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4862B1 -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 Google Patents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62B1
KR100614862B1 KR1020047010185A KR20047010185A KR100614862B1 KR 100614862 B1 KR100614862 B1 KR 100614862B1 KR 1020047010185 A KR1020047010185 A KR 1020047010185A KR 20047010185 A KR20047010185 A KR 20047010185A KR 100614862 B1 KR100614862 B1 KR 10061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elete delete
alkyl
amino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267A (ko
Inventor
이시하라유지
이시치유지
도이다카유키
나가부쿠로히로시
간자키나오유키
이케우치모토키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8Aryloxyalkylamines, e.g. propranolol, tamoxifen, phenoxybenz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acridines, phenanthr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1,4-Oxazines, e.g. morpholin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having two or more nitro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hydrochlorothiaz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loxapine, staurosp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4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0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11/07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0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11/08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0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7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08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4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44Iso-indoles; Hydrogenated iso-indoles
    • C07D209/48Iso-indoles; Hydrogenated iso-indoles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e.g. phthali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or by two oxygen or sulfur atoms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07D211/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or by two oxygen or sulfur atoms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07D215/227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only one oxygen atom which i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07D2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07D2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with the ring nitrogen atom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with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07D2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with a hetero atom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3/16Benzazepines; Hydrogenated benzazep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26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8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9/8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07D265/34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07D265/36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1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15Six-membered rings
    • C07D285/16Thiadiazines; Hydrogenated thiadiazines
    • C07D285/181,2,4-Thiadiazines; Hydrogenated 1,2,4-thiadiazines
    • C07D285/201,2,4-Thiadiazines; Hydrogenated 1,2,4-thiadi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85/221,2,4-Thiadiazines; Hydrogenated 1,2,4-thiadi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5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other than with oxygen or sulphur atoms in position 2 or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10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 C07D319/14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9/16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9/18Ethylenedioxybenzenes, not 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2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hetero atoms, or by two 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0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only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04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02/08One of the condensed rings be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other ring being five-membered, e.g. ind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Transferases (2.)
    • G01N2333/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G01N2333/91205Phosphotransferases in general
    • G01N2333/9121Phosphotransferases in general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e.g. general tyrosine, serine or threonine kinases
    • G01N2333/91215Phosphotransferases in general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e.g. general tyrosine, serine or threonine kinases with a definite EC number (2.7.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방광의 배뇨 기능 개선 효과(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배뇨압 및 혈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길항 작용, 배뇨 장애, 배뇨 효율

Description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PREVENTIVES/REMEDIES FOR VOIDING DISTURBANCE}
본 발명은 의약,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하부 요로(Lower urinary tract) 질환은, 요의 축적(요 축적; urinry storage)으로부터 요의 배설(배뇨) 과정에 있어서의 자각적(subjective) 또는 객관적(objective) 이상(abnormality)의 총칭이며, 요 축적 장애(요실금, 빈뇨 등), 배뇨 장애(배뇨 곤란, 배뇨통, 요로 폐쇄 등) 등으로 분류된다. 하부 요로 질환은, 젊은층에서도 관찰되지만, 근래에는 고령화 사회의 진전과 함께, 고령자의 하부 요로 질환, 특히 배뇨 장애,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에 수반되는 배뇨 곤란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배뇨는, 배뇨 중추의 지배 하에 골반 신경 등의 부교감 신경, 하복(下腹) 신경 등의 교감 신경, 및 음부 신경 등의 체신경(somatic nerve)으로 이루어지는 말초 신경계에 의하여 통제되며, 여러 가지의 신경전달물질(예컨대, 아세틸콜린, 노르아드레날린, ATP, 서브스탠스 P(substance P), 뉴로펩타이드 Y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배뇨 장애, 특히 배뇨 곤란의 치료약으로는, 방광근(배뇨근)의 수축력을 증 강시키는 약제, 또는 요도 평활근을 이완시켜 요도 저항을 감소 약화시키는 약제가 이용된다. 방광근에 작용하여 그 수축력을 증강시키는 약제로는, 예컨대, 베타네콜(bethanechol) 등의 콜린 작용제, 디스티그민(distigmine) 등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베타네콜은 요 축적기의 방광근도 수축시켜 방광의 요 축적 기능을 손상시키는 동시에, 눈물 흘림, 발한, 위장 장애, 복통 등의 부작용이 있고, 임부, 소화성 궤양, 기질적 장관 폐쇄, 천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에는 금기이며, 아직 만족스러운 약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방광근 수축력의 증강 작용을 가지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는, 예컨대, 디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 등이 알려져 있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배뇨 시 골반 신경종말에서 유리되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증강시킴으로써, 배뇨 시 방광근의 수축을 증강시키며, 배뇨의 생리 기구 측면에서 우수한 약제이다. 그러나, 예컨대, 디스티그민은 방광근을 수축시키는 한편, 그의 강한 니코틴 작용에 의해 요도 괄약근을 수축시켜, 요도 저항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배뇨 효율이 양호하지 않고, 임상에서의 효과가 불충분하며, 고압 배뇨의 위험성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네오스티그민은 지속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치료에는 이용되지 않는다(예컨대, 비특허 문헌 1 참조).
요도 평활근을 이완시켜, 요도 저항을 감소 약화시키는 약제로는, 예컨대, 탐술로신, 프라조신, 알푸조신, 나프토피딜, 우라피딜 등의 α1 수용체 길항제가 이용되며, 잔뇨감, 야간빈뇨 등의 자각 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 으나, 부작용으로서 기립성 저혈압 등의 강압 작용이 있어 치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특허 문헌 1에는 배뇨 장애(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가 기재되어 있으며, α1 수용체 길항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요류율(urine flow rate)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2제의 병용은, 투여되는 환자의 부담이나 조제 등의 수고를 고려할 때, 치료의 면에서도 의료 경제의 면에서도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병용에 의한 약품 상호 작용에 의한 부작용의 증대나 사망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어, 충분한 주의가 요망된다.
또한, 여러 가지 약리 작용을 가지는 아민 화합물이 아래와 같이 보고되어 있다.
(1) 특허 문헌 2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1
(2) 특허 문헌 3에는, 중추 신경 질환 등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σ 리간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2
(3) 특허 문헌 4에는, 황 함유 화합물의 합성 중간체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3
(4) 특허 문헌 5에는, 정신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4-아미노부티로페논류의 유도체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4
(5) 특허 문헌 6에는, 항균제로서 이용되는 화합물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5
(6) 특허 문헌 7에는, 5-HT4 수용체 리간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6
(7) 비특허 문헌 2에는, 5-HT4 수용체 길항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 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7
(8) 특허 문헌 8에는, 열생산 촉진 작용(thermogenesis promoting activity), 항비만 작용 등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8
(9) 특허 문헌 9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09
(10) 특허 문헌 10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0
(11) 특허 문헌 11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1
(12) 특허 문헌 12에는, 강압제(depressor) 또는 항부정맥제 (antiarrhythmic)로서 이용되는 화합물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2
(13) 특허 문헌 13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3
(14) 특허 문헌 14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4
(15) 특허 문헌 15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5
(16) 특허 문헌 16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의 치료제로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예컨대, 하기 식의 화합물 등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6
그러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과 α1 수용체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 및 그의 배뇨 장애(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의 효과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전혀 보고되거나 시사되거나 개시된 바가 없다.
또한, 생체내에서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 치료약의 평가 방법으로서, 예컨대, 비특허 문헌 3∼5에는 페닐에프린을 부하한 동물을 이용하여 약품 투여에 의한 요도 내압의 저하를 측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내압의 변화를 관측하는 방법로서, 그 때의 요류에 관해서는 측정할 수 없다.
한편, 요도(또는 방광) 내압 및 요류를 동시에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Plessure Flow Study)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비특허 문헌 6에는 인간에 있어서의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의 적용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 문헌 7∼9에는 실험동물에 있어서의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는 페닐에프린을 부하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경우가 없고,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 치료약의 평가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없다.
[비특허 문헌 1]
「신경병인성 방광의 진단과 치료」 제2판, Takamichi Hattori, Kosaku Yasuda, Igakushoin p. 105-106, p.139
[비특허 문헌 2]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 1995년, 제5권, p.2119-2122
[비특허 문헌 3]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1999년, 제291권, p.81
[비특허 문헌 4]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002년, 제300권, p.487
[비특허 문헌 5]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002년, 제300권, p.495
[비특허 문헌 6]
The mechanics and hydrodynamics of the lower urinary tract, Medical physical handbooks. Bristol, 1980년
[비특허 문헌 7]
The Journal of Urology, 1995년, 제154권, p.580
[비특허 문헌 8]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995년, 제269권, p.98
[비특허 문헌 9]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1996년, 제15권, p.513
[특허 문헌 1]
EP-A 1118322
[특허 문헌 2]
EP-A 562832
[특허 문헌 3]
WO 95/131
[특허 문헌 4]
GB 1489080
[특허 문헌 5]
US 4001312
[특허 문헌 6]
WO 01/25227
[특허 문헌 7]
WO 94/27965
[특허 문헌 8]
WO 98/46590
[특허 문헌 9]
JP-A 6-263733
[특허 문헌 10]
EP-A 487071
[특허 문헌 11]
EP-A 378207
[특허 문헌 12]
EP-A 30044
[특허 문헌 13]
EP-A 560235
[특허 문헌 14]
EP-A 567090
[특허 문헌 15]
EP-A 607864
[특허 문헌 16]
EP-A 655451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배뇨 장애 치료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된 화합물 및 그의 병용에 비해, 치료 효과 및 편리성이 높고, 부작용이 적은, 배뇨 장애, 특히 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 치료약의 보다 유효한 생체내 평가 방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현재 상황을 감안하여, 배뇨 효율이 높은 새로운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특히 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탐색 연구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7
[식 중의 각각의 기호의 의미는 후술함]으로 나타내지는 특이한 화학구조의 아민 화합물이, 그 특이한 구조에 따라 예상외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과 α1 수용체 길항 작용을 함께 가져, 방광에 대한 우수한 배뇨 기능 개선 작용(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배뇨압 및 혈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예상외로 배뇨 장애, 특히 배뇨 곤란의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등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을 생체내 평가함에 있어서,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를 α 아고니스트(페닐에프린)가 부하된 기니아 피그에 적용함으로써, 예상외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 치료약을 평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2]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8
[식에서, Ar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L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spacer)를 나타내거나, 또는 Ar과 함께 환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기를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를 함유하는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3] L이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10 알킬렌기인 상기 [2]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4]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인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5]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의 각각의 IC50 값이 약 1:100∼약 100:1의 비율인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6]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의 각각의 IC50 값이 약 1:1∼약 30:1의 비율인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7] 요류율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용량에서 혈압 저하를 나타내지 않는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8] 투여 후의 요류율이 투여 전에 비하여 약 20% 이상 개선되는 용량에서, 투여 후의 혈압 저하가 투여 전에 비하여 약 10% 이내인 상기 [7]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9] 배뇨 효율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용량에서 혈압 저하를 나타내지 않는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10] 투여 후의 배뇨 효율이 투여 전에 비하여 약 10% 이상 개선되는 용량에서, 투여 후의 혈압 저하가 투여 전에 비하여 약 10% 이내인 상기 [9]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11]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을 수반하지 않는 상기 [1] 기재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12] 포유동물에 대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3]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14]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19
[식에서, A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L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6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 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R1a(여기서, R1a는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아실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Ar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향환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Ar2와 R, 또는 Ar2와 L2 는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음]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5] Ar1이,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0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1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2
[식에서, A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을 나타내고, B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homocyclic ring) 또는 복소환(heterocyclic ring)을 나타내고, C환 및 D환 중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환 내지 9원환을 나타내고, E환, F환 및 G환 중 적어도 하나의 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환 내지 9원환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16] Ar1이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3
[식에서, A환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Ba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C"환 및 D"환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내고, R1 및 R1'는 각각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아실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를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17] A환은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 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Ba환, C"환 및 D"환은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각각 (1) 수소원자, (2) 각각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3) 식 -(C=O)-R2',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 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상기 [16] 기재의 화합물,
[18] R이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19] L1은 C4-5 알킬렌기이고, L2는 페닐,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20] Ar2가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 또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21]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환은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4
[식에서, p 및 q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H환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및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환이고,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환은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5
[식에서, r은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한 r+s는 2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H환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및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환인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
[22]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6
[식에서, Ar3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즈이미다졸환기, 퀴나졸린환기, 1,4-벤조옥사진환기, 또는 3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L3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3] Ar3이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7
[식에서, A환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C'환 및 D'환은 각각 옥소기 이외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상기 [22] 기재의 화합물,
[24] L3이 에틸렌기이고, L2는 페닐,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X는 결합 또는 산소원자인 상기 [22] 기재의 화합물,
[25] Ar2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 또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이고,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환은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8
[식 중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인 상기 [22] 기재의 화합물,
[26]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29
[식에서, Ar4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추가로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7] Ar4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추가로 1개 또는 2개의 C1-4 알콕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기이고, L1은 C4-5 알킬렌기이고, L2는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이고, X는 결합이고, Ar2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 또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인 상기 [26] 기재의 화합물,
[28]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0
[식에서,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L4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3-5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 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9] R1 및 R1'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이고, L4는 C3-4 알킬렌기이고, L2는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이고, X는 결합이고, Ar2 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 또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인 상기 [28] 기재의 화합물,
[30]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또는 그의 염,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또는 그의 염,
1,3-디메틸-5-[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또는 그의 염,
8-{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또는 그의 염,
8-{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또는 그의 염,
1,3-디메틸-5-[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또는 그의 염,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또는 그의 염, 또는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또는 그의 염,
[31] 상기 [14], [22], [26] 또는 [28] 기재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프로드러그,
[32]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1
[식에서, Z1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2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기재의 화합물의 제 조 방법,
[33] 식
Ar1-H
[식에서, Ar1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3
[식에서, Z1 및 Z2는 각각 이탈기를 나타내고, L1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4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 방법,
[34] 촉매로서 염화아연을 이용하고, 용매로서 니트로알칸을 이용하는 상기 [33] 기재의 제조 방법,
[35] 상기 [14], [22], [26] 또는 [28] 기재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의약,
[36]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인 상기 [35] 기재의 의약,
[37]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인 상기 [35] 기재의 의약,
[38] 배뇨근 저활동(detrusor underactivity)에 기인하는 배뇨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인 상기 [37] 기재의 의약,
[39] 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 [14], [22], [26] 또는 [28] 기재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40] 상기 [14], [22], [26] 또는 [28] 기재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프로드러그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41] α 아고니스트가 부하된 동물 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에 의한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
[42] α 아고니스트가 페닐에프린인 상기 [41] 기재의 스크리닝 방법,
[43] 상기 [41] 기재의 스크리닝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배뇨 장애 중, 예컨대, 양성 전립선 비대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는 비대한 전립선에 의한 요도의 압박, 및 교감 신경계의 항진에 의한 전립선 및 요도의 기능적 수축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치료에 있어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단독 투여, 즉 요도의 폐쇄 상태에서 방광근(배뇨근)의 수축력을 증강시키는 것은, 고압 배뇨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α1 수용체 길항제는 전립선 및 요도의 기능적 수축을 개선시키는 약제이며, 고압 배뇨의 위험은 없으나, 기본적으로 강압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립성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에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A로 약기하기도 함)은, α1 길항 작용에 따라, 요도 평활근을 이완시켜, 요도 저항을 감소 약화시키는 동시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에 따라, 방광근(배뇨근)의 수축력을 증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A를 함유하는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단독 투여에 비해, 고압 배뇨의 위험이 보다 적다. 또한, α1 수용체 길항제의 단독 투여에 비해, 보다 저용량에서 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혈압에 대한 영향이 보다 적다.
다음에, α1 수용체 길항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병용 치료"에 대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의 우위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약제의 체내 동태는 약제마다 상이하므로, "병용 치료"에 있어서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투여 회수, 투여 타이밍 등 미세한 설정이 필요하게 되어, 투여되는 환자 및 의사에게 부담이 가해지는 동시에, 조제 등의 수고가 증가한다. 또한 근래에는, 약제의 병용으로 약품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부작용이 증강될 가능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병용 치료"에 있어서는, 약품 상호 작용에 대해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는 단일 제제로서 치료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투여되는 환자 및 의사에 대한 부담이나 조제 등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 라, 약품 상호 작용의 우려도 없고, "병용 치료"에 비해 치료 면에서도 의료 경제의 면에서도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가 가지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에 관해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시험관내(in vitro) 효소 저해 시험 1a)에 있어서, IC50 값이 약 1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0.5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α1 수용체는 α1A, α1B, α1D의 3종의 서브타입(subtype)으로 분류되고 있으나(Pharmacological Reviews, 1995, 47, 267), 인간 전립선에서는 α1 수용체의 약 70%가 α1A 서브타입이며, 인간 전립선 평활근 수축이 α1A 서브타입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Journalof Urology, 1993, 150, 546; Molecular Pharmacology, 1994, 45, 703). 화합물 A가 가지는 α1 길항 작용에 관해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시험관내 시험 1b)에 있어서, α1A 수용체 결합 저해 활성의 IC50 값이 약 1 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0.5 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A에 있어서의 상기 두 작용의 균형(balance)에 관해서는, 시험관내 시험에 있어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과 α11A) 길항 작용의 각각의 IC50 값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약 1:1000∼약 1000: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100∼약 1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약 20:1일 수 있다. 이들 두 작용 중, α1 길항 작용이 강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의 각각의 IC50 값의 비율이 약 1:1∼약 30:1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작용의 균형은, 생체내(in vivo) 시험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시험 2에 있어서, 배뇨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배뇨압을 증가시키지 않고), 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투여 후의 요류율이 투여 전에 비하여 약 20% 이상 개선되고, 투여 후의 배뇨 효율이 투여 전에 비하여 약 10% 이상 개선되고 있는 것), 또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으로는 혈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투여 후의 혈압 저하가 투여 전에 비하여 약 10% 이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는, 단일 화합물로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이면, 어떠한 분자 구조의 화합물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의 수소원자가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아민 화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급 아민 화합물, 2급 아민 화합물, 3급 아민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에는, 후술하는 화합물(I), (Ia), (Ib), (Ic) 또는 (Id)의 염 또는 프로드러그와 같이, 염을 형성함으로써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이나, 생체내에서 처할 수 있는 생리 조건 하에서 효소나 위산 등과의 반응에 의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기재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I)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로 약기하기도 함) 또는 그의 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5
[식에서, Ar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L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를 나타내거나, 또는 Ar과 함께 환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냄].
상기 식에서,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에서의 "치환기"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기, (ii)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iii) 저급 알킬렌디옥시기(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의 C1-3 알킬렌디옥시기 등), (iv) 니트로기, (v) 시아노기, (vi) 하이드록시기, (vi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콕시기, (viii) 사이클로알킬기(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 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의 C3-6 사이클로알킬기 등), (ix)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티오기, (x) 아미노기, (x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기 등), (xii)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기 등), (xiii)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1-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 (xiv)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예컨대,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등), (xv)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프로필술포닐아미노 등의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 (xvi)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등), (xvii) 카르복시기, (xviii) 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부틸카르보닐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기 등), (xix) 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 사이클로부틸카르보닐, 사이클로펜틸카르보닐, 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 등의 C3-6 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기 등), (xx) 카르바모일기, 티오카르바모일기, (xxi) 모노-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 모일, 프로필카르바모일, 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ii)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디에틸카르바모일, 디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iii) 저급 알킬술포닐기(예컨대,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프로필술포닐 등의 C1-6 알킬술포닐기 등), (xxiv) 사이클로알킬술포닐기(예컨대, 사이클로펜틸술포닐, 사이클로헥실술포닐 등의 C3-6 사이클로알킬술포닐 등), (xxv) 페닐기, (xxvi) 나프틸기, (xxvii) 모노-페닐-저급 알킬기(예컨대, 벤질, 페닐에틸 등의 모노-페닐-C1-6 알킬기 등), (xxviii) 디-페닐-저급 알킬기(예컨대, 디페닐메틸, 디페닐에틸 등의 디-페닐-C1-6 알킬기 등), (xxix) 모노-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페닐메틸카르보닐옥시, 페닐에틸카르보닐옥시 등의 모노-페닐-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등), (xxx) 디-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디페닐메틸카르보닐옥시, 디페닐에틸카르보닐옥시 등의 디-페닐-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등), (xxxi) 페녹시기, (xxxii) 모노-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페닐메틸카르보닐, 페닐에틸카르보닐 등의 모노-페닐-C1-6 알킬-카르보닐기 등), (xxxiii) 디-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디페닐메틸카르보닐, 디페닐에틸카르보닐 등의 디-페닐-C1-6 알킬-카르보닐기 등), (xxxiv) 벤조일기, (xxxv) 페녹시카르보닐기, (xxxvi) 페닐-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페닐-메틸카르바모일, 페닐-에틸카르바모일 등의 페닐-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xvii) 페닐카르바모일기, (xxxviii) 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예컨대, 페닐-메틸카르보닐아미노, 페닐-에틸카르보닐아미노 등의 페닐-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등), (xxxix) 페닐-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페닐-메틸아미노, 페닐-에틸아미노 등의 페닐-C1-6 알킬아미노기 등), (xxxx) 페닐-저급 알킬술포닐기(예컨대, 페닐-메틸술포닐, 페닐-에틸술포닐 등의 페닐-C1-6 알킬술포닐기 등), (xxxxi) 페닐술포닐기, (xxxxii) 페닐-저급 알킬술피닐기(예컨대, 페닐-메틸술피닐, 페닐-에틸술피닐 등의 페닐-C1-6 알킬술피닐기 등), (xxxxiii) 페닐-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페닐-메틸술포닐아미노, 페닐-에틸술포닐아미노 등의 페닐-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 (xxxxiv) 페닐술포닐아미노기, (xxxxv)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기(예컨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기(예컨대,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페라지닐)카르보닐,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 등), (xxxxvi) 아미노술포닐기, (xxxxvi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메틸아미노술포닐, 에틸아미노술포닐, 프로필아미노술포닐, 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xxxxviii) 디-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디에틸아미노술포닐, 디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xxxxix)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술포닐기(예컨 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1-피롤리디닐)술포닐, 피페리디노술포닐, (1-피페라지닐)술포닐, 모르폴리노술포닐, 티오모르폴리노술포닐기 등), (xxxxx)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xxxxx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등), (xxxxxii) 디-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등), 및 (xxxxxiii)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1-피페라지닐)카르보닐옥시, 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기 등) (상기 (xxv) 내지 (xxxxiv)의 페닐기, 나프틸기, 모노-페닐-저급 알킬기, 디-페닐-저급 알킬기, 모노-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디-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페녹시기, 모노-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기, 디-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기, 벤조일기, 페녹시카르보닐기, 페닐-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 페닐카르바모일기, 페닐-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페닐-저급 알킬아미노기, 페닐-저급 알킬술포닐기, 페닐술포닐기, 페닐-저급 알킬술피닐기, 페닐-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및 페닐술포닐아미노기에 있어서의 페닐기 부분(moiety)은, 예를 들어, 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의 C1-6 알킬 등), 저급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등의 C1-6 알콕시 등),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하이드록시기, 벤질옥시기, 아미노기, 모노-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 등),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 등), 니트로기, 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부틸카르보닐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 등), 벤조일기 등 중에서 선택된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추가로 가지고 있을 수 있음).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는 이들 (i)∼(xxxxxiii)의 치환기를 1개 내지 4개,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기"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1개 내지 3개의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의 C1-6 알킬기 등)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클로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틸, 2-브로모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4,4,4-트리플루오로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5,5,5-트리플루오로펜틸, 헥실, 6,6,6-트리플루오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콕시기"로는, 예컨대, 1개 내지 3개의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저급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등의 C1-6 알콕시기 등)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4,4,4-트리플루오로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티오기"로는, 예컨대, 1개 내지 3개의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티오기(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ert-부틸티오 등의 C1-6 알킬티오기 등)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티오, 디플루오로메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4,4,4-트리플루오로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ert-부틸티오, 펜틸티오, 헥실티오 등을 들 수 있다.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에서의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i) 아미노기, (i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기 등), (iii)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기 등), (iv) 예컨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1-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 (v)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예컨대,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등), (vi)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프로필술포닐아미노 등의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 (vii) 페닐-저급 알킬아미노(예컨대, 페닐-메틸아미노, 페닐-에틸아미노 등의 페닐-C1-6 알킬아미노 등), (viii) 페닐-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페닐-메틸술포닐아미노, 페닐-에틸술포닐아미노 등의 페닐-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 (ix) 페닐술포닐아미노기, (x)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등), (x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tert-부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등), (xi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tert-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등), (xiii) 아미노술포닐기, (xiv)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메틸아미노술포닐, 에틸아미노술포닐, 프로필아미노술포닐, 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xv) 디-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디에틸아미노술포닐, 디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xvi) 카르바모일기, (xvii) 모노-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프로필카르바모일, 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viii)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디에틸카르바모일, 디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기 등),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1-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tert-부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등), 아미노술포닐기,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메틸아미노술포닐, 에틸아미노술포닐, 프로필아미노술포닐, 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디-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디에틸아미노술포닐, 디부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카르바모일기, 모노-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메틸카르바 모일, 에틸카르바모일, 프로필카르바모일, 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디에틸카르바모일, 디부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등이 바람직하다.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로는, 페닐기(벤젠환기),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로는, 예컨대,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이상(예컨대, 1∼3개)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등을 들 수 있다.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가, 예컨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페닐기"인 경우, 상기 "페닐기"가 축합하는 예로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a)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단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
(b)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 또는 2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 및
(c)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3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
상기 (a)에서의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의 페닐기가 단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6
[식에서, A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을 나타내고, B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냄].
A환의 치환기로는, 상기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치환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3개이다.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에서의 "동소환"으로는, 5원 내지 9원 탄소환(예컨대, 벤젠,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헥사디엔, 사이클로헵탄,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헵타디엔 등) 등을 들 수 있다.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에서의 "복소환"으로는,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4원 내지 14원(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9 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복소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이미다졸, 퓨란, 티오펜, 디하이드로피리딘, 디아제핀, 옥사제핀, 피롤리딘, 피페리딘, 헥사메틸렌이민, 헵타메틸렌이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테트라하이드로옥사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롤, 피라졸, 1,2,3-트리아졸, 옥사졸, 옥사졸리딘, 티아졸, 티아졸리딘, 티아디아조리딘, 티아디아지난, 이속사졸, 이미다졸린, 이미다조리딘, 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1개의 이종원자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이종원자를 함유하는 5원환 내지 9원환의 비방향족 복소환(예컨대, 피롤리딘, 피페리딘, 헥사메틸렌이민, 헵타메틸렌이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테트라하이드로옥사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이미다졸린, 티아디아조리딘, 티아디아지난, 이미다조리딘, 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등)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1)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이종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 복소환, (2) 1개의 질소원자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이종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 복소환 등이 바람직하다.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i)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ii) 니트로기, (iii) 시아노기, (iv) 옥소기, (v) 하이드록시기, (vi) 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 틸, sec-부틸 등의 C1-6 알킬기 등) (vii) 저급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부틸옥시 등의 C1-6 알콕시기 등), (viii) 저급 알킬티오기(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등의 C1-6 알킬티오기 등), (ix) 아미노기, (x) 모노-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기 등), (xi)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기 등), (xii) 예컨대, 탄소원자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1-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 (xiii)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예컨대,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등), (xiv)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등의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 (xv)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등), (xvi) 카르복시기, (xvii) 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프로필카르보닐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기 등), (xviii) 카르바모일기, (xix) 모노-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i) 저급 알킬술포닐기(예컨대,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프로필술포닐 등의 C1-6 알킬술포닐기, (xxii) 아미노술포닐기, (xxii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메틸아미노술포닐, 에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xxiv) 디-저급 알킬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술포닐, 디에틸아미노술포닐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등) 등 중에서 선택된 1개 내지 5개가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옥소기, 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등의 C1-6 알킬기 등)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옥소기, C1-6 알킬기,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이 바람직하다.
B환이 환 중에 질소원자를 가지는 경우, 예컨대, B환은 환 중에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B환은 상기 치환기 (i) 내지 (xxiv)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N-R1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아실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를 나타냄].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에서의 "탄화수 소기"는,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외한 기를 나타내고, 그 예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이들 조합의 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C1-16 탄화수소기 등이 바람직하다.
(1) 알킬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펜틸, 헥실 등의 C1-6 알킬기 등)
(2) 알케닐기(예컨대,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sec-부테닐 등의 C2-6 알케닐기 등)
(3) 알키닐기(예컨대, 프로파길(propargyl), 에티닐, 부티닐, 1-헥시닐 등의 C2-6 알키닐기 등)
(4) 사이클로알킬기(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의 C3-6 사이클로알킬기 등)
(5) 가교환식(Cross-linked cyclic) 저급 포화 탄화수소기(예컨대, 바이사이클로[3.2.1]옥트-2-일, 바이사이클로[3.3.1]논-2-일, 아다만탄-1-일 등의 가교환식 C8-14 포화 탄화수소기 등)
(6) 아릴기(예컨대,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비페닐, 2-인데닐, 2-안트릴 등의 C6-14 아릴기 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등)
(7) 아르알킬기(예컨대, 벤질,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페닐부틸, 페닐펜틸, 페닐헥실 등의 페닐-C1-10 알킬; α-나프틸메틸 등의 나프틸-C1-6 알킬; 디페닐메틸, 디페닐에틸 등의 디페닐-C1-3 알킬 등의 C7-16 아르알킬기 등)
(8) 아릴-알케닐기(예컨대, 스티릴, 신나밀, 4-페닐-2-부테닐, 4-페닐-3-부테닐 등의 페닐-C2-12 알케닐 등의 C6-14 아릴-C2-12 알케닐기 등)
(9) 아릴-C2-12 알키닐기(예컨대, 페닐에티닐, 3-페닐-2-프로피닐, 3-페닐-1-프로피닐 등의 페닐-C2-12 알키닐 등의 C6-14 아릴-C2-12 알키닐기 등)
(10) 사이클로알킬-알킬기(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부틸메틸, 사이클로펜틸메틸, 사이클로헥실메틸, 사이클로헵틸메틸, 사이클로프로필에틸, 사이클로부틸에틸, 사이클로펜틸에틸, 사이클로헥실에틸, 사이클로헵틸에틸, 사이클로프로필프로필, 사이클로부틸프로필, 사이클로펜틸프로필, 사이클로헥실프로필, 사이클로헵틸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부틸, 사이클로부틸부틸, 사이클로펜틸부틸, 사이클로헥실부틸, 사이클로헵틸부틸, 사이클로프로필펜틸, 사이클로부틸펜틸, 사이클로펜틸펜틸, 사이클로헥실펜틸, 사이클로헵틸펜틸, 사이클로프로필헥실, 사이클로부틸헥실, 사이클로펜틸헥실, 사이클로헥실헥실 등의 C3-7 사이클로알킬-C1-6 알킬기 등)
(11) 아릴-아릴-C1-10 알킬기(예컨대, 비페닐메틸, 비페닐에틸 등).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에서의 "탄화수 소기"의 바람직한 것으로는, 예컨대, C1-6 알킬기, C3-6 사이클로알킬기, C7-16 아르알킬기 등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C7-10 아르알킬기(예컨대, 벤질,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등의 페닐-C1-4 알킬 등) 등이다.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i)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ii) 니트로기, (iii) 시아노기, (iv) 옥소기, (v) 하이드록시기, (v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C1-6)알킬기, (vi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C1-6)알콕시기, (vii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저급 (C1-6)알킬티오기, (ix) 아미노기, (x) 모노-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기 등), (xi) 디-저급 알킬아미노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기 등), (xii) 예컨대, 탄소원자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예컨대,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1-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등), (xiii)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예컨대,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등), (xiv)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기(예컨대,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등의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기 등), (xv)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등), (xvi) 카르복시기, (xvii) 저급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메틸카르보닐, 에틸카르보닐, 프로필카르보닐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기 등), (xviii) 카르바모일기, 티오카르바모일기, (xix) 모노-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기(예컨대,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등), (xxi) 저급 알킬술포닐기(예컨대,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프로필술포닐 등의 C1-6 알킬술포닐기 등), (xxii)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저급 알킬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 메톡시카르보닐에틸, 메톡시카르보닐메틸, 메톡시카르보닐(디메틸)메틸, 에톡시카르보닐(디메틸)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디메틸)메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C1-6 알킬기 등), (xxiii) 카르복시-저급 알킬기(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카르복시(디메틸)메틸 등의 카르복시-C1-6 알킬기 등), (xxiv)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 (xxv) C6-14 아릴기(예컨대, 페닐, 나프틸 등), (xxvi) C7-16 아르알킬기(예컨대, 벤질 등), (xxvii)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할로게노 C1-4 알킬, C6-10 아릴, 할로게노 C6-10 아릴, C1-4 알킬-C6-10 아릴, 할로게노 C1-4 알킬-C6-10 아릴, C1-4 알콕시-C6-10 아릴, 벤질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우레이도기(예컨대, 우레이도, 3-메틸우레이도, 3-에틸우레이도, 3-페닐우레이도, 3-(4-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 3-(2-메틸페닐)우레이도, 3-(4-메톡시페닐)우레이도, 3-(2,4-디플루오로페닐)우레이도, 3-[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이도, 3-벤질우레이도, 3-(1-나프틸)우레이도, 3-(2-비페닐릴)우레이도 등), (xxviii)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할로게노 C1-4 알킬, C6-10 아릴, 할로게노 C6-10 아릴, C1-4 알킬-C6-10 아릴, 할로게노 C1-4 알킬-C6-10 아릴, C1-4 알콕시-C6-10 아릴, 벤질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티오우레이도기(예컨대, 티오우레이도, 3-메틸티오우레이도, 3-에틸티오우레이도, 3-페닐티오우레이도, 3-(4-플루오로페닐)티오우레이도, 3-(4-메틸페닐)티오우레이도, 3-(4-메톡시페닐)티오우레이도, 3-(2,4-디클로로페닐)티오우레이도, 3-벤질티오우레이도, 3-(1-나프틸)티오우레이도 등), (xxix)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C6-10 아릴, 니트로-C6-10 아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디노기(예컨대, 아미디노, N1-메틸아미디노, N1-에틸아미디노, N1-페닐아미디노, N1,N1-디메틸아미디노, N1,N2-디메틸아미디노, N1-메틸-N1-에틸아미디노, N1,N1-디에틸아미디노, N1-메틸-N1-페닐아미디노, N1,N1-디(4-니트로페닐)아미디노 등), (xxx)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C6-10 아릴, 니트로-C6-10 아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구아니디노기(예컨대, 구아니디노, 3-메틸구아니디노, 3,3-디메틸구아니디노, 3,3-디에틸구아니디노 등), (xxxi)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할로게노 C1-4 알킬, C6-10 아릴, 할로게노 C6-10 아릴, C1-4 알킬-C6-10 아릴, 할로게노 C1-4 알킬-C6-10 아릴, C1-4 알콕시-C6-10 아릴, 니트로-C 6-10 아릴, 벤질, 할로게노벤질, 벤조일, 할로게노벤조일 등)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환형 아미노카르보닐기(예컨대, (1-피롤리디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4-메틸피페리디노)카르보닐, (4-페닐피페리디노)카르보닐, (4-벤질피페리디노)카르보닐, (4-벤조일피페리디노)카르보닐, [4-(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디노]카르보닐, (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 (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 [4-(4-니트로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 (4-벤질-1-피페라지닐)카르보닐,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 등), (xxxii)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C6-10 아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티오카르보닐기(예컨대, 아미노티오카르보닐, 메틸아미노티오카르보닐, 디메틸아미노티오카르보닐 등), (xxxiii) 치환기(예컨대, C1-4 알킬, C6-10 아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술포닐기(예컨대, 아미노술포닐, 메틸아미노술포닐, 디메틸아미노술포닐 등), (xxxiv) 치환기 (예컨대, 할로겐원자, C1-4 알킬, 할로게노 C1-4 알킬, C1-4 알콕시, 니트로, C1-4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페닐술포닐아미노(예컨대, 페닐술포닐아미노, (4-메틸페닐)술포닐아미노, (4-클로로페닐)술포닐아미노, (2,5-디 클로로페닐)술포닐아미노, (4-메톡시페닐)술포닐아미노, (4-아세틸아미노페닐)술포닐아미노, (4-니트로페닐)페닐술포닐아미노 등), (xxxv) 술포기, (xxxvi) 술피노기, (xxxvii) 술페노기, (xxxviii) C1-6 알킬술포기(예컨대, 메틸술포, 에틸술포, 프로필술포 등), (xxxix) C1-6 알킬술피노기(예컨대, 메틸술피노, 에틸술피노, 프로필술피노 등), (xxxx) C1-6 알킬술페노기(예컨대, 메틸술페노, 에틸술페노, 프로필술페노 등), (xxxxi) 포스포노기, (xxxxii) 디-C1-6 알콕시포스포릴기(예컨대, 디메톡시포스포릴, 디에톡시포스포릴, 디프로폭시포스포릴 등), (xxxxiii)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xxxxxi) 모노-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의 모노-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등), (xxxxxii) 디-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의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 등) 및 (xxxxxiii)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예컨대, (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1-피페라지닐)카르보닐옥시, 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 티오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기 등) 등 중에서 선택된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를 들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기,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카르복시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티오카르보닐기,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모노-C1-6 알킬아미노기, 디-C1-6 알킬아미노기,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기,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아미노술포닐기,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기, 페닐술포닐아미노기,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xxiv)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에서의 "복소환기"로는,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6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 포함하는 5원 내지 14원(단환식 또는 2원식 내지 4환식) 복소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이 이용된다.
단환식 복소환기로는,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이미다졸, 퓨란, 티오펜, 디하이드로피리딘, 디아제핀, 옥사제핀, 피롤리딘, 피페리딘, 헥사메틸렌이민, 헵타메틸렌이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테트라하이드로옥사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롤, 피라졸, 1,2,3-트리아졸, 옥사졸, 옥사졸리딘, 티아졸, 티아졸리딘, 이속사졸, 이미다졸린, 트리아졸, 티아디아졸, 옥사디아졸, 옥사티아디아졸, 트리아딘, 테트라졸 등의 단환식 복소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2환식 복소환으로는, 예컨대, 인돌, 디하이드로인돌, 이소인돌, 디하이드로이소인돌, 벤조퓨란, 디하이드로벤조퓨란, 벤즈이미다졸, 벤조옥사졸, 벤즈이속사졸, 벤조티아졸, 인다졸, 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이소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테트라하이드로-1H-1-벤즈아제핀, 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 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 테트라하이드로벤조옥사제핀, 퀴나졸린, 테트라하이드로퀴나졸린, 퀴녹살린, 테트라하이드로퀴녹살린, 벤조디옥산, 벤조디옥솔, 벤조티아진, 이미다조피리딘 등의 2환식 복소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이 이용된다.
3환식 또는 4환식 복소환기로는, 아크리딘, 테트라하이드로아크리딘, 피롤로퀴놀린, 피롤로인돌, 사이클로펜트인돌, 이소인돌로벤즈아제핀 등의 3환식 또는 4환식 복소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복소환기"로는, 단환식 또는 2환식 복소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를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5개이다.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서 바람직하 게는, 할로겐원자, C1-6 알킬, C1-6 알콕시, 니트로, 시아노, 카르바모일, 모노-C 1-6 알킬-카르바모일,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1개 내지 5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7-16 아르알킬기(바람직하게는, 벤질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1로 나타내지는 "아실기"로는, 예컨대, 식 -(C=O)-R2, -(C=O)-OR 2, -(C=O)-NR2R3, -SO2-R2, -SO-R2, -SO2-NR 2R3, -(C=S)-OR2 또는 -(C=S)NR2R3[식에서, R2 및 R3은 각각 (i) 수소원자, (ii)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또는 (iii)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거나,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환기를 형성할 수도 있음]으로 나타내지는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식:-(C=O)-R2, -(C=O)-NR2R3, -SO2-R 2, 또는-SO2-NR2R3[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아실기이다.
R2 또는 R3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로는, 상기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 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와 동일한 것을 각각 들 수 있다.
R2와 R3에 의하여 형성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환기"로는, 탄소원자 및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9원(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7원)의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7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들을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5개이다.
R2 및 R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i) 수소원자, (ii)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iii) C1-6 알킬 및 C1-6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 (iii) C7-16 아르알킬(예컨대, 벤질 등), (iv) 5원 또는 6원 복소환기(예컨대, 피리딜, 티에닐, 퓨릴 등) 등 을 들 수 있다.
상기 R1로 나타내지는 "아실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포르밀,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예컨대,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5원 또는 6원 복소환 카르보닐(예컨대, 피리딜카르보닐, 티에닐카르보닐, 퓨릴카르보닐 등), C6-14 아릴-카르보닐(예컨대,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C7-16 아르알킬-카르보닐(예컨대, 페닐아세틸, 3-페닐프로피오닐 등),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예컨대, 메탄술포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프로필술포닐 등), C6-14 아릴술포닐(예컨대, 벤젠술포닐, 나프틸술포닐 등), 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예컨대,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C1-6 알킬-카르바모일(예컨대,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예컨대, 메틸아미노술포닐, 에틸아미노술포닐 등),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예컨대, 디메틸아미노술포닐, 디에틸아미노술포닐 등) 등을 들 수 있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 카르바모일,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이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8
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나프탈렌;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인단; 인덴; 벤조[a]사이클로헵텐; 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 1,3-디하이드로-2-벤조퓨란 등의 벤조퓨란; 크로만; 3,4-디하이드로-1H-이소크로멘; 2,3,4,5-테트라하이드로-1-벤조옥세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벤조옥세핀, 1,2,4,5-테트라하이드로-3-벤조옥세핀 등의 벤조옥세핀; 2,3-디하이드로-1-벤조티오펜, 1,3-디하이드로-2-벤조티오펜 등의 벤조티오펜; 티오크로만; 3,4-디하이드로-1H-이소티오크로멘; 2,3,4,5-테트라하이드로-1-벤조티에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벤조티에핀, 1,2,4,5-테트라하이드로-3-벤조티에핀 등의 벤조티에핀; 3,4-디하이드로-2H-1-벤조티오피란; 2,3-디하이드로-1H-인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2,3,4,5-테트라하이드로-1H-1-벤즈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 등의 벤즈아제핀; 1,2,3,4,5,6-헥사하이드로-1-벤즈아조신, 1,2,3,4,5,6-헥사하이드로-2-벤즈아조신, 1,2,3,4,5,6-헥사하이드로-3-벤즈아조신 등의 벤즈아조신; 2,3,4,5,6,7-헥사하이드로-1H-1-벤즈아조닌, 2,3,4,5,6,7-헥사하이드로-1H-2-벤즈아조닌, 2,3,4,5,6,7-헥사하이드로-1H-3-벤즈아조닌, 2,3,4,5,6,7-헥사하이드로-1H-4-벤즈아조닌 등의 벤즈아조닌; 2,3-디하이드로벤조옥사졸 등의 벤조옥사졸; 2,3-디하이드로벤조티아졸 등의 벤조티아졸; 2,3-디하이드로-1,2-벤즈이소티아졸, 1,3-디하이드로-2,1-벤즈이소티아졸 등의 벤즈이소티아졸; 2,3-디하이드로-1H-벤즈이미다졸 등의 벤즈이미다졸; 1,3-디하이 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3,4-디하이드로-1H-2,1-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1H-2,3-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2H-1,2-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2H-1,3-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2H-3,1-벤조옥사진 등의 벤조옥사진; 3,4-디하이드로-1H-2,1-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1H-2,3-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2H-1,2-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2H-1,4-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2H-1,3-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2H-3,1-벤조티아진 등의 벤조티아진; 3,4-디하이드로-2H-1,2-벤조이소티아진, 3,4-디하이드로-1H-2,1-벤조이소티아진 등의 벤조이소티아진; 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1,2,3,4-테트라하이드로신놀린, 1,2,3,4-테트라하이드로프탈라진,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나졸린,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녹살린 등의 벤조디아진; 3,4-디하이드로-1,2-벤조옥사티인, 3,4-디하이드로-2,1-벤조옥사티인, 2,3-디하이드로-1,4-벤조옥사티인, 1,4-디하이드로-2,3-벤조옥사티인, 4H-1,3-벤조옥사티인, 4H-3,1-벤조옥사티인 등의 벤조옥사티인; 1,3-벤조디옥솔; 1,3-벤조디티올; 3,4-디하이드로-1,2-벤조디옥신, 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 1,4-디하이드로-2,3-벤조디옥신, 4H-1,3-벤조디옥신 등의 벤조디옥신; 3,4-디하이드로-1,2-벤즈디티인, 2,3-디하이드로-1,4-벤즈디티인, 1,4-디하이드로-2,3-벤즈디티인, 4H-1,3-벤즈디티인 등의 벤즈디티인; 2,3,4,5-테트라하이드로-1,2-벤조옥사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3-벤조옥사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4-벤조옥사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5-벤조옥사제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1-벤조옥사제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3-벤조옥사제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4-벤조옥사제핀, 1,2,4,5-테트라하이 드로-3,1-벤조옥사제핀, 1,2,4,5-테트라하이드로-3,2-벤조옥사제핀, 1,2,3,5-테트라하이드로-4,1-벤조옥사제핀 등의 벤조옥사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2-벤조티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4-벤조티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5-벤조티아제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1-벤조티아제핀, 1,3,4,5-테트라하이드로-2,4-벤조티아제핀, 1,2,4,5-테트라하이드로-3,1-벤조티아제핀, 1,2,4,5-테트라하이드로-3,2-벤조티아제핀, 1,2,3,5-테트라하이드로-4,1-벤조티아제핀 등의 벤조티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1,2-벤조티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1,3-벤조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1,4-벤조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1,5-벤조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2,3-벤조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2,4-벤조디아제핀 등의 벤조디아제핀; 4,5-디하이드로-1,3-벤조디옥세핀, 4,5-디하이드로-3H-1,2-벤조디옥세핀, 2,3-디하이드로-5H-1,4-벤조디옥세핀, 3,4-디하이드로-2H-1,5-벤조디옥세핀, 4,5-디하이드로-1H-2,3-벤조디옥세핀, 1,5-디하이드로-2,4-벤조디옥세핀 등의 벤조디옥세핀; 4,5-디하이드로-1H-2,3-벤조티에핀, 1,5-디하이드로-2,4-벤조디티에핀, 3,4-디하이드로-2H-1,5-벤조디티에핀, 2,3-디하이드로-5H-1,4-벤조디티에핀 등의 벤조디티에핀, 3,4,5,6-테트라하이드로-2H-1,5-옥사조신, 3,4,5,6-테트라하이드로-2H-1,6-옥사조신 등의 옥사조신; 3,4,5,6-테트라하이드로-2H-1,5-벤조티아조신, 3,4,5,6-테트라하이드로-2H-1,6-벤조티아조신 등의 벤조티아조신; 1,2,3,4,5,6-헥사하이드로-1,6-벤조디아조신 등의 벤조디아조신; 2,3,4,5-테트라하이드로-1,6-옥사티오신 등의 옥사티오신; 2,3,4,5-테트라하이드로-1,6-벤조디옥소신 등의 벤조디옥소신; 1,3,5-벤조트리 옥세핀, 5H-1,3,4-벤조트리옥세핀 등의 벤조트리옥세핀; 3,4-디하이드로-1H-5,2,1-옥사티아제핀, 3,4-디하이드로-2H-5,1,2-옥사티아제핀, 4,5-디하이드로-3,1,4-옥사티아제핀, 4,5-디하이드로-3H-1,2,5-옥사티아제핀 등의 옥사티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3,4-옥사디아제핀 등의 옥사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3,5-티아디아제핀 등의 티아디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1,2,5-벤조트리아제핀 등의 벤조트리아제핀; 4,5-디하이드로-1,3,2-벤조옥사티에핀, 4,5-디하이드로-1H-2,3-옥사티에핀, 3,4-디하이드로-2H-1,5-옥사티에핀, 4,5-디하이드로-3H-1,2-옥사티에핀, 4,5-디하이드로-3H-2,1-옥사티에핀, 2,3-디하이드로-5H-1,4-옥사티에핀, 2,3-디하이드로-5H-4,1-옥사티에핀 등, 특히 나프탈렌, 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인단, 인덴, 2,3,4,5-테트라하이드로-1H-3-아제핀, 2,3,4,5-테트라하이드로-1H-2-아제핀, 2,3-디하이드로-1H-인돌, 2,3,4,5-테트라하이드로-1,4-옥사제핀, 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 크로만, 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등의 2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B환이 복소환인 경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39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0
[식에서, B'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내고, B"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산소 함 유 복소환을 나타내며,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에서의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으로는, 탄소원자 및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 등을 들 수 있고, 5원 내지 9원의 비방향족질소 함유 복소환(예컨대, 피롤리딘, 피페리딘, 헥사메틸렌이민, 헵타메틸렌이민,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테트라하이드로옥사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이미다조리딘, 티아디아조리딘 등)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산소 함유 복소환"에서의 "5원 내지 9원의 산소 함유 복소환"으로는, 탄소원자 및 1개의 산소원자 이외에, 예컨대,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산소 함유 복소환 등을 들 수 있고, 5원 내지 9원의 비방향족 산소 함유 복소환(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옥세판 등)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옥소,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등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1
으로 나타내지는 기 중,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2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3
[식에서, Ba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R1'는 R1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그 외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Ba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 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 중 옥소기 이외의 치환기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A환은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Ba환은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각각 (1) 각각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2) 식 -(C=O)-R2',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의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에서의 페닐기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 또는 2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4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5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6
[식에서, A환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 C환 및 D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냄].
C환 또는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에서의 "동소환"으로는,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에서의 "동소환"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C환 또는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에서의 "복소환"으로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9원 복소환(예컨대,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이미다졸, 퓨란, 티오펜, 디하이드로피리딘, 디아제핀, 옥사제핀, 피롤리딘, 피페리딘, 헥사메틸렌이민, 헵타메틸렌이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피페라진, 호모피페라진, 테트라하이드로옥사제핀,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헥사하이드로피리미딘, 이미다조리딘, 티아디아조리딘 등) 등을 들 수 있다.
C환 또는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7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안트라센, 카르바졸, 1,2,3,4,4a,9a-헥사하이드로카르바졸, 9,10-디하이드로아크리딘, 1,2,3,4-테트라하이드로아크리딘, 10,11-디하이드로-5H-디[b,f]아제핀, 5,6,7,12-테트라하이드로디[b,g]아조신, 6,11-디하이드로-5H-디[b,e]아제핀, 6,7-디하이드로-5H-디[c,e]아제핀, 5,6,11,12-테트라하이드로디[b,f]아조신, 디벤조퓨란, 9H-크산텐, 10,11-디하이드로디[b,f]옥세핀, 6,11-디하이드로디[b,e]옥세핀, 6,7-디하이드로-5H-디[b,g]옥소신, 디벤조티오펜, 9H-티오크산텐, 10,11-디하이드로디벤조[b,f]티에핀, 6,11-디하이드로디벤조[b,e]티에핀, 6,7-디하이드로-5H-디벤조[b,g]티오신, 10H-페노티아진, 10H-페녹사진, 5,10-디하이드로페나진, 10,11-디벤조[b,f][1,4]티아제핀, 10,11-디하이드로디[b,f][1,4]옥사제핀, 2,3,5,6,11,11a-헥사하이드로-1H-피롤로[2,1-b][3]아제핀, 10,11-디하이드로-5H-디벤조[b,e][1,4]디아제핀, 5,11-디하이드로디[b,e][1,4]옥사제핀, 5,11-디하이드로디벤조[b,f][1,4]티아제핀, 10,11-디하이드로-5H-디벤조[b,e][1,4]디아제핀, 1,2,3,3a,8,8a-헥사하이드로피롤로[2,3-b]인돌 등의 3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8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날렌, 아세나프틸렌, 1H,3H-나프토[1,8-cd][1,2]옥사진, 나프토[1,8-de]-1,3-옥사진, 나프토[1,8-de]-1,2-옥사진, 1,2,2a,3,4,5-헥사하이드로[cd]인돌, 2,3,3a,4,5,6-헥사하이드로-1H-벤조[de]퀴놀린, 4H-피롤로[3,2,1-ij]퀴놀린,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 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 1H-피롤로[3,2,1-ij]퀴나졸린, 4H-이미다조[4,5,1-ij]퀴놀린, 2,3,7,8-테트라하이드로[1,2,6]티아디아지노[4,3,2-hi]인돌, 1,2,6,7-테트라하이드로-3H,5H-피리도[3,2,1-ij]퀴나졸린, 2,3,8,9-테트라하이드로-7H-[1,2,6]티아디아지노[4,3,2-ij]퀴놀린, 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조로[4,3,2-ij]퀴놀린, 1H,5H-벤조[ij]퀴놀리진, 아제피노[3,2,1-hi]인돌, 1,2,4,5,6,7-헥사하이드로아제피노[3,2,1-hi]인돌, 1H-피리도[3,2,1-jk][1]아제핀, 5,6,7,8-테트라하이드로-1H-피리도[3,2,1-jk][1]아제핀, 1,2,5,6,7,8-헥사하이드로-1H-피리도[3,2,1-jk][1]아제핀, 2,3-디하이드로-1H-[de]이소퀴놀린, 1,2,3,4,4a,5,6,7-옥타하이드로나프토[1,8-bc]아제핀, 2,3,5,6,7,8-헥사하이드로-1H-피리도[3,2,1-jk][1]아제핀 등의 3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49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 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안트라센, 1,2,3,5,6,7-헥사하이드로벤조[1,2-b:4,5-b']디피롤, 1,2,3,5,6,7-헥사히드로사이클로펜토[f]인돌 등의 3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0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난트롤렌, 1,2,3,6,7,8-헥사히드로사이클로펜토[e]인돌, 2,3,4,7,8,9-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f]퀴놀린 등의 3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1
,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2
,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3
[식에서, C'환 및 D'환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이들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4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C'환 또는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은,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치환기로는 옥소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5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6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7
[식에서, C"환 및 D"환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내고, 그 외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C"환 및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복소환"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 중 옥소기 이외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A환은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 는 벤젠환이고, C"환 및 D"환은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은 (1) 각각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2) 식 -(C=O)-R2',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의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페닐기이고, 상기 페닐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에서의 페닐기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3환식 동소환 또는 복소환과 축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8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59
[식에서, A환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 E환, F환 및 G환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냄].
E환, F환 또는 G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소환 또는 복소환"은, C환 또는 D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동 소환 또는 복소환"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i)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0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1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2
[식에서, E'환, F'환 및 G'환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을 나타내고,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3
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기타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ii) 예컨대, 플루오란텐, 아세페난트릴렌, 아세안톨릴렌, 트리페닐렌, 피렌, 크리센, 나프타센, 플레이아덴, 벤조[a]안트라센, 인데노[1,2-a]인덴, 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 피리도[1',2':1,2]이미다조[4,5-b]퀴녹살린, 1H-2-옥사피렌, 스피로[피페리딘-4.9'-크산텐] 등의 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및 이들의 디하이드로체, 테트라하이드로체, 헥사하이드로체, 옥타하이드로체, 데카하이드로체 등을 들 수 있다.
E'환, F'환 및 G'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은,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 는 5원 내지 9원의 질소 함유 복소환"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치환기로는 옥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4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2H-이소인돌로[2,1-e]퓨린, 1H-피라졸로[4',3':3,4]피리도[2,1-a]이소인돌, 1H-피리도[2',3':4,5]이미다조[2,1-a]이소인돌, 2H,6H-피리도[1',2':3,4]이미다조[5,1-a]이소인돌, 1H-이소인돌로[2,1-a]이미다졸, 1H-피리도[3',4':4,5]피롤로[2,1-a]이소인돌, 2H-피리도[4',3':4,5]피롤로[2,1-a]이소인돌, 1H-이소인돌로[2,1-a]인돌, 2H-이소인돌로[1,2-a]이소인돌, 1H-사이클로펜타[4,5]피리미도[2,1-a]이소인돌, 2H,4H-피라노[4',3':4,5][1,3]옥사지노[2,3-a]이소인돌, 2H-이소인돌로[2,1-a][3,1]옥사진, 7H-이소인돌로[1,2-b][1,3]옥사진, 2H-피리도[2',1':3,4]피라지노[2,1-a]이소인돌, 피리도[2',3':4,5]피리미도[2,1-a]이소인돌, 피리도[3',2':5,6]피리미도[2,1-a]이소인돌, 1H-피리도[1',2':3,4]피리미도[2,1-a]이소인돌, 이소인돌로[2,1-a]퀴나졸린, 이소인돌로[2,1-a]퀴녹살린, 이소인돌로[1,2-a]이소퀴놀린, 이소인돌로[2,1-b]이소퀴놀린, 이소인돌로[2,1-a]퀴놀린, 6H-옥사지노[3',4':3,4][1,4]디아제피노[2,1-a]이소인돌, 아제피노[2',1':3,4]피라지노[2,1-a]이소인돌, 2H,6H-피리도[2',1':3,4][1,4]디아제피노[2,1-a]이소인돌, 1H-이소인돌로[1,2-b][1,3,4]벤조트리아제핀, 2H-이소인돌로[2,1-a][1,3,4]벤조트리아제핀, 이소인돌로[2,1-d][1,4]옥사제핀, 1H-이소인돌로[2,1-b][2,4]벤조디아제핀, 1H-이소인돌로[2,1-c][2,3]벤조디아제핀, 2H-이소인돌로[1,2-a][2,4]벤조디아제핀, 2H-이소인돌로[2,1-d][1,4]벤조디아제핀, 5H-인돌로[2,1-b][3]아제핀, 2H-이소인돌로[1,2-a][2]아제핀, 2H-이소인돌로[1,2-b][3]아제핀, 2H-이소인돌로[2,1-b][2]아제핀, 2H-이소인돌로[1,2-b][1,3,4]벤조옥사디아조신, 이소인돌로[2,1-b][1,2,6]벤조트리아조신, 5H-4,8-메타노1H-[1,5]디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1,11-a]인돌 등의 4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5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1H,4H-피롤로[3',2':4,5]피롤로[3,2,1-ij]퀴놀린, 피롤로[3,2,1-jk]카르바졸, 1H-퓨로[2',3':4,5]피롤로[3,2,1-ij]퀴놀린, 1H,4H-사이클로펜타[4,5]피롤로[1,2,3-de]퀴녹살린, 1H,4H-사이클로펜타[4,5]피롤로[3,2,1-ij]퀴놀린, 피리도[3',4':4,5]피롤로[1,2,3-de]옥사진, [1,4]옥사지노[2,3,4-jk]카르바졸, 1H,3H-[1,3]옥사지노[5,4,3-jk]카르바졸, 피리도[3',4':4,5]피롤로[1,2,3-de][1,4]벤조티아진, 4H-피롤로[3,2,1-de]페난트리딘, 4H,5H-피리도[3,2,1-de]페난트리딘, 1H,4H-3a,6a-디아자플루오로안텐, 1-옥사-4,6a-디아자플루오로안텐, 4-옥사-2,10 b-디아자플루오로안텐, 1-옥소-4,6a-디아자플루오로안텐, 1H-피라지노[3,2,1-jk]카르바졸, 1H-인돌로[3,2,1-de][1,5]나프티리딘, 벤조[b]피라노[2,3,4-hi]인돌리진, 1H,3H-벤조[b]피라노[3,4,5-hi]인돌리진, 1H,4H-피라노[2',3':4,5]피롤로[3,2,1-ij]퀴놀린, 1H,3H-벤조[b]티오피라노[3,4,5-hi]인돌리진, 1H-피리도[3,2,1-jk]카르바졸, 4H-3-옥사-11b-아자사이클로헵타[jk]플루오렌, 2H-아제피노[1',2':1,2]피리미디노[4,5-b]인돌, 1H,4H-사이클로헵타[4,5]피롤로[1,2,3-de]퀴녹살린, 5H-피리도[3',4':4,5]피롤로[1,2,3-ef][1,5]옥사제핀, 4H-피리도[3',4':4,5]피롤로[3,2,1-jk][4,1]벤조티아제핀, 5H-피리도[3',4':4,5]피롤로[1,2,3-ef][1,5]벤조티아제핀, 5H-피리도[4',3':4,5]피롤로[1,2,3-ef][1,5]벤조티아제핀, [1,2,4]트리아제피노[6,5,4-jk]카르바졸, [1,2,4]트리아제피노[6,7,1-jk]카르바졸, [1,2,5]트리아제피노[3,4,5-jk]카르바졸, 5H-[1,4]옥사제피노[2,3,4-jk]카르바졸, 5H-[1,4]티아제피노[2,3,4-jk]카르바졸, [1,4]디아제피노[3,2,1-jk]카르바졸, [1,4]디아제피노[6,7,1-jk]카르바졸, 아제피노[3,2,1-jk]카르바졸, 1H-사이클로옥타[4,5]피롤로[1,2,3-de]퀴녹살린, 1H-사이클로옥타[4,5]피롤로[3,2,1-ij]퀴놀린 등의 4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6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1H-인돌로[1,2-a]벤즈이미다졸, 1H-인돌로[1,2-b]인다졸, 피롤로[2',1':3,4]피라지노[1,2-a]인돌, 1H,5H-피롤로[1',2':4,5]피라지노[1,2-a]인돌, 2H-피리도[2',3':3,4]피롤로[1,2-a] 인돌, 1H-피롤로[2',3':3,4]피리도[1,2-a]인돌, 1H-인돌로[1,2-a]인돌, 6H-이소인돌로[2,1-a]인돌, 6H-인돌로[1,2-c][1,3]벤조옥사진, 1H-인돌로[1,2-b][1,2]벤조티아진, 피리미도[4',5':4,5]피리미도[1,6-a]인돌, 피라지노[2',3':3,4]피리도[1,2-a]인돌, 6H-피리도[1',2':3,4]피리미도[1,6-a]인돌, 인돌로[1,2-b]신놀린, 인돌로[1,2-a]퀴나졸린, 인돌로[1,2-c]퀴나졸린, 인돌로[2,1-b]퀴나졸린, 인돌로[1,2-a]퀴녹살린, 인돌로[1,2-a][1,8]나프티리딘, 인돌로[1,2-b]-2,6-나프티리딘, 인돌로[1,2-b][2,7]나프티리딘, 인돌로[1,2-h]-1,7-나프티리딘, 인돌로[1,2-b]이소퀴놀린, 인돌로[2,1-a]이소퀴놀린, 인돌로[1,2-a]퀴놀린, 2H,6H-피리도[2',1':3,4][1,4]디아제피노[1,2-a]인돌, 1H-인돌로[2,1-c][1,4]벤조디아제핀, 2H-인돌로[1,2-d][1,4]벤조디아제핀, 2H-인돌로[2,1-a][2,3]벤조디아제핀, 2H-인돌로[2,1-b][1,3]벤조디아제핀, 1H-인돌로[1,2-b][2]벤즈아제핀, 2H-인돌로[1,2-a][1]벤즈아제핀, 2H-인돌로[2,1-a][2]벤즈아제핀, 인돌로[1,2-e][1,5]벤조디아조신, 인돌로[2,1-b][3]벤즈아조신 등의 4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7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1H-이미다조[1',2':1,2]피리도[3,4-b]인돌, 1H-이미다조[1',2':1,6]피리도[4,3-b]인돌, 1H-이미다조[1',5':1,2]피리도[3,4-b]인돌, 1H-이미다조[1',5':1,6]피리도[4,3-b]인돌, 1H-피리도[2',1':2,3]이미다조[4,5-b]인돌, 이미다조[4,5-a]카르바졸, 이미다조[4,5-c]카르바졸, 피라졸로[3,4-c]카르바졸, 2H-피라지노[1',2':1,5]피롤로[2,3-b]인돌, 1H-피롤로[1',2':1,2]피리미도[4,5-b]인돌, 1H-인돌리지노[6,7-b]인돌, 1H-인돌리지노[8,7-b]인돌, 인돌로[2,3-b]인돌, 인돌로[3,2-b]인돌, 피롤로[2,3-a]카르바졸, 피롤로[2,3-b]카르바졸, 피롤로[2,3-c]카르바졸, 피롤로[3,2-a]카르바졸, 피롤로[3,2-b]카르바졸, 피롤로[3,2-c]카르바졸, 피롤로[3,4-a]카르바졸, 피롤로[3,4-b]카르바졸, 피롤로[3,4-c]카르바졸, 1H-피리도[3',4':4,5]퓨로[3,2-b]인돌, 1H-퓨로[3,4-a]카르바졸, 1H-퓨로[3,4-b]카르바졸, 1H-퓨로[3,4-c]카르바졸, 2H-퓨로[2,3-a]카르바졸, 2H-퓨로[2,3-c]카르바졸, 2H-퓨로[3,2-a]카르바졸, 2H-퓨로[3,2-c]카르바졸, 1H-피리도[3',4':4,5]티에노[2,3-b]인돌, 티에노[3',2':5,6]티오피라노[4,3-b]인돌, 티에노[3',4':5,6]티오피라노[4,3-b]인돌, 1H-[1]벤조티에노[2,3-b]인돌, 1H-[1]벤조티에노[3,2-b]인돌, 1H-티에노[3,4-a]카르바졸, 2H-티에노[2,3-b]카르바졸, 2H-티에노[3,2-a]카르바졸, 2H-티에노[3,2-b]카르바졸, 사이클로펜타[4,5]피롤로[2,3-f]퀴녹살린, 사이클로펜타[5,6]피리도[2,3-b]인돌, 피리도[2',3':3,4]사이클로펜타[1,2-b]인돌, 피리도[2',3':4,5]사이클로펜타[1,2-b]인돌, 피리도[3',4':3,4]사이클로펜타[1,2-b]인돌, 피리도[3',4':4,5]사이클로펜타[1,2-b]인돌, 피리도[4',3':4,5]사이클로펜타[1,2-b]인돌, 1H-사이클로펜타[5,6]피라노[2,3-b]인돌, 1H-사이클로펜타[5,6]티오피라노[4,3-b]인돌, 사이클로펜타[a]카르바졸, 사이클로펜타[c]카르바졸, 인데노[1,2-b]인돌, 인데노[2,1-b]인돌, [1,2,4]트리아지노[4',3':1,2]피리도[3,4-b]인돌, 1,3,5-트리아지노[1',2':1,1]피리도[3,4-b]인돌, 1H-[1,4]옥사지노[4',3':1,2]피리도[3,4-b]인돌, 1H-[1,4]옥사지노[4',3':1,6]피리도[3,4-b]인돌, 4H-[1,3]옥사지노[3',4':1,2]피리도[3,4-b]인돌, 인돌로[3,2-b][1,4]벤조옥사진, 1,3-옥사지노[6,5-b]카르바졸, 2H-피리미도[2',1':2,3][1,3]티아지노[5,6-b]인돌, 2H-[1,3]티아지노[3',2':1,2]피리도[3,4-b]인돌, 4H-[1,3]티아지노[3',4':1,2]피리도[3,4-b]인돌, 인돌로[2,3-b][1,4]벤조티아진, 인돌로[3,2-b][1,4]벤조티아진, 인돌로[3,2-c][2,1]벤조티아진, 1,4-티아지노[2,3-a]카르바졸, [1,4]티아지노[2,3-b]카르바졸, [1,4]티아지노[2,3-c]카르바졸, 1,4-티아지노[3,2-b]카르바졸, 1,4-티아지노[3,2-c]카르바졸, 1H-인돌로[2,3-g]프테리딘, 1H-인돌로[3,2-g]프테리딘, 피라지노[1',2':1,2]피리도[3,4-b]인돌, 피라지노[1',2':1,2]피리도[4,3-b]인돌, 1H-피리도[2',3':5,6]피라지노[2,3-b]인돌, 1H-피리도[3',2':5,6]피라지노[2,3-b]인돌, 1H-피리도[3',4':5,6]피라지노[2,3-b]인돌, 피리도[1',2':1,2]피리미도[4,5-b]인돌, 피리도[1',2':1,2]피리미도[5,4-b]인돌, 피리도[2',1':2,3]피리미도[4,5-b]인돌, 피리미도[1',2':1,2]피리도[3,4-b]인돌, 피리미도[1',2':1,6]피리도[3,4-b]인돌, 피리미도[5',4':5,6]피라노[2,3-b]인돌, 피리다지노[4',5':5,6]티오피라노[4,5-b]인돌, 1H-인돌로[3,2-c]신놀린, 1H-인돌로[2,3-b]퀴녹살린, 1H-피라지노[2,3-a]카르바졸, 1H-피라지노[2,3-b]카르바졸, 1H-피라지노[2,3-c]카르바졸, 1H-피리다지노[3,4-c]카르바졸, 1H-피리다지노[4,5-b]카르바졸, 1H-피리미도[4,5-a]카르바졸, 1H-피리미도[4,5-c]카르바졸, 1H-피리미도[5,4-a]카르바졸, 1H-피리미도[5,4-b]카르바졸, 1H-피리미도[5,4-c]카르바졸, 7H-1,4-디옥시노[2',3':5,6][1,2]디옥시노[3,4-b]인돌, 6H-[1,4]벤조디옥시노[2,3-b]인돌, 6H-[1,4]벤조디티이노[2,3-b]인돌, 1H-인돌로[2,3-b]-1,5-나프티리딘, 1H-인돌로[2,3-b][1,6]나프티리딘, 1H-인돌로[2,3-b][1,8]나프티리딘, 1H-인돌로[2,3-c]-1,5-나프티리딘, 1H-인돌로[2,3-c][1,6]나프티리딘, 1H-인돌로[2,3-c][1,7]나프티리딘, 1H-인돌로[2,3-c][1,8]나프티리딘, 1H-인돌로[3,2-b]-1,5-나프티리딘, 1H-인돌로[3,2-b][1,7]나프티리딘, 1H-인돌로[3,2-b][1,8]나프티리딘, 1H-인돌로[3,2-c][1,8]나프티리딘, 인돌로[2,3-a]퀴놀리진, 인돌로[2,3-b]퀴놀리진, 인돌로[3,2-a]퀴놀리진, 인돌로[3,2-b]퀴놀리진, 피라노[4',3':5,6]피리도[3,4-b]인돌, 피리도[4',3':4,5]피라노[3,2-b]인돌, 피리도[4',3':5,6]피라노[2,3-b]인돌, 피리도[4',3':5,6]피라노[3,4-b]인돌, 1H-인돌로[2,3-c]이소퀴놀린, 1H-인돌로[3,2-c]이소퀴놀린, 1H-인돌로[2,3-c]퀴놀린, 1H-인돌로[3,2-c]퀴놀린, 1H-피리도[2,3-a]카르바졸, 1H-피리도[2,3-b]카르바졸, 1H-피리도[2,3-c]카르바졸, 1H-피리도[3,2-a]카르바졸, 1H-피리도[3,2-b]카르바졸, 1H-피리도[3,2-c]카르바졸, 1H-피리도[3,4-a]카르바졸, 1H-피리도[3,4-b]카르바졸, 1H-피리도[3,4-c]카르바졸, 1H-피리도[4,3-a]카르바졸, 1H-피리도[4,3-b]카르바졸, 1H-피리도[4,3-c]카르바졸, 1H-퀸돌린, 1H-퀴닌돌린, 1H-피라노[3',4':5,6]피라노[4,3-b]인돌, [1]벤조피라노[2,3-b]인돌, [1]벤조피라노[3,2-b]인돌, [1]벤조피라노[3,4-b]인돌, [1]벤조피라노[4,3-b]인돌, [2]벤조피 라노[4,3-b]인돌, 피라노[2,3-a]카르바졸, 피라노[2,3-b]카르바졸, 피라노[2,3-c]카르바졸, 피라노[3,2-a]카르바졸, 피라노[3,2-c]카르바졸, 피라노[3,4-a]카르바졸, 1H-포스피놀리노[4,3-b]인돌, [1]벤조티오피라노[2,3-b]인돌, [1]벤조티오피라노[3,2-b]인돌, [1]벤조티오피라노[3,4-b]인돌, [1]벤조티오피라노[4,3-b]인돌, [2]벤조티오피라노[4,3-b]인돌, 1H-벤조[a]카르바졸, 1H-벤조[b]카르바졸, 1H-벤조[c]카르바졸, [1,6,2]옥사티아제피노[2',3':1,2]피리도[3,4-b]인돌, 1H-아제피노[1',2':1,2]피리도[3,4-b]인돌, 1H-피리도[1',2':1,2]아제피노[4,5-b]인돌, 2H-피리도[1',2':1,2]아제피노[3,4-b]인돌, 1H-피리도[3',2':5,6]옥세피노[3,2-b]인돌, 1H-피리도[4',3':5,6]옥세피노[3,2-b]인돌, 2H-피리도[2',3':5,6]옥세피노[2,3-b]인돌, 2H-피리도[2',3':5,6]옥세피노[3,2-b]인돌, 2H-피리도[3',4':5,6]옥세피노[3,2-b]인돌, 피리도[2',3':4,5]사이클로헵타[1,2-b]인돌, 피리도[3',2':3,4]사이클로헵타[1,2-b]인돌, 피리도[3',4':4,5]사이클로헵타[1,2-b]인돌, 피리도[3',4':5,6]사이클로헵타[1,2-b]인돌, 2H-피라노[3',2':2,3]아제피노[4,5-b]인돌, 1H-인돌로[3,2-b][1,5]벤조옥사제핀, 1H-인돌로[3,2-d][1,2]벤조옥사제핀, 1H-인돌로[2,3-c][1,5]벤조티아제핀, [1,4]디아제피노[2,3-a]카르바졸, 인돌로[2,3-b][1,5]벤조디아제핀, 인돌로[2,3-d][1,3]벤조디아제핀, 인돌로[3,2-b][1,4]벤조디아제핀, 인돌로[3,2-b][1,5]벤조디아제핀, 인돌로[3,2-d][1,3]벤조디아제핀, 인돌로[3,2-d][2,3]벤조디아제핀, 인돌로[2,3-a][3]벤즈아제핀, 인돌로[2,3-c][1]벤즈아제핀, 인돌로[2,3-d][1]벤즈아제핀, 인돌로[2,3-d][2]벤즈아제핀, 인돌로[3,2-b][1]벤즈아제핀, 인돌 로[3,2-c][1]벤즈아제핀, 인돌로[3,2-d][1]벤즈아제핀, 1H-인돌로[2,1-b][3]벤즈아제핀, 1H-[1]벤조옥세피노[5,4-b]인돌, 1H-[2]벤조옥세피노[4,3-b]인돌, 1H-[1]벤조티에피노[4,5-b]인돌, 1H-[1]벤조티에피노[5,4-b]인돌, 벤조[3,4]사이클로헵타[1,2-b]인돌, 벤조[4,5]사이클로헵타[1,2-b]인돌, 벤조[5,6]사이클로헵타[1,2-b]인돌, 벤조[6,7]사이클로헵타[1,2-b]인돌, 사이클로헵타[b]카르바졸, 4H-[1,5]옥사조시노[5',4':1,6]피리도[3,4-b]인돌, 아조시노[1',2':1,2]피리도[3,4-b]인돌, 2,6-메타노-2H-아제시노[4,3-b]인돌, 3,7-메타노3H-아제시노[5,4-b]인돌, 피리도[1',2':1,8]아조시노[5,4-b]인돌, 피리도[4',3':6,7]옥소시노[2,3-b]인돌, 피리도[4',3':6,7]옥소시노[4,3-b]인돌, 1,5-메타노-1H-아제시노[3,4-b]인돌, 2,6-메타노-1H-아제시노[5,4-b]인돌, 1H-피리도[3',4':5,6]사이클로옥타[1,2-b]인돌, 1,4-에타노옥소시노[3,4-b]인돌, 피라노[3',4':5,6]사이클로옥타[1,2-b]인돌, 1H-인돌로[2,3-c][1,2,5,6]벤조테트라조신, 1H-인돌로[2,3-c][1,6]벤조디아조신, 6,13b-메타노-13bH-아제시노[5,4-b]인돌, 옥소시노[3,2-a]카르바졸, 1H-벤조[g]사이클로옥타[b]인돌, 6,3-(이미노메타노)-2H-1,4-티아조니노[9,8-b]인돌, 1H,3H-[1,4]옥사조니노[4',3':1,2]피리도[3,4-b]인돌, 2H-3,6-에타노아조니노[5,4-b]인돌, 2H-3,7-메타노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5,4-b]인돌, 1H-6,12b-에타노아조니노[5,4-b]인돌, 인돌로[3,2-e][2]벤즈아조닌, 5,9-메타노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5,4-b]인돌, 3,6-에타노-3H-아제시노[5,4-b]인돌, 3,7-메타노-3H-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5,4-b]인돌, 피라노[4',3':8,9]아제시노[5,4-b]인돌, 1H-인돌로[2,3-c][1,7]벤조디아제 신, 1H-인돌로[3,2-e][2]벤즈아제신, 벤조[e]피롤로[3,2-b]인돌, 벤조[e]피롤로[3,2-g]인돌, 벤조[e]피롤로[3,2,1-hi]인돌, 벤조[e]피롤로[3,4-b]인돌, 벤조[g]피롤로[3,4-b]인돌, 1H-벤조[f]피롤로[1,2-a]인돌, 1H-벤조[g]피롤로[1,2-a]인돌, 2H-벤조[e]피롤로[1,2-a]인돌, 1H-벤조[f]피롤로[2,1-a]이소인돌, 1H-벤조[g]피롤로[2,1-a]이소인돌, 2H-벤조[e]피롤로[2,1-a]이소인돌, 이소인돌로[6,7,1-cde]인돌, 스피로[사이클로헥산-1,5'-[5H]피롤로[2,1-a]이소인돌], 이소인돌로[7,1,2-hij]퀴놀린, 7,11-메타노아조시노[1,2-a]인돌, 7,11-메타노아조시노[2,1-a]이소인돌, 디벤즈[cd,f]인돌, 디벤즈[cd,g]인돌, 디벤즈[d,f]인돌, 1H-디벤즈[e,g]인돌, 1H-디벤즈[e,g]이소인돌, 나프토[1,2,3-cd]인돌, 나프토[1,8-ef]인돌, 나프토[1,8-fg]인돌, 나프토[3,2,1-cd]인돌, 1H-나프토[1,2-e]인돌, 1H-나프토[1,2-f]인돌, 1H-나프토[1,2-g]인돌, 1H-나프토[2,1-e]인돌, 1H-나프토[2,3-e]인돌, 1H-나프토[1,2-f]이소인돌, 1H-나프토[2,3-e]이소인돌, 스피로[1H-카르바졸-1,1'-사이클로헥산], 스피로[2H-카르바졸-2,1'-사이클로헥산], 스피로[3H-카르바졸-3,1'-사이클로헥산],사이클로헵타[4,5]피롤로[3,2-f]퀴놀린, 사이클로헵타[4,5]피롤로[3,2-h]퀴놀린, 아제피노[4,5-b]벤즈[e]인돌, 1H-아제피노[1,2-a]벤즈[f]인돌, 1H-아제피노[2,1-a]벤즈[f]이소인돌, 벤조[e]사이클로헵타[b]인돌, 벤조[g]사이클로헵타[b]인돌 등의 4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8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1H-디피롤로[2,3-b:3',2',1'-hi]인돌, 스피로[사이클로펜탄-1,2'(1' H)-피롤로[3,2,1-hi]인돌], 스피로[이미다조리딘-4,1'(2' H)-[4H]피롤로[3,2,1-ij]퀴놀린],피리도[2,3-b]피롤로[3,2,1-hi]인돌, 피리도[4,3-b]피롤로[3,2,1-hi]인돌, 벤조[de]피롤로[3,2,1-ij]퀴놀린, 3H-피롤로[3,2,1-de]아크리딘, 1H-피롤로[3,2,1-de]페난톨리딘, 스피로[사이클로헥산-1,6'-[6H]피롤로[3,2,1-ij]퀴놀린],4,9-메타노피롤로[3,2,1-lm][1]벤조아조신, 스피로[사이클로헵탄-1,6'-[6H]피롤로[3,2,1-ij]퀴놀린],1H-피라노[3,4-d]피롤로[3,2,1-jk][1]벤즈아제핀, 3H-벤조[b]피롤로[3,2,1-jk][4,1]벤조옥사제핀, 7H-인돌로[1,7-ab][4,1]벤조옥사제핀, 벤조[b]피롤로[3,2,1-jk][1,4]벤조디아제핀, 인돌로[1,7-ab][1,4]벤조디아제핀, 인돌로[1,7-ab][1]벤즈아제핀, 인돌로[7,1-ab][3]벤즈아제핀, 1H-사이클로헵타[d][3,2,1-jk][1]벤즈아제핀, 스피로[아제피노[3,2,1-hi]인돌-7(4H), 1'-사이클로헵탄],4H-5,11-메타노피롤로[3,2,1-no][1]벤즈아자사이클로운데신, 스피로[아제피노[3,2,1-hi]인돌-7(4H), 1'-사이클로옥탄] 등의 4환식 축합 벤젠환으로부터 1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69
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이다.
