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0099B1 -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 Google Patents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099B1
KR100510099B1 KR10-2003-0032799A KR20030032799A KR100510099B1 KR 100510099 B1 KR100510099 B1 KR 100510099B1 KR 20030032799 A KR20030032799 A KR 20030032799A KR 100510099 B1 KR100510099 B1 KR 10051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luid pressure
seat
us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0433A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맨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맨플러스
Priority to KR10-2003-003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099B1/en
Priority to JP2006532053A priority patent/JP4477011B2/en
Priority to DE602004018920T priority patent/DE602004018920D1/en
Priority to EP04734161A priority patent/EP1635673B1/en
Priority to PCT/KR2004/001201 priority patent/WO2004107917A1/en
Priority to US10/557,609 priority patent/US7401858B2/en
Priority to AT04734161T priority patent/ATE419766T1/en
Priority to CNB2004800141875A priority patent/CN100556339C/en
Publication of KR2004010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47C1/0327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5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springs; Adjustable springs; Attachment of springs to other springs or to the base frame ; Springs for seat par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와, 등받이와, 팔걸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 which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and adjusted. In a chair having a seat, a backrest, an armrest and a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앉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보호케이스 수단과;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측 하부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외부로 방출시켜서 유체압을 발생시키고,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압축시 방출시켰던 유체압을 회수하여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유체압발생 수단과;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에 의하여 피스톤로드를 출현(전진)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피스톤로드를 몰입(후진)작동시켜주는 동력발생 수단과;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상부에서 등받이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 수단의 피스톤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등받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시트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시켜줌과 동시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그 자리에서 정지되는 이동체가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A protective case means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so as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and to be restored to a state before being compressed when the user leaves the seat;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i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inn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When the user's weight is loaded on the seat, the fluid pressure is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outside. A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luid pressure by releasing and restoring the fluid pressure released during compression by restoring the original pressure when the weight of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seat; When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the piston rod is released (advanced) by the released fluid pressure, while the piston rod is immersed (reversed) when the fluid pressure is recovered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Power generating means; The backrest is installed i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and the backres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rod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to closely contact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And the backres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t the same time the backrest moving means is equipped with a moving object which is stopped at the seat; it is an invention comprising a.

Description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앉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등부분이 등받이에 닿지 않도록 시트의 앞부분에 앉게 되더라도 등받이가 자동으로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되어 바른자세로 앉은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므로서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wants to sit on the chair is sitting on the front of the seat so that his back does not touch the backrest,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forward to induce the user to sit in a right position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It relates to a chair that is automatically moved backrest that can protect the spine.

일반적으로 공부나 사무 등의 일을 수행할 때 앉는 의자에는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back of the chair is formed to support the back when performing tasks such as studying or office work.

의자의 등받이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어 척추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의자에 앉을 때에는 엉덩이가 시트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등이 등받이에 기대어지는 상태로 앉아야만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바른 자세로 앉았다고 볼 수 있다. 즉, 의자에 앉는 바른 자세는 하체의 허벅지와 상체의 몸통이 거의 직각을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The back of the chair has a function to protect the spine by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When sitting on the chair, the back can be protected only by sitting with the back leaning against the back while the hip is positioned behind the seat. You can say that you sit in the right position. That is, the correct posture of sitting on the chair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s thighs and the torso's torso are almost at right angles.

또한 의장의 등받이는 사용자의 척추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척추와 같은 곡선을 가지는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In addition, the back of the chair is manufactured in an ergonomic structure having a curve like the spine in order to protect the user's spine safely.

기존의 의자는 등받이가 제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된 것과, 또는 등받이 자체가 두개로 분리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부분 양측을 받쳐주는 듀얼백 구조로 된 것 등 여러 가지의 구조로 된 것이 있다.Conventional chairs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rest can be elastically moved from the back to the rear, or a dual back structure in which the backrest is formed in two and supports both sides of the user's back. There is one.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 자체가 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뒷부분 깊숙한 곳에 위치시켜야만 등부분을 등받이에 기댄 상태로 앉을 수 있는 반면에, 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중간부분에 위치시킨 상태로 앉게 될 경우에는 등부분을 등받이에 바른 자세로 기댈 수 없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의장에 바른 자세로 앉지 못한 상태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척추에 무리를 주게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척추의 이상현상 예를 들면,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이 생기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Conventional chairs are formed with the backrest fixed in place so that the user must sit his or her hips deep behind the seat in order to sit on the chair in a correct posi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its with his hip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seat, the user cannot lean on his back on the back, so as not to sit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If you do work in sitting on the spine to give a strain on the fatigue not only quickly, but also abnormalities of the spine, for example, a lumbar disc can cause a factor.

그런데,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사무를 보는 성인들 사이에는 의자에 앉을 때 자신의 엉덩이부분을 시트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앉지 않고 시트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의자에 앉아서 일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상체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의자에 의지하지 못하게 되어 피로를 빨리 느끼게 되며, 심한 경우 척추에 무리를 주어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을 키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students sitting in a chair or adults studying affairs tend to sit in the middle of the seat instead of sitting their chairs on the back of the seat when sitting in a chair. Even in the upper body comfortably and safely do not rely on the chair to feel fatigue quickly, in a severe case giving the spine is a problem that raises the disease, such as lumbar dis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의자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의자에 앉는 사용자가 의장의 등받이에 등을 기대지 않고 시트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더라도 자신의 체중에 의해 등받이가 자동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등에 밀착되어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가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더라도 등받이 자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허리를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appearing in the existing chai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is sitting on the middle of the seat without leaning on the back of the chair, the backrest automatically by their weight You can sit in the chair in the correct position to protect the spine by moving forward and close to the back, and also the back itself is supported even if the user tilts the upper body back while the backrest moves forward to support the user's back. It i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chair that can securely support the waist in a stationary st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시트와, 등받이와, 팔걸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seat, a backrest, an armrest and a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앉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보호케이스 수단과;A protective case means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so as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and to be restored to a state before being compressed when the user leaves the seat;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측 하부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외부로 방출시켜서 유체압을 발생시키고,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압축시 방출시켰던 유체압을 회수하여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유체압발생 수단과;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i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inn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When the user's weight is loaded on the seat, the fluid pressure is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outside. A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luid pressure by releasing and restoring the fluid pressure released during compression by restoring the original pressure when the weight of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seat;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에 의하여 피스톤로드를 출현(전진)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피스톤로드를 몰입(후진)작동시켜주는 동력발생 수단과;When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the piston rod is released (advanced) by the released fluid pressure, while the piston rod is immersed (reversed) when the fluid pressure is recovered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Power generat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상부에서 등받이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 수단의 피스톤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등받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시트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시켜줌과 동시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그 자리에서 정지되는 이동체가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 이동수단;The backrest is installed i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and the backres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rod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to closely contact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A backrest moving means equipped with a movable body which is stopped at the same time when the backrest is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back;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은,And, the protective case means,

상기 시트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채 하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와;An upper case opened downward while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상기 받침다리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이 개구된 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조립되는 하부 케이스;A lower case fixedly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upper case while the upper end is opened;

