' 입력(5회) = 9회) 보다 적은 횟수인 3회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적은 횟수의 키를 이용하여 해당 문자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도 1에 간략히 설명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속해있는 숫자키를 길게 누르고 나서(S10) 다시한번 누르지 않으면(S20), 해당 숫자키에 할당된 4번째 문자가 입력된다(S30). 예를 들면, 숫자키「1」을 길게 누르면 문자 'え'가 입력된다.
또한, 단계(S20)에서 다시한번 해당키를 짧게 누르면 5번째 할당된 문자가 입력된다(S40). 예를 들면, 숫자키「1」을 길게 누르고나서 다시한번 짧게 누르면 문자 'お'가 입력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에서는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의 입력시 기능키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숫자키 할당된 문자(회) 1 2 3 4 5 기능키 1회 기능키 2회
1 あ,い,う,え,お
2 か,き,く,け,こ
3 さ,し,す,せ,そ
4 た,ち,つ,て,と
5 な,に,ぬ,ね,の
6 は,ひ,ふ,へ,ほ
7 ま,み,む,め,も
8 や,ゆ,よ,″,° °
9 ら,り,る,れ,ろ
0 わ,を,ん,·,一 ·
종래와 같이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 예를 들어 숫자키「1」에 할당된 문자 え,お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1」을 각각 4회 또는 5회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문자입력 시간이 길어졌다. 그러나,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능키(바라직하게는, 기능키「*」)을 이용하여 일문자 'え' 또는 'お'를 입력하면 문자입력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즉, 숫자키「1」을 누르고 나서(즉 'あ' 상태에서) 기능키「*」을 1회 누르면 상기 문자 'あ' 가 'え'로 변환되어 입력되며, 또한 숫자키「1」을 누르고 나서(즉 'あ' 상태에서) 기능키「*」를 2회 누르면 상기 문자 'あ'가 'お'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따라서, 종래보다 적은 횟수의 키를 이용하여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도 2에 간략히 설명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속해있는 숫자키를 누르면 된다(S10'). 예를 들면, 문자 'え'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え'가 속해있는 숫자키(즉, 숫자키「1」)를 누르면 된다.
다음, 기능키를 누르는 회수에 따라 4번째 또는 5번째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 된다(S20').
단계(S20')에서 기능키「*」를 1회 누른 경우에는 4번째 할당된 문자가 입력되고(S30'), 기능키「*」를 2회 누른 경우에는 5번째 할당된 문자가 입력된다(S40 ').
또한, 상기 기능키「*」외에 기능키「#」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어의 히라가나(소문자)와 가다카나(대문자)간의 전환 및 영어 대소문자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히라가나를 입력하다가 가다카나로 전환하기 위해서 별도의 메뉴 폴더로 들어갈 필요없이 기능키「#」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가다카나로 전환된다. 물론, 상기 기능키「#」를 다시 누르면 원래의 히라가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히라가나 또는 가다카나를 입력하던 중에,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누르면 자동적으로 영어 소문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다시 상기 기능키「#」를 짧게 누르면 영어 대문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능키「#」를 다시 누르면 원래의 영어 소문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라가나<->가다카나, 영어소문자<->영어대문자 대신에, a)한글<->영어소문자, 숫자 <->기호, b)히라가나<->가다카나, 영어대문자<->영어소문자, c)탁음<->반탁음, 숫자<->기호, d)한문<->영어소문자, 숫자<->기호 등이 상기 기능키「#」를 이용하여 전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키(여기에서는 「#」)에 여러모드로의 전환 기능을 부 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라가나와 가다카나간 또는 영어 소문자와 대문자간에는 상기 기능키「#」를 짧게 눌러 전환하고, 상기 히라가나(가다카나)와 영어소문자(대문자)간에는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눌러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해당 언어의 전환 및 대소문자의 전환시 메뉴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키에 할당된 문자중에서 누름횟수가 많이 요구되는 문자(예를 들면, 각 키마다 5개의 문자가 할당된 경우에는 4번째와 5번째 문자)를 해당 키를 길게누르거나 기능키를 이용함으로써 종래보다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휴대용단말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각 키에 소정개수의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어떠한 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본어는 예로서 다른 언어(예를 들면, 러시아어, 영어 등)의 문자입력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형태와 상세에 있어 다른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각 키마다 N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N개의 문자들은 각키 내에서 서열을 가지며, 상기 각 서열 문자마다 고유한 키조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서열 N-1 번째의 문자는 해당키를 길게 눌러 입력하고, 상기 서열 N번째의 문자는 해당키를 길게 누르고나서 다시 짧게 눌러 입력하는 방법.
  2.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와, 각 키마다 N개의 문자가 할당되고 상기 N개의 문자들은 각키 내에서 서열을 가지며 상기 각 서열 문자마다 고유한 키조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서열 N-1번째의 문자는 해당 키를 1회 누르고나서 상기 기능키를 1회 눌러 입력하고, 상기 서열 N번째의 문자는 해당 키를 1회 누르고나서 상기 기능키를 2회 눌러 입력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키조작은 해당 키의 누름횟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서열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는 다중타 방식의 키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에 각각 할당된 서열 N-1번째 문자는 え,け,せ,て,ね,へ,め,れ 이고,
    상기 단축키에 각각 할당된 서열 N번째 문자는 お,こ,そ,と,の,ほ,も,ろ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와, 일문자와 영문자가 각 키에 할당된 단축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기능키를 짧게 눌러 상기 일문자의 히라가나 입력 모드와 상기 일문자의 가다카나 입력 모드 사이를 또는 상기 영문자의 소문자 입력 모드와 상기 영문자의 대문자 입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눌러 상기 일문자의 히라가나 입력 모드와 상기 영문자의 소문자 입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와, 일문자와 영문자가 각 키에 할당된 단축키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으로서:
    상기 기능키를 짧게 눌러 상기 일문자의 탁음 입력 모드와 상기 일문자의 반탁음 입력 모드 사이를 또는 숫자 입력 모드와 기호 입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눌러 상기 일문자의 탁음 입력 모드와 상기 숫자 입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항, 7항, 및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는 「*」또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78470A 2003-11-06 2003-11-0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70A KR100622568B1 (ko) 2003-11-06 2003-11-0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70A KR100622568B1 (ko) 2003-11-06 2003-11-0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48A KR20050043548A (ko) 2005-05-11
KR100622568B1 true KR100622568B1 (ko) 2006-09-13

Family

ID=3724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568B1 (ko) 2003-11-06 2003-11-06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48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2466A (ko)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100769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JP3285821B2 (ja)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100622568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516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00041317A (ko) 한글 영문 입력장치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0455773B1 (ko)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289579Y1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시스템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20030081862A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방법
KR100888795B1 (ko) 키 입력 장치
JP2002163067A (ja) 携帯電話機等の操作ボタン
KR1006526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867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하는 알파벳입력방법
JP2002251252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文字表示方法
KR20040033691A (ko) 영문입력을 위한 휴대폰의 키패드
KR200377783Y1 (ko) 기능성 버튼을 이용한 휴대폰 문장 부호 자판 배열에관한 고안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4362492A (ja) 携帯型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