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4842B1 -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 Google Patents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42B1
KR100614842B1 KR1020040033481A KR20040033481A KR100614842B1 KR 100614842 B1 KR100614842 B1 KR 100614842B1 KR 1020040033481 A KR1020040033481 A KR 1020040033481A KR 20040033481 A KR20040033481 A KR 20040033481A KR 100614842 B1 KR100614842 B1 KR 10061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sure
backrest
chair
cylinder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8573A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3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842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맨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맨플러스
Priority to JP2006532053A priority patent/JP4477011B2/en
Priority to US10/557,609 priority patent/US7401858B2/en
Priority to AT04734161T priority patent/ATE419766T1/en
Priority to DE602004018920T priority patent/DE602004018920D1/en
Priority to PCT/KR2004/001201 priority patent/WO2004107917A1/en
Priority to EP04734161A priority patent/EP1635673B1/en
Publication of KR2005010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4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06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having cutting edges parallel to a pivot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와 등받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and controlling the backrest, and in a chair having a seat, a backrest, and a support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된 채 상,하 방향으로 서로간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 중판, 하판과; 상기 중판과 하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인 완충작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앉게 되면 그의 체중에 의하여 중판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상판과 중판 사이에 설치된 왕복작동용 실린더로 방출 공급하는 한편, 사용자가 시트에서 일어서게 되면 압축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한 실린더로 공급하였던 유체압을 흡입 회수하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체압 가압수단과;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중판의 상면에 전,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안내박스와; 상기 안내박스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이 유입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전진(출현)시키는 한편 상기한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유체압이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후진(몰입)시키게 되는 왕복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안내박스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이동장공을 통해 안내박스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작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에 따라 안내박스의 이동장공의 이동범위내에서 전,후진 작동을 수행하는 메인작동간으로 이루어진 등받이 이동수단과;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메인작동간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작동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의 후방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채 양단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보조작동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An upper plate, a middle plate, and a lower plate spaced apart at intervals set from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For the reciprocating operation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elastic buffer operation in the up, down direction and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while the middle plate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its weight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consisting of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which sucks and recovers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 while being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cylinder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from the compressed state when the user stands up from the seat; A guide box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iddle plat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middle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guide box to release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cylinder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to advance (express) the piston rod as the discharged fluid pressure is introduced, and the fluid When recover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pressure-pressing cylinder, the reciprocating cylinder is used to reverse (immerse) the piston rod as the fluid pressure is discharged, and the guiding box is provided through moving hole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ing box.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penet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reciprocating cylinder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within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field of the guide box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piston rod. A backrest moving means formed between main operations; A backrest fram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operation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to perform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together with the main operation; The both ends are installed on the rear sid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movably between the auxiliary operation to perform the forward, backward operation with the back fram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back frame.

의자, 등받이, 등받이프레임, 유체압 가압수단, 유체압가압용 실린더, 등받이 이동수단, 왕복작동용 실린더, 메인작동가, 스토퍼, 보조작동간Chair, backrest, backrest fram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backrest moving means, reciprocating cylinder, main operator, stopper, between auxiliary operation

Description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1 and 2 are front and sid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시트 및 상판프레임을 분리하고 중판프레임에 형성된 구성요소의 배치상태 및 등받이프레임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formed on the middle plate frame and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back frame to separate the sheet and the top frame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등받이 작동상태 단면도로서,7 to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기 전 상태이며,  7 is a state before the user sits in the chair,

도 8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등받이프레임이 이동하는 상태이고,  8 is a state in which the back frame moves when the user sits in a chair,

도 9는 등받이프레임이 이동하였을 때 제어용 하부등받이의 작동상태이다.  9 is an operation state of the lower back support for the control when the back frame is mov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의자 11 : 시트1: chair 11: seat

12 : 등받이 13 : 받침다리12: backrest 13: support leg

2a,2b,2c : 상판, 중판, 하판 21 : 안내레일2a, 2b, 2c: upper plate, middle plate, lower plate 21: guide rail

3 : 등받이프레임 4 : 유체압 가압수단3: back frame 4: liq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41 : 유체압가압용 실린더 42 : 유체압라인41: fluid pressure cylinder 42: fluid pressure line

43 : 리턴스프링 44 : 압력조절밸브43: return spring 44: pressure regulating valve

45 : 유체압제어밸브 46 : 스프링45: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6: spring

47a,47b : 상,하부 지지관 5 : 등받이 이동수단47a, 47b: upper and lower support pipe 5: backrest moving means

51 : 안내박스 52 : 왕복작동용 실린더51: information box 52: reciprocating cylinder

53 : 메인작동간 54 : 작동축53: between main operation 54: operating shaft

55 : 안내롤러 56 : 스토퍼55: guide roller 56: stopper

57 : 스페이서 58 : 체결볼트57: spacer 58: fastening bolt

511 : 이동장공 512 : 이동통로511: movement long 512: movement path

513 : 후진제동용 고정기어 514 : 전진제동용 고정기어513: fixed gear for reverse braking 514: fixed gear for forward braking

521 : 리턴스프링 531 : 축지지부재521: return spring 531: shaft support member

532 : 롤러지지부재 562 : 이동롤러532: roller support member 562: moving roller

563 : 후진제동용 가동기어 564 : 전진제동용 가동기어563: Reverse braking movable gear 564: Forward braking movable gear

6 : 보조작동간 62 : 지지롤러6: Between auxiliary operation 62: Support roller

63 : 지지레일 7 : 감지용 하부등받이63: support rail 7: lower backrest for detection

71 : 회전축 8a : 스토퍼작동용 선재71: shaft 8a: wire rod for the stopper operation

8b : 유체압제어용 선재 9 : 보조유체압 가압수단8b: wire r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9: auxiliary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91 : 보조지지축 92 : 시이소작동간91: auxiliary support shaft 92: between seesaw operation

본 발명은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받침다리가 형성된 의자 또는 자동차의 실내에 전,후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등을 포함하는 각종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등부분이 등받이에 닿지 않는 상태로 시트에 앉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의자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토록 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척추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using a variety of chairs including a chair having a support leg movable on a floor or a seat mounted on the inside of a car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movement forward and backward does not touch his back. Even when sitting on the seat, the chair back mov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to support the user's back, allowing the user to sit on the chair in the correct posture,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spine saf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move to prevent spinal diseases.

학교·학원·도서관 또는 공공기관이나 각종 산업체의 사무실 및 회의실 등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부 및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람들은 의자에 앉아서 공부 및 사무를 보게 되며, 대부분의 의자에는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등받이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school, academy, library, public office, offices or conference rooms of various industries, all the people who study and work by using the desk or table sit in the chair and study and work. Comfortable backrest is provided.

일반적으로 의자의 등받이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의자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역활을 가지고 있는 한편, 의자에 앉은 사람의 등을 받쳐주어 척추를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의자에 앉을 때에는 엉덩이가 시트의 뒷부분쪽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등부분이 등받이에 기대어지는 상태로 앉아야만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바른 자세로 앉았다고 볼 수 있다.In general, the back of the chair supports the user's back while sitting on the chair and has a role to allow the user to sit back and relax in a comfortable position while the chair supports the back of the person sitting on the chair to protect the spine. It also has a function. So when sitting on a chair, the hips are located on the back of the seat while the back part is leaning against the backrest.

따라서 의자의 등받이는 사용자의 척추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Therefore, the back of the chair is manufactured in an ergonomic structure to safely protect the user's spine.

기존의 의자는 등받이가 후방을 향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된 것과, 또는 등받이 자체가 두개로 분리 형성되어 척추의 양측에서 등부분을 받쳐주는 듀얼백 구조로 된 것 등 여러 가지의 구조로 된 것이 있다.Conventional chairs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rest can move elastically toward the rear, or a dual back structure in which the backrest itself is separated into two and supports the back part on both sides of the spine. There is.

