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2514B1 - 리프팅 마그네트 - Google Patents

리프팅 마그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14B1
KR100602514B1 KR1020060032396A KR20060032396A KR100602514B1 KR 100602514 B1 KR100602514 B1 KR 100602514B1 KR 1020060032396 A KR1020060032396 A KR 1020060032396A KR 20060032396 A KR20060032396 A KR 20060032396A KR 100602514 B1 KR100602514 B1 KR 10060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iron core
ferromagnetic
permanent magnet
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한조
최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석한조
최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석한조, 최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Priority to KR102006003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2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by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7Orientating, locating, transpor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이송시키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으로, 격리판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비자성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조립되고,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강자성체 철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과,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회전철심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 또는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철심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양쪽으로 분할되어 조립되고 상기 회전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를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구성한 흡착력조절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마그네트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을 흡착력조절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의 흡착력 세기와 자속경로를 용이하게 변환 시킬 수 있어 피부착물의 탈,부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회전시 발생하는 자기반발력을 근본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흡착 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철심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낮출 수 있게 되어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부품이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마그네틱, 철심, 회전, 강자성체, 영구자석, 흡착력

Description

리프팅 마그네트{Lifting magnet}
도 1은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흡착원리도.
도 3은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탈착원리도.
도 4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회전력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한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강자성체 철심의 조립형상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철심과 회전축의 조립형상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의 형상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조절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형상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조절기의 걸림턱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도시한 형상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흡착원리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탈착원리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회전력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한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과 회전축을 조립한 형상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흡착원리도.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탈착원리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철심의 회전각 변화에 따른 흡착력 변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수단 2 : 베이스
3 : 격리판 8 : 피흡착물체
10 : 철심 11 : 비자성 부재
12 : 삽입홈 20 : 회전철심
21 : 구멍 30 : 회전축
40 : 영구자석, 고정영구자석 40' : 회전영구자석
50 : 흡착력조절기 51 : 회전손잡이
52,52' : 걸림턱 100 : 리프팅 마그네트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프트의 회전반발력을 저감시키고, 회전각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영구자석의 흡착력 세기와 자속경로를 용이하게 변환 시킬 수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흡착원리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탈착원리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회전력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던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이 구비된 베이스(2)와, 비자성 격리판(3)과, 비자성 부재(11)를 중심으로 좌우대칭되게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4)과,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4)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영구자석(5)과, 상기 비자성 부재(11)를 중심으로 좌우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철심(4) 사이에 삽입되는 회전영구자석(6)과, 상기 회전영구자석(6)을 연결하는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7)에 연결되어 외부로 형성된 핸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의 흡,탈착원리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강자성체 철심(4) 사이에 있는 고정영구자석(5)과 회전영구자석(6)의 자기극성이 동일해 지도록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축(7)을 180°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7)과 연결된 회전영구자석(6)이 180°회전하게 되어 상기 고정영구자석(5)과 회전영구자석(6)의 자기극성이 동일하도록 배치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된 각각의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자석(5)의 N극에서 나온 자력선은 상기 각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N극과 접해 있는 강자성체 철심(4)과 이동시킬 피흡착물체(8)를 거쳐 상기 각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S극에 접한 강자성체 철심(4)을 지나 각각의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의 흐름을 형성함으로 상기 피흡착물체(8)는 상기 강자성체 철심(4)에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영구자석(6)을 0° 또는 360°로 회전시켜 상기 각 강자성체 철심(4)과 동일면에 접한 각각의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배치하게 되면, 상기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상기 각 강자성체 철심(4)과 동일면에 접한 회전영구자석(6)과 고정영구자석(5)의 S극으로 흐르게 되므로 피흡착물체(8)를 관통하는 자속의 흐름이 상실되어 상기 피흡착물체(8)가 상기 강자성체 철심(4)에서 탈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흡착물체(8)를 흡착시키기 위해서 핸들을 180°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고정영구자석(5)과 회전영구자석(6)의 자기극성이 동일하게 되어있어 회전축(7)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용량이 큰 리프팅 마그네트의 경우 작업자의 힘으로는 회전축(7)을 회전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회전영구자석(6)과 철심(4)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의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회전영구자석(6)의 중심축에 큰 힘이 가해짐으로 인해 상기 회전영구자석(6)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 음)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된 리프팅 