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6259B1 - 와이퍼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259B1
KR100616259B1 KR1019980710807A KR19980710807A KR100616259B1 KR 100616259 B1 KR100616259 B1 KR 100616259B1 KR 1019980710807 A KR1019980710807 A KR 1019980710807A KR 19980710807 A KR19980710807 A KR 19980710807A KR 100616259 B1 KR100616259 B1 KR 10061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ing device
wiper blade
wiper
shap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376A (ko
Inventor
토마스 코트라르스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98071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2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5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by welding, glu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유리면(26)을 청소하는 와이퍼블레이드(10)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블레이드(10)는 와이핑될 유리면(26)에 인가할 수 있는, 고무탄성의 와이퍼 스트립(14)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종축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프링 탄성의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의 유리(26) 반대편의 중앙섹션에 유리면(26)에 가해질 수 있는 베어링장치에 연결장치가 배치된다. 연결장치(16)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지지체(12)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체(12)에 연결장치(16)의 안전하고 저렴한 배치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와이퍼블레이드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방식의 와이퍼블레이드에서, 지지체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의해 스위핑(sweeping)되는 와이핑 영역 전체를 위해 와이퍼아암으로부터 나오는 와이퍼블레이드 압착력을 유리에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무부하 상태의 지지체의 적합한 곡률에 의해서 - 즉 와이퍼블레이드가 유리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 각 와이퍼블레이드 위치에서 구형으로 휘어진 차유리의 곡률 반경이 변하더라도 와이퍼블레이드의 기동시 유리면에 완전히 인가되는 와이퍼 스트립의 단부는 인장된 지지체에 의해 유리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와이퍼블레이드의 곡률은 즉 와이핑된 유리의 와이핑 영역에서 측정된 가장 큰 곡률보다 더 커야 한다. 지지체는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고가의 지지브래킷(bracket) 구조를 와이퍼 스트립에 장착된 2개의 스프링레일로 대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공지된 와이퍼블레이드(독일특허 제 26 14 457 호)에는 연결장치가 지지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이것은 지지체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그 때문에 상기 지지체가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한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지지체가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할 경우 두가지 조건이 서로 모순된다. 다시 말해서 한편으로는 지지체는 우수한 탄성력을 가져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장치의 부착물이 지지체의 평면으로부터 약 90o 구부러져 이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로써 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 사이에 작동시 발생하는 부하는 상기 부착물의 정지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이 재료 선택과 관련하여 양자를 충족시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공지된 다른 와이퍼블레이드(독일특허 제 12 47 161 호)에 있어서, 지지체는 별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연결장치를 갖는다. 상기 연결장치는 리벳에 의해 지지체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체 내부의 필수적인 홀은 조절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지지체 인장력 변화를 야기하고, 따라서 만족스럽지 못한 윈도우 와이핑 결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퍼블레이드의 투영도.
도 3은 와이퍼블레이드에 속하며, 연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치를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속하며, 연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장치를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와이퍼블레이드에 속하며, 연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장치를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그와 반대로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따라서 형성된 와이퍼블레이드에 있어서, 각 부품의 조건에 적합한 재료가 지지체와 연결장치용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양 부품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용접이음에 의해 문제없이 저렴하게 이루어진다. 이로써 추가의 조립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용접이음은 지지체를 통한 접촉압력 분배 및 와이핑에 나쁜 영향을 주지않거나 약간의 손상만을 야기한다.
와이퍼블레이드의 연결장치와 지지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용접이음이 저항용접일 경우 바람직하다.
특히 와이퍼블레이드에 있어서, 지지체와 연결장치가 합성수지로 제조될 때, 초음파용접에 의해 지지체에 연결장치의 작동상 안전하고 저렴한 고정이 달성된다.