종래 기술의 의자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는 위치에 관계없이 등받이는 항시 설정된 위치에 그대로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뒷부분쪽 깊숙한 곳에 위치하도록 앉아야만 등부분을 등받이에 기댄 상태 즉,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중간부분이나 앞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앉게 될 경우에는 등부분을 등받이에 바른 자세로 기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지 못한 상태로 장시간동안 의자에 앉아서 일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척추에 무리를 주게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척추의 이상현상 예를 들면, 허리 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이 생길 수 있게 된다.The chair of the prior art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backrest is always in the set pos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user sits on the seat. Therefore, in order to sit in the chair in a correct posture, the user must place his butt deep inside the back of the seat. You should sit so that your back rests on your back, ie you are sitting in a right position, but if you sit with your hips in the middle or front of the seat, lean your back against your back. It becomes impossible. If you sit in a chair for a long time without sitting on the chair, you will not only be able to feel the fatigue of the spine quickly, but also the abnormalities of the spine, such as a waist disc. It can happen.

그런데,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사무를 보는 사람들 사이에는 의자에 앉을 때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뒷부분쪽에 위치하도록 앉지 않고 시트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자세로 의자에 앉아서 일을 수행하게 될 때에는 상체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등받이에 의지하지 못하게 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게 되며, 심한 경우 척추에 무리를 주어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을 키우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students who study or work in the office tend to sit in the middle of the seat without sitting so that their hips are located at the back of the seat. When you perform the upper body comfortably and safely do not rely on the back to feel fatigue quickly, and in severe cases to give a spine to the disease, such as to raise the back disc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자신의 엉덩이를 시트의 뒷부분쪽에 위치시키는 바른 자세로 착석하지 않고 시트의 중간부분 또는 앞부분에 위치시키는 자세로 앉게 되더라도 의자의 등받이가 별도의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동으로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에 밀착지지되어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은 상태가 되게 하며, 또한 등받이가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앞쪽으로 당겨 앉을 경우에도 등받이가 자동으로 추가로 전진이동하게 되며, 또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채 자신의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더라도 등받이는 후진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등을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바른 자세로 안전하게 의자에 앉아있을 수 있게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iddle part of the seat without seating the user using the chair in the correct posture to position his buttocks to the back of the seat when sitting on the chair Alternatively, even if you sit in the front position, the back of the chair moves forward automatically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so that it is supported by your back so that you can sit on the chair in the right position to protect your spine. The backrest automatically moves forward even if the user pulls forward while sitting close to the user's back, and the user does not move backwards even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and leans his upper body backwards. To ensure that your back is secure It wa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chair that allows the user to sit safely in the chair at all times.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시트와 등받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seat, a backrest and a support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된 채 상,하 방향으로 서로간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 중판, 하판과;An upper plate, a middle plate, and a lower plate spaced apart at intervals set from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상기 중판과 하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인 완충작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앉게 되면 그 체중에 의하여 중판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상판과 중판 사이에 설치된 왕복작동용 실린더로 방출 공급하는 한편, 사용자가 시트에서 일어서게 되면 압축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한 실린더로 공급하였던 유체압을 흡입 회수하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체압 가압수단과;The reciprocating oper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allow the elastic buffer oper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the middle plate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its weight and the fluid pressur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consisting of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which sucks and recovers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 while being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cylinder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from the compressed state when the user stands up from the seat;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중판의 상면에 전,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안내박스와;A guide box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iddle plat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middle plate;

상기 안내박스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이 유입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전진(출현)시키는 한편 상기한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유체압이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후진(몰입)시키게 되는 왕복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안내박스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이동장공을 통해 안내박스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작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에 따라 안내박스의 이동장공의 이동범위내에서 전,후진 작동을 수행하는 메인작동간으로 이루어진 등받이 이동수단과;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guide box to release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cylinder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to advance (express) the piston rod as the discharged fluid pressure is introduced, and the fluid When recover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pressure-pressing cylinder, the reciprocating cylinder is used to reverse (immerse) the piston rod as the fluid pressure is discharged, and the guiding box is provided through moving hole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ing box.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penet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reciprocating cylinder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within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field of the guide box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piston rod. A backrest moving means formed between main operations;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메인작동간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작동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등받이프레임과;A backrest fram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operation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to perform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together with the main operation;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의 후방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채 양단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보조작동간;An auxiliary operat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middle plate, which is movably installed at a rear side thereof, in which both ends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back fram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back frame;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 오일이나 가스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체가 주입되어 있고,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는 유체압라인을 통해 유체압을 등받이 이동수단의 왕복작동용 실린더에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유체압라인에는 유체압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와 유체압라인을 개폐하여 유체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압제어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any one fluid selected from oil or gas is injected into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and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reciprocates the moving means backing the fluid pressure through the fluid pressure line. It is connected to supply and recover to the operation cylinder, and the fluid pressure line has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uid pressure and a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pressure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pressure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including the

또한,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은, 안내박스를 기준하여 좌,우 양측 이동장공에 근접하는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안내박스의 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한 축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한 작동축이 관통하는 상태로서 상기 안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메인작동간의 양측에 각기 한쌍씩 고정 부착되는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상판의 저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된 안내레일을 지지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작동간의 이동작동함에 따라 함께 안내레일을 따라서 굴러가게 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backrest moving means, the shaft support member i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clos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ement field with respect to the guide box, and both ends are rotated to the shaft support member through the movement field hole of the guide box A working shaft which is installed to be possible, a stopper installed inside the guide box as the operating shaft penetrates, a roller supporting member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between the main operation, and the roller support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to support the guide rail protruding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ovement between the main operation rolls along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스토퍼는, 롤러설치공에는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채 안내박스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토퍼의 전방측 상면과 후방측 저면 각각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채 스토퍼를 정지시키기 위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가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stopper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the roller mounting hole is provided with a moving roller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moving passag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x while rotatably fixed to the working shaft, the front side of the stopper Each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rear bottom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gears for the reverse and forward braking for stopping the stopper are formed in an inclined state,

또한, 상기 안내박스의 내측 상,하면 각각에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가동기어와 치합하여 스토퍼를 정지시키는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고 정기어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box is formed with a fixed gear for backward and forward braking to engage the reverse and forward braking movable gears formed on the stopper to stop the stopper.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측부분으로서 시트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는 양단이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등받이와는 별개로 형성된 채 사용자가 의자에 앉지 아니하였거나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트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작동하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므로 해서 등받이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기 전에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먼저 닿으면서 후방을 향해 밀려나듯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감지용 하부등받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상기 메인작동간의 작동축 일단을 연결시키는 상태로 설치된 채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을 스토퍼에 전달하여 스토퍼가 제동작동 및 제동해지작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스토퍼작동용 선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as a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a slight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rotatably at both ends of the backrest frame, and the rotary shaf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ckrest and the user does not sit on the chair or the hip part of the user. If a spac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user's hips,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while being installed in a state of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one end of the main shaft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lower back for sensing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together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rear while touching first The stopper brakes by transmitting torque to the sto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topper operation wire rod to enable operation and braking release operation,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측부분으로서 시트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는 양단이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등받이와는 별개로 형성된 채 사용자가 의자에 앉지 아니하였거나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트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작동하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므로 해서 등받이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기 전에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먼저 닿으면서 후방을 향해 밀려나듯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감지용 하부등받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상기 유체압라인에 장설된 유체압제어밸브를 연결시키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한 유체압제어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유체압제어용 선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a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a slight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rotatably at both ends of the backrest frame, and the rotary shaf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ckrest and the user does not sit on a chair or the hip part of the user If a spac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user's hips,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The lower backrest for sensing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together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rear while touching the first, and the one sid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fluid pressure line is installed in the state Wire r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to open / close the pressure control val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요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시트 및 상판프레임을 분리하고 중판프레임에 형성된 구성요소의 배치상태 및 등받이프레임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등받이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are front and sid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4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 sheet and a top plate frame are separated, and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components formed in the middle frame and a connection state with the back fram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rest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 1은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의자(1)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11)와, 사용자의 등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12) 및 시트를 지지하는 받침다리(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다리(13)는 높낮이용 조절실린더와 바닥에 지지되는 바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 2의 도시와 같이 시트(11)의 양측에는 팔을 받쳐주기 위한 팔걸이가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hair, and the chair 1 includes a seat 11 on which the user sits, a backrest 12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a support leg 13 supporting the seat. The support leg 13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cylinder and wheels supported on the floor, and as shown in FIG. 2, armrests for supporting the arm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at 11.