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하부 케이스는 받침다리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있고 상부 케이스만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시트와 함께 하측을 향해 하강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When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se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support leg, and only the upper case is configured to move downward with the seat by the user's weight,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은,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내부 지지틀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유체압이 주입 충진된 상태로 설치되는 튜브체와;A tube bod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fluid pressure is injected and filled between an inner support frame fixed to an inside of an upp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and a lower case;

상기 튜브체의 중심부 한곳과 외측 수곳에 탄력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A plurality of springs elastically installed at one central portion of the tube body and several outer portions of the tube body;

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스프링들과 함께 튜브체가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방출시켜주는 한편,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방출되었던 유체압을 회수하면서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and the tubular body is elastically compressed with the springs to release the fluid pressure, while the user is released from the seat is configured to recover to the state before compression while recovering the released fluid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은,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의 내상부에 고정 부착된 채 저부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후진제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An upper plate on which a reverse control gear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fixedly attached to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상부는 개구된 채 상기 상판의 저부에 다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체결 조립되는 안내본체와;A guide body fastened and assembled by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while the upper part is opened;

상기 안내본체의 내저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활주로와 활주로 양측에 전진제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하판과;A lower plate fixedly mounted to an inner bottom of the guide body and having a runwa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rward control gear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unway;

상기 안내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은폐 설치된 채 상기한 전,후진 제어기어 각각에 치합되는 상,하부 스토퍼기어가 대각선을 이루는 상,하면에서 서로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의 활주로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두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이동체와;The upper and lower stopper gears meshed with each of th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ler gears ar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in such a way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ymmetrically form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a diagonal line. A moving body equipped with two rollers which move in rolling stat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runway of the lower plate;

상기 안내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향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양측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두개의 축공을 각각 관통하여 롤러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들 각각의 연결단을 연결 지지하는 두개의 지지축;The connecting end of each of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s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s through the two shaft holes formed in the movable body, respectively, through both moving passage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Two support shafts;

을 포함하여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내부에서 이동체가 길이방향을 향해 전,후로 이동할 때 등받이도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be moved together when the moving body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including,

상기 동력발생 수단은, The power generating means,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본체와;A cylinder body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실린더본체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된 채 피스톤로드의 출몰(전,후진)작동에 따라 상기한 본체의 저부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전,후진 하는 작동구와;An operation tool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body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oscillation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piston rod;

상기 작동구의 양측에 고정 부착된 채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양측에 연결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들의 각 연결단을 향해 수직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양측 연결구와;Both side connectors which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ctuating tool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toward each connecting end of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양측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구멍에 양단이 지지된 채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의 양측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체의 핀공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핀과;A support pin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hol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both side connectors while penetrating the pin holes of the moving body through both moving passages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unit;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압을 상기 실린더본체로의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체와 실린더본체를 연결하는 유체이송관;A fluid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tube body and the cylinder body to supply or recover the fluid pressure injected into the tube body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to the cylinder body;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실린더수단의 피스톤로드의 몰입작동은 작동구의 전방측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mmersion operation of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made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return spring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ng port.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의자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등받이 이동수단과 등받이 연결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등받이 이동수단 및 동력발생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지 않았을 때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댔을 때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가 전,후진 제어기어에 록킹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가 전,후진 제어기어에 록킹된 것을 해제시켜주기 위한 토션스프링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hai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4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and the back connection fram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and the power generating means of Figure 4, Figures 6 to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moves forward or rearward when the backrest is not leaned on the backrest, and FIG. 10 shows the movabl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when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leans back on the backrest. ,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locked to the reverse controller,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BB of Figure 6, Figure 12 is a moving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is a forward The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torsion spring for releasing the lock is shown.

도면부호 1은 의자를 나타낸다. 상기 의자(1)는 시트(11)와, 받침다리(12)와, 등받이(13) 및 팔걸이(14)를 구비하고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hair. The chair 1 is provided with a seat 11, a support leg 12, a backrest 13 and an armrest 14.

상기 시트(11)는 기존의 의자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다리(12) 역시 기존의 여러 의자와 같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또 등각도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발 각각에는 바퀴가 달려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seat 11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sit comfortably like the existing chairs, the support leg 12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height as in the existing many chairs and in an unfolded state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feet form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is attached.

그리고 상기 등받이(13)와 팔걸이(14)는 기존의 의자와는 달리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등받이와 팔걸이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And the backrest 13 and the armrest 14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is moved to the front, rear, unlike the existing chair,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ackrest and armrest is configured to be moved to the front, rear in this way .

상기 등받이(13)와 팔걸이(14)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for enabling the backrest 13 and the armrest 14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ll be described.

상기 시트(11)와 받침다리(12) 사이에는 시트(11)를 상,하 방향으로의 탄력적인 완충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보호케이스 수단과,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에 의하여 시트(11)가 상,하로의 완충작동 즉, 압축 및 복원 작동시 유체압을 발생시키는 유체압발생 수단과,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유체압에 의하여 전,후방으로의 이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 수단 및 상기 동력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하여 등받이(1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주는 등받이 이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seat 11 and the support leg 12, a protective case means for the elastic cushioning oper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eat 11, and the seat 11 by the protective case means A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luid pressure during a lowering buffer operation, that is, a compression and restoring operation, and a powe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oving power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luid pressure generated by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and The backre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backrest 13 forward and backwar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means is comprised.

먼저,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protective case means will be described.

상기 보호 케이스수단은, 시트(11)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채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2a)와 받침다리(12)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채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2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2a)의 개구된 하단은 하부 케이스(2b)의 상단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protective case means includes an upper case 2a having a lower portion open while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11 and a lower case 2b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ly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12.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2a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hile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2b.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a)의 하단과 하부 케이스(2b)의 상단에는 서로 이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21)(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11)에 앉았을 때에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11)와 함께 상부 케이스(2a)가 하향이동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가 의자(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2a)의 걸림부(21)가 하부 케이스(2b)의 걸림부(22)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서 사용자가 의자(1)를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해 시트(11) 또는 팔걸이(14) 등을 잡고 의자(1)를 들어올렸을 때 받침다리(12)도 함께 들리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2a)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2b) is formed with engaging portions (21) (22) so as not to relax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1, the upper case 2a can move downward together with the seat 11 by the weight of the user, while the upper case 2a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chair 1 Since the locking portion 21 of the lower case 2b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22 of the lower case 2b, the user grabs the chair 11 or the armrest 14 to move the chair 1 to another place. 1) When lifting the support leg 12 will be heard together.

다음,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2b)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는 튜브체(3)와, 상기 튜브체(3)에 주입 충진되어 있는 유체압과, 상기 튜브체(3)가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또 압축 후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스프링(31)들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includes a tube body 3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inside the lower case 2b, a fluid pressure injected and filled in the tube body 3, and the tube body ( 3)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consists of a number of springs 31 to allow for rapid recovery after compression.

상기 튜브체(3)는 압축 및 복원작동이 잘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이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체(3)는 상,하부 보호구(32)(33)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다.The tube body 3 has a corrugated structure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perations can be performed well, and the tube body 3 is protected by upper and lower protective devices 32 and 33.

