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1686B1 -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86B1
KR101441686B1 KR1020070106812A KR20070106812A KR101441686B1 KR 101441686 B1 KR101441686 B1 KR 101441686B1 KR 1020070106812 A KR1020070106812 A KR 1020070106812A KR 20070106812 A KR20070106812 A KR 20070106812A KR 101441686 B1 KR101441686 B1 KR 10144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communication network
wibro
operation mode
cdm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222A (ko
Inventor
최재진
천형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86B1/ko
Priority to US12/173,676 priority patent/US8126037B2/en
Priority to CN2008101333529A priority patent/CN101420422B/zh
Publication of KR2009004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모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모드가 적용된 무선모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휴대용 컴퓨터(40)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30)와,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 각각의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과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을 동시에 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PC의 고장발생 우려가 없고,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모뎀의 부팅시간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더욱 원활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106812
무선모뎀, 와이브로, CDMA, 슬립모드

Description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Radio modem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thereof}
본 발명은 무선모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모드가 적용된 무선모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무선통신서비스가 일반화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서비스는 물론이고, 써킷데이터 및 패킷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통신서비스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제 1 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분류되는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제 2 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분류되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과 CDMA(Code Divisioon Multiple Access)를 거쳐, 최근에는 제 3 세대 이동통신서비스로 분류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보급되었다.
특히, IMT-2000은 비동기 방식의 WCDMA(Wideband CDMA)와 동기 방식의 CDMA-2000으로 분류되는데, WCDMA방식은 CDMA방식의 무선접속과 GSM방식의 이동통신망 관련기술에 기반을 두고, CDMA-2000방식은 CDMA방식의 무선접속 및 이동통신망 관련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한편,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서비스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보행속도 또는 중저속의 이동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현재 CDMA방식의 무선통신망은 전국에 구축되어 있는 반면, 와이브로서비스의 무선통신망은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무선통신망을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무선모뎀을 구동하였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상기 통신망 각각을 지원하는 두 개의 USB 타입 PC용 무선모뎀을 모두 연결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방법은 와이브로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면 와이브로 모뎀을 구동하고 상기 지역을 이탈하면 CDMA 모뎀을 구동하는 방법이다. 상기 첫 번째 방법에 의할 때 소모되는 사용 전류 및 상기 두 번째 방법에 의할 때 무선모뎀의 구동시간이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타입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모두 PC에 연결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의 사용 전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모두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에는 CDMA 모뎀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PC의 USB 포트를 통한 입력전류가 USB 인터페이스의 전력한계인 500mA를 초과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USB 타입 모뎀을 PC에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구 동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타입의 모뎀을 PC에 연결하여 파워 OFF 상태로부터 통신망에 접속하기까지에는 10 여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두 개의 무선모뎀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500mA로 제한되는 USB 인터페이스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여 PC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파수신강도가 약한 지역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더 큰 전력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두 개의 무선모뎀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USB 인터페이스의 전력한계 초과에 의한 PC의 고장 위험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와이브로 서비스지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지역에 진입할 때마다 상기 두 개의 무선모뎀을 교대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무선모뎀이 각각의 통신망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부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CDMA 모뎀과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와이브로 모뎀을 동시에 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슬립모드가 지원되는 무선모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으로 진입할 때마다 해당 무선모뎀을 부팅할 필요가 없도록 슬립모드가 지원되는 무선모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 각각의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작동모드의 설정은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1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모뎀과,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2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 2 모뎀과, 상기 제 1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2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1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상기 검출된 전파수신강도와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전파수신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작동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의 상기 작동모드의 설정은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의 상기 작동모드의 설정은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각각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을 연결하여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 간에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모뎀부와, 제 2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모뎀부,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의 작동모드를 각각 설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상기 작동모드의 설정은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는 각각 와이브로 모뎀부 및 CDMA 모뎀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부를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BMM무선모뎀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통해 대응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은 (d)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 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신호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각각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b)단계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단계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모뎀 시스템 및 그 통신망 접속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과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을 동시에 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PC의 고장발생 우려가 없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모뎀의 부팅시간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더욱 원활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는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휴대용 컴퓨터(40)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모뎀(10)은 제 1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모뎀(20)은 제 2 통신망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RF 안테나를 통해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 1 모뎀(10)이 와이브로 모뎀이고, 상기 제 2 모뎀(20)이 CDMA 모뎀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의 RF 안테나는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받는다. 수신받은 RF 신호는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에 의해 복조되어 휴대용 컴퓨터(4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3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3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USB 허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 각각의 작동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무선모뎀이 수신하는 전파의 강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에 접속되어 수신받는 전파신호의 강도를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립모드는 모뎀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커널(kernel) 및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RF시스템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통신망에 접속하기 이전의 시스템 상태로서, 상기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검출될 수 있는 시스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모뎀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커널 및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RF시스템을 초기화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한 이후의 시스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검출하여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는 예컨대 CINR(Carrier to Interference Noise Ratio)과 같이 전력의 제어 및 적응 변복조를 위하여 이용되는 기준으로서 각 부반송파 신호 파워의 총합을 잡음 및 간섭 파워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부반송파 신호 파워의 총합을 잡음 및 간섭 파워의 합으로 나눈 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각각 슬립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상기 접속부(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 터(40)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각각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타입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모두 