상기 의자(1)의 시트(11)는 기존의 의자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받침다리(13)는 기존의 의자와 같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seat 11 of the chair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sit comfortably like the existing chair, and the support leg 13 can adjust the height as well as the existing chair.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ncludes a wheel that allows you to move while sitting.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시트(11)와 받침다리(13) 사이에 상,하 방향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판(2a)과 중판(2b) 및 하판(2c)을 이용하여 등받이(12)가 부착되는 등받이프레임(3)이 사용자가 자신의 등부분이 등받이에 기대지 아니한 상태로 시트(11)의 중간부분이나 앞쪽에 앉게 되더라도 등받이(12)가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을 때까지 전방을 향해 자동으로 전진이동하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인위적인 조작없이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부분은 위치이동하지 않고 상체만 앞으로 구부리게 될 경우에는 등받이(12)는 움직이지 않고, 사용자가 시트(11)에서 일어나게 될 때에는 등받이(12)가 자동으로 후진이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ck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and the lower plate (2c) is installed between the seat 11 and the support leg 13 at an interval s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12) is attached to the backrest frame (3) even if the user does not lean on the backrest, the backrest 12 will touch the user's back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Until the front part is automatically moved forward, and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without any artificial manipulation, but the hip part is not moved but only the upper body is bent forward, the backrest 12 does not move. When the backrest occurs in the seat 11, the backrest 12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ve backward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이를 위한 수단을 각 구성요소를 구성부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s for thi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or each component component.

먼저, 상기 중판(2b)과 하판(2c) 사이에는 유체압 가압수단(4)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은 실린더몸체는 중판(2b)의 저부에 부착되고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하판(2c)의 상면에 부착된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는 그 내부에는 유체압이 충진되어 사용자가 시트(11)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대략 15Kg 이상)에 의하여 유체압을 유체압라인(42)을 통해 방출시키면서 압축되는 작동을 수행하며, 또한 사용자가 시트(11)에서 일어나게 되어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 가해졌던 하중이 제거되면 압축시 방출시켰던 유체압을 흡입 회수하면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에 충진되는 유체압은 오일이나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체가 사용되거나 또는 오일과 가스가 혼용될 수 있다.First,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4 is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plate 2b and the lower plate 2c. The fluid pressurizing means has a cylinder bod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iddle plate 2b an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has a lower plate ( It consists of a fluid pressure cylinder (41)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2c), the fluid pressure cylinder is filled with the fluid pressure therein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1 the weight of the user (about 15kg or more) And compresses the fluid by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through the fluid pressure line 42, and the fluid discharged during compression when the user is generated in the seat 11 and the load applied to the fluid pressure cylinder is removed. It i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storing the pressure to the original state while recovering the pressure, the fluid pressure filled in the fluid pressure-pressure cylinder 41 is used any one selected from oil or gas, or Suga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압축 및 복원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린더몸체의 내부에는 리턴스프링(43)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압축작동시 방출되는 유체압을 등받이 이동수단(5)의 왕복작동용 실린더(52)로 이송시키기 위한 유체압라인(42)에는 유체압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44)와 유체압라인(42)을 개폐하므로서 유체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압제어밸브(45)가 장설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43 is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cylinder body in order to quickly perform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peration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and the compression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is performed. In the fluid pressure line 42 for transferring the fluid pressure discharged during operation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a pressure control valve 44 and a fluid pressure lin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uid pressure are provided. A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which controls the flow of the fluid pressure by opening and closing 42 is provided.

상기에서의 유체압제어밸브(45)는 유체압라인(42)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이면 만족하는 것으로서, 볼밸브와 같은 기구적인 구조로 된 것이나 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적인 구조로 된 것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in the above is satisfied if the valve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pressure line 42, it has a mechanical structure such as a ball valve or an electrical structure such as a solenoid valve And the like may optionally be used.

그리고 상기 중판(2b)과 하판(2c)은 스프링(46)이 내설된 복수의 상,하부 지지관(47a)(47b)으로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에서의 상부 지지관(47a)은 그 상단이 중판(2b) 저부에 부착된 채 하단은 하판(2c) 상면에 부착된 하부 지지관(47b)을 감싼 상태에서 스프링(46)에 의하여 상,하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완충작동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상,하부 지지관(47a)(47b)들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와 함께 중판(2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And the middle plate (2b) and the lower plate (2c)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pport tubes (47a, 47b) in which the spring 46 is built, the upper support tube (47a) in the upper While the lower end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iddle plate (2b) while the lower support pipe (47b)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c) while the elastically cushioning operation toward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spring 46,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ipes 47a and 47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middle plate 2b together with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다음, 상기 상판(2a)과 중판(2b) 사이에는 등받이 이동수단(5)이 장착된다.Next, a backrest moving means 5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5)은, 중판(2b)의 중심부분에서 전,후방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고정 부착된 안내박스(51)와, 이 안내박스의 내측에 장착된 채 피스톤로드를 전방을 향해 출몰작동(전,후진작동)시키도록 설치된 왕복작동용 실린더(52) 와, 상기 안내박스(51)의 좌,우측 중간부분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장공(511)을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된 채 상기 왕복작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한 이동장공(511)의 범위내에서 전,후진 왕복작동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메인작동간(5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backrest moving means (5) includes a guide box (51) fixedly fixe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iddle plate (2b), and the piston rod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box toward the front. The reciprocating cylinder is horizontally installed to penetrate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installed to perform the inlet / outlet operation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and the moving field hole 511 which is formed from the left and right middle portions of the guide box 51 to the front side. The main rod 5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operating cylinder and is installed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operation within the range of the moving field hole 511.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간(53)에는 안내박스(51)를 기준하여 볼 때 양측의 이동장공(511)에 근접하는 위치에 축지지부재(531)이 각기 하나씩 고정 부착되어 있고, 양측의 이동장공(51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는 각기 한쌍씩으로 된 롤러지지부재(532)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축지지부재(531)에는 이동장공(511)을 관통하는 상태로 수평설치되는 작동축(54)의 양단이 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에서 한쌍씩으로 된 롤러지지부재(532)에는 안내롤러(55)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양측의 안내롤러(55)는 상판(2a)의 저부에 평행하게 돌출된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And between the main operation period 53, the shaft support member 531 is fixedly attached to each other at a position close to the moving field hole 511 on both sides when viewed with respect to the guide box 51, both of the moving field holes ( A pair of roller support members 532 are fixedly attached to positions distant from 511,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531 has an operating shaft 54 installed horizontally through the moving hole 511. The both ends of the) are connected by a nut or the like, and the guide rollers 55 are free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ir of roller support members 532, and the guide rollers 55 on both sides are the upper plate 2a. It moves along the guide rail 21 protruding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안내박스(5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작동축(54)의 중간부분에는 상기한 작동축(54)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스토퍼(56)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스토퍼(56)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롤러설치공(561)에는 작동축(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롤러(56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동롤러는 안내박스(51)의 하면에 전방을 향해 요홈상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통로(51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stopper 56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54 is attach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54 located inside the guide box 51, and the stopper 56 is mounted on the stopper 56. The roller mounting hole 561 formed to penetrate downward is equipped with a moving roller 562 rotatably installed on the operating shaft 54. The moving roller has a yaw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x 51. It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moving passage 512 formed long in the groove.

