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6104B1 -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 Google Patents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104B1
KR100606104B1 KR1020050064498A KR20050064498A KR100606104B1 KR 100606104 B1 KR100606104 B1 KR 100606104B1 KR 1020050064498 A KR1020050064498 A KR 1020050064498A KR 20050064498 A KR20050064498 A KR 20050064498A KR 100606104 B1 KR100606104 B1 KR 10060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ping
wcdma
r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104B1/ko
Priority to US11/348,596 priority patent/US7450941B2/en
Priority to CNB2006100758607A priority patent/CN100486385C/zh
Priority to EP06014615.6A priority patent/EP17445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중 어느 하나 통신망의 홀 지역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당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핑퐁 횟수를 카운트하여 홀 지역 여부를 판단하고, 홀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해 핑퐁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핑퐁 현상을 최소화한다.
핑퐁, 듀얼모드 단말기

Description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ROAMING METHOD FOR MINIMIZING PING PONG SITUATION AND THE DUAL MODE TERMINAL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초기화 상태 시의 동작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CDMA 홀 상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사이의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시스템은 이미 서비스 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반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그러나, CDMA 시스템과 같은 2세대망에서 지원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시스템과 같은 3세대망이 차츰 도입되고 있으며, 과도기적으로 이러한 2세대망의 기반 시설을 이용하면서 3세대망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3세대망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듀얼모드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양쪽 기술(WCDMA 및 CDMA) 모두에서 동작될 수 있는 이동단말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할 필요성에 의해 WCDMA 및 CDMA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dual mode user equipment or dual mode mobile terminal)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모드를 구비한 하나의 듀얼모드 단말기는 상기 두 가지 모드에 대하여 최적으로 호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 단말기 내부에서 WCDMA 모드와 CDMA 모드 사이를 전환할 때 요구되는 로밍에 관한 기술이 있다.
일반적으로 로밍(Roaming) 기능은 듀얼모드 단말기가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CDMA와 WCDMA 두 모드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하,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에서의 로밍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CDMA 망과 WCDMA 망 시스템들이 설치된 지역은 크게 CDMA 서비스만 가능한 CDMA 단독 지역과 CDMA 서비스 뿐만 아니라 WCDMA 서비스도 동시에 지원가능한 중첩 지역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WCDMA 우선 모드(WCDMA Preferred mode)로 설정된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전원 온 시 우선적으로 WCDMA 망 시스템에 대한 획득(system acquisition)을 시도한다. 이 때, WCDMA 망 시스템 획득에 성공하면 WCDMA 모드로 동작하며, 이와 반대로 실패할 경우에는 CDMA 망 시스템 획득을 시도한다.
이후, WCDMA 망 시스템 획득에 성공한 듀얼모드 단말기(10)가 WCDMA 망 즉, 중첩지역(30)에서 WCDMA 모드로 동작하다가 CDMA 단독 지역(40)에 진입하면 WCDMA 기지국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CDMA 기지국을 탐색한 후, CDMA 기지국이 발견되면 CDMA 모드로 전환하여 로밍을 완료한다. 이와 반대로 중첩지역(30)로 진입하게 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인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소정 조건에 따라 다시 WCDMA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로밍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망 시스템을 획득한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이후에 자신이 속해있는 망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소정 세기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른 망 시스템으로의 로밍을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WCDMA 모드로 동작하는 듀얼모드 단말기(10)는 그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CDMA 모드로 로밍한다. 이와 같이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중첩지역인지 CDMA 서비스만 가능한 지역인지의 판단은 CDMA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 라미터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은 듀얼모드 단말기(10)가 CDMA 모드 상태일 경우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CDMA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WCDMA 중첩지역(30)임이 확인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이던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일정 시간마다 WCDMA로 로밍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는 듀얼모드 단말기(10)가 WCDMA 영역 중에서 CDMA 망과 근접한 경계 셀(20)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듀얼모드 단말기(10)는 중첩지역(30)과 CDMA 단독지역(40)과의 경계에서 CDMA 기지국으로부터 중첩 지역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WCDMA 망(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WCDMA 망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도면부호 50에 의해 지시되는 빗금친 영역에서 WCDMA 망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예컨대, 빌딩 내부 등의 약전계 지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CDMA 망 시스템을 획득한 상태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0)는 WCDMA 망 시스템을 획득할 때까지 계속해서 