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8865B1 -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865B1
KR100618865B1 KR1020040077735A KR20040077735A KR100618865B1 KR 100618865 B1 KR100618865 B1 KR 100618865B1 KR 1020040077735 A KR1020040077735 A KR 1020040077735A KR 20040077735 A KR20040077735 A KR 20040077735A KR 100618865 B1 KR100618865 B1 KR 10061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p memory
programmed
data
otp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858A (ko
Inventor
김원겸
마용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865B1/ko
Priority to US11/173,634 priority patent/US7180764B2/en
Publication of KR2006002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46Write once memory, i.e. allowing changing of memory content by writing additional bits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OTP 메모리 셀들과 방지 셀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OTP 메모리 셀과 해당되는 OTP 메모리 셀들의 상태를 기록하는 방지 셀이 하나의 단위 OTP 메모리 블락을 구성한다.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은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단위 OTP 메모리 블락들 내 OTP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된다. OTP 메모리 셀의 독출 동작은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OTP 메모리 셀, 방지 셀, 리셋 신호, 입력 제어부, 출력 제어부

Description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래밍 방법{OTP memory device for multiple programming}
도 1은 종래의 OTP 메모리의 펑션 블락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번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및 OTP 메모리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활성 메모리 장치의 비활성 특성 때문에, 비활성 메모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들, 휴대폰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그리고 개인 휴대 장치들과 같은 전자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플래쉬 메모리 그리고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ne-Time Programmable, 이하 "OTP"라고 칭한다) 메모리와 같이, 전원이 차단되어도 이들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잃어버리지 않기 때문에, 이들 메모리 장치들은 비활성 메모리 장치로 분류된다. 플래쉬 메모리와 OTP 메모리는 선호하는 비활성 메모리 장치의 두 종류이다. 플래쉬 메모리나 OTP 메모리 각각은 "0" 또는 "1"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그들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을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와 OTP 메모리의 주 차이점은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데 대하여 OTP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한번만 프로그래밍 가능하다는 것이다. 일단 OTP 메모리의 메모리 셀로 데이터가 기입되면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OTP 메모리의 펑션 블락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OTP 메모리(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OTP 메모리 셀(101), 하나의 방지 셀(protection cell, 102), 그리고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방지 셀(102)은 OTP 메모리 셀(101)이 프로그램된 상태인 지 여부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방지 셀(102)에 "0"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면 OTP 메모리 셀(101)은 프로그램되지 않은 상태이고, 방지 셀(102)에 "1"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면 OTP 메모리 셀(101)은 프로그램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제어부(103)는 OTP 메모리 셀(101)과 방지 셀(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OTP 메모리 셀(101)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한다.
OTP 메모리 셀(101)이 프로그램되지 않은 상태이면, 방지 셀(102)에 기록된 "0" 데이터에 의해 제어부(103)의 버퍼가 인에이블되어 입력 데이터(X)에 따라 OTP 메모리 셀(101)이 프로그래밍되고 출력 데이터(Y)로 출력된다. 반면에, OTP 메모리 셀(101)이 프로그램된 상태라면, 방지 셀(102)에 기록된 "1" 데이터에 의해 제어부(103)의 버퍼가 디세이블되어 입력 데이터(X)는 OTP 메모리 셀(101)로 인가되지 않고 OTP 메모리 셀(101)에 프로그램된 데이터가 출력 데이터(Y)로 출력된다.
