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1101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101B1
KR100621101B1 KR1020040024231A KR20040024231A KR100621101B1 KR 100621101 B1 KR100621101 B1 KR 100621101B1 KR 1020040024231 A KR1020040024231 A KR 1020040024231A KR 20040024231 A KR20040024231 A KR 20040024231A KR 100621101 B1 KR100621101 B1 KR 10062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power
output
electronic devic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703A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101B1/ko
Priority to US10/974,676 priority patent/US7574617B2/en
Priority to CNB2005100634012A priority patent/CN100350350C/zh
Priority to JP2005112664A priority patent/JP2005304296A/ja
Publication of KR2005009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1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마이컴과; 상기 전자장치의 제1 모드에서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의 제2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전원 변환 효율이 높은 제2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자부품 및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셧다운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감소시키고,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사용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오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11 : 어댑터
12 : 배터리 13 : 전원스위칭부
20 : 마이컴 30 : 시스템부
40 : 전원선택부 41 : 제1다이오드
42 : 제2다이오드 43 : 스위칭부
44 : 다이오드 45 : 스위칭제어부
50 :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
60a, 60b, 60c, 60n :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
70 : 전원신호출력부 80 : 셧다운신호출력부
90 : 제어부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감소시키고,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사용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모바일폰, CD 플레이어 및 비디오 캠코더 등과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장치들은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 중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근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어댑터에 접속시켜 상용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 분야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기술분야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관련된 기술분야이다. 이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휴대 중 사용은 휴대 중 전원공급이 필수이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용량과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충전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그 사용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다시 말하면, 전자장치가 최소 전력만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기사키기 위한 방법 또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체계를 나타내기 위한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장치는 그 전자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된 시스템부(130)와,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111) 및/또는 배터리(112) 등의 전원공급부(110)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120)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전자장치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마이컴(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LVR : Linear Voltage Regulator)와,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시스템부(130)의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160a,160b,160c,160n)(SVR : Switching Voltage Regulator)를 포함한다.
마이컴(120)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에도 항상 온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신호출력부(170)로부터 전원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각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160a,160b,160c,160n)로부터 시스템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전자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도 1의 미설명 참조번호 113은 어댑터(111)와 배터리(112) 중 어느 하나로부 터 출력되는 전원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160a,160b,160c,160n)로 공급되게 하는 전원스위칭부(113)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는 안정적인 정전압의 출력이 가능하고 노이즈에 강하며 출력 리플전압(Ripple Voltage)이 낮은 장점이 있어, 마이컴(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160a,160b,160c,160n)는 전력 변환 효율이 뛰어나고, 높은 주파수로 변환하기 때문에 트랜스가 소형화 되는 등 소형 경량으로 제작 가능하며, 발열이 적은 장점이 있어, 다양한 전압레벨이 요구되는 시스템부(130)의 각 전자부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체계에 있어서, 마이컴(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를 사용하는 경우, 낮은 전압 변환 효율을 갖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의 자체 특성에 따라 전력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질적으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의 전원 변환 효율은 대략 17% 정도 밖에 되지 않아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150)의 입력전원이 80% 이상의 전력손실을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에서의 배터리(112) 사용시간과 전자장치의 불필요한 전력손실 간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휴대용 전자장치에서는 그 전력손실의 양이 미비하더라도 이를 제거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여기서, 마이컴의 전원 공급을 위해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것 을 고려할 수 있으나,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는 그 자체의 전원 변환 효율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보다 뛰어나더라도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회로(미도시)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 제어회로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소모하므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보다 전체적인 전력 소모가 커 마이컴의 전원 공급을 위해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감소시키고,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사용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마이컴과; 상기 전자장치의 제1 모드에서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의 제2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전원 변환 효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에서 전원 변환 효율이 높은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이고,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을 생성하는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회로 구성이 간략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상기 마이컴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상기 마이컴인 것인 것이, 회로 구성을 간략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셧다운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인 것이 회로 구성을 간략히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상기 마이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어 상기 마이컴에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 때로부터 일정시간 경과된 후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것이,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전자장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중단되기 전에 상기 제1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상기 마이컴에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 오프시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어댑터와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자장치가 온 상태일 때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를 정의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상태를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전자장치의 오프 상태를 정의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마이컴과; 상기 전자장치의 제1 모드에서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의 제2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중단되기 전에 상기 제1 레귤레이터가 상기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이고,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을 생성하는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다수의 전자부품과,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레귤레이터와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컴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에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 때로부 터 일정 시간 경과된 후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자장치가 온되는 경우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0), 시스템부(30), 마이컴(20), 제1 레귤레이터(50), 다수의 제2 레귤레이터(60a,60b,60c,60n)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레귤레이터(5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이고, 제2 레귤레이터(60a,60b,60c,60n)는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전원공급부(10)는 시스템부(30) 및/또는 마이컴(20) 등의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VI)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10)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11) 및/또는 배터리(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2)는 전자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충전부에 의해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시스템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 시스템부(30)의 전자부품은 CPU, 램 등의 메모리, 칩셋,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부(30)의 각 전자부품은 각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 다양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VS1,VS2,VS3,V Sn)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마이컴(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Vmicom)(이하, "구동전원"이라 함)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은 제어부(90)에 의해 마이컴(20)에 공급 또는 차단된다.