또한,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방향환기"가 예컨대 "방향족 복소환기"인 경우, 상기 "방향족 복소환기"가 축합하는 예로서는, 예컨대,
(d)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단환식 방향환과 축합하는 경우,
(e)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내지 3환식 방향환과 축합하는 경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단환식 방향환과 축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 2- 또는 3-인돌릴; 1-, 2- 또는 3-이소인돌릴; 2- 또는 3-벤조퓨라닐; 2- 또는 3-벤조티오퓨라닐; 1- 또는 3-벤즈이미다졸릴; 2-벤조옥사졸릴; 2-벤조티아졸릴; 1,2-벤즈이소티아졸-3-일; 1,2-벤즈이속사졸-3-일; 2-, 3- 또는 4-퀴놀릴; 1-, 3- 또는 4-이소퀴놀릴; 2- 또는 3-퀴녹살리닐; 1- 또는 4-프탈라지닐; 예컨대, 1,8-나프티리딘-2-일, 1,5-나프티리딘-3-일 등의 나프티리디닐; 2- 또는 4-퀴나졸리닐; 3- 또는 4-신놀리닐; 9-아크리디닐; 2-, 6- 또는 8-퓨리닐; 2-, 4-, 6- 또는 8-프테리디닐 등을 들 수 있다.
Ar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0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1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2
[식에서, A'환은 A환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기타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여기서, A환 및 A'환으로는, (i) 할로겐(플루오로 등), (ii) C1-6 알콕시(메톡시 등), (iii)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등), (iv) 아미노, (v)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 (vi) 1-피롤리디닐, (vii) 피페리디노, (viii) 1-피페라지닐, (ix) N-메 틸-1-피페라지닐, (x) N-아세틸-1-피페라지닐, (xi) 모르폴리노, (xii) 헥사메틸렌이미노, (xiii) 이미다졸릴, (xiv) C1-6 알킬(메틸 등)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카르복시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프로필 등), (xv)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 등), (xvi)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메틸술포닐아미노 등), (xvii) 아미노술포닐, (xvii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술포닐, (xix)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술포닐((1-피롤리디닐)술포닐, 피페리디노술포닐, (1-피페라지닐)술포닐, 모르폴리노술포닐 등) (xx) 카르바모일, (xx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카르바모일, (xxi)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1-피롤리디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페라지닐)카르보닐, 모르폴리노카르보닐 등), (xxii) 시아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환은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A'환은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예컨대, C1-6 알콕시 등)를 추가 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다.
또한, Ba환, C"환 및 D"환은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각각 (1) 수소원자, (2) 각각 하이드록시 및 C 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3) 식 -(C=O)-R2' ,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 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란, 주쇄의 원자가 1개 내지 10개 연속되어 있는 간격을 의미한다. 여기서, "주쇄의 원자수"는, 주쇄의 원자가 최소가 되도록 계수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1,2-사이클로펜틸렌의 원자수를 2개, 1,3-사이클로펜틸렌의 원자수를 3개로서 계수한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로는, 예컨대 -O-, -S-, -CO-, -SO-, -SO2-, -NR10-(여기서, R10은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10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 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을 나타냄),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1-10 비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3-9 환형 탄화수소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복소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의 기 중 1개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치환기", 즉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1-10 비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3-9 환형 탄화수소기" 및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예컨대,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옥소, C1-3 알킬렌디옥시(예컨대,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니트로, 시아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티오, 하이드록시, 아미노, 모노-C1-6 알킬아미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 포르밀, 카르복시, 카르바모일, 티오카르바모일,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 C1-6 알콕시-카르보닐,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술포닐, 포르밀아미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복스아미드, C1-6 알콕시-카르복스아미드,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C1-6 알킬- 카르보닐옥시,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및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 중, 플루오로 등의 할로겐원자, 옥소, 하이드록시, 페닐 등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1-10 비환식 탄화수소기"에서의 "2가의 C1-10 비환식 탄화수소기"로는, C1-10 알킬렌, C2-10 알케닐렌, C2-10 알키닐렌을 들 수 있다.
"C1-10 알킬렌"으로는, 예컨대, -CH2-, -(CH2)2-, -(CH2)3-, -(CH2)4-, -(CH2)5-, -(CH2)6-, -(CH2)7-, -(CH2)8-, -(CH 2)9-, -(CH2)10-, -(CH2)3CH(CH3 )-, -(CH2)4CH(CH3)-, -(CH3)CHCH2-, -(CH3)CH(CH2)2-, -(CH(CH3 ))2- 등을 들 수 있다.
"C2-10 알케닐렌"으로는, 예컨대, -CH=CH-, -CH2-CH=CH-, -C(CH3) 2-CH=CH-, -CH2-CH=CH-CH2-, -CH2-CH2-CH=CH-, -CH=CH-CH=CH-, -CH=CH-CH 2-CH2-CH2- 등을 들 수 있다.
"C2-10 알키닐렌"으로는, 예컨대, -C≡C-, -CH2-C≡C-, -CH2-C≡C-CH 2-CH2-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C3-9 환형 탄화수소기"에서의 "2가의 C3-9 환형 탄화수소기"로는, C3-9 사이클로알킬렌, C3-9 사이클로알케닐렌, C6-14 아릴 렌(페닐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C3-9 사이클로알킬렌"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3
"C3-9 사이클로알케닐렌"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4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가의 복소환기"에서의 "2가의 복소환기"로는, 예컨대,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4원 내지 14원(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9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복소환으로부터 2개의 수소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복소환으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L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10 알킬렌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6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2)5-, -(CH2)6-, -CHFCH 2-, -CHF(CH2)2-, -CHF(CH2)3-, -CHF(CH2 )4-, -CF2CH2-, -CF2(CH2)2-, -CF2(CH2 )3-, -CF2(CH2)4-, -(CH2)3CH(CH 3)-, -(CH2)4CH(CH3)-, -(CH2)3CH(CF3)-, -(CH2)4CH(CF3)-, -(CH 3)CHCH2-, -(CH3)CH(CH2)2-, -(CH(CH3)) 2-, -CH2CH(OH)-, -CH2CO-, -(Ph)CHCH2- 등)가 바람직하고, 또한 C3-7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렌과 C1-4 알킬렌과의 조합(예컨대,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5
등)도 바람직하다.
L과 Ar 사이에서 형성하는 환으로는, 예컨대, 1-옥소인단-2-일, 1-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일, 5-옥소-6,7,8,9-테트라하이드로-5H-벤조[a]사이클로헵텐-6-일, 2,5-디옥소-1,2,3,5,6,7-헥사하이드로인데노[5,6-d]이미다졸- 6-일, 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일, 2,5-디옥소-1,2,3,5,6,7,8,9-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헵타[f]벤조이미다졸-6-일, 2,8-디옥소-2,3,4,6,7,8-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g]퀴나졸린-7-일, 2,9-디옥소-1,2,3,4,6,7,8,9-옥타하이드로벤조[g]퀴나졸린-8-일, 2,10-디옥소-2,3,4,6,7,8,9,10-옥타하이드로-1H-사이클로헵타[g]퀴나졸린-9-일, 2,2-디옥사이드-5-옥소-3,5,6,7-테트라하이드로-1H-인데노[5,6-c][1,2,5]티아디아졸-6-일, 2,2-디옥사이드-5-옥소-1,3,5,6,7,8-헥사하이드로나프토[2,3-c][1,2,5]티아디아졸-6-일, 2,2-디옥사이드-5-옥소-3,5,6,7,8,9-헥사하이드로-1H-사이클로헵타[f][2,1,3]벤조티아디아졸-6-일, 2,2-디옥사이드-8-옥소-1,3,4,6,7,8-헥사하이드로인데노[5,6-c][1,2,6]티아디아진-7-일, 2,2-디옥사이드-9-옥소-3,4,6,7,8,9-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c][1,2,6]티아디아진-8-일, 및 2,2-디옥사이드-10-옥소-1,3,4,6,7,8,9,10-옥타하이드로사이클로헵타[g][2,1,3]벤조티아디아진-9-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6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7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Y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아미노기"로는, 예컨대, 하 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8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L2a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Ar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향환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Ar2와 R, 또는 Ar2와 L2a가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음].
R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는,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에서의 "치환기"로는, 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3개이다.
L2a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렌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서 예시한 "C1-10 알킬렌기" 중 탄소쇄의 수 1 내지 4의 것을 들 수 있다.
L2a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X로 나타내지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R1a(여기서, R1a는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아실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를 나타냄)"에 있어서의 R1a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탄화수소기", "아실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기"로는, R1 에 있어서의 이들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r2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향환기"에서의 "방향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r2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향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에서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5개이다.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환으로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79
[식에서, p 및 q는 각각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H환은 할로겐, 하이드 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및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을 나타냄].
Ar2와 L2a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환으로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환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0
[식에서, r은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s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한 r+s는 2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H환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Y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에서의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로는, 탄소원자 및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할 수 있는 5원 내지 9원(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7원)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1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2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3
이 중, 바람직하게는 6원환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4
으로 나타내지는 기이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B환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복소환"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그 치환기의 수는 1개 내지 5개이다. 또한,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에서의 "질소 함유 포화 복소환기"에서의 질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와 동일한 것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5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Y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6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7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R으로는,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등)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벤질 등) 등이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L2a로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 2-, -CHF(CH2)2-, -CHF(CH2)3-, -CF2CH 2-, -CF2(CH2)2-, -CF2(CH2)3-, -(CH3 )CHCH2-, -(CH3)CH(CH2)2-, -(CH(CH3))2 -, -CH2CH(OH)-, -CH2CO-, -(Ph)CHCH2- 등)가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 옥소 또는 페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 -(CH3)CHCH2-, -(Ph)CHCH2-, -CH2CH(OH)-, -CH2CO- 등) 등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X로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가 바람직하고, 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Ar2로서 바람직하게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시아노,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
(2)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8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또는
(3)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Figure 112004027844520-pct00089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등을 들 수 있다.
Ar2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티에닐, 인돌릴 등) 등을 들 수 있다.
Y로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0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화합물(I)로서, 바람직하게는,
Ar은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1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2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3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A환은 바 람직하게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A'환은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예컨대, C1-6 알콕시 등)를 추가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Ba환, C"환 및 D"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1) 수소원자, (2) 각각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벤질 등) 또는 (3) 식 -(C=O)-R2',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이고;
L은 (1)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6 알킬렌기(예컨대, - (CH2)2-, -(CH2)3-, -(CH2)4-, -(CH 2)5-, -(CH2)6-, -CHFCH2-, -CHF(CH2) 2-, -CHF(CH2)3-, -CHF(CH2)4-, -CF2CH2-, -CF2(CH2) 2-, -CF2(CH2)3-, -CF2(CH2)4 -, -(CH2)3CH(CH3)-, -(CH2)4CH(CH3)-, -(CH2)3CH(CF3)-, -(CH 2)4CH(CF3)-, -(CH3)CHCH2-, -(CH3)CH(CH 2)2-, -(CH(CH3))2-, -CH2CH(OH)-, -CH2CO-, -(Ph)CHCH2- 등), 또는 (2) C3-7 사이클로알킬렌 또는 C3-7 사이클로알킬렌과 C1-4 알킬렌의 조합(예컨대,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4
등)이고;
Y는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5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6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이고,
R은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등)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벤질 등) 등이고;
L2a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 2-, -CHF(CH2)2-, -CHF(CH2)3-, -CF2CH 2-, -CF2(CH2)2-, -CF2(CH2)3-, -(CH3 )CHCH2-, -(CH3)CH(CH2)2-, -(CH(CH3))2 -, -CH2CH(OH)-, -CH2CO-, -(Ph)CHCH2- 등)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이고;
Ar2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 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인 경우, (2)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7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3)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8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I)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a)로 약기하기도 함) 또는 그의 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099
[식에서, A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L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6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A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에서의 "2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가 "페닐기"인 경우, 상기 "페닐기"가 축합하는 예로서 든 축합 벤젠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r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2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에서 "치환기"로서 든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r1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0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1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2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Ar1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3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4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5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여기서, A환으로는, (i) 할로겐(플루오로 등), (ii) C1-6 알콕시(메톡시 등), (iii)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등), (iv) 아미노, (v)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 (vi) 1-피롤리디닐, (vii) 피페리디노, (viii) 1-피페라지닐, (ix) N-메틸-1-피페라지닐, (x) N-아세틸-1-피페라지닐, (xi) 모르폴리노, (xii) 헥사메틸렌이미노, (xiii) 이미다졸릴, (xiv) C1-6 알킬(메틸 등)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시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프로필 등), (xv) 저급 알킬-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아미노 등), (xvi) 저급 알킬술포닐아미노(메틸술포닐아미노 등), (xvii) 아미노술포닐, (xvii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술포닐, (xix)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술포닐((1-피롤리디닐) 술포닐, 피페리디노술포닐, (1-피페라지닐) 술포닐, 모르폴리노술포닐 등) (xx) 카르바모일, (xx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카르바모일, (xxi)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1-피롤리디닐)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1-피페라지닐)카르보닐, 모르폴리노카르보닐 등), (xxii) 시아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환이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다.
또한, Ba환, C"환 및 D"환은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각각 (1) 수소원자, (2) 각각 하이드록시 및 C 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3) 식 -(C=O)-R2' , -(C=O)-NR2'R3' 또는 -SO2R2'[식에서, R2' 및 R3' 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L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6 알킬렌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예시한 "C1-10 알킬렌기" 중 탄소쇄의 수 4 내지 6의 것을 들 수 있다.
L1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6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니트로, 시아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하이드록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L1로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CH2)4-, -(CH2)5-, -(CH2)6-, -CHF(CH2)3-, -CHF(CH2)4-, -CF2(CH2)3-, -CF2(CH 2)4-, -(CH2)3CH(CH3)-, -(CH2)4 CH(CH3)-, -(CH2)3CH(CF3)-, -(CH2)4CH(CF3)-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Ia)로서, 바람직하게는, Ar1이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6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7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8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보다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09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0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 (A환은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이고, Ba환, C"환 및 D"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C1-6 알킬,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R1 및 R1'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1) 수소원자, (2) 각각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벤질 등) 또는 (3) 식 -(C=O)-R2', -(C=O)-NR2'R3' 또는 -SO2R2' [식에서, R2' 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또는 C6-10 아릴을 나타냄]으로 나타내지는 기)이고;
L1은 -(CH2)4-, -(CH2)5-, -CHF(CH2) 3-, -CHF(CH2)4-, -CF2(CH2)3-, -CF 2(CH2)4-, -(CH2)3CH(CH3)-, -(CH2)4CH(CH3)- 등의 1개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5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비치환 C4-5 알킬렌기)이고;
R은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등)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벤질 등) 등(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이고;
L2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 2-, -CHF(CH2)2-, -CHF(CH2)3-, -CF2CH 2-, -CF2(CH2)2-, -CF2(CH2)3-, -(CH3 )CHCH2-, -(CH3)CH(CH2)2-, -(CH(CH3))2 -, -CH2CH(OH)-, -CH2CO-, -(Ph)CHCH2- 등)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옥소 또는 페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이고;
Ar2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인 경우, (2)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1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3)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2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Ar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티에닐, 인돌릴 등) 등임)
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I)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b)로 약 기하기도 함) 또는 그의 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3
[식에서, Ar3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즈이미다졸환기, 퀴나졸린환기, 1,4-벤조옥사진환기, 또는 3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L3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Ar3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3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에서의 "3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에서의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가 "페닐기"인 경우, 상기 "페닐기"가 축합하는 예로서 든 축합 벤젠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r3으로 나타내지는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즈이미다졸환기, 퀴나졸린환기, 1,4-벤조옥사진환기, 또는 3환식 내지 4환식 축합 벤젠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에서 "치환기"로서 든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L3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예시한 "C1-10 알킬렌기" 중 탄소쇄의 수 2 내지 4의 것을 들 수 있다.
L3으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니트로, 시아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하이드록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L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2-, -CHF(CH2)2-, -CF2CH2-, -CF2(CH2)2 - 등의 1개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Ib)로서, 바람직하게는,
Ar3은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4
또는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5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기(이 중, A환은 비치환된 것으로, C'환 및 D'환은 식 중의 옥소기 이외에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경우가 각각 바람직함)이고;
L3은 -(CH2)2-, -(CH2)3-, -CHFCH2-, -CHF(CH2)2-, -CF2CH2-, -CF2(CH2) 2- 등의 1개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보다 바람직하게는에틸렌기)이고;
L2는 -(CH2)2-, -(CH2)3-, -CF2CH2 -, -CF2(CH2)2-, -(CH3)CHCH2-, 또는-(CH3)CH(CH2)2-, -CH2CH(OH)-, -CH2CO-, -(Ph)CHCH 2- 등의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옥소 또는 페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또는 산소원자)이고;
Ar2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 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티 에닐, 인돌릴 등) 등임), 또는 (2)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6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I)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c)로 약기하기도 함) 또는 그의 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7
[식에서, Ar4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추가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Ar4로 나타내지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추가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기"에서의 "치환기"로는, Ar로 나타내지는 "축합되어 있을 수 있는 5원 또는 6원 방향환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향환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게"에서 "치 환기"로서 든 치환기와 동일한 것(단,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는 제외됨)을 들 수 있다.
화합물(Ic)로서, 바람직하게는,
Ar4는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및 C1-6 알킬술포닐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치환기를 가지며, 추가로 1개 또는 2개(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C1-4 알콕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환기이고;
L1은 -(CH2)4-, -(CH2)5-, -CHF(CH2) 3-, -CHF(CH2)4-, -CF2(CH2)3-, -CF 2(CH2)4-, -(CH2)3CH(CH3)-, -(CH2)4CH(CH3)- 등의 1개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5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비치환 C4-5 알킬렌기)이고;
R은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등)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벤질 등) 등(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이고;
L2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 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 2-, -CHF(CH2)2-, -CHF(CH2)3-, -CF2CH 2-, -CF2(CH2)2-, -CF2(CH2)3-, -(CH3 )CHCH2-, -(CH3)CH(CH2)2-, -(CH(CH3))2 -, -CH2CH(OH)-, -CH2CO-, -(Ph)CHCH2- 등)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이고;
Ar2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 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인 경우, (2)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8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3)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19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Ar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티에닐, 인돌릴 등) 등임)
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I) 중, 하기 식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d)로 약기하기도 함) 또는 그의 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0
[식에서,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L4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3-5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L4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3-5 알킬렌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 있어서 예시한 "C1-10 알킬렌기" 중, 탄소쇄의 수 3 내지 5의 것을 들 수 있다.
L4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3-5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L로 나타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원자수 1 내지 10의 주쇄를 가지는 스페이서"에서의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는, 예컨대, 할로겐원자(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등), 니트로, 시아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하이드록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화합물(Id)로서, 바람직하게는,
R1 및 R1'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기(메틸, 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등)이고;
L4는 -(CH2)3-, -(CH2)4-, -(CH2)5 -, -CHF(CH2)2-, -CHF(CH2)3-, -CF2(CH2 )2-, -CF2(CH2)3-, -(CH2)2CH(CH3)-, -(CH 2)3CH(CH3)- 등의 1개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3-5 알킬렌기(보다 바람직하게는, C3-4 알킬렌기)이고;
R은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등) 및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벤질 등) 등(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C1-4 알킬기)이고;
L2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 옥소, 페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예컨대, -(CH2)2-, -(CH2)3-, -(CH2)4-, -CHFCH 2-, -CHF(CH2)2-, -CHF(CH2)3-, -CF2CH 2-, - CF2(CH2)2-, -CF2(CH2)3-, -(CH3 )CHCH2-, -(CH3)CH(CH2)2-, -(CH(CH3))2 -, -CH2CH(OH)-, -CH2CO-, -(Ph)CHCH2- 등)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이고;
X는 결합, 산소원자 또는 NH(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이고;
Ar2는 (1) 각각, 할로겐(플루오로, 클로로 등), C1-6 알킬(메틸, 에틸 등), 할로게노 C1-6 알킬(트리플루오로메틸 등),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메톡시, 에톡시 등), 할로게노 C1-6 알콕시(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에톡시 등),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NHCHO, NHCONH2, NHCONHMe 등), C1-3 알킬렌디옥시(메틸렌디옥시 등),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기(아미노카르보닐옥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 등), 5원 내지 7원 환형 아미노-카르보닐옥시((1-피롤리디닐)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등),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예컨대, 티에닐, 퓨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퓨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아크리디닐 등)인 경우, (2) Ar2와 R이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1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3) Ar2와 L2가 서로 결합하여, 식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2
[식 중의 기호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으로 나타내지는 환을 형성하는 경우(Ar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로겐, 니트로, 하이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i) C6-10 아릴기(페닐 등) 또는 (ii)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여기서, 벤젠환은 축합되어 있을 수 있음) (티에닐, 인돌릴 등) 등임)
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I), (Ia), (Ib), (Ic) 또는 (Id) (이하, 화합물 B라 함)가 염인 경우, 이러한 염으로는, 예컨대, 무기염기와의 염, 암모늄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코인,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malic acid),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을 들 수 있으며,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아스파르트산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염 중에서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합 물 B는, 산성 작용기를 가지는 경우, 알칼리 금속염(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예컨대,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의 무기염, 암모늄염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화합물 B는, 염기성 작용기를 가지는 경우,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브롬화수소산염 등의 무기염; 또는 아세트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숙신산염, 메탄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등의 유기염가 될 수도 있다.
화합물 B는, 무수물, 수화물 중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수화물의 경우, 0.1개 내지 5개의 물분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화합물 B는, 동위원소(예컨대, 3H, 14C, 35S 등)로 표식(label)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합물 B가 광학이성체, 입체이성체, 위치이성체, 회전이성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들도 본 발명 화합물로서 포함되는 동시에, 자체 공지된 합성 방법, 분리 방법에 의해 각각을 단일 화합물로서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화합물 B에 광학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분할된 광학이성체도 화합물 B에 포함된다.
상기 광학이성체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활성 합성 화합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최종 산물의 라세미체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광학 분할함으로써 광학이성체를 얻는다.
광학분할법으로는, 자체 공지된 방법, 예컨대, 이하에 상술하는 분별재결정 법, 키랄칼럼법, 부분입체이성질체법 등이 이용된다.
1) 분별재결정법
라세미체와 광학활성 화합물(예컨대, (+)-만델산, (-)-만델산,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1-펜에틸아민, (-)-1-펜에틸아민, 신코닌, (-)-신코니딘, 브루신 등)의 염을 형성시키고, 이것을 분별재결정법에 의해 분리하여, 원하는 바에 따라, 중화 공정을 거쳐 유리된 상태의(free) 광학이성체를 얻는 방법.
2) 키랄칼럼법
라세미체 또는 그의 염을 광학이성체 분리용 칼럼(키랄칼럼)에 걸어 분리하는 방법. 예컨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ENANTIO-OVM(토소사 제조) 또는 다이셀사 제조의 CHIRAL 시리즈 등의 키랄칼럼에 광학이성체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물, 여러 가지 완충액(예컨대, 인산 완충액), 유기 용매(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에틸아민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용액으로서 전개시킴으로써, 광학이성체를 분리한다. 또한, 예컨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CP-Chirasil-DeXCB(GL 사이언스사 제조) 등의 키랄칼럼을 사용하여 분리한다.
3) 부분입체이성질체법
라세미체 혼합물과 광학활성 시약을 화학 반응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얻고, 이것을 통상의 분리 수단(예컨대, 분별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법 등) 등을 거쳐 단일 물질을 얻은 후, 가수분해 반응 등의 화학적인 처리에 의해 광학활성 시약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광학이성체를 얻는 방법. 예컨대, 화합물 B가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 또는 1,2급 아미노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화합물과 광학활성 유기산(예컨대, MTPA[α-메톡시-α-(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멘톡시아세트산 등) 등을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각각 에스테르체 또는 아미드체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화합물 B가 카르복시산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화합물과 광학활성 아민 또는 알코올 시약을 축합 반응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각각 아미드체 또는 에스테르체의 부분입체이성질체가 얻어진다. 분리된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산가수분해 또는 염기성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원래 화합물의 광학이성체로 변환된다.
화합물 B의 프로드러그는, 생체내에서 처할 수 있는 생리 조건 하에서 효소나 위산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화합물 B로 변환되는 화합물, 즉 효소적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화합물 B로 변화되는 화합물, 위산 등에 의하여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화합물 B로 변화되는 화합물을 말한다. 화합물 B의 프로드러그로는, 화합물 B의 아미노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된 화합물[예, 화합물 B의 아미노기가 에이코사노일화, 알라닐화, 펜틸아미노카르보닐화,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메톡시카르보닐화, 테트라히드로퓨라닐화, 피롤리질메틸화, 피발로일옥시메틸화, tert-부틸화된 화합물 등]; 화합물 B의 수산기가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 붕산화된 화합물(예컨대, 화합물 B의 수산기가 아세틸화, 팔미토일화, 프로파노일화, 피발로일화, 숙시닐화, 푸마릴화, 알라닐화, 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화된 화합물 등); 화합물 B의 카르복시기가 에스테르화, 아미드화된 화합물[예, 화합물 B의 카르복시기가 에틸에스테르화, 페닐에스테르화, 카르복시메틸에스테르화, 디메틸아미노메틸에스테르화, 피바로일옥시메틸화, 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에스테르화, 프탈리딜에스테르화, (5-메틸-2-옥소-1,3-디옥소렌-4-일)메틸에스테르화, 사이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에스테르화, 메틸아미드화된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화합물 B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B의 프로드러그는, Development of Drugs, Volume 7, Molecular Design, Hirokawa Shoten, 1990; pages 163-19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생리적 조건 하에 화합물 B에 변화될 수 있다.
다음에, 화합물(Ia), (Ib), (Ic) 및 (Id)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합물(I)은 이하에 제시하는 (Ia), (Ib), (Ic) 및 (Id)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화합물(Ia), (Ic) 및 (Id)은 예컨대, 이하의 [제조 방법 A],[제조 방법 B]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화합물(Ib)은 예컨대, 이하의 [제조 방법 C]에 의해 제조된다. [제조 방법 A]-[제조 방법 C]에 있어서, 알킬화 반응, 가수분해 반응, 아미노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아미드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에테르화 반응, 산화 반응, 환원 반응,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등을 행하는 경우, 이들 반응은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예컨대, ORGANIC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2nd edition, ACADEMIC PRESS INC., 1989;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Inc., 1989 등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제시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합물(II), (II'), (II"), (III), (IV), (V), (VI), (VI'),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XVI), (XVII), (XVIII), (XIX), (XX), (XXI)은 각각 염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염"은, 예컨대, 상기 "화합물 B가 염인 경우"의 "염"을 적용할 수 있다.
[제조 방법 A] 화합물(II), (II') 또는 (II")과 화합물(III)의 커플링(coupling) 반응에 의해 화합물(Ia), (Ic) 또는 (Id)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3
[식에서, Z1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Z1로 나타내지는 "이탈기"로는, 예컨대,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C1-6 알킬술포닐옥시(예컨대, 메탄술포닐옥시, 에탄술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C6-10 아릴술포닐옥시(예컨대, 벤젠술포닐옥시, p-톨루엔술포닐옥시) 등이 이용된다. 특히,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등), 메탄술포닐옥시 등이 바람직하다.
본 커플링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 니트릴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케톤계 용매, 설폭사이드계 용매, 카르복시산계 용매, 물 등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무용매,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이용된다.
또한, 본 커플링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1)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소화물(예컨대, 수소화리튬,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소화칼슘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아미드류(예컨대,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 디사이클로헥실아미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저급 알콕시드(예컨대,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 에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등) 등의 강염기;
2)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바륨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예컨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수소염(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등의 무기염기; 및
3)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등의 아민류; 예컨대, DBU(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스-7-엔), DBN(1,5-디아자바이사이클로[4.3.0]논-5-엔) 등의 아미딘류; 예컨대,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이미다졸, 2,6-루티딘 등의 염기성 복소환 화합물 등의 유기염기.
"염기"로는, 예컨대,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아민류 등이 바람직하다.
본 커플링 반응 시, 화합물(III)의 수소원자를 금속원자, 예컨대,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등으로 미리 치환시킬 수 있다.
본 커플링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본 커플링 반응은 화합물(II), (II') 또는 (II")과 화합물(III)을 임의의 비율로 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III)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 VIH Publishers Inc., 1989 등에 기재된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J. Org. Chem.24,1106(1959), Bull. Chem. Soc. Jpn.63,1252(1990), Synth. Commun.14, 1099(1984), Tetrahedron 49, 1807(1993), J. Heterociclic Chem. 28, 1587(1991), J.Org. Chem. 60, 7086(1995)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II) 또는 (II')은, 예컨대,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리델-크래프 트 반응(Friedel-Crafts reaction)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4
[식에서, Z2는 이탈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Z2으로 나타내지는 "이탈기"로는, 상기 Z1과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등) 또는 수산기이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산 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나, 산 촉매를 첨가하지 않고서 반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에 이용되는 산 촉매로는, 예컨대, 황산, 무수 인산, 폴리인산 등의 미네랄산(mineral acid), 염화알루미늄, 사염화주석, 사염화티탄, 삼불화붕소, 트리에틸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염화아연 등의 루이스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인산, 염화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산 촉매는, 임의의 당량을 이용할 수 있으나, 통상 화합물(IV) 또는 화합물(V)에 대하여 0.1당량 내지 10당량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산 촉매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계 용매, 에테르 계 용매,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화 탄화수소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 니트릴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케톤계 용매, 설폭사이드계 용매, 카르복시산계 용매 등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무용매, 또는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메탄 등의 니트로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매, 이황화탄소 등이 이용된다.
상기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3일이다.
상기 반응은, 화합물(IV)과 화합물(V)을 임의의 비율로 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IV)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Synthesis 10, 862 (1984), J. Chem. Soc. 1518 (1964), Synthesis 851 (1984), 일본 특개 평9-124605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V)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Org. Syn. Coll. Vol. 1, 12 (1941), Helv. Chem. Acta 42, 1653 (1959)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II) 또는 (II')은, 상술한 프리델-크래프트 반응 이외의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프리델-크래프트 반응 이외의 방법"으로는, 예컨대, Tetrahedron Lett. 27, 929 (1986), J. Am. Chem. Soc. 70, 426(1948), Synlett 3, 225 (1996) 등에 기재된 아릴마그네슘 시약을 이용하는 방법, Tetrahedron 46, 6061(1990) 등에 기재된 유기 아연 시약을 이용하는 방법 등, 유기 금속 시약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개 평3-95143 등에 기재된 활성 메틸렌 유도체로부터의 합성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화합물(II'')은, 예컨대, 이하에 제시한 바와 같이 화합물(XII)에 치환기 V를 도입하여 화합물(XIII)을 형성시킨 후, 화합물(XIII)과 화합물(XIV)의 커플링을 행하고, 치환기 V를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5
[식에서, 치환기 V는 전자 흡인기를 나타내고, Z3은 이탈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치환기 V로 나타내지는 "전자 흡인기"로는, 예컨대, C1-8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등), C7-16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기(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 카르복시기, 시아노기 등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C1-4 알콕시카르보닐기(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이다.
Z3으로 나타내지는 "이탈기"로는, 상기 Z1과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등), p-톨루엔술포닐옥시기 또는 메탄술포닐옥시기이다.
"치환기 V의 도입"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 V의 도입" 반응에 있어서의 치환기 V의 전구체로는, 예컨대, 탄산 에스테르(탄산디메틸 등), 할로탄산 에스테르(클로로탄산메틸 등) 또는 이산화탄소 등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치환기 V의 도입"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염기"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수소화나트륨, 나트륨 아미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 V의 도입"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화합물(XIII)과 화합물(XIV)의 커플링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XIII)과 화합물(XIV)의 커플링"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염기"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수소화나트륨, 나트륨 아미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XIII)과 화합물(XIV)의 커플링"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치환기 V의 제거"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계 용매, 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환기 V의 제거" 반응은 적당한 산이나 염을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을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은, 예컨대, 염산, 황산 등의 미네랄산이나 p-톨루엔술폰산 등이 바람직하다. "염"은, 예컨대, 염화나트륨 등이 이용된다.
상기 "치환기 V의 제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가열에 의하여 실시된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250℃에서 실시된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화합물(XII)은, 예컨대, J. Org. Chem. 36, 2480 (1971)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합물(XVI)과 화합물(XVII)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하여 화합물(XVIII)을 형성시키고, 환원 반응에 의하여 화합물(XIX)로 유도한 후, 할로겐화에 의하여 화합물(XX)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을 행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XIX)의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Org. Syn. Coll. Vol.4, 898 (1963)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합물(XVI)과 화합물(XXI)의 탠덤형(tandem-type)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해서 화합물(XII)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6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
"화합물(XVI)과 화합물(XVII)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은, 상기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준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화합물(XVII)로부터 화합물(XIX)로의 "환원" 반응은, 예컨대,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접촉 환원, 예컨대, Org. React. 22, 401 (1975)에 기재된 클레멘젠 환원(Clemmensen reduction), 예컨대, Org. React. 4, 378 (1948)에 기재된 볼프-키쉬너 환원(Wolff-Kishner reduc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합물(XIX)로부터 화합물(XX)로의 "할로겐화" 반응은, 예컨대, 티오닐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염소 등 할로겐화에 이용되는 시약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 시약을 용매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화합물(XIX)로부터 화합물(XII)로의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은, 상기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준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루이스산으로서 폴리인산이 바람직하다.
화합물(XX)부터 화합물(XII)에의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은, 상기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준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화합물(XVI)과 화합물(XXI)의 "탠덤형 분자내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한 화합물(XII)의 제조는, 상기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준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B] 화합물(VI) 또는 (VI')과 화합물(VII)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 화합물(Ia), (Ic) 또는 (Id)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7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
본 커플링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커플링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염기"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커플링 반응 시, 화합물(VI) 또는 (VI')의 수소원자를 금속원자, 예컨대,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등으로 미리 치환시킬 수도 있다.
본 커플링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본 커플링 반응은, 화합물(VI) 또는 (VI')과 화합물(VII)을 임의의 비율로 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VII)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VI), (VI') 또는 (VI")은, 예컨대, 이하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II) 또는 (II')과 화합물(VIII)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8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본 커플링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커플링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염기"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커플링 반응 시, 화합물(VIII)의 수소원자를 금속원자, 예컨대,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등으로 미치 치환시킬 수도 있다.
본 커플링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본 커플링 반응은, 화합물(II) 또는 (II')과 화합물(VIII)을 임의의 비율로 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VIII)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 VCH Publishers Inc.,1989연간 등에 기재된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Org. Rxs. 14, 52 (1965), Synthesis 30 (1972) 등에 기재된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Org. Rxs. 6, 469 (1951), Chem. Pharm. Bull. 32, 873(1984) 등에 기재된 니트릴의 환원 반응, J. Med. Chem. 12, 658 (1969), J. Am. Chem. Soc. 73,5865 (1951) 등에 기재된 아지드의 환원 반응, Org. Syn. Coll. Vol. 2,83 (1943), J. Am. Chem. Soc. 72,2786 (1950) 등에 기재된 가브리엘 합성 방법(Gabriel synthesis method)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 C] 화합물(IX)과 화합물(VII)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Ib)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4027844520-pct00129
[식에서,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본 커플링 반응은 상기 제조 방법 A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반응은 무용매 또는 적당한 용매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무용매,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커플링 반응은 적당한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기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염기"는 상기 제조 방법 A에서 설명한 "염기"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탄산칼륨,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이 바람직하다.
본 커플링 반응 시, 화합물(IX)의 수소원자를 금속원자, 예컨대,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등으로 미치 치환시킬 수도 있다.
본 커플링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0℃ 내지 150℃ 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하루이다.
본 커플링 반응은, 화합물(IX)과 화합물(VII)을 임의의 비율로 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IX)은, 예컨대,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해 화합물(XI)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탈보호 반응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0
[식에서, W는 아민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각각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
아민의 보호기 W는, 예컨대,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Wiley-Interscience (1999)에 기재된 보호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포르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예컨대, 아세틸, 에틸카르보닐,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등), 벤조일, C1-6 알킬-옥시카르보닐(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등), 페닐옥시카르보닐(예컨대, 페녹시카르보닐 등), C7-15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옥시카르보닐 등) 등의 아실기, 또는 트리틸, 프탈로일 등의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이 바람직하다.
Z2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예컨대, 클로로, 브로모 등) 또는 수산기 등이다.
화합물(IV)과 (X)의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산 촉매를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산 촉매를 첨가하지 않고서 반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에 이용되는 산 촉매로는, 상기 화합물(II)의 제조에 이용한 산 촉매와 동일한 것이 이용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인산, 염화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산 촉매는, 임의의 당량을 이용할 수 있으나, 통상 화합물(IV) 또는 화합물(X)에 대하여 0.1당량 내지 10당량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산 촉매를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매는, 상기 화합물(II)의 제조에서 사용한 용매와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무용매, 또는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메탄 등의 니트로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매, 이황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반응은 -100℃ 내지 300℃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 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분 내지 3일이다.
화합물(XI)의 탈보호는, 예컨대, 상기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Wiley-Interscience (1999)에 기재된 방법 등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 처리, 알칼리 가수분해, 접촉 환원 반응 등에 의해 실시된다.
화합물(X)은,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 평5-140149, Chem. Pharm. Bull., 34, 3747 (1986), Chem. Pharm. Bull., 41, 529 (1993), EP-A-0,378,207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 A]-[제조 방법 C]에 의해 제조한 화합물(Ia)∼(Id)이 1급 및 2급 아민인 경우, 필요에 따라 다른 유도체로 유도한 후, 단리 정제할 수도 있다. "다른 유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1급 및 2급 아민에 일반적인 아민 보호기로 보호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아민 보호기"는, 예컨대,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Wiley-Interscience (1999)에 기재된 보호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포르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6 알킬-카르보닐(예컨대, 아세틸, 에틸카르보닐 등), 벤조일, C1-6 알킬-옥시카르보닐(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등), 페닐옥시카르보닐(예컨대, 페녹시카르보닐 등), C7-15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옥시카르보닐 등) 등의 아실기, 또는 트리틸, 프탈로일 등의 탄화수소기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벤조일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벤질기 등이 이용된다. 정제한 "다른 유도체"는 각각 알맞은 탈보호 반응에 의하여 원래의 1급 및 2급 아 민 또는 그의 염으로 유도할 수 있다. "탈보호 반응"은, 예컨대, 상기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Wiley-Interscience (1999)에 기재된 방법 등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 처리, 알칼리 가수분해, 접촉 환원 반응 등에 의해 실시된다.
"1급 및 2급 아민 또는 그의 염"에서의 "염"은, 예컨대, 상기 "화합물 B가 염인 경우"에서의 "염"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Ia)∼(Id)은, 상기한 제조 방법 이외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J. Am. Chem. Soc. 2897 (1971), Synthesis 135 (1975), Tetrahedron Lett. 5595 (1990) 등에 기재된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Synth. Commun. 177 (1973), TetrahedronLett. 4661 (1990) 등에 기재된 에폭사이드에 대한 아민의 부가 반응, Org. Rxs. 79 (1949), Org. Syn. Coll. Vol. 1, 196 (1941) 등에 기재된 공액 이중결합에 대한 아민의 마이클 부가 반응(Michael addition reaction), Synthesis 752 (1978), Org. Rxs. 303 (1942) 등에 기재된 아미드의 환원 반응, Org. Rxs. 469 (1941), Angew. Chem. 265 (1956) 등에 기재된 만니히 반응(Mannich reaction) 등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합물 A 및 화합물 B는, 독성도 적고, 우수한 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배뇨압 및 혈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인간 등의 포유동물의 배뇨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의 1)부터 7) 등에 기인하는 배뇨 장애, 특히 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양성 전립선 비대증, 2) 방광경부 폐쇄 증, 3) 신경병인성 방광, 4) 당뇨병, 5) 수술, 6) 배뇨근 저활동, 및 7) 쇼그렌 증후군(안구 건조, 구강 건조, 질 건조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당뇨병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당뇨병성 신경 장애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특발성 배뇨근 저활동(노화에 기인하는 것을 포함함), 다발성 경화증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파킨슨병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척수손상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수술 후의 배뇨근 저활동, 뇌경색에 기인하는 배뇨근 저활동, 당뇨병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 당뇨병성 신경 장애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 다발성 경화증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 파킨슨병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 척수손상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 뇌경색에 기인하는 신경병인성 방광등에 기인하는 배뇨 곤란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A 및 화합물 B는, 과활동성 방광(overactive bladder)에 기인하는 절박요의, 빈뇨, 과활동성 방광을 수반하는 배뇨근 저활동, 요실금 등의 요 축적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A 및 화합물 B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약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α 아고니스트가 부하된 동물 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에 의한 배뇨 장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스크리닝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α 아고니스트가 부하된 동물 모델에 피험물질 을 투여한 경우와 투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동물 모델의 방광의 배뇨 기능(최대 요류율, 방광내압, 배뇨 효율 등)에 대한 그 피험물질의 영향을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에 의해서 측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 사용하는 "동물 모델"로는, 토끼, 기니아 피그, 햄스터, 래트, 마우스, 지르드(jird), 개, 원숭이 등의 비인간 포유동물을 들 수 있고, 특히 기니아 피그(Hartley계 수컷 기니아 피그 등)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동물 모델의 주령(week age), 체중, 분만의 유무 등에 관해서는, 목적하는 스크리닝에 적용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이들 조건을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α 아고니스트(바람직하게는 페닐에프린)가 부하된 동물 모델은 공지된 방법, 예컨대, 상기 비특허 문헌 3∼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작할 수 있다.
피험물질로는, 공지된 합성 화합물, 펩타이드, 단백질 등 이외에, 예컨대, 온혈 포유동물(예컨대, 마우스, 래트, 돼지, 소, 양, 원숭이, 인간 등)의 조직 추출물, 세포 배양 상청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의 배뇨 기능(최대 요류율, 방광내압, 배뇨 효율 등)의 측정은 기지의 방법, 예컨대, 비특허 문헌 6∼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크리닝 방법은, 배뇨 장애,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아세틸콜린에스테 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의 스크리닝에 유용하며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약 0.001∼약 1000 mg/kg(바람직하게는, 약 0.01∼약 100 mg/kg)의 피험물질을,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α 아고니스트가 부하된 동물 모델에 투여하고, 요류율, 방광내압, 배뇨 효율 등에 대한 효과를 지표로 하여, 그 피험물질의 치료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동물 모델은, 정상적인 동물(병태를 나타내지 않는 동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예컨대, 배뇨 장애, 양성 전립선 비대증, 배뇨근 저활동, 과활동성 방광, 빈뇨, 요실금, 당뇨병성 신경증,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동맥 경화증, 위궤양, 천식,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자궁암, 뇌혈관 장애, 뇌손상, 척수손상 등의 병태를 나타내는 동물(예컨대, 비만 래트(Wistar Fatty rat)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방광의 배뇨 기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병태를 나타내는 동물에게서 상기한 방광의 배뇨 기능이 측정되는 경우, 이러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물질의 스크리닝에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예컨대, 상기 병태(예컨대, 위궤양 등의 소화기계 질환 등)에만 유효하고 배뇨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의약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배뇨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피험물질을 선정할 의약 물질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크리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피험물질을 투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투여한 경우의 요류율이 약 20% 이상 개선되고, 배뇨 효율이 약 10% 이상 개선된 경우, 상기 피험물질은 배뇨 기능의 개선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하, 화합물 C라 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화합물 A, B 또는 C는, 자체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으며, 화합물 그대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제제화 공정으로 적절하게 적량 혼합함으로써 의약, 예컨대, 정제(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함), 가루약, 과립제, 캡슐제(소프트 캡슐을 포함함), 액제, 주사제, 좌제, 서방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예컨대, 국소, 직장, 정맥 투여 등)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제조에 이용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제제 소재로서 관용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을 들 수 있으며, 예컨대, 고형 제제에 있어서의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액상 제제에 있어서의 용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무통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습윤제 등의 첨가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형제로는, 예컨대, 유당, 백당(white sugar), D-만니톨, 전분,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는,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컨대, 결정 셀룰로오스, 백당, D-만니톨, 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자당(sucrose),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예컨대,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L-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예컨대,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매크로골(macrogol), 참기름, 옥수수유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로는, 예컨대,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등의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예컨대, 포도당, D-소르비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예컨대,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로는, 예컨대, 벤질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컨대,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 알코올, 펜에틸 알코올, 데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예컨대,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에서 사용되는 화합물 A, B 또는 C의 함유량은, 제제 전체의 약 0.1∼약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의약, 배뇨 장애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투여량은, 투여 대상, 투여 경로, 질환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배뇨 곤란 치료제에 있어서 성인(체중 약 60 kg)에 대한 경구제로서, 유효 성분의 1회 접촉 용량은 약 0.005∼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0.05∼5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200 mg이며, 하루 1회의 투여하거나,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화합물 A, B 또는 C는, 배뇨 장애(예컨대, 배뇨 곤란 등)를 야기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약제, 또는 다른 질환 치료를 위해 투여되나 그 자체가 배뇨 장애(예컨대, 배뇨 곤란 등)를 야기하는 약제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배뇨 장애를 야기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약제"로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약, 전립선암 치료약, 만성 방광염 치료약, 변비 치료약, 대장암 치료약, 자궁암 치료약, 당뇨병 치료약, 뇌혈관 장애의 치료약, 척수손상의 치료약, 척수종양의 치료약,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약,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치매증의 치료약, 파킨슨 병의 치료약, 진행성 핵상성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의 치료약, 귈레인-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의 치료약, 급성 범자율신경 이상증(acute panautonomic abnormality)의 치료약, 올리브교소뇌 위축증(olivotontocerebellar atrophy)의 치료약, 경추증의 치료약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Allylestrenol, Chlormadinone acetate, Gestonorone caproate, Nomegestrol, Mepartricin, Finasteride, P A-109, THE-32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의 치료약으로서는, YM-31758, YM-32906, KF-20405, MK-0434,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CS-891 등의α-환원 효소 저해약 등을 들 수 있다.
전립선암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Ifosfamide, Estramustine phosphate sodium, Cyproterone, Chlormadinoneacetate, Flutamide, Cisplatin, Lonidamine, Peplomycin, Leuprorelin, Finasteride, Triptorelin-DDS, Buserelin, Goserelin-DDS, Fenretinide, Bicalutamide, Vinorelbine, Nilutamide, Leuprolide-DDS, Deslorelin, Cetrorelix, Ranpirnase, Leuprorelin-DDS, Satraplatin, Prinomastat, Exisulind, Buserelin-DDS, Abarelix-DDS 등을 들 수 있다.
만성 방광염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Flavoxate hydro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변비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Sennoside AㆍB, Phenovalin 등을 들 수 있다.
대장암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Chromomycin A3, Fluorouracil, Tegafur, Krestin 등을 들 수 있다.
자궁암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Chromomycin A3, Fluorouracil, Bleomycin hydrochloride, Medroxyprogesteroneacetate 등을 들 수 있다.
당뇨병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 인슐린 분비 촉진약, 비구아나이드제(biguanide agent), 인슐린(Insulin),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약,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동약 등을 들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으로는, 예컨대,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또는 그의 염(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또는 그의 염(바람직하게는 말레산염), JTT-501, GI-262570, MCC-555, YM-440, DRF-2593, BM-13-1258, KRP-297, CS-011 등을 들 수 있다.
인슐린 분비 촉진약으로는, 예컨대, 술포닐우레아제(sulfonylurea preparation)를 들 수 있다. 상기 술포닐우레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컨대, 톨부타미드, 클로로프로파미드, 톨라자미드, 아세토헥사미도, 글리클로피라미드 및 그 암모늄염,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메피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인슐린 분비 촉진제로는, 예컨대,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KAD-1229, JTT-608 등을 들 수 있다.
비구아나이드제로는, 예컨대, 메트포르민, 부포르민 등을 들 수 있다.
인슐린으로는, 예컨대, 소, 돼지의 이자로부터 추출된 동물 인슐린; 돼지의 이자로부터 추출된 인슐린으로부터 효소적으로 합성된 반합성 인간 인슐린; 대장균, 이스트를 이용하여 유전자 공학적으로 합성한 인간 인슐린 등을 들 수 있다. 인슐린으로서는, 0.45 내지 0.9(w/w)%의 아연을 포함하는 인슐린아연; 염화아연, 황산프로타민 및 인슐린으로부터 제조되는 프로타민 인슐린아연 등도 이용된다. 또한, 인슐린은, 그의 단편(fragment) 또는 유도체(예컨대, INS-1 등)일 수도 있다.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약으로는, 예컨대, 아카르보스, 보글리보스, 미글리톨, 에미글리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동약으로는, 예컨대, AJ-9677, BMS-196085, SB-226552, SR-58611-A, CP-114271, L-755507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당뇨병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에르고세트, 프람린티드, 렙틴, BAY-27-9955 등을 들 수 있다.
뇌혈관 장애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Nicaraven, Bencyclane fumarate, Eurnamonine, Flunarizine, Nilvadipine, Ibudilast, Argatroban, Nizofenone, Naftidrofuryl, Nicergoline, Nimodipine, Papaveroline, Alteplase, Viquidilhydrochloride, Moxisylyte, Pentoxifylline, Dihydroergotoxine mesylate, Lemildipine, Cyclandelate, Xanthinolnicotinate, Febarbamate, Cinnarizine, Memantine, Ifenprodil, Meclofenoxatehydrochloride, Ebselen, Clopidogrel, Nebracetam, Edaravone, Clinprost-DDS, Vatanidipine, Ancrod, Dipyridamole 등을 들 수 있다.
척수손상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Methylprednisolone, Dural graft matrix 등을 들 수 있다.
척수종양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Nimustine hydrochloride 등을 들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Interferon-β-1b 등을 들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치매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Aniracetam, Arginine pyroglutamate, Nefiracetam, Nimodipine, Piracetam, Propentfylline, Vinpocetine, Indeloxazine, VitaminE, Cinepazide, Memantine, Lisuride hydrogen malate, Pramiracetam, Zuclopenthixol, Protirelin, EGB-761, Acetyl-L-carnitine, Phosphatidylserine, Nebracetam, Taltireline, Cholinealphoscerate, Ipidacrine, Talsaclidine, Cerebrolysin, Rofecoxib, ST-618, T-588, Tacrine, Physostigmine-DDS, HuperzineA, Donepezil, Rivastigmine, Metrifonate, TAK-147 등을 들 수 있다.
파킨슨병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Talipexole, Amantadine, Pergolide, Bromocriptine, Selegiline, Mazaticolhydrochloride, Memantine, Lisuride hydrogen malate, Trihexyphenidyl, Piroheptinhydrochloride, Terguride, Ropinirole, Ganglioside-GM1, Droxidopa,Riluzole, Gabergoline, Entacapone, Rasagiline, Pramipexole, L-dopa-methylester, Tolcapone, Remacemide, Dihydroergocryptine, Carbidopa, Selegiline-DDS, Apomorphine, Apomorphine-DDS, Etilevodopa, Levodopa 등을 들 수 있다.
진행성 핵상성 마비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L-도파(L-dopa), 카르비도파(carbidopa),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페르골리드(pergolide), 리수리드(lisuride),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등을 들 수 있다.
귈레인-바레 증후군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스테로이드제나 프로티렐린(protireline) 등의 TRH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급성 범자율신경 이상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스테로이드제, L-threo-DOPS, 디히드로에르고타민(dihydroergotamine), 아메지늄(amezinium) 등을 들 수 있다.
올리브교소뇌 위축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TRH 제제, 스테로이드제 또는 미도드린(midodrine), 아메지늄(amezinium) 등을 들 수 있다.
경추증의 치료약으로는, 예컨대, 소염 진정약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 투여되나 그 자체가 배뇨 장애를 야기하는 약제"로는, 예컨대, 진통약(모르핀, 염산트라마돌 등), 중추성 골격근 이완약(바클로펜 등), 부티로페논계 항정신병약(할로페리돌 등), 빈뇨ㆍ요실금 치료약(염산옥시부티닌, 염산프로피베린, 톨테로딘, 다리페나신, YM-905/YM-537,테미베린(NS-21), KRP-197, 트로스퓸 등의 무스카린 길항약; 염산플라복세이트 등의 평활근 이완약; NC-1800 등의 근이완약; 클렌부톨 등의 Beta2 아고니스트; ZD-0947, NS-8, KW-7158, WAY-151616 등의 칼륨 채널 개구약; ONO-8711 등의 PGE2 안타고니스트; 레시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 캡사이신 등의 바닐로이드 수용체 아고니스트; TAK-637, SR-48968(saredutant), SB-223412 (talnerant) 등의 타키키닌 길항약; 델타오피오 이드 아고니스트 등), 진경제(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브롬화부트로퓸, 브롬화티퀴지움, 브롬화티메피듐, 브롬화프로판텔린 등), 소화관 궤양 치료약(콜란틸, 메타피닌, 시메티딘 등), 파킨슨병치료약(염산트리헥시페니딜, 비페리덴, 염산마자티콜, 레보도파 등), 항히스타민약(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염산호모클로로사이클리진 등), 3환계 항우울약(염산이미프라민, 염산아미트립틸린, 염산클로미프라민, 암옥사핀, 염산데시프라민 등), 페노티아진계 항정신병약(클로르프로마진, 프로페리시아진, 레보메프로마진, 티오리다진 등), 벤조디아제핀계 정신안정약ㆍ수면 진정약(디아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클로티아제팜, 에스타졸람 등), 항부정맥약(디소피라미드 등), 혈관 확장약(염산하이드랄라진 등), 뇌말초 순환 개선약(펜톡시필린 등), 기관지 확장약(테오필린, 염산에페드린, 염산메틸에페드린 등), β-아드레날린 차단약(염산프로프라놀롤 등), 감기약(Danrich 등), 말초성 골격근 이완약(단트롤렌나트륨 등), 항결핵약(이소니아지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 B 또는 C를 상기한 병용용 약품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개개 약품의 최소 권장 임상 투여량을 기준으로 하여, 투여 대상, 투여 대상의 연령 및 체중, 증상, 투여 시간, 투여 방법, 제형, 약품의 조합 등에 따라 적절하게 투여량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한 환자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성별, 식사,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 속도, 약품의 조합, 당시 치료할 환자의 병상의 정도에 따라, 이들 또는 기타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합물 A, B 또는 C과, 각종 질환 치료약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조합에 관한 개개의 하루 투여 량은, 이들이 단독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관해서 최소 권장 임상 투여량의 약 1/50이상 최대 권장 투여량 수준 이하의 범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또 이하의 실시예 , 제제예,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의 참고예 , 실시예 중의 "실온"은 0℃ 내지 30℃를 나타낸다. "%"는 특별히 지적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문 중에서 사용되는 기타 약호는 하기의 의미를 나타낸다.
s: 싱글릿(singlet)
d: 더블릿(doublet)
t: 트리플릿(triplet)
q: 쿼텟(quartet)
m: 멀티플릿(multiplet)
br: 완만(broad)
J: 커플링 상수(coupling constant)
Hz: 헤르츠(Hertz)
CDCl3: 중클로로포름
DMSO-d6: 중디메틸설폭사이드
1H NMR: 프로톤 핵자기 공명(통상, 유리된 형태는 CDCl3 중에서 측정, 염산염은 DMSO-d6 중에서 측정)
IR: 적외 흡수 스펙트럼
MS: 질량 스펙트럼(통상, 전자 충격 이온화법을 이용하여 측정)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염기나 아미노산 등을 약호로 표시하는 경우, 이는 IUPAC-IUB Commi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에 따르는 약호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관용 약호에 기초하며, 그 예를 이하에 제시한다. 또한 아미노산에 관하여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경우 L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DNA: 데옥시리보핵산
cDNA: 상보적 데옥시리보핵산
A: 아데닌
T: 티민
G: 구아닌
C: 사이토신
ATP: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실시예
참고예 1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1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3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26.8 ㎖)의 1,2-디클로로에탄(70 ㎖) 용액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55 g, 410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5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담황색 고형물(36.5 g)을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0-111℃의 무색 결정(32.4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0-2.00 (4H, m), 2.72 (2H, t, J = 7.8Hz), 2.85-3.15 (4H, m), 3.23 (2H, t, J = 8.6Hz), 3.55-3.65 (2H, m), 4.14(2H, t, J = 8.6Hz),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16H18ClNO2로서
계산값: C, 65.86; H, 6.22; N, 4.80.