이처럼 OTP 메모리 셀(101)은 한번 프로그래밍되면 더 이상 데이터 업데이트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한 값이 원하는 값이 아닌 경우에 OTP 메모리(100)를 버려야하는 페단이 있다. 더욱이, OTP 메모리(100)가 LCD 모듈과 같이 하나의 완성된 형태의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OTP 프로그램 결과가 LCD 모듈이 상품성을 갖기 어려울 정도로 좋지 않을 때에는 OTP 메모리가 내장된 드라이버 IC뿐 아니라 LCD 모듈을 통째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록 한번의 프로그램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한번 이상 더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원하는 동작 특성을 갖도록 최소 2회 이상 프로그램 가능한 OTP 메모리의 존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플 프로그램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 OTP 메모리 셀들의 상태를 기록하는 방지 셀들; 하나의 OTP 메모리 셀과 OTP 메모리 셀에 해당되는 방지 셀로 구성되는 단위 OTP 메모리 블락에 각각 연결되고,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 을 제어하되,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단위 OTP 메모리 블락들 내 OTP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 및 단위 OTP 메모리 블락에 각각 연결되고,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 OTP 메모리 셀에 각각 연결되고,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하되,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OTP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 및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이 배열된 OTP 메모리 셀 어레이들; OTP 메모리 셀 어레이 각각과 연결되고,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내 OTP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오아 게이트들; 오아 게이트 각각과 연결되고,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내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하되,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OTP 메모리 셀 어레이를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 및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어레이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은 OTP 메모리 장치로 리셋 신호가 제공되는 제1 단계;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방지 셀 데이터를 래치하여, 래치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OTP 메모리 블락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이전에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그리고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OTP 메모리 셀을 입력 신호에 따라 프로그래밍하는 제3 단계;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여부를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방지 셀에다 기록하는 제4 단계; 및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방지 셀 데이터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OTP 메모리 블락의 방지 셀 데이터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램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은 OTP 메모리 장치로 리셋 신호가 제공되는 제1 단계;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래치하여, 래치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OTP 메모리 블락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이전에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그리고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OTP 메모리 셀을 입력 신호에 따라 프로그래밍하는 제3 단계; 및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램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OTP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여 멀티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OTP 메모리 장치(200)는 입력 신호(X)를 반전시키는 인버터(205)와 인버터(205) 출력(/X)과 출력 신호(Y)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50, 270)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50, 270)은 입력 신호(X)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블락(210, 230, 250, 270)이 출력 신호(Y)와 연결된다. 각각의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50, 270)은 OTP 메모리 셀들(211, 231, 251, 271)과 방지 셀들(212, 232, 252, 272), 그리고 입력 제어부들(213, 233, 253, 273)과 출력 제어부들(220, 240, 260, 28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예컨대, 4개의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50, 270)로 구성되는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제1 OTP 메모리 블락(210)은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되는 제1 OTP 메모리 셀(211), 제1 OTP 메모리 셀(211)의 상태를 기록하는 제1 방지 셀(212), 리셋 신호(RESET, /RESET) 및 제1 방지 셀(212)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OTP 메모리 셀(211)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입력 제어부(213), 그리고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출력 제어부(220)로 구성된다.
제1 입력 제어부(213)는 리셋 신호(RESET, /RESET)에 응답하여 제1 방지 셀(212) 데이터를 제1 래치부(215)로 전달하는 버퍼부(214), 제1 방지 셀(212) 데이터를 래치하는 제1 래치부(215), 래치부(215)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전시키는 제1 인버터(216), 그리고 제1 인버터(216) 출력과 입력 신호(X)의 반전 신호(/X)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217)로 구성된다. 제1 OTP 메모리 셀(211)이 아직 프로그램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방지 셀(212)은 초기 "0"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리셋 신호(RESET)의 로직 로우레벨에 응답하여 제1 방지 셀(212)의 "0" 데이터가 제1 버퍼부(214)를 통하여 제1 래치부(215)로 전달된다. 제1 래치부(215)의 출력 "1" 데이터는 제1 인버터(216)에 의해 "0" 데이터로 반전되고, 제1 인버터(216) 출력 "0" 데이터는 제1 노아 게이트(217)를 인에이블시킨다. 제1 노아 게이트(217)는 입력 신호(X)의 반전 신호(/X)를 입력하고, 이를 반전시켜 제1 OTP 메모리 셀(211)로 전달한다. 이 후, 리셋 신호(RESET)은 로직 하이레벨이 되고, 제1 OTP 메모리 셀 (211)은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된다.