PC에 연결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의 입력전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모드로 설정됨으로써 USB 인터페이스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 각각 슬립모드와 동작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또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 각각 동작모드 와 슬립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USB 포트의 입력 전류가 500mA 미만이 되어 PC의 고장발생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타입 모뎀을 PC에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구동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종래에 파일시스템, 커널 및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RF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해 소요되는 구동시간 대신에 시스템이 슬립모드로부터 동작모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시간만이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USB 포트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이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제어부(5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작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와이브로 및 CDMA 통 신망이 모두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크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서 하나의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 간의 신호가 잡음 및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상기 검출된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시스템은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모뎀(10)은 제 1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모뎀(20)은 제 2 통신망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RF 안테나를 통해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 1 모뎀(10)이 와이브로 모뎀이고, 상기 제 2 모뎀(20)이 CDMA 모뎀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의 RF 안테나는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받는다. 수신받은 RF 신호는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에 의해 복조되어 휴대용 컴퓨터(40)에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모듈(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은 상기 제 1 제어모듈(12)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2 제어모듈(14)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모듈(14)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1 제어모듈(1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와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 간에 전파수신강도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은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USB 허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은 각각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모듈(12)은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모뎀(10)의 작동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모듈(14)은 상기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모뎀의 작동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은 각각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RSSI와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은 상기 제 1 모뎀(10)을 작동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20)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모뎀(10)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20)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은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모뎀(10)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20)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모뎀(10) 및 제 2 모뎀(20)이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에 포함된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은 상기 동작모드로 설 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은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CINR과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이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고, 상기 제 1 제어모듈(12) 및 제 2 제어모듈(14)이 각각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작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에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이 모두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크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서 하나의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 간의 신호가 잡음 및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검출된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Multi-Band Multi-Mode)무선모뎀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무선모뎀(100)은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모뎀부(70)는 제 1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제 2 모뎀부(80)는 제 2 통신망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는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은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는 각각 RF 안테나를 통해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의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 1 모뎀부(70)가 와이브로 모뎀이고, 상기 제 2 모뎀부(80)가 CDMA 모뎀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의 RF 안테나는 각각 와이브로 통신망 및 CDMA 통신망의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RF 신호는 주파수에 따라 분류되어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에 의해 복조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무선모뎀(100)은 마이크로컨트롤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의 작동모 드를 각각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무선모뎀이 수신하는 전파의 강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받는 전파신호의 강도를 RSSI와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드는 동작모드 및 슬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검출하여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는 전력의 제어 및 적응 변복조를 위하여 이용되는 기준으로서 각 부반송파 신호 파워의 총합을 잡음 및 간섭 파워의 합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받는 전파신호의 잡음비를 CINR과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무선모뎀(100)은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구비되는 접속부(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3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MBMM무선모뎀(100)을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3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상기 MBMM무선모뎀(10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40)에 USB 포트의 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무선모뎀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모뎀부(70) 및 제 2 모뎀부(80)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작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CDMA 통신망만이 제공되는 지역에서 이탈하여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이 모두 제공되는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된 전파수신강도는 상기 기설정값보다 크게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90)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서 하나의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 간의 신호가 잡음 및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검출된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한다(S100).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것은 현재 사용자가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지점이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역인지, 아니면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무선모뎀이 수신하는 전파의 강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는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에 의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수신받는 전파신호의 강도를 RSSI와 같은 형태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RSSI값을 검출하여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각각 슬립모드 또는 동작모드에 진입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120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CDMA 모뎀을 슬립모드에 진입시킨다(S120).
이때, 상기 슬립모드는 모뎀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커널(kernel) 및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RF시스템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통신망에 접속하기 이전의 시스템 상태로서, 상기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검출될 수 있는 시스템 상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130).
이때,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모뎀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커널 및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RF시스템을 초기화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한 이후의 시스템 상태를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통해서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한다(S140).
한편,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이때,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16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CDMA 모뎀을 통한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에 진입시킨다(S160).
다음으로,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170).
이어서,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한다(S180).
다음으로,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9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상기 제 100 단계의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의 검출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5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모두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이므로 전파수신상태가 상기 와이브로 또는 CDMA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절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제 100 단계를 수행한다.