상기 상부 보호구(32)는 하부 보호구(33)를 감싼 상태에서 하부 보호구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protector 32 is installed in a stat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lower protector while the lower protector 33 is wrapped.

상기 다수의 스프링(31)들은 튜브체(3)의 탄력적인 압축 및 복원작동을 도와주는 작용을 담당할 수 있도록 총 5곳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1의 도시와 같이 튜브체(3)의 외측 4곳과 튜브체(3)의 중심 1곳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prings 31 are installed in a total of five places to serve to help the elastic compression and recovery operation of the tube body (3). That is, as shown in FIG. 11, it is provided in four outer side of the tube body 3, and one center of the tube body 3, respectively.

상기 각 스프링(31)들은 코일상으로 형성된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며, 또 각 스프링(31)들은 상,하부 보호관(34)(35)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보호관(34)은 하부 보호관(35)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Each spring 31 is used as a compression spring formed in a coil shape, and each spring 31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rotection pipes 34 and 35. The upper protective tube 34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rotective tube 35 is wrapped.

또한 상기 튜브체(3)의 일측 하단에는 유체압의 압출 및 회수하는 유체출입관(36)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luid access pipe 36 for extruding and recovering the fluid pressure is formed at one lower end of the tube body 3.

그리고 상기 튜브체(3)에 주입 충진되는 유체압은 공압, 가스압, 유압 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The fluid pressure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tube body 3 is selected from pneumatic, gas pressure, and hydraulic pressures.

다음,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은, 상기 시트(1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 케이스(2a)의 내저부에 고정 설치된 상판(41)과, 상기 상판의 저부에 복수개의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안내본체(4)와, 상기 안내본체의 내저부에 고정되는 하판(42)과, 상기 안내본체의 내부에 은폐 상태로 설치된 채 길이방향을 향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43)와, 상기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개의 롤러(44a)(44b)와, 상기한 롤러(44a)(44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들의 각 연결단(151)을 안내본체(4)의 양측에 이동가능하게 연결시켜주기 위한 두개의 지지축(45a)(45b)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backrest moving means includes a top plate 41 fixedly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upper case 2a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11, and a guide body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by a plurality of bolts. 4), a lower plate 42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guide body, a movable body 43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installed in a concealed state inside the guide body, and the movable body Two rollers 44a and 44b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llers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s 44a and 44b, and simultaneously guide the respective connecting ends 151 of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on both sides. It consists of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for movably connect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

그리고, 상기한 상판(41)의 저부에는 후진제어기어(411)가 형성되어 있다.A reverse control gear 41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41.

상기한 하판(42)의 상면 중앙에는 두개의 롤러(44a)(44b)가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활주로(42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활주로(421)의 양측에는 전진제어기어(422)가 형성되어 있다.The runway 4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2 to allow the two rollers 44a and 44b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rward control gea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nway 421. 422 is formed.

상기한 이동체(43)는 안내본체(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크기의 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동체에는 두개의 롤러(44a)(44b)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롤러설치공(431)이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동체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두개의 축공(43a)(43b)이 수평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동체(43)의 상면 선단측에는 상기한 후진제어기어(411)과 치합하여 이동체(43) 자체의 후진작동을 억제하는 상부 스토퍼기어(432)가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체(43)의 하면 후단측에는 상기한 전진제어기어(422)와 치합하여 이동체(43)의 전진작동을 억제하는 하부 스토퍼기어(433)가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body 43 is formed of a hexahedron having a size th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body 4, and the movable body can rotatably accommodate two rollers 44a and 44b. The roller mounting hole 431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enetrates, and the movable body has two shaft holes 43a and 43b which penetrate both si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vable body 43 An upper stopper gear 432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on the top end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3 to engage with the reverse control gear 411 to suppress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43 itself. The lower stopper gear 433 which engages with the advance control gear 422 and suppresses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moving body 43 is formed in inclined shape.

또한 상기한 두개의 롤러(44a)(44b)는 이동체(43)에 형성된 장공(4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데, 각 롤러(44a)(44b)들의 중심은 두개의 축공(43a)(43b) 각각에 일치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한 두개의 지지축(45a)(45b)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이와 같이 지지축(54a)(45b)에 의해 지지되는 두개의 롤러들은 그들의 하부가 이동체(43)의 저부에서 노출되어 하판(42)의 활주로(421)에 지지된 상태에서 활주로를 따라 구름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wo rollers 44a and 44b ar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s 431 formed in the movable body 43, and the centers of the rollers 44a and 44b are two shaft holes 43a ( 43b)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by the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which are insert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m, and thus the two roller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s 54a and 45b are Is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movable body 43 is supported by the runway 421 of the lower plate 42 to move the cloud along the runway.

상기한 두개의 지지축(45a)(45b) 각각의 양단은 안내본체(4)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통로(4a)(4b)를 통해 양측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안내본체(4)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45a)(45b)들 각각의 양단에는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 각각의 연결단(151)이 연결된다.Both ends of each of the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are protruded to both sides through the moving passages 4a and 4b which are formed lengthwise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4, and thus the guide body 4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shafts 45a and 45b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s 1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에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 각각의 연결단(151)에 연결되는 두개의 지지축(45a)(45b)들은 상기의 양측 연결단(151)을 고정시킴과 동시 이동체(43)의 롤러(44a)(44b)를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만족한 구성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지지축(45a)(45b)들 각각의 양단에 수나사를 형성한 다음 너트(451)를 나사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양측 연결단(151)을 지지축(45a)(45b)들 각각의 양단에 고정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한 지지축(45a)(45b) 각각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양측 연결단(151)들이 이동체(43)과 함께 전,후방으로의 이동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체(43)와 양측 연결단(151)들 각각의 사이에 원통형으로 된 간격유지구(452)들이 지지축(45a)(45)들 각각의 양측에 각기 하나씩 개재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s 151 of each of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secure the both connection ends 151 and the rollers of the movable body 43. 44a, 44b is a satisfactory configuration if the structure has a rotatable structu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shaft is formed on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shafts 45a, 45b, and then the nut 451 is screwed. Both connection ends 151 are fixed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shafts 45a and 45b.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end 151 fixed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support shafts 45a and 45b together with the movable body 43, the movable body 43 so that the movement operation to the front and rear can be made smoothly. Between each of the connecting ends 151 and each of the cylindrical interval maintaining 452 is provided on each side of each of the support shaft (45a, 45), one each.

상기에서의 간격유지구(452)들은 안내본체(4)의 양측에 형성된 이동통로(4a)(4b)의 내측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내재되어 있다.The spacing holders 452 in the above are embedded in the state that can move freely inside the moving passage (4a) (4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4).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a) 내측에는 등받이 이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내부지지틀(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내부지지틀(46)의 상단은 상부케이스(2a)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지지틀의 하단은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3)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inside the upper case (2a) is formed an inner support frame 46 for receiving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ackrest moving means,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pport frame 46 is the upper case (2a) It is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tube body 3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한편,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3)를 보호하는 상부 보호구(32)는 상기한 내부지지틀(46)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보호구(33)는 하부 케이스(2b)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튜브체(3)의 중심 1곳과 외측의 4곳에 탄력설치된 다수의 스프링(31) 각각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통(34)들은 내부지지틀(46) 저부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보호통(35)들은 하부 케이스(2b)의 바닥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rotection device 32 for protecting the tube body 3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pport frame 46, the lower protection device 33 is a lower case ( 2b)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the upper protective barrels (34) for protec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prings (31) elastically installed in one center and four outside of the tube body (3) are internally supported It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to the bottom of the frame 46, the lower protective barrel 35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2b).