한편, 제1 래치부(215) 출력 "1" 데이터는 제2 OTP 메모리 블락(230) 내 제2 노아 게이트(237)로 제공되어, 제2 노아 게이트(237)를 디세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제2 노아 게이트(237)로의 반전된 입력 신호(/X)의 입력이 차단되어 제2 OTP 메모리 셀(231)의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그리고, 제2 방지 셀(232) 데이터는 제2 OTP 메모리 셀(231)이 아직 프로그램되기 전이기 때문에 "0" 데이터로 기록되어 있다. 제2 방지 셀(232)의 "0" 데이터에 의해 제2 래치부(235)의 출력이 "1" 데이터가 된다. 제2 래치부(235) 출력 "1" 데이터는 제3 노아 게이트(257)를 디세이블시켜 제3 노아 게이트(257)로의 반전된 입력 신호(/X)의 입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제3 OTP 메모리 셀(251)의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또한, 제3 OTP 메모리 셀(251)이 아직 프로그래밍 전이기 때문에 제3 방지 셀(252)은 "0" 데이터로 기록되어 있다. 제3 방지 셀(252)의 "0" 데이터에 의해 제3 래치부(255)의 출력이 "1"이 된다. 제3 래치부(255) 출력 "1" 데이터는 제4 노아 게이트(277)를 디세이블시켜 제4 노아 게이트(277)로의 반전된 입력 신호(/X)의 입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제4 OTP 메모리 셀(277)의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즉, 제1 OTP 메모리 블락(210)의 제1 OTP 메모리 셀(211)로 프로그래밍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제2 내지 제4 OTP 메모리 블락들(230, 250, 270)은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제1 출력 제어부(220)는 제2 OTP 메모리 블락(230) 내 제2 방지 셀(232) 데이터에 응답하여 프로그램된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를 출력 신호(Y)로 출력하는 버퍼부(222)로 구성된다. 제2 방지 셀(232) 데이터는 제2 OTP 메모리 셀 (231)이 아직 프로그램되기 전이기 때문에 "0" 데이터로 기록되어 있다.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는 제2 방지 셀(232)의 "0" 데이터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버퍼부(222)를 통하여 출력 신호(Y)로 출력된다.
그런데, 제2 방지 셀(232)의 "0" 데이터는 제2 출력 제어부(240)로 제공되어 제2 OTP 메모리 셀(23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전달을 차단한다. 제2 출력 제어부(240)는 제2 방지 셀(232)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243), 인버터(243) 출력과 제3 방지 셀(252)의 "0" 데이터를 입력하는 오아 게이트(244), 그리고 오아 게이트(244) 출력에 응답하여 제2 OTP 메모리 셀(231) 데이터를 출력 신호(Y)로 전달하는 버퍼부(242)를 포함한다. 제1 방지 셀(232)의 "0" 데이터에 의해 인버터(244) 출력이 "1" 데이터가 되어 버퍼부(242)가 디세이블된다. 이에 따라, 제2 OTP 메모리 셀(23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방지 셀(252)의 "0" 데이터에 의해 인버터(263) 출력이 "1"이 되고 버퍼부(262)가 디세이블되어 제3 OTP 메모리 셀(25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그리고, 제4 방지 셀(272)의 "0" 데이터에 의해 인버터(283) 출력이 "1"이 되고 버퍼부(282)가 디세이블되어 제4 OTP 메모리 셀(25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즉, 제1 OTP 메모리 블락(210)의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가 출력 신호(Y)로 독출되는 동안 제2 내지 제4 OTP 메모리 블락들(230, 250, 270)은 독출 동작이 차단된다.
지금까지, 제1 OTP 메모리 블락(210)의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동작과 독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1 OTP 메모리 셀(211)이 프로 그램되면 제1 방지 셀(212)은 "1" 데이터로 기록된다. 제1 OTP 메모리 셀(211)에 프로그램된 데이터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나 사용자가 프로그램된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원하는 경우에, 제1 OTP 메모리 셀(211) 대신에 순차적으로 제2 OTP 메모리 블락(230)의 제2 OTP 메모리 셀(231)로 새로운 데이터를 프로그래밍한다.