마이컴(20)은 전원신호출력부(7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의 전원 출력 여부를 제어하여 시스템부(30)의 각 전기/전자장치에 공급되는 전원(VS1,VS2,VS3,VSn)을 관리함으로써, 전자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여기서, 전원신호출력부(70)는 도시되지 않는 전원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나 리모콘 기타 원격으로 전자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장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는 마이컴(2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VS1,VS2,VS3,VSn)을 각각의 스펙에 따른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시스템부(30)의 각 전자부품에 공급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는 시스템의 각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전압레벨, 예컨대, ㅁ 5V, ㅁ 3.3V, ㅁ 2.5V 등의 전원을 출력하며, 각 전압레벨의 전원은 각 전자부품의 필요에 따라, CPU, 램 등의 메모리, 칩셋,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등의 구동 및 신호전달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을 출력한다. 즉,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의 전압레벨과 동일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의 전압레벨이 3.3V 이고,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 중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의 전압레벨이 3.3V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1 또는VS1)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하는 전원선택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선택부(40)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을 마이컴(20)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전자장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 에서 전원(VS1)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이고, 따라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는 마이컴(20)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에도 전원(VL)을 출력한다. 이 때, 전원선택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원버튼 등의 조작을 통해 전자장치를 온시키는 경우, 마이컴(20)은 전원신호출력부(70)로부터의 전원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를 포함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60c,60n)가 시스템부(30)의 각 전자부품에 전원(VS1,VS2,VS3,VSn)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에서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VS1)이 출력되며, 전원선택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마이컴(20)에 공급되는 전원(VL)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을 마이컴(20)에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를 셧다운 시키기 위한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하는 셧다운신호출력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셧다운신호출력부(80)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 경우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함으로써, 리니어 전압 레 귤레이터(50)로부터의 전원(VL) 출력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이 마이컴(20)에 공급될 때,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에 의한 전력손실을 차단한다.
도 2의 미설명 참조번호 13은 어댑터(11)와 배터리(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 공급되게 하는 전원스위칭부(13)이다. 여기서, 전원스위칭부(13)는 어댑터(11)와 배터리(12)의 전원 출력단에 각각 순향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일 수 있으며,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스위칭소자들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어댑터(11)와 배터리(12)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전원을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 공급 가능하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선택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전원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41)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의 전원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2다이오드(4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20)에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과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 중 큰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이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 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셧다운신호출력부(80)는 전자부품에 필요한 전원(VS1,VS2,VS3,VSn)을 생성하는 다른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 예컨대,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일 수 있다. 예컨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스펙이 5V의 전압레벨을 갖는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요구하는 경우, 5V의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칭 전원 레귤레이터의 전원출력단과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도시된 않은 셧다운입력핀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가 온되는 경우,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를 포함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60c,60n)로부터 전원이 출력되고, 이 때 전원선택부(40)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하며,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로부터 출력되는 5V의 전원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를 셧다운시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전원(VL) 출력을 차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은 마이컴(20)의 구동에 필요한 3.3V의 전압레벨을 가지며,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와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에서는 전원(VS1,VS2)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전원선택부(40)에 의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이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된다.
이 때, 사용자가 T1 시점에서 전자장치를 온시키는 경우,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를 포함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60c,60n)로부터 전원(VS1,VS2,VS3,VSn)이 출력된다. 여기서, 전자장치를 온시키는 T1 시점과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와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로부터 전원(VS1,VS2)이 출력되는 T2 및 T3 간의 시간간격은 신호 및 전원 흐름에서의 딜레이나 시스템부(30)의 각 전기/전자장치로의 전원공급에 대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차이이다.