실험값: C, 66.29; H, 6.28; N, 4.82.
참고예 2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2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3.00 g)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2.91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4 g)을 융점 97-98℃의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1.60 (2H, m), 1.65-2.00 (4H, m), 2.72 (2H, t, J = 7.8Hz), 2.94 (2H, t, J = 7.0Hz), 3.03 (2H, t, J = 7.8Hz), 3.23 (2H, t, J = 8.4Hz), 3.43 (2H, t, J = 7.0Hz), 4.14 (2H, t, J = 8.4Hz), 7.68 (1H, s), 7.72 (1H, s).
참고예 3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3
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46 g) 및 5-클로로발 레릴 클로라이드(3.4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78 g)을 융점 89-90℃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5-1.94 (4H, m), 2.01-2.07 (2H, m), 2.83 (2H, t, J = 6Hz), 2.96 (2H, t, J = 7Hz), 3.55 (2H, s), 3.60 (2H, d, J= 4Hz), 3.74 (2H, d, J = 6Hz), 7.73 (2H, s).
IR (KBr) νcm-1: 1718, 1667, 1605, 1501, 1345, 1289, 1152.
참고예 4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4
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13 g)을 융점 86-8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50-1.57 (2H, m), 1.73-1.80 (2H, m), 1.88-1.96 (2H, m), 2.01-2.07 (2H, m), 2.83 (2H, t, J = 6Hz), 2.94 (2H, t, J= 7Hz), 3.43 (2H, t, J = 7Hz), 3.56 (2H, s), 3.74 (2H, d, J = 6Hz), 7.73 (2H, s).
IR (KBr) νcm-1: 1711, 1674, 1602, 1496, 1350, 1276, 1162.
참고예 5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5
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3 g)을 융점 83-8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35-2.00 (6H, m), 2.68 (2H, t, J = 7.5Hz), 2.85 (2H, t, J = 6Hz), 2.93-2.98 (4H, m), 3.59 (2H, t, J = 6Hz), 3.89(2H, d, J = 6Hz), 7.63 (2H, d, J = 5.3Hz).
IR (KBr) νcm-1: 1675, 1602, 1365, 1301, 1156.
참고예 6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6
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0 g)을 융점 52-5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50-1.57 (2H, m), 1.73-1.80 (2H, m), 1.89-2.00 (4H, m), 2.68 (2H, t, J = 7Hz), 2.85 (2H, t, J = 6Hz), 2.93-2.97(4H, m), 3.43 (2H, t, J = 6Hz), 3.89 (2H, d, J = 6Hz), 7.62 (2H, d, J = 5.3Hz).
IR (KBr) νcm-1: 1667, 1600, 1358, 1337, 1158.
참고예 7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7
2H-1,4-벤조옥사진-3(4H)-온(1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2.5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0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69-1.92 (4H, m), 2.97 (2H, t, J = 6.8Hz), 3.59 (2H, t, J = 6.1Hz), 4.71 (2H, s), 7.03 (1H, d, J = 8.4Hz), 7.52(1H, d, J = 0.9Hz), 7.61 (1H, dd, J = 8.4, 2.2Hz), 8.52 (1H, s).
원소 분석 C13H14ClNO3로서
계산값: C, 58.32; H, 5.27; N, 5.23.
실험값: C, 58.06; H, 5.55; N, 4.96.
참고예 8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8
2H-1,4-벤조옥사진-3(4H)-온(15.0 g)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25.8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8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50-1.58 (2H, m), 1.73-1.83 (2H, m), 1.88-1.97 (2H, m), 2.95 (2H, t, J = 4.8Hz), 3.44 (2H, t, J = 4.5Hz), 4.71(2H, s), 7.02 (1H, d, J = 5.4Hz), 7.57 (1H, d, J = 1.4Hz), 7.61 (1H, dd, J = 5.6, 1.2Hz), 9.02 (1H, s).
원소 분석 C14H16BrNO3로서
계산값: C, 51.55; H, 4.94; N, 4.29.
실험값: C, 52.14; H, 4.87; N, 4.32.
MS m/z: 327 [M+H]+
참고예 9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39
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4.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9.24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6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6 (4H, m), 2.99-3.04 (2H, m), 3.65-3.69 (2H, m), 7.00 (1H, d, J = 8.4Hz), 7.48 (1H, s), 7.67 (1H, dd, J = 8.2, 1.4Hz), 10.88 (1H, s), 11.04 (1H, s).
MS m/z: 253 [M+H]+
참고예 10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0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3.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5.74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7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4-1.80 (4H, m), 3.06-3.11 (2H, m), 3.38 (6H, d, J = 3.4Hz), 3.68-3.72 (2H, m), 7.26 (1H, d, J = 8.1Hz), 7.48(1H, d, J = 1.5Hz), 7.81 (1H, dd, J = 8.3, 1.7Hz).
참고예 11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1
1-아세틸인돌린(1.6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70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6 g)을 융점 90-9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4-1.88 (4H, m), 2.26 (3H, s), 2.97 (2H, t, J = 7Hz), 3.24 (2H, t, J = 8Hz), 3.58 (2H, t, J = 6Hz), 4.12 (2H, t, J = 8Hz), 7.82 (2H, br.d, J = 10Hz), 8.23 (1H, d, J = 8Hz).
IR (KBr) νcm-1: 1666, 1603, 1488, 1442, 1398, 1336, 1235.
참고예 12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브로모-1-헥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2
1-아세틸인돌린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7 g)을 융점 110-11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9-1.57 (2H, m), 1.72-1.79 (2H, m), 1.88-1.95 (2H, m), 2.52 (3H, s), 2.94 (2H, t, J = 7.5Hz), 3.23 (2H, t, J = 8Hz), 3.42 (2H, t, J = 6Hz), 4.12 (2H, t, J = 8Hz), 7.82 (2H, br.d, J = 10Hz), 8.23 (1H, d, J = 8Hz).
IR (KBr) νcm-1: 1665, 1600, 1487, 1440, 1390, 1322, 1257.
참고예 13
N-[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3
N-(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7.06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15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1.95 (4H, m), 2.98 (2H, t, J = 6.9Hz), 3.00 (3H, s), 3.58 (2H, t, J = 6.3Hz), 3.97 (3H, s), 6.58 (1H, s), 6.99(1H, d, J = 8.4Hz), 7.82 (1H, dd, J = 8.4, 1.8Hz), 8.11 (1H, d, J = 1.8Hz).
참고예 14
N-[5-(6-브로모헥사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4
N-(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8.37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80 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5-1.45 (2H, m), 1.55-1.70 (2H, m), 1.75-1.90 (2H, m), 2.90-3.00 (5H, m), 3.51 (2H, t, J = 6.6Hz), 3.89 (3H, s), 7.16 (1H, d, J = 8.4Hz), 7.80-7.90 (2H, m), 9.11 (1H, s).
참고예 15
5-클로로-1-(1H-인돌-3-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5
인돌(1.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68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5 g)을 융점 165-16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90 (4H, m), 2.89 (2H, t, J = 6.9Hz), 3.69 (2H, t, J = 6.1Hz), 7.10-7.30 (2H, m), 7.40-7.50 (1H, m), 8.10-8.25 (1H, m), 8.34 (1H, d, J = 3.0Hz), 11.92 (1H, s).
참고예 16
6-브로모-1-(1H-인돌-3-일)-1-헥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6
인돌(5.00 g)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9.95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65 g)을 융점 150-15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40-1.95 (6H, m), 2.86 (2H, t, J = 7.4Hz), 3.54 (2H, t, J = 6.8Hz), 7.10-7.30 (2H, m), 7.40-7.50 (1H, m), 8.15-8.25 (1H, m), 8.34 (1H, d, J = 3.2Hz), 11.91 (1H, s).
참고예 17
5-클로로-1-(2-티에닐)-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7
티오펜(1.00 ㎖)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63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20 g)을 담황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2.00 (4H, m), 2.96 (2H, t, J = 7.2Hz), 3.58 (2H, t, J = 6.3Hz), 7.14 (1H, dd, J = 5.0, 3.6Hz), 7.64 (1H, dd, J= 5.0, 1.2Hz), 7.77 (1H, dd, J = 3.6, 1.2Hz).
참고예 18
6-브로모-1-(2-티에닐)-1-헥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8
티오펜(5 ㎖) 및 6-브로모헥사노일 클로라이드(10.5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8 g)을 담홍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2.00 (6H, m), 2.93 (2H, t, J = 7.2Hz), 3.42 (2H, t, J = 6.8Hz), 7.13 (1H, dd, J = 5.0, 3.6Hz), 7.63 (1H, dd, J= 5.0, 1.2Hz), 7.71 (1H, dd, J = 3.6, 1.2Hz).
참고예 19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4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3.00 g) 및 2-페닐에틸아민(2.50 g)의 혼합물을 120℃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20 ㎖) 및 트리에틸아민(6.89 ㎖)을 첨가하고, 이어서 중탄산디-t-부틸(9.00 g)의 메탄올(10 ㎖) 용액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eluting solvent); 헥산:아세트산에틸 = 1:1)로써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3.00 g)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 (9 H, s), 1.45-1.80 (4H, m), 2.71 (2H, t, J = 7.8Hz), 2.75-3.00 (4H, m), 3.01 (2H, t, J = 7.8Hz), 3.05-3.30(4H, m), 3.30-3.45 (2H, m), 4.12 (2H, t, J = 9.2Hz), 7.10-7.35 (5H, m), 7.67(1H, s), 7.71 (1H, s).
참고예 20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0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80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24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16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 (9 H, s), 1.45-1.75 (4H, m), 2.71 (2H, t, J = 7.8Hz), 2.75-3.00(4H, m), 3.01 (2H, t, J = 7.8Hz), 3.05-3.30 (4H, m), 3.30-3.40 (2H, m), 3.82(3H, s), 4.12 (2H, t, J = 8.4Hz), 6.80-6.90 (2H, m), 7.05-7.25 (2H, m), 7.67(1H, s), 7.72 (1H, s).
참고예 21
2-(3-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 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1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2.00 g) 및 2-(3-메톡시페닐)에틸아민(3.1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2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5 (9 H, s), 1.50-1.80 (4H, m), 2.71 (2H, t, J = 7.8Hz), 2.75-3.00 (4H, m), 3.02 (2H, t, J = 7.8Hz), 3.10-3.25(4H, m), 3.30-3.45 (2H, m), 3.79 (3H, s), 4.13 (2H, t, J = 8.2Hz), 6.65-6.85(3H, m), 7.20 (1H, t, J = 7.8Hz), 7.67 (1H, s), 7.72 (1H, s).
참고예 22
2-(3,4-디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93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0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5 (9 H, s), 1.45-1.80 (4H, m), 2.71 (2H, t, J = 7.8Hz), 2.75-3.00(4H, m), 3.02 (2H, t, J = 7.8Hz), 3.05-3.30 (4H, m), 3.30-3.40 (2H, m), 3.86(3H, s), 3.87 (3H, s), 4.13 (2H, t, J = 8.4Hz), 6.65-6.85 (3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23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60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0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1 (9 H, s), 1.50-1.80 (4H, m), 2.71 (2H, t, J = 7.8Hz), 2.80-3.35 (10 H, m), 3.41 (2H, t, J = 7.8Hz), 4.13 (2H, t, J = 8.2Hz), 7.00-7.40 (4H, m), 7.67 (1H, s), 7.72 (1H, s).
참고예 24
2-(3-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4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1.4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0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 (9 H, s), 1.50-1.80 (4H, m), 2.71 (2H, t, J = 7.8Hz), 2.75-3.30 (10 H, m), 3.39 (2H, t, J = 7.8Hz), 4.13 (2H, t, J = 8.2Hz), 6.80-7.05 (3H, m), 7.15-7.30 (1H, m), 7.68 (1H, s), 7.72 (1H, s).
참고예 25
2-[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 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5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800 mg) 및 2-[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에틸아민(1.89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0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1.80 (4H, m), 1.44 (9 H, s), 2.70 (2H, t, J = 7.6Hz), 2.80 (2H, t, J = 7.6Hz), 2.92 (2H, t, J = 7.4Hz), 3.02 (2H, t, J = 7.6Hz), 3.10-3.25 (2H, m), 3.22 (2H, t, J = 8.6Hz), 3.35 (2H, t, J = 7.6Hz), 3.99 (3H, s), 4.10 (2H, t, J = 8.8Hz), 5.30 (2H, s), 6.98 (1H, d, J = 8.4Hz), 7.20-7.45 (1H, m), 7.60-7.75 (3H, m).
참고예 26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 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6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아민(84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41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9 (3H, d, J = 7.0Hz), 1.30-2.00(9 H. m), 1.37 (9 H, s), 2.71 (2H, t, J = 7.6Hz), 2.80-3.10 (6H, m), 3.22 (2H, t, J = 8.4Hz), 3.82 (3H, s), 4.13 (2H, t, J = 8.8Hz), 6.75-7.20 (2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27
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7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페닐에틸아민(0.538 ㎖)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 (4H, m), 1.44 (9 H, s), 1.65-1.80 (2H, m), 2.71 (2H, t, J = 7.5Hz), 2.75-2.90 (2H, m), 2.90 (2H, t, J = 7.5Hz), 3.01 (2H, t, J = 7.5Hz), 3.05-3.45 (4H, m), 3.22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10-7.35 (5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28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8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5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94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1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 (4H, m), 1.43 (9 H, s), 1.65-1.80 (2H, m), 2.71 (2H, t, J = 7.5Hz), 2.75-2.90 (2H, m), 2.90 (2H, t, J = 7.5Hz), 3.01 (2H, t, J = 7.5Hz), 3.05-3.45 (6H, m), 3.82 (3H, s), 4.12 (2H, t, J = 8.4Hz), 6.80-6.90 (2H, m), 7.00-7.20 (2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29
2-(3-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59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메톡시페닐)에틸아민(65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6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 (4H, m), 1.45 (9 H, s), 1.74 (2H, tt, J = 7.5, 7.5Hz), 2.71(2H, t, J = 7.8Hz), 2.75-2.85 (2H, m), 2.90 (2H, t, J = 7.5Hz), 3.01 (2H, t, J= 7.8Hz), 3.05-3.45 (4H, m), 3.22 (2H, t, J = 8.4Hz), 3.79 (3H, s), 4.12 (2H, t, J = 8.4Hz), 6.70-6.85 (3H, m), 7.20 (1H, t, J = 7.8Hz), 7.67 (1H, s), 7.71(1H, s).
참고예 30
2-(4-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0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2-(4-메톡시페닐)에틸아민(907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0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55 (4H, m), 1.41 (9 H, s), 1.60-1.75 (2H, m), 2.60-2.75 (4H, m), 2.85 (2H, t, J = 7.5Hz), 2.97 (2H, t, J = 7.8Hz), 3.00-3.35 (4H, m), 3.17 (2H, t, J = 8.4Hz), 3.74 (3H, s), 4.08 (2H, t, J = 8.4Hz), 6.75-6.80 (2H, m), 7.00-7.10 (2H, m), 7.63 (1H, s), 7.67 (1H, s).
참고예 31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 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1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43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4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 (4H, m), 1.41 (9 H, s), 1.65-1.80 (2H, m), 2.71 (2H, t, J = 7.5Hz), 2.85-3.30 (4H, m), 2.89 (2H, t, J = 7.5Hz), 3.01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3.39 (2H, t, J = 7.5Hz), 4.12 (2H, t, J = 8.4Hz), 7.10-7.35 (4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32
2-(3-플루오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2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60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13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 (4H, m), 1.44 (9 H, s), 1.74 (2H, tt, J = 7.5, 7.5Hz), 2.71 (2H, t, J = 7.5Hz), 2.75-2.90 (2H, m), 2.90(2H, t, J = 7.5Hz), 3.02 (2H, t, J = 7.8Hz), 3.05-3.45 (2H, m), 3.22 (2H, t, J= 8.4Hz), 3.37 (2H, t, J = 7.5Hz), 4.13 (2H, t, J = 8.4Hz), 6.80-7.00 (3H, m), 7.20-7.30 (1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33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3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아민(85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6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18 (3H, d, J = 6.9Hz), 1.25-1.90(6H, m), 1.36 (9 H, s), 2.71 (2H, t, J = 7.5Hz), 2.75-3.20 (5H, m), 2.88 (2H, t, J = 7.5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3.82 (3H, s), 4.13 (2H, t, J = 8.4Hz), 6.80-7.25 (4H, m), 7.67 (1H, s), 7.72 (1H, s).
참고예 34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3-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4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3-페닐-1-프로필아민(69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6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2.00 (6H, m), 1.43 (9 H, s), 2.60(2H, t, J = 7.8Hz), 2.71 (2H, t, J = 7.5Hz), 2.93 (2H, t, J = 7.5Hz), 3.01 (2H, t, J = 7.8Hz), 3.10-3.40 (6H, m), 4.13 (2H, t, J = 8.4Hz), 7.10-7.35 (5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35
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3-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5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3-페닐-1-프로필아민(81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06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0-1.60 (4H, m), 1.44 (9 H, s), 1.74 (2H, tt, J = 7.5, 7.5Hz), 1.84 (2H, tt, J = 7.5, 7.5Hz), 2.59 (2H, t, J = 7.8Hz), 2.71 (2H, t, J = 7.5Hz), 2.90 (2H, t, J = 7.5Hz), 3.02 (2H, t, J = 7.8Hz), 3.10-3.30 (6H, m), 4.12 (2H, t, J = 8.4Hz), 7.10-7.30 (5H, m), 7.67(1H, s), 7.72 (1H, s).
참고예 36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 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6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293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3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6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1-1.76 (4H, m), 2.00-2.07 (2H, m), 2.81 (4H, t, J = 6Hz), 2.88-2.96 (2H, m), 3.10-3.25 (2H, m), 3.32-3.41 (2H, m), 3.54 (2H, s), 3.74 (2H, t, J = 6Hz), 3.82 (3H, s), 6.83-6.89(2H, m), 7.09-7.21 (2H, m), 7.73 (2H, s).
참고예 37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7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 ij]퀴놀린-2(1H)-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6 (4H, m), 2.00-2.06 (2H, m), 2.82 (2H, t, J = 6Hz), 2.87-3.00 (4H, m), 3.10-3.26 (2H, m), 3.41 (2H, t, J = 7Hz), 3.54 (2H, s), 3.74 (2H, t, J = 6Hz), 7.13-7.24 (3H, m), 7.33 (1H, d, J = 7.2Hz), 7.73 (2H, s).
참고예 38
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9-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8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2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 (9 H, s), 1.51-1.75 (4H, m), 1.93-1.99 (2H, m), 2.67 (2H, t, J = 6Hz), 2.82-2.85 (4H, m), 2.92-2.95 (4H, m), 3.12-3.24 (2H, m), 3.32-3.42 (2H, m), 3.89 (2H, t, J = 6Hz), 7.18-7.30 (5H, m), 7.61 (2H, d, J = 5Hz).
참고예 39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69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1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1-1.76 (4H, m), 1.93-1.99 (2H, m), 2.67 (2H, t, J = 6Hz), 2.82-2.85 (4H, m), 2.91-2.95 (4H, m), 3.13-3.25 (2H, m), 3.31-3.42 (2H, m), 3.82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07-7.21 (2H, m), 7.61 (2H, d, J = 5Hz).
참고예 40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 도[3,2,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0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6 (4H, m), 1.93-1.99 (2H, m), 2.67 (2H, t, J = 6Hz), 2.84 (2H, t, J = 6Hz), 2.94 (6H, t, J= 6.8Hz), 3.12-3.26 (2H, m), 3.41 (2H, t, J = 7Hz), 3.89 (2H, t, J = 6Hz), 7.13-7.19 (3H, m), 7.33 (1H, d, J = 7.2Hz), 7.62 (2H, d, J = 5Hz).
참고예 41
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1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 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4 (9 H, m), 1.58 (2H, m), 1.65-1.75 (2H, m), 2.81 (2H, m), 2.90-2.94 (2H, m), 3.15-3.22 (2H, m), 3.37(2H, m), 4.69 (2H, s), 6.99 (1H, d, J = 8.4Hz), 7.16-7.30 (5H, m), 7.58-7.61(2H, m), 9.36 (1H, s).
참고예 42
2-(2-에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2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2-에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2 (3H, t, J = 6.4Hz), 1.44 (9 H, s), 1.60-1.73 (4H, m), 2.83-2.94 (4H, m), 3.18-3.36 (4H, m), 3.99-4.06 (2H, m), 4.68 (2H, s), 6.80-6.87 (2H, m), 6.96-6.99 (1H, d, J = 6.6Hz), 7.07-7.18 (2H, m), 7.58-7.63 (2H, m), 9.67 (1H, s).
참고예 43
2-(2-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3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2 (9 H, m), 1.52-1.78 (4H, m), 2.82-2.96 (4H, m), 3.25 (2H, m), 3.36-3.43 (2H, m), 4.69 (2H, s), 6.96-7.08(3H, m), 7.14-7.23 (2H, m), 7.58-7.63 (2H, m), 9.16 (1H, s).
참고예 44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4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 (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2 (9 H, m), 1.67 (4H, m), 2.92(4H, m), 3.25 (2H, m), 3.37-3.45 (2H, m), 4.69 (2H, s), 6.99 (1H, d, J = 8.8Hz), 7.17 (3H, m), 7.30-7.34 (1H, m), 7.61-7.62 (2H, m), 9.56 (1H, s).
참고예 45
2-(3-메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5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3-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5 (9 H, m), 1.55-1.77 (4H, m), 2.75-2.82(2H, m), 2.88-2.95 (2H, m), 3.22 (2H, m), 3.37 (2H, m), 3.79 (3H, s), 4.69 (2H, s), 6.73-6.78 (3H, m), 6.99 (1H, d, J = 8.8Hz), 7.16-7.23 (1H, m), 7.58-7.62(2H, m), 9.46 (1H, s).
참고예 46
2-(3-에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6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3-에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 (3H, t, J = 7.0Hz), 1.45 (9 H, s), 1.55-1.77 (4H, m), 2.74-2.81 (2H, m), 2.88-2.95 (2H, m), 3.21 (2H, m), 3.36(2H, m), 4.01 (2H, q, J = 7Hz), 4.69 (2H, s), 6.72-6.76 (3H, m), 6.99 (1H, d, J= 8.8Hz), 7.14-7.22 (1H, m), 7.58-7.62 (2H, m), 9.43 (1H, s).
참고예 47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7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28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3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7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1-1.72 (4H, m), 2.22 (3H, s), 2.75-2.88 (2H, m), 2.90-2.95 (2H, m), 3.08-3.22 (4H, m), 3.32-3.41 (2H, m), 3.81 (3H, s), 4.07 (2H, t, J = 7Hz), 6.81-6.87 (2H, m), 7.08-7.19 (2H, m), 7.77-7.81 (2H, m), 8.21 (1H, d, J = 8.5Hz).
참고예 48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8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560 mg) 및 2-페닐에틸아민(60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9 H, s), 1.51-1.74(4H, m), 2.25(3H, s), 2.75-2.88(2H, m), 2.89-2.96(2H, m), 3.05-3.27(4H, m), 3.30-3.43(2H, m), 4.11(2H, t, J = 7.3Hz), 7.15-7.30(5H, m), 7.79-7.83(2H, m), 8.22(1H, d, J = 8.5Hz).
참고예 49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79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9 H, s), 1.51-1.76(4H, m), 2.25(3H, s), 2.94(4H, br.s), 3.12(2H, br.s), 3.22(2H, t, J = 7.6Hz), 3.41(2H, t, J = 7Hz), 4.11(2H, t, J = 7.3Hz), 7.17(3H, br.s), 7.33(1H, d, J = 7.2Hz), 7.79-7.83(2H, m), 8.22(1H, d, J = 8.5Hz).
참고예 50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 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0
참고예 47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에 수산화칼륨(0.22 g)의 메탄올(4 ㎖)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교반 하에 2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 = 1: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700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72(4H, m), 2.78-2.88(4H, m), 3.06(2H, t, J = 8.5Hz), 3.08-3.24(2H, m), 3.32-3.39(2H, m), 3.65(2H, t, J = 8.5Hz), 3.81(3H, s), 4.26(1H, br.s), 6.52(1H, d, J = 8Hz), 6.82-6.88(2H, m), 7.08-7.20(2H, m), 7.69(1H, d. J = 8Hz), 7.72(1H, s).
참고예 51
5-(2,3-디하이드로-1-메틸-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 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1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62 mg)의 디메틸포름아미드(2 ㎖) 용액에 탄산칼륨(166 mg) 및 요오드화메틸(170 mg)을 첨가하고, 60-7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 = 1: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125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70(4H, m), 2.78-2.88(4H, m), 2.84(3H, s), 3.00(2H, t, J = 8.5Hz), 3.08-3.24(2H, m), 3.31-3.40(2H, m), 3.48(2H, t, J = 8.5Hz), 3.81(3H, s), 6.34(1H, d, J = 8Hz), 6.82-6.88(2H, m), 7.08-7.20(2H, m), 7.67(1H, s), 7.76(1H, d, J = 8Hz).
참고예 52
5-(1-에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 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2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요오드화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5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8(3H, t, J = 7.4Hz), 1.43(9 H, s), 1.51-1.72(4H, m), 2.78-2.88(4H, m), 3.00(2H, t, J = 8.5Hz), 3.08-3.23(2H, m), 3.25(2H, q, J = 7.4Hz), 3.31-3.41(2H, m), 3.52(2H, t, J = 8.5Hz), 3.81(3H, s), 6.33(1H, d, J = 8Hz), 6.82-6.88(2H, m), 7.08-7.20(2H, m), 7.67(1H, s), 7.74(1H, d, J = 8Hz).
참고예 53
5-[1-(3-하이드록시프로필)-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3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3-브로모-1-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참고예 5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70(4H, m), 1.75(1H, br.s), 1.85(2H, t, J = 6.7Hz), 2.78-2.88(4H, m), 3.01(2H, t, J = 8.5Hz), 3.08-3.24(2H, m), 3.30-3.40(2H, m), 3.32(2H, t, J = 6.7Hz), 3.54(2H, t, J = 8.5Hz), 3.76(2H, t, J = 7.6Hz), 3.82(3H, s), 6.39(1H, d, J = 8Hz), 6.82-6.88(2H, m), 7.08-7.20(2H, m), 7.67(1H, s), 7.73(1H, d, J = 8Hz).
참고예 54
[5-(5-[(tert-부톡시카르보닐)[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돌-1-일]아세트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4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브로모아세트산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5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27(3H, t, J = 7Hz), 1.43(9 H, s), 1.51-1.73(4H, m), 2.75-2.88(4H, m), 3.08(2H, t, J = 8.5Hz), 3.15-3.23(2H, m), 3.30-3.40(2H, m), 3.67(2H, t, J = 8.5Hz), 3.81(3H, s), 3.96(2H, s), 4.20(2H, q, J = 7Hz), 6.29(1H, d, J = 8Hz), 6.82-6.88(2H, m), 7.08-7.20(2H, m), 7.70(1H, s), 7.73(1H, d, J = 8Hz).
참고예 55
5-[1-[(에틸아미노)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5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62 m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 용액에 이소시안산에틸(85 mg)을 첨가하고, 6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 = 1: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254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22(3H, t, J = 7Hz), 1.43(9 H, s), 1.51-1.73(4H, m), 2.76-2.95(4H, m), 3.07-3.23(4H, m), 3.30-3.42(4H, m), 3.82(3H, s), 3.94(2H, t, J = 8Hz), 4.70(1H, br.s), 6.82-6.88(2H, m), 7.08-7.20(2H, m), 7.75(1H, s), 7.80(1H, d, J = 8.5Hz), 7.96(1H, d, J = 8.5Hz).
참고예 56
2-(3-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6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9 H, s), 1.52-1.76(4H, m), 2.81(2H, m), 2.91-2.95(2H, m), 3.14-3.23(2H, m), 3.38(2H, m), 4.69(2H, s), 6.87-7.01(4H, m), 7.20-7.25(1H, m), 7.59-7.61(2H, m), 9.40(1H, s).
참고예 57
2-(3-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 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7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3-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9 H, s), 1.58(2H, m), 1.68-1.73(2H, m), 2.79(2H, m), 2.90-2.95(2H, m), 3.14-3.23(2H, m), 3.37(2H, m), 4.69(2H, s), 6.98-7.05(2H, m), 7.17-7.21(3H, m), 7.59-7.61(2H, m), 9.46(1H, s).
참고예 58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8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4(9 H, s), 1.75-1.59(4H, m), 2.79-2.81(2H, m), 3.03-2.99(2H, m), 3.22-3.18(2H, m), 3.39-3.35(2H, m), 3.46(3H, s), 3.47(3H, s), 6.99(1H, d, J = 8.1Hz), 7.31-7.16(5H, m), 7.63(1H, d, J = 1.2Hz), 7.78(1H, d, J = 8.4Hz).
참고예 59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89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9 H, s), 1.73-1.64(4H, m), 2.84-2.80(2H, m), 3.03-2.99(2H, m), 3.23-3.21(2H, m), 3.37-3.33(2H, m), 3.47(6H, s), 3.82(3H, s), 6.90-6.82(2H, m), 6.98(1H, d, J = 8.4Hz), 7.21-7.17(2H, m), 7.63(1H, d, J = 1.5Hz), 7.79(1H, d, J = 8.1Hz)
참고예 60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0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74-1.41(13H, m), 3.01-2.94(4H, m), 3.24-3.15(2H, m), 3.44-3.39(2H, m), 3.46(3H, s), 3.47(3H, s), 6.99(1H, d, J = 8.1Hz), 7.17(3H, m), 7.35-7.32(1H, m), 7.63(1H, d, J = 1.5Hz), 7.79(1H, d, J = 8.1Hz).
참고예 61
5-(1-벤질-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1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 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벤질브로마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68(4H, m), 2.85(4H, br.s), 3.03(2H, t, J = 8.3Hz), 3.07-3.20(2H, m), 3.34(2H, br.s), 3.50(2H, t, J = 8.4Hz), 3.81(3H, s), 4.37(2H, s), 6.40(1H, d, J = 8.3Hz), 6.82-6.88(2H, m), 7.08-7.20(2H, m), 7.26-7.36(5H, m), 7.70(1H, s), 7.74(1H, d, J = 8.3Hz).
참고예 62
5-(1-벤조일-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2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5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70(4H, m), 2.82(2H, br.s), 2.93(2H, br.s), 3.15(2H, t, J = 8.5Hz), 3.21(2H, br.s), 3.35(2H, br.s), 3.82(3H, s), 4.13(2H, t, J = 8.4Hz), 6.82-6.88(2H, m), 7.09-7.20(2H, m), 7.44-7.57(6H, m), 7.75(1H, br.s), 7.83(1H, s).
참고예 63
5-[1-(아닐리노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3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및 이소시안산페닐을 이용하여, 참고예 5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6-13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9 H, s), 1.51-1.70(4H, m), 2.82(2H, br.s), 2.91(2H, t, J = 7.0Hz), 3.13-3.26(4H, m), 3.35(2H, br.s), 3.81(3H, s), 4.11(2H, t, J = 8.4Hz), 6.36(1H, s), 6.82-6.88(2H, m), 7.08-7.20(3H, m), 7.33(2H, t, J = 8.3Hz), 7.45(2H, d, J = 8.0Hz), 7.78(1H, s), 7.81(1H, d, J = 8.5Hz), 7.98(1H, d, J = 8.0Hz).
참고예 64
5-클로로-1-(4-메톡시페닐)-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4
아니솔(15.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8.0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67-68℃의 무색 결정(27.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1.95 (4H, m), 2.90-3.00 (2H, m), 3,55-3.60 (2H, m), 3.86 (3H, s), 6.90-7.00 (2H, m), 7.90-8.00 (2H, m).
원소 분석 C12H15ClO2로서
계산값: C, 63.58; H, 6.67; N, 0.00.
실험값: C, 63.50; H, 6.67; N, 0.00.
참고예 65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포닐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5
참고예 64에서 얻은 5-클로로-1-(4-메톡시페닐)-1-(15.0 g)을, 빙냉 하에 클로로술폰산(50 ㎖)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분쇄 얼음(500 g)에 적하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 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69-70℃의 무색 결정(7.6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0-2.00 (4H, m), 2.95-3.05 (2H, m), 3,55-3.65 (2H, m), 4.15 (3H, s), 7.22 (1H, d, J = 8.8Hz), 8.33 (1H, dd, J = 8.8, 2.2Hz), 8.53 (1H, d, J = 2.2Hz).
원소 분석 C12H14Cl2O4S로서
계산값: C, 44.32; H, 4.34; N, 0.00.
실험값: C, 43.77; H, 4.36; N, 0.00.
참고예 66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6
참고예 65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포닐(3.00 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 ㎖) 용액에, 25% 암모니아수를 빙냉 하에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5-136℃의 무색 결정(2.54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0-1.80 (4H, m), 3.06 (2H, t, J = 6.2Hz), 3.69 (2H, t, J = 6.2Hz), 4.00 (3H, s), 7.28 (2H, s), 7.33 (1H, d, J = 8.8Hz), 8.22 (1H, dd, J = 8.8, 2.2Hz), 8.30 (1H, d, J = 2.2Hz).
원소 분석 C12H16ClNO4S로서
계산값: C, 47.14; H, 5.27; N, 4.58.
실험값: C, 47.06; H, 5.25; N, 4.49.
참고예 67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7
참고예 65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포닐(3.50 g) 및 이소프로필아민(1.90 ㎖)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2-124℃의 무색 결정(3.3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08 (6H, d, J = 6.6Hz), 1.80-2.00 (4H, m), 2.95-3.05 (2H, m), 3.35-3.65 (3H, m), 4.07 (3H, s), 4.30-5.00 (1H, br), 7.12 (1H, d, J = 8.8Hz), 8.21 (1H, dd, J = 8.8, 2.2Hz), 8.50 (1H, d, J = 2.2Hz).
원소 분석 C15H22ClNO4S로서
계산값: C, 51.79; H, 6.37; N, 4.03.
실험값: C, 51.74; H, 6.37; N, 3.83.
참고예 68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8
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24.5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34.8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56-57℃의 무색 결정(32.4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2.00 (4H, m), 2.90-3.00 (2H, m), 3.25 (2H, t, J = 8.7Hz), 3.55-3.65 (2H, m), 4.66 (2H, t, J = 8.7Hz), 6.79 (1H, d, J = 8.2Hz), 7.79 (1H, dd, J = 8.2, 2.1Hz), 7.84 (1H, d, J = 2.1Hz).
원소 분석 C13H15ClO2로서
계산값: C, 65.41; H, 6.33; N, 0.00.
실험값: C, 65.18; H, 6.33; N, 0.00.
참고예 69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포닐
Figure 112004027844520-pct00199
참고예 68에서 얻은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1-(10.0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2-73℃의 무색 결정(4.9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0-2.00 (4H, m), 2.90-3.05 (2H, m), 3.41 (2H, t, J = 8.8Hz), 3.55-3.65 (2H, m), 5.01 (2H, t, J = 8.8Hz), 8.15-8.20 (1H, m), 8.25-8.30 (1H, m).
원소 분석 C13H14Cl2O4S로서
계산값: C, 46.30; H, 4.18; N, 0.00.
실험값: C, 46.13; H, 4.17; N, 0.00.
참고예 70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0
참고예 69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포닐(4.50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4-136℃의 무색 결정(3.87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5-1.85 (4H, m), 3.02 (2H, t, J = 7.0Hz), 3.32 (2H, t, J = 8.8Hz), 3.68 (2H, t, J = 7.0Hz), 4.82 (2H, t, J = 8.8Hz), 7.38 (2H, s), 8.05-8.10 (2H, m).
원소 분석 C13H16ClNO4S로서
계산값: C, 49.13; H, 5.07; N, 4.41.
실험값: C, 48.96; H, 4.99; N, 4.15.
참고예 71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1
참고예 69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포닐(4.50 g) 및 이소프로필아민(3.80 ㎖)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3-104℃의 무색 결정(6.76 g)으로서 얻 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1 (6H, d, J = 6.6Hz), 1.80-2.00 (4H, m), 2.90-3.05 (2H, m), 3.34 (2H, t, J = 8.8Hz), 3.40-3.65 (3H, m), 4.71 (1H, d, J = 7.0Hz), 4.87 (2H, t, J = 8.8Hz), 8.00-8.10 (1H, m), 8.20-8.25 (1H, m).
원소 분석 C16H22NO4SCl로서
계산값: C, 53.40; H, 6.16; N, 3.89.
실험값: C, 53.32; H, 6.16; N, 3.84.
참고예 72
5-클로로-1-(2,2-디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2
2,2-디메틸크로만(19.7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20.7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50-51℃의 무색 결정(22.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36 (6H, s), 1.80-1.95 (6H, m), 2.82 (2H, t, J = 6.6Hz), 2.80-3.00 (2H, m), 3.55-3.65 (2H, m), 6.80 (1H, d, J = 9.0Hz), 7.70-7.80 (2H, m).
원소 분석 C16H21ClO2로서
계산값: C, 68.44; H, 7.68; N, 0.00.
실험값: C, 68.31; H, 7.54; N, 0.00.
참고예 73
염산 6-(5-클로로펜타노일)-2,2-디메틸-8-크로만술포닐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3
참고예 72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1-(5.00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1.30 g)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50 (6H, s), 1.75-2.10 (6H, m), 2.85-3.05 (4H, m), 3.55-3.65 (2H, m), 8.60 (1H, s), 8.33 (1H, s).
참고예 74
6-(5-클로로펜타노일)-2,2-디메틸-8-크로만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4
참고예 73에서 얻은 염산 6-(5-클로로펜타노일)-2,2-디메틸-8-크로만술포닐(1.30 g)를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8-149℃의 무색 결정(6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8 (6H, s), 1.80-1.90 (4H, m), 1.95 (2H, t, J = 6.9Hz), 2.91 (2H, t, J = 6.9Hz), 2.95-3.00 (2H, m), 3.55-3.60 (2H, m), 5.03 (2H, s), 7.95-8.00 (1H, m), 8.25-8.30 (1H, m).
참고예 75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5
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1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0.4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52-53℃의 무색 결정(15.1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1.95 (4H, m), 2.90-3.00 (2H, m), 3.55-3.60 (2H, m), 4.25-4.35 (4H, s), 6.85-6.95 (1H, m), 7.45-7.50 (2H, m).
원소 분석 C13H15ClO3으로서
계산값: C, 61.30; H, 5.94; N, 0.00.
실험값: C, 61.26; H, 5.83; N, 0.00.
참고예 76
7-(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6
참고예 75에서 얻은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9.00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5 및 66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1-142℃의 무색 결정(3.88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80-1.95 (4H, m), 2.94 (2H, t, J = 6.6Hz), 3.58 (2H, t, J = 6.0Hz), 4.30-4.45 (2H, m), 4.50-4.60 (2H, m), 5.20 (2H, s), 7.67 (1H, d, J = 1.8Hz), 7.99 (1H, d, J = 1.8Hz).
원소 분석 C13H16ClNO5S로서
계산값: C, 46.78; H, 4.83; N, 4.20.
실험값: C, 46.63; H, 4.83; N, 4.10.
참고예 77
trans-N-({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 8-일)카르보닐]사이클로헥실}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7
trans-4-[(아세틸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시산(12.1 g)을 티오닐 클로라이드(25 ㎖)에 수냉 하에,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감압 하에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trans-염산 4-[(아세틸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보닐의 조결정(crude crystal)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조결정 및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2.1 g)의 디클로로메탄(30 ㎖) 용액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24.0 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3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8-180℃의 무색 결정(12.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05-1.20 (2H, m), 1.45-1.60 (3H, m), 1.70-2.05 (4H, m), 2.01 (3H, s), 2.72 (2H, t, J = 7.8Hz), 3.03 (2H, t, J = 7.8Hz), 3.10-3.30 (5H, m), 4.13 (2H, t, J = 8.4Hz), 5.55-5.70 (1H, m), 7.64 (1H, s), 7.69 (1H, s).
참고예 78
trans-8-{[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8
참고예 77에서 얻은 trans-N-({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카르보닐]사이클로헥실}메틸)아세트아미드(12.0 g)에 진한 염산(100 ㎖)을 첨가하고, 14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염산을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백색 분말을 얻었다. 추가로 물-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융점 255-257℃의 무색 결정(9.4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00-1.95 (10 H, m), 2.50-2.75 (3H, m), 2.98 (2H, t, J = 7.8Hz), 3.18 (2H, t, J = 8.8Hz), 3.20-3.40 (1H, m), 3.99 (2H, t, J = 8.8Hz), 7.72 (1H, s), 7.73 (1H, s), 7.90-8.20 (3H, br).
참고예 79
2-(4-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0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4-메톡시페닐)에틸아민(1.0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3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5 (9 H, s), 1.50-1.95 (4H, m), 2.65-2.80 (2H, m), 2.71 (2H, t, J = 7.8Hz), 2.85-3.00 (2H, m), 3.01 (2H, t, J = 7.8Hz), 3.05-3.40 (4H, m), 3.21 (2H, t, J = 8.4Hz), 3.78 (3H, s), 4.12 (2H, t, J = 8.4Hz), 6.82 (2H, d, J = 8.4Hz), 7.00-7.15 (2H, m), 7.66 (1H, s), 7.70 (1H, s).
참고예 80
2-(4-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0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4-클로로페닐)에틸아민(1.0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41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 (9 H, s), 1.50-1.95 (4H, m), 2.65-2.85 (2H, m), 2.71 (2H, t, J = 7.8Hz), 2.85-3.00 (2H, m), 3.01 (2H, t, J = 7.8Hz), 3.05-3.45 (4H, m),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0-7.30 (4H, m), 7.66 (1H, s), 7.70 (1H, s).
참고예 81
2-(3-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1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3-클로로페닐)에틸아민(1.0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19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 (9 H, s), 1.50-1.90 (4H, m), 2.65-2.85 (2H, m), 2.70 (2H, t, J = 7.8Hz), 2.85-3.00 (2H, m), 3.01 (2H, t, J = 7.8Hz), 3.05-3.25 (2H, m), 3.21 (2H, t, J = 8.4Hz), 3.36 (2H, t, J = 7.5Hz), 4.12 (2H, t, J = 8.4Hz), 7.00-7.20 (4H, m), 7.65 (1H, s), 7.70 (1H, s).
참고예 82
2-(2-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2-(2-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민ㆍ브롬화수소산염(1.49 g)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16 ㎖)의 디메틸포름아미드(1 ㎖) 혼합물을 12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10 ㎖) 및 트리에틸아민(1.43 ㎖)을 첨가하고, 이어서 중탄산디-t-부틸(2.24 g)의 메탄올(5 ㎖) 용액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헥산:아세트산에틸 = 2:1)로써 정제하고,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4-155℃의 무색 결정(687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8 (9 H, s), 1.55-1.85 (4H, m), 2.71 (2H, t, J = 7.8Hz), 2.83 (2H, t, J = 7.5Hz), 2.94 (2H, t, J = 7.5Hz), 3.00 (2H, t, J = 7.8Hz), 3.15-3.35 (6H, m), 4.12 (2H, t, J = 8.4Hz), 6.70-7.15 (4H, m), 7.66 (1H, s), 7.70 (1H, s), 7.40-7.65 (1H, br).
원소 분석 C29H36N2O5ㆍ0.2H2O로서
계산값: C, 70.19; H, 7.39; N, 5.65.
실험값: C, 70.34; H, 7.35; N, 5.66.
참고예 83
2-(2,6-디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2,6-디클로로페닐)에틸아민(65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8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2 (9 H, s), 1.50-1.80 (4H, m), 1.80-1.95 (2H, m), 2.71 (2H, t, J = 7.8Hz), 2.85-3.65 (10 H, m), 4.13 (2H, t, J = 8.4Hz), 7.10 (1H, t, J = 7.8Hz), 7.25-7.30 (2H, m), 7.68 (1H, s), 7.72 (1H, s).
참고예 84
2-(2,3-디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4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2,3-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62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13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6 (9 H, s), 1.50-1.90 (6H, m), 2.71 (2H, t, J = 7.8Hz), 2.75-3.45 (10 H, m), 3.84 (3H, s), 3.86 (3H, s), 4.12 (2H, t, J = 8.4Hz), 6.70-6.85 (2H, m), 6.98 (1H, t, J = 7.8Hz), 7.67 (1H, s), 7.72 (1H, s).
참고예 85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 펜틸[2-(2-티에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5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2-티에닐)에틸아민(43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4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8 (9 H, s), 1.40-1.85 (6H, m), 2.63 (2H, t, J = 7.8Hz), 2.80-3.55 (10 H, m), 4.05 (2H, t, J = 7.2Hz), 6.70-6.80 (1H, m), 6.80-6.90 (1H, m), 7.00-7.10 (1H, m), 7.61 (1H, s), 7.65 (1H, s).
참고예 86
5-(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6
참고예 75에서 얻은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 (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59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84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 (9 H, s), 1.50-2.00 (4H, m), 2.75-3.60 (12H, m), 3.82 (3H, s), 6.80-7.25 (5H, m), 7.60-7.65 (1H, m), 7.79 (1H, dd, J = 8.2, 1.5Hz).
참고예 87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7
참고예 66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900 mg) 및 2-페닐에틸아민(71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1-122℃의 무색 결정(1.07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0-1.75 (13H, m), 2.75-2.85 (2H, m), 2.90-3.00 (2H, m), 3.05-3.25 (2H, m), 3.36 (2H, t, J = 7.8Hz), 4.08 (3H, s), 5.37 (2H, s), 7.10 (1H, d, J = 8.8Hz), 7.10-7.30 (5H, m), 8.16 (1H, dd, J = 8.8, 2.1Hz), 8.44 (1H, d, J = 2.1Hz).
원소 분석 C25H34N2O6S로서
계산값: C, 61.20; H, 6.99; N, 5.71.
실험값: C, 61.20; H, 7.02; N, 5.66.
참고예 88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8
참고예 66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80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9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40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30-1.80 (13H, m), 2.80 (2H, t, J = 7.6Hz), 2.90-3.00 (2H, m), 3.05-3.25 (2H, m), 3.33 (2H, t, J = 7.6Hz), 3.81 (3H, s), 4.07 (3H, s), 5.66 (2H, s), 6.80-6.95 (2H, m), 7.00-7.25 (3H, m), 8.10-8.20 (1H, m), 8.40-8.45 (1H, m).
참고예 89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 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19
참고예 66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9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91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3-114℃의 무색 결정(1.07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0-1.80 (13H, m), 2.90-3.00 (4H, m), 3.05-3.25 (2H, m), 3.38 (2H, t, J = 7.6Hz), 4.09 (3H, s), 5.43 (2H, s), 7.05-7.40 (5H, m), 8.16 (1H, dd, J = 8.7, 2.1Hz), 8.43 (1H, d, J = 2.1Hz).
원소 분석 C25H33ClN2O6S로서
계산값: C, 57.19; H, 6.33; N, 5.34.
실험값: C, 57.07; H, 6.34; N, 5.22.
참고예 90
5-{3-[(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 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0
참고예 67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80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69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36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07 (6H, d, J = 6.6Hz), 1.40-1.80 (13H, m), 2.80-3.50 (9 H, m), 3.83 (3H, s), 4.07 (3H, s), 5.21 (1H, d, J = 7.2Hz), 6.80-6.95 (2H, m), 7.05-7.25(3H, m), 8.20 (1H, dd, J = 8.8, 2.2Hz), 8.51 (1H, d, J = 2.2Hz).
참고예 91
2-(2-클로로페닐)에틸(5-{3-[(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1
참고예 67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 미드(8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1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8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07 (6H, d, J = 6.6Hz), 1.35-1.80 (13H, m), 2.85-3.50 (9 H, m), 4.07 (3H, s), 4.87 (1H, d, J = 6.8Hz), 7.05-7.40 (5H, m), 8.20 (1H, dd, J = 8.8, 2.2Hz), 8.50 (1H, d, J = 2.2Hz).
참고예 92
5-[7-(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2
참고예 7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80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6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90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0 (13H, m), 2.75-3.00 (5H, m), 3.05-3.40 (5H, m), 3.82 (3H, s), 4.87 (2H, t, J = 8.6Hz), 5.50 (2H, s), 6.80-6.90 (2H, m), 7.00-7.25 (2H, m), 7.99 (1H, s), 8.17 (1H, s).
참고예 93
5-[7-(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3
참고예 7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8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8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4-115℃의 무색 결정(1.04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5-1.80 (13H, m), 2.80-3.45 (10 H, m), 4.90 (2H, t, J = 8.8Hz), 5.29 (2H, s), 7.10-7.40 (4H, m), 8.02 (1H, s), 8.20 (1H, s).
원소 분석 C26H33ClN2O6S로서
계산값: C, 58.14; H, 6.19; N, 5.22.
실험값: C, 57.93; H, 6.22; N, 5.12.
참고예 94
5-{7-[(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 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4
참고예 7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84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0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09 (6H, d, J = 6.3Hz), 1.35-1.75 (13H, m), 2.75-3.50 (11H, m), 3.82 (3H, s), 4.75-4.90 (3H, m), 6.80-6.90 (2H, m), 7.05-7.20 (2H, m), 8.03 (1H, s), 8.23 (1H, s).
참고예 95
2-(2-클로로페닐)에틸(5-{7-[(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5
참고예 7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2.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7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10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10 (6H, d, J = 6.6Hz), 1.30-2.00 (13H, m), 2.80-3.50 (11H, m), 4.75-4.90 (3H, m), 7.10-7.40 (4H, m), 8.04 (1H, s), 8.23 (1H, s).
참고예 96
5-[8-(아미노술포닐)-2,2-디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6
참고예 7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2-디메틸-8-크로만술폰아미드(6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54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15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30-1.90 (13H, m), 1.47 (6H, s), 1.93 (2H, t, J = 6.6Hz), 2.80-3.30 (8 H, m), 3.39 (2H, t, J = 6.6Hz), 5.26 (2H, s), 7.10-7.40 (4H, m), 7.92 (1H, s), 8.26 (1H, s).
참고예 97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7
참고예 76에서 얻은 7-(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800 mg) 및 펜에틸아민(58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5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5-1.80 (13H, m), 2.75-2.95 (4H, m), 3.05-3.25 (2H, m), 3.35 (2H, t, J = 7.5Hz), 4.30-4.40 (2H, m), 4.45-4.55 (2H, m), 5.40-5.50 (2H, m), 7.10-7.35 (5H, m), 7.64 (1H, s), 7.98 (1H, s).
참고예 98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 (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8
참고예 76에서 얻은 7-(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800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2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20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5-1.75 (13H, m), 2.80 (2H, t, J = 7.2Hz), 2.85-3.00 (2H, m), 3.05-3.25 (2H, m), 3.32 (2H, t, J = 7.2Hz), 3.82 (3H, s), 4.30-4.40 (2H, m), 4.45-4.55 (2H, m), 5.31 (2H, s), 6.80-7.20 (4H, m), 7.67 (1H, s), 8.01 (1H, s).
참고예 99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29
참고예 76에서 얻은 7-(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80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4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8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0-1.80 (13H, m), 2.80-3.00 (4H, m), 3.05-3.25 (2H, m), 3.39 (2H, t, J = 7.2Hz), 4.30-4.40 (2H, m), 4.45-4.55 (2H, m), 5.25-5.50 (2H, m), 7.05-7.40 (4H, m), 7.66 (1H, s), 7.99 (1H, s).
참고예 100
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0
참고예 1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펜에틸아민(78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32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9 H, s), 1.50-1.90(4H, m), 2.75-3.45(8 H, m), 2.99(3H, s), 3.96(3H, s), 6.80-7.00(2H, m), 7.10-7.35(5H, m), 7.75-7.85(1H, m), 8.05-8.15(1H, m).
참고예 101
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1
참고예 1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42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50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9 H, s), 1.50-1.80(4H, m), 2.75-3.40(4H, m), 2.99(3H, s), 3.83(3H, s), 3.05-3.45 (4H, m), 3.96(3H, s), 6.80-6.90(3H, m), 6.96(1H, d, J = 8.4Hz), 7.05-7.25(2H, m), 7.80(1H, dd, J = 8.4, 1.8Hz), 8.10(1H, d, J = 1.8Hz).
참고예 102
2-(2-클로로페닐)에틸(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 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2
참고예 1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4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2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1(9 H, s), 1.45-1.80(4H, m), 2.75-3.50(6H, m), 3.00(3H, s), 3.41(2H, t, J = 7.4Hz), 3.96(3H, s), 6.90-7.00(2H, m), 7.10-7.40(4H, m), 7.75-7.85(1H, m), 8.05-8.10(1H, m).
참고예 103
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3
참고예 14에서 얻은 N-[5-(6-브로모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펜에틸아민(64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18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0-1.90(6H, m), 1.44(9 H, s), 2.75-2.85(2H, m), 2.91(2H, t, J = 7.5Hz), 2.99(3H, s), 3.00-3.20(2H, m), 3.30-3.45(2H, m), 3.96(3H, s), 6.90(1H, s), 6.97(1H, d, J = 8.4Hz), 7.15-7.30(5H, m), 7.81(1H, dd, J = 8.4, 1.8Hz), 8.12(1H, d, J = 1.8Hz).
참고예 104
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4
참고예 14에서 얻은 N-[5-(6-브로모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80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0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4H, m), 1.43(9 H, s), 1.73(2H, quintet, J = 7.5Hz), 2.75-2.90(2H, m), 2.91(2H, t, J = 7.5Hz), 2.99(3H, s), 3.00-3.20(2H, m), 3.30-3.45(2H, m), 3.82(3H, s), 3.96(3H, s), 6.80-7.20(6H, m), 7.80(1H, dd, J = 8.4, 1.8Hz), 8.10(1H, d, J = 1.8Hz).
참고예 105
2-(2-클로로페닐)에틸(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5
참고예 14에서 얻은 N-[5-(6-브로모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82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3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90(6H, m), 1.41(9 H, s), 2.90-3.25(6H, m), 2.99(3H, s), 3.40(2H, t, J = 7.5Hz), 3.97(3H, s), 6.89(1H, s), 6.97(1H, d, J = 8.4Hz), 7.10-7.40(4H, m), 7.80(1H, dd, J = 8.4, 1.8Hz), 8.10(1H, d, J = 1.8Hz).
참고예 106
5-(1H-인돌-3-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6
참고예 15에서 얻은 5-클로로-1-(1H-인돌-3-일)-1-(1.00 g) 및 2-페닐에틸아민(1.0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0-108℃의 무색 결정(1.1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4(9 H, s), 1.50-2.10(4H, m), 2.70-2.90(4H, m), 3.05-3.25(2H, m), 3.30-4.45(2H, m), 7.10-7.45(8 H, m), 7.70-7.90(1H, m), 8.35-8.45(1H, m), 9.05-9.35(1H, br).
참고예 107
5-(1H-인돌-3-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7
참고예 15에서 얻은 5-클로로-1-(1H-인돌-3-일)-1-(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28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01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4(9 H, s), 1.50-1.80(4H, m), 2.70-2.90(4H, m), 3.10-3.45(4H, m), 3.65-3.85(3H, m), 6.75-6.90(2H, m), 7.00-7.45(5H, m), 7.60-7.90(1H, m), 8.35-8.40(1H, m), 9.70-10.00(1H, br).
참고예 108
2-(2-클로로페닐)에틸[5-(1H-인돌-3-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8
참고예 15에서 얻은 5-클로로-1-(1H-인돌-3-일)-1-(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32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97-99℃의 무색 결정(1.1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2(9 H, s), 1.50-1.80(4H, m), 2.70-3.50(6H, m), 3.41(2H, t, J = 7.5Hz), 7.05-7.45(7 H, m), 7.65-7.90(1H, m), 8.35-8.45(1H, m), 9.20-9.40(1H, br).
참고예 109
6-(1H-인돌-3-일)-6-옥소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39
참고예 16에서 얻은 6-브로모-1-(1H-인돌-3-일)-1-헥사논(1.00 g) 및 2-페닐에틸아민(82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83-85℃의 무색 결정(93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5(6H, m), 1.44(9 H, s), 2.70-2.90(4H, m), 3.05-3.25(2H, m), 3.37(2H, t, J = 7.5Hz), 7.10-7.45(8 H, m), 7.75-7.85(1H, m), 8.35-8.45(1H, m), 8.90-9.30(1H, br).
참고예 110
6-(1H-인돌-3-일)-6-옥소헥실[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0
참고예 16에서 얻은 6-브로모-1-(1H-인돌-3-일)-1-헥사논(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0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 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3-135℃의 무색 결정(78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5(6H, m), 1.43(9 H, s), 2.70-2.90(4H, m), 3.05-3.25(2H, m), 3.34(2H, t, J = 7.2Hz), 3.79(3H, s), 6.75-6.90(2H, m), 7.00-7.45(5H, m), 7.75-7.85(1H, m), 8.35-8.45(1H, m), 9.15-9.40(1H, br).
참고예 111
2-(2-클로로페닐)에틸[6-(1H-인돌-3-일)-6-옥소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1
참고예 16에서 얻은 6-브로모-1-(1H-인돌-3-일)-1-헥사논(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0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4-105℃의 무색 결정(78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5(6H, m), 1.42(9 H, s), 2.70-3.25(6H, m), 3.40(2H, t, J = 7.2Hz), 7.05-7.45(7 H, m), 7.70-7.90(1H, m), 8.35-8.45(1H, m), 9.25-9.80(1H, br).
참고예 112
5-옥소-5-(2-티에닐)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2
참고예 17에서 얻은 5-클로로-1-(2-티에닐)-1-(1.00 g) 및 2-페닐에틸아민(1.19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49-50℃의 무색 결정(1.08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4(9 H, s), 1.45-1.80(4H, m), 2.75-2.95(4H, m), 3.05-3.45(4H, m), 7.10-7.35(6H, m), 7.12(1H, dd, J = 5.0, 0.9Hz), 7.71(1H, s).
참고예 113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티에닐)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3
참고예 17에서 얻은 5-클로로-1-(2-티에닐)-1-(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49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5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3(9 H, s), 1.43-1.85(4H, m), 2.75-2.95(4H, m), 3.05-3.45(4H, m), 3.82(3H, s), 6.80-6.90(2H, m), 7.05-7.25(3H, m), 7.60-7.75(2H, m).
참고예 114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티에닐)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4
참고예 17에서 얻은 5-클로로-1-(2-티에닐)-1-(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1.5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7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1(9 H, s), 1.45-1.80(4H, m), 2.85-3.30(4H, m), 3.05-3.30 (2H, m), 3.41(2H, t, J = 7.2Hz), 7.05-7.40(5H, m), 7.62(1H, dd, J = 5.0, 0.9Hz), 7.71(1H, s).
참고예 115
6-옥소-6-(2-티에닐)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5
참고예 18에서 얻은 6-브로모-1-(2-티에닐)-1-헥사논(1.00 g) 및 2-페닐에틸아민(1.5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7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0(4H, m), 1.44(9 H, s), 1.75(2H, quintet, J = 7.5Hz), 2.75-2.90(2H, m), 2.89(2H, t, J = 7.5Hz), 3.05-3.25(2H, m), 3.50-3.65(2H, m), 7.12(1H, dd, J = 5.0, 3.6Hz), 7.15-7.35(5H, m), 7.61(1H, dd, J = 5.0, 0.9Hz), 7.70(1H, dd, J = 3.6, 0.9Hz).
참고예 116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2-티에닐)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6
참고예 18에서 얻은 6-브로모-1-(2-티에닐)-1-헥사논(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1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84 m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0-1.65(4H, m), 1.43(9 H, s), 1.70-1.85(2H, m), 2.75-2.90(2H, m), 2.89(2H, t, J = 7.2Hz), 3.05-3.25(2H, m), 3.25-3.40(2H, m), 3.82(3H, s), 6.83(1H, d, J = 7.5Hz), 6.88(1H, dd, J = 7.2, 0.9Hz), 7.05-7.25(2H, m), 7.12(1H, dd, J = 4.8, 3.9Hz), 7.62(1H, dd, J = 4.8, 1.2Hz), 7.70(1H, dd, J = 3.9, 1.2Hz).
참고예 117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2-티에닐)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7
참고예 18에서 얻은 6-브로모-1-(2-티에닐)-1-헥사논(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19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7 g)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5-1.65(4H, m), 1.43(9 H, s), 1.65-1.85(2H, m), 2.80-3.25(4H, m), 2.89(2H, t, J = 7.5Hz), 3.40(2H, t, J = 7.5Hz), 7.05-7.40(5H, m), 7.60-7.75(2H, m).
참고예 118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8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아민(75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2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0-2.10 (19 H, m), 2.60-3.05(9 H, m), 3.21(2H, t, J = 8.4Hz), 4.13(2H, t, J = 8.8Hz), 7.00-7.20(4H, m), 7.60-7.70(2H, m).
참고예 119
(±)-1,2-디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4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1,2-디페닐에틸아민(2.02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3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0-1.60(6H, m), 1.31(9 H, s), 1.70-2.00(2H, m), 2.71(2H, t, J = 7.6Hz), 2.80-3.10(3H, m), 3.15-3.35(3H, m), 3.55-3.65(1H, m), 4.13(2H, t, J = 8.8Hz), 7.10-7.40(10 H, m), 7.60-7.75(2H, m).
참고예 120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0
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15.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8.8 ㎖)의 1,2-디클로로에탄(40 ㎖) 용액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17 g, 130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5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담황색 고형물(15.2 g)을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3.2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7-1.91 (4H, m), 2.97-3.08 (6H, m), 3.59 (2H, t, J = 6.2Hz), 3.70-3.81 (4H, m), 7.26 (1H, s), 7.75 (2H, m).
참고예 121
5-클로로-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1
참고예 120에서 얻은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8.0 g)의 메탄올(40 ㎖)-물(40 ㎖) 용액에, 탄산칼륨(9.2 g, 66.3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물(10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유상물(6.9 g)을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8 (4H, m), 2.35 (1H, br), 2.97 (10 H, m), 3.58 (2H, m), 7.16-7.20 (1H, m), 7.69 (2H, m).
참고예 122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클로로-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2
참고예 121에서 얻은 5-클로로-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2.2 g) 및 트리에틸아민(1.67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 용액에, 아세틸 클로라이드(679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5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이어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상물(2.54 g)을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9 (4H, m), 2.19 (3H, s), 2.99 (6H, m), 3.59 (4H, m), 3.74 (2H, m), 7.21-7.27 (1H, m), 7.74(2H, m).
참고예 123
5-클로로-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 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3
참고예 121에서 얻은 5-클로로-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2.4 g) 및 트리에틸아민(1.67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 용액에, 메틸술포닐 클로라이드(804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5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형물(2.2 g)을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92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9 (4H, m), 2.80 (3H, s), 2.99 (2H, m), 3.08 (4H, m), 3.46 (4H, m), 3.59 (2H, m), 7.23-7.25 (1H, m), 7.74(2H, m).
참고예 124
7-(5-클로로펜타노일)-N-에틸-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4
참고예 121에서 얻은 5-클로로-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2.3 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 용액에, 에틸이소시아네이트(781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5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무색 고형물(2.2 g)을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7 (3H, t, J = 7.0Hz), 1.89 (4H, m), 2.99 (6H, m), 3.32 (2H, q, J = 7.0Hz), 3.56 (6H, m), 4.47 (1H, m), 7.19-7.23 (1H, m), 7.71(2H, m).
참고예 125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클로로-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5
참고예 121에서 얻은 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5.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2.0 ㎖)의 1,2-디클로로에탄(50 ㎖) 용액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24 g, 181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5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담황색 고형물(14.2 g)을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 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2.5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6 (4H, m), 2.09 (3H, s), 2.86 (2H, t, J = 5.8Hz), 3.04 (2H, t, J = 6.0Hz), 3.67 (4H, m), 4.66 (2H, s), 7.30 (1H, s), 7.74(2H, m).
참고예 126
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2,2-디옥사이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6
오르토페닐렌디아민(20 g) 및 설파미도(20.4 g)의 디글라임(200 ㎖) 용액을 160℃에서 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20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pH1이 될 때까지 염산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1N 염산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적갈색 고형물(14.2 g)을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3.2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6.77-6.91 (4H, m), 10.95 (2H, s).
참고예 127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2,2-디옥사이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7
참고예 126에서 얻은 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2,2-디옥사이드(1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100 ㎖) 용액에 수소화나트륨(5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요오드화메틸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200 g)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적갈색 고형물(9.9 g)을 얻었다. 추가로 물-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9.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3.28 (6H, s), 6.74 (2H, q, J = 3.2Hz), 7.00 (2H, q, J = 3.4Hz).
참고예 128
5-클로로-1-(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8
참고예 126에서 얻은 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75 (4H, m), 3.03 (2H, t, J = 6.6Hz), 3.68 (2H, t, J = 6.2Hz), 6.89 (1H, d, J = 8.4Hz), 7.33 (1H, s), 7.62 (1H, d, J = 8.4Hz), 11.54 (2H, br).
참고예 129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59
참고예 127에서 얻은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9 (4H, m), 2.99 (2H, t, J = 7.0Hz), 3.35 (6H, s), 3.60 (2H, t, J = 6.2Hz), 6.75 (1H, d, J = 8.4Hz), 7.39 (1H, s), 7.69 (1H, d, J = 8.4Hz).
참고예 130
1,2,3,4-테트라하이드로-8-퀴놀린아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0
8-니트로퀴놀린 (25.0 g), 산화백금(600 mg) 및 빙초산(glacial acetic acid)(300 ㎖) 혼합 용액을 5기압의 수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적갈색 유상물(15.2 g)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96 (2H, quint, J = 2.6Hz), 2.76 (2H, t, J = 6.2Hz), 3.56 (3H, br), 3.32 (2H, t, J = 5.6Hz), 6.53 (3H, m).
참고예 131
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1
참고예 130에서 얻은 1,2,3,4-테트라하이드로-8-퀴놀린아민(10 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현탁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갈색 고형 물(11 g)을 얻었다. 추가로 물-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2.00 (2H, t, J = 5.4Hz), 2.76 (2H, t, J = 5.8Hz), 3.69 (2H, t, J = 5.6Hz), 6.80 (3H, m), 10.61 (1H, s).
참고예 132
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2
참고예 131에서 얻은 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1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100 ㎖) 용액에 수소화나트륨(2.36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요오드화메틸(3.68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200 g)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담황색 고형물(9.7 g)을 얻었다. 추가로 물-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9.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2.12 (2H, quint, J = 6.4Hz), 2.86 (2H, t, J = 6.2Hz), 3.41 (3H, s), 3.87 (2H, t, J = 5.8Hz), 6.79-7.04 (3H, m).
참고예 133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참고예 131에서 얻은 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5 (4H, m), 2.00 (2H, m), 2.81 (2H, m), 3.06 (2H, m), 3.72 (4H, m), 6.91 (1H, m), 7.65 (1H, m), 10.92 (1H, s).
참고예 134
8-(5-클로로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4
참고예 132에서 얻은 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5-1.93 (4H, m), 2.09 (2H, m), 2.88 (1H, m), 3.00 (2H, m), 3.23 (1H, m), 3.45 (3H, s), 3.59 (2H, m), 3.86 (2H, m), 6.87 (1H, t, J = 8.4Hz), 7.62 (1H, t, J = 8.4Hz).
참고예 135
4-(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4-옥소부탄산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5
참고예 10에서 얻은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25 g, 154 mmol)과 무수 숙신산(15.4 g, 154 mmol)의 디클로로에탄 혼합물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62 g, 462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5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25.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2.59 (2H, t, J = 6.4Hz), 3.28 (2H, t, J = 6.2Hz), 3.36 (3H, s), 3.38 (3H, s), 7.24 (1H, d, J = 8.4Hz), 7.73 (1H, s), 7.78 (1H, d, J = 8.4Hz), 12.01 (1H, br).
참고예 136
4-(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부탄산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6
참고예 135에서 얻은 4-(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4-옥소부탄산(25 g, 101 mmol), 10% 팔라듐탄소(2 g) 및 진한 염산(3 ㎖)의 아세트산 용액을 5기압의 수소 분위기 하의 실온에서 5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여과하여, 팔라듐탄소를 제거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20.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81 (2H, quint, J = 7.0Hz), 2.22 (2H, t, J = 7.4Hz), 2.63 (2H, t, J = 7.4Hz), 3.30 (3H, s), 3.31 (3H, s), 6.86-7.05 (3H, m), 12.01 (1H, br).