로밍을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WCDMA 망의 수신 세기가 약한 일부 영역 즉, 음영지역(50)을 통과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CDMA 망(40)에서 WCDMA 망(30)으로 로밍을 수행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반복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빌딩 내부 등의 약전계 지역에서 듀얼모드 단말기가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로밍을 시도했을 때, 로밍하고자 하는 망으로 모드를 전환하지 못하면 다시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드로 되돌아오는 핑퐁 현상 이 자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망 간에 반복적인 로밍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오동작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WCDMA 방식에서는 셀을 검색하는 방법에 따라 풀 서칭(Full-searching)에 들어갈 경우 약 20초에서 최대 2분 정도까지 듀얼모드 단말기가 시스템 전환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 서비스에 따른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중 어느 하나 통신망의 홀 지역에서 발생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들 간 로밍 시 핑퐁현상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환상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의 예로 CDMA와 WCDMA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동작 설명을 위하여 듀얼모드 단말기는 사용자 초기 설정이 WCDMA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통신 기술이 CDMA와 WCDMA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면 언제든지 적용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전국망과 비전국망(로컬망)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에서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DMA 망 시스템이 전국망으로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WCDMA 망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CDMA 망 시스템이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현재 듀얼모드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WCDMA 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중첩지역인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함을 전제로 한다. 즉, 서로 다른 두 개의 통신망이 공존하고 하나의 통신망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커버하며 나머지 통신망이 좁은 영역을 커버하는 상태에서 넓은 영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이 중첩지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
만일 듀얼모드 단말기가 좁은 영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에 우선도를 설정한 경우 우선도가 낮은 시스템을 획득한 상태에서 우선도가 높은 시스템을 획득하는 시점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면, 각 시스템간 핑퐁 현상을 일으키는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듀얼모드 단말기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CDMA 모드 및 WCDMA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크게 해당 모드에 따른 동작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CDMA 모듈(110)과 WCDMA 모듈(120), 스위치(13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은 해당 모뎀(도시하지 않음)과 RF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데, WCDMA와 CDMA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해당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뎀칩을 각각 사용한다. 이에 따라 CDMA 모듈(110)은 CDMA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WCDMA 모듈(120)은 WCDMA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먼저, CDMA 모듈(110)은 CDMA 망으로부터 서비스 중첩 지역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DMA 망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그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WCDMA 모듈(120)은 WCDMA 망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그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각 모듈은(110, 120)은 부팅된 후에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신호 세기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 모듈(110, 12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인 제어부(140)와 하드웨어 통신 경로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칩이다. 이러한 제어부 (140)는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망이 CDMA 망인지 WCDMA 망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도록 해당 모듈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40)의 통신 포트는 스위치(130)를 사용하여 CDMA 모듈(110) 또는 WCDMA 모듈(1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와 각 모듈(110, 120)은 이 스위치(130)를 통해 1:1로 대응되고,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 나머지 모듈은 전력 소비를 막기 위해 전원 오프된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듀얼모드 단말기(100)가 W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CDMA 모듈(110) 예컨대, CDMA RF 및 CDMA 모뎀은 일시적으로 전원 오프된 상태가 되며, 이와 반대로 WCDMA 모듈(120)은 예컨대, WCDMA RF 및 WCDMA 모뎀은 전원 온 상태가 되고, 그 WCDMA 모듈(120)은 제어부(140)와 스위치(130)를 통해 연결되므로 단말기(100)는 WCDMA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CDMA 망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전원 상태가 바뀌게 되어 CDMA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만일 WCDMA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WCDMA 모듈(12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스위치(130)를 통해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그 결과를 소정값과 비교하여 그 소정값 이하가 되면, 다른 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 망과 WCDMA 망 간을 이동할 경우 제어부(140)는 CDMA 망 시스템으로부터 WCDMA 중첩 지역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WCDMA 중첩 지역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 여부를 알 수 있게 된 다.