마그네틱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을 흡착력조절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의 흡착력 세기와 자속경로를 용이하게 변환 시킬 수 있어 피부착물의 탈,부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회전시 발생하는 자기반발력을 근본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흡착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철심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낮출 수 있게 되어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부품이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틱은 격리판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비자성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조립되고,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강자성체 철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과,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회전철심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 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 또는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철심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양쪽으로 분할되어 조립되고 상기 회전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를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구성한 흡착력조절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틱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한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강자성체 철심의 조립형상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철심과 회전축의 조립형상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의 형상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조절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형상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력조절기의 걸림턱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도시한 형상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흡착원리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탈착원리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회전력 설명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한 마그네틱 리프트의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과 회전축을 조립한 형상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흡착원리도이며,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했을 때의 탈착원리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철심의 회전각 변화에 따른 흡착력 변화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영구자석(40)을 이용한 리프팅 마그네틱(100)은 도 5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이 구비된 베이스(2)와, 비자성체의 격리판(3)과, 비자성 부재(11)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분할형성된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10)과,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 삽입되는 강자성체 회전철심(20)과, 상기 회전철심(20)을 연결하는 회전축(30)과, 상기 철심(10)과 철심(10)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고정영구자석(40)과 흡착력조절기(5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는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송수단(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격리판(3)은 상기 철심(10)에서 베이스(2)로 흐르는 누설자속을 방지하도록 상기 철심(10)과 베이스(2) 사이에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이송수단(1)은 중량의 물건을 호이스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아이볼트로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심(10)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분할조립되어 형성되는 강자성체로써, 그 중심부에 관통된 삽입홈(12)을 형성하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철심(20)은 도 5 또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분할 조립되어 형성되는 강자성체로써, 그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3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구멍(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강자성체 철 심(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0)은 도 5 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된 회전철심(2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철심(20)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지며, 분할된 회전철심(20) 사이에서 자속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은 도 5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상기 철심(10)과 철심(10)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어 지며, 상기 철심(1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된 고정영구자석(40)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양면에 형성된 자기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흡착력조절기(50)는 도 5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51)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턱(52,52')을 구성한다.
상기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각은 45°와 135°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흡착력조절기(50)를 135°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회전철심이 90°로 회전하게 되어 가장 큰 흡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45°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회전철심이 0°로 회전함으로써 탈착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턱(52,52')의 형상은 회전손잡이(51)가 위치한 면에 돌기 형상(52)으로 형성하거 나, 지그재그 홈 형상(52')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착력조절기(5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52,52')을 상기 회전손잡이(51)를 일정각도로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함으로써 흡착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흡,탈착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손잡이(51)를 135°로 회전시켜 걸림턱(52,52')에 고정시키면,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된 회전철심(20)이 90°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회전철심(20)의 자기적 연결이 끊어지도록 배치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되게 되면, 고정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강자성체 철심(10)과 이동시킬 피흡착물체(8)를 거친 후,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에 접한 강자성체 철심(10)을 지나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흡착물체(8)는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 또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과 연결되어 형성된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손잡이(51)를 45°로 회전시켜 걸림턱(52,52')에 고정시키면, 양쪽으로 분할 조립된 회전철심(20)이 상기 회전축(30)과 함께 0°로 회전하게 되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되게 되면, 고정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모든 자속은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강자성체 철심(10)과 회전철심(20)을 거친 후,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에 접한 강자성체 철심(10)을 지나 상기 고정자석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흡착물체(8)를 관통하는 자속의 흐름이 상실되게 되어 상기 피흡착물체(8)가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서 탈착되게 된다.