그리고 상기한 내부지지틀(46)이 튜브체(3)를 수평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지지틀(46)과 튜브체(3) 사이에는 누름판(47)이 내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sser plate 47 i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pport frame 46 and the tube body 3 so that the inner support frame 46 can compress the tube body 3 horizontally.

다음, 상기 동력발생 수단은, 등받이 이동수단의 본체(4)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본체(5)와, 상기 실린더본체의 전방을 향해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51)의 선단에 결합된 채 전방을 향해 전,후진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구(53)와, 상기 작동구(53)의 전방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리턴스프링(54)과, 상기 작동구(53)의 양단에 체결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된 채 상향으로 돌출되는 양측 연결구(55)와, 상기 양측 연결구(55)들 상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구멍(551)과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 각각의 연결단(151)에 형성된 절개구멍(152)과 안내본체(4)의 양측 이동통로(4a)(4b)와 이동체(43)에 형성된 핀공(434)을 관통하는 지지핀(56) 및 상기 실린더본체(5)의 후단과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3) 일측 하단에 형성된 유체출입관(36)을 연결하여 튜브체(3)에 주입 충진되어 있는 유체압을 이송시키는 유체이송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power generating means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body 5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and the piston rod 51 actuating toward the front of the cylinder body. Fastening to both ends of the operating port 53, which is installed to enable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toward the front, the return spring 54 is elastically installed in front of the operating port 53, 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55 and protruding upward while fixedly attached to the bolt and the like, support holes 551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both connector 55 and the connection end 151 of each of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 15, respectively. A support pin 56 penetrating through the formed inlet hole 152 and the moving passages 4a and 4b of the guide body 4 and the pin hole 434 formed in the movable body 43 and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5. To the tube body 3 by connecting a fluid access pipe 36 formed at one lower end of the tube body 3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It is composed of yucheyi songgwan (57) for transferring the fluid pressure in the filling mouth.

상기한 실린더본체(5)는 체결밴드(58)에 의하여 안내본체(4)의 저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리턴스프링(54)은 내부 지지틀(46)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59a)과 고정관 내부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관(59b)에 수용된 상태에서 작동구(5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The cylinder body 5 is installed in a st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guide body 4 by the fastening band 58, the return spring 54 is fixed to the inner support frame 46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59a) and the moving tube (59b) installed to be retracted into the fixed tube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operating port (53).

상기한 지지핀(56)은 작동구(53)와 함께 이동하면서 이동체(43)를 전,후진시키는 작동을 수행한다.The support pin 56 moves along with the operation tool 53 to move the moving body 43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한 지지핀(56)에는 이동체(43)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561)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토션스프링은 그 양단이 두개의 지지축(45a)(45b)에 탄력지지되어 이동체(43)에 장착된 두개 롤러(44a)(44b)가 항시 활주로(421)에 탄력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구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동체(43)가 일측 지지축(45b)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이동체(43)를 원위치(수평상태)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in 56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561 elastically installed to maintain the movable body 43 in a horizontal state, the torsion spring of the two ends of the support shaft (45a, 45b) The two rollers 44a and 44b, which are elastically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movable body 43, can be rolled in a state of being in elastic contact with the runway 421 at all times, while the movable body 43 moves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45b.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clockwise in the drawing to be inclined, the movable body 4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horizontal state).

그리고 상기한 유체이송관(57)은 튜브체(3)의 압축작동시 튜브체에서 방출되는 유체압을 실린더본체(5)로 이송시키는 작용과 실린더본체(5)에서 퇴출되는 유체압을 튜브체(3)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수행함과 동시 내부지지틀(46)이 튜브체(3)를 압축하면서 하강이동할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작용과 내부지지틀이 상승이동할 때에는 원래의 상태(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uid transfer pipe 57 ha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fluid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tube body to the cylinder body 5 during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tube body 3 and the fluid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body 5. 3) It performs the action of conveying and at the same time elastically compresses when the inner support frame 46 moves downward while compressing the tube body 3, and the original state when the inner support frame moves up (the state before compression) Consists of a corrugated pipe that is smoothly restored to work.

한편, 등받이(13)를 지지하는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들 각각은 그 일단이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13)의 양단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시트(11)의 양측 중간부분으로 시트의 저부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a) 및 내부지지틀(46)의 양측에 길이방향(시트의 전,후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이동장공(23)(461)을 관통하여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4) 양측까지 연장된 채 그의 끝부분에 형성된 연결단(151)들이 두개의 지지축(45a)(45b)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 이동수단의 지지축(45a)(45b)에 의하여 이동체(43)와 연결된 상태가 되어 상기 이동체(4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도 동시에 같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13)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each of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supporting the backrest 13 has one end fixed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ackrest 13 as shown in FIGS. 3 and 4 by bolts,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 seat. A moving hole 23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heet) on both sides of the upper case 2a and the inner support frame 46 in a state of being bent toward the bottom of the sheet by the middle portions of both sides of (11). The connecting ends 151 formed at the ends of the guide body 4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penetrate through the 461 are connected to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body 43 is moved forward or rearward by the support shafts 45a and 45b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are simultaneously moved together. Therefore, the backrest 13 will also move together.

또한 상부 케이스(2a)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이동장공(23)과 내부지지틀(46)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이동장공(461)은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어 상기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은 이동체(43)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ving holes 23 formed on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case 2a and the moving holes 461 formed on both upper ends of the inner support frame 46 allow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 15 is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able body 43.

또한 상기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에는 팔걸이 프레임(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양측 팔걸이 프레임(16) 상단에는 팔걸이(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13)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팔걸이(14)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rmrest frame 16 is integrally formed in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and the armrest 14 is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armrest frames 16. Therefore, when the backrest 13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armrest 14 is also mov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을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본체(4)와 이동체(43) 등 등받이 이동수단의 구성요소가 시트(11)의 저부측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을 향해 한줄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43) 양측에 두개의 지지축(45a)(45b) 양단에 연결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이 시트(11)의 좌,우측에서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이 항시 수평을 유지한 채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개의 가이드레일(6)이 형성되어 있다.Then, the components of the guide body 4 and the backrest moving means such as the movable body 43 for moving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bottom of the seat 11. Since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 15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s 45a and 45b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body 4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may be incli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11. In order to prevent this, two guide rails 6 are formed so that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while keeping the horizontal at all times.