제2 OTP 메모리 셀(231)로의 프로그래밍을 위하여, 리셋 신호(RESET)가 로직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리셋 신호(RESET)의 로직 로우레벨에 응답하여 제1 방지 셀(212)의 "1" 데이터가 제1 버퍼부(214)를 통하여 제1 래치부(215)로 전달된다. 제1 래치부(215) 출력 "0" 데이터는 제1 인버터(216)에 의해 "1"으로 반전되고, 제1 인버터(216) 출력 "1" 데이터는 노아 게이트(217)를 디세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반전된 입력 신호(/X)의 제1 노아 게이트(217)로의 입력이 차단되어 제1 OTP 메모리 셀(211)의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맥락으로, 제3 OTP 메모리 블락(250)과 제4 메모리 블락(270)의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제2 방지 셀(232)의 "0" 데이터는 리셋 신호(RESET)의 로직 로우레벨에 응답하는 제2 버퍼부(234)를 통하여 제2 래치부(235)로 전달된다. 제2 래치부(235) 출력 "1" 데이터는 제2 인버터(236)에 의해 "0"으로 반전되고 제2 노아 게이트(237)로 전달된다. 제2 노아 게이트(237)은 제1 래치부(215) 출력 "0" 데이터와 제2 래치부(235) 출력 "0" 데이터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제2 노아 게이트(237)는 입력 신호(X)의 반전 신호(/X)를 입력하고, 이를 반전시켜 제2 OTP 메모리 셀(231)로 전달 한다. 이 후, 리셋 신호(RESET)은 로직 하이레벨이 되고, 제2 OTP 메모리 셀(231)은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된다. 제2 OTP 메모리 셀(231)이 프로그램되면 제2 방지 셀(232)은 "1" 데이터로 기록된다.
제2 방지 셀(232)의 "1" 데이터에 의해 제1 출력 제어부(220)의 버퍼부(222)가 디세이블되어, 제1 OTP 메모리 셀(211) 데이터는 출력 신호(Y)로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출력 제어부(240)는 제2 방지 셀(232)의 "1" 데이터와 제3 방지 셀(252)의 "0" 데이터에 의해 버퍼부(242)가 인에이블되어 제2 OTP 메모리 셀(231) 데이터를 출력 신호(Y)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3 출력 제어부(260)와 제4 출력 제어부(280) 각각은 제3 방지 셀(252)와 제4 방지 셀(272)의 "0" 데이터에 의해 제3 OTP 메모리 셀(251) 데이터와 제4 OTP 메모리 셀(271) 데이터의 출력 신호(Y)로의 출력을 차단한다. 즉, 제2 OTP 메모리 블락(230)의 제2 OTP 메모리 셀(231) 데이터가 출력 신호(Y)로 독출되는 동안 제1, 제3 및 제4 OTP 메모리 블락들(210, 250, 270)은 독출 동작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3 OTP 메모리 블락(250)의 제3 OTP 메모리 셀로/로부터 프로그래밍 동작 및 독출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나머지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70)은 프로그래밍 동작 및 독출 동작이 차단된다. 제4 OTP 메모리 블락(27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OTP 메모리 장치(200)는 4개의 OTP 메모리 블락들(210, 230, 250, 270)을 구비하여 4번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로부터, OTP 메모리 장치(200) 내 다수개의 OTP 메모리 블락들을 구비하고 구비된 OTP 메모리 블락 개수만큼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하도록 확장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OTP 메모리 블락들이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지시하는 리셋 신호(RESET,/RESET)는 OTP 메모리 장치(200)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로, OTP 메모리 장치(200)의 테스트 신호로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OTP 장치(300)는 도 2의 OTP 메모리 장치(200)와 비교하여 제1 내지 제4 방지 셀들(212, 232, 252, 272, 도 2)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OTP 장치(300)는 도 2의 OTP 메모리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들(211, 231, 251, 271)을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하고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독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만,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들(211, 231, 251, 271)은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되는 데, 입력 신호(X)의 "0" 데이터에 따라 "0" 데이터로 프로그램된 경우에는 다시 입력 데이터(X)의 "1" 데이터에 따라 "1" 데이터로 프로그램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3 OTP 메모리 셀(257)을 프로그래밍하는 경우, 제1 및 2 OTP 메모리 셀들(211, 231)은 "1" 데이터로 이미 프로그램된 상태이다. 리셋 신호(RESET)의 로직 로우레벨에 응답하여 제1 OTP 메모리 셀(211)의 "1" 데이터가 제1버퍼부(214), 제1 래치부(215) 그리고 제1 인버터(216)을 통해 제1 노아 게이트(217)로 입력되어 제1 노아 게이트(217)를 디세이블시킨다. 그리고 리셋 신호(RESET)의 로직 로우레벨에 응답하여 제2 OTP 메모리 셀(231)의 "1" 데이터가 제2 버퍼부(234), 제2 래치부(235) 그리고 제2 인버터(236)을 통해 제2 노아 게이트 (237)로 입력되어 제2 노아 게이트(237)를 디세이블시킨다.