아울러,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손잡이(50)를 회전시켜 회전축(30)에 의해 회전철심(20)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철심(10)과 회전철심(20)을 거쳐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에 접한 철심(10)을 지나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으로 회귀하는 자속과,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철심(10)과 피흡착물체(8)를 거친 후,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과 접한 철심(10)을 지나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으로 회귀하는 자속으로 나누어 지게 되며, 또한 상기 흡착력조절기를 135°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철심(20)을 완전히 90°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오는 모든 자속은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철심(10)과 피흡착물체(8)를 거쳐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과 접해있는 철심(10)을 지나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S극으로 회귀하게 됨으로써 최대의 흡착력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영구자석(40)과 회전축(3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고정영구자석(40)의 자기극성은 서로 반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철심(2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전철심(20)은 고정영구자석(40)의 자속이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역활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방향으로 회전철심(20)을 회전시키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회전철심(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영구자석(40')을 이용한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도 14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 중 상기 고정영구자석(40)의 구성을 대신하여, 상기 회전철심(20)과 회전철심(2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0)의 양쪽으로 분할되어 조립되면서 상기 회전철심(20)과 맞닿은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40')을 배치하고, 상기 철심(10)에 삽입되는 회전철심(20)을 상기 철심(1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양면에 상기 회전철심(20)이 접하게 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영구자석(40)을 사용한 리프팅 마그네트(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을 사용한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력조절기(50)의 걸림턱(52,52')을 분할하여 다수개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손잡이(51)를 일정각도로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흡,탈착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 내지 도 10 또는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손잡이(51)를 135°로 회전시켜 걸림턱(52,52')에 고정시키면,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된 회전철심(20)과 회전영구자석(40')이 90°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회전철심(20)의 자기적 연결이 끊어지도록 배치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되게 되면, 회전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자속은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N극과 접해 있는 회전철심(20)을 거친 후 강자성체 철심(10)과 이동시킬 피흡착물체(8)를 거치게 되고, 상기 피흡착물체(8)를 거친 자속은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S극 방향에 형성된 강자성체 철심(10)과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S극과 접해 있는 회전철심(20)을 지나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S극으로 들어가는 자속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흡착물체(8)는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 흡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10 또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과 연결되어 형성된 흡착력조절기(50)의 회전손잡이(51)를 45°로 회전시켜 걸림턱(52,52')에 고정시키면, 양쪽으로 분할 조립된 회전철심(20)과 회전영구자석(40')이 상기 회전축(30)과 함께 0°로 회전하게 되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구조가 연속적으로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되게 되면, 회전영구자석(40')의 N극에서 나온 모든 자속은 상기 회전영구자석(40') N극과 접해 있는 회전철심(20)을 거친후 철심(10)과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S극과 접해 있는 회전철심(20)을 거쳐 다시 회전영구자석(40')의 S극으로 회귀 됨으로써 피흡착물체(8)를 관통하는 자속의 흐름이 상실되게 되어 상기 피흡착물체(8)가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서 탈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회전영구자석(40')을 이용한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비자성 회전축(30)에 연결되어 상기 철심(1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철 심(20)에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이 맞닿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분할되어 조립된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이 상기 회전축(30)과의 이격 틈새로 인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회전축(30)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이 일정한 흡착력을 지니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된 상기 회전영구자석(40')의 자기극성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철심(20)이 회전하는 동안 회전영구자석(40')의 자속이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어 상기 회전철심(20)을 회전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회전손잡이(51)를 45°로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철심이 O°로 회전하게 되어 최소의 흡착력이 작용하고, 상기 회전손잡이(52)를 135°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회전철심이 90°로 회전하게 되어 최대의 흡착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회전축(30)의 회전각도의 선택에 따라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흡착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마그네트(100)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피흡착물체(8)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마그네트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을 흡착력조절기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의 흡착력 세기와 자속경로를 용이하게 변환 시킬 수 있어 피부착물의 탈,부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회전시 발생하는 자기반발력을 근본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흡착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철심에 작용하는 작용력을 낮출 수 있게 되어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부품이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이송수단이 구비된 베이스와 비자성체의 격리판을 구성하고, 상기 격리판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다수개의 영구자석를 구성하며, 피흡착물체의 흡착과 탈착을 위한 회전축을 구성한 리프팅 마그네트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3)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1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10);