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와이브로 또는 CDMA 통신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합한 지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재검출함으로써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 또는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점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한다(S200).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하는 것은 현재 사용자가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지점이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역인지, 아니면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는 예컨대 CINR(Carrier to Interference Noise Ratio)과 같이 전력의 제어 및 적응 변복조를 위하여 이용되는 기준으로서 각 부반송파 신호 파워의 총합을 잡음 및 간섭 파워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즉,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각 부반송파 신호 파워의 총합을 잡음 및 간섭 파워의 합으로 나눈 값을 검출하여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각각 슬립모드 또는 동작모드에 진입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23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제 2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 제 215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23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 CDMA 모뎀을 슬립모드에 진입시킨다(S215).
이어서,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220).
다음으로,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통해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한다(S225).
한편, 상기 제 2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와 상기 제 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235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20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CDMA 모뎀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에 진입시킨다(S235).
이어서,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240).
다음으로,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한다(S245).
이어서,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 20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제 250 단계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 200 단계의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의 검출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이면서, 상기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이므로 전파수신상태가 상기 와이브로 또는 CDMA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절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제 200 단계를 수행한다.
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와이브로 또는 CDMA 통신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합한 지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재검출함으로써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 또는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점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의 전 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은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300).
다음으로,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31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33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3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315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33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는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 CDMA 모뎀을 슬립모드에 진입시킨다(S315).
이어서,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320).
다음으로,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통해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에 접속한다(S325).
한편, 상기 제 3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와 상기 제 3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기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이때,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34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335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한값은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호잡음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5). 이때,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315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30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임계값은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전파수신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제 33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 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특정값 이상으로 기록되지는 않으나,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통하여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제 3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에 집입시킨다(S340).
다음으로, 상기 CDMA 모뎀을 동작모드에 진입시킨다(S345).
이어서,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상기 CDMA 통신망에 접속한다(S350).
다음으로,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5). 이때,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 30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검출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55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즉, 상기 제 300 단계의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의 검출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또는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는 시간의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3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CDMA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이면서,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므로 전파수신상 태가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절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제 300 단계를 수행한다.
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와이브로 또는 CDMA 통신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적합한 지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와이브로 및 CDMA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 및 신호잡음비를 재검출함으로써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 또는 CDMA 통신망에 접속하기에 적합한 지점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뎀 또는 제 2 모뎀 중 어느 하나는 동작모드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슬립모드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의 전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전환시 부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USB 타입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모두 PC에 연결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의 사용 전류를 비교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USB 타입 모뎀을 PC에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구동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타입 와이브로 및 CDMA 모뎀을 모두 PC에 연결하여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의 입력전류를 비교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SB 타입 모뎀을 PC에 연결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구동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모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MBMM(Multi-Band Multi-Mode)무선모뎀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을 상 세히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 모뎀 12: 제 1 제어모듈
14: 제 2 제어모듈 20: 제 2 모뎀
30: 접속부 40: 휴대용 컴퓨터
50: 제어부 60: 인터페이스모듈
70: 제 1 모뎀부 80: 제 2 모뎀부
90: 마이크로컨트롤러 100: MBMM무선모뎀

Claims (32)

  1.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에 의해 접속된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 각각의 작동모드를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모뎀 및 제2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고;
    상기 제어부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감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접속장치.
  9.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1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모뎀과;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고,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제 2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 2 모뎀;
    상기 제 1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2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전달받아 상기 제 1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검출된 전파수신강도와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전파수신강도를 비교하여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작동모드를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각각 설정하되,
    제1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제2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제1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제2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제1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1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제2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3.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고:
    상기 제 1 제어모듈 및 제 2 제어모듈은,
    각각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은,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을 연결하여 상기 와이브로 제어모듈 및 CDMA 제어모듈 간에 상기 전파수신강도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 시스템.
  18. 제 1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모뎀부와;
    제 2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모뎀부; 그리고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에 의해 접속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각각의 전파수신강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의 작동모드를 각각 설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제1모뎀부를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제2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제1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제2모뎀부를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 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M(Multi-Band Multi-Mode)무선모뎀.
  19. 삭제
  20. 삭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뎀부 및 제 2 모뎀부는,
    각각 와이브로 모뎀부 및 CDMA 모뎀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MBMM무선모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M무선모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와이브로 모뎀부를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부를 슬립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M무선모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M무선모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MBMM무선모뎀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M무선모뎀.
  26. (a)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전파수신강도에 따라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의 작동모드를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을 통해 대응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뎀 및 제2모뎀은 각각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이고;
    상기 (b) 단계는, 와이브로 통신망의 전파수신강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모뎀의 통신망 접속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제 1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은,
    (d) 상기 동작모드로 설정된 모뎀에 의해 접속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검출하는 단계와;
    (e) 상기 검출된 신호잡음비에 따라 상기 제 1 모뎀 및 제 2 모뎀을 각각 동작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와이브로 통신망의 신호잡음비가 제한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이브로 모뎀을 슬립모드로 설정하고 CDMA 모뎀을 동작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브로 모뎀 및 CDMA 모뎀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뎀의 통신망 접속방법.