상기한 두개의 가이드레일(6)은 시트(11)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상부 케이스(2a) 내상부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하나씩 하향을 향해 고정 돌출된 4개의 브라켓(61)들 중 시트(11)를 기준하여 볼 때 시트의 좌,우측 각각에 위치하여 전,후방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개씩의 브라켓 각각에 가이드레일(6)들이 전,후방을 향해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케이스(2a)의 내부 양측에 위치한 채 가이드레일(6)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 각각의 저부에는 단면이 "∩"자형으로 된 이동안내구(7)가 용접되어 있다.The two guide rails 6 are formed of four brackets 61 fixedly protruding downwardly, one for each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 2a of the upper case 2a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11. 11) Ba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the guide rails 6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two brackets facing each other from the front and the rear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oward the front and the rear. On the bottom of each of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across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6 while being locat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upper case 2a, a movement guide 7 having a cross-section "∩" shape is welded. .

상기한 이동안내구(7)는 가이드레일(6)의 상부와 좌,우측을 감싼 상태이며, 또한 이동안내구(7)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6)을 향해 돌출된 단면이 반원형(또는 타원형)의 돌출부(7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돌출부(71)는 가이드레일(6)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은 양측 가이드레일(6)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레일(6)을 따라 안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돌출부(71)는 이동안내구(7)가 가이드레일(6)에 지지된 채 전,후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므로서 사용자가 등받이(13)에 등을 기댈 때 이동안내구(7)가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이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The movement guide (7) is a state surrounding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 of the guide rail (6), and the cross section protruding toward the guide rail (6) is semicircular (or elliptical) at the top of the movement guide (7). The protrusion part 71 of the () is formed, The protrusion part 71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6 in a slidable state. Therefore,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 15 is able to move in a stable state along the guide rail 6 without being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or separated by the guide rails 6 on both sides, and the protrusion 71 is a movement guide. Since the sphere 7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 6 and is inclin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the movement guide 7 is suppor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 13. The connecting frame 15 is to allow the inclin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의 도시는 의자(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사용자가 시트(11)에 앉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등받이(13)는 후방으로 완전히 밀려나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팔걸이(14)도 시트(11)의 양측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또한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2a)는 상승이동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3)는 비압축상태이고 또 동력발생 수단의 작동구(53)는 리턴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된 상태로서 피스톤로드(51)가 몰입(후진)작동된 상태이다.First,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hair 1 is not used, that is, before the user sits on the seat 11, and the backrest 13 is pushed completely to the rear. The armrest 14 is also located in the middle of both sides of the seat 11, and the upper case 2a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is moved up, in which case the tube body 3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Is an uncompressed state, and the actuating tool 53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is a state in which the piston rod 51 is immersed (reversed) in a state of being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4.

또한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43)는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데, 이때의 이동체(43) 상,하면은 상판(41)의 후진제어기어(411)와 하판(42)의 전진제어기어(422)와는 이완된 상태에서 두개의 롤러(44a)(44b)만 활주로(421)에 접촉하고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body 43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vable body 43 at this time are the reverse control gear 411 of the upper plate 41 and the forward control gear 422 of the lower plate 42. ), Only two rollers 44a and 44b are in contact with the runway 421 in a relaxed state.

도 7의 도시는 사용자가 시트(11)의 중간부분에 앉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시트(11)에 실리게 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2a)와 내부지지틀(46)이 하강하게 되므로서 누름판(47)이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3)의 상부를 압착하게 되며, 이와 같이 튜브체(3)가 압축될 때에는 그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유체압이 유체출입관(36)을 통해 유체이송관(59)으로 방출 이송되는데, 상기한 유체이송관(59)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튜브체(3)와 함께 압축되더라도 막히지 않고 유체압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게 된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11, in which case the upper case 2a and the inner support fram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by the weight of the user to be loaded on the seat 11 As the 46 is lowered, the pressing plate 47 com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body 3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and when the tube body 3 is compressed in this way, the fluid pressure filled therein is reduced. The fluid transport pipe 59 is discharg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fluid entry pipe 36. The fluid transport pipe 59 is formed as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fluid pressure is smoothly transferred without being blocked even when compressed with the tube body 3. .

상기와 같이 튜브체(3)의 압축작동에 의해 유체이송관(57)으로 방출 이송되는 유체압이 동력발생 수단의 실린더본체(5)의 후단으로 유입되어 피스톤헤드를 밀어내게 되면 피스톤로드(51)가 실린더본체(5)의 전방으로 출현작동하게 되므로서 작동구(53)는 리턴스프링(54)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전진작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작동구(53)가 전진이동하게 될 때에는 그 양단에 고정 부착된 양측 연결구(55) 상단의 지지구멍(551)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핀(56)도 함께 전진이동하게 되므로서 상기 지지핀(56)은 이동체(43)를 전진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이동체(4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두개의 롤러(44a)(44b)가 하판(42)의 활주로(421)을 따라 굴러가는 상태이고 또 이동체(43)의 상,하면은 상,하판(41)(42)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도 9 참조)이므로 상기 이동체(43)는 작동구(53)의 전진작동에 따라 부드럽게 전진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uid pressure discharged to the fluid transfer tube 57 by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tube body 3 flows into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5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and pushes the piston head, the piston rod 51 Since the actuating opening 53 moves forward while elastically compressing the return spring 54, the actuating opening 53 moves forward when the cylinder 53 is moved forward. The support pins 56, which are supported at both ends in the support holes 551 at the upper ends of the both end connectors 55 fixedly attached to both ends, are also moved forward, so that the support pins 56 move the movable body 43 forward. The two rollers 44a and 44b rotatably mounted to the movable body 43 are rolled along the runway 421 of the lower plate 4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vable body 43 are The upper plate 41 and 42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9). Movable body 43 is smoothly moved forward along the advanc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opening (53).

또한 상기 이동체(43)가 전진이동하게 될 때에는 두개의 지지축(45a)(45b)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도 함께 전진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13)도 시트(11)에 앉아있는 사용자를 향해 전진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전진이동은 등받이(13)가 시트(11)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movable body 43 is moved forward,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two support shafts 45a and 45b are also moved forward, so that the backrest 13 is also moved. Moving forward toward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1, such a forward movement is made until the backrest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1).

도 8의 도시는 등받이(13)가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되어 더 이상 전진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계속된 피스톤로드(51)의 출현작동에 의해 작동구(53)가 조금 더 전진이동하게 되므로서 이동체(43)는 더 이상 전진이동하지 못하고 일측(도면상 우측) 지지축(45b)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등받이(13)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적당한 압력으로 밀어주는 상태가 되며,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의 연결단(151)들은 이동체(43)가 경사진 만큼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4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스토퍼기어(432)가 상판(41)의 후진제어기어(411)에 치합된 상태가 되고, 이동체(43)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스토퍼기어(433)은 하판(42)의 전진제어기어(422)에 치합된 상태(도 10 참조)가 되며, 이와 같은 기어들의 치합상태는 사용자가 등받이(13)에 힘을 가하면서 기댈 경우에는 더욱 견고하게 치합되는 상태가 된다.8 shows that the operation port 53 moves forward a little further by the appearance of the piston rod 51 which continues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13 moves forward and close to the user's back and cannot move forward anymore. Since the moving body 43 can no longer move forward and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on one side (right in the drawing) of the support shaft 45b as the starting point, in this case, the backrest 13 ) Is in a state of pushing the user's back to the appropriate pressure, the connection ends 151 of the back frame connecting frame 15 is inclined as much as the movable body 43 is inclined. The upper stopper gear 43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3 is engaged with the reverse control gear 411 of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stopper gea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3. The 433 is engaged with the forward control gear 422 of the lower plate 42 (see FIG. 10), and the geared state of the gears is more robust when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 13. It is in a state of being engaged.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11)의 중간부분에 앉게 되더라도 등받이(13)가 전진이동하여 자신의 등부분에 밀착되므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등을 등받이(13)에 밀착시킨 상태의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아서 일(공부, 업무 등)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11, the backrest 13 moves forward and close to his back, so that the user sits in a chair in a correct posture with his back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13. You will be able to see your work (study, work, etc.).