프로그램되기 전의 제3 OTP 메모리 셀(251)은 "0" 데이터로 인식된다. OTP 메모리 셀(251)의 "0" 데이터는 제3 버퍼부(254), 제3 래치부(255) 그리고 제3 인버터(256)을 통해 제3 노아 게이트(257)로 입력되고 제2 래치부(235) 출력 "0" 데이터가 제3 노아 게이트(257)로 입력되어, 제3 노아 게이트(257)를 인에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제3 노아 게이트(257)는 반전된 입력 신호(/X)를 입력하고, 이를 반전시켜 제3 OTP 메모리 셀(251)로 전달한다. 이 후, 리셋 신호(RESET)은 로직 하이레벨이 되고, 제3 OTP 메모리 셀(251)은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된다. 한편, 제3 래치부(255) 출력 "1" 데이터는 제4 노아 게이트(277)로 입력되어 제4 노아 게이트(277)를 디세이블시킨다.
제3 OTP 메모리 셀(251)이 입력 신호(X) "1" 데이터에 따라 프로그램되었다면, "1" 데이터로 프로그램된 제1 및 제2 OTP 메모리 셀들(211, 231)과 마찬가지로 다음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된다. 그러나, 제3 OTP 메모리 셀(251)이 입력 신호(X) "0" 데이터에 따라 프로그램되었다면, 제3 OTP 메모리 셀(251)은 다음 프로그래밍 동작에서도 프로그램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금 입력 신호(X)에 따라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TP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OTP 메모리 장치(500)는 도 3의 OTP 메모리 장치(300)과 비교하여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211, 231, 251, 271, 도 3) 대신에, 5개의 OTP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 어레이(410, 430, 450, 470)와 제1 내 지 제4 OTP 메모리 셀 어레이(410, 430, 450, 470) 내 각각의 OTP 메모리 셀들과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오아 게이트들(411, 431, 451, 47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 어레이(410, 430, 450, 470) 내 각각의 OTP 메모리 셀들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 OTP 메모리 셀들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다만, 예컨대, 제2 OTP 메모리 셀 어레이(430) 내 5개의 OTP 메모리 셀들 중 어느 하나라도 "1" 데이터로 프로그램되어 있다면, 제2 OTP 메모리 셀 어레이(430)는 프로그래밍 동작이 차단되고 제3 OPT 메모리 셀 어레이(450)로 프로그래밍 동작이 바뀌게 된다. 즉, 제2 OTP 메모리 셀 어레이(430)내 적어도 하나의 OTP 메모리 셀의 "1" 데이터는 다음 프로그래밍 동작을 위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2 OTP 메모리 셀 어레이(430)에서 5개의 OTP 메모리 셀들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1(=
Figure 112004044225319-pat00001
)가지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TP 메모리 장치는 종래의 OTP 메모리 장치와는 달리 멀티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OTP 메모리 장치는 다수개의 OTP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여 멀티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Claims (32)

  1.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
    상기 OTP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가능한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지 셀들; 및
    하나의 상기 OTP 메모리 셀과 상기 OTP 메모리 셀에 해당되는 상기 방지 셀로 구성되는 단위 OTP 메모리 블락에 각각 연결되고,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방지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지 셀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들 내 상기 OTP 메모리 셀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OTP 메모리 장치는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 각각은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되는 방지 셀 데이터를 래치부로 전달 하는 버퍼부;
    상기 해당되는 방지 셀 데이터를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로 전달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 출력과 프로그램된 이전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의 상기 래치부 출력,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방지 셀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 출력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방지 셀 데이터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전달하는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셀은
    상기 OTP 메모리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8.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 및
    상기 OTP 메모리 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하되,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OTP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OTP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OTP 메모리 셀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는
    상기 OTP 메모리 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 각각은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되는 OTP 셀 데이터를 래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상기 OTP 셀 데이터를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셀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로 전달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 출력과 이전에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의 상기 래치부 출력,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 출력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셀 데이터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 및
    상기 노아 게이트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전달하는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셀은
    상기 OTP 메모리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5.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셀들이 배열된 OTP 메모리 셀 어레이들;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각각과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상기 OTP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오아 게이트들; 및