참고예 137
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7
참고예 136에서 얻은 4-(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부탄산(20 g, 81 mmol)과 디메틸포름아미드 (1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에 수냉 하에 옥살릴 클로라이드(7.0 ㎖, 81 mmol)를 소량씩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이어서 반응 잔사를 니트로에탄에 용해시키고,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21.6 g, 162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5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18.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2.15 (2H, quint, J = 6.6Hz), 2.67 (2H, t, J = 7.4Hz), 3.02 (2H, t, J = 7.4Hz), 3.43 (3H, s), 3.44 (3H, s), 6.79 (1H, s), 7.67 (1H, s).
참고예 138
(±)-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8
60% 유성 수소화나트륨(6 g)을 n-헥산(30 ㎖ × 2)으로 세정하고, 경사분리( 상층액 분리)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0 ㎖), 이어서 탄산디에틸(9.8 g)을 첨가하고, 완만하게 환류시켰다. 상기 현탁액에, 참고예 137에서 얻은 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10 g, 43.4 mmol)의 고온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을, 환류가 유지되도록 적하하였다. 혼합물을 18시간 환류시킨 후, 방냉하고, 아세트산(18 ㎖)을 조심스럽게 적하하여, 과잉의 수소화나트륨을 분해시켰다. 또한,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7.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21 (3H, t, J = 6.8Hz), 2.27 (2H, quint, J = 6.6Hz), 3.02 (2H, m), 3.31 (3H, s), 3.33 (3H, s), 3.72 (1H, dd, J = 9.6, 5.8Hz), 4.15 (2H, q, J = 7.0Hz), 7.09 (1H, s), 7.55 (1H, s).
참고예 139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69
참고예 138에서 얻은 (±)-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5.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 60% 유성 수소화나트륨(832 mg)을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 교반 후,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을 첨가하고, 추가로 6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방냉하고, 물을 첨가하여, 과잉의 수소화나트륨을 분해하였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MS m/z: 379 [M+H]+
참고예 140
(±)-6-(4-클로로부틸)-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0
참고예 138에서 얻은 (±)-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 및 1-브로모-4-클로로부탄을 이용하여, 참고예 13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MS m/z: 393 [M+H]+
참고예 141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1
참고예 139에서 얻은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의 진한 염산(130 ㎖) 용액을 130℃에서 3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방냉하고, 탄산칼륨으로 중화시키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MS m/z: 307 [M+H]+
참고예 142
(±)-6-(4-클로로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2
참고예 140에서 얻은 (±)-6-(4-클로로부틸)-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카르복시산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14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MS m/z: 321 [M+H]+
참고예 143
(±)-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3
5,6-디메톡시-1-인다논을 이용하여, 참고예 138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0-141℃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32 (3H, t, J = 6.8Hz), 3.27 (1H, dd, J = 17.2, 8.0Hz), 3.45 (1H, dd, J = 17.2, 3.6Hz), 3.70 (1H, q, J = 3.6Hz), 3.91 (3H, s), 3.99 (3H, s), 4.27 (2H, q, J = 6.8Hz), 6.92 (1H, s), 7.18 (1H, s).
참고예 144
(±)-2-(3-클로로프로필)-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4
참고예 143에서 얻은 (±)-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13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2 (3H, t, J = 6.8Hz), 1.73 (2H, m), 2.00 (1H, m), 2.24 (1H, m), 2.98 (1H, d, J = 17.2Hz), 3.38 (1H, t, J = 6.6Hz), 3.54 (1H, t, J = 6.6Hz), 3.61 (1H, d, J = 17.2Hz), 3.91 (3H, s), 3.99 (3H, s), 4.17 (2H, q, J = 6.8Hz), 6.90 (1H, s), 7.16 (1H, s).
참고예 145
(±)-2-(3-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5
참고예 143에서 얻은 (±)-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 및 1-브로모-4-클로로부탄을 이용하여, 참고예 13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3 (3H, t, J = 7.6Hz), 1.30-1.46 (2H, m), 1.75-1.94 (3H, m), 2.14 (1H, m), 3.00 (1H, d, J = 17.2Hz), 3.39 (1H, t, J = 6.6Hz), 3.51 (1H, t, J = 6.6Hz), 3.62 (1H, d, J = 17.2Hz), 3.91 (3H, s), 3.99 (3H, s), 4.18 (2H, q, J = 7.6Hz), 6.91 (1H, s), 7.17 (1H, s).
참고예 146
(±)-2-(3-클로로프로필)-5,6-디메톡시-1-인다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6
참고예 144에서 얻은 (±)-2-(3-클로로프로필)-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14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65 (2H, m), 1.95 (2H, m), 2.65-2.77 (2H, m), 3.29 (1H, dd, J = 17.1, 7.8Hz), 3.59 (2H, m), 3.91 (3H, s), 3.97 (3H, s), 6.87 (1H, s), 7.16 (1H, s).
참고예 147
(±)-2-(4-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7
참고예 145에서 얻은 (±)-2-(3-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옥소-2-인단카르복시산에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14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2-1.98 (6H, m), 2.62-2.79 (2H, m), 3.28 (1H, dd, J = 17.2, 7.4Hz), 3.56 (2H, t, J = 6.6Hz), 3.91 (3H, s), 3.97 (3H, s), 6.88 (1H, s), 7.18 (1H, s).
참고예 148
2-(2-클로로페닐)에틸[5-(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8
참고예 128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다.
MS m/z: 508 [M+H]+
참고예 149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79
참고예 129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 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1 (9 H, s), 1.42-1.64 (4H, m), 2.97 (4H, m), 3.25 (2H, m), 3.34 (3H, s), 3.35 (3H, s), 3.45 (2H, m), 6.74 (1H, d, J = 8.4Hz), 7.18-7.39 (5H, m), 7.67 (1H, d, J = 8.4Hz).
참고예 150
(±)-2-(2-클로로페닐)에틸[3-(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일)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0
참고예 141에서 얻은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38 (9 H, m), 1.42-1.61 (4H, m), 1.87 (2H, m), 2.23 (1H, m), 2.93-3.12 (4H, m), 3.19 (2H, m), 3.32 (2H, m), 3.34 (3H, s), 3.36 (3H, s), 6.72 (1H, s), 7.11-7.30 (4H, m), 7.60 (1H, s).
참고예 151
2-(1H-인돌-3-일)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1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트립타민(54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22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30-1.80 (13H, m), 2.70 (2H, t, J = 7.8Hz), 2.80-3.05 (6H, m), 3.10-3.35 (4H, m), 3.40-3.55 (2H, m), 4.12 (2H, t, J = 8.4Hz), 6.95-7.25 (3H, m), 7.36 (1H, d, J = 7.8Hz), 7.60-7.75 (3H, m), 8.10-8.30 (1H, br).
참고예 152
(±)-2-하이드록시-2-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아미노-1-페닐에탄올(47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9 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7 (9 H, s), 1.50-1.90 (4H, m), 2.60-3.50 (13H, m), 4.00-4.20 (2H, m), 4.70-5.00 (1H, m), 7.10-7.45 (5H, m), 7.66 (1H, s), 7.70 (1H, s).
참고예 153
(±)-2-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노르페닐에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65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1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40-1.80 (4H, m), 1.47 (9 H, s), 2.71 (2H, t, J = 7.8Hz), 2.91 (2H, t, J = 7.2Hz), 3.01 (2H, t, J = 7.8Hz), 3.05-3.60 (7 H, m), 4.13 (2H, t, J = 8.4Hz), 4.60-4.90 (1H, m), 6.35-6.60 (1H, br), 6.75 (1H, d, J = 8.5Hz), 6.80-6.90 (2H, m), 7.18 (1H, t, J = 7.8Hz), 7.66 (1H, s), 7.70 (1H, s).
참고예 154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놀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4
1-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놀리논(1.3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49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62-63℃의 무색 결정(9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4-1.94 (4H, m), 2.69 (2H, t, J = 8Hz), 2.96-3.00 (4H, m), 3.39 (3H, s), 3.59 (2H, t, J = 6Hz), 7.04 (1H, d, J = 8.3Hz), 7.79 (1H, d, J = 1.5Hz), 7.88 (1H, dd, J = 8.3, 1.5Hz).
IR (KBr) νcm-1: 1669, 1601, 1504, 1426, 1351, 1304, 1205, 1123.
참고예 155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5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438 mg) 및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57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75 (4H, m), 2.01-2.08 (2H, m), 2.82 (2H, t, J = 6Hz), 2.85-2.98 (4H, m), 3.13-3.21 (2H, m), 3.38 (2H, t, J = 7Hz), 3.54 (2H, s), 3.74 (2H, t, J = 6Hz), 6.91 (1H, dt, J = 2.7, 8.0Hz), 7.08-7.25 (2H, m), 7.72 (2H, s).
참고예 156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4-플루 오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6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420 mg) 및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57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5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3 (4H, m), 2.25 (3H, s), 2.94 (4H, br.s,), 3.13-3.25 (4H, m), 3.38 (2H, t, J = 7Hz), 4.11 (2H, t, J = 7Hz), 6.91 (1H, dt, J = 2.5, 7.8Hz), 7.08-7.24 (2H, m), 7.80 (1H, s), 7.81 (1H, d, J = 8.0Hz), 8.23 (1H, d, J = 8.0Hz).
참고예 157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7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420 mg) 및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민(57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7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73 (4H, m), 2.68 (2H, t, J = 7.0Hz), 2.95-2.99 (6H, m), 3.13-3.21 (2H, m), 3.36-3.40 (2H, m), 3.39 (3H, s), 6.91 (1H, dt, J = 2.5, 8.3Hz), 7.02 (1H, d, J = 8.3Hz), 7.09-7.22 (2H, m), 7.78 (1H, s), 7.87 (1H, d, J = 8.3Hz).
참고예 158
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8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292 mg) 및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민(45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72 (4H, m), 2.02-2.34 (2H, m), 2.80-2.90 (6H, m), 3.13-3.20 (2H, m), 3.38 (2H, br.s), 3.54 (2H, s), 3.72-3.75 (2H, m), 7.22 (4H, br.s), 7.72 (2H, s).
참고예 159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89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280 mg) 및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민(45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69 (4H, m), 2.25 (3H, s), 2.92-2.99 (4H, m), 3.12-3.25 (4H, m), 3.38 (2H, br.s), 4.09-4.15 (2H, m), 7.19-7.32 (4H, m), 7.80 (1H, s), 7.82 (1H, d, J = 8.3Hz), 8.23 (1H, d, J = 8.3Hz).
참고예 160
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0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80 mg) 및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민(45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4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73 (4H, m), 2.68 (2H, t, J = 7.7Hz), 2.88-3.00 (6H, m), 3.14-3.21 (2H, m), 3.35-3.42 (2H, m), 3.39 (3H, s), 7.02 (1H, d, J = 8.3Hz), 7.09-7.22 (2H, m), 7.78 (1H, s), 7.87 (1H, d, J = 8.3Hz).
참고예 161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 [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1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281 mg) 및 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민(451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4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9 H, s), 1.51-1.78 (4H, m), 2.89 (2H, br.s), 3.01 (2H, br.s), 3.15-3.23 (2H, m), 3.38 (2H, br.s), 3.46 (6H, s), 6.98 (1H, d, J = 8.0Hz), 7.23-7.30 (4H, m), 7.63 (1H, s), 7.78 (1H, d, J = 8.0Hz).
참고예 162
3-(2-메톡시페닐)프로필[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2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292 mg) 및 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민(36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60 (2H, br.s), 1.67-1.74 (2H, m), 1.76-1.84 (2H, m), 2.00-2.06 (2H, m), 2.58 (2H, t, J = 7.5Hz), 2.82 (2H, t, J = 6.0Hz), 2.94 (2H, t, J = 7.0Hz), 3.22 (4H, br.s), 3.54 (2H, s), 3.74 (2H, t, J = 6.0Hz), 3.81 (3H, s), 6.84 (1H, d, J = 8.3Hz), 6.87 (1H, t, J = 7.5Hz), 7.12 (1H, d, J = 7.5Hz), 7.17 (1H, t, J = 7.5Hz), 7.73 (2H, s).
참고예 163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3-(2-메톡시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3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280 mg) 및 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민(36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1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 (9 H, s), 1.60 (2H, br.s), 1.67-1.72 (2H, m), 1.76-1.84 (2H, m), 2.25 (3H, s), 2.58 (2H, t, J = 7.3Hz), 2.93-2.96 (2H, m), 3.23 (6H, br.s), 3.81 (3H, s), 4.09-4.15 (2H, m), 6.83 (1H, d, J = 8.3Hz), 6.87 (1H, t, J = 7.3Hz), 7.12 (1H, d, J = 7.3Hz), 7.17 (1H, t, J = 7.3Hz), 7.81 (1H, s), 7.82 (1H, d, J = 8.1Hz), 8.23 (1H, d, J = 8.1Hz).
참고예 164
3-(2-메톡시페닐)프로필[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4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80 mg) 및 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민(36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1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 (9 H, s), 1.61 (2H, br.s), 1.68-1.75 (2H, m), 1.77-1.84 (2H, m), 2.58 (2H, t, J = 7.8Hz), 2.68 (2H, t, J = 7.8Hz), 2.95-2.98 (4H, m), 3.21 (4H, br.s), 3.39 (3H, s), 3.81 (3H, s), 6.84 (1H, d, J = 8.0Hz), 6.88 (1H, t, J = 7.3Hz), 7.01 (1H, d, J = 8.3Hz), 7.12 (1H, d, J = 7.3Hz), 7.17 (1H, t, J = 7.3Hz), 7.79 (1H, s), 7.87 (1H, d, J = 8.3Hz).
참고예 165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3-(2-메톡시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5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281 mg) 및 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민(36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 (9 H, s), 1.63 (2H, br.s), 1.70-1.85 (4H, m), 2.58 (2H, t, J = 7.8Hz), 3.01 (2H, t, J = 7.0Hz), 3.25 (4H, br.s), 3.46 (6H, s), 3.81 (3H, s), 6.84 (1H, d, J = 8.0Hz), 6.87 (1H, t, J = 7.3Hz), 6.98 (1H, d, J = 8.0Hz), 7.12 (1H, d, J = 7.3Hz), 7.17 (1H, t, J = 7.3Hz), 7.63 (1H, s), 7.78 (1H, d, J = 8.0Hz).
참고예 166
2-(2-에톡시페녹시)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 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6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292 mg) 및 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민(399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11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3H, t, J = 7Hz), 1.45 (9 H, s), 1.61-1.75 (4H, m), 2.00-2.06 (2H, m), 2.81 (2H, t, J = 6Hz), 2.94 (2H, br.d, J = 6.6Hz), 3.42 (2H, t, J = 7.3Hz), 3.54 (2H, s), 3.59-3.63 (2H, m), 3.74 (2H, t, J = 6Hz), 4.03-4.08 (2H, m), 4.12 (2H, q, J = 7Hz), 6.89 (4H, br.s), 7.73 (2H, s).
참고예 167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녹시) 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7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280 mg) 및 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민(399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3H, t, J = 7Hz), 1.45 (9 H, s), 1.61-1.72 (4H, m), 2.25 (3H, s), 2.95-2.97 (2H, m), 3.22 (2H, t, J = 8Hz), 3.42 (2H, t, J = 7Hz), 3.58-3.68 (2H, m), 4.03-4.06 (2H, m), 4.11 (4H, q, J = 7Hz), 6.89 (4H, br.s), 7.79 (1H, s), 7.82 (1H, d, J = 8.3Hz), 8.22 (1H, d, J = 8.3Hz).
참고예 168
2-(2-에톡시페녹시)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 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8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80 mg) 및 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민(399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2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3H, t, J = 7Hz), 1.45 (9 H, s), 1.70-1.76 (4H, m), 2.68 (2H, t, J = 8.3Hz), 2.94-2.98 (4H, m), 3.39 (3H, s), 3.43 (2H, t, J = 7.3Hz), 3.59-3.64 (2H, m), 4.03-4.08 (2H, m), 4.12 (2H, q, J = 7Hz), 6.89 (4H, br.s), 7.01 (1H, d, J = 8.3Hz), 7.78 (1H, s), 7.88 (1H, d, J = 8.3Hz).
참고예 169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 (2-에톡시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299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281 mg) 및 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민(399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3H, t, J = 6.7Hz), 1.45 (9 H, s), 1.70-1.78 (4H, m), 3.01-3.06 (2H, m), 3.42-3.46 (2H, m), 3.46 (6H, s), 3.59-3.64 (2H, m), 4.05 (2H, q, J = 6.7Hz), 4.10-4.15 (2H, m), 6.89 (4H, br.s), 6.97 (1H, d, J = 8Hz), 7.63 (1H, s), 7.78 (1H, d, J = 8Hz).
참고예 170
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0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584 mg) 및 N-(2-에톡시페닐)에탄-1,2-디아민(79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11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3H, t, J = 7.0Hz), 1.47 (9 H, s), 1.63 (1H, br.s), 1.66-1.75 (4H, m), 2.00-2.06 (2H, m), 2.82 (2H, t, J = 6.1Hz), 2.92-2.98 (2H, m), 3.23-3.33 (4H, m), 3.44 (2H, br.s), 3.54 (2H, s), 3.74 (2H, t, J = 6.1Hz), 4.05 (2H, br.s), 6.63 (2H, br.s), 6.74 (1H, d, J = 7.6Hz), 6.84 (1H, t, J = 7.6Hz), 7.72 (1H, s), 7.73 (1H, s).
참고예 171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닐)아 미노]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1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560 mg) 및 N-(2-에톡시페닐)에탄-1,2-디아민(79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95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3H, t, J = 6.8Hz), 1.47 (9 H, s), 1.62 (1H, br.s), 1.67-1.74 (4H, m), 2.26 (3H, s), 2.93-2.97 (2H, m), 3.21-3.25 (4H, m), 3.31 (2H, t, J = 6.8Hz), 3.43 (2H, br.s), 4.04 (2H, br.s), 4.12 (2H, q, J = 6.8Hz), 6.63 (2H, br.s), 6.74 (1H, d, J = 7.6Hz), 6.84 (1H, t, J = 7.6Hz), 7.80 (1H, s), 7.82 (1H, d, J = 8.3Hz), 8.23 (1H, d, J = 8.3Hz).
참고예 172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 [(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2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562 mg) 및 N-(2-에톡시페닐)에탄-1,2-디아민(79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7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2 (3H, t, J = 6.8Hz), 1.47 (9 H, s), 1.63 (1H, br.s), 1.71-1.80 (4H, m), 3.00-3.05 (2H, m), 3.27-3.33 (4H, m), 3.42-3.49 (2H, m), 3.46 (6H, s), 4.04 (2H, br.s), 6.63 (2H, br.s), 6.74 (1H, d, J = 7.3Hz), 6.84 (1H, t, J = 7.3Hz), 6.98 (1H, d, J = 8.0Hz), 7.62 (1H, s), 7.78 (1H, d, J = 8.0Hz).
참고예 173
8-[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 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3
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판산 13.8 g 디클로로메탄(50 ㎖) 현탁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5.6 ㎖)를 빙냉 하에 적하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30분간 교반 후, 감압 농축하고, 잔사에 헥산 30 ㎖을 첨가하고, 침전한 결정을 여과하여, 건조하였다. 얻어진 해당 산 클로라이드 및 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10 g)의 1,2-디클로로에탄(50 ㎖) 현탁액에, 수냉 하에 염화알루미늄(28 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2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9-120℃의 담황색 결정(8.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08-1.24 (2H, m), 1.55-1.81 (5H, m), 2.00-2.10 (2H, m), 2.09 (3H, s), 2.53 (1H, d, t, J = 2.5, 13Hz), 2.83 (2H, t, J = 6.7Hz), 2.95 (2H, t, J = 7.5Hz), 3.03 (1H, d, t, J = 2.5, 13Hz), 3.56 (2H, s), 3.75 (2H, t, J = 6.7Hz), 3.80 (1H, d, J = 7.5Hz), 4.61 (1H, d, J = 7.5Hz), 7.73 (2H, s).
IR (KBr) νcm-1: 1713, 1634, 1341, 1152.
참고예 174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4
참고예 173에서 얻은 8-[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7.5 g)에 진한 염산(150 ㎖)을 첨가하고, 12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염산을 감압 하에 제거한 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12로 조절하고, 아세트산에틸(100 ㎖)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8-129℃의 담황색 결정(3.48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4 (1H, d, t, J = 4, 12Hz), 1.17 (1H, d, t, J = 4, 12Hz), 1.42-1.46 (1H, m), 1.65-1.81 (5H, m), 2.04 (2H, t, J = 7Hz), 2.58 (2H, d, t, J = 2, 12Hz), 2.83 (2H, t, J = 6Hz), 2.94 (2H, t, J = 7Hz), 3.07 (2H, br, d, J = 12Hz), 3.55 (2H, s), 3.74 (2H, t, J = 6Hz), 7.73 (2H, s).
IR (KBr) νcm-1: 1708, 1660, 1603, 1339, 1156.
참고예 175
9-[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5
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판산(13.8 g) 및 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10.8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7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0-131℃의 무색 결정(15.5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09-1.28 (2H, m), 1.55-1.82 (5H, m), 1.93-2.00 (2H, m), 2.09 (3H, s), 2.53 (1H, d, t, J = 2.5, 12.7Hz), 2.68 (2H, t, J = 7Hz), 2.85 (2H, t, J = 6Hz), 2.93-2.98 (4H, m), 3.03 (1H, d, t, J = 2.5, 12.7Hz), 3.82 (1H, d, J = 12.7Hz ), 3.90 (2H, t, J = 6Hz), 4.61 (1H, d, J = 13Hz),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1, 1634, 1360, 1160, 972.
참고예 176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 1-ij]퀴놀린-5-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6
참고예 175에서 얻은 9-[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15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73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81-82℃의 담황색 결정(8.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14 (1H, d, t, J = 4, 12Hz), 1.17 (1H, d, t, J = 4, 12Hz), 1.41-1.48 (1H, m), 1.65-1.70 (4H, m), 1.73 (1H, br. s), 1.94-2.00 (2H, m), 2.58 (2H, d, t, J = 2, 12Hz), 2.68 (2H, t, J = 6.7Hz), 2.84 (2H, t, J = 6Hz), 2.92-2.96 (4H, m), 3.07 (2H, br, d, J = 12Hz), 3.89 (2H, t, J = 6Hz),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3442, 2905, 1673, 1588, 1361, 1164.
참고예 177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7
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4.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8.37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3.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3 (4H, m), 2.96 (2H, t, J = 7.0Hz), 3.67 (2H, t, J = 6.4Hz), 4.38 (2H, s), 6.83 (1H, d, J = 8.8Hz), 7.01 (1H, s), 7.75-7.80 (2H, m), 9.44 (1H, s).
원소 분석 C13H15ClN2O2로서
계산값: C, 58.54; H, 5.67; N, 10.50.
실험값: C, 58.47; H, 5.51; N, 10.39.
MS m/z: 267 [M+H]+
참고예 178
6-(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8
1,3-디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4.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6.46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3.5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91-1.87 (4H, m), 2.99-2.94 (2H, m), 3.06 (3H, s) 3.35 (3H, s), 3.61-3.57 (2H, m), 4.43 (2H, s), 6.87 (1H, d, J = 8.4Hz), 7.07 (1H, d, J = 2.1Hz), 7.88 (1H, d, J = 8.4, 2.1Hz).
참고예 179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09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20.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17.8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 (23.0 g)을 융점 123-12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2.23 (2H, quintet, J = 6.4Hz), 2.72 (2H, t, J = 7.6Hz), 3.04 (2H, t, J = 7.6Hz), 3.13 (2H, t, J = 6.4Hz), 3.24 (2H, t, J = 8.6Hz), 3.68 (2H, t, J = 6.4Hz), 4.14 (2H, t, J = 8.6Hz), 7.70 (1H, s), 7.75 (1H, s).
원소 분석 C15H16ClNO2로서
계산값: C, 64.87; H, 5.81; N, 5.04.
실험값: C, 64.88; H, 5.72; N, 4.91.
참고예 180
벤질[4-옥소-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부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0
참고예 179에서 얻은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벤질아민(1.1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26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4 (9 H, s), 1.80-2.05 (2H, m), 2.71 (2H, t, J = 7.6Hz), 2.80-2.95 (2H, m), 3.11 (2H, t, J = 7.6Hz), 3.15-3.40 (4H, m), 4.13 (2H, t, J = 8.8Hz), 4.45 (2H, s), 7.20-7.40 (5H, m), 7.64 (1H, s), 7.68 (1H, s).
참고예 181
2-(2-메톡시페닐)에틸[4-옥소-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 3,2,1-ij]퀴놀린-8-일)부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1
참고예 179에서 얻은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1.6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97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1 (9 H, s), 1.85-2.00 (2H, m), 2.71 (2H, t, J = 5.2Hz), 2.75-2.95 (4H, m), 3.01 (2H, t, J = 5.2Hz), 3.15-3.45 (6H, m), 3.83 (3H, s), 4.13 (2H, t, J = 5.8Hz), 6.80-6.90 (2H, m), 7.05-7.20 (2H, m), 7.66 (1H, s), 7.71 (1H, s).
참고예 182
벤질[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벤질아민(55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1.90 (4H, m), 1.45 (9 H, s), 2.71 (2H, t, J = 7.4Hz), 2.80-3.35 (8 H, m), 4.00-4.50 (4H, m), 7.15-7.40 (5H, m), 7.66 (1H, s), 7.70 (1H, s).
참고예 183
2-메톡시벤질[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메톡시벤질아민(70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2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0-1.80 (4H, m), 1.41 (9 H, s), 2.71 (2H, t, J = 7.6Hz), 2.80-3.40 (8 H, m), 3.82 (3H, s), 4.00-4.50 (4H, m), 6.80-7.00 (2H, m), 7.05-7.30 (2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184
벤질[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4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벤질아민(64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5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10-1.80 (6H, m), 1.45 (9 H, s), 2.71 (2H, t, J = 7.6Hz), 2.68 (2H, t, J = 7.6Hz), 3.02 (2H, t, J = 7.6Hz), 3.10-3.30 (4H, m), 4.13 (2H, t, J = 8.8Hz), 4.42 (2H, s), 7.15-7.40 (5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185
2-메톡시벤질[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 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5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2-메톡시벤질아민(70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86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15-1.60 (4H, m), 1.42 (9 H, s), 2.72 (2H, quintet, J = 7.5Hz), 2.71 (2H, t, J = 7.5Hz), 2.88 (2H, t, J = 7.5Hz), 3.02 (2H, t, J = 7.5Hz), 3.10-3.30 (4H, m), 3.82 (3H, s), 4.13 (2H, t, J = 8.4Hz), 4.40-4.50 (2H, m), 6.80-6.95 (2H, m), 7.10-7.30 (2H, m), 7.67 (1H, s), 7.71 (1H, s).
참고예 186
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2-페닐에틸) 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6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1.00 g) 및 2-페닐에틸아민(80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4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20-1.85 (6H, m), 1.47 (9 H, s), 2.75-2.95 (4H, m), 3.00-3.25 (2H, m), 3.30-3.45 (2H, m), 4.68 (2H, s), 7.00 (1H, d, J = 8.7Hz), 7.10-7.35 (5H, m), 7.50-7.65 (2H, m), 8.90-9.25 (1H, br).
참고예 187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7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1.00 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92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 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7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5 (6H, m), 1.46 (9 H, s), 2.75-2.95 (4H, m), 3.00-3.25 (2H, m), 3.30-3.45 (2H, m), 3.82 (3H, s), 4.68 (2H, s), 6.80-7.25 (5H, m), 7.50-7.65 (2H, m), 8.90-9.30 (1H, br).
참고예 188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8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1.00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95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7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85 (6H, m), 1.44 (9 H, s), 2.80-3.25 (6H, m), 3.35-4.45 (2H, m), 4.69 (2H, s), 6.95-7.40 (5H, m), 7.50-7.65 (2H, m), 9.00-9.40 (1H, br).
참고예 189
N-{5-[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 오로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19
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피온산(10.0 g)을 티오닐 클로라이드(30 ㎖)에 실온에서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교반 후,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의 조제 산물을 얻었다. 상기 조제 산물 및 2,2,2-트리플루오로-N-(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10.0 g)의 1,2-디클로로에탄(50 ㎖) 현탁액에, 염화알루미늄(20 g)을 실온에서 소량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200 g)에 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로써 정제하고,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7-79℃의 무색 결정(8.8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00-1.30 (3H, m), 1.50-1.90 (4H, m), 2.09 (3H, s), 2.53 (1H, tt, J = 12.8, 2.8Hz), 2.90-3.05 (3H, m), 3.70-3.90 (1H, m), 4.02 (3H, s), 4.50-4.70 (1H, m), 7.02 (1H, d, J = 8.8Hz), 7.89 (1H, dd, J = 8.8, 2.2Hz), 8.50-8.65 (1H, br), 8.95 (1H, d, J = 2.2Hz).
참고예 190
3-(1-아세틸-4-피페리디닐)-1-(3-아미노-4-메톡시페닐)-1-프로파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0
참고예 189에서 얻은 N-{5-[3-(1-아세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3.00 g)의 포화 탄산칼륨 수용액(20 ㎖), 물(10 ㎖), 및 메탄올(30 ㎖) 현탁액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1-103℃의 무색 결정(1.57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00-1.25 (3H, m), 1.45-1.85 (4H, m), 2.08 (3H, s), 2.52 (1H, tt, J = 12.8, 3.0Hz), 2.85-3.10 (3H, m), 3.70-3.90 (1H, m), 3.91 (3H, s), 3.90-4.00 (2H, br), 4.50-4.70 (1H, m), 6.80 (1H, d, J = 8.4Hz), 7.30-7.45 (2H, m).
원소 분석 C17H24N2O3으로서
계산값: C, 67.08; H, 7.95; N, 9.20.
실험값: C, 66.83; H, 7.73; N, 9.18.
참고예 191
1-(3-아미노-4-메톡시페닐)-3-(4-피페리디닐)-1-프로파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1
참고예 190에서 얻은 3-(1-아세틸-4-피페리디닐)-1-(3-아미노-4-메톡시페닐)-1-프로파논(500 mg)의 진한 염산(10 ㎖) 용액을 130℃로써 6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여과하고, 에탄올 및 디에틸에테르로 순차 세정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공기 건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0℃(분해)의 무색 결정(54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0-1.65 (3H, m), 1.75-1.90 (2H, m), 2.70-2.90 (2H, m), 2.97 (2H, t, J = 6.9Hz), 3.15-3.25 (2H, m), 3.94 (3H, s), 7.00-9.50 2H, br), 7.20 (1H, d, J = 8.4Hz), 7.80-7.90 (2H, m), 8.75-9.25 (3H, br).
참고예 192
8-(3-클로로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2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3-클로로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6.06 ㎖)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0 g)을 융점 154-15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2.72 (2H, t, J = 7.8Hz), 3.03 (2H, t, J = 7.8Hz), 3.23 (2H, t, J = 8.7Hz), 3.39 (2H, t, J = 6.9Hz), 3.91 (2H, t, J = 6.9Hz), 4.13 (2H, t, J = 8.7Hz), 7.67 (1H, s), 7.71 (1H, s).
참고예 193
(±)-2,3-디하이드로-1H-인덴-1-일[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디하이드로-1H-인덴-1-일아민(68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3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2.10 (13H, m), 2.60-3.10 (12H, m), 3.10-3.30 (2H, m), 3.50-3.65 (1H, m), 4.00-4.20 (2H, m), 7.10-7.30 (3H, m), 7.60- 7.80 (3H, m).
참고예 194
2,3-디하이드로-1H-인덴-2-일[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4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민(683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61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2 (9 H, s), 1.50-1.75 (2H, m), 1.80-2.00 (2H, m), 2.72 (2H, t, J = 7.6Hz), 2.80-3.30 (11H, m), 3.50-3.65 (1H, m), 4.00-4.20 (3H, m), 7.05-7.20 (4H, m), 7.60-7.75 (2H, m).
참고예 195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5
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94 g) 및 염산 5-클로로펜타노일(3.7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5-146℃의 무색 결정(1.5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4-1.94 (4H, m), 2.67 (2H, t, J = 6.4Hz), 2.96 (2H, t, J = 6.8Hz), 3.05 (2H, t, J = 7.5Hz), 3.59 (2H, t, J = 6.4Hz), 6.90 (1H, d, J = 8.7Hz), 7.81 (1H, d, J = 8.7Hz), 7.82 (1H, s), 9.28 (1H, s).
IR (KBr) νcm-1: 3273, 1680, 1604, 1361, 1314, 1227, 1145.
참고예 196
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6
참고예 195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399 mg) 및 2-페닐에틸아민(45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3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4 (9 H, s), 1.51-1.73 (4H, m), 2.68 (2H, t, J = 7Hz), 2.75-2.86 (2H, m), 2.88-2.98 (2H, m), 3.03 (2H, t, J = 7Hz), 3.08-3.24 (2H, m), 3.32-3.42 (2H, m), 6.87 (1H, d, J = 8.4Hz), 7.18-7.30 (5H, m), 7.79 (1H, d, J = 6Hz), 7.80 (1H, s), 9.09 (1H, br).
참고예 197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7
참고예 195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399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567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38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1-1.72 (4H, m), 2.68 (2H, t, J = 8Hz), 2.78-2.88 (2H, m), 2.89-2.97 (2H, m), 3.03 (2H, t, J = 7.3Hz), 3.08-3.28 (2H, m), 3.30-3.42 (2H, m), 3.82 (3H, s) 6.83 (1H, d, J = 8.4Hz), 6.87-6.90 (2H, m), 7.09-7.21 (2H, m), 7.79 (1H, d, J = 6Hz), 7.80 (1H, s) 9.31 (1H, br).
참고예 198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8
참고예 195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399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58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82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3 (4H, m), 2.68 (2H, t, J = 7.3Hz), 2.91-3.01 (4H, m), 3.03 (2H, t, J = 7.3Hz), 3.12-3.25 (2H, m), 3.41 (2H, t, J = 7.3Hz), 6.87 (1H, d, J = 8.4Hz), 7.17-7.20 (3H, m), 7.33 (1H, d, J = 7Hz), 7.80 (1H, d, J = 6Hz), 7.81 (1H, s) 9.01 (1H, br).
참고예 199
6-(6-브로모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29
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94 g) 및 염산 6-브로모헥사노일(5.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6-117℃의 무색 결정(1.62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50-1.57 (2H, m), 1.73-1.79 (2H, m), 1.88-1.96 (2H, m), 2.69 (2H, t, J = 6.4Hz), 2.95 (2H, t, J = 7.5Hz), 3.05 (2H, t, J = 7.5Hz), 3.43 (2H, t, J = 6.4Hz), 6.92 (1H, d, J = 8.7Hz), 7.80 (1H, d, J = 8.7Hz), 7.85 (1H, s), 9.51 (1H, s).
IR (KBr) νcm-1: 3192, 3055, 1679, 1593, 1367, 1321, 1254.
참고예 200
2-(2-메톡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0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 2(1H)-온(224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26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0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1-1.76 (4H, m), 2.68 (2H, t, J = 7Hz), 2.77-2.88 (2H, m), 2.96 (4H, t, J = 7Hz), 3.12-3.24 (2H, m), 3.32-3.37 (2H, m), 3.38 (3H, s), 3.82 (3H, s), 6.83-6.89 (2H, m), 7.01 (1H, d, J = 8.5Hz), 7.06-7.21 (2H, m), 7.78 (1H, s) 7.87 (1H, d, J = 8Hz).
참고예 201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6-퀴놀리닐)-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1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24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274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44 mg)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6 (4H, m), 2.68 (2H, t, J = 7Hz), 2.92-2.98 (6H, m), 3.12-3.24 (2H, m), 3.39 (3H, s), 3.41 (2H, t, J = 7Hz), 7.02 (1H, d, J = 8.5Hz), 7.14-7.28 (3H, m), 7.33 (1H, d, J = 7Hz), 7.78 (1H, s,), 7.87 (1H, d, J = 8Hz).
참고예 202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2
300 ㎖의 4구 플라스크에 5-옥소헥산산에틸 4.75 g(30 mmol)을 주입하고, THF 100 ㎖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실온 하에 N-메틸-2-(2-클로로페닐)에틸아민5.1 g(30 mmol)을 첨가하고, 또한 NaBH(OAc) 38.3 g(39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 하에 하룻밤 동안 교반 후, 농축하고, 잔사에 6%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각각 50 ㎖을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유리된 유상물을 아세트산에틸(50 ㎖× 2)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5-에틸을 담황색 유상물(6.38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0.94 (3H, d, J = 6.6Hz), 1.19-1.28 (1H, m), 1.25 (3H, t, J = 7.0Hz), 1.44-1.52 (1H, m), 1.56-1.64 (2H, m), 2.25 (2H, t, J = 7.3Hz), 2.29 (3H, s), 2.51-2.69 (3H, m), 2.84-2.89 (2H, m), 4.12 (2H, q, J = 7.0Hz), 7.12-7.25 (3H, m), 7.32 (1H, dd, J = 7.6, 1.5Hz).
IR (neat) νcm-1: 1735, 1652, 1476, 1249, 1177, 1053, 752.
100 ㎖의 가지형 플라스크(eggplant-type flask)에 (±)-[[2-(2-클로로페닐) 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 5-에틸 6.2 g (20 mmol)을 주입하고, EtOH (10 ㎖)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실온 하에서 물 10 ㎖에 용해시킨 KOH 1.35 g(24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 하에 16시간 교반 후, EtOH를 제거하고, 잔사에 6N-염산 4 ㎖(24 mmol)을 첨가하여 중화시킨 후, 농축 건고하고, 잔사에 EtOH 20 ㎖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 건고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6.16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21 (3H, d, J = 6.6Hz), 1.41-1.51 (1H, m), 1.65-1.74 (2H, m), 1.99-2.01 (1H, m), 2.24-2.41 (2H, m), 2.61(3H, s), 2.92-3.04 (3H, m), 3.20 (2H, t, J = 8.3Hz), 7.16-7.23 (2H, m), 7.32-7.36 (2H, m), 9.35 (1H, br).
IR (neat) νcm-1: 3418, 1718, 1630, 1476, 1398, 1053, 757.
참고예 203
5-(5-클로로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3
참고예 69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포닐(5.06 g) 및 40% 메틸아민-메탄올 용액(2.6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 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0-121℃의 무색 결정(4.82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5-1.92 (4H, m), 2.66 (3H, d, J = 5.4Hz), 2.98-3.01 (2H, m), 3.35 (2H, t, J = 8.8Hz), 3.57-3.60 (2H, m), 4.78 (1H, q, J = 5.4Hz), 4.88 (2H, t, J = 8.8Hz), 8.06 (1H, s), 8.22 (1H, s).
IR (KBr) νcm-1: 3326, 1664, 1603, 1586, 1480, 1383, 1357, 1328, 1266, 1161, 1115, 868, 579.
참고예 204
5-(5-클로로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4
참고예 69에서 얻은 염산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포닐(5.06 g) 및 디메틸아민(3 ㎖)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3-114℃의 무색 결정(4.9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4-1.93(4H, m), 2.84 (6H, s), 2.96-3.00 (2H, m), 3.33 (2H, t, J = 8.8Hz), 3.57-3.60 (2H, m), 4.83 (2H, q, J = 5.4Hz), 8.03 (1H, s), 8.18 (1H, s).
IR (KBr) νcm-1: 1681, 1603, 1479, 1462, 1422, 1340, 1264, 1154, 1119, 956, 710, 583.
참고예 205
5-클로로-1-(2,3-디하이드로-2,2-디메틸-1-벤조퓨란-5-일)펜탄-1-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5
2,2-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3.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3.4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3.6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50 (6H, s), 1.83-1.92 (4H, m), 2.91-2.95 (2H, m), 3.04 (2H, s), 3.56-3.59 (2H, m), 6.74 (1H, d, J = 8.8Hz), 7.79 (1H, d, J = 8.8Hz), 7.81 (1H, s).
IR (neat) νcm-1: 1674, 1607, 1490, 1441, 1372, 1245, 1225, 1094, 868
참고예 206
5-클로로-1-(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펜탄-1-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6
크로만(5.40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6.82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7.9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3-1.91 (4H, m), 2.00-2.06 (2H, m), 2.83 (2H, t, J = 6.6Hz), 2.91-2.96 (2H, m, ) 3.58 (2H, t, J = 6.6Hz), 4.24 (2H, t, J = 5.2Hz), 6.81 (1H, d, J = 8.8Hz), 7.70 (1H, s), 7.71 (1H, d, J = 8.8Hz).
IR (neat) νcm-1: 1675, 1606, 1577, 1499, 1317, 1247, 1162, 1133, 1118, 1060, 1005, 821.
참고예 207
염산 6-(5-클로로 펜타노일)크로만-8-술포닐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7
참고예 206에서 얻은 5-클로로-1-(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펜탄-1-온(5.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3.57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85-1.94 (4H, m), 2.14-2.19 (2H, m), 2.93- 3.00 (4H, m), 3.59 (2H, t, J = 5.9Hz), 4.54 (2H, t, J = 5.6Hz), 8.03 (1H, s), 8.33 (1H, s).
IR (neat) νcm-1: 1686, 1600, 1567, 1485, 1371, 1278, 1258, 1172, 1132, 1002, 579, 557.
참고예 208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8
참고예 207에서 얻은 염산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포닐(3.5 g)을 이용하여, 참고예 6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8-169℃의 무색 결정(2.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67-1.80 (4H, m), 1.97 (2H, t, J = 5.3Hz), 2.86 (2H, t, J = 6.1Hz), 3.00 (2H, t, J = 6.6Hz), 3.67 (2H, t, J = 6.1Hz), 4.36 (2H, t, J = 5.3Hz), 7.15 (2H, s), 7.94 (1H, d, J = 1.8Hz), 8.10 (1H, d, J = 1.8Hz).
IR (KBr) νcm-1: 3376, 3272, 1695, 1599, 1482, 1459, 1419, 1309, 1244, 1137, 906, 744.
참고예 209
5-(2,3-디하이드로-2,2-디메틸-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39
참고예 205에서 얻은 5-클로로-1-(2,3-디하이드로-2,2-디메틸-1-벤조퓨란-5-일)펜탄-1-온(543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612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49 (6H, s), 1.51-1.72 (4H, m), 2.85-3.00 (4H, m), 3.03 (2H, s), 3.07-3.25 (2H, m), 3.41 (2H, t, J = 7.3Hz), 6.73 (1H, d, J = 9.1Hz), 7.12-7.34 (4H, m), 7.80 (2H, br.s).
참고예 210
5-(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0
참고예 206에서 얻은 5-클로로-1-(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펜탄-1-온(505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fine yellow) 유상물(793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3 (4H, m), 2.01 (2H, t, J = 6Hz), 2.82 (2H, t, J = 6Hz), 2.85-3.01 (4H, m), 3.07-3.23 (2H, m), 3.41 (2H, t, J = 7Hz), 4.23 (2H, q, J = 5.3Hz), 6.80 (1H, d, J = 9.1Hz), 7.12-7.34 (4H, m), 7.70 (2H, br.s).
참고예 211
5-{7-[(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1
참고예 203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64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6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864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0-1.73 (4H, m), 2.65 (3H, d, J = 5.4Hz), 2.82 (2H, br.s), 2.95 (2H, br.s), 3.08-3.23 (2H, m), 3.31-3.37 (4H, m), 3.83 (3H, s), 4.81(1H, q, J = 5.4Hz), 4.86 (2H, t, J = 8.8Hz), 6.83-6.89 (2H, m), 7.09-7.21 (2H, m), 8.04 (1H, d, J = 1.5Hz), 8.22 (1H, d, J = 1.5Hz).
참고예 212
5-{7-[(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2
참고예 203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64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87-88℃의 무색 결정(89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0-1.73 (4H, m), 2.66 (3H, d, J = 5.4Hz), 2.95 (4H, br.s), 3.08-3.27 (2H, m), 3.34 (2H, t, J = 8.8Hz), 3.41 (2H, t, J = 7.5Hz), 4.78 (1H, q, J = 5.4Hz), 4.87 (2H, t, J = 8.8Hz), 7.13-7.29 (3H, m), 7.33 (1H, d, J = 6.6Hz), 8.04 (1H, d, J = 1.2Hz), 8.22 (1H, d, J = 1.2Hz).
참고예 213
5-{7-[(디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3
참고예 204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92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6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875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0-1.73 (4H, m), 2.79-2.87 (2H, m), 2.83(6H, s), 2.94 (2H, br.s), 3.08-3.23 (2H, m), 3.29-3.51 (4H, m), 3.83 (3H, s), 4.82 (2H, t, J = 8.8Hz), 6.83-6.88 (2H, m), 7.09-7.21 (2H, m), 8.01 (1H, d, J = 1.5Hz), 8.17 (1H, d, J = 1.5Hz).
참고예 214
2-(2-클로로페닐)에틸(5-{7-[(디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 퓨란-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4
참고예 204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92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86-87℃의 무색 결정(96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0-1.73 (4H, m), 2.84 (6H, s), 2.95 (4H, br.s), 3.08-3.25 (2H, m), 3.32 (2H, t, J = 8.8Hz), 3.41 (2H, t, J = 7.5Hz), 4.82 (2H, t, J = 8.8Hz), 7.13-7.29 (3H, m), 7.33 (1H, d, J = 6.6Hz), 8.01 (1H, d, J = 1.4Hz), 8.17 (1H, d, J = 1.4Hz).
참고예 215
5-[8-(아미노술포닐)-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5
참고예 20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664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76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650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0 (9 H, s), 1.51-1.70 (4H, m), 2.11 (2H, br.s), 2.79-2.89 (6H, m), 3.07-3.23 (2H, m), 3.33 (2H, t, J = 7.1Hz), 3.82 (3H, s), 4.47 (2H, t, J = 5.1Hz), 5.29 (2H, s), 6.83-6.88 (2H, m), 7.06-7.20 (2H, m), 7.89 (1H, s), 8.27 (1H, s).
참고예 216
5-[8-(아미노술포닐)-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참고예 20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664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778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유상물(677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38 (9 H, s), 1.51-1.71 (4H, m), 2.12 (2H, br.s), 2.89-2.93 (6H, m), 3.11-3.21 (2H, m), 3.39 (2H, br.s), 4.47 (2H, t, J = 5.1Hz), 5.23 (2H, s), 7.13-7.34 (4H, m), 7.90 (1H, s), 8.27 (1H, s).
참고예 217
5-(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7
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4.45 g)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5.58 g)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혼합물(1.5:1)을 무색 결정(5.5 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7-1.81 (4H, m), 2.99-3.05 (2H, m), 3.30 (3H×3/5, s), 3.32 (3H×2/5, s), 3.61-3.69 (2H, m, ), 7.03 (1H×2/5, d, J = 8.3Hz), 7.14 (1H×3/5, d, J = 8.3Hz), 7.49 (1H×3/5, d, J = 1.5Hz), 7.64 (1H×2/5, d, J = 1.5Hz), 7.69 (1H×2/5, dd, J = 8.3, 1.5Hz), 7.73 (1H×3/5, dd, J = 8.8, 1.5Hz), 11.09 (1H×3/5, s), 11.23 (1H×2/5, s).
참고예 218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A) 및 2-(2-클로로페닐)에틸[5-(3-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 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B)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8
참고예 217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의 혼합물(1.6 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2.3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1-122℃의 무색 결정(1-메틸체(A): 1.0 g)과 미황색 유상물(3-메틸체(B): 645 mg)로서 얻었다.
1H NMR (1-메틸체(A); 400MHz, CDCl3) δ 1.41 (9 H, s), 1.52-1.76 (4H, m), 2.97 (4H, br.s), 3.14-3.25 (2H, m), 3.42 (2H, t, J = 7.0Hz), 3.45 (3H, s), 6.98 (1H, d, J = 7.8Hz), 7.16-7.33 (4H, m), 7.75 (1H, s), 7.77 (1H, d, J = 7.8Hz), 10.76-10.84 (1H, m).
1H NMR (3-메틸체(B); 400MHz, CDCl3) δ 1.41 (9 H, s), 1.52-1.76 (4H, m), 2.95-3.01 (4H, m), 3.15-3.25 (2H, m), 3.42 (2H, t, J = 7.3Hz), 3.48 (3H, s), 7.15 (1H, d, J = 8.0Hz), 7.16-7.34 (4H, m), 7.65 (1H, s), 7.76 (1H, d, J = 8.0Hz), 10.65 (1H, br.s).
참고예 219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A) 및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3-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B)
Figure 112004027844520-pct00349
참고예 217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의 혼합물(1.6 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3.3 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로서, 미황색 유상물(1-메틸체(A): 428 mg)과 융점 157-158℃의 무색 결정(3-메틸체(B): 290 mg)을 얻었다.
1H NMR (1-메틸체(A);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 (2H, br.s), 1.62-1.72 (2H, m), 2.84-2.91 (4H, m), 3.03-3.12 (2H, m), 3.36 (2H, t, J = 7.1Hz), 3.45 (3H, s), 6.72 (1H, d, J = 8.3Hz), 6.92 (1H, br.s), 6.97 (1H, d, J = 7.6Hz), 7.01 (1H, d, J = 8.3Hz), 7.67 (1H, br.s), 7.72 (1H, br.s), 7.77 (1H, d, J = 7.6Hz), 10.08-10.23 (1H, m).
1H NMR (3-메틸체(B); 400MHz, CDCl3) δ 1.29 (9 H, s), 1.45-1.58 (4H, m), 2.74 (2H, t, J = 7.3Hz), 3.00 (2H, t, J = 6.6Hz), 3.05-3.17 (2H, m), 3.27 (2H, br.s), 3.32 (3H, s), 6.65 (1H, dd, J = 8.3, 2.4Hz), 6.77 (1H, d, J = 2.4Hz), 7.04 (2H, br.d, J = 8.0Hz), 7.64 (1H, br.s), 7.69 (1H, d, J = 8.0Hz), 9.66 (1H, s), 11.22 (1H, s).
참고예 220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0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562 m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1.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272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0 (9 H, s), 1.60 (2H, br.s), 1.68-1.74 (2H, m), 2.85 (2H, m), 3.00 (2H, t, J = 7.3Hz), 3.18 (2H, t, J = 7.3Hz), 3.36 (2H, br.s), 3.46 (6H, s), 6.70 (1H, d, J = 8.0Hz), 6.90 (1H, br.s), 6.95-7.24 (3H, m), 7.62 (1H, d, J = 1.7Hz), 7.78 (1H, dd, J = 8.0, 1.7Hz).
참고예 221
1-메틸-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 2,2-디옥사이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1
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 2,2-디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3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3-104℃의 갈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2.17 (2H, quintet, J = 6.2Hz), 2.77 (2H, t, J = 6.4Hz), 3.25 (3H, s), 3.69 (2H, t, J = 5.6Hz), 6.56 (1H, d, J = 7.8Hz), 6.74 (1H, d, J = 6.8Hz), 6.88 (1H, t, J = 7.6Hz).
참고예 222
5-클로로-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2
참고예 221에서 얻은 1-메틸-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99-100℃의 담홍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9 (4H, t, J = 2.8Hz), 2.21 (2H, quintet, J = 5.6Hz), 2.83 (2H, t, J = 6.2Hz), 2.96 (2H, t, J = 6.8Hz), 3.21 (3H, s), 3.58 (2H, t, J = 6.8Hz), 3.77 (2H, t, J = 5.6Hz), 7.24 (1H, s), 7.44 (1H, s).
참고예 223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3
참고예 222에서 얻은 5-클로로-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42 (9 H, br), 1.53-1.71 (4H, m), 2.19 (2H, quintet, J = 5.6Hz), 2.81 (2H, t, J = 6.2Hz), 2.94 (4H, m), 3.22 (2H, m), 3.31 (3H, s), 3.41 (2H, t, J = 6.8Hz), 3.75 (2H, t, J = 5.6Hz), 7.15-7.35 (5H, m), 7.44 (1H, s).
참고예 224
5-클로로-1-(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4
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8-119℃의 담홍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4 (4H, m), 2.06 (2H, t, J = 6.0Hz), 2.77 (2H, t, J = 5.8Hz), 2.99 (2H, t, J = 7.0Hz), 3.65 (4H, m), 7.24 (1H, s), 7.53 (1H, s), 11.58 (1H, s).
참고예 225
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2,2-디옥사이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5
2-아미노벤질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2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8-180℃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4.40 (2H, d, J = 7.8Hz), 6.71 (1H, d, J = 7.0Hz), 6.92 (1H, t, J = 7.2Hz), 7.11-7.32 (3H, m), 10.16 (1H, s).
참고예 226
5-클로로-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6
참고예 225에서 얻은 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6-11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4 (4H, m), 2.98 (2H, t, J = 6.6Hz), 3.68 (2H, t, J = 6.2Hz), 4.48 (2H, d, J = 7.6Hz), 6.78 (1H, d, J = 8.8Hz), 7.17 (1H, m), 7.51 (1H, t, J = 8.0Hz), 7.83 (1H, s), 10.81 (1H, s).
참고예 227
1,3-디메틸-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2,2-디옥사이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7
참고예 225에서 얻은 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2,2-디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27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59-6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2.77 (3H, s), 3.34 (3H, s), 4.62 (2H, s), 6.90 (1H, d, J = 7.6Hz), 7.04 (2H, m), 7.30 (1H, d, J = 9.4Hz).
참고예 228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8
참고예 227에서 얻은 1,3-디메틸-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 2,2-디옥사이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8-7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5 (4H, m), 2.67 (3H, s), 3.03 (2H, t, J = 5.4Hz), 3.32 (3H, s), 3.69 (2H, t, J = 5.4Hz), 4.74 (2H, s), 7.15 (1H, d, J = 8.8Hz), 7.84 (1H, s), 7.95 (1H, d, J = 8.8Hz).
참고예 229
2-메틸-1,3-디옥소-5-이소인돌린카르복시산
Figure 112004027844520-pct00359
트리멜리트산무수물(30 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 용액에 메틸아민 수용액(50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교반 후, 상압 하에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pH를 1로 조절하고, 석출물을 여과하고, 물, 에탄올 및 디에틸에테르로 순차 세정하였다. 또한, 공기 건조시킴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26-232℃ 무색 결정(11.6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3.06 (3H, s), 7.97 (1H, d, J = 7.6Hz), 8.19 (1H, s), 8.33 (1H, dd, J = 7.7, 1.6Hz), 8.00-10.00 (1H, br).
참고예 230
염화 2-메틸-1,3-디옥소-5-이소인돌린카르보닐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0
참고예 229에서 얻은 2-메틸-1,3-디옥소-5-이소인돌린카르복시산(9.2 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촉매량)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5.86 ㎖)를 실온에서 점적하여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한 후, 감압 하건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3.06 (3H, s), 7.97 (1H, d, J = 7.6Hz), 8.19 (1H, s), 8.33 (1H, dd, J = 7.9, 1.0Hz).
참고예 231
5-(5-클로로펜타노일)-2-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1
본 화합물의 합성은 Y. Tamaru 등의 방법(Tetrahedron Lett. 1985, 26(45), 5529)에 준하여 행하였다. 즉, Zn-Cu 커플(4.6 g) 및 1-클로로-4-요오도부탄(10.0 g)의 톨루엔(60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6 ㎖)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의 6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참고예 230에서 얻은 염화 2-메틸-1,3-디옥소-5-이소인돌린카르보닐(6.82 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4 g)의 톨루엔(30 ㎖) 현탁액을 상기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물로 반응을 중단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 후, 1N 염산, 물, 탄산칼륨 수용액, 물, 및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 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97-98℃의 무색 결정(5.15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5-1.90 (4H, m), 3.06 (3H, s), 3.22 (2H, t, J = 6.8Hz), 3.71 (2H, t, J = 6.2Hz), 7.98 (1H, d, J = 7.6Hz), 8.25-8.40 (2H, m).
참고예 232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2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6-10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75 (4H, m), 1.79 (3H, s), 2.77 (2H, dd, J = 10.8, 3.0Hz), 3.04 (2H, t, J = 6.6Hz), 3.21 (2H, dd, J = 11.2, 5.2Hz), 3.69 (2H, t, J = 6.3Hz), 4.46 (1H, m), 7.35 (1H, d, J = 7.6Hz), 7.80 (2H, m), 8.16 (1H, d, J = 5.4Hz).
참고예 233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3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1-7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86 (4H, m), 2.96 (4H, m), 3.01 (3H, s), 3.35 (2H, dd, J = 10.8, 4.6Hz), 3.58 (2H, t, J = 4.2Hz), 4.29 (1H, m), 5.21 (1H, m), 7.27 (1H, d, J = 5.4Hz), 7.79 (2H, m).
참고예 234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참고예 10의 화합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4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25.00 g을 아세토니트릴 250 ㎖에 용해시키고,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 25.9 ㎖(1.3 당량), 염화아연 4.20 g(0.2 당량)을 첨가하였다. 80℃에서 6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아세트산에틸 250 ㎖, 물 250 ㎖을 첨가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물 125 ㎖로 2회 세정한 후, 감압 농축하고 담황갈색 결정 53.16 g을 얻었다. 에탄올 125 ㎖를 첨가하고, 55℃로 가온하여 결정을 용해시켰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75 ㎖를 적하하고, 결정화시키고, 25℃까지 냉각 후, 동일 온도로 1 시간 교반하였다. 5℃ 이하로 냉각하고, 1시간 교반 후, 결정을 여과하였다. 차가운 에탄올-디이소프로필 에테르(1:3) 125 ㎖로 결정을 세정하고, 감압 건조하여, 미황갈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27.16 g을 얻었다.
참고예 235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하이드록시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5
참고예 60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25 g)의 메탄올 용액(10 ㎖)에, 실온 하에 테트라하이드로붕산나트륨 95 mg을 첨가하였다. 실온 하에 2시간 교반한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을 첨가하였다. 유리된 유상물을 클로로포름(30 ㎖ × 2)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1.25 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21-1.52 (4H, m), 1.40 (9 H, s), 1.63-1.90 (2H, m), 2.92 (2H, br.s), 3.08-3.23 (2H, m), 3.31-3.41 (2H, m), 3.36 (6H, s), 4.68 (1H, br.s), 5.10-5.18 (1H, m), 6.85 (1H, d, J = 8.1Hz), 6.96 (1H, m), 7.02 (1H, d, J = 8.1Hz), 7.16-7.34 (4H, m).
참고예 236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6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84 m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1.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250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3 (4H, m), 2.72 (2H, t, J = 7.5Hz), 2.85 (2H, br.s), 2.92 (2H, t, J = 6.8Hz), 3.01 (2H, t, J = 7.5Hz), 3.15-3.24 (4H, m), 3.36 (2H, br.s), 4.13 (2H, t, J = 8.3Hz), 6.69 (1H, d, J = 7.0Hz), 6.89-7.07 (3H, m), 7.66 (1H, s), 7.71 (1H, s).
참고예 237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4-하이 드록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7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560 m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1.1 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320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1 (9 H, s), 1.51-1.72 (4H, m), 2.26 (3H, s), 2.85 (2H, br.s), 2.95 (2H, t, J = 7.3Hz), 3.15 (2H, br.s), 3.23 (2H, t, J = 8.0Hz), 3.36 (2H, t, J = 7.0Hz), 4.11 (2H, t, J = 7.0Hz), 6.69 (1H, d, J = 6.3Hz), 6.90-7.07 (3H, m), 7.80 (1H, s), 7.81 (1H, d, J = 8.0Hz), 8.22 (1H, d, J = 8.0Hz).
참고예 238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8-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8
참고예 134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460 m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79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114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0 (9 H, s), 1.60 (2H, br.s), 1.66-1.75 (2H, m), 2.10-2.16 (2H, m), 2.84-3.00 (6H, m), 3.16-3.22 (2H, m), 3.31-3.38 (2H, m), 3.45 (3H, s), 3.82-3.89 (2H, m), 6.70 (1H, d, J = 7.8Hz), 6.83-7.02 (2H, m), 7.23 (1H, br.), 7.49 (1H, s), 7.56 (1H, s).
참고예 239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69
참고예 13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439 mg) 및 4-(2-아미노에틸)-3-클로로페놀 브롬화수소산염(796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55 mg)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49-1.72 (4H, m), 2.13 (2H, br.s), 2.83-2.89 (6H, m), 3.08 (2H, br.s), 3.35 (2H, t, J = 6.8Hz), 3.88 (2H, br.s), 6.88-7.02 (3H, m), 7.51 (1H, s), 7.56 (1H, br.s), 8.09 (1H, br), 9.95 (1H, s).
참고예 240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0
참고예 131에서 얻은 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을 이용하여, 참고예 1 및 참고예 82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Cl3) δ 1.43 (9 H, s), 1.56 (2H, br.s), 1.68 (2H, br.s), 2.09-2.16 (2H, m), 2.84-2.90 (4H, m), 2.95 (2H, t, J = 7.0Hz), 3.13 (2H, t, J = 7.3Hz), 3.35 (2H, t, J = 7.0Hz), 3.87 (2H, t, J = 6.0Hz), 6.88-7.04 (4H, m), 7.44 (1H, d, J = 8.0Hz), 7.89 (1H, br.), 9.34 (1H, s).
참고예 241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1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N-메틸아세트아미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81 (4H, m), 2.20 (3H, s), 2.41 (2H, m), 2.79 (3H, s), 3.06 (2H, t, J = 6.6Hz), 3.18-3.22 (2H, m), 3.59 (2H, t, J = 6.3Hz), 5.46 (1H, m), 7.30 (1H, m), 7.81 (2H, m).
참고예 242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2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5-클로로발레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MS m/z: 344 [M+H]+
실시예 1
8-[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3
참고예 19에서 얻은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00 g)의 에탄올(5 ㎖) 용액에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15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에탄올-아세트산에틸로부터 결정화시킴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6-168 ℃의 무색 결정(1.98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75 (4H, m), 2.59 (2H, t, J = 7.6Hz), 2.90-3.20 (10 H, m), 3.18 (2H, t, J = 8.4Hz), 3.99 (2H, t, J = 8.4Hz), 7.20-7.40 (5H, m), 7.73 (1H, s), 7.74 (1H, s), 8.95-9.10 (2H, br).
원소 분석 C24H28N2O2ㆍHCl로서
계산값: C, 69.80; H, 7.08; N, 6.78.
실험값: C, 69.43; H, 7.06; N, 6.72.
실시예 2
8-(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 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4
참고예 20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16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35 mg)을 융점 94-9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15 (10 H, m), 3.18 (2H, t, J = 8.4Hz), 3.80 (3H, s), 3.99 (2H, t, J = 8.4Hz), 6.91 (1H, dt, J = 7.3, 1.0Hz), 7.00 (1H, d, J = 7.6Hz), 7.15-7.30 (2H, m), 7.74 (2H, s), 8.95-9.15 (2H, br).
원소 분석 C25H30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2.69; H, 7.36; N, 5.85.
실험값: C, 63.02; H, 7.15; N, 5.82.
실시예 3
8-(5-[[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 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5
참고예 21에서 얻은 2-(3-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3.02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2 g)을 융점 97-10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20 (10 H, m), 3.17 (2H, t, J = 8.4Hz), 3.75 (3H, s), 3.99 (2H, t, J = 8.4Hz), 6.75-6.85 (3H, m), 7.25 (1H, t, J = 8.2Hz), 7.74 (2H, s), 9.15-9.35 (2H, br).
원소 분석 C25H30N2O3ㆍHClㆍ1.5H2O로서
계산값: C, 63.89; H, 7.29; N, 5.96.
실험값: C, 64.01; H, 7.01; N, 6.01.
실시예 4
8-(5-[[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6
참고예 22에서 얻은 2-(3,4-디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0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0 mg)을 융점 175-17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0-3.20 (10 H, m), 3.18 (2H, t, J = 8.4Hz), 3.72 (3H, s), 3.75 (3H, s), 3.99 (2H, t, J = 8.4Hz), 6.76 (1H, dd, J = 8.2, 1.8Hz), 6.90 (2H, d, J = 8.2Hz), 7.73 (2H, s), 8.85-9.05 (2H, br).
실시예 5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7
참고예 23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50 g)을 이 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89 mg)을 융점 128-13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90-3.25 (12H, m), 3.99 (2H, t, J = 8.4Hz), 7.00-7.55 (4H, m), 7.73 (2H, s), 9.10-9.30 (2H, br).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0.76; H, 6.59; N, 5.90.
실험값: C, 61.15; H, 6.20; N, 5.77.
실시예 6
8-(5-[[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8
참고예 24에서 얻은 2-(3-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4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05 mg)을 융점 172-17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25 (12H, m), 3.99 (2H, t, J = 8.4Hz), 7.00-7.20 (3H, m), 7.50-7.65 (1H, m), 7.74 (2H, s), 8.90-9.10 (2H, br).
원소 분석 C24H27FN2O2ㆍHCl로서
계산값: C, 66.89; H, 6.55; N, 6.50.
실험값: C, 66.50; H, 6.21; N, 6.20.
실시예 7
2-메톡시-5-(2-[[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아미노]에틸)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79
참고예 25에서 얻은 2-[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0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25 mg)을 융점 14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75 (4H, m), 2.60 (2H, t, J = 7.6Hz), 2.85-3.20 (10 H, m), 3.18 (2H, t, J = 8.4Hz), 3.89 (3H, s), 3.99 (2H, t, J = 8.4Hz), 7.08 (2H, s), 7.18 (1H, d, J = 8.8Hz), 7.47 (1H, dd, J = 8.6, 2.2Hz), 7.63 (1H, d, J = 2.2Hz), 7.74 (2H, s), 8.85-9.05 (2H, br).
원소 분석 C25H31N3O5S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55.60; H, 6.35; N, 7.78.
실험값: C, 55.51; H, 6.50; N, 7.46.
실시예 8
8-(5-[[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0
참고예 26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4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10 (3H, d, J = 6.2Hz), 1.60-1.90 (4H, m), 2.59 (2H, t, J = 7.6Hz), 2.80-3.20 (9 H, m), 3.18 (2H, t, J = 8.4Hz), 3.80 (3H, s), 3.99 (2H, t, J = 8.4Hz), 6.80-7.60 (4H, m), 7.73 (2H, s), 8.90-9.25 (2H, br).
원소 분석 C26H32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5.74; H, 7.43; N, 5.90.
실험값: C, 65.44; H, 7.09; N, 5.72.
실시예 9
8-[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1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800 mg), N-메틸-N-(2-페닐에틸)아민(0.438 ㎖) 및 탄산칼륨(830 mg)의 톨루엔(10 ㎖) 혼합액을 교반 하에 12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에 물(15 ㎖) 및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519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65 (2H, m), 1.74 (2H, tt, J = 7.5, 7.5Hz), 2.31 (3H, s), 2.45 (2H, t, J = 7.5Hz), 2.55-2.65 (2H, m), 2.65-2.80 (4H, m), 2.92 (2H, t, J = 7.5Hz), 3.01 (2H, t, J = 8.1Hz), 3.21 (2H, t, J = 8.1Hz), 4.12 (2H, t, J = 8.4Hz), 7.15-7.30 (5H, m), 7.67 (1H, s), 7.72 (1H, s).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519 mg)의 에탄올 용액을 1당량 이상의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539 mg)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5H30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0.32; H, 7.32; N, 6.56.
실험값: C, 70.04; H, 7.56; N, 6.59.
실시예 10
8-[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32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8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65 (2H, m), 1.75 (2H, tt, J = 7.5, 7.5Hz), 2.32 (3H, s), 2.47 (2H, t, J = 7.5Hz), 2.50-2.60 (2H, m), 2.65-2.80 (4H, m), 2.93 (2H, t, J = 7.5Hz), 3.02 (2H, t, J = 8.1Hz), 3.22 (2H, t, J = 8.1Hz), 3.81 (3H, s), 4.13 (2H, t, J = 8.4Hz), 6.84 (1H, d, J = 7.5Hz), 6.88 (1H, d, J = 7.8Hz), 7.10-7.20 (2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6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01; H, 7.35; N, 6.01.
실험값: C, 67.03; H, 7.68; N, 5.97.
실시예 11
8-[5-[[2-(3-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3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32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65 (2H, m), 1.75 (2H, tt, J = 7.5, 7.5Hz), 2.30 (3H, s), 2.45 (2H, t, J = 7.5Hz), 2.55-2.65 (2H, m), 2.65-2.80 (4H, m), 2.92 (2H, t, J = 7.2Hz), 3.01 (2H, t, J = 7.8Hz), 3.21 (2H, t, J = 8.1Hz), 3.78 (3H, s), 4.12 (2H, t, J = 8.4Hz), 6.70-6.80 (3H, m), 7.16 (1H, t, J = 7.8Hz), 7.67 (1H, s), 7.72 (1H, s).