또한 상기 안내박스(51)의 상,하면 각각에는 톱니모양으로 된 후진제동용 고정기어(513)와 전진제동용 고정기어(5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56)의 전방측 상면과 후방측 하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채 상기한 후진제동용 고정기어(513) 및 전진제동용 고정기어(514) 각각에 치합 및 이완되는 후진제동용 가동기어(563) 및 전진제동용 가동기어(56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들은 상기 스토퍼(56)가 수평상으로 정지 및 이동하게 될 때에는 서로 이완되어 스토퍼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스토퍼(56)가 도면상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그 전방 상면 및 후방 하면 각각에 형성된 가동기어들이 안내박스(51)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기어에 접촉하면서 치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스토퍼(56)의 가동기어가 안내박스의 고정기어에 치합하게 되면 스토퍼(56)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 즉,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56)를 지지하는 작동축(54)이 설치된 메인작동간(53)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정지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스토퍼(56)와 메인작동간(53)이 정지되면 등받이 이동수단(5) 자체도 정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box 51 is provided with a tooth-shaped reverse braking fixed gear 513 and a forward braking fixed gear 514, and the front upper and rear of the stopper (56). The reverse braking movable gear 563 and the forward braking movable gear 564 which are engaged and relaxed to each of the reverse braking fixed gear 513 and the forward braking fixed gear 514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 fixed gear and the movable gear are formed to relax with each other when the stopper 56 stops and moves horizontally to allow the stopp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hereas the stopper 56 is shown in the drawing. When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movable gears formed on the front upper and rear lower surfaces of the guide box 51 engage with the fixed gear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box 51. Thus, the stopper 56 is operated. group When the gear meshes with the fixed gear of the guide box, the stopper 56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at is, in a stopped state. Accordingly,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in which the operating shaft 54 supporting the stopper 56 is installed also becomes a stationary state which cannot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us, the stopper 56 and the main operation 53 ) Is stopped, the backrest moving means 5 itself is also stopped.

상기에서의 왕복작동용 실린더(52) 내부에는 피스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521)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In the above reciprocating cylinder 52, a return spring 521 for elastically returning the piston to its original position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메인작동간(53)의 후방측에는 메인작동간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보조작동간(6)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an auxiliary operation section 6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main operation section is provided.

상기 보조작동간은 중판(2b)의 후방에서 안내박스(51)의 높이보다 조금 더 높게 위치한 채 상기 메인작동간(53)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작동간(6)의 저부 양측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61)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롤러(62)는 중판(2b)의 후방 상면에 고정 부착된 지지레일(63)에 지지되는 상태에 서 전,후 방향으로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auxiliary operation part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main operation part 53 while being positioned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box 51 at the rear of the middle plate 2b, an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auxiliary operation part 6. The support rollers 62 rotatably attached to each of the fixedly attached brackets 61 can move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rails 63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2b. It is installed.

한편, 상기에서의 상판(2a)과 중판(2b)은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판(2a)과 중판(2b) 사이에는 원통형으로 된 복수개의 스페이서(57)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스페이서(57)의 중심을 관통하는 체결볼트(58)를 너트로 나사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상판과 중판이 고정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중판(2b) 상면에 설치된 안내박스(51)의 상면에는 상판(2a)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판(2a)이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in the above is coupled in a fixed st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per and lower,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spacers 57 of cylindrical form between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 Is installed, and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are coupled in a fixed state by screwing the fastening bolt 58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spacer 57 with a nut, and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2b. When the supporting member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plate (2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ox 5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plate (2a) from sagging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user.

다음, 상기 등받이프레임(3)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back frame 3 will be described.

상기 등받이프레임(3)의 상단부분은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등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해 돌출 연장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분은 의자(1)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작동간(53)과 보조작동간(6) 각각의 양단에 볼트 등의 조립부재에 의하여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frame 3 extends upwardly to support the back part of the user who sits on the chair, and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frame 3 extends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1 so that the main operation ( 53) and the auxiliary operation 6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each end by an assembly member such as a bolt.

따라서 상기 등받이프레임(3)은 등받이 이동수단(5)의 메인작동간(53)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며, 또한 보조작동간(6)은 등받이프레임(3)이 이동할 때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ackrest frame 3 moves together as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auxiliary operation section 6 moves the backrest frame 3 to move. When they go together.

상기 등받이프레임(3)에 형성된 등받이(12)의 바로 밑에는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시트(11)의 후방의 상면보다 조금 높은 위치로서, 등받이프레임(3) 하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설치된 회전축(7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감지용 하부등받이(7)은 회전축(7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backrest 12 formed in the backrest frame 3, which is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of the seat 11, and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frame 3.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71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the lower back for sensing 7 is coupled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with the rotating shaft (71).

그리고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사용자가 의자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등받이(12)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대기(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등받이프레임의 전진이동시 감지용 하부등받이가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접촉함에 따라 후방을 향해 회전작동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하고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71)이 감지용 하부등받이(7) 하부의 후단측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11)에 앉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회전축(71)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전방측으로 회전하여 감지용 하부등받이(7)의 상단부분이 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chair and protrudes forward than the backrest 12 (the lower part for detecting the backrest frame when the user moves forward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The rotating shaft 71 is coupled in a state penetrating the rear end side of the lower lower back 7 for the detection so that the backrest is prepared for the rotation operation toward the rear as it contacts the hip part of the user. . Accordingly, when the user does not sit on the seat 11,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rotates forward by its own weight with the rotational axis 71 as the rotational starting point,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faces forward. It is inclined to protrude.

또한 상기 회전축(71)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후 일어섰을 경우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전방측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회전하는 작동을 도와주는 토션스프링(72)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r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71 is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72 to help the operation to rotate so that the lower back 7 for the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side when the user stands up after sitting on the chair.

그리고 상기 회전축(71)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5)의 작동축(54)에 설치된 작동선재(541)의 일단은 스토퍼작동용 선재(8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한 작동선재(541)은 작동축(54)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그 일단은 상기 스토퍼작동용 선재(8a)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56)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작동용 선재(8a)가 작동선재(541)의 일단을 당기게 되면 그 타단은 스토퍼(56)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71)의 타단과 유체압발생 수단(4)의 유체압제어밸브(45)는 유체압 제어용 선재(8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And one end of the rotary shaft 71 and one end of the operating wire 541 provided on the operating shaft 54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is connected by a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the operating wire ( 541 is rotatably woun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shaft 54,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topper actuating wire 8a,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tted into a hole formed on the end of the stopper 56. Therefore, when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pulls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rod 541, the other end rotates the stopper 56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71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4 are connected by a wire rod 8b for fluid pressure control.

