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670B1 - 가열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670B1
KR100610670B1 KR1020050040224A KR20050040224A KR100610670B1 KR 100610670 B1 KR100610670 B1 KR 100610670B1 KR 1020050040224 A KR1020050040224 A KR 1020050040224A KR 20050040224 A KR20050040224 A KR 20050040224A KR 100610670 B1 KR100610670 B1 KR 10061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oor
door handle
cooking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철
백상훈
이성호
김향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6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의 열이 전달되어 도어핸들이 높은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 냉각구조를 가지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가열조리장치는 도어핸들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유로를 구비한다. 도어핸들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 전면과 도어 배면에는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냉각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홀은 냉각유로의 일측단에 형성된 유로유입구에 연통된다. 한편, 냉각유로의 타측단에는 유로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인접한 도어 배면과 하우징 전면에는 공기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냉각유로를 통과하며 도어핸들을 냉각한 공기는 하우징 내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도어핸들은 항상 적정온도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도어핸들과 접촉하였을 때 화상을 당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장치{HEATING COO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에서 도어핸들 냉각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하우징 10 : 조리실
20 : 도어 21 : 도어 배면
22 : 도어 전면 30 : 도어핸들
31 : 냉각유로 31a : 유로유입구
31b : 유로유출구 32 : 냉각홀
40 : 포화증기 공급장치 50 : 과열증기 공급장치
60 : 급수유닛 70 : 냉각팬
71 : 공기유입홀 72 : 공기유출홀
본 발명은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열이 전달되어 도어핸들이 높은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 냉각구조를 가지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렌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이 있다. 이 중 전자렌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과열증기를 공급하여 조리하는 가열조리장치가 있는데, 이와 같이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조리장치의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62936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가열조리장치는 급수 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을 포화수증기로 변화시키는 포화수증기 발생장치와, 포화수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증기 발생장치와, 과열증기와는 별도로 또는 함께 가열조리가 가능하도록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를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맛이 저하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찬 과열증기가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과열증기가 높은 열전달률을 가진다는 것은 과열증기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가열조리장치에 비해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로 더 잘 전달되어 가열조리장치의 도어 및 도어핸들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그리고 더 높은 온도까지 뜨거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과열증기를 이용한 종래의 가열조리장치에는 도어핸들을 냉각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뜨거워진 도어핸들에 의해 화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 내부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도어핸들이 높은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를 화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리실 외측에 설치되는 열공급유닛;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핸들과;상기 도어핸들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핸들은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도어핸들의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리실의 상면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도어핸들의 냉각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팬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우징의 전면 및 도어의 배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냉각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공기유입홀을 통해 도어핸들 내부로 유입된 후 냉각유로를 통과하며 도어핸들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은 도어핸들을 냉각시키면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 중 일부를 도어핸들의 외부로 배출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도어핸들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홀을 구비한다.
또한 도어핸들을 냉각한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도어 배면과 하우징 전면에는 냉각유로의 유로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유출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열공급유닛은 조리실 상부에 설치되는 포화증기 공급장치;와 조리실 측면판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과열증기 공급장치는 조리실의 측면판 외측에 결합되는 히터케이스;와 증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히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의 상기 순환팬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포화증기 공급장치에서 만들어진 포화증기가 상기 순환팬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과열증기 히터를 거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하우징(1)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10)과, 개구된 조리실(10)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20)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조리실(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2)을 구비한다. 조리실(10)은 상면판(11), 바닥판(12), 양 측면판(13) 및 후면판(14)을 구비하여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조리실(10)과 하우징(1)의 사이 공간에는 조리실(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한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도어(20)는 닫혔을 때 하우징 전면(1a)과 접하는 도어 배면(21)과, 도어 배면(2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도어 전면(22)과, 외부에서 조리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글라스(23)를 포함한다. 도어 배면(21)의 양측 하단은 하우징 전면(1a)에 힌지결합되어 도어(20)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도어 전면(2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핸들(30)이 장착되어 있다. 도어핸들(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측면판(13)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따른 열공급유닛은 팬과 히터를 구비하여 조리실(10)의 측면판(13)에 설치되는 열풍공급 장치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포화증기 공급장치(40)와 과열증기 공급장치(5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포화증기 공급장치(40)는 조리실의 상면판(11) 외측 후부에 설치되어 급수유닛(6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킨다. 이를 위해 포화증기 공급장치(40)는 급수유닛(60)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스팀용기(41)와, 저장된 물을 포화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해 스팀용기(41) 내에 마련되는 스팀히터(42)(도 3참조)를 구비한다.