실시예 12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4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33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1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65 (2H, m), 1.74 (2H, tt, J = 7.5, 7.5Hz), 2.34 (3H, s), 2.47 (2H, t, J = 7.5Hz), 2.55-2.65 (2H, m), 2.71 (2H, t, J = 7.5Hz), 2.85-2.95 (4H, m),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1Hz), 4.13 (2H, t, J = 8.4Hz), 7.05-7.35 (4H, m), 7.68 (1H, s), 7.72 (1H, s).
실시예 13
8-[5-[[2-(3-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5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34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0-1.65 (2H, m), 1.73 (2H, tt, J = 7.4, 7.4Hz), 2.29 (3H, s), 2.44 (2H, t, J = 7.4Hz), 2.50-2.80 (6H, m), 2.92 (2H, t, J = 7.2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0-7.20 (4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5H29Cl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2.63; H, 6.73; N, 5.84.
실험값: C, 62.51; H, 6.53; N, 5.70.
실시예 14
8-[5-[[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6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27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4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65 (2H, m), 1.74 (2H, tt, J = 7.5, 7.5Hz), 2.29 (3H, s), 2.44 (2H, t, J = 7.5Hz), 2.55-2.65 (2H, m), 2.65-2.80 (4H, m), 2.92 (2H, t, J = 7.5Hz), 3.01 (2H, t, J = 7.8Hz), 3.22 (2H, t, J = 8.1Hz), 4.12 (2H, t, J = 8.4Hz), 6.80-7.00 (3H, m), 7.15-7.25 (1H, m),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5H29F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6.14; H, 6.88; N, 6.17.
실험값: C, 66.23; H, 6.38; N, 5.74.
실시예 15
8-[5-[에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7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28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6 (3H, t, J = 7.2Hz), 1.56 (2H, tt, J = 7.5, 7.5Hz), 1.73 (2H, tt, J = 7.5, 7.5Hz), 2.50-2.80 (10 H, m), 2.92 (2H, t, J = 7.2Hz), 3.01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10-7.30 (5H, m),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6H32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9.39; H, 7.62; N, 6.23.
실험값: C, 69.50; H, 7.69; N, 6.17.
실시예 16
8-(5-[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8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33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7 (3H, t, J = 7.2Hz), 1.35-1.45 (2H, m), 1.75 (2H, tt, J = 7.5, 7.5Hz), 2.50-2.80 (10 H, m), 2.93 (2H, t, J = 7.2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3.81 (3H, s), 4.13 (2H, t, J = 8.4Hz), 6.84 (1H, d, J = 8.1Hz), 6.88 (1H, d, J = 7.2Hz), 7.10-7.20 (2H, m), 7.68 (1H, s), 7.73 (1H, s).
원소 분석 C27H34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6.31; H, 7.63; N, 5.73.
실험값: C, 66.58; H, 7.36; N, 5.49.
실시예 17
8-(5-[이소프로필[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8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N-이소프로필-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51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1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0 (6H, d, J = 6.6Hz), 1.50-1.60 (2H, m), 1.74 (2H, tt, J = 7.4, 7.4Hz), 2.51 (2H, t, J = 7.5Hz), 2.55-3.05 (11H, m), 3.22 (2H, t, J = 8.4Hz), 3.81 (3H, s), 4.12 (2H, t, J = 8.4Hz), 6.80-6.95 (2H, m), 7.10-7.20 (2H, m), 7.69 (1H, s), 7.73 (1H, s).
실시예 18
8-[5-[[2-(2-클로로페닐)에틸](이소프로필)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 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0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이소프로필아민 (52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0 (6H, d, J = 6.6Hz), 1.50-1.60 (2H, m), 1.73 (2H, tt, J = 7.4, 7.4Hz), 2.51 (2H, t, J = 7.5Hz), 2.55-2.65 (2H, m), 2.71 (2H, t, J = 7.5Hz), 2.80-3.05 (5H, m),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5-7.40 (4H, m), 7.68 (1H, s), 7.72 (1H, s).
실시예 19
8-[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1
참고예 27에서 얻은 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4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83 mg)을 융점 144-14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0-3.25 (12H, m), 3.99 (2H, t, J = 8.4Hz), 7.20-7.40 (5H, m), 7.73 (2H, s), 8.90-9.10 (2H, br).
실시예 20
8-(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2
참고예 28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1.51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4 g)을 융점 105-10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75 (4H, m), 2.59 (2H, t, J = 7.6Hz), 2.85-3.10 (10 H, m), 3.17 (2H, t, J = 8.4Hz), 3.80 (3H, s), 3.99 (2H, t, J = 8.4Hz), 6.91 (1H, t, J = 7.5Hz), 7.00 (1H, d, J = 8.4Hz), 7.15-7.30 (2H, m), 7.73 (2H, s), 8.75-9.00 (2H, br).
원소 분석 C26H32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5.74; H, 7.43; N, 5.90.
실험값: C, 66.09; H, 7.01; N, 5.80.
실시예 21
8-(6-[[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3
참고예 29에서 얻은 2-(3-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56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5 mg)을 융점 136-13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25 (12H, m), 3.75 (3H, s), 3.99 (2H, t, J = 8.4Hz), 6.80-6.85 (3H, m), 7.25 (1H, t, J = 7.8Hz), 7.73 (2H, s),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6H32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5.74; H, 7.43; N, 5.90.
실험값: C, 65.54; H, 7.28; N, 5.80.
실시예 22
8-(6-[[2-(4-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4
참고예 30에서 얻은 2-(4-메톡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 (9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07 mg)을 융점 179-18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5-1.75 (4H, m), 2.59 (2H, t, J = 7.5Hz), 2.80-3.10 (10 H, m), 3.17 (2H, t, J = 8.4Hz), 3.73 (3H, s), 3.98 (2H, t, J = 8.4Hz), 6.89 (2H, d, J = 7.5Hz), 7.18 (2H, d, J = 7.5Hz), 7.73 (2H, s), 8.90-9.10 (2H, br).
원소 분석 C26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01; H, 7.35; N, 6.01.
실험값: C, 67.53; H, 7.40; N, 6.03.
실시예 23
8-(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5
참고예 31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5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8 mg)을 융점 172-17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25 (12H, m), 3.99 (2H, t, J = 8.4Hz), 7.25-7.50 (4H, m), 7.73 (2H, s), 9.05-9.30 (2H, br).
원소 분석 C25H29Cl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3.83; H, 6.64; N, 5.95.
실험값: C, 63.68; H, 6.57; N, 5.80.
실시예 24
8-(6-[[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6
참고예 32에서 얻은 2-(3-플루오로페닐)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61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3 mg)을 융점 182-18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25-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6Hz), 2.85-3.25 (12H, m), 3.99 (2H, t, J = 8.4Hz), 7.00-7.20 (3H, m), 7.30-7.45 (1H, m), 7.73 (2H, s), 9.00-9.20 (2H, br).
실시예 25
8-(6-[[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7
참고예 33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46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 합물(34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10 (3H, d, J = 6.3Hz), 1.25-1.50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5Hz), 2.60-2.80 (1H, m), 2.80-3.40 (10 H, m), 3.80 (3H, s), 3.99 (2H, t, J = 8.4Hz), 6.91 (1H, t, J = 7.2Hz), 7.00 (1H, d, J = 8.4Hz), 7.18 (1H, d, J = 7.2Hz), 7.26 (1H, t, J = 8.4Hz), 7.74 (2H, s),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7H34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55; H, 7.56; N, 5.84.
실험값: C, 67.40; H, 7.55; N, 5.63.
실시예 26
8-[6-[메틸(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8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50 mg)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0.297 ㎖)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26 mg)을 융점 83-8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 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35-1.50 (2H, m), 1.56 (2H, tt, J = 7.5, 7.5Hz), 1.75 (2H, tt, J = 7.5, 7.5Hz), 2.32 (3H, s), 2.44 (2H, t, J = 7.5Hz), 2.55-2.65 (2H, m), 2.71 (2H, t, J = 7.5Hz), 2.75-2.85 (2H, m), 2.91 (2H, t, J = 7.2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15-7.35 (5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6H32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9.39; H, 7.62; N, 6.23.
실험값: C, 69.08; H, 7.41; N, 6.09.
실시예 27
8-[6-[[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399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28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35-1.45 (2H, m), 1.50-1.60 (2H, m), 1.75 (2H, tt, J = 7.5, 7.5Hz), 2.32 (3H, s), 2.43 (2H, t, J = 7.5Hz), 2.50-2.60 (2H, m), 2.71 (2H, t, J = 7.5Hz), 2.75-2.85 (2H, m), 2.91 (2H, t, J = 7.2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3.82 (3H, s), 4.13 (2H, t, J = 8.4Hz), 6.80-6.85 (2H, m), 7.10-7.20 (2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28
8-[6-[[2-(3-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0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28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28 mg)을 융점 116-11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30-1.45 (2H, m), 1.50-1.60 (2H, m), 1.74 (2H, tt, J = 7.5, 7.5Hz), 2.30 (3H, s), 2.42 (2H, t, J = 7.5Hz), 2.55-2.80 (6H, m), 2.91 (2H, t, J = 7.2Hz), 3.01 (2H, t, J = 7.8Hz), 3.21 (2H, t, J = 8.4Hz), 3.78 (3H, s), 4.11 (2H, t, J = 8.4Hz), 6.70-6.85 (3H, m), 7.18 (1H, dt, J = 7.5, 0.9Hz),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7H34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6.31; H, 7.63; N, 5.73.
실험값: C, 66.27; H, 7.49; N, 5.55.
실시예 29
8-[6-[[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1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28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3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5-1.65 (4H, m), 1.75 (2H, quintet, J = 7.4Hz), 2.33 (3H, s), 2.44 (2H, t, J = 7.5Hz), 2.55-2.65 (2H, m), 2.71 (2H, t, J = 7.5Hz), 2.85-2.95 (4H, m),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5-7.40 (4H, m),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6H31Cl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4.46; H, 6.87; N, 5.78.
실험값: C, 64.75; H, 6.70; N, 5.65.
실시예 30
8-[6-[[2-(3-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2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28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5-1.60 (4H, m), 1.74 (2H, tt, J = 7.4, 7.4Hz), 2.29 (3H, s), 2.40 (2H, t, J = 7.5Hz), 2.50-2.80 (6H, m), 2.91 (2H, t, J = 7.5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0-7.40 (4H, m), 7.67 (1H, s), 7.71 (1H, s).
실시예 31
8-[6-[[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3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24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35-1.65 (4H, m), 1.74 (2H, quintet, J = 7.4Hz), 2.29 (3H, s), 2.41 (2H, t, J = 7.5Hz), 2.55-2.65 (2H, m), 2.65-2.80 (4H, m), 2.91 (2H, t, J = 7.5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6.80-7.00 (3H, m), 7.20-7.30 (1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32
8-[6-[에틸(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4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23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5 (3H, t, J = 7.2Hz), 1.30-1.65 (4H, m), 1.75 (2H, tt, J = 7.5, 7.5Hz), 2.51 (2H, t, J = 7.5Hz), 2.61 (2H, q, J = 7.2Hz), 2.65-2.80 (6H, m), 2.91 (2H, t, J = 7.2Hz), 3.02 (2H, t, J = 7.8Hz), 3.23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15-7.30 (5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33
8-(6-[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5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28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07 (3H, t, J = 7.2Hz), 1.30-1.65 (4H, m), 1.76 (2H, tt, J = 7.4, 7.4Hz), 2.40-2.80 (10 H, m), 2.91 (2H, t, J = 7.4Hz),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3.81 (3H, s), 4.13 (2H, t, J = 8.4Hz), 6.80-6.95 (2H, m), 7.10-7.20 (2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34
8-(6-[이소프로필[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6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N-이소프로필-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42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0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0 (6H, d, J = 6.6Hz), 1.30-1.60 (4H, m), 1.75 (2H, tt, J = 7.4, 7.4Hz), 2.47 (2H, t, J = 7.5Hz), 2.55-2.75 (6H, m), 2.85-3.05 (5H, m), 3.21 (2H, t, J = 8.4Hz), 3.81 (3H, s), 4.12 (2H, t, J = 8.4Hz), 6.80-6.90 (2H, m), 7.10-7.20 (2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35
8-[6-[[2-(2-클로로페닐)에틸](이소프로필)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7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이소프로필아민(43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0 (6H, d, J = 6.6Hz), 1.30-1.55 (4H, m), 1.73 (2H, tt, J = 7.4, 7.4Hz), 2.46 (2H, t, J = 7.5Hz), 2.55-2.65 (2H, m), 2.71 (2H, t, J = 7.8Hz), 2.75-3.05 (7 H, m), 3.21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05-7.35 (4H, m), 7.67 (1H, s), 7.72 (1H, s).
실시예 36
8-[5-[(3-페닐프로필)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8
참고예 34에서 얻은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3-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6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43 mg)을 융점 116-11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0-1.80 (4H, m), 1.94 (2H, tt, J = 7.5, 7.5Hz), 2.50-2.70 (4H, m), 2.75-3.05 (8 H, m), 3.17 (2H, t, J = 8.4Hz), 3.99 (2H, t, J = 8.4Hz), 7.15-7.35 (5H, m), 7.73 (2H, s), 8.80-9.10 (2H, br).
원소 분석 C25H30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7.48; H, 7.47; N, 6.30
실험값: C, 67.45; H, 7.71; N, 6.26.
실시예 37
8-[6-[(3-페닐프로필)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09
참고예 35에서 얻은 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3-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90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0 mg)을 융점 132-13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0-1.75 (4H, m), 1.94 (2H, tt, J = 7.5, 7.5Hz), 2.59 (2H, t, J = 7.8Hz), 2.65 (2H, t, J = 7.8Hz), 2.75-3.00 (8 H, m), 3.17 (2H, t, J = 8.4Hz), 3.98 (2H, t, J = 8.4Hz), 7.15-7.35 (5H, m), 7.72 (2H, s), 8.80-9.10 (2H, br).
실시예 38
8-(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0
참고예 36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35 mg)을 융점 169-170℃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1-1.73 (4H, m), 1.88-1.97 (2H, m), 2.76 (2H, t, J = 6Hz), 2.93-3.00 (8 H, m), 3.57 (2H, s), 3.60 (2H, t, J = 6Hz), 3.79 (3H, s), 6.89 (1H, t, J = 7.5Hz) 6.98 (1H, d, J = 7.5Hz), 7.17 (1H, d, J = 7.4Hz), 7.24 (1H, t, J = 7.4Hz), 7.71 (1H, s), 7.75 (1H, s), 9.12 (2H, br s).
IR (KBr) νcm-1: 3418, 2951, 2771, 1708, 1670, 1604, 1498, 1343, 1251, 1150.
원소 분석 C25H30N2O3ㆍHCl로서
계산값: C, 67.78; H, 7.05; N, 6.32.
실험값: C, 67.45; H, 7.01; N, 6.27.
실시예 39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1
참고예 37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85 mg)을 융점 179-180℃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6-1.72 (4H, m), 1.88-1.94 (2H, m), 2.76 (2H, t, J = 6Hz), 2.96-3.01 (4H, m), 3.11-3.15 (4H, m), 3.57 (2H, s), 3.60 (2H, t, J = 6Hz), 7.27-7.34 (2H, m), 7.38-7.41 (1H, m), 7.44-7.46 (1H, m), 7.71 (1H, s), 7.75 (1H, s), 9.25 (2H, br s).
IR (KBr) νcm-1: 3424, 2952, 2772, 1709, 1666, 1602, 1499, 1341, 1149.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HCl로서
계산값: C, 64.43; H, 6.31; N, 6.26.
실험값: C, 64.08; H, 6.36; N, 5.96.
실시예 40
8-[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2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7 mg)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3-1.61 (2H, m), 1.71-1.78 (2H, m), 2.00-2.06 (2H, m), 2.30 (3H, s), 2.45 (2H, t, J = 7.4Hz), 2.58-2.62 (2H, m), 2.75-2.83 (4H, m), 2.93 (2H, t, J = 7.4Hz), 3.54 (2H, s), 3.74 (2H, t, J = 6Hz), 7.16-7.29 (5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3, 1151.
실시예 41
8-(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3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292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36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30 mg)을 W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5-1.63 (2H, m), 1.72-1.79 (2H, m), 2.00-2.06 (2H, m), 2.32 (3H, s), 2.47 (2H, t, J = 7.5Hz), 2.56-2.60 (2H, m), 2.77-2.83 (4H, m), 2.94 (2H, t, J = 7.5Hz), 3.54 (2H, s), 3.74 (2H, t, J = 6Hz), 3.81 (3H, s), 6.83-6.89 (2H, m), 7.12-7.19 (2H, m), 7.74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6, 1672, 1603, 1495, 1343, 1243, 1152.
실시예 42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 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4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6-1.64 (2H, m), 1.71-1.79 (2H, m), 2.00-2.07 (2H, m), 2.36 (3H, s), 2.50 (2H, t, J = 7.5Hz), 2.61-2.67 (2H, m), 2.82 (2H, t, J = 6Hz), 2.90-2.95 (4H, m), 3.55 (2H, s), 3.74 (2H, t, J = 6Hz), 7.11-7.25 (3H, m), 7.32 (1H, dd, J = 5.5, 2Hz) 7.74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6, 1672, 1604, 1496, 1343, 1151.
실시예 43
8-[5-[[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 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5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2-1.60 (2H, m), 1.72-1.78 (2H, m), 2.00-2.08 (2H, m), 2.29 (3H, s), 2.44 (2H, t, J = 7.5Hz), 2.58-2.62 (2H, m), 2.74-2.78 (2H, m), 2.82 (2H, t, J = 6Hz), 2.93 (2H, t, J = 7Hz), 3.55 (2H, s), 3.74 (2H, t, J = 6Hz), 6.85-6.93 (2H, m), 6.96 (1H, d, J = 7.5Hz), 7.20-7.25 (1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7, 1673, 1604, 1496, 1343, 1151.
실시예 44
8-[5-[에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 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6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5 (3H, t, J = 7Hz), 1.54-1.59 (2H, m), 1.70-1.78 (2H, m), 2.00-2.06 (2H, m), 2.54 (2H, t, J = 7Hz), 2.61 (2H, q, J = 7Hz), 2.68-2.75 (4H, m), 2.82 (2H, t, J = 6Hz), 2.92 (2H, t, J = 6Hz), 3.54 (2H, s), 3.74 (2H, t, J = 6Hz), 7.16-7.19 (3H, m) 7.25-7.30 (2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1, 1603, 1496, 1342, 1150.
실시예 45
8-(5-[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 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7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4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7 (3H, t, J = 7Hz), 1.57-1.62 (2H, m), 1.71-1.79 (2H, m), 1.99-2.06 (2H, m), 2.57 (2H, t, J = 7Hz), 2.62 (2H, q, J = 7Hz), 2.66-2.70 (2H, m), 2.73-2.78 (2H, m), 2.82 (2H, t, J = 6Hz), 2.93 (2H, t, J = 6Hz), 3.54 (2H, s), 3.74 (2H, t, J = 6Hz), 3.81 (3H, s), 6.83-6.89 (3H, m), 7.11-7.19 (2H, m), 7.74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7, 1672, 1602, 1494, 1342, 1243, 1150.
실시예 46
8-[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 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8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50 mg) 및 2-페닐에틸아민(36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2 (2H, m), 1.49-1.56 (2H, m), 1.60 (1H, br s), 1.69-1.77 (2H, m), 2.00-2.06 (2H, m), 2.63 (2H, t, J = 7.4Hz), 2.75-2.97 (8 H, m), 3.54 (2H, s), 3.74 (2H, t, J = 6Hz), 7.18-7.31 (5H, m), 7.72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6, 1672, 1604, 1496, 1343, 1150.
실시예 47
8-(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19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3 (2H, m), 1.49-1.57 (3H, m), 1.70-1.77 (2H, m), 2.00-2.06 (2H, m), 2.64 (2H, t, J = 7.4Hz), 2.80-2.83 (6H, m), 2.90 (2H, t, J = 7.4Hz), 3.54 (2H, s), 3.73 (2H, t, J = 6Hz), 3.81 (3H, s), 6.86 (1H, t, J = 8.3Hz), 6.89 (1H, d, J = 7.3Hz), 7.13-7.21 (2H, m), 7.72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5, 1672, 1603, 1495, 1343, 1242, 1150.
실시예 48
8-(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0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5 (2H, m), 1.51-1.58 (2H, m), 1.56 (1H, br s), 1.71-1.78 (2H, m), 2.00-2.07 (2H, m), 2.66 (2H, t, J = 7.5Hz), 2.82 (2H, t, J = 6Hz), 2.85-2.98 (6H, m), 3.55 (2H, s), 3.74 (2H, t, J = 6Hz), 7.13-7.25 (3H, m), 7.34 (1H, dd, J = 7, 2Hz),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5, 1671, 1604, 1496, 1343, 1150.
실시예 49
8-[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 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1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2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2 (2H, m), 1.50-1.58 (2H, m), 1.71-1.78 (2H, m), 2.00-2.06 (2H, m), 2.30 (3H, s), 2.41 (2H, t, J = 7Hz), 2.58-2.62 (2H, m), 2.75-2.83 (4H, m), 2.91 (2H, t, J = 7Hz), 3.54 (2H, s), 3.73 (2H, t, J = 6Hz), 7.16-7.29 (5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3, 1151.
실시예 50
8-(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2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5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3 (2H, m), 1.51-1.59 (2H, m), 1.71-1.79 (2H, m), 2.00-2.06 (2H, m), 2.31 (3H, s), 2.42 (2H, t, J = 7.5Hz), 2.55-2.59 (2H, m), 2.76-2.83 (4H, m), 2.92 (2H, t, J = 7.5Hz), 3.54 (2H, s), 3.73 (2H, t, J = 6Hz), 3.81 (3H, s), 6.83-6.89 (2H, m), 7.12-7.19 (2H, m), 7.74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5, 1672, 1603, 1495, 1343, 1242, 1150.
실시예 51
8-(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3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5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3 (2H, m), 1.51-1.58 (2H, m), 1.71-1.79 (2H, m), 2.00-2.06 (2H, m), 2.33 (3H, s), 2.44 (2H, t, J = 7.5Hz), 2.58-2.62 (2H, m), 2.82 (2H, t, J = 6Hz), 2.88-2.94 (4H, m), 3.54 (2H, s), 3.74 (2H, t, J = 6Hz), 7.11-7.24 (3H, m), 7.32 (1H, dd, J = 5.5, 2Hz),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3, 1151.
실시예 52
8-(6-[[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4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2 (2H, m), 1.49-1.57 (2H, m), 1.71-1.78 (2H, m), 2.00-2.07 (2H, m), 2.29 (3H, s), 2.40 (2H, t, J = 7.5Hz), 2.57-2.61 (2H, m), 2.74-2.79 (2H, m), 2.84 (2H, t, J = 6Hz), 3.54 (2H, s), 3.74 (2H, t, J = 6Hz), 6.85-6.91 (2H, m), 6.97 (1H, d, J = 7.5Hz), 7.20-7.25 (1H, m), 7.74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7, 1672, 1604, 1496, 1343, 1150.
실시예 53
8-[6-[에틸(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5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37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5 (3H, t, J = 7Hz), 1.36-1.42 (2H, m), 1.49-1.56 (2H, m), 1.71-1.79 (2H, m), 2.00-2.06 (2H, m), 2.50 (2H, t, J = 7.5Hz), 2.61 (2H, q, J = 7Hz), 2.67-2.76 (4H, m), 2.82 (2H, t, J = 6Hz), 2.91 (2H, t, J = 6Hz), 3.54 (2H, s), 3.73 (2H, t, J = 6Hz), 7.16-7.19 (3H, m), 7.25-7.29 (2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2, 1150.
실시예 54
8-(6-[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6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6 (3H, t, J = 7Hz), 1.37-1.43 (2H, m), 1.51-1.59 (2H, m), 1.72-1.80 (2H, m), 2.00-2.06 (2H, m), 2.52 (2H, t, J = 7.5Hz), 2.61 (2H, q, J = 7Hz), 2.66-2.69 (2H, m), 2.72-2.77 (2H, m), 2.82 (2H, t, J = 6Hz), 2.92 (2H, t, J = 6Hz), 3.54 (2H, s), 3.73 (2H, t, J = 6Hz), 3.81 (3H, s), 6.83-6.89 (2H, m), 7.11-7.19 (2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718, 1673, 1603, 1495, 1342, 1242, 1150.
실시예 55
8-(6-[이소프로필[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7
참고예 4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50 mg) 및 N-이소프로필-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42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0 (6H, d, J = 6.3Hz), 1.36-1.42 (2H, m), 1.48-1.55 (2H, m), 1.71-1.78 (2H, m), 1.99-2.05 (2H, m), 2.46 (2H, t, J = 7.3Hz), 2.56-2.60 (2H, m), 2.69-2.73 (2H, m), 2.81 (2H, t, J = 6Hz), 2.91 (2H, t, J = 7.3Hz), 2.99 (1H, q, J = 6.3Hz), 3.53 (2H, s), 3.72 (2H, t, J = 6Hz), 3.81 (3H, s), 6.82-6.88 (2H, m), 7.10-7.18 (2H, m), 7.73 (2H, s).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713, 1674, 1603, 1495, 1344, 1243, 1150.
실시예 56
9-[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8
참고예 38에서 얻은 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9-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1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64 mg)을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71-1.85 (4H, m), 1.98-2.02 (2H, m), 2.69 (2H, t, J = 7Hz), 2.90 (2H, t, J = 6Hz), 3.00 (2H, t, J = 7Hz), 3.04-3.08 (2H, m), 3.10-3.14 (4H, m), 3.28-3.32 (2H, m), 3.90 (2H, t, J = 6Hz), 4.88 (2H, s), 7.29-7.41 (5H, m), 7.74 (2H, d, J = 4Hz).
IR (neat) νcm-1: 3427, 1670, 1604, 1484, 1366, 1298, 1165.
실시예 57
9-(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29
참고예 39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1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15 mg)을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71-1.78 (4H, m), 1.85-1.91 (2H, m), 2.57 (2H, t, J = 7Hz), 2.79 (2H, t, J = 7Hz), 2.88 (2H, t, J = 7Hz), 2.96-3.03 (6H, m), 3.17 (2H, t, J = 7Hz), 3.77 (2H, t, J = 7.5Hz), 3.81 (3H, s), 4.79 (2H, s), 6.87 (1H, t, J = 7Hz), 6.93 (1H, d, J = 8Hz), 7.17 (1H, d, J = 7Hz), 7.22 (1H, t, J = 7Hz), 7.64 (2H, d, J = 4Hz).
IR (neat) νcm-1: 3431, 1671, 1603, 1496, 1439, 1366, 1247, 1165.
실시예 58
9-(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 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0
참고예 40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38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5 mg)을 융점 108-10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2 (4H, m), 1.81-1.87 (2H, m), 2.56 (2H, t, J = 6Hz), 2.79 (2H, t, J = 6Hz), 2.90 (2H, t, J = 7Hz), 2.92-3.02 (4H, m), 3.05-3.16 (4H, m), 3.75 (2H, t, J = 6Hz), 7.24-7.35 (2H, m), 7.39 (1H, dd, J = 7, 2Hz), 7.45 (1H, dd, J = 7, 2Hz), 7.66 (2H, s), 9.18 (2H, s).
IR (KBr) νcm-1: 3429, 2948, 1671, 1603, 1363, 1338, 1165.
실시예 59
9-[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1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1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3-1.61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31 (3H, s), 2.45 (2H, t, J = 7.4Hz), 2.59-2.63 (2H, m), 2.66-2.69 (2H, m), 2.75-2.79 (2H, m), 2.84 (2H, t, J = 6Hz), 2.91-2.95 (4H, m), 3.89 (2H, t, J = 6Hz), 7.17-7.29 (5H, m),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6, 1604, 1590, 1484, 1361, 1339, 1161.
실시예 60
9-[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2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5-1.62 (2H, m), 1.71-1.79 (2H, m), 1.93-1.99 (2H, m), 2.32 (3H, s), 2.46 (2H, t, J = 7.4Hz), 2.56-2.60 (2H, m), 2.68 (2H, t, J = 6Hz), 2.77-2.80 (2H, m), 2.84 (2H, t, J = 6Hz), 2.91-2.95 (4H, m), 3.81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12-7.19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4, 1603, 1494, 1361, 1339, 1243, 1160.
실시예 61
9-[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3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8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2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32 (3H, s), 2.48 (2H, t, J = 7Hz), 2.59-2.63 (2H, m), 2.67 (2H, t, J = 6Hz), 2.84 (2H, t, J = 6Hz), 2.88-2.96 (6H, m), 3.89 (2H, t, J = 6Hz), 7.11-7.24 (3H, m), 7.32 (1H, d, d, J = 5, 2Hz),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3, 1604, 1483, 1438, 1361, 1159.
실시예 62
9-[5-[에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4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5 (3H, t, J = 7Hz), 1.52-1.60 (2H, m), 1.70-1.77 (2H, m), 1.95-1.99 (2H, m), 2.55 (2H, t, J = 7Hz), 2.61 (2H, q, J = 7Hz), 2.65-2.77 (6H, m), 2.84 (2H, t, J = 6Hz), 2.89-2.97 (4H, m), 3.89 (2H, t, J = 6Hz), 7.16-7.19 (3H, m), 7.25-7.30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5, 1604, 1484, 1361, 1299, 1160.
실시예 63
9-(5-[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5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7 (3H, t, J = 7Hz), 1.55-1.62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56 (2H, t, J = 7.5Hz), 2.62 (2H, q, J = 7Hz), 2.66-2.69 (4H, m), 2.73-2.78 (2H, m), 2.84 (2H, t, J = 6Hz), 2.93 (4H, t, J = 6Hz), 3.81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11-7.19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4, 1603, 1494, 1361, 1339, 1243, 1160.
실시예 64
9-[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6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2 (2H, m), 1.49-1.56 (3H, m), 1.69-1.77 (2H, m), 1.93-1.99 (2H, m), 2.61-2.69 (4H, m), 2.78-2.95 (10 H, m), 3.89 (2H, t, J = 6Hz), 7.18-7.31 (5H, m),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5, 1604, 1484, 1437, 1362, 1339, 1161.
실시예 65
9-(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7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4 (2H, m), 1.50-1.57 (3H, m), 1.70-1.77 (2H, m), 1.92-1.99 (2H, m), 2.62-2.69 (4H, m), 2.82-2.85 (6H, m), 2.89-2.96 (4H, m), 3.81 (3H, s), 3.89 (2H, t, J = 6Hz), 6.85 (1H, d, J = 8.3Hz), 6.89 (1H, d, J = 7.4Hz), 7.14-7.20 (2H, m),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3, 1603, 1494, 1362, 1339, 1243, 1160.
실시예 66
9-(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 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8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8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3 (2H, m), 1.51-1.58 (3H, m), 1.71-1.78 (2H, m), 1.95-2.00 (2H, m), 2.65-2.70 (4H, m), 2.84 (2H, t, J = 7.5Hz), 2.86-2.96 (8 H, m), 3.89 (2H, t, J = 6Hz), 7.13-7.25 (3H, m), 7.34 (1H, dd, J = 7, 2Hz),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3, 1603, 1483, 1361, 1159.
실시예 67
9-[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39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2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3 (2H, m), 1.51-1.58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30 (3H, s), 2.41 (2H, t, J = 7Hz), 2.58-2.62 (2H, m), 2.67 (2H, t, J = 6Hz), 2.75-2.79 (2H, m), 2.84 (2H, t, J = 6Hz), 2.89-2.95 (4H, m), 3.89 (2H, t, J = 6Hz), 7.18-7.29 (5H, m),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6, 1604, 1590, 1484, 1361, 1338, 1161.
실시예 68
9-(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0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5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3 (2H, m), 1.51-1.58 (2H, m), 1.71-1.79 (2H, m), 1.93-1.99 (2H, m), 2.32 (3H, s), 2.42 (2H, t, J = 7Hz), 2.55-2.59 (2H, m), 2.67 (2H, t, J = 6Hz), 2.76-2.80 (2H, m), 2.83 (2H, t, J = 6Hz), 2.90-2.95 (4H, m), 3.81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12-7.19 (2H, m), 7.61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6, 1603, 1589, 1494, 1361, 1243, 1161.
실시예 69
9-[6-[[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1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72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3 (2H, m), 1.51-1.59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33 (3H, s), 2.44 (2H, t, J = 7.5Hz), 2.58-2.62 (2H, m), 2.68 (2H, t, J = 6Hz), 2.84 (2H, t, J = 6Hz), 2.88-2.99 (6H, m), 3.89 (2H, t, J = 6Hz), 7.11-7.24 (3H, m), 7.32 (1H, d, d, J = 5, 2Hz),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4, 1604, 1438, 1360, 1299, 1159.
실시예 70
9-[6-[[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2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2 (2H, m), 1.49-1.55 (2H, m), 1.70-1.78 (2H, m), 1.93-1.99 (2H, m), 2.29 (3H, s), 2.40 (2H, t, J = 7.5Hz), 2.58-2.62 (2H, m), 2.68 (2H, t, J = 6Hz), 2.74-2.78 (2H, m), 2.85 (2H, t, J = 6Hz), 2.89-2.96 (4H, m), 3.89 (2H, t, J = 6Hz), 6.86-6.92 (2H, m), 6.97 (1H, d, J = 7.5Hz), 7.20-7.25 (1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6, 1604, 1589, 1486, 1361, 1339, 1161.
실시예 71
9-[6-[에틸(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3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에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8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5 (3H, t, J = 7Hz), 1.34-1.42 (2H, m), 1.49-1.56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50 (2H, t, J = 7.5Hz), 2.61 (2H, q, J = 7Hz), 2.66-2.77 (6H, m), 2.84 (2H, t, J = 6Hz), 2.89-2.95 (4H, m), 3.89 (2H, t, J = 6Hz), 7.16-7.20 (3H, m), 7.25-7.29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6, 1603, 1589, 1494, 1361, 1243, 1161.
실시예 72
9-(6-[에틸[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4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에틸-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7 (3H, t, J = 7Hz), 1.37-1.43 (2H, m), 1.51-1.59 (2H, m), 1.72-1.79 (2H, m), 1.93-1.99 (2H, m), 2.52 (2H, t, J = 7.5Hz), 2.62 (2H, q, J = 7Hz), 2.66-2.69 (4H, m), 2.72-2.82 (2H, m), 2.85 (2H, t, J = 6Hz), 2.92 (4H, t, J = 6Hz), 3.81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11-7.19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KBr) νcm-1: 1675, 1603, 1493, 1361, 1242, 1159.
실시예 73
9-(6-[이소프로필[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5
참고예 6에서 얻은 9-(6-브로모헥사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N-이소프로필-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7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00 (6H, d, J = 6.3Hz), 1.36-1.42 (2H, m), 1.48-1.54 (2H, m), 1.71-1.78 (2H, m), 1.93-1.99 (2H, m), 2.47 (2H, t, J = 7.3Hz), 2.57-2.60 (2H, m), 2.65-2.74 (4H, m), 2.82-2.85 (2H, m), 2.89-2.95 (4H, m), 2.98 (1H, q, J = 6.3Hz), 3.81 (3H, s), 3.89 (2H, t, J = 6Hz), 6.82-6.88 (2H, m), 7.11-7.19 (2H, m), 7.62 (2H, d, J = 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6, 1604, 1494, 1360, 1243, 1162.
실시예 74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6
참고예 7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7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7 mg)을 융점 175-17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8-1.72 (4H, m), 2.18 (3H, s), 2.90-3.05 (8 H, m), 3.17 (2H, t, J = 8.5Hz), 3.79 (3H, s), 4.14 (2H, t, J = 8.5Hz), 6.90 (1H, t, J = 7.5Hz), 6.99 (1H, d, J = 7.5Hz), 7.16 (1H, d, J = 7.5Hz), 7.24 (1H, t, J = 8.3Hz), 7.82-7.85 (2H, m), 8.08 (1H, d, J = 8.3Hz), 8.91 (2H, br s).
IR (KBr) νcm-1: 2955, 2789, 1680, 1661, 1603, 1496, 1441, 1440, 1255.
실시예 75
6-(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7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6 (4H, s), 2.93-3.02 (8 H, m), 3.80 (3H, s), 4.69 (2H, s), 6.89-6.94 (1H, m), 6.99-7.07 (2H, m), 7.18 (1H, d, J = 6.3Hz), 7.23-7.28 (1H, m), 7.52 (1H, d, J = 2.1Hz), 7.63 (1H, dd, J = 8.6, 2.1Hz), 8.98 (2H, br s), 10.94 (1H, s).
MS m/z: 383 [M+H]+
실시예 76
8-[5-(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8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 0 mg) 및 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33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07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5-1.80 (6H, m), 2.39 (2H, t, J = 7.4Hz), 2.71 (2H, t, J = 7.6Hz), 2.80-3.30 (10 H, m), 3.88 (2H, s), 4.12 (2H, t, J = 8.4Hz), 7.00-7.20 (4H, m), 7.65 (1H, s), 7.69 (1H, s).
실시예 77
8-[5-(7-메톡시-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4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7-메톡시-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30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4 mg)을 융점 167-16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5-1.80 (6H, m), 2.38 (2H, t, J = 7.4Hz), 2.71 (2H, t, J = 7.6Hz), 2.80-3.15 (8 H, m), 3.21 (2H, t, J = 8.4Hz), 3.78 (3H, s), 3.84 (2H, s), 4.13 (2H, t, J = 8.4Hz), 6.61 (1H, dd, J = 8.0, 2.6Hz), 6.69 (1H, d, J = 2.6Hz), 7.02 (1H, d, J = 8.4Hz), 7.66 (1H, s), 7.70 (1H, s).
실시예 78
8-[6-(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0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25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63 mg)을 융점 195-19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85 (8 H, m), 2.35 (2H, t, J = 7.4Hz), 2.71 (2H, t, J = 7.6Hz), 2.80-3.00 (4H, m), 3.02 (2H, t, J = 7.6Hz), 3.11 (2H, t, J = 5.4Hz), 3.22 (2H, t, J = 8.4Hz), 3.88 (2H, s), 4.13 (2H, t, J = 8.4Hz), 7.00-7.20 (4H, m), 7.66 (1H, s), 7.70 (1H, s).
원소 분석 C27H32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0.58; H, 7.34; N, 6.18.
실험값: C, 70.16; H, 7.32; N, 6.08.
실시예 79
8-[6-(7-메톡시-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1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7-메톡시-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25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4-1.80 (8 H, m), 2.34 (2H, t, J = 7.4Hz), 2.71 (2H, t, J = 7.6Hz), 2.80-3.15 (8 H, m), 3.22 (2H, t, J = 8.4Hz), 3.78 (3H, s), 3.84 (2H, s), 4.13 (2H, t, J = 8.4Hz), 6.61 (1H, dd, J = 8.0, 2.6Hz), 6.69 (1H, d, J = 2.6Hz), 7.02 (1H, d, J = 8.4Hz), 7.66 (1H, s), 7.70 (1H, s).
실시예 80
8-[5-(1,3-디하이드로-2H-이소인돌-2-일)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2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이소인돌린(269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1 mg)을 융점 219-22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1.95 (4H, m), 2.60-2.80 (4H, m), 2.90-3.05 (4H, m), 3.19 (2H, t, J = 8.4Hz), 3.92 (4H, s), 4.12 (2H, t, J = 8.4Hz), 7.10 (4H, s), 7.69 (1H, s), 7.73 (1H, s).
실시예 81
8-[3-[1-(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3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탄산칼륨(500 mg)의 아세토니트릴(10 ㎖) 현탁액에 (2- 브로모에틸)벤젠(0.22 ㎖)을 실온에서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에 물(15 ㎖) 및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617 mg)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CDCl3) δ 1.20-1.50(3H, m), 1.60-1.85(4H, m), 1.90-2.10(2H, m), 2.50-3.10(12H, m), 3.21(2H, t, J = 8.4Hz), 4.12(2H, t, J = 8.4Hz), 7.10-7.35(5H, m), 7.68(1H, s), 7.72(1H, s).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610 mg)의 에탄올 용액을 1당량 이상의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9-22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7H32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1.58; H, 7.34; N, 6.18.
실험값: C, 71.27; H, 7.13; N, 6.20.
실시예 82
8-(3-[1-[2-(2-메틸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 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4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1-(2-브로모에틸)-2-메틸벤젠(43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624 mg)을 융점 215-21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50 (3H, m), 1.55-1.85 (4H, m), 1.90-2.20 (2H, m), 2.33 (3H, s), 2.45-2.60 (2H, m), 2.65-3.10 (10 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13 (4H, s),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70.64; H, 7.62; N, 5.88.
실험값: C, 70.24; H, 7.66; N, 5.81.
실시예 83
8-(3-[1-[2-(2-플루오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 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5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1-(2-브로모에틸)-2-플루오로벤젠(36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0 mg)을 융점 210-21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55-2.10 (6H, m), 2.50-3.10 (12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6.95-7.30 (4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1F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56; H, 6.93; N, 5.84.
실험값: C, 67.92; H, 6.68; N, 5.79.
실시예 84
8-(3-[1-[2-(3-플루오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6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2-브로모에틸)-3-플루오로벤젠(36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1 mg)을 융점 225-22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50 (3H, m), 1.60-1.85 (4H, m), 1.90-2.10 (2H, m), 2.50-3.10 (12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6.80-7.00 (3H, m), 7.15-7.30 (1H, m), 7.68 (1H, s), 7.72 (1H, s).
실시예 85
8-(3-[1-[2-(3-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7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2-브로모에틸)-3-클로로벤젠(39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9 mg)을 융점 223-22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50 (3H, m), 1.60- 1.85 (4H, m), 1.90-2.10 (2H, m), 2.45-3.10 (12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00-7.30 (4H, m), 7.68 (1H, s), 7.73 (1H, s).
원소 분석 C27H31Cl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4.16; H, 6.78; N, 5.54.
실험값: C, 63.92; H, 6.75; N, 5.52.
실시예 86
8-[3-[1-(2,3-디하이드로-1H-인덴-2-일)-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8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2,3-디하이드로-1H-인덴-2-일(42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26 mg)을 융점 290℃(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0-1.40 (3H, m), 1.45-1.80 (4H, m), 1.85-2.00 (2H, m), 2.61 (2H, t, J = 7.6Hz), 2.70-3.20 (13H, m), 4.03 (2H, t, J = 8.4Hz), 7.00-7.15 (4H, m), 7.57 (1H, s), 7.62 (1H, s).
원소 분석 C28H32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70.94; H, 7.23; N, 5.91.
실험값: C, 71.19; H, 6.97; N, 5.71.
실시예 87
8-[3-[1-(3-페닐프로필)-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59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3-브로모프로필)벤젠(0.245 ㎖)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88 mg)을 융점 173-17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60-2.00 (8 H, m), 2.35 (2H, t, J = 7.6Hz), 2.61 (2H, t, J = 8.0Hz), 2.70 (2H, t, J = 8.4Hz), 2.80-2.95 (4H, m), 3.01 (2H, t, J = 8.0Hz), 3.21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05-7.35 (5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8H34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2.01; H, 7.55; N, 6.00.
실험값: C, 71.68; H, 7.50; N, 5.73.
실시예 88
8-[3-[1-(2-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0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브로모에톡시)벤젠(0.222 ㎖)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90 mg)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60-1.85 (4H, m), 2.00-2.25 (2H, m), 2.71 (2H, t, J = 7.6Hz), 2.80 (2H, t, J = 6.2Hz), 2.85-3.10 (6H, m), 3.22 (2H, t, J = 8.4Hz), 4.00-4.20 (4H, m), 6.85-7.00 (3H, m), 7.20-7.35 (2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7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84; H, 7.17; N, 5.86.
실험값: C, 68.10; H, 7.22; N, 5.83.
실시예 89
8-(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1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2-브로모에톡시)-2-에톡시벤젠(41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83 mg)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50 (6H, m), 1.60-1.80 (4H, m), 2.00-2.25 (2H, m), 2.71 (2H, t, J = 7.6Hz), 2.80-3.15 (8 H, m), 3.22 (2H, t, J = 8.4Hz), 4.00-4.20 (6H, m), 6.85-6.95 (4H, m),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9H36N2O4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6.72; H, 7.34; N, 5.37.
실험값: C, 66.75; H, 7.26; N, 5.28.
실시예 90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 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2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34-23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1.79 (4H, m), 2.83 (3H, d, J = 4.8Hz), 3.04-3.30 (8 H, m), 7.03 (1H, d, J = 8.4Hz), 7.31-7.50 (5H, m), 7.69 (1H, dd, J = 8.3, 1.7Hz), 10.46 (1H, br s), 10.96 (1H, s), 11.10 (1H, s).
원소 분석 C21H24ClN3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8.47; H, 6.08; N, 9.74.
실험값: C, 58.49; H, 6.05; N, 9.51.
MS m/z: 386 [M+H]+
실시예 91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 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3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2-14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4-1.83 (4H, m), 2.42 (3H, s), 2.54-2.74 (4H, m), 2.93-3.02 (4H, m), 3.46 (3H, s), 3.47 (3H, s), 6.99 (1H, d, J = 8.4Hz), 7.13-7.35 (4H, m), 7.63 (1H, d, J = 1.2Hz), 7.79 (1H, dd, J = 8.2, 1.6Hz).
MS m/z: 414 [M+H]+
실시예 92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4
참고예 48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8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20 m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0-1.73(4H, m), 2.18(3H, s), 2.90-3.01(6H, m), 3.05-3.10(2H, m), 3.16(2H, t, J = 8.4Hz), 4.13(2H, t, J = 8.4Hz), 7.21-7.34(5H, m), 7.81(1H, s), 7.82(1H, d, J = 8Hz), 8.08(1H, t, J = 8Hz), 9.21(2H, br.s).
IR (KBr) νcm-1: 3438, 2783, 1679, 1662, 1604, 1495, 1440, 1401, 1334, 1260.
실시예 93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5
참고예 49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3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 제 화합물(175 mg)을 융점 185-18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3-1.74(4H, m), 2.17(3H, s), 2.92-3.01(4H, m), 3.08-3.18(6H, m), 4.13(2H, t, J = 8Hz), 7.26-7.34(2H, m), 7.39(1H, d, d, J = 7, 2Hz), 7.44(1H, d, d, J = 7, 2Hz), 7.81(1H, s), 7.82(1H, d, J = 8Hz), 8.07(1H, d, J = 8Hz), 9.35(2H, s).
IR (KBr) νcm-1: 3434, 2947, 2782, 1683, 1660, 1441, 1403, 1335, 1259.
실시예 94
1-(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6
참고예 50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45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30 mg)을 융점 164-16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8-1.72(4H, m), 2.93(6H, t, J = 7Hz), 2.99-3.03(2H, m), 3.05(2H, t, J = 8.2Hz), 3.60(2H, t, J = 8.2Hz), 3.78(3H, s), 6.81(1H, d, J = 8Hz), 6.89(1H, t, J = 7Hz), 6.98(1H, d, J = 7Hz), 7.17(1H, d, J = 7Hz), 7.24(1H, t, J = 7Hz), 7.74(1H, d, J = 8Hz), 7.75(1H, s), 9.06(4H, br.s).
IR (KBr) νcm-1: 3429, 2950, 2781, 2460, 1694, 1497, 1247.
실시예 95
1-(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7
참고예 51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06 mg)을 융점 150-15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0-1.67(4H, m), 2.80(3H, s), 2.85-3.01(10 H, m), 3.44(2H, t, J = 8.4Hz), 3.78(3H, s), 6.46(1H, d, J = 8.3Hz), 6.89(1H, t, J = 7.4Hz), 6.98(1H, d, J = 8.3Hz), 7.16(1H, d, J = 7.4Hz), 7.23(1H, t, J = 8.3Hz), 7.60(1H, s), 7.72(1H, d, J = 8.3Hz), 9.10(3H, br.s).
IR (KBr) νcm-1: 3436, 2583, 2424, 1675, 1600, 1494, 1464, 1249, 1032, 760.
실시예 96
1-(1-에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8
참고예 52에서 얻은 5-(1-에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6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5 mg)을 융점 131-13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8(3H, t, J = 7.2Hz), 1.61-1.69(4H, m), 2.84-3.01(10 H, m), 3.23(2H, q, J = 7.2Hz), 3.48(2H, t, J = 8.4Hz), 3.78(3H, s), 6.45(1H, d, J = 8.4Hz), 6.89(1H, t, J = 7Hz), 6.98(1H, d, J = 8.4Hz), 7.16(1H, d, J = 7Hz), 7.23(1H, t, J = 8.4Hz), 7.59(1H, s), 7.70(1H, d, J = 8.4Hz), 9.11(3H, br).
IR (KBr) νcm-1: 3426, 2777, 2458, 1697, 1602, 1496, 1442, 1317, 1248, 1051, 763.
실시예 97
1-[1-(3-하이드록시프로필)-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 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69
참고예 53에서 얻은 5-[1-(3-하이드록시프로필)-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68-1.79(4H, m), 1.84(2H, t, J = 7.4Hz), 1.90-1.99(2H, m), 2.92-3.18(8 H, m), 3.35(2H, t, J = 6Hz), 3.57-3.70(4H, m), 3.82(3H, s), 4.82(4H, s), 6.63(1H, d, J = 8Hz), 6.88(1H, t, J = 7Hz), 6.95(1H, d, J = 8Hz), 7.16(1H, d, J = 7.4Hz), 7.23(1H, t, J = 7.4Hz), 7.69(1H, s), 7.79(1H, d, J = 7Hz).
IR (neat) νcm-1: 3402, 2920, 1693, 1602, 1496, 1443, 1247, 760.
실시예 98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돌-1- 일]아세트산에틸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0
참고예 54에서 얻은 [5-(5-[(tert-부톡시카르보닐)[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돌-1-일]아세트산에틸(27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5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26(3H, t, J = 7Hz), 1.70-1.80(4H, m), 2.96-3.21(10 H, m), 3.82-3.85(2H, m), 3.81(3H, s), 3.86(2H, s), 4.18(2H, q, J = 7.2Hz), 4.84(3H, s), 6.37(1H, d, J = 8.34Hz), 6.91(1H, t, J = 7.4Hz), 6.98(1H, d, J = 8.3Hz), 7.20(1H, d, J = 7.4Hz), 7.26(1H, t, J = 8.3Hz), 7.68(1H, s), 7.76(1H, d, J = 8.3Hz).
IR (KBr) νcm-1: 3420, 2774, 1736, 1663, 1603, 1496, 1443, 1248, 1182, 1026, 759.
실시예 99
N-에틸-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인돌린카르복스아 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1
참고예 55에서 얻은 5-[1-[(에틸아미노)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5 mg)을 융점 185-18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08(3H, t, J = 7.3Hz), 1.63-1.70(4H, m), 2.92-3.03(8 H, m), 3.11-3.18(4H, m), 3.79(3H, s), 3.93(2H, t, J = 8.4Hz), 6.87-6.91(2H, m), 6.98(1H, d, J = 8.4Hz), 7.16(1H, d, J = 7.4Hz), 7.24(1H, t, J = 8.4Hz), 7.73(1H, s), 7.76(1H, d, J = 8.4Hz), 7.88(1H, d, J = 8.4Hz), 9.06(2H, s).
IR (KBr) νcm-1: 3315, 2773, 1667, 1604, 1526, 1494, 1442, 1319, 1245, 754.
실시예 100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메 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2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1(2H, m), 1.70-1.78(2H, m), 2.25(3H, s), 2.31(3H, s), 2.46(2H, t, J = 7.5Hz), 2.55-2.59(2H, m), 2.76-2.80(2H, m), 2.94(2H, t, J = 7.3Hz), 3.23(2H, t, J = 8.3Hz), 3.81(3H, s), 4.11(2H, t, J = 8.3Hz), 6.82-6.87(2H, m), 7.12-7.19(2H, m), 7.81-7.84(2H, m), 8.23(1H, d, J = 8.3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3, 1603, 1493, 1440, 1394, 1329, 1244.
실시예 101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클로로페닐)에틸](메 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3
참고예 11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클로로펜탄-1-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1(2H, m), 1.70-1.77(2H, m), 2.24(3H, s), 2.33(3H, s), 2.47(2H, t, J = 6.3Hz), 2.61(2H, t, J = 7Hz), 2.88-2.95(4H, m), 3.22(2H, t, J = 7.5Hz), 4.10(2H, t, J = 7.5Hz), 7.11-7.33(4H, m), 7.79-7.83(2H, m), 8.22(1H, d, J = 8.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3, 1604, 1489, 1440, 1391, 1330, 1256.
실시예 102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4
참고예 12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브로모-1-헥사논(388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37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40 mg)을 융점 186-18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3(2H, m), 1.49-1.56(2H, m), 1.64(1H, br.s), 1.69-1.76(2H, m), 2.24(3H, s), 2.68(2H, t, J = 7Hz), 2.83(4H, br.s), 2.91(2H, t, J = 7Hz), 3.22(2H, t, J = 8.3Hz), 3.81(3H, s), 4.11(2H, t, J = 8.3Hz), 6.83-6.88(2H, m), 7.13-7.20(2H, m), 7.79-7.82(2H, m), 8.23(1H, d, J = 8.3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3, 1602, 1493, 1440, 1394, 1329, 1243.
실시예 103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5
참고예 12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브로모-1-헥사논(270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31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 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8 mg)을 융점 182-18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8-1.44(2H, m), 1.47(1H, br.s), 1.50-1.57(2H, m), 1.70-1.77(2H, m), 2.24(3H, s), 2.66(2H, t, J = 7.5Hz), 2.85-2.94(6H, m), 3.22(2H, t, J = 8Hz), 4.10(2H, t, J = 8Hz), 7.14-7.35(4H, m), 7.79-7.82(2H, m), 8.22(1H, d, J = 8.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3, 1604, 1489, 1441, 1395, 1330, 1262.
실시예 104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6
참고예 12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브로모-1-헥사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6-1.42(2H, m), 1.51- 1.58(2H, m), 1.70-1.78(2H, m), 2.24(3H, s), 2.31(3H, s), 2.42(2H, t, J = 7.5Hz), 2.55-2.59(2H, m), 2.76-2.80(2H, m), 2.92(2H, t, J = 7.5Hz), 3.21(2H, t, J = 8.3Hz), 3.81(3H, s), 4.09(2H, t, J = 8.3Hz), 6.82-6.89(2H, m), 7.12-7.19(2H, m), 7.79-7.83(2H, m), 8.23(1H, d, J = 8.3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4, 1603, 1493, 1440, 1394, 1329, 1244.
실시예 105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7
참고예 12에서 얻은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6-브로모-1-헥사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7-17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2(2H, m), 1.50-1.58(2H, m), 1.70-1.78(2H, m), 2.25(3H, s), 2.33(3H, s), 2.43(2H, t, J = 7Hz), 2.58-2.62(2H, m), 2.88-2.95(4H, m), 3.23(2H, t, J = 8Hz), 4.10(2H, t, J = 8Hz), 7.11-7.33(4H, m), 7.80-7.83(2H, m), 8.22(1H, d, J = 8.5Hz).
IR (유리된 상태의 염기; neat) νcm-1: 1674, 1604, 1489, 1441, 1394, 1329, 1246.
실시예 106
6-[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8
참고예 41에서 얻은 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 (4H, br.), 2.96-3.01(6H, m), 3.10(2H, br.s), 4.69(2H, s), 7.05(1H, d, J = 8.4Hz), 7.26-7.37(5H, m), 7.53(1H, d, J = 1.8Hz), 7.63(1H, dd, J = 8.4, 1.5Hz), 9.13(2H, br), 10.95(1H, s).
[M+H]+(ESI+)=353, HPLC 순도 94%(220 nm)
실시예 107
N-(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79
참고예 23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2-1.81 (4H, m), 2.33 (3H, s), 2.47 (2H, t, J = 7.4Hz), 2.60 (2H, m), 2.64-2.98 (6H, m), 3.01 (3H, s), 3.35 (2H, dd, J = 16.4, 7.2Hz), 4.30 (1H, m), 5.08 (1H, br), 7.07-7.34 (5H, m), 7.78 (2H, m).
실시예 108
6-(5-[[2-(2-에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0
참고예 42에서 얻은 2-(2-에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br.), 2.95-3.02(8 H, m), 3.52(2H, br.s), 3.80(3H, s), 4.69(2H, s), 6.89-6.99(1H, m), 6.99-7.04(2H, m), 7.20- 7.28(2H, m), 7.54(1H, d, J = 1.8Hz), 7.63(1H, dd, J = 8.4, 1.5Hz), 9.11(2H, br.), 10.96(1H, s).
MS m/z: 397 [M+H]+
실시예 109
6-(5-[[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1
참고예 43에서 얻은 2-(2-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m), 3.00-3.04(6H, m), 3.09(2H, m), 4.69(2H, s), 7.06(1H, d, J = 8.1Hz), 7.17-7.24(2H, m), 7.30-7.38(2H, m), 7.51(1H, d, J = 1.8Hz), 7.63(1H, dd, J = 8.4, 1.8Hz), 9.04(2H, br.), 10.93(1H, s).
MS m/z: 371 [M+H]+
실시예 110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2
참고예 44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4H, m), 2.98-3.02(4H, m), 3.11(4H, br.), 4.69(2H, s), 7.04(1H, d, J = 8.1Hz), 7.31-7.49(4H, m), 7.52(1H, d, J = 1.5Hz), 7.63(1H, dd, J = 8.3, 1.4Hz), 9.13(2H, br.), 10.93(1H, s).
MS m/z: 387 [M+H]+
실시예 111
6-(5-[[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3
참고예 45에서 얻은 2-(3-메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 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br.), 2.92-3.02(6H, m), 3.13(2H, br.), 3.75(3H, s), 4.69(2H, s), 6.82-6.84(3H, m), 7.05(1H, d, J = 8.4Hz), 7.23-7.28(1H, m), 7.52(1H, d, J = 2.1Hz), 7.63(1H, dd, J = 8.3, 2.0Hz), 9.03(2H, br.), 10.93(1H, s).
MS m/z: 383 [M+H]+
실시예 112
6-(5-[[2-(3-에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4
참고예 46에서 얻은 2-(3-에톡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2(3H, t, J = 6.9Hz), 1.67(4H, br.), 2.91-3.02(6H, m), 3.11(2H, br.), 4.01(2H, q, J = 6.9Hz), 4.68(2H, s), 6.80- 6.82(3H, m), 7.05(1H, d, J = 8.4Hz), 7.21-7.26(1H, m), 7.52(1H, d, J = 1.8Hz), 7.63(1H, dd, J = 8.3, 1.4Hz), 9.02(2H, br.), 10.93(1H, s).
MS m/z: 397 [M+H]+
실시예 113
6-(5-[[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5
참고예 56에서 얻은 2-(3-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br.), 2.95-3.03(6H, m), 3.14(2H, br.), 4.69(2H, s), 7.06(1H, d, J = 8.4Hz), 7.09-7.17(3H, m), 7.34-7.42(1H, m), 7.52(1H, d, J = 1.8Hz), 7.63(1H, dd, J = 8.3, 1.4Hz), 9.04(2H, br.), 10.93(1H, s).
MS m/z: 371 [M+H]+
실시예 114
6-(5-[[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6
참고예 57에서 얻은 2-(3-클로로페닐)에틸[5-옥소-5-(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br.), 2.95-3.02(6H, m), 3.13(2H, br.), 4.69(2H, s), 7.06(1H, d, J = 8.1Hz), 7.24-7.38(4H, m), 7.52(1H, d, J = 1.8Hz), 7.63(1H, dd, J = 8.3, 1.1Hz), 9.06(2H, br.), 10.94(1H, s).
MS m/z: 387 [M+H]+
실시예 115
6-[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7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 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8(4H, br.), 2.81(3H, s), 2.98-3.44(8 H, m), 4.67(2H, s), 7.04(1H, d, J = 8.6Hz), 7.25-7.51(5H, m), 7.49(1H, d, J = 2.0Hz), 7.62(1H, dd, J = 8.6, 2.0Hz), 9.93(1H, br.s), 10.88(1H, s).
MS m/z: 381 [M+H]+
실시예 116
6-[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8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8(4H, br.), 2.82(3H, d, J = 3.4Hz), 2.94-3.23(8 H, br.), 3.82(3H, s), 4.67(2H, s), 6.92(1H, t, J = 4.9Hz), 7.01(1H, d, J = 8.4Hz), 7.04(1H, d, J = 8.2Hz), 7.21-7.29(2H, m), 7.50(1H, d, J = 1.4Hz), 7.62(1H, dd, J = 5.7, 1.3Hz), 9.97(1H, br.s), 10.89(1H, s).
MS m/z: 397 [M+H]+
실시예 117
6-[5-[[2-(2-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89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8(4H, br.), 2.82(3H, d, J = 4.8Hz), 2.98-3.34(8 H, br.), 4.67(2H, s), 7.04(1H, d, J = 8.0Hz), 7.15-7.24(2H, m), 7.28-7.40(2H, m), 7.51(1H, d, J = 1.8Hz), 7.62(1H, dd, J = 8.6, 2.2Hz), 10.26(1H, br.s), 10.89(1H, s).
MS m/z: 385 [M+H]+
실시예 118
6-[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 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0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9(4H, br.), 2.83(3H, s), 2.97(2H, t, J = 7Hz), 3.18(6H, m), 4.67(2H, s), 7.04(1H, d, J = 8.2Hz), 7.30-7.38(2H, m), 7.43-7.51(2H, m), 7.59(1H, d, J = 1.8Hz), 7.62(1H, dd, J = 8.4, 1.8Hz), 10.36(1H, br.s), 10.87(1H, s).
MS m/z: 401 [M+H]+
실시예 119
6-[5-[[2-(3-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1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 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8(4H, br.), 2.82(3H, d, J = 3.2Hz), 2.96-3.34(8 H, br.), 3.76(3H, s), 4.67(2H, s), 6.81(1H, d, J = 1.6Hz), 6.86(2H, d, J = 5.6Hz), 7.04(1H, d, J = 5.8Hz), 7.25(1H, t, J = 5.2Hz), 7.50(1H, d, J = 1.6Hz), 7.61(1H, dd, J = 5.6, 1.4Hz), 9.68(1H, br.s), 10.89(1H, s).
MS m/z: 397 [M+H]+
실시예 120
6-[5-[[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2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4H, br.), 2.82(3H, d, J= 4.5Hz), 2.98-3.36(8 H, br.), 4.67(2H, s), 7.02-7.19(4H, m), 7.34-7.42(1H, m), 7.50(1H, d, J = 2.1Hz), 7.63(1H, dd, J = 8.7, 2.1Hz), 9.69(1H, br.s), 10.88(1H, s).
MS m/z: 385 [M+H]+
실시예 121
6-[5-[[2-(3-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3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8(4H, br.), 2.81(3H, d, J = 4.8Hz), 3.03-3.63(8 H, br.), 4.67(2H, s), 7.04(1H, d, J = 8.4Hz), 7.25-7.42(4H, m), 7.51(1H, d, J = 1.8Hz), 7.62(1H, dd, J = 8.4, 1.8Hz), 10.06(1H, br.s), 10.90(1H, s).
MS m/z: 401 [M+H]+
실시예 122
6-[6-[[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 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4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31-1.41(2H, m), 1.61-1.79(4H, m), 2.79(3H, d, J = 4.8Hz), 2.92-3.42(8 H, br.), 3.81(3H, s), 4.67(2H, s), 6.87-7.05(3H, m), 7.20-7.30(2H, m), 7.50(1H, d, J = 1.8Hz), 7.61(1H, dd, J = 8.2, 2.0Hz), 10.13(1H, br.s), 10.85(1H, s).
MS m/z: 411 [M+H]+
실시예 123
6-[6-[[2-(2-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5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 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32-1.42(2H, m), 1.61-1.78(4H, m), 2.81(3H, s), 2.92-3.30(8 H, br.), 4.67(2H, s), 7.03(1H, d, J = 8.4Hz), 7.05-7.24(2H, m), 7.29-7.43(2H, m), 7.51(1H, d, J = 1.8Hz), 7.61(1H, dd, J = 8.4, 1.8Hz), 10.60(1H, br.s), 10.90(1H, s).
MS m/z: 399 [M+H]+
실시예 124
6-[6-[[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6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33-1.43(2H, m), 1.61-1.78(4H, m), 2.85(3H, d, J = 4.8Hz), 2.96(2H, t, J = 7Hz), 3.12-3.21(6H, m), 4.66(2H, s), 7.03(1H, d, J = 8.4Hz), 7.27-7.37(2H, m), 7.41-7.48(2H, m), 7.50(1H, d, J = 2.0Hz), 7.60(1H, dd, J = 8.2, 2.0Hz), 10.24(1H, br.s), 10.87(1H, s).
MS m/z: 415 [M+H]+
실시예 125
6-[6-[[2-(3-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7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34(2H, br.), 1.61-1.78(4H, m), 2.79(3H, d, J = 3.8Hz), 2.96-3.26(8 H, m), 3.75(3H, s), 4.67(2H, s), 6.84(3H, t, J = 6.9Hz), 7.03(1H, d, J = 8.4Hz), 7.25(1H, t, J = 8.0Hz), 7.52(1H, s), 7.61(1H, d, J = 7.4Hz), 10.5(1H, br.s), 10.91(1H, s).
MS m/z: 411 [M+H]+
실시예 126
6-[6-[[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 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8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3OD) δ 1.44-1.52(2H, br.), 1.73-1.86(4H, m), 2.94(3H, s), 3.00-3.19(4H, m), 3.23-3.49(4H, m), 4.67(2H, s), 6.98-7.15(4H, m), 7.33-7.40(1H, m), 7.54(1H, d, J = 2.1Hz), 7.67(1H, dd, J = 8.4Hz, 2.2Hz).
MS m/z: 399 [M+H]+
실시예 127
6-[6-[[2-(3-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499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클로로
실시예 129
6-[5-[[2-(3-에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에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40(3H, t, J = 6.9Hz), 1.53-1.61(2H, m), 1.69-1.76(2H, s), 2.30(3H, s), 2.45(2H, t, J = 7.4Hz), 2.57-2.63(2H, m), 2.69-2.76(2H, m), 2.91(2H, t, J = 7.2H), 4.00(2H, t, J = 6.9Hz), 4.67(2H, s), 5.60(1H, br.s), 6.69-6.78(3H, m), 6.99(1H, d, J = 8.1Hz), 7.16(1H, t, J = 8.0Hz), 7.52(1H, d, J = 1.8Hz), 7.58(1H, dd, J = 8.4, 2.1Hz).
MS m/z: 411 [M+H]+
실시예 129
6-[5-[[2-(3-에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 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0
참고예 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에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40(3H, t, J = 6.9Hz), 1.53-1.61(2H, m), 1.69-1.76(2H, s), 2.30(3H, s), 2.45(2H, t, J = 7.4Hz), 2.57-2.63(2H, m), 2.69-2.76(2H, m), 2.91(2H, t, J = 7.2H), 4.00(2H,t, J = 6.9Hz), 4.67(2H, s), 5.60(1H, br.s), 6.69-6.78(3H, m), 6.99(1H, d, J = 8.1Hz), 7.16(1H, t, J = 8.0Hz), 7.52(1H, d, J = 1.8Hz), 7.58(1H, dd, J = 8.4, 2.1Hz).
MS m/z: 411 [M+H]+
실시예 130
6-[6-[[2-(2-에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1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2-에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7-1.44(5H, m), 1.53-1.60(2H, m), 1.71-1.78(2H, s), 2.34(3H, s), 2.45(2H, t, J = 7.4Hz), 2.55-2.64(2H, m), 2.76-2.93(4H, m), 3.96-4.06(2H, m), 4.67(2H, s), 5.32(1H, br.s), 6.78-6.89(2H, m), 6.99(1H, d, J = 8.0Hz), 7.12(2H, d, J = 7.2Hz), 7.54(1H, d, J = 1.8Hz), 7.59(1H, dd, J = 8.2, 2.0Hz).