용접 자체는 저항용접은 물론 초음파용접시에도 특히 여러번의 점용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하와 관련하여 엄격하게 요구되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있어서, 용접이음은 다수의 선용접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압력분배와 관련된 지지사항을 고려하여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또는 밴드형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결 장치가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가지고 이 연결장치의 두개의 U자형 레그와 결합하는 U자형 베이스를 통하여 유리면 반대편의, 밴드형식으로 형성된 지지체의 측면에 평행하게 인가하는 경우, 밀착된다. 와이퍼아암과 관련하여 문제없이 개조할 수 있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조립 수단으로서 연결장치의 U자형 베이스는 U자형 레그 반대편 측면에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지지체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상호 일정 간격으로 놓여 있으며, 상기 간격은 지지체의 폭에 매칭된다.
돌출부가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경우, 서로 연결된 양 부품의 특히 양호한 측면 가이드와 홀더가 달성된다.
U자형 베이스 반대편의 스트립 자유단부에 고리 형태의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한 부착물이 배치되고, 고리 형태의 부착물과 레그 반대편의 U자형 베이스 외측사이의 간격이 지지체의 두께에 매칭되는 경우, 연결장치가 지지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연결장치를 지지체상에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볼 때 상기 연결장치는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숄더를 가지며, 상기 숄더에 지지체 대응 숄더가 배치된다. 따라서 용접과정 전에 작용하는 포지티브한 위치설정이 이루어진다.
연결장치가 적어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숄더를 가지고, 상기 숄더에 각각 지지체의 대응숄더가 배치되는 경우, 지지체에 연결장치의 견고한 조립위치가 얻어진다.
바람직하게 연결장치의 숄더는 상기 연결장치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대응숄더는 지지체의 돌출부에 배치된 리세스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 및 형성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와이퍼블레이드(10)는 수직 연장된 탄성 지지체(12)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의 하측에 수직 연장된 고무탄성재의 와이퍼스트립(14)이 종축선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레일로 표시되는 지지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체의 중앙부로 연결장치(16)가 장착되며, 상기 장치에 의해 와이퍼블레이드가 구동 와이퍼암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퍼아암(18)의 자유단부(20)에는 대응숄더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는 와이퍼블레이드의 연결장치(16)에 속하는 조인트볼트(22)를 고정시킨다. 와이퍼아암(18)과 와이퍼블레이드(10) 사이의 고정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어댑터로서 형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와이퍼아암(18) 및 단부(20)의 후크는 화살표(24) 방향으로 와이핑 될 유리면에 가해지고, 유리면의 와이핑될 상부면(26)은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일점쇄선은 유리상부면(26)의 가장 큰 곡률을 도시하기 때문에, 양 단부가 유리에 인가하는 와이퍼블레이드 곡률은 최대 유리면 곡률보다 더 크다. 와이퍼리브(28)을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는 유리 상부면(26)의 전체길이에 거쳐 밀착압력(화살표 24) 하에 놓인다. 이때 스프링탄성재의 지지체(12) 내에서 응력을 형성하며, 상기 응력은 와이퍼스트립(14)이나 와이퍼리브(28)의 적합한 접촉을 전체길이에 걸쳐 유리면에 제공한다. 지지체(12)와 연결장치(16) 사이의 연결은 도 3 및 4, 도 5 및 6, 그리고 도 7 및 8에 의해 상세화 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단면이 실질적으로 U형상인 연결장치(16)는 와이핑될 유리면 반대편의 밴드형 지지체(12)의 상부면에 상기 장치의 U자형 베이스(30)에 의해 평평하게 인가된다. 연결장치(16) 및 U자형레그(32, 34)는 지지체(12)로부터 떨어진 U자형 베이스(30)의 측면 상에 연장한다. 관절볼트(22)는 U자형레그(32, 34)에 지지된다. 지지체(12) 연결장치(16)의 고정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다루어질 용접이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치설정수단으로 연결장치의 U자형 베이스(30)는 U자형 레그(32, 34) 반대편의 연결장치의 측면으로부터 확장된 돌출부(38)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두 개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숄더들(40, 42)을 갖는다. 상기 숄더(40, 42)에는 각각 지지체의 각 대응숄더(44, 46)가 배치되며, 상기 대응 숄더들은 지지체(12)의 리세스(48)에 형성된다. 상기 숄더들은 지지체의 축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지지체(12)와 연결장치(16) 사이의 포지티브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지티브한 결합은 용접이음이 실행되는 경우 위치설정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도 3과 도 4에 따른 장치의 개선을 도시하는 도 5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U자형레그(32, 34)와 반대편 U자형 베이스의 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스트립 형태의 두 개의 돌출부(60, 62)들이 배치되며, 이 돌출부의 이격거리는 지지체(12)의 폭(64)에 매칭된다.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 형태의 돌출부(60, 62)는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연결장치(16)의 위치를 지지체(12) 상에 종방향 연장에 대해 가로로 고정한다.