이와 같이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와 WCDMA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듈을 각각 구비하고, CDMA 망과 WCDMA 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초기화 상태 시의 동작 제어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 온 되면, 단말기(100)는 300단계에서 초기화를 수행하면서 사용자 초기 설정을 확인하는데, 만일 WCDMA 우선 모드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는 310단계에서 WCDMA 망을 탐색하면서 탐색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WCDMA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WCDMA 신호가 감지된 경우 단말기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WCDMA 망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한다. 이 때,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수 ncell과 np를 0으로 초기화한다. 여기서, ncell은 단말기가 CDMA 망 시스템이 커버하는 위치에 있으면서 이동에 따라 거쳐간 서로 다른 셀(cell)의 개수를 나타내며, np는 CDMA 망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WCDMA 망 시스템 획득을 시도하는 핑퐁 횟수를 나타낸다. 이어, 단말기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WCDMA를 이용할 수 있는 유휴 상태인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WCDMA 신호가 감지되면 WCDMA 망으로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WCDMA 신호를 탐색한다.
이와 반대로 초기에 WCDMA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단말기는 CDMA 방식으로 전환하여 CDMA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을 진행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초기 설정된 WCDMA 우선 모드에서 WCDMA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CDMA 망으로부터의 CDMA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340단계에서 CDMA 위치 등록을 한 후, 350단계에서 CDMA 유휴 상태인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WCDMA 우선 모드로 설정된 단말기가 CDMA 대기 모드에 있을 때의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 대기 모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400단계에서 CDMA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자신이 속해있는 지역이 WCDMA 서비스가 가능한 중첩지역인지 CDMA 서비스만 가능한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CDMA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WCDMA 중첩 지역에 진입하면 WCDMA로 로밍할 수 있도록 하는 판단 기준이 된다. 만일, CDMA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 WCDMA 중첩 지역임을 확인하면, 소정 시간을 기다렸다가 WCDMA 모듈(120) 즉, WCDMA 모뎀 및 WCDMA RF를 온 시켜서 WCDMA 신호를 탐색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405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을 대기한 후 410단계로 진행하여 그 소정 시간 내에 WCDMA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즉, WCDMA 중첩지역임이 확인되면, CDMA 모드로 동작중이던 듀얼모드 단말기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WCDMA로 로밍을 시도하는데, 그 소정 시간은 T = A*B^np 이다. 이 때, A와 B는 임의의 상수이며, np는 핑퐁 횟수를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수식의 소정 시간을 대기한 다면 단말기는 핑퐁 횟수가 증가할수록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더 많은 시간을 기다린 후 WCDMA 시스템으로의 로밍을 시도하게 된다.
만일, 상기와 같은 소정 시간 내에 WCDMA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단말기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WCDMA 망을 탐색하면서 탐색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 후, WCDMA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WCDMA 시스템을 획득하여 위치 등록하고 420단계로 진행하여 유휴 상태인 WCDMA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단말기는 변수 ncell과 np를 0으로 초기화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WCDMA 신호가 감지되더라도 그 WCDMA 신호 세기가 약할 경우 즉, 일정 세기 이하일 경우 단말기에서는 계속해서 핑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는 425단계에서 현재까지 카운트된 핑퐁 횟수가 최대 핑퐁 횟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핑퐁 횟수인 np가 최대 핑퐁 횟수인 np _max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np_max는 np의 최대값으로써 단말기가 CDMA 망과 WCDMA 망 간의 핑퐁 시 그 핑퐁 현상이 발생할 때 생기는 딜레이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핑퐁 현상이 발생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무한정으로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대기 시간은 홀 지역에서의 핑퐁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현재 핑퐁 횟수가 최대 핑퐁 횟수 이하인 경우 단말기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핑퐁 횟수를 증가시킨 후 435단계로 진행하지만, 그 이하인 경우에는 그대로 435단계로 진행하다. 구체적으로, np가 np _max보다 작은 경우 np를 1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일 경우이거나 np와 np _max가 같을 경우에는 np를 더이상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어, 435단계에서 단말기는 현재 셀 이동이 없는 상태이면서 홀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셀 이동이 생기게 되면 WCDMA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되지만, 셀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수신되는 WCDMA 신호 세기의 변동은 크지 않을 거라는 점을 전제로 하므로, 셀 이동이 없는지와 홀 지역인지를 동시에 판단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WCDMA 신호가 약한 빌딩 내부 등의 홀 지역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변수 np가 최소 핑퐁 횟수인 np _min보다 큰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하며, 셀 이동이 없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변수 ncell이 최소 이동 셀 개수 ncell _min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최소 핑퐁 횟수인 np _min는 최대 핑퐁 횟수인 np _max보다 작은 값임이 바람직하다.