MS m/z: 425 [M+H]+
실시예 131
6-[6-[[2-(3-에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2
참고예 8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및 N-[2-(3-에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2-1.42(5H, m), 1.49- 1.59(2H, m), 1.69-1.78(2H, s), 2.30(3H, s), 2.42(2H, t, J = 7.6Hz), 2.59-2.66(2H, m), 2.70-2.77(2H, m), 2.89(2H, t, J = 7.2Hz), 3.97-4.04(2H, m), 4.67(2H, s), 5.38(1H, br.s), 6.69-6.78(3H, m), 6.98(1H, d, J = 8.1Hz), 7.17(1H, t, J = 7.7Hz), 7.55(1H, d, J = 1.8Hz), 7.58(1H, dd, J = 8.4, 2.1Hz).
MS m/z: 425 [M+H]+
실시예 132
5-[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3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4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5-1.75(4H, m), 2.80(3H, d, J = 4.8Hz), 3.00-3.08(6H, m), 3.23(2H, m), 7.03(1H, d, J = 8.1Hz), 7.26-7.36(5H, m), 7.67(1H, d, J = 8.4Hz), 10.28(1H, s), 10.94(1H, s), 11.09(1H, s).
원소 분석 C21H25N3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2.69; H, 6.91; N, 10.44.
실험값: C, 62.87; H, 6.63; N, 10.37.
MS m/z: 352 [M+H]+
실시예 133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4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9-180℃(밀봉관 중; 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5-1.75(4H, m), 2.80(3H, d, J = 4.8Hz), 2.92-3.30(8 H, m), 3.81(3H, s), 6.89-6.95(1H, m), 7.00-7.04(2H, m), 7.21-7.30(2H, m), 7.50(1H, s), 7.69(1H, dd, J = 8.3, 1.7Hz), 10.09(1H, br.s), 10.95(1H, s), 11.09(1H, s).
MS m/z: 382 [M+H]+
실시예 134
N-(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 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5
참고예 23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2-1.81 (4H, m), 2.33 (3H, s), 2.47 (2H, t, J = 7.4Hz), 2.60 (2H, m), 2.78 (2H, m), 2.93 (4H, m), 3.00 (3H, s), 3.35 (2H, dd, J = 16.4, 7.0Hz), 3.81 (3H, s), 4.32 (1H, m), 5.08 (1H, br), 6.81-6.90 (2H, m), 7.11-7.30 (3H, m), 7.78 (2H, m).
실시예 135
1,3-디메틸-5-[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6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2-157℃(밀봉관 중; 분해)의 무색 결정 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4-1.69(2H, m), 1.73-1.83(2H, m), 2.31(3H, s), 2.44-2.49(2H, m), 2.58-2.64(2H, m), 2.75-2.80(2H, m), 2.98-3.03(2H, m), 3.46(3H, s), 3.47(3H, s), 6.99(1H, d, J = 8.1Hz), 7.15-7.30(5H, m), 7.63(1H, d, J = 1.5Hz), 7.69(1H, dd, J = 8.3, 1.7Hz).
MS m/z: 380 [M+H]+
실시예 136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7
참고예 1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5-140℃(밀봉관 중; 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5-1.84(4H, m), 2.39(3H, s), 2.51-2.69(4H, m), 2.77-2.87(2H, m), 2.99-3.06(2H, m), 3.46(3H, s), 3.47(3H, s), 3.82(3H, s), 6.82-6.91(2H, m), 6.99(1H, d, J = 8.0Hz), 7.14-7.23(2H, m), 7.63(1H, d, J = 1.6Hz), 7.69(1H, dd, J = 8.4, 1.4Hz).
MS m/z: 410 [M+H]+
실시예 137
N-[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8
참고예 233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6-15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2-1.81 (4H, m), 2.47 (2H, t, J = 7.4Hz), 2.60 (2H, m), 2.64-2.98 (6H, m), 3.01 (3H, s), 3.35 (2H, dd, J = 16.4, 7.2Hz), 4.30 (1H, m), 5.08 (2H, br), 7.07-7.34 (5H, m), 7.78 (2H, m).
실시예 138
5-[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09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59℃(밀봉관 중)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4H, m), 2.93-3.13(8 H, m), 7.03(1H, d, J = 7.8Hz), 7.26-7.37(5H, m), 7.50(1H, s), 7.70(1H, d, J = 8.1Hz), 8.88(2H, br.s), 10.95(1H, s), 11.10(1H, s).
원소 분석 C20H23N3O2ㆍHCl로서
계산값: C, 64.25; H, 6.47; N, 11.24.
실험값: C, 63.88; H, 6.50; N, 11.22
MS m/z: 338 [M+H]+
실시예 139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 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0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3℃(밀봉관 중)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4H, m), 2.94-3.04(8 H, m), 3.80(3H, s), 6.89-6.94(1H, m), 6.99-7.04(2H, m), 7.17-7.29(2H, m), 7.50(1H, s), 7.69(1H, dd, J = 8.1, 1.5Hz), 8.86(2H, br.s), 10.95(1H, s), 11.10(1H, s).
원소 분석 C21H25N3O3ㆍHCl로서
계산값: C, 62.45; H, 6.49; N, 10.40.
실험값: C, 62.20; H, 6.42; N, 10.38
MS m/z: 368 [M+H]+
실시예 140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 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1
참고예 9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3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4H, m), 2.99-3.11(8 H, m), 7.03(1H, d, J = 8.1Hz), 7.31-7.48(5H, m), 7.69(1H, dd, J = 8.3, 1.6Hz), 8.99(2H, br.s), 10.95(1H, s), 11.14(1H, s).
원소 분석 C20H22N3O2ClㆍHCl로서
계산값: C, 58.83; H, 5.68; N, 10.29.
실험값: C, 58.51; H, 5.53; N, 10.26.
MS m/z: 372 [M+H]+
실시예 141
1,3-디메틸-5-[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 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2
참고예 58에서 얻은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7-189℃(밀봉관 중)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1(4H, m), 2.95-3.00(4H, m), 3.11(4H, m), 3.36(3H, s), 3.38(3H, s), 7.26-7.38(6H, m), 7.74(1H, d, J = 1.2Hz), 7.82(1H, dd , J = 8.1, 1.5Hz), 9.03(2H, br.s).
원소 분석 C22H27N3O2ㆍHCl로서
계산값: C, 65.74; H, 7.02; N, 10.45.
실험값: C, 65.38; H, 7.07; N, 10.55.
MS m/z: 366 [M+H]+
실시예 142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 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3
참고예 59에서 얻은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8℃(밀봉관 중)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0(4H, m), 2.91-3.13(8 H, m), 3.36(3H, s), 3.38(3H, s), 3.80(3H, s), 6.89-6.94(1H, m), 6.99-7.02(1H, s), 7.17-7.20(1H, m), 7.23-7.29(2H, m), 7.74(1H, d, J = 1.2Hz), 7.82(1H, dd, J = 8.1, 1.5Hz), 8.92(2H, br.s).
원소 분석 C23H29N3O3ㆍHCl로서
계산값: C, 63.95; H, 7.00; N, 9.73.
실험값: C, 63.72; H, 6.95; N, 9.75.
MS m/z: 396 [M+H]+
실시예 143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 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4
참고예 60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8-16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1(4H, m), 3.01-3.11(8 H, m), 3.36(3H, s), 3.38(3H, s), 7.26-7.49(5H, m), 7.74(1H, d, J = 1.2Hz), 7.82(1H, dd, J = 8.1, 1.5Hz), 9.03 (2H, br.s).
원소 분석 C22H26N3O2ClㆍHCl로서
계산값: C, 60.55; H, 6.24; N, 9.62.
실험값: C, 60.33; H, 6.25; N, 9.62.
MS m/z: 400 [M+H]+
실시예 144
1-(1-벤질-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 -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5
참고예 61에서 얻은 5-(1-벤질-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8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12 mg)을 융점 88-8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1-1.65(4H, m), 2.85-3.00(10 H, m), 3.47(2H, t, J = 8.5Hz), 3.78(3H, s), 4.43(2H, s), 6.57(1H, d, J = 8.3Hz), 6.89(1H, t, J = 8.3Hz), 6.98(1H, d, J = 8.0Hz), 7.17(1H, d, J = 7.5Hz), 7.22-7.35(6H, m), 7.58(1H, br), 7.61(1H, s), 7.70(1H, d, J = 8.3Hz), 9.09(2H, s).
IR (KBr) νcm-1: 3336, 2950, 2786, 1687, 1602, 1496, 1454, 1246, 753.
실시예 145
1-(1-벤조일-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6
참고예 62에서 얻은 5-(1-벤조일-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1-15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1-1.71(4H, m), 2.98-3.03(8 H, m), 3.18(2H, t, J = 8.0Hz), 3.79(3H, s) 4.05(2H, t, J = 8.3Hz), 6.89(1H, t, J = 7.5Hz), 6.98(1H, d, J = 7.5Hz), 7.17(1H, d, J = 7.5Hz), 7.24(1H, t, J = 7.5Hz), 7.47-7.60(6H, m), 7.85(1H, d, J = 6.6Hz), 7.87(1H, s), 9.19(2H, s).
IR (KBr) νcm-1: 3336, 2948, 2781, 1680, 1644, 1602, 1495, 1440, 1386, 1334, 1254, 762.
실시예 146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N-페닐-1-인돌린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7
참고예 63에서 얻은 5-[1-(아닐리노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 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5-206℃(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3-1.68(4H, m), 2.93-3.03(8 H, m), 3.21(2H, t, J = 8.5Hz), 3.79(3H, s), 4.23(2H, t, J = 8.3Hz), 6.89(1H, t, J = 7.5Hz), 6.98(1H, d, J = 8.3Hz), 7.02(1H, t, J = 7.5Hz), 7.17(1H, d, J = 7.5Hz), 7.24(1H, t, J = 7.5Hz), 7.29(2H, t, J = 6.6Hz), 7.59(2H, d, J = 8.5Hz), 7.79(1H, s), 7.82(1H, d, J = 8.5Hz), 7.93(1H, d, J = 8.5Hz), 8.78(1H, s), 9.10(2H, s).
IR (KBr) νcm-1: 3400, 2936, 2771, 1680, 1597, 1539, 1491, 1445, 1340, 1246, 752.
실시예 147
8-(5-{[2-(4-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8
참고예 79에서 얻은 2-(4-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23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9-181℃의 무색 결정(91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8Hz), 2.85-3.15 (10 H, m), 3.17 (2H, t, J = 8.4Hz), 3.73 (3H, s), 3.99 (2H, t, J = 8.4Hz), 6.89 (2H, d, J = 8.4Hz), 7.18 (2H, d, J = 8.4Hz), 7.73 (2H, s),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5H30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6.43; H, 7.14; N, 6.20.
실험값: C, 66.41; H, 7.04; N, 6.06.
실시예 148
8-(5-{[2-(4-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19
참고예 80에서 얻은 2-(4-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94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3-195℃의 무색 결정(70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8Hz), 2.75-3.25 (10 H, m), 3.18 (2H, t, J = 8.4Hz), 3.99 (2H, t, J = 8.4Hz), 7.31 (2H, d, J = 8.4Hz), 7.40 (2H, d, J = 8.4Hz), 7.73 (2H, s), 9.05-9.30 (2H, br).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HCl로서
계산값: C, 64.43; H, 6.31; N, 6.26.
실험값: C, 64.07; H, 6.40; N, 6.07.
실시예 149
8-(5-{[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0
참고예 81에서 얻은 2-(3-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19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7-159℃의 무색 결정(97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60 (2H, t, J = 7.8Hz), 2.85-3.20 (10 H, m), 3.18 (2H, t, J = 8.4Hz), 3.99 (2H, t, J = 8.4Hz), 7.20-7.45 (4H, m), 7.73 (2H, s), 8.80-9.05 (2H, br).
실시예 150
8-(5-{[2-(2-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1
참고예 82에서 얻은 2-(2-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3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2-113℃의 무색 결정(5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9 (2H, t, J = 7.8Hz), 2.85-3.10 (10 H, m), 3.17 (2H, t, J = 8.4Hz), 3.98 (2H, t, J = 8.4Hz), 4.50-5.50 (1H, br), 6.73 (1H, dt, J = 7.5, 1.2Hz), 6.88 (1H, dd, J = 7.8, 1.2Hz), 7.00-7.10 (2H, m), 7.72 (1H, s), 7.73 (1H, s),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4H28N2O3ㆍHClㆍ2.0H2O로서
계산값: C, 61.99; H, 7.15; N, 6.02.
실험값: C, 61.97; H, 6.87; N, 5.88.
실시예 151
8-(5-{[2-(2,6-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2
참고예 83에서 얻은 2-(2,6-디클로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08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2-174℃의 무색 결정(61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9 (2H, t, J = 7.8Hz), 2.90-3.10 (8 H, m), 3.17 (2H, t, J = 8.4Hz), 3.25-3.35 (2H, m), 3.98 (2H, t, J = 8.4Hz), 7.33 (1H, dd, J = 8.7, 7.5Hz), 7.49 (2H, d, J = 7.5Hz), 7.72 (1H, s), 7.73 (1H, s), 9.25-9.50 (2H, br).
원소 분석 C24H26Cl2N2O2ㆍHCl로서
계산값: C, 59.82; H, 5.65; N, 5.81.
실험값: C, 59.48; H, 5.67; N, 5.53.
실시예 152
8-(5-{[2-(2,3-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3
참고예 84에서 얻은 2-(2,3-디메톡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13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4-156℃의 무색 결정(70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8 (2H, t, J = 7.8Hz), 2.90-3.10 (10 H, m), 3.16 (2H, t, J = 8.4Hz), 3.73 (3H, s), 3.78 (3H, s), 3.97 (2H, t, J = 8.4Hz), 6.79 (1H, dd, J = 8.2, 1.8Hz), 6.94 (1H, dd, J = 8.0, 1.8Hz), 6.95-7.05 (1H, m), 7.71 (1H, s), 7.72 (1H, s), 8.80-9.10 (2H, br).
원소 분석 C26H32N2O4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4.79; H, 7.11; N, 5.81.
실험값: C, 64.34; H, 7.03; N, 5.55.
실시예 153
8-(5-{[2-(2-티에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 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4
참고예 85에서 얻은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2-(2-티에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44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7-169℃의 무색 결정(70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9 (2H, t, J = 7.8Hz), 2.90-3.05 (6H, m), 3.10-3.30 (6H, m), 3.98 (2H, t, J = 8.4Hz), 6.95-7.00 (2H, m), 7.40(1H, dd, J = 4.8, 1.5Hz), 7.72 (1H, s), 7.73 (1H, s), 9.10-9.30 (2H, br).
실시예 154
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5
참고예 86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 (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18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2-174℃의 무색 결정(75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45-1.80 (4H, m), 2.90-3.15 (6H, m), 3.30-3.45 (6H, m), 3.80 (3H, s), 6.90 (1H, t, J = 7.4Hz), 6.99 (1H, d, J = 8.4Hz), 7.18 (1H, dd, J = 7.4, 1.8Hz), 7.20-7.30 (2H, m), 7.73 (1H, d, J = 1.5Hz), 7.80 (1H, dd, J = 8.1, 1.5Hz), 8.95-9.15 (2H, br).
실시예 155
2-메톡시-5-{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6
참고예 87에서 얻은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6-168℃의 무색 결정(83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85-3.20 (8 H, m), 3.98 (3H, s), 7.20-7.40 (8 H, m), 8.20 (1H, dd, J = 8.8, 2.1Hz), 8.28 (1H, d, J = 2.1Hz), 8.80-9.10 (2H, br).
원소 분석 C20H26N2O4 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5.10; H, 6.47; N, 6.43.
실험값: C, 55.08; H, 6.37; N, 6.28.
실시예 156
2-메톡시-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7
참고예 88에서 얻은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7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9-141℃의 무색 결정(50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85-3.10 (8 H, m), 3.78 (3H, s), 3.98 (3H, s), 6.89 (1H, dt, J = 7.3, 1.5Hz), 6.98 (1H, d, J = 8.1Hz), 7.16 (1H, dd, J = 7.3, 1.5Hz), 7.20-7.25 (3H, m), 7.31 (1H, d, J = 8.7Hz), 8.20 (1H, dd, J = 8.7, 2.4Hz), 8.28 (1H, d, J = 2.4Hz), 8.80-9.05 (2H, br).
원소 분석 C21H28N2O5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4.13; H, 6.49; N, 6.01.
실험값: C, 54.71; H, 6.50; N, 5.86.
실시예 157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8
참고예 89에서 얻은 5-[3-(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1-163℃의 무색 결정(84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90-3.20 (8 H, m), 3.99 (3H, s), 7.20-7.50 (7 H, m), 8.21 (1H, dd, J = 8.6, 2.1Hz), 8.30 (1H, d, J = 2.1Hz),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0H25ClN2O4SㆍHCl로서
계산값: C, 52.06; H, 5.68; N, 6.07.
실험값: C, 52.04; H, 5.72; N, 5.93.
실시예 158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 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29
참고예 66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8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53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5-1.80 (4H, m), 2.33 (3H, s), 2.40-2.65 (4H, m), 2.80-3.00 (4H, m), 4.10 (3H, s), 4.50-5.50 (2H, br), 7.00-7.40(5H, m), 8.10-8.20(1H, m), 8.20-8.30(1H, m).
실시예 159
N-이소프로필-2-메톡시-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0
참고예 90에서 얻은 5-{3-[(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36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4-166℃의 무색 결정(601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0.96 (6H, d, J = 6.6Hz), 1.60-1.80 (4H, m), 2.85-3.40 (9 H, m), 3.80 (3H, s), 4.01 (3H, s), 6.85-7.05 (2H, m), 7.15-7.45 (4H, m), 8.25 (1H, dd, J = 8.4, 2.2Hz), 8.31 (1H, d, J = 2.2Hz), 8.90-9.10 (2H, br).
원소 분석 C24H34N2O5SㆍHCl로서
계산값: C, 57.76; H, 7.07; N, 5.61.
실험값: C, 57.41; H, 7.21; N, 5.51.
실시예 160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1
참고예 91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3-[(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4-메톡시페닐}-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28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9-181℃의 무색 결정(1.00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0.96 (6H, d, J = 6.6Hz), 1.60-1.80 (4H, m), 2.90-3.50 (9 H, m), 4.01 (3H, s), 7.25-7.50 (6H, m), 8.25 (1H, dd, J = 8.4, 2.2Hz), 8.32 (1H, d, J = 2.2Hz), 9.00-9.25 (2H, br).
원소 분석 C23H31ClN2O4SㆍHCl로서
계산값: C, 54.87; H, 6.41; N, 5.56.
실험값: C, 54.67; H, 6.33; N, 5.33.
실시예 161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2
참고예 67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8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47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3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06 (6H, d, J = 6.6Hz), 1.50-1.80 (4H, m), 2.34 (3H, s), 2.48 (2H, t, J = 7.2Hz), 2.55-2.70 (2H, m), 2.85-2.90 (2H, m), 2.98 (2H, t, J = 7.2Hz), 3.30-3.55 (1H, m), 4.07 (3H, s), 4.85-4.95 (1H, m), 7.05-7.35 (5H, m), 8.19 (1H, dd, J = 8.8, 2.2Hz), 8.50 (1H, d, J = 2.2Hz).
원소 분석 C24H33ClN2O4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4.75; H, 6.70; N, 5.32.
실험값: C, 54.45; H, 6.94; N, 5.11.
실시예 162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3
참고예 92에서 얻은 5-[7-(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99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81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0-1.90 (4H, m), 2.95-3.25 (8 H, m), 3.41 (2H, t, J = 8.6Hz), 3.89 (3H, s), 4.91 (2H, t, J = 8.6Hz), 6.90-7.10 (2H, m), 7.20-7.40 (2H, m), 7.50 (2H, s), 8.71 (1H, s), 8.20 (1H, s), 8.95-9.25 (2H, br).
원소 분석 C22H28N2O5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5.28; H, 6.33; N, 5.86.
실험값: C, 55.48; H, 6.50; N, 5.61.
실시예 163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4
참고예 93에서 얻은 5-[7-(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9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8-170℃의 무색 결정(74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0-1.80 (4H, m), 2.85-3.20 (8 H, m), 3.32 (2H, t, J = 8.6Hz), 4.82 (2H, t, J = 8.6Hz), 7.25-7.55 (6H, m), 8.11 (1H, s), 8.12 (1H, s), 9.10-9.40 (2H, br).
원소 분석 C21H25ClN2O4SㆍHClㆍ0.2H2O로서
계산값: C, 52.88; H, 5.58; N, 5.87.
실험값: C, 52.93; H, 5.42; N, 5.66.
실시예 164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5
참고예 7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1.00 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62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27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50-1.80 (4H, m), 2.36 (3H, s), 2.52 (2H, t, J = 7.2Hz), 2.60-2.65 (2H, m), 2.75-2.80 (2H, m), 2.91 (2H, t, J = 7.2Hz), 3.00-5.00 (2H, br), 3.04 (2H, t, J = 8.7Hz), 3.81 (3H, s), 4.87 (2H, t, J = 8.7Hz), 6.80-6.90 (2H, m), 7.10-7.20 (2H, m), 7.98 (1H, s), 8.19 (1H, s).
원소 분석 C23H30N2O5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6.14; H, 6.56; N, 5.69.
실험값: C, 55.83; H, 6.81; N, 5.45.
실시예 165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 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6
참고예 70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800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51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19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45-1.80 (4H, m), 2.34 (3H, s), 2.48 (2H, t, J = 7.2Hz), 2.55-2.65 (2H, m), 2.80-2.90 (4H, m), 3.32 (2H, t, J = 8.7Hz), 3.50-5.50 (2H, br), 4.88 (2H, t, J = 8.7Hz), 7.10-7.35 (4H, m), 7.99 (1H, s), 8.18 (1H, s).
실시예 166
N-이소프로필-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7
참고예 94에서 얻은 5-{7-[(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 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7-159℃의 무색 결정(707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0.99 (6H, d, J = 6.6Hz), 1.60-1.85 (4H, m), 2.80-3.15 (7 H, m), 3.20-3.50 (4H, m), 3.80 (3H, s), 4.82 (2H, t, J = 8.8Hz), 6.85-7.05 (2H, m), 7.15-7.30 (2H, m), 7.60 (1H, d, J = 7.6Hz), 8.10 (2H, s), 8.90-9.15 (2H, br).
원소 분석 C25H34N2O5SㆍHCl로서
계산값: C, 58.75; H, 6.90; N, 5.48.
실험값: C, 58.33; H, 6.92; N, 5.31.
실시예 167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8
참고예 95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7-[(이소프로필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1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 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9-151℃의 무색 결정(2.16 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0.99 (6H, d, J = 6.6Hz), 1.60-1.85 (4H, m), 2.90-3.20 (7 H, m), 3.25-3.45 (4H, m), 4.82 (2H, t, J = 8.8Hz), 7.30-7.50 (4H, m), 7.60 (1H, d, J = 7.6Hz), 8.10 (2H, s), 8.90-9.30 (2H, br).
원소 분석 C24H31ClN2O4SㆍHCl로서
계산값: C, 55.92; H, 6.26; N, 5.43.
실험값: C, 55.78; H, 5.99; N, 5.26.
실시예 168
N-이소프로필-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39
참고예 7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1.00 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55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7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0 (6H, d, J = 6.6Hz), 1.45-1.80 (4H, m), 2.32 (3H, s), 2.46 (2H, t, J = 7.2Hz), 2.50-2.60 (2H, m), 2.70-2.85 (2H, m), 2.96 (2H, t, J = 7.2Hz), 3.33 (2H, t, J = 8.8Hz), 3.35-3.55 (1H, m), 3.82 (3H, s), 4.65-4.80 (1H, m), 4.86 (2H, t, J = 8.8Hz), 6.80-6.90 (2H, m), 7.10-7.20 (2H, m), 8.04 (1H, d, J = 2.0Hz), 8.24 (1H, d, J = 2.0Hz).
원소 분석 C26H36N2O5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8.47; H, 7.17; N, 5.24.
실험값: C, 58.53; H, 7.31; N, 5.15.
실시예 169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0
참고예 7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1.00 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56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0 (6H, d, J = 6.6Hz), 1.45-1.80 (4H, m), 2.31 (3H, s), 2.48 (2H, t, J = 7.2Hz), 2.55-2.70 (2H, m), 2.80-3.00 (4H, m), 3.33 (2H, t, J = 8.8Hz), 3.35-3.60 (1H, m), 4.68 (1H, d, J = 7.4Hz), 4.86 (2H, t, J = 8.8Hz), 7.10-7.40 (4H, m), 8.04 (1H, d, J = 2.0Hz), 8.24 (1H, d, J = 2.0Hz).
원소 분석 C25H33ClN2O4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5.76; H, 6.55; N, 5.20.
실험값: C, 55.38; H, 6.72; N, 5.07.
실시예 170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2-디메틸-8-크로만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1
참고예 96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2,2-디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71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68 mg)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40 (6H, s), 1.60-1.80 (4H, m), 1.87 (2H, t, J = 6.6Hz), 2.88 (2H, t, J = 6.6Hz), 2.90-3.20 (8 H, m), 7.01 (2H, s), 7.25-7.50 (4H, m), 7.39 (1H, d, J = 2.1Hz), 8.14 (1H, d, J = 2.1Hz), 9.10-9.30 (2H, br).
원소 분석 C24H31ClN2O4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4.96; H, 6.34; N, 5.34.
실험값: C, 55.00; H, 6.36; N, 5.11.
실시예 171
7-{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2
참고예 97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5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2-154℃의 무색 결정(83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80 (4H, m), 2.85-3.20 (8 H, m), 4.30-4.40 (2H, m), 4.40-4.50 (2H, m), 7.20-7.40 (7 H, m), 7.69 (1H, d, J = 2.1Hz), 7.89 (1H, d, J = 2.1Hz), 8.95-9.20 (2H, br).
원소 분석 C21H26N2O5SㆍHCl로서
계산값: C, 55.32; H, 6.19; N, 6.14.
실험값: C, 55.15; H, 6.06; N, 6.00.
실시예 172
7-(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3
참고예 98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6-168℃의 무색 결정(63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80 (4H, m), 2.85-3.10 (8 H, m), 3.80 (3H, s), 4.30-4.40 (2H, m), 4.40-4.50 (2H, m), 6.90 (1H, t, J = 7.5Hz), 6.99 (1H, d, J = 8.1Hz), 7.17 (1H, d, J = 7.5Hz), 7.25 (1H, t, J = 7.5Hz), 7.36 (2H, s), 7.69 (1H, d, J = 2.1Hz), 7.88 (1H, d, J = 2.1Hz), 8.80-9.15 (2H, br).
원소 분석 C22H28ClN2O6SㆍHCl로서
계산값: C, 54.48; H, 6.03; N, 5.78.
실험값: C, 54.12; H, 6.13; N, 5.64.
실시예 173
7-(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4
참고예 99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8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8-180℃의 무색 결정(85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90-3.20 (8 H, m), 4.30-4.40 (2H, m), 4.40-4.50 (2H, m), 7.25-7.50 (6H, m), 7.69 (1H, d, J = 2.1Hz), 7.88 (1H, d, J = 2.1Hz), 8.95-9.25 (2H, br).
원소 분석 C21H25ClN2O5S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49.71; H, 5.56; N, 5.52.
실험값: C, 49.72; H, 5.61; N, 5.35.
실시예 174
7-{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5-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5
참고예 75에서 얻은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1-(1.00 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56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45-1.75 (4H, m), 2.31 (3H, s), 2.45 (2H, t, J = 7.2Hz), 2.50-2.65 (2H, m), 2.80-2.95 (4H, m), 4.00-5.50 (2H, br), 4.30-4.40 (2H, m), 4.35-4.40 (2H, m), 7.05-7.35 (4H, m), 7.63 (1H, s), 7.98 (1H, s).
실시예 175
N-(2-메톡시-5-{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 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6
참고예 100에서 얻은 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32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1-133℃의 무색 결정(94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75(4H, m), 2.85-3.20(8 H, m), 2.96(3H, s), 3.89(3H, s), 7.15-7.40(6H, m), 7.80-7.90(2H, m), 8.85-9.15(2H, br), 9.14(1H, s).
원소 분석 C21H28N2O4 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6.05; H, 6.72; N, 6.23.
실험값: C, 56.18; H, 6.62; N, 6.25.
실시예 176
N-[2-메톡시-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7
참고예 101에서 얻은 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5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9-131℃의 무색 결정(37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75(4H, m), 2.90-3.10(8 H, m), 2.98(3H, s), 3.80(3H, s), 3.92(3H, s), 6.91(1H, t, J = 7.5Hz), 7.00(1H, d, J = 8.1Hz), 7.15-7.30(3H, m), 7.86(1H, d, J = 1.8Hz), 7.89(1H, dd, J = 8.5, 1.8Hz), 8.85-9.05(2H, br), 9.15(1H, s).
원소 분석 C22H30N2O5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5.05; H, 6.72; N, 5.84.
실험값: C, 55.20; H, 6.44; N, 5.80.
실시예 177
N-[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8
참고예 102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52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 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3-135℃의 무색 결정(1.03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1.75-2.10 (4H, m), 2.95-3.15 (4H, m), 3.00 (3H, s), 3.20-3.30 (2H, m), 3.35-3.45 (2H, m), 3.96 (3H, s), 6.92 (1H, s), 6.94 (1H, d, J = 8.4Hz), 7.10-7.40 (4H, m), 7.75 (1H, dd, J = 5.7, 1.4Hz), 8.04 (1H, d, J = 1.4Hz), 9.65-9.80 (2H, br).
원소 분석 C21H27ClN2O4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2.07; H, 6.03; N, 5.78.
실험값: C, 52.43; H, 5.78; N, 5.81.
실시예 178
N-(2-메톡시-5-{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49
참고예 103에서 얻은 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91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6-138℃의 무색 결정(751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75(4H, m), 2.85-3.10(8 H, m), 2.98(3H, s), 3.92(3H, s), 7.15-7.40(6H, m), 7.80-7.90(2H, m), 8.95-9.20(2H, br), 9.16(1H, s).
원소 분석 C22H30N2O4SㆍHClㆍ1.5H2O로서
계산값: C, 54.82; H, 7.11; N, 5.81.
실험값: C, 55.19; H, 7.34; N, 5.72.
실시예 179
N-[2-메톡시-5-(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0
참고예 104에서 얻은 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2-144℃의 무색 결정(80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75(4H, m), 2.80-3.10(8 H, m), 2.98(3H, s), 3.80(3H, s), 3.92(3H, s), 6.92(1H, t, J = 7.5Hz), 7.00(1H, d, J = 7.5Hz), 7.15-7.30(3H, m), 7.80-7.90(2H, m), 8.75-9.05(2H, br), 9.16(1H, s).
원소 분석 C23H32N2O5SㆍHCl로서
계산값: C, 56.95; H, 6.86; N, 5.78.
실험값: C, 56.61; H, 6.87; N, 5.69.
실시예 180
N-[5-(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1
참고예 105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6-{4-메톡시-3-[(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6-옥소헥실)카르밤산 tert-부틸(1.26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2-115℃의 무색 결정(941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75(4H, m), 2.80-3.00(8 H, m), 2.98(3H, s), 3.92(3H, s), 7.19(1H, d, J = 8.7Hz), 7.25-7.50(4H, m), 7.80-7.90(2H, m), 8.90-9.20(2H, br), 9.16(1H, s).
원소 분석 C22H29ClN2O4S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3.01; H, 6.27; N, 5.62.
실험값: C, 52.96; H, 6.24; N, 5.64.
실시예 181
1-(1H-인돌-3-일)-5-[(2-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2
참고예 106에서 얻은 5-(1H-인돌-3-일)-5-옥소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1-173℃의 무색 결정(391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5-1.80(4H, m), 2.85-3.20(8 H, m), 7.10-7.40(7 H, m), 7.48(1H, d, J = 7.2Hz), 8.20(1H, d, J = 7.5Hz), 8.36(1H, d, J = 3.2Hz), 8.80-9.15(2H, br), 12.12(1H, s).
실시예 182
1-(1H-인돌-3-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3
참고예 107에서 얻은 5-(1H-인돌-3-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90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3-145℃의 무색 결정(67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5-1.80(4H, m), 2.85-3.15(8 H, m), 3.80(3H, s), 6.91(1H, t, J = 7.4Hz), 6.99(1H, d, J = 8.0Hz), 7.10-7.30(4H, m), 7.45-7.55(1H, m), 8.15-8.25(1H, m), 8.37(1H, d, J = 3.2Hz), 8.95-9.20(2H, br), 12.12(1H, s).
원소 분석 C22H26N2O2ㆍHClㆍ2.0H2O로서
계산값: C, 62.48; H, 7.39; N, 6.62.
실험값: C, 62.48; H, 6.95; N, 6.30.
실시예 183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1H-인돌-3-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4
참고예 10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H-인돌-3-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00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9-151℃의 무색 결정(92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5-1.85(4H, m), 2.80-3.20(8 H, m), 7.05-7.50(7 H, m), 8.20(1H, d, J = 6.3Hz), 8.37(1H, d, J = 3.0Hz), 9.05-9.30(2H, br), 12.12(1H, s).
원소 분석 C21H23ClN2OㆍHClㆍ3H2O로서
계산값: C, 56.63; H, 6.79; N, 6.29.
실험값: C, 56.41; H, 6.17; N, 6.04.
실시예 184
1-(1H-인돌-3-일)-6-[(2-페닐에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5
참고예 109에서 얻은 6-(1H-인돌-3-일)-6-옥소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3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0-162℃의 무색 결정(65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50 (2H, m), 1.55-1.80 (4H, m), 2.80-3.20 (8 H, m), 7.10-7.35 (7 H, m), 7.47 (1H, d, J = 7.8Hz), 8.20 (1H, d, J = 6.9Hz), 8.35-8.40 (1H, m), 8.95-9.20 (2H, br), 12.05 (1H, s).
원소 분석 C22H26N2OㆍHCl로서
계산값: C, 71.24; H, 7.34; N, 7.55.
실험값: C, 70.87; H, 7.45; N, 7.53.
실시예 185
1-(1H-인돌-3-일)-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6
참고예 110에서 얻은 6-(1H-인돌-3-일)-6-옥소헥실[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8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1-173℃의 무색 결정(55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75 (4H, m), 2.80-3.10 (8 H, m), 3.80 (3H, s), 6.91 (1H, t, J = 7.5Hz), 7.00 (1H, d, J = 8.4Hz), 7.10-7.30 (4H, m), 7.47 (1H, d, J = 7.8Hz), 8.20 (1H, d, J = 6.9Hz), 8.35 (1H, d, J = 3.0Hz), 8.85-9.05 (2H, br), 12.04 (1H, s).
실시예 186
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1H-인돌-3-일)-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7
참고예 111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6-(1H-인돌-3-일)-6-옥소헥실]카르밤산 tert-부틸(8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1-153℃의 무색 결정(791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80(4H, m), 2.80-3.20(8 H, m), 7.15-7.50(7 H, m), 8.20(1H, d, J = 6.9Hz), 8.36(1H, d, J = 3.0Hz), 9.10-9.30(2H, br), 12.04(1H, s).
원소 분석 C22H25ClN2OㆍHClㆍ2.5H2O로서
계산값: C, 58.67; H, 6.94; N, 6.22.
실험값: C, 58.04; H, 6.56; N, 6.01.
실시예 187
5-[(2-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8
참고예 112에서 얻은 5-옥소-5-(2-티에닐)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90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1-163℃의 무색 결정(90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 (4H, m), 2.85-3.20 (8 H, m), 7.20-7.40 (6H, m), 7.95-8.05 (2H, m), 9.10-9.35 (2H, br).
실시예 188
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59
참고예 113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티에닐)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45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1-103℃의 무색 결정(1.04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4H, m), 2.85-3.10(8 H, m), 3.80(3H, s), 6.91(1H, t, J = 7.2Hz), 7.00(1H, d, J = 8.1Hz), 7.18(1H, d, J = 7.2Hz), 7.20-7.30(2H, m), 7.95-8.05(2H, m), 8.95-9.15(2H, br).
원소 분석 C18H23NO2SㆍHCl로서
계산값: C, 61.09; H, 6.84; N, 3.96.
실험값: C, 60.73; H, 6.62; N, 3.85.
실시예 189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0
참고예 114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티에닐)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47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6-147℃의 무색 결정(1.09 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1.80(4H, m), 2.85-3.20(8 H, m), 7.20-7.50(5H, m), 7.95-8.05(2H, m), 9.05-9.30(2H, br).
원소 분석 C17H20ClNOSㆍHCl로서
계산값: C, 56.98; H, 5.91; N, 3.91.
실험값: C, 56.76; H, 5.82; N, 3.96.
실시예 190
6-[(2-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1
참고예 115에서 얻은 6-옥소-6-(2-티에닐)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63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2-154℃의 무색 결정(68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80(4H, m), 2.80-3.20(8 H, m), 7.20-7.40(6H, m), 7.95-8.05(2H, m), 9.00-9.20(2H, br).
실시예 191
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2
참고예 116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2-티에닐)헥실]카르밤산 tert-부틸(88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7-109℃의 무색 결정(64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75(4H, m), 2.80-3.10(8 H, m), 3.80(3H, s), 6.92(1H, t, J = 7.5Hz), 7.00(1H, d, J = 8.4Hz), 7.18(1H, d, J = 6.9Hz), 7.20-7.30(2H, m), 7.95-8.05(2H, m), 8.80-9.10(2H, br).
원소 분석 C19H25NO2SㆍHCl로서
계산값: C, 62.02; H, 7.12; N, 3.81.
실험값: C, 61.80; H, 7.04; N, 3.88.
실시예 192
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티에닐)-1-헥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3
참고예 117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2-티에닐)헥실]카르밤 산 tert-부틸(1.07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9-151℃의 무색 결정(849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2H, m), 1.55-1.75(4H, m), 2.80-3.20(8 H, m), 7.20-7.50(5H, m), 7.95-8.05(2H, m), 9.00-9.35(2H, br).
원소 분석 C18H22ClNOS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55.38; H, 6.46; N, 3.59.
실험값: C, 55.20; H, 6.57; N, 3.67.
실시예 193
(±)-8-[5-(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4
참고예 118에서 얻은 (±)-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카르밤산 tert-부틸(5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2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0-2.25(8 H, m), 2.59(2H, t, J = 7.6Hz), 2.65-3.05(8 H, m), 3.17(2H, t, J = 8.4Hz), 3.60-3.70(1H, m), 3.98(2H, t, J = 8.4Hz), 7.15-7.35(3H, m), 7.65-7.80(3H, m), 9.05-9.35(2H, br).
실시예 194
(±)-8-{5-[(1,2-디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5
참고예 119에서 얻은 (±)-1,2-디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83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0-212℃의 무색 결정(47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45-1.80(4H, m), 2.50-2.65(3H, m), 2.75-3.05(5H, m), 3.10-3.25(3H, m), 3.55-3.70(1H, m), 3.99(2H, t, J = 8.4Hz), 4.40-4.55(1H, m), 6.95-7.05(2H, m), 7.10-7.20(3H, m), 7.30-7.40(3H, m), 7.40-7.50(2H, m), 7.70-7.80(2H, m), 9.45-9.60(1H, br), 9.85-10.05(1H, br).
실시예 195
8-(5-{벤질[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6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N-벤질-N-[2-(2-메톡시페닐)에틸]아민(45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0-1.90(6H, m), 2.55(2H, t, J = 6.8Hz), 2.60-3.30(10 H, m), 3.65(2H, s), 3.74(3H, s), 4.10(2H, t, J = 8.8Hz), 6.75-6.90(2H, m), 7.05-7.35(7 H, m), 7.64(1H, s), 7.68(1H, s).
실시예 196
trans-8-[(4-{[(2-페닐에틸)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7
참고예 78에서 얻은 trans-8-{[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1.00 g) 및 탄산칼륨(1.00 g)의 디메틸포름아미드(3 ㎖) 현탁액에, (2-브로모에틸)벤젠(471 mg)을 실온에서 적하하였다. 120℃에서 30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에 물(30 ㎖) 및 아세트산에틸(3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무색 유상물(500 mg)로서 얻었다. 추가로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52-254℃의 무색 결정(47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0.95-1.20 (2H, m), 1.35-1.70 (5H, m), 1.75-2.05 (4H, m), 2.51 (2H, d, J = 6.3Hz), 2.70 (2H, t, J = 7.8Hz), 2.75-2.90 (3H, m), 3.01 (2H, t, J = 7.8Hz), 3.05-3.15 (1H, m), 3.22 (2H, t, J = 8.4Hz), 4.12 (2H, t, J = 8.4Hz), 7.10-7.35 (5H, m), 7.64 (1H, s), 7.68 (1H, s).
원소 분석 C27H32Cl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0.19; H, 7.42; N, 6.06.
실험값: C, 70.58; H, 7.35; N, 5.81.
실시예 197
trans-8-{[4-({[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8
참고예 78에서 얻은 trans-8-{[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카르보닐}-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758 mg) 및 메탄술폰산 2-(2-클로로페닐)에틸(51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9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71-273℃의 무색 결정(45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0.95-1.20 (2H, m), 1.35-1.70 (5H, m), 1.75-2.05 (4H, m), 2.55 (2H, d, J = 6.3Hz), 2.71 (2H, t, J = 7.8Hz), 2.80-2.95 (3H, m), 3.02 (2H, t, J = 7.8Hz), 3.05-3.20 (1H, m), 3.23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10-7.40 (4H, m), 7.65 (1H, s), 7.69 (1H, s).
원소 분석 C27H31N2O2Cl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5.32; H, 6.70; N, 5.64.
실험값: C, 65.70; H, 6.52; N, 5.54.
실시예 198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2-(2-클로 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69
참고예 122에서 얻은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클로로-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17-11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 (4H, m), 2.08 (3H, s), 2.91 (4H, m), 3.05 (8 H, m), 3.56 (4H, m), 7.33-7.46 (5H, m), 7.77 (2H, m), 9.18 (2H, br).
실시예 199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0
참고예 122에서 얻은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클로로-1-펜타논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93-9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 (4H, m), 2.08 (3H, s), 2.93 (4H, m), 3.04 (8 H, m), 3.58 (4H, m), 3.80 (3H, s), 6.88-7.02 (2H, m), 7.17-7.33 (3H, m), 7.75 (2H, m), 8.83 (2H, br).
실시예 200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1
참고예 123에서 얻은 5-클로로-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2-16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9 (4H, m), 2.88 (3H, s), 3.10 (8 H, m), 3.36 (8 H, m), 7.33-7.46 (5H, m), 7.78 (2H, m), 8.99 (2H, br).
실시예 201
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 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2
참고예 66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7 (4H, m), 2.88 (3H, s), 2.96-3.07 (10 H, m), 3.36 (6H, m), 3.80 (3H, s), 6.88-7.23 (2H, m), 7.17-7.36 (3H, m), 7.78 (2H, m), 8.88 (2H, br).
실시예 202
7-(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N-에틸-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3
참고예 124에서 얻은 7-(5-클로로펜타노일)-N-에틸-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9-15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02 (3H, t, J = 7.0Hz), 1.69 (4H, m), 2.91 (4H, m), 3.08 (10 H, m), 3.49 (4H, m), 7.28-7.50 (5H, m), 7.75 (2H, m), 8.23 (1H, m), 9.11 (2H, br).
실시예 203
N-에틸-7-(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4
참고예 124에서 얻은 7-(5-클로로펜타노일)-N-에틸-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0-15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02 (3H, t, J = 7.0Hz), 1.68 (4H, m), 2.90 (4H, m), 3.07 (10 H, m), 3.47 (4H, m), 3.80 (3H, s), 6.88-7.02 (2H, m), 7.17-7.31 (3H, m), 7.73 (2H, m), 8.23 (1H, m), 9.01 (2H, br).
실시예 204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트리플루오로아세틸)- 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5
참고예 120에서 얻은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80 (4H, m), 2.34 (3H, s), 2.48 (2H, t, J = 7.4Hz), 2.57-2.62 (2H, m), 2.86-3.07 (8 H, m), 3.69-3.81 (4H, m), 7.11-7.34 (5H, m), 7.75-7.78 (2H, m).
실시예 205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6
참고예 204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1.50 g)의 메탄올(40 ㎖)-물(40 ㎖) 용액에, 탄산칼륨(3.2 g, 23.5 mmol)을 첨가하였다. 실 온에서 60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물(10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1.2 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의 에탄올 용액을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33 (3H, s), 2.45 (2H, t, J = 7.4Hz), 2.57-2.62 (2H, m), 2.86-2.97 (13H, m), 7.10-7.34 (5H, m), 7.68-7.71 (2H, m).
실시예 206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7
실시예 205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294 mg) 및 트리에틸아민(139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 용액에, 아세틸 클로라이드(54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1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 거하고, 이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280 m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의 에탄올 용액을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220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80 (4H, m), 2.19 (3H, s), 2.36 (3H, s), 2.45 (2H, t, J = 7.4Hz), 2.60-2.68 (2H, m), 2.88-3.00 (8 H, m), 3.58-3.86 (4H, m), 7.12-7.34 (5H, m), 7.73-7.76 (2H, m).
실시예 207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8
실시예 205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223 mg) 및 트리에틸아민(139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 용액에, 메틸술포닐 클로라이드(45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1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이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230 m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 태의 염기체의 에탄올 용액을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200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34 (3H, s), 2.48 (2H, t, J = 7.4Hz), 2.57-2.65 (2H, m), 2.79 (3H, s), 2.86-2.99 (4H, m), 3.08-3.11 (4H, m), 3.43-3.49 (4H, m), 7.11-7.34 (5H, m), 7.74-7.77 (2H, m).
실시예 208
7-{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에틸-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79
실시예 205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365 m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 용액에, 이소시안산에틸(74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60분 교반 후, 물(10 g)을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이어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써 정제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330 m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의 에탄올 용액을 염화수소( 아세트산에틸 용액)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290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6 (3H, t, J = 7.2Hz), 1.58-1.77 (4H, m), 2.38 (3H, s), 2.54 (2H, t, J = 7.4Hz), 2.63-2.69 (2H, m), 2.90-3.00 (8 H, m), 3.31 (2H, q, J = 7.2Hz), 3.54-3.59 (4H, m), 4.74 (1H, m), 7.11-7.32 (5H, m), 7.69-7.72 (2H, m).
실시예 209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0
참고예 120에서 얻은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80 (4H, m), 2.33 (3H, s), 2.48 (2H, t, J = 7.4Hz), 2.57-2.62 (2H, m), 2.76-2.80 (2H, m), 2.93-3.06 (6H, m), 3.68-3.81 (4H, m), 3.81 (3H, s), 6.86 (2H, t, J = 9.2Hz), 7.12- 7.27 (3H, m), 7.75-7.78 (2H, m).
실시예 210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1
실시예 209에서 얻은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트리플루오로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5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7-1.79 (4H, m), 2.31 (3H, s), 2.45 (2H, t, J = 7.4Hz), 2.53-2.60 (2H, m), 2.74-2.82 (2H, m), 2.91-2.96 (11H, m), 3.81 (3H, s), 6.81-6.90 (2H, m), 7.12-7.20 (3H, m), 7.68-7.72 (2H, m).
실시예 211
1-(3-아세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5-[[2-(2-메톡 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2
실시예 210에서 얻은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6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80 (4H, m), 2.19 (3H, s), 2.35 (3H, s), 2.51 (2H, t, J = 7.4Hz), 2.58-2.65 (2H, m), 2.77-2.85 (2H, m), 2.93-3.00 (6H, m), 3.57-3.76 (4H, m), 3.81 (3H, s), 6.82-6.91 (2H, m), 7.12-7.25 (3H, m), 7.73 (2H, m).
실시예 212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3-(메틸술포닐)-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3
실시예 210에서 얻은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7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6-1.80 (4H, m), 2.36 (3H, s), 2.52 (2H, t, J = 7.4Hz), 2.58-2.69 (2H, m), 2.78 (3H, s), 2.75-2.85 (2H, m), 3.06-3.12 (4H, m), 3.43-3.47 (4H, m), 3.81 (3H, s), 6.82-6.91 (2H, m), 7.11-7.27 (3H, m), 7.73 (2H, m).
실시예 213
N-에틸-7-{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4
실시예 210에서 얻은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7-일)-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8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7 (3H, t, J = 7.4Hz), 1.56-1.79 (4H, m), 2.36 (3H, s), 2.52 (2H, t, J = 7.4Hz), 2.58-2.69 (2H, m), 2.75-2.84 (2H, m), 2.93-3.00 (6H, m), 3.32 (2H, q, J = 7.2Hz), 3.53-3.58 (4H, m), 3.81 (3H, s), 4.70 (1H, m), 6.81-6.90 (2H, m), 7.12-7.21 (3H, m), 7.71 (2H, m).
실시예 214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5
참고예 125에서 얻은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클로로-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19 (3H, s), 2.34 (3H, s), 2.48 (2H, t, J = 7.0Hz), 2.57-2.65 (2H, m), 2.87-2.98 (6H, m), 3.69 (2H, t, J = 5.8Hz), 4.67 (2H, s), 7.11-7.34 (5H, m), 8.83 (1H, s), 7.74-7.80 (2H, m).
실시예 215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1-펜타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6
실시예 214에서 얻은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5.0 g)의 진한 염산(150 ㎖) 용액을 130℃에서 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의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조제 산물을 담황색 고형물(4.2 g)로서 얻었다. 추가로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융점 9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1.79 (4H, m), 2.21 (1H, br), 2.37 (3H, s), 2.52 (2H, t, J = 7.4Hz), 2.65 (2H, m), 2.88-3.26 (6H, m), 3.58 (2H, t, J = 5.8Hz), 4.10 (2H, s), 7.12-7.35 (5H, m), 7.71-7.81 (2H, m).
실시예 216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메틸술포닐)-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7
실시예 215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7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1.79 (4H, m), 2.37 (3H, s), 2.52 (2H, t, J = 7.4Hz), 2.65 (2H, m), 2.87 (3H, s), 2.88-3.26 (6H, m), 3.58 (2H, t, J = 5.8Hz), 4.50 (2H, s), 7.12-7.35 (5H, m), 7.71-7.81 (2H, m).
실시예 217
7-{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에틸-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린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8
실시예 215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1-을 이용하여, 실시예 208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7 (3H, t, J = 5.8Hz), 1.57-1.78 (4H, m), 2.35 (3H, s), 2.48 (2H, t, J = 6.6Hz), 2.63 (2H, m), 2.89-2.99 (6H, m), 3.30-3.34 (2H, m), 3.64 (2H, t, J = 5.4Hz), 4.47 (1H, m), 4.58 (2H, s), 7.13-7.34 (5H, m), 7.73-7.79 (2H, m).
실시예 218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2-(2-클로로페닐) 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89
참고예 125에서 얻은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클로로-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8℃(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19 (3H, s), 2.37 (1H, br), 2.48 (2H, t, J = 7.0Hz), 2.57-2.65 (2H, m), 2.87-2.98 (6H, m), 3.69 (2H, t, J = 5.8Hz), 4.67 (2H, s), 7.11-7.34 (5H, m), 7.74-7.80 (2H, m).
실시예 219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0
참고예 125에서 얻은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5-클로로-1-펜타논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78℃(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19 (3H, s), 2.37 (1H, br), 2.48 (2H, t, J = 7.0Hz), 2.57-2.65 (2H, m), 2.87-2.98 (6H, m), 3.69 (2H, t, J = 5.8Hz), 3.80 (3H, s), 4.67 (2H, s), 7.11-7.34 (5H, m), 7.74-7.80 (2H, m).
실시예 220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1
참고예 14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MS m/z: 408 [M+H]+
실시예 221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 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2
참고예 149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9-15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1-1.80 (5H, m), 2.48-2.65 (4H, m), 2.65-2.99 (4H, m), 3.34 (3H, s), 3.35 (3H, s), 6.75 (1H, d, J = 8.4Hz), 7.12-7.39 (5H, m), 7.67 (1H, d, J = 8.4Hz).
실시예 222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3
참고예 129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 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1-1.80 (4H, m), 2.45 (3H, s), 2.48-2.65 (4H, m), 2.65-2.99 (4H, m), 3.34 (3H, s), 3.35 (3H, s), 6.75 (1H, d, J = 8.4Hz), 7.12-7.39 (5H, m), 7.67 (1H, d, J = 8.4Hz).
실시예 223
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4
참고예 129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1.80 (4H, m), 2.34 (3H, s), 2.46-2.64 (4H, m), 2.77-2.84 (2H, m), 2.96 (2H, t, J = 7.0Hz), 3.34 (3H, s), 3.35 (3H, s), 3.81 (3H, s), 6.75 (1H, d, J = 8.2Hz), 6.82-6.91 (2H, m), 7.13-7.22 (2H, m), 7.38 (1H, s), 7.67 (1H, d, J = 8.2Hz).
실시예 224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5
참고예 13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77 (4H, m), 2.14 (2H, m), 2.35 (3H, s), 2.49 (2H, m), 2.58 (2H, m), 2.87-3.00 (6H, m), 3.89 (2H, m), 7.11-7.35 (5H, m), 7.58 (1H, m), 10.91 (1H, s).
실시예 225
8-{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6
참고예 13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7℃(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77 (4H, m), 2.16 (2H, m), 2.36 (3H, s), 2.48-2.67 (4H, m), 2.78-3.00 (6H, m), 3.81 (3H, s), 3.88 (2H, m), 6.81-6.90 (3H, m), 7.12-7.16 (2H, m), 7.49 (1H, m), 7.58 (1H, m).
실시예 226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7
참고예 134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78 (4H, m), 2.10 (2H, m), 2.34 (3H, s), 2.48 (2H, m), 2.60 (2H, m), 2.86-3.00 (5H, m), 3.22 (1H, m), 3.44 (3H, s), 3.84 (2H, m), 6.87 (1H, t, J = 8.4Hz), 7.11-7.34 (4H, m), 7.63 (1H, t, J = 8.4Hz).
실시예 227
8-{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8
참고예 134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9-1.78 (4H, m), 2.10 (2H, m), 2.34 (3H, s), 2.45-2.63 (5H, m), 2.78 (2H, m), 2.93 (2H, m), 3.22 (1H, m), 3.44 (3H, s), 3.82 (3H, s), 3.88 (2H, m), 6.82-6.91 (3H, m), 7.12-7.34 (2H, m), 7.63 (1H, t, J = 8.4Hz).
실시예 228
(±)-6-(3-{[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 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599
참고예 150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3-(1,3-디메틸-2,5-디옥소-2,3,5,6,7,8-헥사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6-일)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1-20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68 (4H, m), 1.93 (3H, m), 2.25 (1H, m), 2.51 (2H, m), 2.65 (2H, m), 2.90 (2H, m), 3.03 (2H, m), 3.42 (3H, s), 3.43 (3H, s), 6.76 (1H, s), 7.11-7.34 (4H, m), 7.65 (1H, s).
실시예 229
(±)-6-{3-[[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0
참고예 141에서 얻은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 민을 이용하다,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1℃(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68 (4H, m), 1.93 (2H, m), 2.25 (1H, m), 2.36 (3H, s), 2.51 (2H, m), 2.65 (2H, m), 2.90 (2H, m), 3.03 (2H, m), 3.42 (3H, s), 3.43 (3H, s), 6.76 (1H, s), 7.11-7.34 (4H, m), 7.65 (1H, s).
실시예 230
(±)-6-{3-[[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1
참고예 141에서 얻은 (±)-6-(3-클로로프로필)-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다,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0-19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6-1.67 (4H, m), 1.94 (2H, m), 2.24 (1H, m), 2.36 (3H, s), 2.48 (2H, m), 2.61 (2H, m), 2.80 (2H, m), 3.04 (2H, m), 3.41 (3H, s), 3.42 (3H, s), 3.82 (3H, s), 6.76-6.91 (3H, m), 7.13-7.22 (2H, m), 7.65 (1H, s).
실시예 231
(±)-6-(4-{[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2
참고예 142에서 얻은 (±)-6-(4-클로로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68 (6H, m), 1.98 (2H, m), 2.22 (1H, m), 2.38 (1H, br), 2.41-2.50 (2H, m), 2.57-2.65 (2H, m), 2.87-2.95 (2H, m), 2.99-3.06 (2H, m), 3.41 (3H, s), 3.42 (3H, s), 6.75 (1H, s), 7.11-7.34 (4H, m), 7.65 (1H, s).
실시예 232
(±)-6-{4-[[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부틸}-1,3-디메틸-3,6,7,8- 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3
참고예 142에서 얻은 (±)-6-(4-클로로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다,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2-20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68 (6H, m), 1.98 (2H, m), 2.22 (1H, m), 2.34 (3H, s), 2.41-2.50 (2H, m), 2.57-2.65 (2H, m), 2.87-2.95 (2H, m), 2.99-3.06 (2H, m), 3.41 (3H, s), 3.42 (3H, s), 6.75 (1H, s), 7.11-7.34 (4H, m), 7.65 (1H, s).
실시예 233
(±)-6-{4-[[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4
참고예 142에서 얻은 (±)-6-(4-클로로부틸)-1,3-디메틸-3,6,7,8-테트라하이드로-1H-나프토[2,3-d]이미다졸-2,5-디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 을 이용하다,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8-1.68 (6H, m), 1.98 (2H, m), 2.22 (1H, m), 2.35 (3H, s), 2.44-2.52 (2H, m), 2.57-2.65 (2H, m), 2.75-2.84 (2H, m), 3.01-3.06 (2H, m), 3.41 (3H, s), 3.42 (3H, s), 3.82 (3H, s), 6.74-6.91 (3H, m), 7.13-7.21 (2H, m), 7.65 (1H, s).
실시예 234
(±)-2-{3-[[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인다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5
참고예 146에서 얻은 (±)-2-(3-클로로프로필)-5,6-디메톡시-1-인다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8 (1H, m), 1.59 (2H, m), 1.94 (1H, m), 2.34 (3H, s), 2.47 (2H, t, J = 7.6Hz), 2.58-2.75 (4H, m), 2.90 (2H, m), 3.24 (1H, dd, J = 17.1, 7.8Hz), 3.90 (3H, s), 3.96 (3H, s), 6.86 (1H, s), 7.08-7.32 (5H, m).
실시예 235
(±)-5,6-디메톡시-2-{3-[[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1-인다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6
참고예 146에서 얻은 (±)-2-(3-클로로프로필)-5,6-디메톡시-1-인다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6-1.70 (4H, m), 1.95 (2H, m), 2.33 (3H, s), 2.44-2.83 (6H, m), 3.25 (1H, dd, J = 17.2, 7.4Hz), 3.81 (3H, s), 3.91 (3H, s), 3.97 (3H, s), 6.81-6.90 (3H, m), 7.12-7.21 (3H, m).
실시예 236
(±)-2-{4-[[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7
참고예 147에서 얻은 (±)-2-(4-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및 N- [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5-1.59 (4H, m), 1.99 (2H, m), 2.33 (3H, s), 2.45 (2H, t, J = 7.6Hz), 2.54-2.62 (4H, m), 2.80 (2H, m), 3.25 (1H, dd, J = 17.2, 7.4Hz), 3.92 (3H, s), 3.96 (3H, s), 6.87 (1H, s), 7.11-7.34 (5H, m).
실시예 237
(±)-5,6-디메톡시-2-{4-[[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부틸}-1-인다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8
참고예 147에서 얻은 (±)-2-(4-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5-1.59 (4H, m), 1.99 (2H, m), 2.32 (3H, s), 2.45 (2H, t, J = 7.6Hz), 2.54-2.62 (4H, m), 2.80 (2H, m), 3.25 (1H, dd, J = 17.2, 7.4Hz), 3.80 (3H, s), 3.90 (3H, s), 3.96 (3H, s), 6.81-6.91 (3H, m), 7.13-7.21 (3H, m).
실시예 238
8-[5-(5-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09
참고예 13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5-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9-1.83 (4H, m), 2.10 (2H, m), 2.57 (2H, t, J = 6.0Hz), 2.86 (2H, m), 3.01 (2H, m), 3.18 (2H, m), 3.61 (2H, s), 3.80 (3H, s), 3.72-3.90 (4H, m), 6.63-6.69 (2H, m), 6.86 (1H, t, J = 8.4Hz), 7.08 (1H, t, J = 8.0Hz), 7.56 (1H, m), 9.56 (1H, br).
실시예 239
8-[5-(5-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1-메틸-5,6- 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0
참고예 134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메틸-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및 5-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다,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9-1.83 (4H, m), 2.05 (2H, m), 2.54 (2H, t, J = 6.0Hz), 2.70-2.87 (4H, m), 3.00 (2H, m), 3.22 (2H, t, J = 6.0Hz), 3.42 (3H, s), 3.59 (2H, s), 3.80 (3H, s), 3.81-3.88 (2H, m), 6.64 (2H, t, J = 8.1Hz), 6.67 (1H, d, J = 8.1Hz), 7.80 (1H, t, J = 7.8Hz), 7.56 (1H, m).
실시예 240
8-[5-(5-클로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1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5-클로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8-1.86 (4H, m), 2.01 (2H, m), 2.55 (2H, t, J = 7.2Hz), 2.70-2.83 (6H, m), 2.97 (2H, t, J = 7.0Hz), 3.50 (2H, s), 3.58 (2H, s), 3.72 (2H, t, J = 6.0Hz), 6.91 (1H, d, J = 7.2Hz), 7.04 (1H, t, J = 7.8Hz), 7.17 (1H, t, J = 7.6Hz), 7.72 (2H, s).
실시예 241
8-[5-(5-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2
참고예 3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5-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6-1.85 (4H, m), 1.98 (2H, m), 2.54 (2H, t, J = 7.0Hz), 2.71-2.81 (6H, m), 2.97 (2H, t, J = 6.6Hz), 3.48 (2H, s), 3.58 (2H, s), 3.72 (2H, t, J = 6.4Hz), 3.80 (3H, s), 6.64 (2H, t, J = 7.0Hz), 7.08 (1H, t, J = 7.6Hz), 7.73 (2H, s).
실시예 242
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5-(5-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3
참고예 129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1,3-디하이드로-2,1,3-벤조티아디아졸-5-일)-1-펜타논 및 5-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8-1.85 (4H, m), 2.58 (2H, t, J = 7.0Hz), 2.72 (4H, m), 2.98 (2H, t, J = 7.4Hz), 3.29 (3H, s), 3.30 (3H, s), 3.58 (2H, s), 3.79 (3H, s), 6.61-6.66 (3H, m), 7.08 (1H, t, J = 8.0Hz), 7.34 (1H, m), 7.65 (1H, m).
실시예 243
(±)-2-[4-(5-클로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부틸]-5,6-디메톡 시-1-인다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4
참고예 147에서 얻은 (±)-2-(4-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및 5-클로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9-1.68 (4H, m), 1.95 (2H, m), 2.52 (2H, t, J = 7.6Hz), 2.62-2.78 (4H, m), 2.87 (2H, m), 3.24 (1H, dd, J = 16.8, 7.2Hz), 3.59 (2H, s), 3.90 (3H, s), 3.96 (3H, s), 6.87-6.94 (2H, m), 7.05 (1H, t, J = 7.8Hz), 7.18 (2H, m).
실시예 244
(±)-5,6-디메톡시-2-[4-(5-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부틸]-1-인다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5
참고예 147에서 얻은 (±)-2-(4-클로로부틸)-5,6-디메톡시-1-인다논 및 5-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0-1.68 (4H, m), 1.97 (2H, m), 2.51 (2H, t, J = 8.2Hz), 2.62-2.76 (6H, m), 3.23 (1H, dd, J = 17.2, 7.6Hz), 3.59 (2H, s), 3.80 (3H, s), 3.90 (3H, s), 3.96 (3H, s), 6.62-6.67 (2H, m), 6.87 (1H, s), 7.08 (1H, t, J = 7.8Hz), 7.17 (1H, s).
실시예 245
8-(5-{[2-(1H-인돌-3-일)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6
참고예 151에서 얻은 2-(1H-인돌-3-일)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82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9-180℃의 무색 결정(6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8Hz), 2.80-3.25 (12H, m), 3.98 (2H, t, J = 8.4Hz), 7.00 (1H, t, J = 7.8Hz), 7.09 (1H, t, J = 7.8Hz), 7.24 (1H, d, J = 2.1Hz), 7.37 (1H, d, J = 7.8Hz), 7.61 (1H, d, J = 7.8Hz), 7.73 (1H, s), 7.74 (1H, s), 9.00-9.20 (2H, br), 11.0 (1H, s).
실시예 246
(±)-8-{5-[(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7
참고예 152에서 얻은 (±)-2-하이드록시-2-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29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68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8Hz), 2.90-3.25 (10 H, m), 3.99 (2H, t, J = 8.4Hz), 4.98 (1H, d, J = 8.4Hz), 6.10-6.30 (1H, br), 7.30-7.50 (5H, m), 7.73 (1H, s), 7.74 (1H, s), 8.85-9.25 (2H, br).
실시예 247
(±)-8-(5-{[2-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8
참고예 153에서 얻은 (±)-2-하이드록시-2-(3-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0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8-179℃의 무색 결정(169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55-1.80 (4H, m), 2.59 (2H, t, J = 7.8Hz), 2.80-3.60 (10 H, m), 3.99 (2H, t, J = 8.4Hz), 4.90 (1H, d, J = 9.9Hz), 5.90-6.30 (1H, br), 6.65-6.90 (3H, m), 7.16 (1H, t, J = 7.8Hz), 7.73 (1H, s), 7.74 (1H, s), 8.65-8.85 (1H, br), 9.00-9.25 (1H, br), 9.40-9.65 (1H, br).
실시예 248
8-(5-{[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19
참고예 155에서 얻은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82 mg)을 융점 128-129℃(분해)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2-1.73 (4H, m), 1.90-1.94 (2H, m), 2.77 (2H, t, J = 7Hz), 2.95-3.09 (8 H, m), 3.57 (2H, s), 3.60 (2H, t, J = 6Hz), 7.22 (1H, dt, J = 2.7, 8.5Hz), 7.43-7.47 (2H, m), 7.71 (1H, s), 7.75 (1H, s), 9.22 (2H, s).
IR (KBr) νcm-1: 3491, 2945, 2774, 1712, 1671, 1604, 1495, 1346, 1153.
실시예 249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0
참고예 156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5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5 mg)을 융점 176-177℃(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1-1.73 (4H, m), 2.18 (3H, s), 2.95-3.08 (8 H, m), 3.17 (2H, t, J = 8.3Hz), 4.14 (2H, t, J = 8.5Hz), 7.22 (1H, dt, J = 2.7, 8.5Hz), 7.43-7.47 (2H, m), 7.82 (1H, s), 7.83 (1H, t, J = 8.0Hz), 8.08 (1H, d, J = 8.5Hz), 9.17 (2H, s).
IR (KBr) νcm-1: 3436, 2954, 2780, 1667, 1604, 1494, 1442, 1403, 1338, 1260, 1233.
실시예 250
6-(5-{[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1
참고예 157에서 얻은 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56 mg)을 융점 169-170℃(분해)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8-1.65 (4H, m), 2.49 (2H, t, J = 7.0Hz), 2.83-3.04 (10 H, m), 3.19 (3H, s), 7.09 (1H, d, J = 8.5Hz), 7.13 (1H, dt, J = 2.6, 8.5Hz), 7.33-7.40 (2H, m), 7.76 (1H, s), 7.80 (1H, d, J = 8.3Hz), 9.33 (2H, s).
IR (KBr) νcm-1: 3433, 2953, 2790, 1673, 1603, 1494, 1354, 1128.
실시예 251
8-[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2
참고예 158에서 얻은 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95 mg)을 융점 71-72℃(분해)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6-1.68 (4H, m), 1.89-1.95 (2H, m), 2.77 (2H, t, J = 6Hz), 2.97-3.06 (8 H, m), 3.58 (2H, s), 3.61 (2H, t, J = 6Hz), 7.35-7.47 (4H, m), 7.72 (1H, s), 7.76 (1H, s), 9.06 (2H, br.s).
IR (KBr) νcm-1: 3422, 2943, 1711, 1605, 1496, 1344, 1256, 1154.
실시예 252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3
참고예 159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4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4 mg)을 융점 180-182℃(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5-1.71 (4H, m), 2.18 (3H, s), 2.96-3.07 (8 H, m), 3.17 (2H, t, J = 8.3Hz), 4.14 (2H, t, J = 8.3Hz), 7.35-7.48 (4H, m), 7.82 (1H, s), 7.83 (1H, t, J = 8.3Hz), 8.08 (1H, d, J = 8.3Hz), 9.20 (2H, br.s).
IR (KBr) νcm-1: 3432, 2953, 2766, 1676, 1601, 1492, 1442, 1398, 1260, 1177.