KR1020070106812A 2007-10-23 2007-10-23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4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12A KR101441686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US12/173,676 US8126037B2 (en) 2007-10-23 2008-07-15 Wireless modem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ame
CN2008101333529A CN101420422B (zh) 2007-10-23 2008-07-18 无线调制解调器系统以及使用该系统连接到通信网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12A KR101441686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22A KR20090041222A (ko) 2009-04-28
KR101441686B1 true KR101441686B1 (ko) 2014-11-03

Family

ID=4056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1686B1 (ko) 2007-10-23 2007-10-23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26037B2 (ko)
KR (1) KR101441686B1 (ko)
CN (1) CN1014204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98964B (zh) * 2009-02-04 2011-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调制解调装置、系统和休眠/唤醒方法以及终端
KR101617456B1 (ko) * 2009-08-13 2016-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Dbdm의 제어장치 및 방법
CN101630191B (zh) * 2009-08-26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通用串行总线调制解调器设备节电的装置及方法
JP2011155589A (ja) * 2010-01-28 2011-08-11 Hitachi Ltd ハイブリッド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125414A2 (en) 2011-03-11 2012-09-20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window treatment
JP2012232539A (ja) * 2011-05-09 2012-11-29 Canon Inc 印刷装置、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27849A1 (en) * 2011-06-24 2012-12-27 Yung-Sen Li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wireless network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network device
US20130031392A1 (en) * 2011-07-29 2013-01-31 Mclane William J Usb device side wake-up for pow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KR20130053696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4053676A (ja) * 2012-09-05 2014-03-20 Yoshiji Matsumoto データ送受信を実行する携帯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67822B2 (en) * 2012-09-05 2018-05-08 Yoshinori Matsumoto Portab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US11812515B2 (en) * 2018-05-01 2023-11-07 Intermetro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tive network wireless device using a shadow nu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808A (ko) * 2002-11-26 2005-08-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동력 공급 시스템 및 동력 공급 시스템을 위한 이상검출방법
KR20060056960A (ko) * 2003-07-26 2006-05-25 롤스-로이스 퓨얼 셀 시스템즈 리미티드 개질제 모듈
US20060120329A1 (en) * 2004-12-07 2006-06-08 Jae-Pyeong Kim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handoff method thereof
KR20070019931A (ko) * 2005-08-13 2007-02-16 헛팅거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 코 카게 Rf 전력 발생기용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882A (ko)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대기상태에서의 시스템간 전환 방법
KR100770017B1 (ko) * 2006-01-27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서비스 시의 효율적인 도먼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멀티모드 단말기
US8831675B2 (en) * 2007-06-30 2014-09-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de area network modem and a personal area network modem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808A (ko) * 2002-11-26 2005-08-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동력 공급 시스템 및 동력 공급 시스템을 위한 이상검출방법
KR20060056960A (ko) * 2003-07-26 2006-05-25 롤스-로이스 퓨얼 셀 시스템즈 리미티드 개질제 모듈
US20060120329A1 (en) * 2004-12-07 2006-06-08 Jae-Pyeong Kim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handoff method thereof
KR20070019931A (ko) * 2005-08-13 2007-02-16 헛팅거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 코 카게 Rf 전력 발생기용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6037B2 (en) 2012-02-28
KR20090041222A (ko) 2009-04-28
US20090103597A1 (en) 2009-04-23
CN101420422B (zh) 2012-05-30
CN101420422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86B1 (ko) 무선모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방법
JP4741593B2 (ja) Geranからutranへのシステム間セル再選択の改善
US7003315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selecting method
EP1428400B1 (en) Selecting paging channel mode
RU2338335C2 (ru) Ограничение повторного выбора сотовой ячейки на основе мощности пилот-сигнала
US72097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hich performs intermittent reception
US20040043798A1 (en) Idle mode cell reacquisition and reselection
US2012005749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RU229888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нтроля в сжатом режиме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связи в устройстве связи
MXPA05004997A (es) Unidades inalambricas de transmision/recepcion que tienen receptores multiples y metodos.
KR20010021100A (ko)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91762A (ko) 에너지 변동들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무선 로컬 영역네트워크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4025950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ell search circuit
KR20010102066A (ko)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H11205283A (ja) 相関値算出装置
EP1503605A2 (en) Paging indicator dec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1448B1 (ko) 이동무선단말장치
JP446913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201375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07014261A9 (en) Cellular pc modem architecture and method of operation
EP1656619B1 (en) Autologging the presenc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115262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1499141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hereof
JPH05183476A (ja) 検波後ダイバーシチ受信機
JP2006254508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