판단 결과 셀 이동이 발생하거나 홀 지역이 아닌 경우 단말기는 400단계로 되돌아가 CDMA 유휴 상태에서 WCDMA 신호를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반복 과정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에서는 홀 지역에서 너무 자주 핑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WCDMA 모드로 전환하지 못할 경우, 핑퐁 횟수가 증가할수록 지수적으로 증가되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한참 후에 다시 WCDMA 신호 탐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435단계에서 셀 이동이 없으면서 홀 지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상기 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한다면 단말기는 셀 이동이 거의 없으면서 핑퐁 현상을 np_min이상 경험한 것이므로, WCDMA 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핑퐁 횟수를 최대 핑퐁 횟수로 설정한 후, 445단계로 진행하여 WCDMA 홀 상태임을 인지하여 WCDMA 홀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가 WCDMA 홀 상태로 전환되면, CDMA 모듈(110)은 온 상태이며 CDMA 망과 WCDMA 망 간의 핑퐁 주기는 T=A*B^np _max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WCDMA 홀 상태에서 본 발명을 적용한다면, 핑퐁 현상이 발생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면, 이하의 설명에서는 WCDMA 홀 상태에서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CDMA 홀 상태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500단계에서 현재 상태가 WCDMA 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도 4의 435단계에서 서술한 조건인 셀 이동이 없으면서 홀 지역인 조건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홀 상태인 경우 단말기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셀 이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이동 시 거쳐간 셀 수인 변수 ncell이 최대 이동 셀 개수 ncell _max보다 큰 지를 확인한다. 만일, ncell이 최소 이동 셀 개수 ncell _max보다 클 경우 단말의 이동성이 큰 것이므로, 단말기는 셀 이동이 있다고 판단하여 ncell 및 np를 0으로 초기화한 후 520단계로 진행하여 CDMA 유휴 상태인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이와 달리 셀 이동이 없는 경우 ncell이 최소 이동 셀 개수 ncell _max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530단계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을 주기로 WCDMA 시스템 획득을 시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최대 핑퐁 주기 즉, T=A*B^np _max의 주기로 WCDMA로의 로밍을 시도하여 신호를 탐색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540단계에서 WCDMA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시스템 획득에 성공하면 550단계로 진행하여 WCDMA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ncell 및 np를 0으로 초기화한 후 560단계에서 WCDMA 유휴 상태인 WCDMA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WCDMA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기는 WCDMA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일정 시간 이상 일정 세기 이하로 수신되는 경우 CDMA 로밍 과정을 거쳐 CDMA 대기 모드로 전환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에서는 CDMA과 WCDMA에 한하여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핑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방식에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가 WCDMA 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핑퐁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WCDMA 홀 지역에서 서비스가 약 1 ~ 2분 동안 끊기는 핑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핑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가능을 시간을 최대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에 있어서,
    제 1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현 위치가 서비스 중첩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중첩 지역인 경우 소정 시간을 주기로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로밍 시도에 따른 실패 여부와 셀 간 이동을 판단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인 경우 상기 소정 시간을 최대 핑퐁 주기로 하여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로밍 시도 횟수를 나타내는 핑퐁 횟수와 셀 간 이동에 따른 셀 개수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핑퐁 횟수는
    상기 로밍 시 제 2통신망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핑퐁 횟수 보다 작을 경우 하나씩 증가되며, 상기 증가된 횟수가 최소 핑퐁 횟수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최대 핑퐁 횟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핑퐁 횟수는
    상기 단말기가 서비스 중첩 지역을 벗어나거나 상기 제 2통신망을 이용한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초기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셀 간 이동에 따라 카운트된 셀 개수가 최소 셀 이동 개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CDMA 망 및 W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이 아닌 경우
    상기 로밍 시도 횟수를 나타내는 핑퐁 횟수만큼 지수적으로 증가되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을 주기로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여 상기 제 2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신호의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완료하여 상기 제 2통신망을 이용한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통신망 홀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 2통신망 홀 상태에서 셀 간 이동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셀 간 이동이 없는 경우 최대 핑퐁 주기로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간 이동이 있는 경우 상기 제 1통신망을 이용한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전국망 및 비전국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을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는,
    제 1통신망으로부터 서비스 중첩 지역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통신망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 1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제 1모듈과,
    제 2통신망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 2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제 2모듈과,