그리고, 사용자가 의자(1)에서 일어나게 되면 시트(11) 및 등받이(13)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는데, 이때에는 우선적으로 이동체(43)의 지지핀(56)에 탄력설치된 토션스프링(5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체(43) 자체는 일측(도면상 우측) 롤러(44b)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므로서 타측(도면상 좌측) 롤러(44a)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활주로(421)에 접촉되는 상태가 됨과 동시 상,하부 스토퍼기어(432)(433)는 전,후진 제어기어(422)(411)에서 이완된 상태가 되어 이동체(43)는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트(11)의 중간부분에 앉았다가 다시 조금 더 앞쪽으로 당겨 앉게 되면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13)에서 떨어지게 됨과 동시 이동체(43)도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 즉, 사용자의 등과 등받이(13)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이동체(43)가 이동가능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유체압이 실린더본체(5)의 피스톤로드(51)를 출현(전진)작동시키게 되므로서 등받이(13)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될 때까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아 있는 동안에는 항시 등받이(13)가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ises from the chair 1, the force applied to the seat 11 and the backrest 13 is removed. In this case, the torsion spring 561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pin 56 of the movable body 43 is preferentially remove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movable body 43 itself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the one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roller 44b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roller 44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topper gears 432 and 433 are relax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 gears 422 and 411, and the movable body 43 is movable. Accordingly, when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11 and pulls back a little further forward, the user's back falls off the backrest 13 and the movable body 43 is also movable. State, ie back of the user 13 When the space is created and the movable body 43 is movable, the back pressure 1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since the fluid pressure causes the piston rod 51 of the cylinder body 5 to appear (advance) by the user's weight. Will move forward until Therefore,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1, the backrest 13 always supports the user's back.

상기와 같이 이동체(43)가 이동가능한 상태이고 또 시트(11)에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된 상태가 되면 동력발생 수단의 튜브체(3)는 더 이상 유체압을 방출시키지 않는 상태인 반면에, 작동구(53)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던 리턴스프링(5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 상태이고 또한 튜브체(3)의 외측 4곳 및 중심에 있는 다수의 스프링(31)들 역시 압축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리턴스프링(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구(53)는 후진작동을 하여 피스톤로드(51)를 실린더본체(5)로 몰입시키게 되며, 또한 실린더본체(5)에 주입되었던 유체압은 유체이송관(57)을 통해 튜브체(3)로 회수되는 것이다.When the movable body 43 is movable as described above and the weight of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seat 11, the tube body 3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no longer releases the fluid pressure, The resilient compression force of the return spring 54, which has been elastically compressed, is actuated in the operating tool 53, and the plurality of springs 31 in the center and the outer four places of the tube body 3 are also originally in a compressed stat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o the state becomes the state which acts. Therefor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54, the operating port 53 is driven backward to immerse the piston rod 51 into the cylinder body 5, and the fluid pressure injected into the cylinder body 5 is It is recovered to the tube body 3 through the pipe 57.

상기에서 작동구(53)가 후진작동을 할 때에는 이동체(43)도 후진하게 되고, 또 이동체(43)가 후진이동함에 따라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15)도 후진이동하게 되므로서 등받이(13)와 팔걸이(14)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When the operating port 53 is the reverse operation in the above, the moving body 43 is also reversed, and as the moving body 43 moves backwards,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15 are also moved backwards, so that the backrest 13 and Armrest 14 is to move to the original position (see Figure 6).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반의자(등받이가 시트 후방에 고정 상태로 되어 있는 의자를 말함)의 기능(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 부분을 시트 후방에 위치하도록 앉을 때에만 등 부분을 등받이에 기댄 바른 자세로 앉게 해주는 기능)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시트의 후방에 앉지 않고 중간부분에 앉게 될 때에도 등받이가 자동으로 전진이동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되어 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의자에 앉았을 때에는 어느 위치에 앉더라도 항시 등받이에 등을 기댄 바른 자세로 앉아있도록 하므로서 척추를 보호하는 등 신체의 건강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특히, 성장발육기에 있는 어린아이에서부터 청소년들에 이르기까지 척추관련 질환으로부터 보호하여 건강한 성장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function of the general chair (back chair is fixed to the back of the seat) function (when the user sits so that his hips are located behind the seat in a correct position to the back back to the back)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sit, the backrest automatically moves forward when the user sits in the middle of the seat instead of sitting behind the sea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o support the back. When sitting in a chair, you can sit at the back of your back at all times to protect your spine by protecting your spine, especially from young children to adolescents. Protects against spinal disorders and helps grow healthy The invention to provide a.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의자의 측면도 및 정면도.1 and 2 are side and front views of a chai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등받이 이동수단과 등받이 연결프레임의 결합상4 is a coupling phase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and the backrest connecting fram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Perspective to show the womb.

도 5는 도 4의 등받이 이동수단 및 동력발생 수단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and the power generating means of FIG.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단면도.6 to 8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대지 않았을 때 등받이 이동수9 shows the number of backrest movements when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ean against the backrest.

단의 이동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To show the state that the moving body of the stage moves forward or backward

확대 단면도.       Magnified s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댔을 때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10 is a view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when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leans back on the backrest;

동체가 전,후진 제어기어에 록킹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       Magnification stage to show the state that the body is lock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 gear

면도.       shave.

도 11은 도 6의 B-B선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6. FIG.

도 12는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가 전,후진 제어기어에 록킹된 것을 해제Fig. 12 is a figure showing that the moving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is lock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ler gears.