여기서,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3.3V의 전원(VS1)이 출력되는 T2 시점에서, 전원선택부(40)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의 전원(VL)과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 중 큰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P2 기간에서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VS1) 중 큰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로부터 5V의 전원(VS2)이 출력되는 T3 시점에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가 셧다운되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의 전원(VL) 출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P3 기간에서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만이 마이컴(20)에 공급됨으로써, 전원공급부(10)로부터의 전원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도 4의 P1 기간은 전자장치가 오프된 상태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이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되는 기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셧다운신호출력부(80)는 마이컴(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이컴(20)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 경우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컴(20)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신호출력부(70)로부터의 전원신호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는 것을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컴(20)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된 후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함으로써, 마이컴(20)에 안정적인 구동전원(Vmicom)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선택부(40a)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전원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44)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 마이컴(2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43)와, 스위칭부(43)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제어부(45)를 포함한다.
스위칭부(43)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소자(43a,43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칭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된다.
스위칭제어부(45)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43)를 온/오프시킨다. 예컨대, 스위칭제어부(45)는 전자장치가 온되어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 경우, 스위칭부(43)를 온시킨다. 이 경우,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다이오드(44)의 특성, 즉, 다이오드(44)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측 간의 전압 특성에 의해 차단되고,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의 전원 만이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제어부(45)는 마이컴(20)일 수 있으며, 이 때 마이컴(20)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4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제어부(45)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43)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제어부(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제어부(45)는 스위칭부(43)를 온시켜 제1 스위칭 전압 레 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과 동일한 전압레벨의 전원(VS1)이 출력 가능한 상태가 된 때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셧다운신호(shut_down)를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 출력하여,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를 셧다운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전자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오프되는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자장치가 온 상태, 즉, P4 기간 동안,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이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되고,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는 셧다운신호출력부(80)로부터의 셧다운신호(shut_down)에 따라 셧다운된 상태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T4 시점에서 전자장치를 오프시키는 경우, 마이컴(20)은 전원신호출력부(70)로부터의 전원신호에 대응하여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 및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c,60n)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VS2,VS3,VSn)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차단한다.
이 때, 셧다운신호출력부(80)는 T5 시점에서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마이컴(20)에 공급되는 전원(VS1)이 차단되기 전에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가 전원(VL)을 출력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셧다운신호출력부(80)가 셧다운신호(shut_down)의 논리값에 따라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전원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셧다운신호(shut_down)의 논리값을 변화시킴으로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셧다운신호출력부(80)가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인 경우, 마이컴(20)이 셧다운신호(shut_down)를 출력하는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2)이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보다 먼저 차단되도록 각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60b,60c,60n)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VS2,VS3,VSn )의 차단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b)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2)의 전압레벨은 T5 시점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셧다운신호출력부(80)가 마이컴(20)인 경우, 마이컴(20)은 전원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와 거의 동시에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전원(VL)이 출력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가 오프될 때,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이 차단되기 전에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전원(VL)이 출력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의 P5 기간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 양측으로부터 전원의 출력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전원선택부(40,40a)는, 도 4의 P2 기간에서와 같이, P5 기간 동안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전원(VS1 또는 VL)을 마이컴(20)에 인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선택부(40a)의 스위칭제어부(45)는 P5 기간 동안 스위칭부(43)를 온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이 출력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T6 시점에서 전원선택부(40,40a)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의 전원(VL)을 마이컴(20)의 구동전원(Vmicom)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P6 시점은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S1)의 전압레벨이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VL)의 전압레벨보다 낮아지는 시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의 P6시점은 스위칭제어부(45)가 스위칭부(43)를 오프시켜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의 전원(VS1)의 출력을 차단하는 시점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2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다양한 동작 모드 중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가 전원(VS1)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의 모드로 정의되고, 제1 모드는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가 