상기한 스토퍼작동용 선재(8a) 및 유체압제어용 선재(8b)는 구부리기 쉽고 또 꼬이지 않으면서 당기고 미는 힘의 전달이 잘되는 와이어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스토퍼작동용 선재(8a)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7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711)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타단은 작동축(54)의 회전가능하게 감겨진 작동선재(54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체압제어용 선재(8b)의 일단은 회전축(71)의 타단에 형성된 제2 돌기(712)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타단은 유체압제어밸브(45)의 개폐작동간에 연결되어 있다.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are made of a wire cable which is easy to bend and transmits a pulling and pushing force without being twisted, and one end of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i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on 711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rotary shaft 7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able working wire 541 of the working shaft 54, the fluid pressure One end of the fish wire 8b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on 71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71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상기한 유체압제어밸브(45)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로부터 발생되는 유체압을 왕복작동용 실린더(52)로 공급 또는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밸브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may be applied to any of the valves for supplying or blocking the fluid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상기에서의 스토퍼작동용 선재(8a)의 경우는 등받이프레임(3)에 설치된 회전축(71)의 일단에서부터 등받이 이동수단(5)의 메인작동간(53)의 일측 상면에 고정 부착된 두개의 안내구(713)(714)에 형성된 안내구멍을 통과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설치되는 구조에 의하여 회전축(71)과 작동선재(541)를 연결시키고 있으며, 또 유체압제어용 선재(8b) 역시 회전축(71)의 단부와 유체압제어밸브(45)의 개폐간 사이에서 구부러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의 회전축(71)과 유체압제어용 밸브(45)의 개폐작동간을 연결시키고 있다.In the case of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two guides fixedly attached to one upper surface of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from one end of the rotary shaft 71 installed on the backrest frame 3. The rotary shaft 71 and the operating wire 541 are connected by a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to bend in a desired dir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s formed in the spheres 713 and 714, and the wire r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8b is also a rotary shaft. It is provided in the structure which bends between the edge part of 71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and connects the said rotating shaft 71 and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상기에서의 작동선재(541)는 금속선으로서 작동축(54)에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ng wire 541 in the above is provided as a metal wire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on the working shaft 54.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각 선재들은 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으로 작동선재(541) 및 유체압제어용 밸브(45)를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즉,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후방측을 향해 회전이동함에 따라 회전축(71)이 회전(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도면(도 9 참조)을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스토퍼작동용 선재(8a)의 경우에는 등받이 이동수단(5)의 작동선재(541)가 스토퍼(5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토퍼(56)의 후진 및 전진제동용 가동기어(563)(564)를 후진 및 전진제동용 고정기어(513)(514) 각각에 치합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며, 상기 유체압제어용 선재(8b)의 경우에는 유체압제어밸브(45)의 개폐작동간을 폐쇄작동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Each of the wire rod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rotates the operation wire rod 541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with the rotation force when the rotation shaft 71 rotates. That is, when the rotating shaft 71 is rotated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as the sensing lower back 7 rotates toward the rear side, the stopper is operated when the reference is made to the drawing (see FIG. 9). In the case of the wire rod 8a, the operating wire rod 541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rotates the stopper 56 clockwise to reverse the movable gears 563 and 564 for the reverse and forward braking of the stopper 56. And it is responsible for engaging the respective forward fixed brake gears (513, 514), in the case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8b) to close the operation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You will be in charge.

한편, 의자(1)의 시트(11)를 지지하는 상판(2a), 중판(2b), 하판(2c) 각각의 사방은 보호케이스가 둘러싸고 있는 상태이며, 또 상기한 보호케이스는 상판 및 중판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하판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고 일어서는 동작에 따라 상판과 중판이 탄력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더라도 상기 보호케이스는 항시 상,중,하판을 커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l four sides of the upper plate 2a, the middle plate 2b, and the lower plate 2c supporting the seat 11 of the chair 1 are in a state surrounded by a protective case.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formed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boards while allowing the user to move up and down. State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자(1)를 사용함에 따라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y using the chai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or the action that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먼저, 도 3 및 도 7은 의자(1)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등받이(12) 바로 밑에 설치된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자중에 의해 회전축(71)을 기점으로 하여 전방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여 그 상단부분은 등받이(12)보다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된 상태이고, 또 그 하단은 시트(11)에 닿지 않도록 약간의 공간을 유지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등받이프레임(3)의 하부에는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전방을 향해 회전하게 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회전제어축(7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프레임(3)이 전,후진하는 도중에는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시트(11)에 닿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First, FIGS. 3 and 7 show cross-sectional views when the chair 1 is not used. The sensing lower back 7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backrest 12 has its own rotational axis 71 based on its own weight. Rotate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upper part is more protruded toward the front than the backrest 12, and the lower end is to maintain a little space so as not to touch the seat (11). . To this e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frame 3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shaft 73 for controlling the angle at which the sensing lower back 7 is rotated forward. Therefore, while the backrest frame 3 is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moved without contacting the seat 11.

다음, 도 8은 사용자가 의자(1)를 사용할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의자에 앉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11)의 후방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앉지 않고 대부분의 사용자는 시트(11)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11)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시트(11)에 실리게 되는데, 이때 상판(2a)과 중판(2b)은 스페이서(57) 및 체결볼트(58)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트(11)에 앉게 되더라도 상판(2a)과 중판(2b)의 간격은 변하지 않게 되는 반면에, 중판(2b)은 하판(2c)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와 복수의 상,하부 지지관(47a)(47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시트(11)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중판(2b)을 지지하고 있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와 복수의 상부 지지관(47a)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4)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가 탄력적으로 압축될 때에는 그에 충진되어 있던 유체압이 유체압라인(42)을 통해 방출되어 등받이 이동수단(5)의 왕복작동용 실린더(52)에 공급되는데, 이와 같이 왕복작동용 실린더(52)로 공급되는 유체압은 그 내부에서 피스톤헤드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리턴스프링(521)의 탄력보다 센 상태이므로 왕복작동용 실린더(52)의 피스톤로드는 의자의 전방을 향해 출현(전진)작동하게 되므로서 메인작동간(53)이 전방으로 이동 하게 되며, 이와 같이 메인작동간(53)이 전진이동함에 따라 안내박스(51)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56)도 함께 전방쪽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on state when the user uses the chair 1, and typically, a user sitting in a chair does not sit so that his hips ar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 11.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11, 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1, the user's weight is carried on the seat 11, wherein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are spacers ( 57) and the fastening bolt 58 is fix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does not change, even if the user sits on the seat (11), the middle plate (2b) is the lower plate (2c) It is supported by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pport tubes 47a and 47b that can be elastically compressed relative to the middle plate 2b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1. Hydraulic pressure cylinder 41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upper parts The branch pipe 47a is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4 is elastically compressed, the fluid pressure filled therein is applied to the fluid pressure line 42. Is discharged through and suppli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of the back movement means (5),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is a return spring 521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ston head therein Since the piston rod of the reciprocating operation cylinder 52 is appeared (forward) operation toward the front of the chair because it is strong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main operation 53 is moved forward, and thus the main operation ( As the 53 is moved forward, the stopper 56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box 51 also moves forward.

상기와 같이 등받이 이동수단(5)의 메인작동간(53)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등받이프레임(3)도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서 등받이(12)와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시트(11)에 앉은 사용자의 등부분을 향해 전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프레임(3)이 전진이동하게 될 때 등받이(12)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기 전에 먼저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의 돌출된 부분이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접촉하는 순간부터 후방을 향해 회전하는 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기까지 등받이프레임(3)은 정지하지 않고 계속 전진이동하게 되며, 상기 등받이(12)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접촉하여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후방쪽(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작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71)도 감지용 하부등받이(7)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moves forward, the backrest frame 3 also moves together, so that the backrest 12 and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are seats 11. When the backrest frame 3 moves forward, the backrest 12 is moved forward because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projected in an inclined state forward. Before touching the user's back,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first touches the hip of the user, and from the moment whe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nsing lower back 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ip of the user toward the rear. The backrest frame 3 continues to move forward without stopping until the rotation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backrest 12 contacts the back part of the user so that the backrest 12 can no longer move forward.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in a state of completing the rotation operation toward the rear side (clockwise in the dra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shaft 71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Becomes