    상기 오아 게이트 각각과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상기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래밍 동작을 제어하되,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를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는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각각과 연결되고, 상기 OTP 메모리 셀들의 독출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프로그램된 OTP 메모리 셀 어레이들 중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 각각은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해당되는 오아 게이트의 출력 데이터를 래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상기 해당되는 오아 게이트의 출력 데이터를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단위 OTP 메모리 블락과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로 전달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 출력과 이전에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와 연결되는 상기 입력 제어부의 상기 래치부 출력,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들을 입력하는 인버터들;
    상기 인버터들의 출력 각각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들 각각을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들; 및
    상기 노아 게이트들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들을 출력 신호로 전달하는 버퍼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셀은
    상기 OTP 메모리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
  22. 입력 신호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블락을 갖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을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로 리셋 신호가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방 지 셀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래치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이전에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상기 래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OTP 메모리 셀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프로그래밍하는 제3 단계;
    상기 OTP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여부를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방지 셀에다 기록하는 제4 단계; 및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방지 셀 데이터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방지 셀 데이터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램되는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5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5 단계를 상기 OTP 메모리 블락들이 모두 프로그램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셀은
    상기 OTP 메모리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셀 블락 각각은
    상기 OTP 메모리 셀이 다수개 배열되는 OTP 메모리 메모리 셀 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8. 입력 신호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원-타임 프로그래머블(OTP) 메모리 블락을 갖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을 순차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로 리셋 신호가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래치 데이터를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으로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래치 데이터, 이전에 프로그램된 상기 OTP 메모리 블락에서 전달되는 상기 래치 데이터,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 내 OTP 메모리 셀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프로그래밍하는 제3 단계; 및
    현재 프로그래밍되는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 및 다음에 프로그램될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에 응답하여 현재 프로그램되는 상기 OTP 메모리 블락의 상기 OTP 메모리 셀 데이터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를 상기 OTP 메모리 블락들이 모두 프로그램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OTP 메모리 셀 블락 각각은
    상기 OTP 메모리 셀이 다수개 배열되는 OTP 메모리 메모리 셀 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신호는
    상기 OTP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P 메모리 장치의 멀티플 프로그래밍 방법.
KR1020040077735A 2004-09-30 2004-09-30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KR10061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35A KR100618865B1 (ko) 2004-09-30 2004-09-30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US11/173,634 US7180764B2 (en) 2004-09-30 2005-07-01 One-time programmable (OTP) memory devices enabling programming based on protected st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35A KR100618865B1 (ko) 2004-09-30 2004-09-30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58A KR20060028858A (ko) 2006-04-04
KR100618865B1 true KR100618865B1 (ko) 2006-08-31

Family

ID=3609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735A KR100618865B1 (ko) 2004-09-30 2004-09-30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80764B2 (ko)
KR (1) KR100618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9663B2 (en) 2014-12-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TP memory capable of performing multi-programming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9374A1 (ja) * 2004-11-30 2006-06-08 Spansion Llc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制御方法
JP4302049B2 (ja) * 2004-12-17 2009-07-22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TWI262507B (en) * 2005-05-19 2006-09-21 Ememory Technology Inc Method for accessing memory
US7623378B1 (en) * 2006-05-02 2009-11-24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ective programming of non-volatile memory facilitated by security fuses
JP2008097696A (ja) * 2006-10-11 2008-04-24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US20090119444A1 (en) * 2007-11-01 2009-05-07 Zerog Wireless, Inc., Delaware Corporation Multiple write cycle memory using redundant addressing