실시예 253
1-메틸-6-[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 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4
참고예 160에서 얻은 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43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37 mg)을 융점 89-90℃(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69 (4H, m), 2.58 (2H, t, J = 7.0Hz), 2.92-3.07 (10 H, m), 3.28 (3H, s), 7.19 (1H, d, J = 8.5Hz), 7.35-7.48(4H, m), 7.84 (1H, s), 7.89 (1H, d, J = 8.3Hz), 9.11 (2H, br.s).
IR (KBr) νcm-1: 3432, 2944, 1675, 1604, 1456, 1364, 1265, 1131.
실시예 254
1,3-디메틸-5-[5-({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5
참고예 161에서 얻은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27 mg)을 융점 133-134℃(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70-1.74 (4H, m), 2.98 (2H, br.s), 3.08-3.11 (6H, m), 3.36 (3H, s), 3.38 (3H, s), 7.24 (1H, d, J = 8.3Hz), 7.35-7.43 (3H, m), 7.46 (1H, dd, J = 2.2, 7.0Hz), 7.72 (1H, d, J = 1.5Hz), 7.80 (1H, dd, J = 1.5, 8.3Hz), 9.19 (2H, br.s).
IR (KBr) νcm-1: 3496, 2954, 2782, 1720, 1675, 1513, 1456, 1255, 1213, 1178.
실시예 255
8-(5-{[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6
참고예 162에서 얻은 3-(2-메톡시페닐)프로필[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1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4 (4H, br.s), 1.72-1.95 (4H, m), 2.59 (2H, t, J = 6Hz), 2.70-2.93 (6H, m), 2.98 (2H, br.s), 3.57 (2H, s), 3.60 (2H, br.s), 3.77 (3H, s), 6.87 (1H, t, J = 7.3Hz), 6.95 (1H, d, J = 7.6Hz), 7.14 (1H, d, J = 7.3Hz), 7.19 (1H, t, J = 7.6Hz), 7.71 (1H, s), 7.75 (1H, s), 8.81 (2H, br.s).
IR (KBr) νcm-1: 3425, 2945, 1708, 1664, 1601, 1495, 1344, 1244, 1155, 759.
실시예 256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미노}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7
참고예 163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3-(2-메톡시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41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0 mg)을 융점 165-166℃(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68 (4H, m), 1.85-1.95 (2H, m), 2.18 (3H, s), 2.59 (2H, t, J = 7.3Hz), 2.79-2.87 (4H, m), 2.98 (2H, t, J = 7Hz), 3.16 (2H, t, J = 8.3Hz), 3.77 (3H, s), 4.13 (2H, t, J = 8.3Hz), 6.89 (1H, t, J = 7.6Hz), 6.94 (1H, d, J = 7.6Hz), 7.15 (1H, d, J = 7.6Hz), 7.19 (1H, t, J = 7.6Hz), 7.81 (1H, s), 7.82 (1H, d, J = 8.3Hz), 8.08 (1H, d, J = 8.3Hz), 9.00 (2H, br.s).
IR (KBr) νcm-1: 3436, 2945, 1676, 1661, 1602, 1492, 1438, 1399, 1334, 1243, 754.
실시예 257
6-(5-{[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8
참고예 164에서 얻은 3-(2-메톡시페닐)프로필[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1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5 mg)을 융점 88-89℃(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7 (4H, br.s), 1.78-1.84 (2H, m), 2.47-2.53 (4H, m), 2.75-2.80 (4H, m), 2.85 (2H, t, J = 7Hz), 2.93 (2H, t, J = 7Hz), 3.19 (3H, s), 3.69 (3H, s), 6.79 (1H, t, J = 7.3Hz), 6.87 (1H, d, J = 7.3Hz), 7.07 (1H, d, J = 7.3Hz), 7.10 (1H, d, J = 8.3Hz), 7.11 (1H, t, J = 7.3Hz), 7.75 (1H, s), 7.81 (1H, d, J = 8.3Hz), 8.88 (2H, br.s).
IR (KBr) νcm-1: 3434, 2948, 1672, 1603, 1495, 1464, 1360, 1245, 1128, 750.
실시예 258
5-(5-{[3-(2-메톡시페닐)프로필]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29
참고예 165에서 얻은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3-(2-메톡시페닐)프로필]카르밤산 tert-부틸(38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8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3-1.63 (4H, m), 1.77-1.85 (2H, m), 2.51 (2H, t, J = 7.5Hz), 2.76-2.81 (4H, m), 2.98 (2H, t, J = 6.6Hz), 3.26 (3H, s), 3.29 (3H, s), 3.69 (3H, s), 6.78 (1H, t, J = 7.3Hz), 6.87 (1H, d, J = 7.5Hz), 7.06 (1H, d, J = 7.5Hz), 7.10 (1H, t, J = 7.3Hz), 7.15 (1H, d, J = 8.3Hz), 7.62 (1H, d, J = 1.5Hz), 7.70 (1H, dd, J = 1.5, 8.3Hz), 8.92 (2H, br.s).
IR (KBr) νcm-1: 3443, 2943, 1715, 1673, 1621, 1512, 1495, 1462, 1244, 1200, 758.
실시예 259
8-(5-{[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0
참고예 166에서 얻은 2-(2-에톡시페녹시)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0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2 mg)을 융점 111-113℃(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1 (3H, t, J = 6.6Hz), 1.69 (4H, br.s), 1.91 (2H, br.s), 2.76 (2H, br.s), 3.00-3.08 (4H, m), 3.29 (2H, br.s), 3.57 (2H, s), 3.60 (2H, br.s), 4.01 (2H, q, J = 6.6Hz), 4.26 (2H, br.s), 6.88-7.04 (4H, m), 7.71 (1H, s), 7.75 (1H, s), 9.16 (2H, br.s).
IR (KBr) νcm-1: 3418, 2940, 1708, 1671, 1603, 1507, 1348, 1254, 1213, 1155, 1127, 740.
실시예 260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1
참고예 167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9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5 mg)을 융점 125-126℃(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1 (3H, t, J = 6.8Hz), 1.65-1.71 (4H, m), 2.18 (3H, s), 2.99-3.18 (6H, m), 3.28 (2H, br.s), 4.01 (2H, q, J = 6.8Hz), 4.13 (2H, t, J = 8.3Hz), 4.28 (2H, t, J = 6Hz), 6.85-7.04 (4H, m), 7.81 (1H, s), 7.82 (1H, d, J = 8Hz), 8.08 (1H, d, J = 8Hz), 9.30 (2H, s).
IR (KBr) νcm-1: 3498, 2943, 1683, 16424, 1598, 1509, 1488, 1448, 1407, 1254, 1209, 1126, 746.
실시예 261
6-(5-{[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2
참고예 168에서 얻은 2-(2-에톡시페녹시)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2 mg)을 융점 135-136℃(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1 (3H, t, J = 6.8Hz), 1.65-1.76 (4H, m), 2.57 (2H, t, J = 6Hz), 2.93 (2H, t, J = 7Hz), 3.04 (2H, t, J = 7Hz), 3.09 (2H, br.s), 3.27 (3H, s), 3.29 (2H, t, J = 6Hz), 4.01 (2H, q, J = 6.8Hz), 4.28 (2H, t, J = 6Hz), 6.85-7.05 (4H, m), 7.18 (1H, d, J = 8.3Hz), 7.83 (1H, s), 7.89 (1H, d, J = 8.3Hz), 9.27 (2H, s).
IR (KBr) νcm-1: 3436, 2954, 1671, 1605, 1508, 1455, 1358, 1256, 1220, 1130, 744.
실시예 262
5-(5-{[2-(2-에톡시페녹시)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3
참고예 169에서 얻은 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녹시)에틸]카르밤산 tert-부틸(2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6 mg)을 융점 103-10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1 (3H, t, J = 6.8Hz), 1.67-1.77 (4H, m), 3.09 (4H, t, J = 7Hz), 3.30 (2H, t, J = 7.5Hz), 3.36 (3H, s), 3.37 (3H, s), 4.00 (2H, q, J = 6.8Hz), 4.27 (2H, t, J = 5.3Hz), 6.85-7.00 (3H, m), 7.03 (1H, dd, J = 1.7, 7.8Hz), 7.24 (1H, d, J = 8.3Hz), 7.72 (1H, d, J = 1.5Hz), 7.79 (1H, dd, J = 1.5, 8.3Hz), 9.23 (2H, br.s).
IR (KBr) νcm-1: 3527, 2942, 2742, 1719, 1667, 1620, 1506, 1456, 1249, 1202, 1128, 737.
실시예 263
8-[5-({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 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4
참고예 170에서 얻은 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0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1 mg)을 융점 98-100℃(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6 (3H, t, J = 6.8Hz), 1.65-1.71 (4H, m), 1.88-1.94 (2H, m), 2.76 (2H, t, J = 6.0Hz), 2.94-3.00 (4H, m), 3.11 (2H, br.s), 3.51 (2H, t, J = 6.6Hz), 3.57 (2H, s), 3.60 (2H, t, J = 6.0Hz), 4.04 (2H, q, J = 6.8Hz), 6.26 (2H, br) 6.80-6.86 (2H, m), 6.91-6.93 (2H, m), 7.71 (1H, s), 7.75 (1H, s), 9.27 (2H, s).
IR (KBr) νcm-1: 3392, 2774, 1709, 1665, 1606, 1496, 1344, 1267, 1162, 1040, 766.
실시예 264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에톡시페닐)아미노]에 틸}아미노)펜탄-1-온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5
참고예 171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9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45 mg)을 융점 155-157℃(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6 (3H, t, J = 6.8Hz), 1.64-1.70 (4H, m), 2.18 (3H, s), 2.95 (2H, br.s), 3.00 (2H, t, J = 6.8Hz), 3.13-3.19 (4H, m), 3.53 (2H, t, J = 6.6Hz), 4.05 (2H, q, J = 6.8Hz), 4.14 (2H, t, J = 8.5Hz), 6.85-7.02 (4H, m), 6.94 (2H, br) 7.82 (1H, s), 7.83 (1H, d, J = 8.3Hz), 8.07 (1H, d, J = 8.3Hz), 9.36 (2H, s).
IR (KBr) νcm-1: 3546, 3467, 2748, 1678, 1600, 1504, 1439, 1393, 1322, 1265, 1122, 1042, 762.
실시예 265
5-[5-({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 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6
참고예 171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에톡시페닐)아미노]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48 mg)을 융점 173-17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36 (3H, t, J = 7.0Hz), 1.65-1.73 (4H, m), 2.97 (2H, br.s), 3.08 (2H, t, J = 6.8Hz), 3.13 (2H, br.s), 3.35 (3H, s), 3.37 (3H, s), 3.53 (2H, t, J = 6.5Hz), 4.05 (2H, q, J = 7.0Hz), 6.85-7.02 (4H, m), 7.24 (1H, d, J = 8.3Hz), 7.46 (2H, br) 7.72 (1H, s), 7.79 (1H, d, J = 8.3Hz), 9.39 (2H, s).
IR (KBr) νcm-1: 3423, 2749, 1718, 1673, 1619, 1506, 1394, 1263, 1200, 1041, 767.
실시예 266
8-{3-[1-(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 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7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12 mg), 및 (2-브로모에틸)벤젠(18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7-208℃의 담황색 결정(28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42-1.47 (3H, m), 1.69-1.80 (4H, m), 2.01-2.13 (4H, m), 2.64-2.68 (2H, m), 2.81-2.88 (4H, m), 2.95 (2H, t, J = 7.6Hz), 3.10 (2H, d, J = 11.5Hz), 3.55 (2H, s), 3.74 (2H, t, J = 6Hz), 7.18-7.30 (5H, m), 7.73 (2H, s).
IR (KBr) νcm-1: 1715, 1672, 1604, 1343, 1152.
실시예 267
8-(3-{1-[2-(2-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8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12 mg),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에틸(23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184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7-1.76 (4H, m), 1.97-2.07 (4H, m), 2.51-2.55 (2H, m), 2.80-2.84 (4H, m), 2.94 (2H, t, J = 7.5Hz), 3.03 (2H, d, J = 11.0Hz), 3.55 (2H, s), 3.74 (2H, t, J = 6Hz), 3.81(3H, s), 6.83-6.89 (2H, m), 7.13-7.20 (2H, m),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3, 1604, 1495, 1343, 1243, 1153.
실시예 268
8-(3-{1-[2-(2-메틸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39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메탄술폰산 2-(2-메틸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8 (4H, m), 1.99-2.07 (4H, m), 2.32 (3H, s), 2.49-2.53 (2H, m), 2.79-2.85 (4H, m), 2.95 (2H, t, J = 7.5Hz), 3.06 (2H, d, J = 10.7Hz), 3.55 (2H, s), 3.74 (2H, t, J = 6Hz), 7.09-7.15 (4H, m),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3, 1604, 1495, 1342, 1153.
실시예 269
8-(3-{1-[2-(2-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0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메탄술폰산 2-(2-클로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8 (4H, m), 2.01-2.07 (4H, m), 2.55-2.59 (2H, m), 2.82 (2H, t, J = 6Hz), 2.93-2.96 (4H, m), 3.03 (2H, d, J = 11.0Hz), 3.55 (2H, s), 3.74 (2H, t, J = 6Hz), 7.13-7.34 (4H, m), 7.73 (2H, s).
IR (KBr) νcm-1: 1716, 1673, 1604, 1496, 1342, 1152.
실시예 270
8-(3-{1-[2-(3-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1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메탄술폰산 2-(3-메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39 (3H, m), 1.68-1.77 (4H, m), 1.97-2.07 (4H, m), 2.55-2.59 (2H, m), 2.77-2.84 (4H, m), 2.93-3.02 (4H, m), 3.55 (2H, s), 3.74 (2H, t, J = 6Hz), 3.79 (3H, s), 6.73-6.80 (3H, m), 7.20 (1H, t, J = 8Hz),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3, 1603, 1342, 1152.
실시예 271
8-(3-{1-[2-(3-메틸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2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메탄술폰산 2-(3-메틸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39 (3H, m), 1.68-1.77 (4H, m), 1.97-2.07 (4H, m), 2.32 (3H, s), 2.54-2.58 (2H, m), 2.75-2.85 (4H, m), 2.93-3.03 (4H, m), 3.55 (2H, s), 3.74 (2H, t, J = 6Hz), 6.99-7.04 (3H, m), 7.17 (1H, t, J = 8Hz), 7.73 (2H, s).
IR (KBr) νcm-1: 1719, 1673, 1605, 1342, 1152.
실시예 272
8-(3-{1-[2-(3-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 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3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312 mg), 및 메탄술폰산 2-(3-클로로페닐)에틸(23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8-109℃의 담황색 결정(20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28-1.40 (3H, m), 1.67-1.77 (4H, m), 1.96-2.07 (4H, m), 2.53-2.57 (2H, m), 2.76-2.84 (4H, m), 2.90-3.00 (4H, m), 3.55 (2H, s), 3.74 (2H, t, J = 6Hz), 7.07-7.25 (4H, m),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3, 1603, 1343, 1152.
실시예 273
8-(3-{1-[2-(3-플루오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4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메탄술폰산 2-(3-플루오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4-215℃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29-1.40 (3H, m), 1.68-1.77 (4H, m), 1.97-2.07 (4H, m), 2.54-2.58 (2H, m), 2.78-2.84 (4H, m), 2.93-3.00 (4H, m), 3.55 (2H, s), 3.74 (2H, t, J = 6Hz), 6.86-6.98 (3H, m), 7.20-7.26 (1H, m),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3, 1604, 1342, 1143.
실시예 274
8-{3-[1-(3-페닐프로필)-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5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3-브로모프로필)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25-1.40 (3H, m), 1.63-1.73 (4H, m), 1.80-1.92 (5H, m), 2.00-2.06 (2H, m), 2.35 (2H, t, J = 7.6Hz), 2.62 (2H, t, J = 7.6Hz), 2.82 (2H, t, J = 6Hz), 2.91-2.95 (3H, m), 3.55 (2H, s), 3.74 (2H, t, J = 6Hz), 7.12-7.33 (5H, m), 7.73 (2H, s).
IR (KBr) νcm-1: 1714, 1672, 1604, 1496, 1344, 1153.
실시예 275
8-(3-{1-[2-(2-메틸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6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1-(2-브로모에톡시)-2-메틸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35 (3H, m), 1.67-1.75 (4H, m), 2.00-2.06 (2H, m), 2.14 (2H, t, J = 11.0Hz), 2.21 (3H, s), 2.80-2.84 (4H, m), 2.94 (2H, t, J = 7.4Hz), 3.03 (2H, d, J = 11Hz), 3.55 (2H, s), 3.74 (2H, t, J = 6Hz), 4.11 (2H, t, J = 6Hz), 6.80-6.87 (2H, m), 7.12-7.15 (2H, m), 7.73 (2H, s).
IR (KBr)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3, 1244.
실시예 276
8-(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7
참고예 174에서 얻은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및 1-(2-브로모에톡시)-2-에톡시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39 (3H, m), 1.43 (3H, t, J = 7Hz), 1.67-1.75 (4H, m), 2.00-2.13 (4H, m), 2.81-2.84 (4H, m), 2.94 (2H, t, J = 7.5Hz), 3.03 (2H, d, J = 11Hz), 3.55 (2H, s), 3.74 (2H, t, J = 6Hz), 4.07(2H, q, J = 7Hz), 4.11-4.15 (2H, m), 6.87-6.91 (4H, m), 7.73 (2H, s).
IR (KBr) νcm-1: 1717, 1672, 1604, 1499, 1342, 1253.
실시예 277
9-{3-[1-(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8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브로모에틸)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7 (4H, m), 1.94-2.03 (4H, m), 2.56-2.69 (2H, m), 2.68 (2H, t, J = 7Hz), 2.79-2.86 (4H, m), 2.94 (4H, t, J = 7Hz), 3.02 (2H, d, J = 11Hz), ), 3.90 (2H, t, J = 6Hz), 7.17-7.30 (5H, m), 7.62 (2H, d, J = 5.4Hz).
IR (KBr) νcm-1: 1674, 1604, 1360, 1158.
실시예 278
9-(3-{1-[2-(2-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 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49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7-1.76 (4H, m), 1.94-2.03 (4H, m), 2.51-2.55 (2H, m), 2.68 (2H, t, J = 7Hz), 2.81-2.86 (4H, m), 2.94 (4H, t, J = 7Hz), 3.03 (2H, d, J = 11Hz), 3.81 (3H, s), 3.89 (2H, t, J = 6Hz), 6.83-6.89 (2H, m), 7.13-7.20 (2H, m),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4, 1494, 1362, 1339, 1243, 1168.
실시예 279
9-(3-{1-[2-(2-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 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0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8 (4H, m), 1.94-2.07 (4H, m), 2.55-2.59 (2H, m), 2.68 (2H, t, J = 7Hz), 2.84 (2H, t, J = 6Hz), 2.96 (6H, t, J = 7Hz), 3.03 (2H, d, J = 11Hz), 3.89(2H, d, J = 6Hz), 7.12-7.34 (4H, m),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4, 1489, 1361, 1339, 1168.
실시예 280
9-(3-{1-[2-(3-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1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3-메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7-1.77 (4H, m), 1.95-2.02 (4H, m), 2.53-2.60 (2H, m), 2.68 (2H, t, J = 7Hz), 2.77-2.87 (4H, m), 2.92-3.02 (6H, m), 3.79 (3H, s), 3.89 (2H, t, J = 6Hz), 6.73-6.80 (3H, m), 7.18-7.22 (1H, m),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3, 1485, 1361, 1339, 1167.
실시예 281
9-(3-{1-[2-(3-메틸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2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3-메틸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70-1.77 (4H, m), 1.94-2.02 (4H, m), 2.32 (3H, s), 2.54-2.58 (2H, m), 2.68 (2H, t, J = 7Hz), 2.75-2.80 (2H, m), 2.83-2.86 (2H, m), 2.94 (4H, t, J = 7Hz), 3.02 (2H, d, J = 11Hz), 3.89 (2H, t, J = 6Hz), 6.99-7.01 (3H, m), 7.17 (1H, t, J = 7Hz),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5, 1604, 1485, 1361, 1339, 1166.
실시예 282
9-(3-{1-[2-(3-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3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3-클로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7 (4H, m), 1.94-2.02 (4H, m), 2.54-2.58 (2H, m), 2.68 (2H, t, J = 7Hz), 2.76-2.80 (2H, m), 2.84 (2H, t, J = 6Hz), 2.90-3.00 (6H, m), 3.90 (2H, t, J = 6Hz), 7.08 (1H, d, J = 7Hz), 7.16-7.23 (3H, m),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3, 1483, 1360, 1338, 1167.
실시예 283
9-(3-{1-[2-(3-플루오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4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3-플루오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81 (4H, m), 1.94-2.02 (4H, m), 2.55-2.59 (2H, m), 2.68 (2H, t, J = 7Hz), 2.78-2.86 (4H, m), 2.92-3.00 (6H, m), 3.89 (2H, t, J = 6Hz), 6.86-6.98 (3H, m), 7.23 (1H, q, J = 4Hz),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4, 1585, 1486, 1361, 1339, 1158.
실시예 284
(±)-9-{3-[1-(1-메틸-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5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1-메틸-2-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0.94 (3H, d, J = 6Hz), 1.30-1.40 (3H, m), 1.67-1.78 (4H, m), 1.94-2.00 (2H, m), 2.26-2.42 (2H, m), 2.68 (2H, t, J = 7Hz), 2.84 (2H, t, J = 6Hz), 2.90-3.04 (9 H, m), 3.90 (2H, t, J = 6Hz), 7.16-7.34 (5H, m),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3, 1604, 1484, 1361, 1339, 1158.
실시예 285
(±)-9-(3-{1-[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 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6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0.94 (3H, d, J = 6Hz), 1.30-1.40 (3H, m), 1.67-1.77 (4H, m), 1.94-2.00 (2H, m), 2.36-2.44 (2H, m), 2.68 (2H, t, J = 7Hz), 2.84 (2H, t, J = 6Hz), 2.92-3.04 (9 H, m), 3.80 (3H, s), 3.89 (2H, t, J = 6Hz), 6.83 (1H, d, J = 7Hz), 6.88 (1H, t, J = 6Hz), 7.10 (1H, d, J = 7Hz), 7.17 (1H, t, J = 6Hz), 7.62 (2H, d, J = 5Hz).
IR (KBr) νcm-1: 1675, 1604, 1494, 1362, 1339, 1244, 1159.
실시예 286
9-{3-[1-(3-페닐프로필)-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 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7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3-브로모프로필)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28-1.40 (3H, m), 1.67-1.73 (4H, m), 1.79-1.91 (4H, m), 1.93-2.04 (2H, m), 2.35 (2H, t, J = 7.5Hz), 2.60-2.70 (4H, m), 2.84 (2H, t, J = 6Hz), 2.90-2.95 (6H, m), 3.89 (2H, t, J = 6Hz), 7.15-7.29 (5H, m), 7.61 (2H, d, J = 5Hz).
IR (KBr) νcm-1: 1675, 1604, 1361, 1339, 1166.
실시예 287
(±)-9-{3-[1-(1-메틸-2-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8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2-브로모프로폭시)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19 (3H, d, J = 6Hz), 1.30-1.40 (3H, m), 1.66-1.76 (4H, m), 1.93-1.99 (2H, m), 2.28-2.40 (2H, m), 2.68 (2H, t, J = 7Hz), 2.84 (2H, t, J = 6Hz), 2.91-3.04 (7 H, m), 3.89 (2H, d, J = 6Hz), 4.05-4.10 (2H, m), 6.88-6.95 (3H, m), 7.25-7.30 (2H, m), 7.61 (2H, d, J = 5Hz).
IR (KBr) νcm-1: 1674, 1601, 1496, 1361, 1339, 1244, 1159.
실시예 288
(±)-9-(3-{1-[2-(2-메톡시페녹시)-1-메틸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59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및 (±)-1-(2-브로모프로폭시)-2-메톡시벤젠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18 (3H, d, J = 6Hz), 1.30-1.40 (3H, m), 1.66-1.75 (4H, m), 1.94-2.00 (2H, m), 2.23-2.39 (2H, m), 2.68 (2H, t, J = 7Hz), 2.84 (2H, t, J = 6Hz), 2.90-2.96 (6H, m), 3.07-3.11 (1H, m), 3.85 (3H, s), 3.89 (2H, d, J = 6Hz), 4.11-4.16 (2H, m), 6.88-6.94 (4H, m), 7.61 (2H, d, J = 5Hz).
IR (KBr) νcm-1: 1673, 1601, 1506, 1362, 1338, 1253, 1158.
실시예 289
6-{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0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9-20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1.66 (4H, m), 2.99-2.94 (6H, m), 3.10 (2H, m), 4.38 (2H, s), 6.86 (1H, d, J = 9.0Hz), 7.04 (1H, s), 7.28-7.25 (3H, m), 7.34-7.32 (2H, m), 7.80-7.76 (2H, m), 9.02 (2H, s), 9.47 (1H, br.s).
원소 분석 C21H25N3O2ㆍHCl로서
계산값: C, 65.02; H, 6.76; N, 10.83.
실험값: C, 64.42; H, 6.58; N, 10.80.
MS m/z: 352 [M+H]+
실시예 290
6-(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1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6-180℃(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6 (4H, m), 3.03-2.95 (8 H, m), 3.79 (3H, s), 4.37 (2H, s), 7.01-6.83 (4H, m), 7.27-7.16 (2H, m), 7.78-7.75 (2H, m), 8.87 (2H, br.s), 9.44 (1H, s).
원소 분석 C22H27N3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3.22; H, 6.75; N, 10.05.
실험값: C, 62.98; H, 6.62; N, 10.11.
MS m/z: 382 [M+H]+
실시예 291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2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6-18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68 (4H, m), 3.11-2.96 (8 H, m), 4.39 (2H, s), 6.86 (1H, d, J = 8.1Hz), 7.04 (1H, s), 7.49-7.28 (4H, m), 7.81-7.77 (2H, m), 9.17 (2H, br.s), 9.47 (1H, s).
원소 분석 C21H24N3O2ㆍHCl로서
계산값: C, 59.72; H, 5.97; N, 9.95.
실험값: C, 59.43; H, 5.69; N, 9.51.
MS m/z: 386 [M+H]+
실시예 292
6-{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3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4-16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4 (4H, m), 2.30 (3H, s), 2.42-2.47 (2H, m), 2.57-2.63 (2H, m), 2.75-2.80 (2H, m), 2.89-2.93 (2H, m), 4.59 (2H, s), 5.50 (1H, s), 6.76 (1H, d, J = 8.1Hz), 7.30-7.18 (5H, m), 7.70 (1H, s), 7.78 (1H, dd, J = 8.1, 1.8Hz), 8.34 (1H, s).
원소 분석 C22H27N3O2ㆍHCl로서
계산값: C, 62.92; H, 7.20; N, 10.01.
실험값: C, 62.59; H, 7.12; N, 10.13.
MS m/z: 386 [M+H]+
실시예 293
6-{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4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0-171℃(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9-1.63 (4H, m), 2.79 (3H, d, J = 4.8Hz), 3.02-2.95 (4H, m), 3.24-3.07 (4H, m), 3.80 (3H, s), 4.38 (2H, m), 6.94-6.84 (2H, m), 7.04-6.99 (2H, m), 7.30-7.20 (2H, m), 7.80-7.77 (2H, m), 9.47 (1H, s), 10.29 (1H, br.s).
원소 분석 C25H29N3O3ㆍHClㆍ1.5H2O로서
계산값: C, 60.19; H, 7.25; N, 9.16.
실험값: C, 60.69; H, 7.17; N, 9.38.
MS m/z: 396 [M+H]+
실시예 294
6-{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5
참고예 177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2-195℃(분해)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9-1.64 (4H, m), 2.82 (3H, d, J = 4.8Hz), 3.02-2.97 (2H, m), 3.26-3.10 (6H, m), 4.38 (2H, s), 6.85 (1H, d, J = 8.1Hz), 7.04 (1H, s), 7.38-7.30 (2H, m), 7.49-7.44 (2H, m), 7.80-7.76 (2H, m), 9.47 (1H, s), 10.73 (1H, br.s).
원소 분석 C22H25N3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59.33; H, 6.34; N, 9.43.
실험값: C, 59.22; H, 6.77; N, 9.58.
MS m/z: 400 [M+H]+
실시예 295
1,3-디메틸-6-{5-[메틸(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2(1H)- 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6
참고예 17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N-메틸-N-(2-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4-17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9-1.62 (4H, m), 2.79 (3H, d, J = 4.8Hz), 2.92 (3H, s), 3.07-3.02 (4H, m), 3.24 (3H, s), 3.41-3.13 (4H, m), 4.45 (2H, s), 7.03 (1H, d, J = 8.7Hz), 7.38-7.24 (5H, m), 7.79 (1H, d, J = 1.8Hz), 7.92 (1H, dd, J = 8.7, 2.1Hz), 10.58 (1H, br.s).
원소 분석 C24H32N3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7.04; H, 7.05; N, 9.77.
실험값: C, 66.42; H, 7.67; N, 9.87.
MS m/z: 394 [M+H]+
실시예 296
6-{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 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7
참고예 17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5-14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9-1.65 (4H, m), 2.78 (3H, s), 2.92 (3H, s), 3.18-2.96 (8 H, m), 3.24 (3H, s), 3.81 (3H, s), 4.45 (2H, s), 6.94-6.89 (1H, m), 7.04-6.99 (2H, m), 7.30-7.21 (2H, m), 7.79 (1H, d, J = 1.8Hz), 7.92 (1H, dd, J = 8.6, 2.0Hz), 10.57 (1H, br.s).
원소 분석 C25H34N3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5.27; H, 7.45; N, 9.13.
실험값: C, 64.68; H, 7.58; N, 9.31.
MS m/z: 424 [M+H]+
실시예 297
6-{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 이드로-2(1H)-퀴나졸리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8
참고예 17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3-디메틸-3,4-디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7-18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다.
1H NMR (300MHz, DMSO-d6) δ 1.77-1.66 (4H, m), 2.82 (3H, s), 2.92 (3H, s), 3.07-3.02 (2H, m), 3.24 (3H, s), 3.40-3.00 (6H, m), 4.44 (2H, s), 7.03 (1H, d, J = 8.4Hz), 7.37-7.30 (2H, m), 7.49-7.44 (2H, m), 7.79 (1H, s), 7.91 (1H, d, J = 8.4Hz), 10.63 (1H, br.s).
원소 분석 C24H30ClN3O2ㆍHClㆍ2H2O로서
계산값: C, 61.99; H, 7.59; N, 9.04.
실험값: C, 61.97; H, 6.91; N, 9.31.
MS m/z: 428 [M+H]+
실시예 298
8-[4-(벤질아미노)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 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69
참고예 180에서 얻은 벤질[4-옥소-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부틸]카르밤산 tert-부틸(52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4 mg)을 융점 159-16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2.01 (2H, t, J = 7.4Hz), 2.59 (2H, t, J = 7.6Hz), 2.80-3.25 (8 H, m), 3.99 (2H, t, J = 8.4Hz), 4.05-4.20 (2H, m), 7.35-7.65 (5H, m), 7.72 (2H, s), 9.40-9.60 (2H, br).
실시예 299
8-(4-{[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0
참고예 181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4-옥소-4-(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부틸]카르밤산 tert-부틸(79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52 mg)을 융점 165-16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85-2.10 (2H, m), 2.60 (2H, t, J = 7.6Hz), 2.90-3.25 (12H, m), 3.81 (3H, s), 4.00 (2H, t, J = 8.4Hz), 6.92 (1H, dt, J = 7.3, 1.2Hz), 7.00 (1H, d, J = 7.3Hz), 7.15-7.30 (2H, m), 7.74 (2H, s), 9.00-9.20 (2H, br).
원소 분석 C24H29ClN2O3ㆍ0.5H2O로서
계산값: C, 65.82; H, 6.90; N, 6.40.
실험값: C, 65.37; H, 6.68; N, 6.34.
실시예 300
8-[5-(벤질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1
참고예 182에서 얻은 벤질[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9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40 mg)을 융점 123-12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5 (4H, m), 2.59 (2H, t, J = 7.6Hz), 2.80-3.05 (6H, m), 3.17 (2H, t, J = 8.4Hz), 3.99 (2H, t, J = 8.4Hz), 4.05-4.20 (2H, m), 7.35-7.65 (5H, m), 7.73 (2H, s), 9.40-9.60 (2H, br).
실시예 301
8-{5-[(2-메톡시벤질)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2
참고예 183에서 얻은 2-메톡시벤질[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52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1 mg)을 융점 90-9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5-1.80 (4H, m), 2.60 (2H, t, J = 7.6Hz), 2.80-3.05 (6H, m), 3.18 (2H, t, J = 8.4Hz), 3.75-4.10 (4H, m), 3.84 (3H, s), 6.95-7.15 (2H, m), 7.35-7.50 (2H, m), 7.73 (2H, s), 8.90-9.10 (2H, br).
실시예 302
8-[6-(벤질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 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3
참고예 184에서 얻은 벤질[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55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0 mg)을 융점 181-18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5Hz), 2.80-3.00 (6H, m), 3.17 (2H, t, J = 8.4Hz), 3.98 (2H, t, J = 8.4Hz), 4.05-4.20 (2H, m), 7.35-7.65 (5H, m), 7.72 (2H, s), 9.35-9.55 (2H, br).
원소 분석 C24H29ClN2O2ㆍ1.5H2O로서
계산값: C, 65.52; H, 7.33; N, 6.37.
실험값: C, 65.53; H, 7.25; N, 6.17.
실시예 303
8-{6-[(2-메톡시벤질)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4
참고예 185에서 얻은 2-메톡시벤질[6-옥소-6-(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48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80 (4H, m), 2.59 (2H, t, J = 7.5Hz), 2.90-3.00 (4H, m), 3.16 (2H, t, J = 8.4Hz), 3.84 (3H, s), 3.90-4.15 (6H, m), 6.99 (1H, t, J = 7.5Hz), 7.09 (1H, d, J = 8.0Hz), 7.41 (1H, t, J = 8.0Hz), 7.51 (1H, d, J = 7.5Hz), 7.73 (2H, s), 9.00-9.20 (2H, br).
실시예 304
6-{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5
참고예 186에서 얻은 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4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 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90 mg)을 융점 208-21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70 (4H, m), 2.85-3.00 (6H, m), 3.05-3.20 (2H, m), 4.68 (2H, s), 7.05 (1H, d, J = 8.4Hz), 7.10-7.20 (5H, m), 7.51 (1H, s), 7.62 (1H, dd, J = 8.4, 2.1Hz), 8.80-9.05 (2H, br), 10.91 (1H, s).
실시예 305
6-(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6
참고예 187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97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67 mg)을 융점 151-15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75 (4H, m), 2.80-3.10 (8 H, m), 3.80 (3H, s), 4.68 (2H, s), 6.91 (1H, t, J = 7.5Hz), 7.00 (1H, d, J = 7.8Hz), 7.05 (1H, d, J = 8.6Hz), 7.19 (1H, d, J = 7.5Hz), 7.26 (1H, dt, J = 7.8, 1.8Hz), 7.53 (1H, t, J = 1.8Hz), 7.62 (1H, dd, J = 8.6, 1.8Hz), 8.90-9.10 (2H, br), 10.94 (1H, s).
실시예 306
6-(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2H-1,4-벤조옥사진-3(4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7
참고예 18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6-옥소-6-(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조옥사진-6-일)헥실]카르밤산 tert-부틸(97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87 mg)을 융점 183-18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30-1.45 (2H, m), 1.55-1.75 (4H, m), 2.85-3.20 (8 H, m), 4.68 (2H, s), 7.05 (1H, d, J = 8.7Hz), 7.25-7.55 (5H, m), 7.62 (1H, dd, J = 8.4, 1.8Hz), 8.80-9.20 (2H, br), 10.92 (1H, s).
실시예 307
8-{4-[(2-페닐에틸)아미노]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 ,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8
참고예 179에서 얻은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페닐에틸아민(87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00 mg)을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300MHz, DMSO-d6) δ 1.90-2.05 (2H, m), 2.60 (2H, t, J = 7.6Hz), 2.90-3.25 (12H, m), 3.99 (2H, t, J = 8.4Hz), 7.20-7.40 (5H, m), 7.74 (2H, s), 9.00-9.20 (2H, br).
실시예 308
8-[5-(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79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45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 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79 mg)을 융점 203-20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60-1.90 (4H, m), 2.55 (2H, t, J = 7.2Hz), 2.60-2.80 (4H, m), 2.88 (2H, t, J = 5.7Hz), 2.90-3.00 (4H, m), 3.17 (2H, t, J = 8.4Hz), 3.61 (2H, s), 4.10 (2H, t, J = 8.4Hz), 6.95-7.15 (4H, m), 7.67 (1H, s), 7.71 (1H, s).
실시예 309
8-(3-{1-[2-(2-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0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50 g)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에틸(1.16 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69 g)을 융점 209-21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50 (3H, m), 1.60-2.10 (6H, m), 2.40-3.10 (12H, m), 3.23 (2H, t, J = 8.4Hz), 3.81 (3H, s), 4.13 (2H, t, J = 8.4Hz), 6.80-6.95 (2H, m), 7.10-7.25 (2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8.35; H, 7.37; N, 5.69.
실험값: C, 68.85; H, 7.54; N, 5.84.
실시예 310
8-(3-{1-[2-(3-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1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50 g) 및 메탄술폰산 2-(3-메톡시페닐)에틸(1.16 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53 g)을 융점 240-24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55-2.10 (6H, m), 2.50-3.10 (12H, m), 3.23 (2H, t, J = 8.4Hz), 3.79 (3H, s), 4.14 (2H, t, J = 8.4Hz), 6.70-6.85 (3H, m), 7.15-7.30 (1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8.35; H, 7.37; N, 5.69.
실험값: C, 68.92; H, 6.69; N, 5.87.
실시예 311
8-(3-{1-[2-(4-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2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및 메탄술폰산 2-(4-메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1-14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0-1.60 (3H, m), 1.65-1.85 (4H, m), 2.00-2.20 (2H, m), 2.60-3.15 (12H, m), 3.23 (2H, t, J = 8.4Hz), 3.78 (3H, s), 4.14 (2H, t, J = 8.4Hz), 6.83 (2H, d, J = 8.6Hz), 7.13 (2H, d, J = 8.6Hz),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Cl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7.12; H, 7.44; N, 5.59.
실험값: C, 67.29; H, 7.56; N, 5.32.
실시예 312
8-(3-{1-[2-(2-에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3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및 메탄술폰산 2-(2-에톡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2-18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0-1.50 (3H, m), 1.41 (3H, t, J = 7.0Hz), 1.65-1.85 (4H, m), 1.95-2.10 (2H, m), 2.50-2.65 (2H, m), 2.71 (2H, t, J = 7.6Hz), 2.80-3.15 (8 H, m), 3.23 (2H, t, J = 8.4Hz), 4.03 (2H, q, J = 7.0Hz), 4.14 (2H, t, J = 8.4Hz), 6.75-6.90 (2H, m), 7.10-7.20 (2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9H36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7.62; H, 7.63; N, 5.44.
실험값: C, 67.08; H, 7.24; N, 5.28.
실시예 313
8-(3-{1-[2-(2-하이드록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4
실시예 309에서 얻은 8-(3-{1-[2-(2-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800 mg)의 브롬화수소산(15 ㎖) 용액을 14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탄산칼륨수용액으로 pH12로 조절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622 mg)를 융점 143-14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50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2 mg)을 융점 220-22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50 (3H, m), 1.65-1.90 (4H, m), 2.05-2.20 (2H, m), 2.60-2.70 (2H, m), 2.72 (2H, t, J = 7.8Hz), 2.75-2.85 (3H, m), 2.94 (2H, t, J = 7.8Hz), 3.03 (2H, t, J = 7.8Hz), 3.10-3.20 (2H, m), 3.26 (2H, t, J = 8.5Hz), 4.14 (2H, t, J = 8.5Hz), 6.73 (1H, dt, J = 7.3, 1.2Hz), 6.87 (1H, dd, J = 5.2, 0.8Hz), 6.98 (1H, dd, J = 4.8, 0.8Hz), 7.12 (1H, dt, J = 7.9, 1.5Hz),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84; H, 7.17; N, 5.86.
실험값: C, 67.78; H, 7.51; N, 5.87.
실시예 314
8-(3-{1-[2-(3-하이드록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5
실시예 310에서 얻은 8-(3-{1-[2-(3-메톡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313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29-23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55 (3H, m), 1.60-1.85 (4H, m), 1.90-2.20 (2H, m), 2.55-3.15 (13H, m), 3.27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6.60-6.75 (3H, m), 7.10-7.20 (1H, m),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84; H, 7.17; N, 5.86.
실험값: C, 68.07; H, 7.35; N, 5.69.
실시예 315
8-(3-{1-[2-(3-메틸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6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메탄술폰산 2-(3-메틸페닐)에틸(3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91 mg)을 융점 197-19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50 (3H, m), 1.60-1.85 (4H, m), 1.90-2.10 (2H, m), 2.32 (3H, s), 2.45-3.10 (12H, m),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6.95-7.20 (4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70.64; H, 7.62; N, 5.88.
실험값: C, 70.53; H, 7.52; N, 5.91.
실시예 316
8-(3-{1-[2-(2-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7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2-(2-클로로페닐)에틸(47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3 mg)을 융점 207-21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60-1.80 (4H, m), 1.95-2.10 (2H, m), 2.50-2.60 (2H, m), 2.72 (2H, t, J = 7.6Hz), 2.85-3.10 (8 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10-7.40 (4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1Cl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5.32; H, 6.70; N, 5.64.
실험값: C, 65.77; H, 6.87; N, 5.63.
실시예 317
8-(3-{1-[2-(4-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 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8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및 메탄술폰산 2-(4-클로로페닐)에틸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4-20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40-1.90 (7 H, m), 2.10-2.30 (2H, m), 2.72 (2H, t, J = 7.8Hz), 2.85-3.30 (12H, m), 4.14 (2H, t, J = 8.4Hz), 7.10-7.30 (4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7H31Cl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4.16; H, 6.78; N, 5.54.
실험값: C, 64.15; H, 7.04; N, 5.25.
실시예 318
8-(3-{1-[2-(4-니트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 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89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2-브로모에틸)-4-니트로벤젠(36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43 mg)을 융점 217-21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55 (3H, m), 1.60-1.85 (4H, m), 1.95-2.20 (2H, m), 2.60-2.75 (4H, m), 2.85-3.15 (8 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37 (2H, d, J = 8.6Hz), 7.67 (1H, s), 7.72 (1H, s), 8.14 (2H, d, J = 8.6Hz).
원소 분석 C27H31N3O4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3.96; H, 6.56; N, 8.29.
실험값: C, 63.67; H, 6.77; N, 8.25.
실시예 319
8-(3-{1-[2-(2,6-디클로로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 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0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2-(2,6-디클로로페닐)에틸(54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2 mg)을 융점 226-22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5-1.50 (3H, m), 1.60-1.80 (4H, m), 2.00-2.20 (2H, m), 2.50-2.60 (2H, m), 2.68 (2H, t, J = 7.6Hz), 2.85-3.30 (10 H, m), 4.14 (2H, t, J = 8.4Hz), 7.00-7.10 (1H, m), 7.20-7.30 (2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0Cl2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1.08; H, 6.08; N, 5.28.
실험값: C, 60.96; H, 6.32; N, 5.04.
실시예 320
8-(3-{1-[2-(1H-인돌-3-일)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 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1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3-(2-브로모에틸)-1H-인돌(39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70 mg)을 융점 157-15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25-1.50 (3H, m), 1.60-1.85 (4H, m), 1.95-2.10 (2H, m), 2.60-2.80 (4H, m), 2.85-3.15 (8 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00-7.25 (3H, m), 7.36 (1H, d, J = 8.1Hz), 7.62 (1H, d, J = 8.1Hz), 7.68 (1H, s), 7.73 (1H, s), 8.00-8.25 (1H, br).
원소 분석 C28H33N3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8.29; H, 7.11; N, 8.24.
실험값: C, 68.77; H, 7.44; N, 7.94.
실시예 321
(±)-8-{3-[1-(1-메틸-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 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2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메탄술폰산 1-메틸-2-페닐에틸(52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57 mg)을 융점 211-21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0.94 (3H, d, J = 6.6Hz), 1.20-1.45 (3H, m), 1.60-1.85 (4H, m), 2.10-2.45 (3H, m), 2.60-3.10 (10 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10-7.40 (5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70.64; H, 7.62; N, 5.88.
실험값: C, 70.80; H, 7.59; N, 5.88.
실시예 322
(±)-8-(3-{1-[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3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닐)-1-메틸에틸(51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4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0.93 (3H, d, J = 6.6Hz), 1.20-1.40 (3H, m), 1.60-1.80 (4H, m), 2.20-2.45 (3H, m), 2.71 (2H, t, J = 7.8Hz), 2.80-3.05 (8 H, m), 3.22 (2H, t, J = 8.4Hz), 3.80 (3H, s), 4.12 (2H, t, J = 8.4Hz), 6.80-6.90 (2H, m), 7.05-7.20 (2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9H36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7.62; H, 7.63; N, 5.44.
실험값: C, 67.65; H, 7.52; N, 5.42.
실시예 323
(±)-8-{3-[1-(1-메틸-2-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 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4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및 (±)-메탄술폰산 1-메틸-2-페녹시에틸(56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59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19 (3H, d, J = 6.6Hz), 1.20-1.45 (3H, m), 1.60-1.80 (4H, m), 2.00-2.50 (3H, m), 2.71 (2H, t, J = 7.8Hz), 2.80-3.10 (6H, m), 3.22 (2H, t, J = 8.4Hz), 3.87 (1H, dd, J = 9.4, 6.2Hz), 4.00-4.20 (3H, m), 6.80-7.00 (3H, m), 7.20-7.35 (2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8H34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8.35; H, 7.37; N, 5.69.
실험값: C, 68.37; H, 7.57; N, 5.63.
실시예 324
(±)-메탄술폰산8-(3-{1-[2-(2-메톡시페녹시)-1-메틸에틸]-4-피페리디닐}프 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5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2-(2-메톡시페녹시)-1-메틸에틸(5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81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19 (3H, d, J = 6.6Hz), 1.20-1.40 (3H, m), 1.60-1.80 (4H, m), 2.25-2.40 (2H, m), 2.72 (2H, t, J = 7.8Hz), 2.85-3.15 (7 H, m), 3.22 (2H, t, J = 8.4Hz), 3.80-3.90 (1H, m), 3.85 (3H, s), 4.10-4.20 (3H, m), 6.85-7.00 (4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9H36N2O4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6.72; H, 7.34; N, 5.37.
실험값: C, 66.33; H, 7.54; N, 5.28.
실시예 325
8-{3-[1-(2-옥소-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 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6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염화페나실(phenacyl chloride)(24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01 mg)을 융점 114-11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5-1.60 (3H, m), 1.65-1.85 (4H, m), 2.15-2.35 (2H, m), 2.72 (2H, t, J = 7.6Hz), 2.85-3.10 (6H, m), 3.23 (2H, t, J = 8.4Hz), 3.86 (2H, s), 4.14 (2H, t, J = 8.4Hz), 7.40-7.75 (5H, m), 7.98 (1H, s), 8.0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6.58; H, 7.24; N, 5.75.
실험값: C, 66.64; H, 7.25; N, 5.36.
실시예 326
(±)-8-{3-[1-(2-하이드록시-2-페닐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 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7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스티렌옥사이드(193 mg)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 ㎖) 혼합물을 10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융점 133-135℃의 무색 결정(468 mg)으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39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05 mg)을 융점 235-23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0-1.55 (3H, m), 1.60-1.85 (4H, m), 2.00-2.20 (1H, m), 2.25-2.45 (1H, m), 2.50-2.60 (2H, m), 2.72 (2H, t, J = 7.6Hz), 2.85-3.05 (5H, m), 3.15-3.30 (3H, m), 3.40-4.40 (1H, br.), 4.14 (2H, t, J = 8.4Hz), 4.80 (1H, dd, J = 8.4, 5.4Hz), 7.20-7.40 (5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3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7.84; H, 7.17; N, 5.86.
실험값: C, 68.30; H, 7.47; N, 5.72.
실시예 327
1-(3-아미노-4-메톡시페닐)-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1-프로파논 2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8
참고예 191에서 얻은 1-(3-아미노-4-메톡시페닐)-3-(4-피페리디닐)-1-프로파논 2염산염(1.00 g) 및 탄산칼륨(1.00 g)의 에탄올(20 ㎖) 현탁액에 1-(2-브로모에톡시)-2-에톡시벤젠(732 mg)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80℃에서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에 물(30 ㎖) 및 아세트산에틸(4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융점 81-82℃의 무색 결정(828 mg)으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20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40 mg)을 융점 123-12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43 (3H, t, J = 7.0Hz), 1.60-1.80 (4H, m), 2.00-2.20 (2H, m), 2.50-4.50 (2H, br), 2.83 (2H, t, J = 6.2Hz), 2.91 (2H, t, J = 7.2Hz), 2.95-3.10 (2H, m), 3.91 (3H, s), 4.06 (2H, q, J = 7.0Hz), 4.16 (2H, t, J = 6.2Hz), 6.79 (1H, d, J = 8.4Hz), 6.85-6.95 (4H, m), 7.35-7.45 (2H, m).
원소 분석 C25H34N2O4ㆍ2HClㆍH2O로서
계산값: C, 58.02; H, 7.40; N, 5.41.
실험값: C, 57.66; H, 7.82; N, 4.99.
실시예 328
N-[5-(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메톡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699
실시예 327에서 얻은 1-(3-아미노-4-메톡시페닐)-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1-프로파논 2염산염(300 mg) 및 트리에틸아민(0.195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 용액에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0.108 ㎖)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에 물(30 ㎖) 및 아세트산에틸(4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무색 유상물(291 m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29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7 mg)을 무색 비결정상 분 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43 (3H, t, J = 7.0Hz), 1.60-1.80 (4H, m), 2.05-2.20 (2H, m), 2.84 (2H, t, J = 6.2Hz), 2.90-3.10 (2H, m), 2.99 (3H, s), 3.45 (3H, s), 3.95-4.20 (7 H, m), 6.85-6.95 (4H, m), 6.94 (1H, d, J = 5.6Hz), 7.82 (1H, dd, J = 8.4, 2.2Hz), 8.11 (1H, d, J = 2.2Hz).
원소 분석 C26H36N2O6SㆍHClㆍ1.5H2O로서
계산값: C, 54.97; H, 7.10; N, 4.93.
실험값: C, 54.63; H, 6.93; N, 4.57.
실시예 329
N-[5-(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0
실시예 327에서 얻은 1-(3-아미노-4-메톡시페닐)-3-{1-[2-(2-에톡시페녹시)에틸]-4-피페리디닐}-1-프로파논 2염산염(300 mg) 및 트리에틸아민(0.195 ㎖)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0.132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에 물(30 ㎖) 및 아세트 산에틸(4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무색 유상물(276 mg)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27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7 mg)을 융점 127-12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43 (3H, t, J = 7.0Hz), 1.60-1.80 (4H, m), 2.05-2.20 (2H, m), 2.23 (3H, s), 2.83 (2H, t, J = 6.2Hz), 2.90-3.10 (4H, m), 3.94 (3H, s), 4.07 (2H, q, J = 7.0Hz), 4.15 (2H, t, J = 6.2Hz), 6.80-7.00 (5H, m), 7.70-7.80 (2H, m), 9.01 (1H, s).
원소 분석 C27H36N2O5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3.09; H, 7.45; N, 5.45.
실험값: C, 60.19; H, 7.42; N, 5.22.
실시예 330
(±)-8-{3-[1-(2,3-디하이드로-1H-인덴-1-일)-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1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700 mg), 탄산칼륨(700 mg), 및 요오드화칼륨(촉매량)의 아세토니트릴(10 ㎖) 현탁액에 1-클로로인단(360 mg)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에 물(15 ㎖) 및 아세트산에틸(20 ㎖)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메탄올(9: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융점 111-113℃의 무색 결정(285 mg)으로서 얻었다. 상기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270 mg)를 염화수소-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00-1.45 (3H, m), 1.60-1.80 (4H, m), 2.00-2.30 (4H, m), 2.60-2.95 (8 H, m), 3.02 (2H, t, J = 7.5Hz),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4.35 (1H, t, J = 7.0Hz), 7.15-7.40 (3H, m), 7.60-7.80 (3H, m).
원소 분석 C28H32N2O2ㆍHClㆍ2.0H2O로서
계산값: C, 67.12; H, 7.44; N, 5.59.
실험값: C, 67.34; H, 7.30; N, 5.45.
실시예 331
(±)-8-{3-[1-(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4-피페리디닐]프로파 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2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1-클로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28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33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0-1.45 (3H, m), 1.55-1.80 (6H, m), 1.85-2.10 (4H, m), 2.50-3.10 (10 H, m), 3.23 (2H, t, J = 8.4Hz), 3.75-3.85 (1H, m), 4.14 (2H, t, J = 8.4Hz), 7.00-7.20 (3H, m), 7.65-7.75 (3H, m).
실시예 332
(±)-8-{3-[1-(1,2,3,4-테트라하이드로-2-나프탈레닐)-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3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1,2,3,4-테트라하이드로-2-나프탈레닐(456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33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90 mg)을 융점 223-22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1.45 (3H, m), 1.55-1.85 (4H, m), 2.00-2.40 (3H, m), 2.60-3.10 (14H, m), 3.23 (2H, t, J = 8.4Hz), 4.14 (2H, t, J = 8.4Hz), 7.00-7.20 (4H, m), 7.68 (1H, s), 7.73 (1H, s).
원소 분석 C29H34N2O2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70.07; H, 7.50; N, 5.64.
실험값: C, 69.77; H, 7.26; N, 5.56.
실시예 333
8-{3-[1-(6,7,8,9-테트라하이드로-5H-벤조[a]사이클로헵텐-7-일)-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4
8-[3-(4-피페리디닐)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메탄술폰산 6,7,8,9-테트라하이드로-5H-벤조[a]사이클로헵텐-7-일(48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33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1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300MHz, CDCl3) δ 1.30-1.60 (5H, m), 1.60-1.85 (4H, m), 2.15-2.50 (4H, m), 2.65-2.95 (11H, m), 3.02 (2H, t, J = 7.8Hz),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12 (4H, s), 7.67 (1H, s), 7.71 (1H, s).
실시예 334
8-{3-[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에틸)아미노]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5
참고예 192에서 얻은 8-(3-클로로프로파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489 mg) 및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N-에틸아민(33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06 mg)을 융점 192-196℃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10 (3H, t, J = 7.2Hz), 2.10-2.45 (1H, m), 2.60-3.30 (16H, m), 3.55-3.75 (1H, m), 4.13 (2H, t, J = 8.4Hz), 7.00-7.20 (4H, m),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5H28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69.19; H, 6.97; N, 6.46.
실험값: C, 68.65; H, 7.09; N, 6.20.
실시예 335
8-[4-(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6
참고예 179에서 얻은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29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38 mg)을 융점 230-23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1.80 (2H, m), 1.90 (2H, quintet, J = 7.2Hz), 2.40 (2H, t, J = 7.2Hz), 2.70 (2H, t, J = 7.6Hz), 2.80-3.15 (8 H, m), 3.20 (2H, t, J = 8.4Hz), 3.87 (2H, s), 4.12 (2H, t, J = 8.4Hz), 7.00-7.20 (4H, m), 7.66 (1H, s), 7.70 (1H, s).
원소 분석 C25H28N2O2ㆍHCl로서
계산값: C, 70.66; H, 6.88; N, 6.59.
실험값: C, 70.20; H, 6.80; N, 6.56.
실시예 336
8-[4-(7-메톡시-1,3,4,5-테트라하이드로-2H-2-벤즈아제핀-2-일)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7
참고예 179에서 얻은 8-(4-클로로부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500 mg) 및 7-메톡시-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즈아제핀(3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46 mg)을 융점 121-123℃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5-1.80 (2H, m), 1.91 (2H, quintet, J = 7.0Hz), 2.42 (2H, t, J = 7.0Hz), 2.71 (2H, t, J = 7.6Hz), 2.80-3.15 (8 H, m), 3.21 (2H, t, J = 8.4Hz), 3.78 (3H, s), 3.84 (2H, s), 4.13 (2H, t, J = 8.4Hz), 6.61 (1H, dd, J = 8.4, 2.6Hz), 6.70 (1H, d, J = 2.6Hz), 7.03 (1H, d, J = 8.4Hz),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6H30N2O3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6.02; H, 7.03; N, 5.92.
실험값: C, 66.09; H, 7.30; N, 5.64.
실시예 337
(±)-8-[5-(2,3-디하이드로-1H-인덴-1-일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8
참고예 193에서 얻은 (±)-2,3-디하이드로-1H-인덴-1-일[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33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7 mg)을 융점 98-100℃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50-1.75 (4H, m), 2.00-2.50 (2H, m), 2.54 (2H, t, J = 7.6Hz), 2.75-3.05 (8 H, m), 3.12 (2H, t, J = 8.8Hz), 3.94 (2H, t, J = 8.8Hz), 4.60-4.75 (1H, m), 7.20-7.35 (3H, m), 7.60-7.70 (3H, m).
원소 분석 C25H28N2O2ㆍHClㆍ1.5H2O로서
계산값: C, 66.43; H, 7.14; N, 6.20.
실험값: C, 66.70; H, 6.77; N, 6.09.
실시예 338
8-[5-(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 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09
참고예 194에서 얻은 2,3-디하이드로-1H-인덴-2-일[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6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75 mg)을 융점 187-18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0-1.80 (4H, m), 2.59 (2H, t, J = 7.6Hz), 2.80-3.40 (12H, m), 3.80-4.05 (3H, m), 7.10-7.30 (4H, m), 7.75 (2H, s), 9.40-9.60 (2H, br).
원소 분석 C25H28N2O2ㆍHClㆍ2H2O로서
계산값: C, 65.13; H, 7.22; N, 6.08.
실험값: C, 64.75; H, 7.01; N, 6.02.
실시예 339
8-[5-(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펜타노일]-1,2,5,6- 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0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94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30 mg)을 융점 215-217℃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60-2.00 (6H, m), 2.56 (2H, t, J = 7.0Hz), 2.65-3.10 (8 H, m), 3.20 (2H, t, J = 8.4Hz), 3.55 (2H, s), 3.84 (6H, s), 4.13 (2H, t, J = 8.4Hz), 6.52 (1H, s), 6.58 (1H, s),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4ㆍHClㆍH2O로서
계산값: C, 64.47; H, 7.01; N, 5.57.
실험값: C, 64.74; H, 7.25; N, 5.30.
실시예 340
8-[5-(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즈아제핀-3-일)펜타노일]-1,2,5,6-테 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1
참고예 1에서 얻은 8-(5-클로로펜타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1.00 g) 및 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605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703 mg)을 융점 252-254℃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0-1.85 (4H, m), 2.53 (2H, t, J = 7.4Hz), 2.60-3.10 (14H, m), 3.22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00-7.20 (4H, m), 7.68 (1H, s), 7.73 (1H, s).
실시예 341
8-{6-[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에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2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5 0 mg) 및 N-(2,3-디하이드로-1H-인덴-2-일)-N-에틸아민(330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6 mg)을 융점 160-162℃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20 (3H, t, J = 7.2Hz), 1.30-1.85 (6H, m), 2.50-3.30 (13H, m), 3.60-3.80 (4H, m), 4.10 (2H, t, J = 8.4Hz), 7.05-7.25 (4H, m), 7.67 (1H, s), 7.71 (1H, s).
원소 분석 C25H34N2O2ㆍHClㆍ3.5H2O로서
계산값: C, 60.78; H, 8.57; N, 5.67.
실험값: C, 61.16; H, 8.12; N, 5.88.
실시예 342
8-[6-(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1H)-이소퀴놀리닐)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3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432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40 mg)을 융점 216-21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5-2.05 (8 H, m), 2.51 (2H, t, J = 7.6Hz), 2.60-2.85 (4H, m), 2.93 (2H, t, J = 7.6Hz), 3.02 (2H, t, J = 7.6Hz), 3.22 (2H, t, J = 8.4Hz), 3.55 (2H, s), 3.83 (6H, s), 4.13 (2H, t, J = 8.4Hz), 6.52 (1H, s), 6.59 (1H, s), 7.68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8H34N2O4ㆍHClㆍ2.5H2O로서
계산값: C, 61.81; H, 7.41; N, 5.15.
실험값: C, 62.26; H, 6.99; N, 5.14.
실시예 343
8-[6-(1,2,4,5-테트라하이드로-3H-3-벤조아제핀-3-일)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4
참고예 2에서 얻은 8-(6-브로모헥사노일)-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600 mg) 및 2,3,4,5-테트라하이드로-1H-3-벤즈아제핀(277 mg)을 이용하여, 참고예 1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566 mg)을 융점 222-22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30-1.85 (10 H, m), 2.49 (2H, t, J = 7.6Hz), 2.60-2.80 (4H, m), 2.85-3.10 (6H, m), 3.21 (2H, t, J = 8.4Hz), 4.13 (2H, t, J = 8.4Hz), 7.10 (4H, s), 7.67 (1H, s), 7.72 (1H, s).
원소 분석 C27H32N2O2ㆍHClㆍ0.5H2O로서
계산값: C, 70.19; H, 7.42; N, 6.06.
실험값: C, 70.72; H, 7.13; N, 6.09.
실시예 344
9-(3-{1-[2-(2-메틸페닐)에틸]피페리딘-4-일}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5
참고예 176에서 얻은 9-(3-피페리딘-4-일프로파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326 mg) 및 메탄술폰산 2-(2-메틸페닐)에틸(21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8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172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0-1.40 (3H, m), 1.68-1.78 (4H, m), 1.94-2.02 (4H, m), 2.32 (3H, s), 2.49-2.53 (2H, m), 2.68 (2H, t, J = 7Hz), 2.80-2.86 (4H, m), 2.94 (4H, t, J = 7Hz), 3.04 (2H, t, J = 11Hz), 3.89(2H, t, J = 6Hz), 7.09-7.15 (4H, m), 7.62 (2H, d, J = 5Hz).
IR (neat) νcm-1: 1674, 1604, 1489, 1361, 1339, 1168.
실시예 345
9-{5-[[2-(3-플루오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6
참고예 5에서 얻은 9-(5-클로로펜타노일)-2,3,6,7-테트라하이드로-1H,5H-피리도[3,2,1-ij]퀴놀린-5-온(306 mg) 및 N-[2-(3-플루오로페닐)에틸]-N-메틸아민(33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5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0 (2H, m), 1.70-1.77 (2H, m), 1.93-1.99 (2H, m), 2.29 (3H, s), 2.44 (2H, t, J = 7.5Hz), 2.58-2.62 (2H, m), 2.67 (2H, t, J = 6Hz), 2.74-2.79 (2H, m), 2.84 (2H, t, J = 6Hz), 2.91-2.96 (4H, m), 3.89 (2H, t, J = 6Hz), 6.85-6.91 (2H, m), 6.96 (1H, d, J = 7.5Hz), 7.19-7.25 (1H, m), 7.62 (2H, d, J = 5Hz).
IR (neat) νcm-1: 1675, 1604, 1589, 1485, 1362, 1339, 1161.
실시예 346
6-{5-[(2-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7
참고예 345에서 얻은 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2-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 (5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0-202℃의 무색 결정(39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4-1.76 (4H, m), 2.47-2.51 (2H, m), 2.93-3.02 (8 H, m), 3.05-3.15 (2H, m), 6.97 (1H, d, J = 8.3Hz), 7.22-7.27 (3H, m), 7.31-7.35 (2H, m), 7.78-7.82 (2H, m), 9.25 (2H, s), 10.46 (1H, s).
IR (KBr) νcm-1: 3305, 2937, 2775, 1684, 1604, 1508, 1367.
실시예 347
6-(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 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8
참고예 197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3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6-177℃의 무색 결정(449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3-1.72 (4H, m), 2.47-2.51 (2H, m), 2.92-3.01(10 H, m), 3.79 (3H, s), 6.90 (1H, t, J = 7.5Hz), 6.98 (2H, t, J = 7.3Hz), 7.18 (1H, d, J = 7.3Hz), 7.24 (1H, t, J = 7.5Hz), 7.78-7.82 (2H, m), 9.16 (2H, s), 10.46 (1H, s).
IR (KBr) νcm-1: 3272, 2942, 2747, 1682, 1602, 1501, 1369, 1312, 1253, 762.
실시예 348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 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19
참고예 19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7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7-198℃의 무색 결정(45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4-1.74 (4H, m), 2.47-2.51 (2H, m), 2.92-3.10(10 H, m), 6.96 (1H, d, J = 8.3Hz), 7.28-7.35 (2H, m), 7.39-7.47 (2H, m), 7.78-7.82 (2H, m), 9.31 (2H, s), 10.45 (1H, s).
IR (KBr) νcm-1: 3276, 2955, 2738, 1684, 1654, 1599, 1508, 1361, 1304, 1170, 756.
실시예 349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0
참고예 195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133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18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7-168℃의 무색 결정(99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1 (2H, m), 1.71-1.79 (2H, m), 2.34 (3H, s), 2.47 (2H, t, J = 7.3Hz), 2.59-2.63 (2H, m), 2.68 (2H, t, J = 8Hz), 2.88-2.97 (4H, m), 3.04 (2H, t, J = 7.3Hz), 6.85 (1H, d, J = 6.4Hz), 7.10-7.19 (2H, m), 7.23 (1H, d, J = 7.5Hz), 7.32 (1H, d, J = 7.5Hz), 7.80 (1H, d, J = 6.4Hz), 7.81 (1H, s), 8.95 (1H, br).
IR (KBr) νcm-1: 3188, 3059, 1674, 1608, 1595, 1384, 1314, 816, 751.
실시예 350
6-{6-[(2-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1
참고예 199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486 mg) 및 2-페닐에틸아민(45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23-224℃의 무색 결정(205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2 (2H, m), 1.46 (1H, br.s), 1.49-1.56(2H, m), 1.69-1.77(2H, m), 2.62-2.70 (4H, m), 2.80 (2H, t, J = 6Hz), 2.86-2.92 (4H, m), 3.03 (2H, t, J = 7.4Hz), 6.83 (1H, d, J = 7Hz), 7.16-7.18 (3H, m), 7.27-7.31 (2H, m), 7.79 (1H, d, J = 7Hz), 7.80 (1H, s), 8.93 (1H, br).
IR (KBr) νcm-1: 3193, 3062, 1671, 1605, 1505, 1381, 1314.
실시예 351
6-(6-{[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2
참고예 199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486 mg) 및 2-(2-메톡시페닐)에틸아민(567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23-224℃의 무색 결정(12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5-1.43 (2H, m), 1.49-1.57 (2H, m), 1.53 (1H, br), 1.69-1.77(2H, m), 2.62-2.69 (4H, m), 2.78-2.86 (4H, m), 2.90 (2H, t, J = 7Hz), 3.03 (2H, t, J = 7Hz), 3.81 (3H, s), 6.81-6.89 (3H, m), 7.13-7.20 (2H, m), 7.78 (1H, d, J = 7Hz), 7.79 (1H, s), 9.30 (1H, br).
IR (KBr) νcm-1: 3192, 3061, 1677, 1608, 1495, 1367, 1317, 1243.
실시예 352
6-(6-{[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3
참고예 199에서 얻은 6-(6-브로모헥사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486 mg)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58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13-214℃의 무색 결정(196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37-1.45 (2H, m), 1.49 (1H, br), 1.51-1.58(2H, m), 1.71-1.78 (2H, m), 2.65-2.70 (4H, m), 2.86-2.96 (6H, m), 3.04 (2H, t, J = 7Hz), 6.85 (1H, d, J = 7Hz), 7.12-7.31 (3H, m), 7.34 (1H, d, J = 7.4Hz), 7.80 (1H, d, J = 7Hz), 7.81 (1H, s), 8.93 (1H, br).
IR (KBr) νcm-1: 3191, 3059, 1672, 1608, 1506, 1380, 1316.
실시예 353
6-(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4
참고예 200에서 얻은 2-(2-메톡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7-168℃의 무색 결정(18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2-1.68 (4H, m), 2.49 (2H, t, J = 8Hz), 2.83-2.96(10 H, m), 3.19 (3H, s), 3.71 (3H, s), 6.81 (1H, t, J = 7.5Hz), 6.90 (1H, t, J = 8.3Hz), 7.08-7.11 (2H, m), 7.16 (1H, d, J = 7.5Hz), 7.76 (1H, s), 7.80 (1H, d, J = 8.3Hz), 9.10 (2H, s).