상기와 같이 회전축(71)이 회전하게 될 때에 그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작동용 선재(8a) 및 유체압제어용 선재(8b)를 작동시키게 되어 등받이프레임(3)을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 9의 도시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 shaft 71 rotates,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are operated to stop the backrest frame 3, and the operation thereof is performed. The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의 도시는 등받이(12)가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될 때까지 전진이동하여 정지하게 됨과 동시에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회전축(71)을 기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후방으로 회전작동하게 되면 회전축(71)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71) 일단에 형성된 제1 돌기(711)가 스토퍼작동용 선재(8a)를 잡아당겨서 등받이 이동수단(5)의 작동축(54)에 설치된 작동선재(541)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토퍼(56)도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토퍼의 전방측 상면과 후방측 하면 각각에 형성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가동기어(563)들은 안내박스(51)의 상,하면에 형성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고정기어(513)(514)들 각각에 치합되는데, 이와 같이 스토퍼(56)의 전,후 양측 가동기어가 안내박스(51)의 상,하측 고정기어에 치합될 때에는 등받이프레임(3)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되며, 또한 이때의 등받이(12)는 사용자의 등부분에 기대어진 상태이고, 또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후방쪽으로 완전히 회전되어진 상태가 되어 등받이(12)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된 상태와 함께 감지용 하부등받이(7)도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바른 자세로 등받이(12)에 기댄 상태로 의자(1)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된다.In FIG. 9, the backrest 12 is moved forward until the backrest 12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ng lower backrest 7 is rotated backward from the rotation shaft 71.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ensing lower back 7 rotates backward, the rotating shaft 71 also rotates, and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711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71 stops. Pulling the wire rod 8a to rotate the operating wire 541 installed on the operation shaft 54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stopper 56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the reverse and forward braking movable gears 563 formed on the front upper and rear lower surfaces of the stopper are respectively the reverse and forward braking fixed gears 513 and 514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box 51. Is joined to a stopper like this When both the front and rear movable gears of the 56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fixed gears of the guide box 51, the back frame 3 stop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t this time, 12 is a state in which the back of the user is leaned on, and the lower back 7 for sensing is completely rotated to the rear, so that the back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7) is also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hip portion of the user is able to sit on the chair (1) while leaning on the backrest 12 in the correct posture.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축(71) 일단의 제1 돌기(711)가 스토퍼작동용 선재(8a)를 잡아당겨주는 작동과 함께 회전축(71) 타단의 제2 돌기(712)도 유체압제어용 선재(8b)를 잡아당기는 작동을 하게 되며, 상기한 제2 돌기(712)의 당김작동에 의해 유체압제어용 선재(8b)는 유체압제어밸브(45)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유체압제어밸브(45)가 폐쇄상태로 작동되어 유체압라인(42)을 폐쇄시키게 되면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 및 왕복작동용 실린더(52)로 유체압의 공급 또는 회수작동은 정지된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왕복 작동용 실린더(52)에 공급되었던 유체압이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메인작동간(53)은 일정거리까지 전진이동된 상태에서 멈춰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jection 711 of one end of the rotary shaft 71 pulls the stopper wire 8a for the stopper operat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712 of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71 also has a fluid pressure control wire ( 8b) is pulled out,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operates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by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712. When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is operated in a closed state to close the fluid pressure line 42, the supply or recovery of the fluid pressure to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and the reciprocating operation cylinder 52 is stopped. In this case, since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cannot move toward the hydraulic pressure cylinder 41, the main operation 53 stops in the state of moving forward to a certain distance. Will be.

상기와 같이 유체압제어용 선재(8b)가 유체압제어밸브(45)를 폐쇄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등받이 이동수단(5)의 메인작동간(53)을 전진이동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등받이프레임(3)은 등받이(12)를 시트(11)에 앉은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시킨 상태로 멈추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can be stopp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5 is moved forward by operating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in the closed state. Standing back frame 3 is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1).

상기에서 감지용 하부등받이(7)의 회전축(71) 양단에 두개의 스토퍼작동용 선재(8a)와 유체압제어용 선재(8b)를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스토퍼(56)와 유체압제어밸브(45)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등받이(12)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상기한 두개의 선재(8a)(8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축(71)에 설치하게 되더라도 등받이(12)를 시트(11)에 앉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동시킨 후 그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른 자세로 자신의 등부분을 등받이(12)에 기댄 상태로 의자에 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topper 56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as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two stopper operating wires 8a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s 8b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71 of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t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backrest 12 can be stopp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even if one of the two wire rods (8a) (8b) described above to be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71, the backrest The 12 can be mov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1 and then stopped in that state. Therefore, the user will be able to sit in the chair in a state of leaning back on the back 12 in his back.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등받이(12)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연히 바른 자세로 앉은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아 등받이(12)에 기댄 상태에서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더라도 등받이프레임(3)이 뒤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안심하고 등받이(12)에 기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 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부분은 움직이지 않고 상체를 앞으로 굽히게 되더라도 등받이프레임(3)이 전진하지 않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시트(11)에 바른 자세로 앉은 채 상체를 앞으로 굽히는 동작 후 상체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다시 바른 자세로 등받이(12)에 기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and the backrest 12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stops, the user naturally sits in a right posture, and the user sits on the chair in the right posture to the backrest 12. Even if the upper body is leaned back while leaning, the back frame frame 3 does not appear to be pushed backwards, so that the user can rest on the back 12 with confidence, and the user does not move his hips. Even if the upper body is bent forward, the back frame 3 does not move forward, while the user sits in the right position on the seat 11 while bending the upper body forward, after the upper body is returned to the back 12 in the correct posture. You can lean on it.

그리고 사용자가 의자(1)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트(11)에서 일어나게 되면 시트(11)에 가해졌던 사용자의 체중이 없어지게 됨과 동시에 감지용 하부등받이(7)를 지지하고 있던 힘도 제거된 상태가 되어 등받이(12)는 원래의 상태 즉, 비사용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작동을 순서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감지용 하부등받이(7)는 토션스프링(72)의 탄성복원력과 자중에 의해 회전축(71)을 기점으로 하여 전방쪽으로 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용 하부등받이(7)가 전방쪽으로 회전(도 3 참조)하게 되면 회전축(71)도 함께 회전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71) 양단에 연결된 스토퍼작동용 선재(8a) 및 유체압제어용 선재(8b)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는 반대적으로 작동선재(541) 및 유체압제어밸브(45)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스토퍼작동용 선재(8a)는 작동선재(541)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스토퍼(56)의 양측 가동기어(563)(564)를 안내박스(51)의 상,하측 고정기어(513)(514)에서 이완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한 유체압제어용 선재(8b)는 유체압제어밸브(45)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므로서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와 왕복작동용 실린더(52)를 연결하는 유체압라인(42)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왕복작동용 실린더(52)에 공급되었던 유체압이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gets up from the seat 11 to get out of the chair 1, the weight of the user who has been applied to the seat 11 is lost and at the same time, the force supporting the sensing lower back 7 is also removed. When the backrest 12 sequentially describes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that is, the non-use state, first, the lower backrest 7 for sensing is rota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72 and its own weight. Rotation toward the front (counterclockwise in the figure) from the starting point, when the lower back support 7 for rotation (see Fig. 3) is rotated forward (see Fig. 3), the rotating shaft 71 is also rotated together, accordingly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71 operate the operation wire rod 541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as opposed to thos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topper operation wire rod 8a rotates the operation wire rod 541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so that both movable gears 563 and 564 of the stopper 56 are moved on the guide box 51. At the same time as the lower fixed gears (513, 514) is relaxed, the fluid pressure control wire rod (8b) operates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45)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nd thus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And the fluid pressure line 42 connecting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to the open state,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can be recovered to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

다음, 사용자가 의자에서 일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와 복수개의 상부지지관(47a)들은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중판(2b)과 상판(2a)은 신속하게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있던 리턴스프링(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 내부에는 흡인력이 생성되어 유체압라인(42)을 통해 왕복작동용 실린더(52)에 공급되었던 유체압을 흡인하게 되며, 또한 왕복작동용 실린더(5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던 리턴스프링(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내부로 몰입되면서 유체압을 밀어내는 상태가 되므로서 메인작동간(53)은 의자의 후방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프레임(3)도 함께 후진이동하게 되므로서 등받이(12)는 시트(11)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다음의 전진이동을 준비하고 있게 된다.Next, when the user rises from the chair,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cylinder 41 and the plurality of upper support pipes 47a, which are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user's weight, are disposed by the spring plate 2b and the top plate 2a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s quick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n which the fluid pressure cylind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43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in the fluid pressure cylinder 41.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to suck the fluid pressure which has been suppli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through the fluid pressure line 42, and also the elasticity of the return spring 43 that has been elastically compressed inside the reciprocating cylinder 52. As the piston rod is immersed into the cylinder by the restoring force to push the fluid pressure, the main operation section 53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chair. Since the frame 3 also moves backward, the backrest 12 moves completely to the rear of the seat 11 to prepare for the next forward movement.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는 사용자가 의자(1)에 앉을 때 시트(11)의 앞쪽에 치우쳐 앉았을 때 등받이(12)가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체압 가압수단(4)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를 가압작동시키는 보조 유체압 가압수단(9)을 추가적으로 부설한 것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ckrest 12 is maximally forward when the user sits in front of the seat 11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1. In order to move and support the user's back, the auxiliary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means 9 for pressurizing and actuating the piston rod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cylinder 41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means 4 is additionally installed.