US8261011B2 (en) * 2009-10-29 2012-09-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One-time programmable memory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10923204B2 (en) * 2010-08-20 2021-02-16 Attopsemi Technology Co., Ltd Fully testible OTP memory
US10916317B2 (en) 2010-08-20 2021-02-09 Attopsemi Technology Co., Ltd Programmable resistance memory on thin film transistor technology
US10586832B2 (en) 2011-02-14 2020-03-10 Attopsemi Technology Co., Ltd One-time programmable devices using gate-all-around structures
US11615859B2 (en) 2017-04-14 2023-03-28 Attopsemi Technology Co., Ltd One-time programmable memories with ultra-low power read operation and novel sensing scheme
US11062786B2 (en) 2017-04-14 2021-07-13 Attopsemi Technology Co., Ltd One-time programmable memories with low power read operation and novel sensing scheme
US10770160B2 (en) 2017-11-30 2020-09-08 Attopsemi Technology Co., Ltd Programmable resistive memory formed by bit slices from a standard cell library
US11137917B2 (en) * 2018-08-21 2021-10-05 SK Hynix Inc. Memory controller, memory system having the memory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emory controller
US12224024B2 (en) 2023-03-23 2025-02-11 Nxp Usa, Inc. Memory with one-time programmable (OTP)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239A (en) * 1985-03-04 1989-12-12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One-time programmable data security system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
TW231343B (ko) * 1992-03-17 1994-10-01 Hitachi Seisakusyo Kk
US5357471A (en) * 1992-03-20 1994-10-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Fault locator architecture and method for memories
US6182187B1 (en) * 1993-04-07 2001-01-3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ROM including a flash EPROM and a ROM for storing primary boot code replacing a block flash EPROM
KR970005646B1 (ko) 1994-06-08 1997-04-18 김인숙 원타임 프로그래머블 코딩장치 및 그 방법
US6006305A (en) * 1996-10-17 1999-12-21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rchitecture for non-sequentially programming one-time programmable memory technology without initially erasing the memory
JP3795744B2 (ja) * 2000-11-21 2006-07-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
US6643760B2 (en) * 2001-04-30 2003-11-04 Zilog, Inc. Architecture to relax memory performance requirements
US6798684B2 (en) * 2002-04-04 2004-09-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grammable memory using silicided poly-silicon fuses
US6728137B1 (en) * 2003-04-29 2004-04-27 Ememory Technology Inc. Method for programming and reading a plurality of one-time programmable memory blocks
US7136322B2 (en) * 2004-08-05 2006-11-14 Analog Devices, Inc. Programmable semi-fusible link read only memory and method of margin testing same
US7130209B2 (en) * 2004-10-15 2006-10-31 Atmel Corporation Flexible OTP sector protection architecture for flash memor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9663B2 (en) 2014-12-1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TP memory capable of performing multi-programming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58A (ko) 2006-04-04
US20060067099A1 (en) 2006-03-30
US7180764B2 (en) 200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865B1 (ko) 멀티플 프로그래밍 가능한 otp 메모리 장치 및 그프로그래밍 방법
KR101271912B1 (ko)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머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이용
KR100433686B1 (ko) 메모리,메모리를위한프로그래밍방법및프로그램회로
US7031188B2 (en) Memory system having flash memory where a one-time programmable block is included
KR101084820B1 (ko) 메모리 디바이스 아키텍처 및 동작
KR100885783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89867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JP4455524B2 (ja) 複数のストリングを使用して状態情報を保存する方法及び不揮発性保存装置
TW20083775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147489B2 (en) High voltage switch an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7294039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2019004358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01500318A (ja) プログラマブル論理装置用限時プログラマブルデータ保護システム
KR101024154B1 (ko) 페이지 버퍼 회로
KR20050023705A (ko) 탈착 가능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06384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007184073A (ja) 基準フェイルビットの確認回路及び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JP4646608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100008142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H0574182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489565B2 (en)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multi-buffer block
KR20100005593A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20070171715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adjacent bit lines for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4153700A (ja) フィールド・プログラマブル・ゲート・アレイ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4521618B2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