도 7과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도 5와 도 6에 따른 실시예를 기초로 한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사전조립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스트립형태의 돌출부(160, 162)는 U자형 베이스(30) 반대편의 자유단부에 고리모양의 서로 반대로 향한 부착물(166, 168)들이 제공된다. U 자형 레그(32, 34) 반대편의 U자형 베이스(30)의 외측면과 부착물의 상기 베이스를 향항 측부착(166, 168)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지지체(12)의 두께(170)에 매칭된다. 이러한 매칭은, 도 5와 도6에 따른 실시예에서 처럼 양 부품(12, 16) 사이의 용이한, 그러나 상대적으로 전반적으로 유격없는 상대운동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도 3과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접이음은 다수의 점용접부위(36)로 구성된다. 도 5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접이음은 지지체(12)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놓인 복수의 선용접부위(136)를 갖는다. 도 7과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용접부위(236)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도 5와 도 6에 따른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선형의 용접부위(236)가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몇개의 용접부위(36 또는 136 또는 236)는 지지체(12)와 연결장치(116) 사이에서 구동상 안전한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나타낸다. 지지체의 탄성 능력의 손상은 원하는 와이핑결과를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지지체(12)와 연결장치(16)는 각각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상이한 합성수지로 결합될 수 있음이 밝혀진다. 금속인 경우에는 저항용접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초음파용접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포지티브한 결합은 -숄더(40, 42)와 돌출부(38) 및 리세스(48) 그 대응숄더(44, 46)- 도 5와 도 6 또는 도 7과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명백히 밴드형의 지지체(12)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또한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용접부위(36, 136, 236)의 배치는 반드시 도 3, 도 5,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돌출부(60, 62 또는 160, 162) 또는 부착물(166, 168)에 배치할 수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용접부위(36, 136, 236)의 형상은 어떻게 연결장치(16)가 형성되느냐에 달려있다. 용접부위의 배치와 형성은 도 3, 도 5, 도 7에서 단지 예제로서 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대응숄더(44, 46)는 반드시 지지체의 에지 오픈된 리세스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지지체(12)에 존재하는, 유리면(26)을 향한 작동텐션을 고려하여 대응숄더는 지지체(12)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는 이와 관련하여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U자형 베이스의 중앙영역과 마주한 지지체 영역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대응숄더는 사방으로 폐쇄된 개구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숄더와 상호 작용하는 숄더는 연결장치에 위치한다.