전원(VS1)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는 전술 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오프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가 온된 상태라도 예컨대 컴퓨터의 전원관리방법인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특정 모드에서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ACPI의 특정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드는 전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라도 전자장치의 특정 전자부품이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60a)가 전원(VS1)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드에 포함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선택부(40)의 구성과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선택부(40a)의 구성을 함께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고, 제3실시예에서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50)의 전원출력단에 별도의 스위칭부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레귤레이터(50)가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이고, 제2 레귤레이터(60a)가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레귤레이터(60a)의 전원 변환 효율이 제1 레귤레이터(50)보다 좋은 반면 그 구동시의 전체 전원 소모가 제2 레귤레이터(60a)보다 제1 레귤레이터(50)가 적은 경우에는 다른 유형의 레귤레이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마이컴(20)과, 제1 모드에서 마이컴(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Vmicom)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50)와, 제2 모드에서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VS1)을 공급하는 제2 레귤레이터(60a)와, 전자장치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2 레귤레이터(60a)로부터의 전원(VS1)을 마이컴(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어부(90)를 마련함으로써,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배터리(12)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배터리(12)의 사용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감소시키고,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사용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3)

  1. 다수의 전자부품을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마이컴과;
    상기 전자장치의 제1 모드에서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의 제2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전원 변환 효율이 높은 제2 레귤레이터와;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자부품 및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셧다운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전압레벨을 갖는 전원을 생성하는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귤레이터의 전원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상기 마이컴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시키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 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상기 마이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상기 마이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어 상기 마이컴에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다운신호출력부는 상기 전자장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 출력이 중단되기 전에 상기 제1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상기 마이컴에 공급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어댑터와 배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자장치가 온 상태일 때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를 정의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상태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전자장치의 오프 상태를 정의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다수의 전자부품과,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레귤레이터와,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보다 상대적으로 전력 변환 효율이 높은 제2 레귤레이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자부품 및 상기 마이컴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컴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컴에 상기 제2 레귤레이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제1 레귤레이터를 셧다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자장치가 온되는 경우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24231A 2004-04-08 2004-04-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2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31A KR100621101B1 (ko) 2004-04-08 2004-04-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74,676 US7574617B2 (en) 2004-04-08 2004-10-2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B2005100634012A CN100350350C (zh) 2004-04-08 2005-04-06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5112664A JP2005304296A (ja) 2004-04-08 2005-04-08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31A KR100621101B1 (ko) 2004-04-08 2004-04-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703A KR20050098703A (ko) 2005-10-12
KR100621101B1 true KR100621101B1 (ko) 2006-09-13

Family

ID=350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1101B1 (ko) 2004-04-08 2004-04-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4617B2 (ko)
JP (1) JP2005304296A (ko)
KR (1) KR100621101B1 (ko)
CN (1) CN1003503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1219B2 (en) 2007-01-05 2013-03-19 Apple Inc. Headset connector
US8311255B2 (en) * 2007-01-05 2012-11-13 Apple Inc. Headset with microphone and connector co-location
US9118990B2 (en) * 2007-01-06 2015-08-25 Apple Inc.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EP2654270B8 (en) 2007-01-06 2018-04-11 Apple Inc.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EP2421115A3 (en) * 2007-01-06 2012-08-29 Apple Inc.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JP4935379B2 (ja) * 2007-01-26 2012-05-23 富士通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通信機器
US8159837B2 (en) * 2008-10-27 2012-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bias and standby power supply circuit
CN101777786B (zh) * 2009-01-14 2012-09-0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的供电装置与方法
KR101680792B1 (ko) * 2010-08-18 2016-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681571B (zh) * 2011-03-15 2015-02-04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加热电路、电子装置及于低温环境进入工作模式的方法
CN102759978B (zh) 2011-04-27 2016-04-13 意法半导体有限公司 用于显示设备的电路及供电方法
US9223387B2 (en) * 2011-06-02 2015-12-29 Intel Corporation Rescheduling active display tasks to minimize overlapping with active platform tasks
TW201310221A (zh) * 2011-08-17 2013-03-01 Askey Technology Jiang Su Ltd 電源管理系統及方法
US9063733B2 (en) * 2011-10-31 2015-06-2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Managing power modes of a computing system
US9275690B2 (en) 2012-05-30 2016-03-01 Tahoe Rf Semiconductor, Inc. Power management in an electronic system through reducing energy usage of a battery and/or controlling an output power of an amplifier thereof