시켜주기 위한 토션스프링의 설치상태도.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orsion spring to make it wor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의자 2a,2b : 상,하부 케이스1: chair 2a, 2b: upper and lower case

3 : 튜브체 4 : 안내본체3: tube body 4: guide body

4a,4b : 이동통로 5 : 실린더본체4a, 4b: movement passage 5: cylinder body

6 : 가이드레일 7 : 이동안내구6: guide rail 7: movement guide

11 : 시트 12 : 받침다리11: sheet 12: leg

13 : 등받이 14 : 팔걸이13: back 14: armrest

15 : 등받이 연결프레임 16 : 팔걸이 프레임15: frame connecting the backrest 16: armrest frame

21,22 : 걸림부 31 : 스프링21,22: catching part 31: spring

32 : 상부 보호구 33 : 하부 보호구32: upper protector 33: lower protector

34 : 상부 보호통 35 : 하부 보호통34: upper protective box 35: lower protective box

36 : 유체출입관 41 : 상판36: fluid access pipe 41: top plate

42 : 하판 43 : 이동체42: lower plate 43: moving body

43a,43b : 축공 44a,44b : 롤러43a, 43b: Axle 44a, 44b: Roller

45a,45b : 지지축 411 : 후진제어기어45a, 45b: Support shaft 411: Reverse control gear

421 : 활주로 422 : 전진제어기어421: runway 422: forward control gear

431 : 롤러 설치공 432 : 상부 스토퍼기어431: roller mounting hole 432: upper stopper gear

433 : 하부 스토퍼기어 434 : 핀공433: lower stopper gear 434: pin ball

51 : 피스톤로드 53 : 작동구51: piston rod 53: operating port

54 : 리턴스프링 55 : 연결구54: return spring 55: connector

56 : 지지핀 57 : 유체이송관56: support pin 57: fluid transfer pipe

58 : 체결밴드 59a,59b : 고정관 및 이동관58: fastening band 59a, 59b: fixed tube and moving tube

61 : 브라켓 71 : 돌출부61: bracket 71: protrusion

Claims (6)

시트와, 등받이와, 팔걸이 및 받침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seat, a backrest, an armrest and a leg, 상기 시트와 받침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트에 앉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보호케이스 수단과;A protective case means installed between the seat and the support leg so as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and to be restored to a state before being compressed when the user leaves the seat;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측 하부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외부로 방출시켜서 유체압을 발생시키고, 시트에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압축시 방출시켰던 유체압을 회수하여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는 유체압발생 수단과;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i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inn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When the user's weight is loaded on the seat, the fluid pressure is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outside. A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fluid pressure by releasing and restoring the fluid pressure released during compression by restoring the original pressure when the weight of the user is removed from the seat;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방출시킬 때에는 그 방출되는 유체압에 의하여 피스톤로드를 출현(전진)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에서 유체압을 회수할 때에는 피스톤로드를 몰입(후진)작동시켜주는 동력발생 수단과;When releasing the fluid pressure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the piston rod is released (advanced) by the released fluid pressure, while the piston rod is immersed (reversed) when the fluid pressure is recovered from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Power generat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내상부에서 등받이가 연결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 수단의 피스톤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등받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시트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등에 밀착시켜줌과 동시 등받이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그 자리에서 정지되는 이동체가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 이동수단;The backrest is installed i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and the backres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rod of the power generating means to closely contact the back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A backrest moving means equipped with a movable body which is stopped at the same time when the backrest is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back;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The chair is automatically moved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은,The protective case means, 상기 시트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채 하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와;An upper case opened downward while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상기 받침다리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이 개구된 채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조립되는 하부 케이스;A lower case fixedly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and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upper case while the upper end is opened; 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하부 케이스는 받침다리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있고 상부 케이스만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시트와 함께 하측을 향해 하강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the lower case is in a stat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support leg, and the upper back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ve downward toward the lower side with the seat by the user's weight. Telescopic ch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은,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내부 지지틀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유체압이 주입 충진된 상태로 설치되는 튜브체와;A tube bod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fluid pressure is injected and filled between an inner support frame fixed to an inside of an upp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and a lower case; 상기 튜브체의 중심부 한곳과 외측 수곳에 탄력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A plurality of springs elastically installed at one central portion of the tube body and several outer portions of the tube body; 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에는 스프링들과 함께 튜브체가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유체압을 방출시켜주는 한편,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하게 되면 방출되었던 유체압을 회수하면서 압축되기 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and the tubular body is elastically compressed with the springs to release the fluid pressure, while the user is released from the seat is configured to recover to the state before compression while recovering the released fluid pressur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mov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은,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의 내상부에 고정 부착된 채 저부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후진제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An upper plate on which a reverse control gear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fixedly attached to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상부는 개구된 채 상기 상판의 저부에 다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체결 조립되는 안내본체와;A guide body fastened and assembled by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while the upper part is opened; 상기 안내본체의 내저부에 고정 장착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활주로와 활주로 양측에 전진제어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하판과;A lower plate fixedly mounted to an inner bottom of the guide body and having a runway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rward control gear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unway; 상기 안내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은폐 설치된 채 상기한 전,후진 제어기어 각각에 치합되는 상,하부 스토퍼기어가 대각선을 이루는 상,하면에서 서로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의 활주로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두개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이동체와;The upper and lower stopper gears meshed with each of the forward and backward controller gears ar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in such a way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ymmetrically form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a diagonal line. A moving body equipped with two rollers which move in rolling stat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runway of the lower plate; 상기 안내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향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양측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두개의 축공을 각각 관통하여 롤러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들 각각의 연결단을 연결 지지하는 두개의 지지축;The connecting end of each of the two backrest connecting frames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s through the two shaft holes formed in the movable body, respectively, through both moving passage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Two support shafts; 을 포함하여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내부에서 이동체가 길이방향을 향해 전,후로 이동할 때 등받이도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Chair including the backrest is automatically configured to move so that the backrest is also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hen the moving body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력발생 수단은,The power generating means,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본체와;A cylinder body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실린더본체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된 채 피스톤로드의 출몰(전,후진)작동에 따라 상기한 안내본체의 저부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전,후진 하는 작동구와;An operation tool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guide body according to the oscillation of the piston rod; 상기 작동구의 전방측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리턴스프링과;A return spring resilient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actuating tool; 상기 작동구의 양측에 고정 부착된 채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 양측에 연결된 양측 등받이 연결프레임들의 각 연결단을 향해 수직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양측 연결구와;Both side connectors which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ctuating tool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toward each connecting end of both backrest connecting fram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means; 상기 양측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구멍에 양단이 지지된 채 상기 등받이 이동수단의 안내본체의 양측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체의 핀공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핀과;A support pin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hol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both side connectors while penetrating the pin holes of the moving body through both moving passages of the guide body of the backrest moving unit; 상기 유체압발생 수단의 튜브체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압을 상기 실린더본체로의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체와 실린더본체를 연결하는 유체이송관;A fluid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tube body and the cylinder body to supply or recover the fluid pressure injected into the tube body of the fluid pressure generating means to the cylinder body;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The chair is automatically moved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보호케이스 수단의 상부 케이스 내부에는 등받이 연결프레임을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함과 동시 등받이 이동수단의 이동체를 따라 등받이 연결프레임이 수평상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조절되는 의자.The upper case of the protective case means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for supporting the backrest frame to be horizontal so as not to tilt and guiding the backrest frame to move horizontally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moving body of the backrest movement means. The chair is automatically moved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KR10-2003-0032799A 2003-05-23 2003-05-23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KR100510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99A KR100510099B1 (en) 2003-05-23 2003-05-23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JP2006532053A JP4477011B2 (en) 2003-05-23 2004-05-20 A chair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DE602004018920T DE602004018920D1 (en) 2003-05-23 2004-05-20 CHAIR WITH AUTOMATIC ADJUSTABLE BACKREST
EP04734161A EP1635673B1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PCT/KR2004/001201 WO2004107917A1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US10/557,609 US7401858B2 (en) 2003-05-23 2004-05-20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AT04734161T ATE419766T1 (en) 2003-05-23 2004-05-20 CHAIR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CNB2004800141875A CN100556339C (en) 2003-05-23 2004-05-20 Backrest can move the chair of regulating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99A KR100510099B1 (en) 2003-05-23 2003-05-23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433A KR20040100433A (en) 2004-12-02
KR100510099B1 true KR100510099B1 (en) 2005-08-23