상기 보조 유체압 가압수단(9)은 하판(2c)의 상면 전방측에 고정 설치된 보조지지축(91)과, 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이소작동간(9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이소작동간의 일단(도면상 선단)은 중판(2b)의 저면에 연결시키는 한편, 타단(도면상 후단)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시키 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means 9 is composed of an auxiliary support shaft 91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c, and a seesaw operation section 92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thereof. One end of the operation (front end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iddle plate (2b), while the other end (back end in the drawing)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41 for hydraulic pressure.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를 하판(2c)에 고정시키지 않고 실린더 몸체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iston rod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is installed to move toward the cylinder body without being fixed to the lower plate 2c.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가 시트(11)의 앞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앉게 되면 체중이 의자의 앞쪽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판(2a)과 중판(2b)은 복수개의 스페이서(57)에 의해 지지된 채 체결볼트(58)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중판(2b)과 하판(2c)은 스프링(46)이 탄력설치된 상,하부 지지관(47a)(47b)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중판(2b)이 수평적으로 압축되지 않고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압축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시이소작동간(92)이 보조지지축(91)의 상단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중판(2b)의 저부에 연결된 시이소작동간(92)의 선단이 하강함에 따라 그 후단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를 상승시키게 되는 작동이 나타나게 되어 결국 시이소작동간(92)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를 상승 압축시키는데 따른 반력으로 중판(2b)의 앞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서 중판(2b)이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현상을 억제하게 되며, 또한 시이소작동간(92)이 상기한 피스톤로드를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 내부의 유체압을 더 압축시키는 상태가 되어 유체압가압용 실린더(41)의 유체압은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과 시이소작동간(91)의 압축작동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어 왕복작동용 실린더(52)로 공급되는 유체압은 더 많아지게 되므로서 등받이프레임(3)은 최대한으로 전진이동하여 시트의 앞쪽에 걸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user sits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seat 11, the weight acts intensively on the front of the chair. In this case, the upper plate 2a and the middle plate 2b ar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spacers 57. The middle plate 2b and the lower plate 2c are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ipes 47a and 47b in which the springs 46 are elastically installed, while being coupled by the fastening bolts 58 while being supported. The phenomenon that the middle plate 2b is compressed in a state inclined forward rather than horizontally compressed may occur, in which case the seesaw operation period 92 is the upper plate of the auxiliary support shaft 91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iddle plate 2b. As the front end of the seesaw operation section 92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descends,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41 for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appears. Compress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41 for Since the front part of the middle plate 2b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action force to increase, the phenomenon that the middle plate 2b is excessively inclined is suppressed. Also, the seesaw operation section 92 moves the piston rod as described above to the hydraulic pressure cylinder. (41) The state in which the fluid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is further compressed, so that the fluid pressure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41) appears simultaneously with the compression operation between the weight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and the seesaw operation (91). As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52 is increased, the back frame 3 can move forward to the maximum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ver the front of the seat.

그리고 상기 보조유체압 가압수단(9)의 시이소작동간(92)의 선단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한쌍의 구조로 형성하여 중판(2b)의 저부 양측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the tip end of the seesaw operation section 92 of the auxiliary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9 is formed in a pair of structur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ft, right side is configured to stably support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middle plate (2b).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있는 모든 의자에 적용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시트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더라도 등받이가 자동으로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을 받쳐줄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시트의 어느 위치에 앉더라도 항시 자신의 등을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바른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거나 일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척추를 보호하는 등 신체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성장발육기에 있는 어린아이에서부터 청소년 및 성인들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의자를 사용하게 될 때에는 척추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ll chairs with the backrest, even if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the backrest can move forward automatically to support the user's back,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in a naturally correct posture. It allows the user to sit in the right position at all times with his back against the back, no matter where he sits on the seat, so as to protect the spine for everyone who is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studying or working. It can help physical health, and especially provide benefits to effectively protect the spine when using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elderly and patients, as well as you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in the developmental stage .

Claims (8)