US9509351B2 (en) 2012-07-27 2016-11-29 Tahoe Rf Semiconductor, Inc. Simultaneous accommodation of a low power signal and an interfering signal in a radio frequency (RF) receiver
US9722310B2 (en) 2013-03-15 2017-08-01 Gigpeak,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frequency multiplication
US9837714B2 (en) 2013-03-15 2017-12-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 circular configuration thereof
US9184498B2 (en) 2013-03-15 2015-11-10 Gigoptix, Inc.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fine control of a tunable frequency of a tank circuit of a VCO thereof
US9666942B2 (en) 2013-03-15 2017-05-30 Gigpeak, Inc. Adaptive transmit array for beam-steering
US9780449B2 (en) 2013-03-15 2017-10-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Phase shift based improved reference input frequency signal injection into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o reduce a phase-steering requirement during beamforming
US9716315B2 (en) 2013-03-15 2017-07-25 Gigpeak, Inc. Automatic high-resolution adaptive beam-steering
US9531070B2 (en) 2013-03-15 2016-12-27 Christopher T. Schiller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ccommodating differential coupling between VCOs thereof
CN104469319A (zh) * 2014-12-18 2015-03-25 上海小蚁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与图像显示分离的方法及装置
US10582284B2 (en) 2015-09-30 2020-03-03 Apple Inc. In-ear headphone
CN106330171B (zh) * 2016-08-26 2019-05-24 成都启臣微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负压检测和带隙基准的正负压动态偏置电平位移电路
KR200486844Y1 (ko) * 2017-07-14 2018-07-06 (주)제스트전자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KR102699041B1 (ko) * 2019-03-29 202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ldo 레귤레이터들을 포함하는 레귤레이팅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50076912A1 (en) * 2023-08-30 2025-03-06 Apple Inc. Regulator system with voltage contr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7541A (ja) * 1991-05-24 1992-12-02 Mitsuba Electric Mfg Co Ltd コンピュータの電源回路
KR930020877A (ko) * 1992-03-31 1993-10-20 김주용 휴대용 전화기의 파워스위치 오프시의 소비전류 절약장치
KR960003268A (ko) * 1994-06-21 1996-01-26 구자홍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KR20000025277A (ko) * 1998-10-09 2000-05-06 윤종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JP2002186177A (ja) * 2000-12-14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5507A (ko) 1994-02-24 1995-09-18 이헌조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
KR100310100B1 (ko) * 1996-07-10 2001-12-17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그리고 이에 적합한 dc입력선택회로
US6341354B1 (en) 1999-04-16 2002-01-22 Smartpower Corporation Energy-conserving computer accessible remotely and instantaneously by providing keep-alive power to memory
US6498466B1 (en) * 2000-05-23 2002-12-24 Linear Technology Corp. Cancellation of slope compensation effect on current limit
JP2002112457A (ja) * 2000-09-28 2002-04-12 Citizen Watch Co Ltd 電源供給装置
EP1261119A3 (en) * 2001-05-22 2003-11-12 Powerdsine Limited Power factor corrector with efficient ripple attenuator
KR100839958B1 (ko) 2001-10-09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6606260B2 (en) * 2001-10-29 2003-08-12 The Chamberlain Group, Inc. Switch mode power supply for a telephone entry system or the like
US20020043963A1 (en) * 2001-11-01 2002-04-18 Vipin Malik Power supply configuration for low-noise applications in limited-energy environments
CN2572644Y (zh) * 2002-03-14 2003-09-10 漳州市海峡科技实业有限公司 含ups功能的atx电源
US6774602B2 (en) * 2002-06-14 2004-08-10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orary power
US7079024B2 (en) * 2003-05-23 2006-07-18 Ramon Alarcon Alert system for prevention of collisions with low visibility mobile road hazards
US7148670B2 (en) * 2005-01-18 2006-12-12 Micrel, Inc. Dual mode buck regulator with improved transition between LDO and PWM ope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7541A (ja) * 1991-05-24 1992-12-02 Mitsuba Electric Mfg Co Ltd コンピュータの電源回路
KR930020877A (ko) * 1992-03-31 1993-10-20 김주용 휴대용 전화기의 파워스위치 오프시의 소비전류 절약장치
KR960003268A (ko) * 1994-06-21 1996-01-26 구자홍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KR20000025277A (ko) * 1998-10-09 2000-05-06 윤종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JP2002186177A (ja) * 2000-12-14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347541
141861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8134A1 (en) 2005-12-01
JP2005304296A (ja) 2005-10-27
CN100350350C (zh) 2007-11-21
US7574617B2 (en) 2009-08-11
KR20050098703A (ko) 2005-10-12
CN1680901A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10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21954B2 (ja) 低電圧誤動作防止回路、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電源回路および電子機器
KR100630933B1 (ko) 외부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로의 전원 공급경로가 변하는 전자장치
US5450003A (en) Power-supply control system for a portable data process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445011B1 (ko) 장치 충전 동안의 슬리프 모드와 정상 모드 간의 토글링 시에 감소된 전력 소모를 갖는 전력 컨버터
US7420296B2 (en) Power supply circuit
US20070067655A1 (en) Low Power Mode For Portable Computer System
US20120194151A1 (en) Standby current reduction through a switching arrangement with multiple regulators
US7589503B2 (en) Re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enabling or interrupting recharging procedure for rechargeable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harging method thereof
KR100630964B1 (ko) 어댑터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CN112600283B (zh) 一种开关机电路
US20070025128A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336799B2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電源の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KR100417339B1 (ko)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906247B1 (ko) 전자장치
KR10135909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8353136A (zh) 供电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0607926B1 (ko) 휴대용단말기의 전력제어장치
KR100776002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1544A (ko) 전자기기 시스템 및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50116407A (ko) 전력절감장치 및 그의 전력절감방법
KR20070067489A (ko) 휴대용컴퓨터
KR20050000297A (ko)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824

Appeal identifier: 2006101005293

Request date: 2006061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72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