    상기 제 1모듈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통해 현 위치가 서비스 중첩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서비스 중첩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모듈을 온 시켜 소정 시간을 주기로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며, 상기 로밍 시도에 따른 실패 여부와 셀 간 이동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통신망의 홀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통신망 홀 지역인 경우 상기 소정 시간을 최대 핑퐁 주기로 하여 상기 제 2모듈을 통해 상기 제 2통신망으로의 로밍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CDMA 망 및 WCDMA 망에 각각 대응하는 망이며, 상기 제 1모듈 및 제 2모듈은 상기 CDMA 망 및 WCDMA 망을 통해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하는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50064498A 2005-07-15 2005-07-15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KR10060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98A KR100606104B1 (ko) 2005-07-15 2005-07-15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US11/348,596 US7450941B2 (en) 2005-07-15 2006-02-07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capable of minimizing ping-pong phenomenon and dual 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B2006100758607A CN100486385C (zh) 2005-07-15 2006-04-24 执行漫游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双模式移动终端
EP06014615.6A EP1744581B1 (en) 2005-07-15 2006-07-13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capable of minimizing pingpong phenomenon and dual mode mobile termina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498A KR100606104B1 (ko) 2005-07-15 2005-07-15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104B1 true KR100606104B1 (ko) 2006-07-31

Family

ID=3718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498A KR100606104B1 (ko) 2005-07-15 2005-07-15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0941B2 (ko)
EP (1) EP1744581B1 (ko)
KR (1) KR100606104B1 (ko)
CN (1) CN1004863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3108B2 (en) * 2006-08-01 2010-04-06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ndover control system associat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925805B2 (ja) * 2006-12-11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US9125107B1 (en) * 2008-06-20 2015-09-01 Sprint Spectrum L.P. Use of ping-pong border location as approximated mobile station location
JP5441166B2 (ja) * 2010-02-24 2014-03-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8135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21123B2 (en) 2015-09-30 2020-07-21 Arris Enterprises Llc Provisional modes for multi-mode network devices
US10244464B2 (en) * 2016-11-04 2019-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non-optimal roaming of a client device
CN108650692B (zh) * 2018-05-07 2021-06-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制式切换的方法、装置及智能穿戴设备
CN113391915A (zh) * 2020-03-11 2021-09-1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分配边缘计算主机的方法、相关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4290B1 (en) * 1998-07-13 2001-11-06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obile satellit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ingle-hop terminal-to-terminal call
US6363260B1 (en) 1999-07-07 2002-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522317C2 (sv) 2000-02-02 2004-02-03 Telia Ab Metod för val av radionät, samt system och terminal för utnyttjande av metoden
US7751818B2 (en) 2002-11-15 2010-07-06 Nokia Corporation Smart inter-technology handov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7750A (zh) 2007-01-17
CN100486385C (zh) 2009-05-06
EP1744581A1 (en) 2007-01-17
US20070014261A1 (en) 2007-01-18
US7450941B2 (en) 2008-11-11
EP1744581B1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103B1 (ko) 서로 다른 통신망 간의 ps호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CA2504692C (en) Wireless device battery conservation method and system
KR101257110B1 (ko) 패킷 서비스 재접속 시점의 결정방법 및 장치
US7450941B2 (en) Method for performing roaming capable of minimizing ping-pong phenomenon and dual 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98625B2 (en) Method for selecting a network by a terminal and dual-standby terminal
US8462731B2 (en) Neighbor cell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standby mobile terminal
KR100441701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RU2191472C2 (ru) Способ поиска ячеек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3133872B1 (en) Network search method
KR100803420B1 (ko)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방법
KR101441686B1 (ko)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WO200304507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acquiring preferr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06007382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51075B1 (ko)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KR100784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기 전류 절약 장치 및 방법
JP446913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201375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1152624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531069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
KR100713493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핸드오버 시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031277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2000006111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전력제어 방법
KR2008007529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037079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638551B1 (ko) 대기 핸드오버를 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