시트와 등받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seat, a backrest and a support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된 채 상,하 방향으로 서로간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 중판, 하판과;An upper plate, a middle plate, and a lower plate spaced apart at intervals set from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상기 중판과 하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인 완충작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에 앉게 되면 그 체중에 의하여 중판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상판과 중판 사이에 설치된 왕복작동용 실린더로 방출 공급하는 한편, 사용자가 시트에서 일어서게 되면 압축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한 실린더로 공급하였던 유체압을 흡입 회수하는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체압 가압수단과;The reciprocating oper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middle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allow the elastic buffer oper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the middle plate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its weight and the fluid pressure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consisting of a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which sucks and recovers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 while being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cylinder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from the compressed state when the user stands up from the seat;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중판의 상면에 전,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안내박스와;A guide box fixedly installe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iddle plat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middle plate; 상기 안내박스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의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이 유입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전진(출현)시키는 한편 상기한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유체압이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후진(몰입)시키게 되는 왕복작동용 실린더와, 상기 안내박스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이동장공을 통해 안내박스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평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왕복작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한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작동에 따라 안내박스의 이동장공의 이동범위내에서 전,후진 작동을 수행하는 메인작동간으로 이루어진 등받이 이동수단과;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guide box to release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cylinder of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to advance (express) the piston rod as the discharged fluid pressure is introduced, and the fluid When recover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pressure-pressing cylinder, the reciprocating cylinder is used to reverse (immerse) the piston rod as the fluid pressure is discharged, and the guiding box is provided through moving hole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ing box.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penetr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reciprocating cylinder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within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field of the guide box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piston rod. A backrest moving means formed between main operations;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메인작동간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작동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등받이프레임과;A backrest fram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operation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to perform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together with the main operation; 상기 상판과 중판 사이의 후방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채 양단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과 함께 전,후진 작동을 하게 되는 보조작동간;An auxiliary operat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middle plate, which is movably installed at a rear side thereof, in which both ends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back fram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ack frame;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A chai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압 가압수단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에 오일이나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체가 주입되어 있고, 상기 유체압가압용 실린더는 유체압라인을 통해 유체압을 등받이 이동수단의 왕복작동용 실린더에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유체압라인에는 유체압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와 유체압라인을 개폐하여 유체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체압제어밸브가 장설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means, any one fluid selected from oil or gas is injected into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the fluid pressure pressurizing cylinder is a cylinder for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moving means backing the fluid pressure through the fluid pressure line The fluid pressure lin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luid pressure and a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pressure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uid pressure line. A chair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은, 안내박스를 기준하여 좌,우 양측 이동장공에 근접하는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안내박스의 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한 축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한 작동축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메인작동간의 양측에 각기 한쌍씩 고정 부착되는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상판의 저부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된 안내레일을 지지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작동간의 이동작동함에 따라 함께 안내레일을 따라서 굴러가게 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The backrest moving means has a shaft support member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holes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x, and both ends are rotatably rotatable to the shaft support member through the movement field holes of the guide box. A working shaft to be installed, a stopper installed inside the guide box in a state of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working shaft, roller support members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between the main operation, and rotating to the roller supporting member.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support guide rails protruding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while being installed, and to include a guide roller which is rolled along the guide rails as the movement between the main operations is performed. The chair has the function to move to control the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잇어서,In accordance with claim 1 or 3,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스토퍼는, 롤러설치공에는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채 안내박스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토퍼의 전방측 상면과 후방측 저면 각각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채 스토퍼를 정지시키기 위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가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The stopper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the roller mounting hole is provided with a moving roller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moving passag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x while rotatably fixed to the working shaf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Each of the rear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n inclined state, the back and the forward braking movable gears for stopping the stopper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to adjust the chair to prevent spinal diseases.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안내박스의 내측 상,하면 각각에는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가동기어와 치합하여 스토퍼를 정지시키는 후진 및 전진 제동용 고정기어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and adjust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box, in which a fixed gear for backward and forward braking is formed to engage the backward and forward braking movable gears formed on the stopper to stop the stopper. A chair that can prevent spinal disea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측부분으로서 시트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는 양단이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등받이와는 별개로 형성된 채 사용자가 의자에 앉지 아니하였거나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트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작동하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므로 해서 등받이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기 전에는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먼저 닿으면서 후방을 향해 밀려나듯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감지용 하부등받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상기 메인작동간의 작동축 일단을 연결시키는 상태로 설치된 채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을 스토퍼에 전달하여 스토퍼가 제동작동 및 제동해지작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스토퍼작동용 선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In the lower part of the back frame, a slight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 both end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ck frame, and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ckrest and the user does not sit on the chair or is located behind the user's hip. If there is a space in it, it rotates in a state of protruding toward the seat and while the user sits on a chair, the back frame moves forward, and before the backrest touches the user's back, When the rotary shaft is rotated while being installed in a state of connecting the lower back for sensing and rotating the rotary shaft together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rear while touching, and one end of the rotary shaft and one end of the operating shaft between the main operation The stopper operates by passing it to the stopper. And braking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ermination which includes a wire for the stopper to be able to operate the operation is regulated automatically to a chair that has a function to prevent the spine-related disorde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측부분으로서 시트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는 양단이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등받이와는 별개로 형성된 채 사용자가 의자에 앉지 아니하였거나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트쪽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작동하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므로 해서 등받이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부분에 닿기 전에는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에 먼저 닿으면서 후방을 향해 밀려나듯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감지용 하부등받이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상기 유체압라인에 장설된 유체압제어밸브를 연결시키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한 유체압제어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유체압제어용 선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In the lower part of the back frame, a slight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 both end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ck frame, and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ckrest and the user does not sit on the chair or is located behind the user's hip. If there is a space in it, it rotates in a state of protruding toward the seat and while the user sits on a chair, the back frame moves forward, and before the backrest touches the user's back, The fluid pressure control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backrest for sensing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together while being pushed toward the rear while being touched and th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fluid pressure line are connected. Equipped with a wire r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to open and close the valve Characterized in that said backrest is adjusted automatically move with the function to prevent the spine-related diseases chai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판의 상면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보조지지축과, 상기 보조지지축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선단은 중판의 전방측 하면에 연결되고 후단은 유체압가압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시이소작동간으로 이루어진 보조유체압 가압수단을 중판과 하판 사이에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Auxiliary support shaft fixedly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plate while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shaft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rod of the hydraulic pressure cylinder A chair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spinal 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and controlling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luid pressure pressurization means consisting of between the middle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made between the seesaw operation.
KR1020040033481A 2003-05-23 2004-05-12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481A KR100614842B1 (en) 2004-05-12 2004-05-12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US10/557,609 US7401858B2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AT04734161T ATE419766T1 (en) 2003-05-23 2004-05-20 CHAIR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DE602004018920T DE602004018920D1 (en) 2003-05-23 2004-05-20 CHAIR WITH AUTOMATIC ADJUSTABLE BACKREST
JP2006532053A JP4477011B2 (en) 2003-05-23 2004-05-20 A chair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PCT/KR2004/001201 WO2004107917A1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EP04734161A EP1635673B1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481A KR100614842B1 (en) 2004-05-12 2004-05-12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573A KR20050108573A (en) 2005-11-17
KR100614842B1 true KR100614842B1 (en) 2006-08-22

Family

ID=3728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42B1 (en) 2003-05-23 2004-05-12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8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56B1 (en) 2007-06-20 2009-04-16 (주) 에이포 Chair with backr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715B1 (en) * 2006-06-22 2007-01-30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1132940B1 (en) * 2009-10-28 2012-04-06 임철홍 Chair with assistant apparatus for the movement of waist
KR101103154B1 (en) * 2010-06-11 2012-01-05 박영호 Back of Chair Responding to the Human Body Posture
KR101522589B1 (en) * 2013-03-08 2015-05-26 (주)릴렉스테크 Massage Chair
KR101722316B1 (en) * 2015-06-10 2017-03-31 박영호 Chair of Move Back
KR101722317B1 (en) * 2015-06-10 2017-03-31 박영호 Chair of Move Back
KR102147959B1 (en) * 2019-01-11 2020-08-25 김재등 Smart chair
CN116784615A (en) * 2023-06-28 2023-09-22 安吉艺童家具有限公司 Chair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774A (en) 1977-04-28 1978-11-27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Adjusting seat for vehicles
JPH03102948U (en) * 1990-02-08 1991-10-25
JPH0491145U (en) * 1990-12-24 1992-08-07
US5755488A (en) 1997-03-06 1998-05-26 Steelcase Inc. Chair with adjustable seat
US6135556A (en) 1998-06-05 2000-10-24 Teknion Furniture Systems Inc. Seat adjustment mechanism
KR100510099B1 (en) 2003-05-23 2005-08-23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774A (en) 1977-04-28 1978-11-27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Adjusting seat for vehicles
JPH03102948U (en) * 1990-02-08 1991-10-25
JPH0491145U (en) * 1990-12-24 1992-08-07
US5755488A (en) 1997-03-06 1998-05-26 Steelcase Inc. Chair with adjustable seat
US6135556A (en) 1998-06-05 2000-10-24 Teknion Furniture Systems Inc. Seat adjustment mechanism
KR100510099B1 (en) 2003-05-23 2005-08-23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56B1 (en) 2007-06-20 2009-04-16 (주) 에이포 Chair with back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573A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8048A (en) A chair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KR100510099B1 (en)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EP2717742B1 (en) Forward sliding reclining chair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JP2013528101A (en) Chair
KR101129781B1 (en) Structure for sliding of seat
CN103068280B (en) Multifunctional chair
AU6565401A (en) A reclinable chair
KR100614842B1 (en)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KR101198520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Back of Chair Regulating Function
AT398160B (en) WORK ARMCHAIRS, IN PARTICULAR OFFICE ARMCHAIRS
JP2011527927A (en) Posture calibration chair
KR101281675B1 (en)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US12089741B2 (en) Tiltable chair
WO2012077837A1 (en) Posture-correcting chair including an adjustable seat back
CN106108443B (en) Adjustable chair
KR20120005993A (en) Backrest chair
WO2023061066A1 (en) Seat
KR20100059407A (en) Chair
JP5373342B2 (en) Rocking chair
CN202086049U (en) Seat linear bearing slide rail brake and lumbar adjustment device
KR102290271B1 (en) Multi-function Chair
KR101092785B1 (en) chair
CN209846593U (en) Folding chair with automatically rebounded backrest
CN221830304U (en) A seat with lumbar suppor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