포화증기 공급장치(40)는 급수관(61)에 의해 급수유닛(60)과 연결되는데, 급수유닛(60)은 조리실의 상면판(11)의 외측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물통케이스(62)와 이 물통케이스(62)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물통(63)을 구비한다. 한편 급수관(61)에는 포화증기 공급장치(4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급수관(6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61a)가 설치된다.
또한 포화증기 공급장치(40)는 스팀관(43)에 의해 과열증기 공급장치(50)와 연결되어 있어서 포화증기 공급장치(40)에 의해 생성된 포화증기는 스팀관(43)을 통해 과열증기 공급장치(50)로 공급되고 과열증기 공급장치(50)는 이러한 포화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높은 열에너지를 가지는 과열증기로 변화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 공급장치(50)는 상기 조리실의 양 측면판(13) 외측에 설치되는 히터케이스(51)와, 증기의 순환을 위해 히터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52)과, 순환팬(52)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포화증기가 과열증기로 변화하는데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과열증기 히터(53)를 구비한다. 여기서 과열 증기 히터(53)는 열교환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핀히터(fin hea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52)은 복수의 날개를 가진 원심팬이기 때문에 순환팬(52)이 회전하게 되면 순환팬(52)의 축방향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조리실(10)의 내부의 포화증기를 흡입하여 순환팬(52)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순환팬(52)의 흡입력은 스팀관(43)을 통해 포화증기 공급장치(40)에서 생성된 포화증기를 유입하여 역시 순환팬(52)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 같은 과정에서 포화증기는 순환팬(52) 외주연에 위치한 과열증기 히터(53)를 통과하면서 과열증기로 변화되고, 이러한 과열증기는 조리실(10)내부로 공급된다.
위와 같은 조리실(10) 내외의 증기의 순환 및 조리실(10) 내부로의 과열증기 공급을 위해 상기 조리실의 양 측면판(13)에는 다수의 유입공(13a)과 유출공(1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유입공(13a)은 측면판(13)의 중심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공(13b)은 상기 유입공의 외측, 즉 측면판(13)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다. 또한 조리실의 상면판(11) 내측에는 순환팬(5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조리실(10) 내의 증기를 흡입하여 스팀관(43) 및 과열증기 공급장치(50)를 거쳐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실(10) 내에 트레이(미도시)에 올려진 조리물을 넣은 후 도어(20)를 닫고 컨트롤패널(2)를 조작하여 가열조리장치를 작동시킨다. 가열조리장치의 작 동이 시작되면, 급수관(61)의 급수밸브(61a)가 열리면서 물통(63)에 있던 물이 급수관(61)을 통해 포화증기 공급장치(40)의 스팀용기(41)로 공급된다. 스팀용기(41)로 공급된 물은 스팀히터(42)에 의해 증발되어 포화증기가 되고 이러한 포화증기는 순환팬(52)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으로 인해 스팀관(43)을 통해 과열증기 공급장치(50)로 흡입된다. 흡입된 포화증기는 순환팬(52)에 의해 순환팬(52)의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면서 과열증기 히터(53)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과열증기 상태가 되는데, 이 과열증기는 조리실 측면판(13)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공(13b)을 통해 조리실(10) 내부로 공급된다.
조리실(10) 내부로 공급된 과열증기는 조리물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물을 조리하고 이 같은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진 증기는 순환팬(52)에 의해 조리실 측면판의 유입공(13a)으로 유입되어 다시 과열증기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후 유출공(13b)을 통해 조리실(10)로 재유입되게 된다. 또한 조리실(10) 내부의 일부의 증기는 조리실 상면판(11) 내측에 형성되어 있은 흡입구(11a)를 통해 스팀관(43) 쪽으로 유입되어 과열증기 공급장치(50)에 의해 재가열된 후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증기의 순환 및 과열증기의 공급과정을 통해 조리실(10) 내부의 온도는 섭씨 300도 이상까지 상승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고온 상태의 조리실 내부의 열은 도어(20)에 전달되어 도어(20) 및 도어핸들(30)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과열증기를 이용한 가열조리장치에 있어서는 과열증기의 열전달률이 높아 도어(20) 및 도어핸들(30)이 더욱 쉽게 뜨거워지는데, 특히 도어핸들(30)은 사용자의 손이 자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안전을 위해 고온의 조리실 온도에도 불구하고 항상 적정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도어핸들(30)이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핸들 냉각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에서 도어핸들 냉각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도어핸들(30)은 냉각을 위한 공기가 그 내부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냉각유로(31)를 포함한다. 냉각유로(31)는 도어핸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냉각유로(31)에는 도어핸들(30)을 냉각시키면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여 도어핸들(30)을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실 상면판(11)과 하우징(1) 사이의 공간에는 도어핸들(30) 쪽으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팬(70)이 설치된다. 냉각팬(70)에 의한 기류가 상기 냉각유로(31)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각팬(70)의 위치와 상응하는 하우징 전면(1a)과 도어 배면(21)에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서로 인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71)이 형성되고, 냉각유로(31)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유입구(31a)는 상기 공기유입홀(71)과 연통된다. 이 때 냉각유로(31)가 도어 배면(21)까지 연장되어 유로유입구(31a)가 도어 배면(21)의 공기유입홀(71)과 일치되도록 하거나(도 4에서 점선 참조), 냉각유로(31)의 유로유입구(31a)가 도어 전면(22)에 형성되어 유로유입구(31a)가 도어(20) 내부 공간을 통하여 공기유입홀(71)과 연통되 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 내부 공간을 통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공기가 도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도어핸들(30)의 냉각과 함께 도어(20)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냉각유로(31)의 타측단에는 냉각유로(31)를 통과하며 도어핸들(30)을 냉각시킨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로유출구(31b)가 형성되며, 유로유출구(31b)의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배면(21)과 하우징 전면(1a)에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출홀(72)이 형성된다.