Family

ID=3680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99A KR100510099B1 (en) 2003-05-23 2003-05-23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0099B1 (en)
CN (1) CN100556339C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42B1 (en) 2004-05-12 2006-08-22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KR100675715B1 (en) 2006-06-22 2007-01-30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0893156B1 (en) 2007-06-20 2009-04-16 (주) 에이포 Chair with backrest
KR100919418B1 (en) * 2009-04-15 2009-09-29 (주) 에이포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KR200448295Y1 (en) 2007-08-30 2010-03-30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Functional chair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o maintain correct posture
CN105029945A (en) * 2015-07-31 2015-11-11 无锡市日升化工有限公司 Novel multifunctional office chair
CN105193123A (en) * 2015-09-29 2015-12-30 平湖市当湖街道超越时空模具图文设计服务部 Novel buffer chair
KR101606755B1 (en) 2014-12-04 2016-03-28 정상진 The back of chair that have a front and the rear moving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43B1 (en) * 2007-02-06 2007-09-20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Clean chair with automatic closing of the backrest
CN101874688A (en) * 2009-04-30 2010-11-03 杨诚 Seating device
WO2012000199A1 (en) * 2010-07-02 2012-01-05 Tai Chun-Chang Buffer structure
JP5589798B2 (en) * 2010-11-25 2014-09-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Cushion length variable seat
CN103211432A (en) * 2012-01-19 2013-07-24 潘峻青 Chair and chair control system
CN102726973B (en) * 2012-06-26 2017-02-08 叶金芝 A seat structure capable of sharing the weight of the body by the waist
CN102887084B (en) * 2012-09-25 2015-10-28 浙江理工大学 A pneumatic vehicle seat
KR101348803B1 (en) * 2013-08-14 2014-01-10 문재현 The chair for protect a backbone and a waist
US10021985B2 (en) * 2016-04-28 2018-07-17 James E. Grove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DE102017208151A1 (en) * 2016-10-24 2018-04-26 Stabilus Gmbh Adjustment device for actuating a brake and mobile unit, in particular chair
US20180118060A1 (en) * 2016-10-28 2018-05-03 Lear Corporation Incrementally adjustable seat assembly
CN106510262A (en) * 2016-10-31 2017-03-22 冀帆 Adjustable multifunctional student chair
CN107518666B (en) * 2017-10-19 2023-08-22 芜湖琅格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audio-visual sofa
CN108577289B (en) * 2018-04-19 2022-08-19 湖南工程学院 Multifunctional telescopic conversion furniture
CN108835986A (en) * 2018-07-04 2018-11-20 合肥欧语自动化有限公司 A kind of chair that intelligence can be adjusted by gravity
CN108773302A (en) * 2018-07-11 2018-11-09 深圳达芬奇创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uffer unit of automotive seat
CN109043918A (en) * 2018-07-20 2018-12-21 泉州医学高等专科学校 It is a kind of can self-return mechanical bed by chair
CN110575017B (en) * 2019-10-11 2023-04-07 杭州友邦演艺设备有限公司 Adjustable theater seat back
CN114053066A (en) * 2021-11-19 2022-02-18 珠海市华特雅工业气体有限公司 Domestic high-pressure health-care oxygen cab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774A (en) * 1977-04-28 1978-11-27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Adjusting seat for vehicles
JPH03102948A (en) * 1989-09-14 1991-04-30 Fujitsu Ltd Port-to-port connection control method
JPH0491145U (en) * 1990-12-24 1992-08-07
US5755488A (en) * 1997-03-06 1998-05-26 Steelcase Inc. Chair with adjustable seat
US6135556A (en) * 1998-06-05 2000-10-24 Teknion Furniture Systems Inc. Seat adjust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774A (en) * 1977-04-28 1978-11-27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Adjusting seat for vehicles
JPH03102948A (en) * 1989-09-14 1991-04-30 Fujitsu Ltd Port-to-port connection control method
JPH0491145U (en) * 1990-12-24 1992-08-07
US5755488A (en) * 1997-03-06 1998-05-26 Steelcase Inc. Chair with adjustable seat
US6135556A (en) * 1998-06-05 2000-10-24 Teknion Furniture Systems Inc. Seat adjustment mechanis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42B1 (en) 2004-05-12 2006-08-22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with function to prevent back-related diseases by automatically moving backrest
KR100675715B1 (en) 2006-06-22 2007-01-30 주식회사 맨플러스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0893156B1 (en) 2007-06-20 2009-04-16 (주) 에이포 Chair with backrest
KR200448295Y1 (en) 2007-08-30 2010-03-30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Functional chair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o maintain correct posture
KR100919418B1 (en) * 2009-04-15 2009-09-29 (주) 에이포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WO2010120139A3 (en) * 2009-04-15 2011-03-24 (주)에이포 Seating furniture having movable backrest
KR101606755B1 (en) 2014-12-04 2016-03-28 정상진 The back of chair that have a front and the rear moving tool
CN105029945A (en) * 2015-07-31 2015-11-11 无锡市日升化工有限公司 Novel multifunctional office chair
CN105193123A (en) * 2015-09-29 2015-12-30 平湖市当湖街道超越时空模具图文设计服务部 Novel buffer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6339C (en) 2009-11-04
KR20040100433A (en) 2004-12-02
CN1794932A (en)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099B1 (en)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US10681982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DE60125907T2 (en) CHAIR
JPS5810010A (en) Chair
CN105795755A (en) Apparatus for support during tattooing
JP6923982B2 (en) Standing assist chair and wheelchair
CN109512184B (en) A portable adjustable lumbar backrest
US20150320625A1 (en) Method of apparatus for ingress and egress of chair
KR102038385B1 (en) Tilting structure of chair seat
JP2013528101A (en) Chair
WO2004107917A1 (en) Chair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rest
KR102130551B1 (en) Chair with standing up aid
US9427371B1 (en) Reclining traction chair
JP2011110304A (en) Link spring device and chair for motion aid including the same
CN111728408A (en) Self-adaptive backrest seat
KR102080545B1 (en) Wheelchair comprising mobile device
US3004794A (en) Orthopedic cushion and arm rest unit
JP6318434B2 (en) bed
KR20050108573A (en) Chair enabling to control back side of chair
JP6145328B2 (en) Chair type massage machine
CN206949928U (en) A kind of leg rest portion of chair
EP0056070A1 (en) Seating furniture
WO2008001093A1 (en) Chair
CN211559463U (en) Armrest posture adjustable aluminium frame infantees sofa
KR101514386B1 (en) Chair with waist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