또한 상술한 위치설정 수단의 배치는 어떠한 방법으로 연결장치와 지지체가 연결되는가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와이핑될 유리면(26)에 인가할 수 있는, 고무탄성의 와이퍼 스트립(14)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대체로 종축선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프링 탄성의 지지체(12)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의 유리면 반대편의 중앙 섹션에 유리면을 향해 가해질 수 있는 구동 와이퍼아암을 위한 연결장치(16)가 고정되는 차량 윈도우 와이퍼블레이드(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되며, 용접이음(36, 136, 236)에 의해 지지체(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연결장치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기 용접이음(36, 136, 236)은 저항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36, 136, 236)은 초음파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은 다수의 점용접부위(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은 다수의 선용접부위(136, 2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용접부위(136)는 지지체(12)의 종방향에 대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용접부위(236)는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장치의 U자형 레그(32, 34)와 결합하는 U자형 베이스(30)에 의해 밴드형으로 형성된 지지체(12)의 유리면 반대편 측면에 평평하게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의 U자형 베이스(30)는 U자형 레그(32, 34) 반대편 측면에 돌출부(60, 6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지지체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상호 일정 간격(64)으로 놓여 있으며, 상기 간격은 지지체의 폭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0, 62)는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60, 162)의 U자형 베이스의 반대편의 자유단부에 고리모양으로 마주하는 이음쇠(166, 168)가 배치되며, 고리모양의 이음쇠(166, 168)와 U자형 베이스(30)의 레그(32, 34) 반대편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은 지지체(12)의 두께(170)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12)의 종방향으로 향한 숄더(40, 42)가 배치되고, 상기 숄더에 지지체(12)의 대응숄더(44, 4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는 적어도 두 개의 반대방향으로 향한 숄더(40, 42)를 구비하며, 상기 숄더에 지지체(12)의 대응숄더(44, 4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6)의 숄더(40, 42)는 연결장치(16)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대응숄더(44, 46)는 돌출부(38)에 배치된 지지체(12)의 리세스(4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위(36, 136, 236)는 돌출부(60, 62, 160, 162, 166, 168)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블레이드.
KR1019980710807A 1997-05-02 1998-03-24 와이퍼블레이드 Expired - Lifetime KR10061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807A KR100616259B1 (ko) 1997-05-02 1998-03-24 와이퍼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8490.1 1997-05-02
KR1019980710807A KR100616259B1 (ko) 1997-05-02 1998-03-24 와이퍼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76A KR20000022376A (ko) 2000-04-25
KR100616259B1 true KR100616259B1 (ko) 2006-12-22

Family

ID=4175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807A Expired - Lifetime KR100616259B1 (ko) 1997-05-02 1998-03-24 와이퍼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2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60B1 (ko) * 2002-05-03 2010-10-29 페더랄-모굴 에스.아.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102037806B1 (ko) 2019-05-20 2019-10-30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KR102037805B1 (ko) 2019-05-07 2019-11-26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KR102120459B1 (ko) 2019-10-28 2020-06-09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335B1 (ko) * 2006-05-11 2007-05-16 김시용 개폐레버를 구비하는 와이퍼블레이드
DE102010001900A1 (de) * 2010-02-12 2011-08-18 Robert Bosch GmbH, 70469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ischblat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60B1 (ko) * 2002-05-03 2010-10-29 페더랄-모굴 에스.아.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102037805B1 (ko) 2019-05-07 2019-11-26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KR102037806B1 (ko) 2019-05-20 2019-10-30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KR102120459B1 (ko) 2019-10-28 2020-06-09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WO2021085736A1 (ko)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76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1638B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ガラスに用いられるワイパブレード
KR100775775B1 (ko)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78700B1 (ko) 자동차 윈도우 와이퍼 블레이드
US6202251B1 (en) Wiper blade
KR19990076926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EP1627787B1 (en) Arrangement introduced in wiper blade
KR100605236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JP4856348B2 (ja) 車両ウィンドガラス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JP4033918B2 (ja) 自動車の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702826B1 (ko) 자동차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78703B1 (ko) 자동차 유리창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60768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US8370987B2 (en) Wiper blade
US769007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682801B1 (ko) 차량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0042865A (ko) 와이퍼 아암에 차량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힌지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
CA1059273A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20030041137A (ko) 앞유리의 세척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탈착식 및 힌지식 결합을 위한 장치
KR20020059412A (ko) 자동차 유리 패널을 위한 상이한 치수를 갖는 와이퍼블레이드
US20030005540A1 (en) Wiper strip for windshield wipers
JP2005521596A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100616259B1 (ko) 와이퍼블레이드
US20020162185A1 (en) Wiper blade
US2772436A (en) Windshield wiper blade
US4793020A (en) Noise insula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9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