따라서 냉각팬(70)이 작동하면, 냉각을 위한 공기가 하우징 전면(1a)과 도어 배면(21)의 공기유입홀(71)을 통해 냉각유로(31)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도어핸들(30)을 냉각한 후 공기유출홀(72)을 통해 하우징(1) 내부로 유출된 다음 하우징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b)를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냉각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핸들을 구비하여 조리실의 높은 온도에도 불구하고 도어핸들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핸들에 의해 화상을 당하게 되는 위험성이 없어지므로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리실 외측에 설치되는 열공급유닛;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핸들과;상기 도어핸들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핸들은 냉각을 위한 공기가 상기 도어핸들의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도어핸들의 냉각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팬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유로유입구는 상기 도어 배면의 공기유입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유로유출구는 상기 도어 배면의 공기유출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냉각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도어핸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유닛은 상기 조리실 상부에 설치되는 포화증기 공급장치;와 상기 조리실 측면판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과열증기 공급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측면판 외측에 결합되는 과열증기 덕트;와
    증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과열증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포화증기 공급장치에서 만들어진 포화증기가 상기 순환팬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과열증기 히터를 거쳐서 상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KR1020050040224A 2005-05-13 2005-05-13 가열조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24A KR100610670B1 (ko) 2005-05-13 2005-05-13 가열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24A KR100610670B1 (ko) 2005-05-13 2005-05-13 가열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670B1 true KR100610670B1 (ko) 2006-08-09

Family

ID=3718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670B1 (ko) 2005-05-13 2005-05-13 가열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6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78B1 (ko) 2005-11-22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807384B1 (ko)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811304B1 (ko) 2007-03-09 2008-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시스템
KR100819593B1 (ko) * 2006-10-31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08091060A1 (en) * 2007-01-26 2008-07-31 Lg Electronics Inc. A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WO2009089381A3 (en) * 2008-01-09 2009-10-08 Unified Brands, Inc. Boilerless combination convection steamer oven
KR101520497B1 (ko) * 2009-04-10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8266764A (zh) * 2018-02-08 2018-07-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烹调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78B1 (ko) 2005-11-22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KR100819593B1 (ko) * 2006-10-31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0807384B1 (ko) 2007-01-26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WO2008091060A1 (en) * 2007-01-26 2008-07-31 Lg Electronics Inc. A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US20100181308A1 (en) * 2007-01-26 2010-07-22 Lg Electronics Inc.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US8847133B2 (en) 2007-01-26 2014-09-30 Lg Electronics Inc.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KR100811304B1 (ko) 2007-03-09 2008-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시스템
WO2009089381A3 (en) * 2008-01-09 2009-10-08 Unified Brands, Inc. Boilerless combination convection steamer oven
KR101520497B1 (ko) * 2009-04-10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8266764A (zh) * 2018-02-08 2018-07-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烹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0902C (zh) 电烤炉
US7341055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20050115559A1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061067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786087B1 (ko) 조리기기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715042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6468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JP4607649B2 (ja) 加熱調理器と調理方法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60129118A (ko) 가열조리장치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780335B1 (ko) 가열조리장치
JP5732231B2 (ja) 加熱調理器
KR100691224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조리실 청소 방법
KR100634789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764276B1 (ko) 조리기구
KR100676139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634788B1 (ko) 증기조리장치
KR100667203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히터 제어 방법
KR100676138B1 (ko) 오븐
KR100745585B1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온도제어방법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