IR (KBr) νcm-1: 2951, 2783, 2453, 1688, 1606, 1494, 1469, 1354, 1248, 1125, 766.
실시예 354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3,4-디하이드로퀴놀린- 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5
참고예 201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6-퀴놀리닐)-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2-103℃의 무색 결정(19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52-1.68 (4H, m), 2.49 (2H, t, J = 8Hz), 2.87-3.07(10 H, m), 3.19 (3H, s), 7.10 (1H, d, J = 8.5Hz), 7.19-7.26 (2H, m), 7.32 (1H, dd, J = 7, 2Hz), 7.37 (1H, dd, J = 7, 2Hz), 7.76 (1H, s), 7.81 (1H, d, J = 8.5Hz), 9.25 (2H, s).
IR (KBr) νcm-1: 2947, 2768, 2453, 1671, 1604, 1477, 1443, 1355, 1126, 751.
실시예 355
6-{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 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6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 (224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291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 (165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5-1.62 (2H, m), 1.72-1.80(2H, m), 2.32 (3H, s) 2.46 (2H, t, J = 7.3Hz), 2.55-2.59 (2H, m), 2.68 (2H, t, J = 7.5Hz), 2.76-2.81 (2H, m), 2.93-2.98 (4H, m), 3.38 (3H, s), 3.81 (3H, s), 6.82-6.90 (2H, m), 7.01 (1H, d, J = 8.5Hz), 7.12-7.19 (2H, m), 7.79 (1H, d, J = 2Hz), 7.87 (1H, dd, J = 8.5, 2Hz).
IR (KBr) νcm-1: 2941, 1679, 1604, 1495, 1466, 1354, 1243, 1126.
실시예 356
6-{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 로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7
참고예 154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1-메틸-3,4-디하이드로퀴놀린-2(1H)-온(224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299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9-130℃의 무색 결정(20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2 (2H, m), 1.72-1.79 (2H, m), 2.33 (3H, s) 2.47 (2H, t, J = 7.3Hz), 2.59-2.63 (2H, m), 2.68 (2H, t, J = 7.3Hz), 2.88-2.99 (6H, m), 3.39 (3H, s), 7.02 (1H, d, J = 8.5Hz), 7.10-7.19 (2H, m), 7.23 (1H, dd, J = 7.3, 2Hz), 7.32 (1H, dd, J = 8, 2Hz), 7.79 (1H, d, J = 2Hz), 7.87 (1H, dd, J = 8.5, 2Hz).
IR (KBr) νcm-1: 2943, 1679, 1605, 1474, 1354, 1305, 1126.
실시예 357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2,5,6-테트라 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8
100 ㎖의 4구 플라스크에 폴리인산 7.8 g을 주입하고, 50-60℃에 가온한 후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520 mg(3 mmol) 및 참고예 202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 850 mg(3.3 mmol)을 첨가하였다. 외부 온도 110℃에서 15시간 교반 후, 빙수(20 ㎖)를 첨가하고 용해하여 8N-NaOH(약 20 ㎖)을 첨가하고 PH7-8로 조절하였다. 유리된 유상물을 아세트산에틸(30 ㎖)로 추출하고, 물 및 식염수 각각(20 ㎖)으로 순차 세정한 후, MgSO4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칼럼 정제하여(염기성 실리카겔: 80 g사용, 용리 용매: 아세트산에틸-헥산=1:1),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660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0.95(3H, d, J = 6.6Hz), 1.30-1.37 (1H, m), 1.50-1.59 (1H, m), 1.68-1.76 (2H, m), 2.30 (3H, s), 2.50-2.58 (1H, m), 2.61-2.73 (4H, m), 2.84-2.89 (4H, m), 3.02(2H, t, J = 7.6Hz), 3.22 (2H, t, J = 8.3Hz), 4.13 (2H, t, J = 7.0Hz), 7.08-7.18 (2H, m), 7.23(1H, dd, J = 7.8, 1.5Hz), 7.30 (1H, dd, J = 7.8, 1.5Hz), 7.67 (1H, s), 7.72 (1H, s).
IR (neat) νcm-1: 1674, 1598, 1494, 1447, 1381, 1330, 1155, 753.
상기에서 얻은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650 mg)를 아세트산에틸(1 ㎖)에 용해시키고, 실온 하에 4N-염산(아세트산에틸 용액) (0.5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농축하고, 잔사에 아세트산에틸(2 ㎖)을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시켜, 표제 화합물(568 mg)을 융점 93-95℃의 미황색 분말상으로서 얻었다.
실시예 358
(±)-8-{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29
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520 mg(3 mmol) 및 참고예 202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 850 mg(3.3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57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456 mg)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0.96 (3H, d, J = 6.4Hz), 1.30-1.37 (1H, m), 1.52-1.60(1H, m), 1.68-1.77 (2H, m), 2.00-2.06 (2H, m), 2.31(3H, s), 2.52-2.59 (1H, m), 2.62-2.75 (2H, m), 2.81-2.90 (6H, m), 3.54 (2H, s), 3.74 (2H, t, J = 6.0Hz), 7.10 (1H, dt, J = 7.3, 1.7Hz), 7.16 (1H, dt, J = 7.3, 1.7Hz), 7.23 (1H, dd, J = 7.6, 1.7Hz), 7.30 (1H, dd, J = 7.6, 1.7Hz), 7.73 (2H, s).
IR (neat) νcm-1: 1718, 1673, 1604, 1496, 1343, 1154, 753.
상기에서 얻은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440 mg)를 아세트산에틸(1 ㎖)에 용해시키고, 실온 하에 4N-염산(아세트산에틸 용액) (0.5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농축하고, 잔사에 아세트산에틸(2 ㎖)을 첨가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시켜, 표제 화합물(420 mg)을 융점 63-65℃의 미황색 분말상으로서 얻었다.
실시예 359
(±)-1,3-디메틸-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사노일}-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0
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484 mg(3 mmol) 및 참고예 202에서 얻은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헥산산 850 mg(3.3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860 mg)의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를 담황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0.96(3H, d, J = 6.46Hz), 1.32-1.39 (1H, m), 1.54-1.59
(1H, m), 1.71-1.77 (2H, m), 2.31(3H, s), 2.51-2.58 (1H, m), 2.61-2.75 (2H, m), 2.82-2.99 (4H, m), 3.45 (3H, s), 3.46 (3H, s), 6.99 (1H, d, J = 8.3Hz), 7.09 (1H, dt, J = 7.3, 1.7Hz), 7.15 (1H, dt, J = 7.3, 1.7Hz), 7.23 (1H, dd, J = 7.6, 1.7Hz), 7.30 (1H, dd, J = 7.6, 1.7Hz), 7.62 (1H, d, J = 1.5Hz), 7.78 (1H, dd, J = 8.3, 1.5Hz).
IR (KBr) νcm-1: 1720, 1676, 1622, 1511, 1475, 1395, 1195, 750, 584
상기에서 얻은 유리된 상태의 염기체(850 mg)를 아세트산에틸(2 ㎖)에 용해시키고, 실온 하에 4 N-염산(아세트산에틸 용액) (0.5 ㎖)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농축하고, 잔사에 아세트산에틸(2 ㎖)을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시켜, 표제 화합물(900 mg)을 미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실시예 360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p-톨루엔술폰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을 1N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 ㎖)과 혼합하고, 아세트산에틸(30 ㎖×3회)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탄올(3 ㎖)을 첨가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이어서,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95 mg, 0.5 mmol)의 에탄올(3 ㎖) 용액을 첨가하 고, 교반 후, 에탄올(약 5.5 ㎖)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온에서 방치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시키고, 에탄올 및 디에틸에테르로 순차 세정하였다. 또한 감압 하에 건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2-173℃(분해)의 무색 결정(258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C7H8O3 S로서
계산값: C, 63.85; H, 6.05; N, 4.80.
실험값: C, 63.77; H, 5.99; N, 4.69.
실시예 361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황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황산(49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5-156℃(분해)의 무색 결정(218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H2SO4로서
계산값: C, 56.63; H, 5.74; N, 5.50.
실험값: C, 56.42; H, 5.86; N, 5.23.
실시예 362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 ,2,1-ij]퀴놀린-2(1H)-온 브롬화수소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48% 브롬화수소산(84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1-203℃(분해)의 무색 결정(220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HBr로서
계산값: C, 58.61; H, 5.74; N, 5.70.
실험값: C, 58.54; H, 5.85; N, 5.53.
실시예 363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3-디하이드로-2,2-디메틸-1-벤조퓨란-5-일)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1
참고예 209에서 얻은 5-(2,3-디하이드로-2,2-디메틸-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5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2-133℃의 무색 결정(35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42 (6H, s), 1.61-1.75 (4H, m), 2.93-3.16 (10 H, m), 6.78 (1H, t, J = 8.3Hz), 7.30-7.46 (4H, m), 7.79 (1H, d, J = 8.3Hz), 7.83 (1H, s), 9.36 (2H, br).
IR (KBr) νcm-1: 2946, 1668, 1603, 1440, 1266, 1090, 750.
실시예 364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2
참고예 210에서 얻은 5-(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7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4-155℃의 무색 결정(586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2 (4H, m), 1.91 (2H, br.s), 2.77 (2H, br.s) 2.95-2.98 (4H, m), 3.08-3.15 (4H, m), 4.18 (2H, br.s), 6.79 (1H, d, J = 8.3Hz), 7.26-7.44 (4H, m), 7.69 (1H, d, J = 8.3Hz), 7.72 (1H, s), 9.19 (2H, br.s).
IR (KBr) νcm-1: 2958, 1673, 1605, 1499, 1476, 1257, 1138, 1019, 758.
실시예 365
N-메틸-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3
참고예 211에서 얻은 5-{7-[(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7-168℃의 무색 결정(67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6 (4H, m), 2.45 (3H, d, J = 4.8Hz), 2.94-3.05 (8 H, m), 3.31 (2H, t, J = 8.8Hz), 3.79 (3H, s), 4.80 (2H, t, J = 8.8Hz), 6.89 (1H, t, J = 7.6Hz), 6.98 (1H, d, J = 8.0Hz), 7.17(1H, d, J = 7.6Hz), 7.24 (1H, t, J = 8.0Hz), 7.47(1H, br.s), 8.05 (1H, s), 8.09 (1H, s), 9.19 (2H, br).
IR (KBr) νcm-1: 3319, 2783, 2453, 1686, 1605, 1496, 1467, 1334, 1255, 1157, 1119, 758, 586.
실시예 366
N-메틸-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 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4
참고예 212에서 얻은 5-{7-[(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5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2-183℃의 무색 결정(4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6 (4H, m), 2.45 (3H, d, J = 4.8Hz), 2.97-3.11 (8 H, m), 3.31 (2H, t, J = 8.8Hz), 4.80 (2H, t, J = 8.8Hz), 7.28-7.34 (2H, m), 7.39-7.41 (1H, m), 7.44-7.47 (2H, m), 8.05 (1H, s), 8.09 (1H, s), 9.28 (2H, br).
IR (KBr) νcm-1: 3155, 2808, 1677, 1613, 1480, 1431, 1326, 1228, 1150, 766, 588.
실시예 367
N,N-디메틸-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 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5
참고예 213에서 얻은 5-{7-[(디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8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4-165℃의 무색 결정(636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5 (4H, m), 2.70 (6H, s), 2.93-3.06 (8 H, m), 3.31 (2H, t, J = 8.8Hz), 3.79 (3H, s), 4.79 (2H, t, J = 8.8Hz), 6.89 (1H, t, J = 7.6Hz), 6.98 (1H, d, J = 8.0Hz), 7.17 (1H, d, J = 7.6Hz), 7.23 (1H, t, J = 8.0Hz), 8.00 (1H, s), 8.13(1H, s), 9.17 (2H, br).
IR (KBr) νcm-1: 2783, 1684, 1604, 1496, 1463, 1424, 1338, 1250, 1152, 1126, 956, 766, 585.
실시예 368
N-디메틸-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 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6
참고예 214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7-[(디메틸아미노)술포닐]-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5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6-177℃의 무색 결정(417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5 (4H, m), 2.70 (6H, s), 2.97-3.14 (8 H, m), 3.32 (2H, t, J = 8.8Hz), 4.79 (2H, t, J = 8.8Hz), 7.29-7.33 (2H, m), 7.40 (1H, dd, J = 7.0, 1.7Hz), 7.45 (1H, dd, J = 7.0, 1.7Hz), 8.00 (1H, s), 8.13 (1H, s), 9.21 (2H, br).
IR (KBr) νcm-1: 2776, 1684, 1601, 1461, 1424, 1334, 1265, 1151, 1121, 963, 758, 758, 584.
실시예 369
6-(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7
참고예 215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메톡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4-185℃의 무색 결정(56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1-1.73 (4H, m), 1.95-1.98(2H, m), 2.86 (2H, t, J = 6.2Hz), 2.93-3.03 (8 H, m), 3.78 (3H, s), 4.36 (2H, t, J = 5.1Hz), 6.89 (1H, t, J = 7.3Hz), 6.97 (1H, d, J = 8.0Hz), 7.16-7.25 (2H, m), 7.19 (2H, s), 7.96 (1H, d, J = 2.0Hz), 8.12 (1H, d, J = 2.0Hz), 9.23 (2H, br.s).
IR (KBr) νcm-1: 3306, 3209, 2947, 1661, 1602, 1573, 1495, 1342, 1244, 1161, 1140, 766, 591.
실시예 370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8
참고예 216에서 얻은 5-[8-(아미노술포닐)-3,4-디하이드로-2H-크로멘-6-일]-5-옥소펜틸[2-(2-클로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6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7-178℃의 무색 결정(56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3-1.73 (4H, m), 1.95-1.99 (2H, m), 2.86 (2H, t, J= 6.2Hz), 2.96 (2H, br.s), 3.02 (2H, t, J = 7.0Hz), 3.09-3.16 (4H, m), 4.36 (2H, t, J = 5.1Hz), 7.19(2H, s), 7.28-7.33 (2H, m), 7.40 (1H, dd, J = 7, 2.2Hz), 7.44 (1H, dd, J = 7, 2.2Hz), 7.96 (1H, d, J = 2.0Hz), 8.11 (1H, d, J = 2.0Hz), 9.36 (2H, s).
IR (KBr) νcm-1: 3307, 3208, 1662, 1602, 1573, 1474, 1342, 1161, 1140, 1004, 907, 765, 591.
실시예 371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39
참고예 203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64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75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4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1 (2H, m), 1.71-1.78 (2H, m), 2.32 (3H, s), 2.46 (2H, t, J = 7.3Hz), 2.56-2.60 (2H, m), 2.65 (3H, s), 2.76-2.80 (2H, m), 2.96 (2H, t, J = 7.0Hz), 3.33 (2H, t, J = 8.8Hz), 3.82 (3H, s), 4.82-4.85 (1H, br), 4.86 (2H, t, J = 8.8Hz), 6.83-6.89 (2H, m), 7.12-7.19 (2H, m), 8.04 (1H, d, J = 1.6Hz), 8.22 (1H, d, J = 1.6Hz).
IR (neat) νcm-1: 3307, 1679, 1602, 1495, 1465, 1330, 1244, 1160, 1118, 756, 734, 587.
실시예 372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0
참고예 203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64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76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4-1.61 (2H, m), 1.71- 1.78 (2H, m), 2.34 (3H, s), 2.48 (2H, t, J = 7.6Hz), 2.60-2.64 (2H, m), 2.66 (3H, d, J = 4.4Hz), 2.89-2.98 (4H, m), 3.34 (2H, t, J = 8.8Hz), 4.77 (1H, br.s), 4.87 (2H, t, J = 8.8Hz), 7.13 (1H, dt, J = 7.6, 1.5Hz), 7.18 (1H, dt, J = 7.6, 1.5Hz), 7.24 (1H, dd, J = 7.6, 1.5Hz), 7.32 (1H, dd, J = 7.6, 1.5Hz), 8.06 (1H, d, J = 1.5Hz), 8.23 (1H, d, J = 1.5Hz).
IR (neat) νcm-1: 3307, 1680, 1603, 1475, 1329, 1263, 1159, 1119, 754, 585.
실시예 373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1
참고예 204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92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75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466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6-1.63 (2H, m), 1.71-1.79 (2H, m), 2.34 (3H, s), 2.49 (2H, t, J = 7.6Hz), 2.58-2.62 (2H, m), 2.78- 2.82 (2H, m), 2.84 (6H, s), 2.95 (2H, t, J = 7.3Hz), 3.32 (2H, t, J = 7.3Hz), 3.82 (3H, s), 4.82 (2H, t, J = 8.8Hz), 6.83-6.89 (2H, m), 7.13-7.19 (2H, m), 8.02 (1H, d, J = 1.7Hz), 8.19 (1H, d, J = 1.7Hz).
IR (neat) νcm-1: 3307, 1680, 1603, 1475, 1329, 1263, 1159, 1119, 754, 585.
실시예 374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2
참고예 204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692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76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7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3-1.61 (2H, m), 1.70-1.78 (2H, m), 2.33 (3H, s), 2.47 (2H, t, J = 7.6Hz), 2.59-2.63 (2H, m), 2.84 (6H, s), 2.87-2.96 (4H, m), 3.32 (2H, t, J = 8.8Hz), 4.82 (2H, t, J = 8.8Hz), 7.12 (1H, dt, J = 7.6, 1.5Hz), 7.17 (1H, dt, J = 7.6, 1.5Hz), 7.24 (1H, dd, J = 7.6, 1.5Hz), 7.32 (1H, dd, J = 7.6, 1.5Hz), 8.02 (1H, d, J = 1.5Hz), 8.18 (1H, d, J = 1.5Hz).
IR (neat) νcm-1: 1681, 1603, 1464, 1423, 1342, 1262, 1154, 1119, 958, 754, 583.
실시예 375
6-{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3
참고예 20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664 mg)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752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1-122℃의 무색 결정(447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1-1.59 (2H, m), 1.68-1.75 (2H, m), 2.09-2.15 (2H, m), 2.30 (3H, s), 2.42-2.46 (2H, m), 2.54-2.58 (2H, m), 2.74-2.78 (2H, m), 2.88-2.93 (4H, m), 3.82 (3H, s), 4.47 (2H, t, J = 5.3Hz), 5.17 (2H, br.s), 6.82-6.88 (2H, m), 7.11-7.19 (2H, m), 7.91 (1H, d, J = 1.7Hz), 8.28 (1H, d, J = 1.7Hz).
IR (neat) νcm-1: 3388, 3283, 1684, 1600, 1461, 1324, 1243, 1165, 1144, 1032, 752.
실시예 376
6-{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4
참고예 208에서 얻은 6-(5-클로로펜타노일)-8-크로만술폰아미드(664 mg)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768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360 mg)을 담황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400MHz, CDCl3) δ 1.51-1.59 (2H, m), 1.68-1.75 (2H, m), 2.09-2.15 (2H, m), 2.32 (3H, s), 2.46 (2H, t, J = 7.3Hz), 2.58-2.62 (2H, m), 2.87-2.93 (6H, m), 4.48 (2H, t, J = 5.3Hz), 5.31 (2H, br.s), 7.12 (1H, dt, J = 7.3, 2Hz), 7.17 (1H, dt, J = 7.3, 2Hz), 7.22 (1H, dd, J = 7.3, 1.7Hz), 7.32 (1H, dd, J = 7.3, 1.7Hz), 7.90 (1H, d, J = 1.7Hz), 8.27 (1H, d, J = 1.7Hz).
IR (neat) νcm-1: 3384, 3276, 1684, 1599, 1477, 1324, 1161, 1144, 901, 757.
실시예 377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시트르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시트르산(96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0-102℃(분해)의 무색 결정(278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C6H8O7 로서
계산값: C, 59.75; H, 5.85; N, 4.65.
실험값: C, 59.34; H, 6.21; N, 4.39.
실시예 378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숙신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숙신산(59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8-140℃(분해)의 무색 결정(217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C4H6O4 로서
계산값: C, 63.57; H, 6.29; N, 5.30.
실험값: C, 63.37; H, 6.20; N, 5.10.
실시예 379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메탄술폰산(48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6-188℃(분해)의 무색 결정(213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CH4O3S로서
계산값: C, 59.22; H, 6.16; N, 5.52.
실험값: C, 59.07; H, 6.25; N, 5.35.
실시예 380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L(+)-타르타르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L(+)-타르타르산(75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03-105℃(분해)의 무색 결정(225 mg)으로서 얻었다.
실시예 381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옥살산염
실시예 39에서 얻은 8-(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2(1H)-온 염산염(205 mg, 0.5 mmol) 및 옥살산(45 mg, 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1-163℃(분해)의 무색 결정(221 mg)으로서 얻었다.
원소 분석 C24H27ClN2O2ㆍC2H2O4 로서
계산값: C, 62.33; H, 5.83; N, 5.59.
실험값: C, 62.15; H, 6.00; N, 5.44.
실시예 382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p-톨루엔술폰산염
실시예 143에서 얻은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458 mg, 1.05 mmol) 및 p-톨루엔술폰산(200 mg, 1.0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360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48-150℃ 의 무색 결정(566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200MHz, DMSO-d6) δ 1.69 (4H, br), 2.28 (3H, s), 3.09 (8 H, m), 3.38 (3H, s), 3.39 (3H, s), 7.10 (2H, d, J = 8.0Hz), 7.25-7.51 (7 H, m), 7.73 (1H, s), 7.81 (1H, d, J = 7.6Hz), 8.52 (2H, br).
원소 분석 C22H26ClN3O2ㆍC7H8O3 S로서
계산값: C, 60.88; H, 5.99; N, 7.34.
실험값: C, 60.95; H, 6.00; N, 7.47.
실시예 383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5
참고예 21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5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2-193℃의 무색 결정(34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7-1.73 (4H, m), 2.97 (2H, br.s), 3.04 (2H, t, J = 6.7Hz), 3.11 (4H, br.s), 3.31 (3H, s), 7.18 (1H, d, J = 8.3Hz), 7.27-7.34 (2H, m), 7.39 (1H, dd, J = 7.0, 2.0Hz), 7.44 (1H, dd, J = 7.0, 2.0Hz), 7.52 (1H, d, J = 1.7Hz), 7.76 (1H, dd, J = 8.3, 1.7Hz), 9.20 (2H, br.s), 11.19 (1H, s).
IR (KBr) νcm-1: 3432, 2776, 1749, 1666, 1630, 1487, 1319, 1272, 808, 750.
실시예 384
6-(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6
참고예 218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3-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5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7-129℃의 무색 결정(35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8-1.74 (4H, m), 2.98(2H, br.s), 3.07 (2H, t, J = 6.8Hz), 3.11 (4H, br.s), 3.33 (3H, s), 7.06 (1H, d, J = 8.3Hz), 7.27-7.34 (2H, m), 7.39 (1H, dd, J = 7.0, 2.0Hz), 7.44 (1H, dd, J = 7.0, 2.0Hz), 7.67 (1H, d, J = 1.7Hz), 7.72 (1H, dd, J = 8.3, 1.7Hz), 9.24 (2H, br.s), 11.32 (1H, s).
IR (KBr) νcm-1: 3356, 2733, 1703, 1677, 1623, 1474, 1370, 1252, 1181, 757, 691.
실시예 385
5-(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7
참고예 219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40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2-204℃의 무색 결정(33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6-1.68 (4H, m), 2.95-3.06 (8 H, m), 3.31 (3H, s), 6.78 (1H, dd, J = 8.3, 2.4Hz), 6.85 (1H, d, J = 2.4Hz), 7.16 (1H, d, J = 8.3Hz), 7.18 (1H, d, J = 8.3Hz), 7.52 (1H, d, J = 1.5Hz), 7.76 (1H, dd, J = 8.3, 1.5Hz), 8.96 (2H, br.s), 9.92 (1H, s), 11.16 (1H, s).
IR (KBr) νcm-1: 3206, 1703, 1665, 1622, 1502, 1438, 1310, 1083, 705.
실시예 386
6-(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1,3-디 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8
참고예 219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3-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5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01-203℃의 무색 결정(20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7-1.68 (4H, m), 2.97-3.08 (8 H, m), 3.33 (3H, s), 6.73 (1H, dd, J = 8.3, 2.4Hz), 6.85 (1H, d, J = 2.4Hz), 7.06 (1H, d, J = 8.1Hz), 7.16 (1H, d, J = 8.3Hz), 7.67 (1H, d, J = 1.7Hz), 7.72 (1H, dd, J = 8.1, 1.7Hz), 8.97 (2H, br.s), 9.92 (1H, s), 11.30 (1H, s).
IR (KBr) νcm-1: 3120, 2946, 2797, 1695, 1673, 1612, 1502, 1469, 1180, 691.
실시예 387
5-(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3-디메틸- 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49
참고예 220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6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5-197℃의 무색 결정(21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7-1.70 (4H, m), 2.97-3.00 (6H, m), 3.09 (2H, t, J = 6.6Hz), 3.36 (3H, s), 3.38 (3H, s), 6.73 (1H, dd, J = 8.3, 2.4Hz), 6.85 (1H, d, J = 2.4Hz), 7.16 (1H, d, J = 8.3Hz), 7.25 (1H, d, J = 8.3Hz), 7.72 (1H, d, J = 1.7Hz), 7.80 (1H, dd, J = 8.3, 1.7Hz), 8.99 (2H, br.s), 9.92 (1H, s).
IR (KBr) νcm-1: 3091, 2951, 2780, 1707, 1675, 1622, 1501, 1461, 1251, 1190.
실시예 388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 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0
참고예 222에서 얻은 5-클로로-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8 (4H, m), 2.19 (2H, quintet, J = 6.0Hz), 2.34 (3H, s), 2.48 (2H, t, J = 7.4Hz), 2.63 (2H, m), 2.79-2.96 (6H, m), 3.31 (3H, s), 3.76 (2H, t, J = 5.4Hz), 7.11-7.34 (5H, m), 7.44 (1H, s).
실시예 389
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1
참고예 222에서 얻은 5-클로로-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 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7-1.79 (4H, m), 2.19 (2H, quintet, J = 6.0Hz), 2.34 (3H, s), 2.49 (2H, t, J = 7.0Hz), 2.60 (2H, m), 2.72-2.85 (4H, m), 2.94 (2H, t, J = 7.0Hz), 3.31 (3H, s), 3.76 (2H, t, J = 5.4Hz), 3.81 (3H, s), 6.82-6.91 (2H, m), 7.12-7.28 (3H, m), 7.44 (1H, s).
실시예 390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2
참고예 223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메틸-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을 이용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4-15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8 (4H, m), 2.19 (2H, quintet, J = 6.0Hz), 2.48 (2H, t, J = 7.4Hz), 2.63 (2H, m), 2.79-2.96 (6H, m), 3.31 (3H, s), 3.75 (2H, t, J = 5.4Hz), 4.61 (1H, br), 7.15-7.34 (5H, m), 7.44 (1H, s).
실시예 391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3
참고예 224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옥사이드-5,6-디하이드로-1H,4H-[1,2,5]티아디아졸로[4,3,2-ij]퀴놀린-8-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25℃(분해)의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1-1.79 (4H, m), 2.19 (2H, quintet, J = 6.0Hz), 2.48 (2H, t, J = 7.4Hz), 2.63 (2H, m), 2.78-2.99 (6H, m), 3.75 (2H, t, J = 5.4Hz), 4.61 (1H, br), 7.15-7.34 (5H, m), 7.45 (1H, s), 11.58 (1H, s).
실시예 392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 -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4
참고예 226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89 (4H, m), 2.53 (3H, s), 2.67-2.79 (4H, m), 2.86 (2H, m), 2.98 (2H, m), 4.54 (2H, s), 5.69 (1H, br), 6.60 (1H, d, J = 8.0Hz), 7.13-7.32 (4H, m), 7.47-7.55 (2H, m), 10.81 (1H, s).
실시예 393
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5
참고예 226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 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89 (4H, m), 2.60 (3H, s), 2.67-2.79 (4H, m), 2.86 (2H, m), 2.98 (2H, m), 3.76 (3H, s), 4.45 (2H, s), 5.69 (1H, br), 6.54 (1H, d, J = 8.0Hz), 6.77-6.84 (2H, m), 7.09-7.18 (2H, m), 7.47-7.55 (2H, m), 10.81 (1H, s).
실시예 394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6
참고예 226에서 얻은 5-클로로-1-(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7-199℃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89 (4H, m), 2.67- 2.79 (4H, m), 2.86 (2H, m), 2.98 (2H, m), 4.54 (2H, s), 4.63 (1H, br), 5.68 (1H, br), 6.61 (1H, d, J = 8.0Hz), 7.11-7.32 (4H, m), 7.43-7.49 (2H, m), 10.82 (1H, s).
실시예 395
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7
참고예 228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9 (4H, m), 2.34 (3H, s), 2.48 (2H, t, J = 7.0Hz), 2.61 (2H, m), 2.77 (3H, s), 2.87-2.97 (4H, m), 3.39 (3H, s), 4.69 (2H, s), 6.92 (1H, d, J = 8.8Hz), 7.11-7.34 (4H, m), 7.74 (1H, d, J = 1.8Hz), 7.91 (1H, dd, J = 8.8, 2.2Hz).
실시예 396
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 일)-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8
참고예 228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80 (4H, m), 2.33 (3H, s), 2.48 (2H, t, J = 7.0Hz), 2.58 (2H, m), 2.76 (3H, s), 2.80 (2H, m), 2.95 (2H, t, J = 6.6Hz), 3.39 (3H, s), 3.81 (3H, s), 4.68 (2H, s), 6.82-6.94 (3H, m), 7.12-7.21 (2H, m), 7.74 (1H, d, J = 1.8Hz), 7.92 (1H, dd, J = 8.4, 1.8Hz).
실시예 397
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59
참고예 228에서 얻은 5-클로로-1-(1,3-디메틸-2,2-디옥사이드-3,4-디하이드로-1H-2,1,3-벤조티아디아진-6-일)-1-펜타논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64-165℃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1-1.76 (4H, m), 2.48 (2H, t, J = 7.0Hz), 2.61 (2H, m), 2.77 (3H, s), 2.87-2.97 (4H, m), 3.39 (3H, s), 3.92 (1H, br), 4.69 (2H, s), 6.92 (1H, d, J = 8.8Hz), 7.11-7.34 (4H, m), 7.74 (1H, s), 7.91 (1H, d, J = 8.8Hz).
실시예 398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0
참고예 23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89 (4H, m), 2.34 (3H, s), 2.49 (2H, t, J = 7.0Hz), 2.61 (2H, m), 2.86-2.97 (2H, m), 3.05 (2H, t, J = 7.0Hz), 3.22 (3H, s), 7.10-7.33 (4H, m), 7.94 (1H, d, J = 7.8Hz), 8.29 (1H, d, J = 8.4Hz), 8.37 (1H, s).
실시예 399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1
참고예 231에서 얻은 5-(5-클로로펜타노일)-2-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6-1.87 (4H, m), 2.33 (3H, s), 2.49 (2H, t, J = 7.0Hz), 2.61 (2H, m), 2.71-2.82 (2H, m), 3.05 (2H, t, J = 6.8Hz), 3.21 (3H, s), 3.82 (3H, s), 6.85 (2H, t, J = 8.6Hz), 7.13 (2H, d, J = 7.4Hz), 7.93 (1H, d, J = 7.8Hz), 8.30 (1H, d, J = 8.4Hz), 8.37 (1H, s).
실시예 400
N-(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 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2
참고예 23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8 (4H, m), 1.94 (3H, s), 2.34 (3H, s), 2.48 (2H, t, J = 7.4Hz), 2.60 (2H, m), 2.78-2.98 (6H, m), 3.31 (2H, dd, J = 16.4, 6.8Hz), 4.74 (1H, m), 5.96 (1H, d, J = 7.2Hz), 7.09-7.34 (5H, m), 7.78 (2H, m).
실시예 401
N-(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3
참고예 23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6-1.78 (4H, m), 1.94 (3H, s), 2.33 (3H, s), 2.48 (2H, t, J = 7.4Hz), 2.60 (2H, m), 2.78-2.98 (6H, m), 3.31 (2H, dd, J = 16.4, 6.8Hz), 3.81 (3H, s), 4.74 (1H, m), 6.04 (1H, d, J = 7.2Hz), 6.81-6.90 (2H, m), 7.11-7.30 (3H, m), 7.78 (2H, m).
실시예 402
N-[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4
참고예 23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50-151℃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8 (4H, m), 1.94 (3H, s), 2.48 (2H, t, J = 7.4Hz), 2.60 (2H, m), 2.78-2.98 (6H, m), 3.31 (2H, dd, J = 16.4, 6.8Hz), 4.53 (1H, br), 4.74 (1H, m), 5.96 (1H, d, J = 7.2Hz), 7.09-7.34 (5H, m), 7.78 (2H, m).
실시예 403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1-하이드록시펜틸)-1,3-디메틸-1,3-디하이드로-2H-벤조이미다졸-2-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5
참고예 235에서 얻은 2-(2-클로로페닐)에틸[5-(1,3-디메틸-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조이미다졸-5-일)-5-하이드록시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25 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253-255℃의 무색 결정(34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CD3OD) δ 1.32-1.41 (1H, m), 1.46-1.57 (1H, m), 1.68-1.75 (3H, m), 1.83-1.92 (1H, m), 3.01 (2H, t, J = 7.8Hz), 3.12-3.23 (4H, m), 3.40 (3H, s), 3.41 (3H, s), 4.21-4.24 (1H, m), 4.91 (3H, s), 7.08-7.12 (3H, m), 7.27-7.31 (2H, m), 7.37-7.42 (2H, m).
IR (KBr) νcm-1: 3428, 2944, 1712, 1510, 1462, 747, 584.
실시예 404
8-(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2,5,6-테트 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6
참고예 236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4-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24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4-185℃의 무색 결정(203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2-1.73 (4H, m), 2.58(2H, t, J = 7.8Hz), 2.95-3.01 (10 H, m), 3.16 (2H, t, J = 8.3Hz), 3.97 (2H, t, J = 8.3Hz), 6.73 (1H, dd, J = 8.3, 2.4Hz), 6.85 (1H, d, J = 2.4Hz), 7.16 (1H, d, J = 8.3Hz), 7.71 (1H, s), 7.73 (1H, s), 9.05 (2H, s), 9.89 (1H, br).
IR (KBr) νcm-1: 2949, 2767, 1642, 1592, 1500, 1455, 1400, 1158, 1042, 852.
실시예 405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 닐)에틸]아미노}펜탄-1-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7
참고예 237에서 얻은 5-(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5-옥소펜틸[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카르밤산 tert-부틸(320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97-199℃의 무색 결정(260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4-1.79 (4H, m), 2.17 (3H, s), 2.93-3.01 (8 H, m), 3.16 (2H, t, J = 8.3Hz), 4.13 (2H, t, J = 8.3Hz), 6.73 (1H, dd, J = 8.3, 2.4Hz), 6.87 (1H, d, J = 2.4Hz), 7.15 (1H, d, J = 8.3Hz), 7.81 (1H, s), 7.82 (1H, d, J = 8.3Hz), 8.07 (1H, d, J = 8.3Hz), 9.18 (2H, s), 9.51 (1H, br).
IR (KBr) νcm-1: 2949, 2780, 1686, 1632, 1587, 1503, 1443, 1405, 1248, 826.
실시예 406
8-(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1-메틸-5,6-디 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8
참고예 238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1-메틸-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8-일)-5-옥소펜틸]카르밤산 tert-부틸(11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5-177℃의 무색 결정(82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8 (4H, br.s), 2.00-2.04 (2H, m), 2.98-3.07 (8 H, m), 3.34 (2H, br.s), 3.36 (3H, s), 3.71-3.76 (2H, m), 6.73 (1H, dd, J = 8.5, 2.4Hz), 6.85 (1H, d, J = 2.4Hz), 7.16 (1H, d, J = 8.5Hz), 7.59 (2H, s), 9.00 (2H, br.), 9.93 (1H, s).
IR (KBr) νcm-1: 3426, 2955, 2790, 1698, 1641, 1610, 1501, 1436, 1277, 1251.
실시예 407
8-(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 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69
참고예 239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8-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55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85-186℃의 무색 결정(38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6 (4H, br.s), 2.00-2.03 (2H, m), 2.82 (2H, t, J = 6.0Hz), 2.97-3.02 (8 H, m), 3.42 (1H, br.), 3.71 (2H, t, J = 6.0Hz), 6.73 (1H, dd, J = 8.3, 2.2Hz), 6.85 (1H, d, J = 2.2Hz), 7.16 (1H, d, J = 8.3Hz), 7.38 (1H, s), 7.55 (1H, s), 8.91 (2H, br.s), 9.91 (1H, s).
IR (KBr) νcm-1: 3252, 2959, 2815, 1717, 1664, 1613, 1502, 1439, 1150, 668.
실시예 408
9-(5-{[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5,6-디하이드 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0
참고예 240에서 얻은 2-(2-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틸[5-옥소-5-(2-옥소-1,2,5,6-테트라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9-일)펜틸]카르밤산 tert-부틸(64 m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73-175℃의 무색 결정(44 mg)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1.68 (4H, br.s), 1.99-2.02 (2H, m), 2.82 (2H, t, J = 6.0Hz), 2.97-3.03 (8 H, m), 3.71 (2H, t, J = 6.0Hz), 4.24 (1H, br.), 6.73 (1H, dd, J = 8.3, 2.4Hz), 6.85 (1H, d, J = 2.4Hz), 6.91 (1H, d, J = 8.3Hz), 7.16 (1H, d, J = 8.0Hz), 7.53 (1H, d, J = 8.0Hz), 8.90 (2H, br.s), 10.82 (1H, s).
IR (KBr) νcm-1: 3152, 2958, 1689, 1610, 1502, 1488, 1442, 1229, 1041, 692.
실시예 409
N-(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 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1
참고예 241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80 (4H, m), 2.15 (3H, s), 2.34 (3H, s), 2.48 (2H, t, J = 7.4Hz), 2.61 (2H, m), 2.81 (3H, s), 2.85-2.98 (6H, m), 3.18 (2H, dd, J = 16.4, 6.8Hz), 5.32 (1H, m), 7.08-7.38 (5H, m), 7.78 (2H, m).
실시예 410
N-(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2
참고예 241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80 (4H, m), 2.15 (3H, s), 2.34 (3H, s), 2.47 (2H, t, J = 7.2Hz), 2.58 (2H, m), 2.72-2.82 (4H, m), 2.80 (3H, s), 2.96 (2H, t, J = 7.0Hz), 3.25 (2H, dd, J = 17.0, 8.8Hz), 3.80 (3H, s), 5.25 (1H, m), 6.80-6.88 (2H, m), 7.11-7.18 (2H, m), 7.28 (1H, m), 7.79 (2H, m).
실시예 411
N-[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3
참고예 241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아세트아미드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융점 137-138℃의 무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3-1.79 (4H, m), 2.15 (3H, s), 2.48 (2H, t, J = 7.4Hz), 2.61 (2H, m), 2.81 (3H, s), 2.85-2.98 (6H, m), 3.18 (2H, dd, J = 16.4, 6.8Hz), 4.28 (1H, br), 5.32 (1H, m), 7.09-7.37 (5H, m), 7.78 (2H, m).
실시예 412
N-(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4
참고예 24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2-(2-클로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77 (4H, m), 2.34 (3H, s), 2.48 (2H, t, J = 7.6Hz), 2.61 (2H, m), 2.71 (3H, s), 2.89 (3H, s), 2.91-3.10 (6H, m), 3.35 (2H, dd, J = 16.8, 8.4Hz), 4.90 (1H, quint, J = 7.0Hz ), 7.09-7.32 (5H, m), 7.78 (2H, m).
실시예 413
N-(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5
참고예 24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 일]메탄술폰아미드 및 N-[2-(2-메톡시페닐)에틸]-N-메틸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4-1.79 (4H, m), 2.33 (3H, s), 2.48 (2H, t, J = 7.0Hz), 2.58 (2H, m), 2.71 (3H, s), 2.80 (2H, m), 2.89 (3H, s), 2.96 (2H, m), 3.05 (2H, m), 3.28 (2H, dd, J = 16.4, 8.0Hz), 3.81 (3H, s), 4.91 (1H, m), 6.81-6.90 (2H, m), 7.12-7.31 (3H, m), 7.78 (2H, m).
실시예 414
N-[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염산염
Figure 112004027844520-pct00776
참고예 242에서 얻은 N-[5-(5-클로로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H-인덴-2-일]메탄술폰아미드 및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참고예 19 및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비결정상 분말로서 얻었다. `
1H NMR (유리된 상태의 염기; 200MHz, CDCl3) δ 1.55-1.77 (4H, m), 2.47 (2H, t, J = 7.4Hz), 2.61 (2H, m), 2.71 (3H, s), 2.89 (3H, s), 2.91-3.10 (6H, m), 3.35 (2H, dd, J = 16.4, 8.0Hz), 4.08 (1H, br), 4.90 (1H, quint, J = 7.0Hz ), 7.09-7.32 (5H, m), 7.78 (2H, m).
제제예 1
(1) 실시예 20의 화합물 1 g
(2) 유당 197 g
(3) 옥수수 전분 50 g
(4)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g
상기 (1), (2) 및 옥수수 전분(20 g)을 혼화하고, 상기 혼합물을 옥수수 전분(15 g) 및 25 ㎖의 물로 이루어진 페이스트와 함께 과립화하고, 이것에 옥수수 전분(15 g)과 상기 (4)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압축 정제기(compression tabletting machine)로 압축하고, 정제 1정당 실시예 20의 화합물을 0.5 mg 함유하는 직경 3 mm의 정제 2000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1) 실시예 20의 화합물 2 g
(2) 유당 197 g
(3) 옥수수 전분 50 g
(4)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g
제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정제 1정당 실시예 20의 화합물을 1.0 mg 함유하는 직경 3 mm의 정제 2000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1) 실시예 20의 화합물 5.0 mg
(2) 유당 60.0 mg
(3) 옥수수 전분 35.0 mg
(4) 젤라틴 3.0 mg
(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mg
상기 (1), (2) 및 (3)의 혼합물을 10% 젤라틴 수용액 0.03 ㎖(젤라틴으로서 3.0 mg)을 이용하여, 1 mm 메쉬의 체를 통해 과립화한 후, 40℃에서 건조시킨 후, 다시 체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과립을 상기 (5)와 혼합하고, 압축하였다. 얻어진 중심정(central tablet)을 수크로오스, 이산화티탄, 탈크 및 아라비아 고무를 함유하는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당의로 코팅하였다. 코팅이 실시된 정제를 밀랍(beewax)으로 윤기를 내어 코팅된 정제를 얻었다.
실험예 1
a)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의 측정
실시예 화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인간 적혈구 유래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이용하여, 아세틸티오콜린법(Ellman 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인간 적혈구 유래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Sigma사)를 증류수를 이용해 0.2 IU/㎖의 농도로 용해시켜 효소 표본(specimen)을 제작하였다. 96well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약액 20 ㎕, 80 mM Tris-HCl(pH 7.4) 30 ㎕, 효소 표본 50 ㎕ 및 5 mM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Sigma사) 50 ㎕을 분산시키고, 10초간 교반하였 다. 50 ㎕의 4 mM 아세틸티오콜 요오다이드(acetylthiocholine iodide)(Sigma사)를 첨가하고, 다시 교반하고, 곧 이어서 10분 동안 30초 간격으로 414 nM에서의 흡광 증가를 측정하였다. 하기 식에 의해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R = 5.74 × 10-7 × ΔA
(식에서, R은 효소 활성(mol), ΔA는 414nM에서의 흡광 증가를 나타냄).
각 화합물에 대해 적어도 3회의 실험을 반복하고, 50% 저해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기지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인 디스티그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b) α1A 수용체 결합 저해 활성의 측정
이하에 기재한 유전자 조작법은, 텍스트북(Maniatis 외,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9)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시약의 첨부 프로토콜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에 따랐다.
(i) 인간 아드레날린 α1A 수용체의 발현 플라스미드 제작
인간 간장 cDNA로부터 PCR법을 통해 아드레날린 α1A 수용체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200 ng의 인간 간장 cDNA 라이브러리(TAKARA SHUZO Co., Ltd.)를 주형으로 하고, Hirasawa A. 등이 보고한(Biochem. Biophys. Res. Commun., 195, 902-909 (1993)) 아드레날린 α1A 수용체 유전자 염기배열을 참고로 제작한 프라이머 세트 5'-CCGAATTCGGCTGGGACCATGGTGTTTCTC-3'[SEQ ID No.: 1] 및 5'- CTGTCGACCTTTCCTGTCCTAGACTTCCTC-3'[SEQ ID No.: 2]를 각 50 pmol씩 첨가하여, TaKaRa Pyrobest DNA Polymerase(TAKARA SHUZO Co., Ltd.)를 사용하여, Gene Amp PCR System 9700(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해 PCR 반응을 실시하였다(반응 조건: 94℃에서 15초간, 68℃에서 3분 30초간을 45사이클).
상기에서 얻어진 PCR 단편을 제한 효소 Eco RI(TAKARA SHUZO Co., Ltd.) 및 Sal I(TAKARA SHUZO Co., Ltd.)으로 분해시킨 후,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에 의하여 DNA 단편을 회수하였다. 그 DNA 단편을, Eco RI 및 Sal I으로 분해시킨 동물 세포용 발현 플라스미드 pMSRα neo(관리 번호 A99-0013)와 혼합하고, DNA Ligation Kit Ver.2(TAKARA SHUZO Co., Ltd.)로 연결시켜, 대장균 JM109의 컴피턴트 세포(competent cell)를 형질전환시킴으로써, 플라스미드 pMSRα neo-Adreα1A를 얻었다.
(ii) 인간 아드레날린 α1A 수용체 발현용 플라스미드의 CHO-K1 세포로의 도입과 막 분획(fraction)의 조제
10% 소태아 혈청(TRACE SCIENCETIFIC)을 함유하는 햄 F12 배지(Ham F12 medium; Invitrogen)이용하여 150 cm2 배양 플라스크(Corning Coaster)에서 이차 배양(subculture)한 CHO-K1 세포를 0.5 g/ℓ 트립신-0.2 g/ℓ EDTA(Invitrogen)로 박리시킨 후, 세포를 D-PBS(-)(Invitrogen)로 세정하고, 원심분리(1000 rpm, 5분)하여, D-PBS(-)로 현탁하였다. 그런 다음, 진 펄서(gene pulser; BioRad)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 따라서 DNA를 세포에 도입하였다. 즉, 0.4 cm 갭의 큐베트(cuvette; BioRad)에 D-PBS(-) 700 ㎕로 현탁한 1×107개의 세포와 10 ㎍의 pMSRα neo-Adreα1A를 첨가하고, 전압 0.25 kV, 커패시턴스 960 μF 하에서 전기천공(electroporation)을 실시하였다. 그 후, 세포를 10% 소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햄 F12 배지로 옮기고, 24시간 배양 후, 다시 세포를 박리시켜 원심한 뒤, 10% 소태아 혈청 및 500 ㎍/㎖ 젠티신(geneticine; Invitrogen)을 포함하는 햄 F12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Corning)에 1000개/웰 수준으로 파종하여 10일간 배양함으로써 젠티신 내성주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젠티신 내성주를 복수 선택하여, 각 주를 세포 배양 플라스크 150 cm2에 반합류(semiconfluent) 상태까지 배양하여, 세포막 분획을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반합류 상태의 세포를 0.02% EDTA 함유 D-PBS(-)로 박리시키고,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를 회수하고, 막 조제용 완충액(50 mM 트리스-염산(pH7.5), 1 mM EDTA, 10 mM 염화마그네슘 , 0.25 mM PMSF, 1 ㎍/㎖ 펩스타틴, 20 ㎍/㎖ 로이펩틴 0.5% BSA)에 현탁하여, 폴리트론 호모게나이저(Polytron homogenizer; 모델 PT-3000, KINEMATICA AG)로써 20000 rpm에서 20초간 3회 처리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세포 파쇄 후, 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막 분획을 포함하는 상청을 얻었다. 그 상청을 초원심기(모델 L8-70M, 로터 70 Ti, Beckmann) 내에서 30000 rpm으로 1시간 원심분리하여, 막 분획을 포함하는 침전물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클론의 막 분획을 이하의 결합 실험에 적용하였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막 조제용 완충액으로 희석한 막 분획(100 ㎍/㎖) 및 리간드인 [3H]-Prazosin(2.5 nM, NEN Life Science Products)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비특이적인 결합의 측정을 위하여, 추가로 Prazosin (Sigma)을 10 μM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 수확기(cell harvester)(Packerd)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여과함으로써 막 분획을 유니필터 GF/C(Packerd)로 옮기고, 빙냉한 50 mM Tris 완충액(pH7.5)으로 3회 세정하였다. 필터를 건조시킨 후, 마이크로신티 0(Microsinti 0; Packerd)를 필터에 첨가하고, 톱카운트(Topcount; Packerd)를 이용해 방사 활성을 계측하였다. 막 분획을 이용한 결합 측정에서 가장 우수한 S/B값(전체 결합 방사 활성/비특이적 결합 방사 활성)을 나타낸 주를 이용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화합물 평가용 막 분획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여, 이하의 화합물 평가에 이용하였다.
(iii) 실시예 화합물의 평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막 조제용 완충액으로 희석한 막 분획(100 ㎍/㎖), 화합물 및 [3H]-Prazosin(2.5 nM, NEN Life Science Products)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비특이적인 결합의 측정을 위하여, 추가로 빙냉한 리간드인 Prazosin(Sigma)을 10 μM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 수확기(Packerd)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막 분획을 유니필터 GF/C (Packerd)로 옮기고, 냉각한 50 mM Tris 완충액(pH7.5)으로 3회 세정하였다. 필터를 건조시킨 후, 마이크로신티 0(Packerd)를 필터에 첨가하고, 톱카운트(Packerd) 를 이용해 방사 활성을 계측하였다.
[3H]-Prazosin의 막 분획으로의 결합량을 50%까지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화합물의 농도(IC50)를 PRISM 2.01(Graphpad Software)로써 산출하였다. 기지의 α1 수용체 길항제인 우라피딜(염산염)의 IC5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하였다.
상기 방법 a) 및 b)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
화합물 AChE:IC 50 (μM) α 1A :IC 50 (μM)
실시예 20 0.179 0.165
실시예 84 0.169 0.236
디스티그민 0.723 -
우라피딜 - 0.357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 화합물(I)은 우수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을 가지며, 또한 우수한 α1A 수용체 결합 저해 활성을 함께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a) 페닐에프린이 부하된 기니아 피그에서의 최대 요류율, 방광내압 및 배뇨 효율에 대한 작용(Pressure Flow Study)
체중 300-350 g의 Hartley계 수컷 기니아 피그(Slc)를 우레탄 마취(1.2 g/kg, i.p.)시키고, 정중앙을 절개하여 방광을 노출시켰다. 방광 내에 2개의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입하고, 한쪽은 생리 식염수의 주입에 이용하고, 또 다른 한쪽은 방광내압 측정에 이용하였다. 좌측 대퇴 정맥에 캐뉼러를 장착하고, 페닐에프린을 3 ㎍/동물/분으로 실험의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정맥내 투여하였다. 생리 식염수를 0.3 ㎖/분의 속도로 방광 내로 주입하고, 배뇨가 확인된 시점에 주입을 정지하였다. 배뇨된 요중량을 전자천칭(HX-400, A&D)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방광내압 및 요중량의 아날로그 데이터(analog data)를 AD 변환기(MP-100, BIOPAC Systems)에 입력하고, 디지털 신호를 전용 해석 소프트웨어(AcqKnowledge 3.5.3, BIOPAC Systems)를 이용해 해석하였다. 데이터의 샘플링 속도는 10Hz로 하고, 배뇨량 및 요류율의 데이터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0.5Hz에서 로우커트 필터(lowcut filter)에 적용하였다. 요중량의 값을 미분하여 요류율(Q)을 산출하고, 배뇨 시의 최대 요류율(Qmax)과 최대 요류 시의 방광내압(Pves(Qmax))을 산출하였다. 배뇨중량 1 g을 1 ㎖으로 환산하여 배뇨량을 산출하고, 방광용량으로 나눔으로써, 배뇨 효율(Voiding Efficiency)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화합물은 DMSO에 용해시켜, 0.5 ㎖/kg으로 정맥내 투여하였다. 피험 화합물 투여 10분 후, 다시 배뇨반사를 기록하고, 요류율 변화(ΔQmax), 방광내압 변화(ΔPves(Qmax)), 배뇨 효율을 평가하였다. 요류율 변화(ΔQmax) 및 방광내압 변화(ΔPves(Qmax))는 피험 화합물 투여 후의 각각의 값에서 투여 전의 각각의 값을 빼서 구한 변화량(Δ값)으로 평가하고, 배뇨 효율은 피험 화합물 투여 전에 대한 투여 후의 상대값(% of pre-value)으로 평가하였다. 기지의 α1 수용체 길항제인 탐술로신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비히클(DMSO) 투여군의 각 값과 비교하여 Dunnett 테스트를 통해 유의 차이(significance diffenence)를 검정하였다.
b) 혈압에 대한 작용
체중 300-350 g의 Hartley계 수컷 기니아 피그(Slc)를 우레탄(1.2 g/kg)으로 마취시켜 유지시키고, 경부를 절개하여 좌측 총경동맥을 노출시켰다. 헤파린(10 U.I./㎖)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로 충진한 폴리에틸렌 튜브를 동맥에 삽입하고, 압력 변환기를 이용해 혈압을 측정하였다. 좌측 뒷다리 말단의 정맥에 피험 화합물 투여용에 캐뉼러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증류수에 용해시킨 피험 화합물을 0.5 ㎖/kg으로 투여하였다. 혈압은, 아날로그 데이터 수확 장치(MP-100, BIOPAC Systems)를 이용해 20Hz에서 기록하고, 해석 소프트(AcqKnowledge 3.5.3, BIOPAC Systems)를 이용해 해석하였다. 실시예 화합물 및 탐술로신에 대하여, 상기 시험 a)(Pressure Flow Study)에서 작용이 인지된 용량을 검토하고, 피험 화합물 투여 직전의 평균 혈압과 투여 15분 후의 평균 혈압을 측정하였다. 짝지은 t-테스트(Paired t-test)에 의해 통계 처리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과 탐술로신의 Pressure Flow Study에 의한 결과, 및 혈압에 대한 효과를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표 2] 본 발명 화합물과 탐술로신의 최대 요류율 변화(ΔQmax), 방광내압 변화(ΔPves(Qmax)) 및 배뇨 효율에 대한 효과
화합물 용량 (mg/kg, i.v.) ΔQmax (㎖/s) ΔPves(Qmax) (cmH2O) 배뇨 효율 (%) n
비히클 - -0.029±0.017 2.27±1.88 82.3±4.0 9
탐술로신 0.01 0.036±0.014* -3.56±1.09* 118.5±13.4** 8
실시예 20 0.1 0.060±0.016** -1.73±1.54 150.1±20.1** 8
*: P≤ 0.05, **: P≤ 0.01
[표 3] 본 발명 화합물과 탐술로신의 혈압에 대한 효과
화합물 용량 (mg/kg, i.v.) 혈압 (mmHg) n
투여전 투여후
탐술로신 0.01 54.5±2.5 32.9±3.0 ** 6
실시예 20 0.1 53.5±3.6 54.6±2.8 6
**: P ≤ 0.01
상기 결과로부터, α1 수용체 길항제 탐술로신(0.01 mg/kg, i.v.)은, 방광내압을 유의하게 저하시키며, 최대 요류율 및 배뇨 효율을 유의하게 상승시키지만, 이 용량에서는 혈압이 유의하게 약 40%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0.1 mg/kg, i.v.)은, 방광내압을 유의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요류율 및 배뇨 효율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 용량에서는 혈압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배뇨 장애, 특히 배뇨 곤란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 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예 1a에서 제시되는 페닐에프린 부하 기니아 피그를 이용한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에 의한 생체내 평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탐술로신의 최대 요류율, 방광내압 및 배뇨 효율에 대한 작용을 동시에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 치료약의 평가 방법으로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작용 및 α1 길항 작용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은, 우수한 방광의 배뇨 기능 개선 작용(요류율 및 배뇨 효율의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배뇨압 및 혈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배뇨 장애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프레셔 플로우 스터디를 α 아고니스트(페닐에프린)가 부하된 동물 모델에 적용하는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배뇨 장애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우수한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110>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120> Agent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ysuria <130> 3004WO0P <150> JP 2001-402064 <151> 2001-12-28 <150> JP 2002-72027 <151> 2002-03-15 <160> 2 <210> 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400> 1 ccgaattcgg ctgggaccat ggtgtttctc 30 <210> 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400> 2 ctgtcgacct ttcctgtcct agacttcctc 30

Claims (48)

  1. 하기 식(Ia)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Figure 112006034723515-pct00778
    [식에서, Ar1
    Figure 112006034723515-pct00779
    A 고리는, (i)할로겐, (ii) C1-6 알콕시, (iii) 할로겐화 C1-6 알콕시, (iv) 아미노, (v)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 (vi) 1-피롤리디닐, (vii) 피페리디노, (viii) 1-피페라디닐 (ix) N-메틸-1-피페라디닐, (x) N-아세틸-1-피페라디닐, (xi) 몰포리노, (xii) 헥사메틸렌이미노, (xiii)이미다졸릴, (xiv)C1-6알킬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복시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xv)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xvi)C1-6 알킬술포닐 아미노, (xvii)아미노 술포닐, (xvii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술포닐, (xix) 5원 내지 7원 환상 아미노술포닐 (xx) 카르바모일, (xxi)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카르바모일, (xxii)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상 아미노-카르보닐 및 (xxiii)시아노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 고리이고,
    L1은 할로겐 원자, 니트로, 시아노,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4-6 알킬렌기,
    L2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 옥소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4 알킬렌기,
    R은, (i) 수소원자 (ii) 할로겐 원자 및 히드록시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1-4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
    X는 공유결합으로서의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NH, 및,
    Ar2는 할로겐, C1-6 알킬, 할로겐화 C1-6 알킬, 히드록시, C1-6 알콕시, 할로겐화 C1-6 알콕시,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카르바모일 혹은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포르밀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 C1-3 알킬렌디옥시, C1-6 알킬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아미노카르복닐옥시기, 1개의 질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로부터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을 수 있는, 5원 내지 7원 환상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미노술포닐, 모노-C1-6 알킬아미노술포닐 및 디-C1-6 알킬 아미노술포닐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식 중,
    A고리는 아미노술포닐,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아미노술포닐, 카르바모일 및 모노- 또는 디- C1-6 알킬카르바모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벤젠고리,
    L1은 C4-5 알킬렌기,
    L2는 페닐, 히드록시 또는 옥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2-3 알킬렌기,
    R은 (i) 수소원자 또는 (ii)C1-4 알킬기,
    X는 공유결합으로서의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NH, 및,
    Ar2는 할로겐, 니트로, 히드록시,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킬, 할로겐화되어 있을 수 있는 C1-6 알콕시 및 아미노술포닐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C6-10 아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제1항에 있어서,
    (1) 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2)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3)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4)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5)N-이소프로필-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6) 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7) N-이소프로필-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8)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이소프로필-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9) N-메틸-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0) N-메틸-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1) N,N-디메틸-5-(5-{[2-(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2) N,N-디메틸-5-(5-{[2-(2-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펜타노일)-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3)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4)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15) 5-{5-[[2-(2-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 또는
    (16) 5-{5-[[2-(2-클로로페닐)에틸](메틸)아미노]펜타노일}-N,N-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퓨란-7-술폰아미드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KR1020047010185A 2001-12-28 2002-12-26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402064 2001-12-28
JPJP-P-2001-00402064 2001-12-28
JPJP-P-2002-00072027 2002-03-15
JP2002072027 2002-03-15
PCT/JP2002/013653 WO2003057254A1 (fr) 2001-12-28 2002-12-26 Produits preventifs/remedes contre les troubles urinair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382A Division KR20060005009A (ko) 2001-12-28 2002-12-26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267A KR20040071267A (ko) 2004-08-11
KR100614862B1 true KR100614862B1 (ko) 2006-08-22

Family

ID=266254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1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62B1 (ko) 2001-12-28 2002-12-26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KR1020057024382A Withdrawn KR20060005009A (ko) 2001-12-28 2002-12-26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382A Withdrawn KR20060005009A (ko) 2001-12-28 2002-12-26 배뇨 장애 예방제/치료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7132547B2 (ko)
EP (1) EP1466625A4 (ko)
JP (1) JP3878178B2 (ko)
KR (2) KR100614862B1 (ko)
CN (1) CN1589153A (ko)
AU (1) AU2002367425B2 (ko)
BR (1) BR0215389A (ko)
CA (1) CA2471760A1 (ko)
HU (1) HUP0500162A2 (ko)
MX (1) MXPA04006344A (ko)
NO (1) NO20043196L (ko)
NZ (1) NZ533774A (ko)
WO (1) WO2003057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115067A (pt) * 2000-10-30 2004-04-06 Univ Zuerich Análogos de gnrh para tratamento de incontinência urinária
US20070021391A1 (en) * 2003-06-30 2007-01-25 Takayuki Doi Preventive/remedy for urinary disturbance
PE20070702A1 (es) * 2005-11-02 2007-07-20 Takeda Pharmaceutical COMPUESTOS DERIVADOS DE (TRIFLUOROMETOXI-FENIL)-ETILAMINO COMO INHIBIDORES DE LA ACETILCOLINESTERASA Y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ADRENALINA alfa1
CN101410107A (zh) * 2005-12-21 2009-04-15 科蒂科股份有限公司 Mif抑制剂
CL2007003590A1 (es) * 2006-12-12 2008-02-29 Wyeth Corp Compuestos derivados de aril sulfamida;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a dichos compuestos; y su uso en prevencion y tratamiento de sintomas vasomotrices, disfuncion sexual, transtornos gastrointestinales, transt
AU2009258151A1 (en) * 2008-06-13 2009-12-17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Rasagiline for Parkinson's disease modification
FR2979822B1 (fr) * 2011-09-13 2015-05-08 Pf Medicament Utilisation du 3-(r)-[3-(2-methoxyphenylthio)-2-(s)-methyl-propyl]amino-3,4-dihydro-2h-1,5-benzoxathiepine pour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s effets cardiotoxiques dus a la chimiotherapie et/ou les rayonnements
US10357487B2 (en) * 2015-12-03 2019-07-23 Sidney J. Goldfarb Combinations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nd muscarinic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525050B2 (en) * 2017-01-06 2020-01-07 Florida A&M University Alkylated tetrahydroisoquinolines for binding to central nervous system receptors
CN106905281B (zh) * 2017-02-23 2019-10-08 四川大学 厚果崖豆藤中抑制乙酰和丁酰胆碱酯酶的黄酮类化合物及其用途
CN108250058B (zh) * 2018-01-19 2022-02-11 上海怡立舍生物技术有限公司 Ppar激动剂及其在治疗老年痴呆及其他疾病中的用途
WO2024123663A1 (en) * 2022-12-06 2024-06-13 Sri International Antimicrobial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4373A (en) * 1972-05-17 1975-05-14 Pfizer Ltd Control of plant diseases
CH611614A5 (en) * 1973-12-21 1979-06-15 Hoffmann La Roc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terocyclic compounds
JPS6032637B2 (ja) * 1976-06-22 1985-07-29 ウェルファイド株式会社 アミノアルコ−ル誘導体
JP2754406B2 (ja) * 1989-07-05 1998-05-20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
TW197435B (ko) 1990-11-22 1993-01-0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TW218875B (ko) 1992-03-09 1994-01-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CA2092112A1 (en) 1992-03-23 1993-09-24 Nobuyoshi Iwata Indole and indazol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erebral disorder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DE69329084T2 (de) 1992-04-24 2000-12-2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Benzoxazepin-Derivate als Cholinesterase-Inhibitoren
JPH06263733A (ja) 1993-01-14 1994-09-20 Sankyo Co Ltd ベンゼン誘導体
TW248556B (ko) * 1993-01-18 1995-06-01 Takeda Pharm Industry Co
US5620973A (en) 1993-11-30 1997-04-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Tetracyclic condensed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JP3331047B2 (ja) * 1994-06-01 2002-10-07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インドリン誘導体
JP3331048B2 (ja) 1994-06-01 2002-10-07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インドール誘導体
JPH0892080A (ja) * 1994-09-22 1996-04-09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経皮吸収用製剤
JPH09143182A (ja) 1995-11-28 1997-06-03 Kissei Pharmaceut Co Ltd 新規な5,6−ジヒドロピロロ〔3,2,1−ij〕キナゾリン−1−オン誘導体
DE69635135T2 (de) * 1995-12-28 2006-07-06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Benzimidazolderivate
JPH1045597A (ja) * 1996-07-31 1998-02-17 Toko Yakuhin Kogyo Kk 高血圧症、排尿障害治療用外用剤
WO1999019326A1 (fr) * 1997-10-15 1999-04-22 Kyowa Hakko Kogyo Co., Ltd. Derives de piperidine
ZA991315B (en) * 1998-02-20 2000-11-20 Ortho Mcneil Pharm Inc Novel substituted pyridino arylpiperazin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W536402B (en) * 1998-06-26 2003-06-11 Yamanouchi Pharm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herapy of voiding dysfunction
EP1604653A1 (en) * 1998-09-30 2005-12-1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or improving excretory potency of urinary bladder
DE60014043T2 (de) * 1999-03-03 2005-09-29 Eisai Co., Ltd. Flouride von 4-substituierten piperidin-derivaten
PT1209151E (pt) * 1999-09-01 2007-05-31 Eisai R&D Man Co Ltd Derivados piperidina 4-substituíd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38533B2 (en) 2006-11-21
JPWO2003057254A1 (ja) 2005-05-12
US20060211675A1 (en) 2006-09-21
KR20040071267A (ko) 2004-08-11
KR20060005009A (ko) 2006-01-16
NO20043196L (no) 2004-09-23
US20050197362A1 (en) 2005-09-08
CN1589153A (zh) 2005-03-02
AU2002367425A1 (en) 2003-07-24
NO20043196D0 (no) 2004-07-27
HUP0500162A2 (en) 2006-08-28
EP1466625A4 (en) 2007-07-18
MXPA04006344A (es) 2005-03-31
US7462628B2 (en) 2008-12-09
WO2003057254A1 (fr) 2003-07-17
JP3878178B2 (ja) 2007-02-07
BR0215389A (pt) 2004-10-26
US20060063769A1 (en) 2006-03-23
EP1466625A1 (en) 2004-10-13
NZ533774A (en) 2006-08-31
AU2002367425B2 (en) 2006-03-09
CA2471760A1 (en) 2003-07-17
US7132547B2 (en) 200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628B2 (en) Preventives/remedies for urinary disturbance
US6534496B1 (en) Thermogenic composition and benzazepine thermogenics
JP2001226269A (ja) メラニン凝集ホルモン拮抗剤
HUP0202758A2 (hu) Izomer kondenzált pirrolokarbazolok és izoindolok és intermedierjeik, eljárás az előállításukra és ez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JP2023530715A (ja) アリールスルホニル誘導体及びムスカリン性アセチルコリン受容体m5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WO2005000354A1 (ja) 排尿障害予防・治療剤
TWI495640B (zh) 苯並氮呯化合物
JP2000500132A (ja) 酸化窒素シンターゼの阻害剤としてのアミジンおよびイソチオ尿素誘導体
EP1331010A1 (en) Preventives and remedies for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US20040063699A1 (en) Gpr14 antagonist
JP2007016039A (ja) 排尿障害予防治療剤
JP2003335701A (ja) 排尿障害予防治療剤
DE60019619T2 (de) Dihydrobenzofura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mittel
JP2006104208A (ja) 排尿障害予防治療剤
KR20010072262A (ko) 삼환식 카르복스아미드
HK1068808A (en) Preventives/remedies for urinary disturbance
JPH11310532A (ja) 熱産生促進剤
JP2005035996A (ja) 排尿障害予防・治療剤
JP2002138053A (ja) 中枢神経系疾患予防・治療剤
JP2002097142A (ja) Gpr14拮抗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801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080418

Request date: 20070801

Appeal identifier: 200710500007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801

Effective date: 2008041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08041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070801

Decision date: 20080418

Appeal identifier: 2007105000070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8070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