    상기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조립되고,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21)을 형성하며,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20);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회전철심(20)을 연결하는 회전축(30);
    상기 철심(10)과 철심(1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1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40);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51)와 상기 회전손잡이(51)를 고정하도록 걸림턱(52,52')을 구성한 흡착력조절기(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력조절기(50)의 걸림턱(52,52')은 상기 회전손잡이(51)를 일정각도로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분할하여 다수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
  3. 이송수단이 구비된 베이스와 비자성체의 격리판을 구성하고, 상기 격리판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다수개의 영구자석를 구성하며, 피흡착물체의 흡착과 탈착을 위한 회전축을 구성한 리프팅 마그네트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3)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1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10);
    상기 비자성 부재(1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조립되고,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21)을 형성하며, 상기 강자성체 철심(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회전철심(20);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회전철심(20)을 연결하는 회전축(30);
    상기 회전철심(20)과 회전철심(2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0)의 양쪽으로 분할되어 조립되고, 상기 회전철심(2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40');
    상기 회전축(30)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된 회전손잡이(51)와 상기 회전손잡이(51)를 고정하도록 걸림턱(52,52')을 구성한 흡착력조절기(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력조절기(50)의 걸림턱(52,52')은 상기 회전손잡이(51)를 일정각도로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분할하여 다수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
KR1020060032396A 2006-04-10 2006-04-10 리프팅 마그네트 Active KR10060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96A KR100602514B1 (ko) 2006-04-10 2006-04-10 리프팅 마그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96A KR100602514B1 (ko) 2006-04-10 2006-04-10 리프팅 마그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514B1 true KR100602514B1 (ko) 2006-07-19

Family

ID=3718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96A Active KR100602514B1 (ko) 2006-04-10 2006-04-10 리프팅 마그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514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5B1 (ko) 2006-09-26 2006-12-08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네트
WO2011049282A1 (ko) * 2009-10-23 2011-04-28 Choi Tae Kwang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200454753Y1 (ko) * 2009-08-20 2011-07-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척 시스템
KR101131134B1 (ko) 2009-10-23 2012-04-03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EP2535307A1 (en) * 2010-02-12 2012-12-19 Soph Magnetics (Shanghai) Co. Ltd. Permanent magnetic lifting device
CN101880005B (zh) * 2009-05-06 2013-05-29 际华三五二三特种装备有限公司 永磁起重吸盘
CN103680804A (zh) * 2012-09-06 2014-03-26 坎纳泰克株式会社 磁吸装置
KR20140005361U (ko) * 2013-04-08 2014-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KR20140140799A (ko) * 2013-05-30 2014-12-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재 가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가고정 방법
CN106081860A (zh) * 2016-06-21 2016-11-09 合肥市神雕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永磁吊盘
CN106374778A (zh) * 2016-10-11 2017-02-01 任杰 槽内通断屏蔽旋转式永磁吸力方案
CN111565888A (zh) * 2018-01-11 2020-08-21 百德福钢带有限公司 磁性的保持装置
KR102209820B1 (ko) * 2019-08-23 2021-01-29 최태광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210117701A (ko) * 2020-03-20 2021-09-29 (주)하성 자기력의 크기 조절과 온오프 잠금 기능이 구비된 마그네틱 결합장치
KR102405433B1 (ko) * 2022-01-21 2022-06-07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현장의 공사차량에 착탈되는 이동식 후방추돌방지장치
KR102406922B1 (ko) * 2021-02-04 2022-06-1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교정구 자동 장탈착 시스템
KR20220111443A (ko) * 2021-02-02 2022-08-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하이브리드 마그네틱 베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321U (ko) 1978-07-28 1980-02-15
KR200166459Y1 (ko) 1999-07-16 2000-02-15 석한조 마그네틱 리프트의 자석보호용 회전체 개,폐 조작장치
KR200204525Y1 (ko) 2000-07-05 2000-11-15 석한조 마그네틱 흡착기
KR100288245B1 (ko) 1998-07-24 2001-05-02 정형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개폐장치
KR200227747Y1 (ko) 2000-12-28 2001-06-15 정형 금속물 운반용 자력흡착기의 핸들고정장치
KR100427823B1 (ko) 2002-02-01 2004-04-29 형 정 누설 자속 원리를 이용한 nd자석 자력흡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321U (ko) 1978-07-28 1980-02-15
KR100288245B1 (ko) 1998-07-24 2001-05-02 정형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개폐장치
KR200166459Y1 (ko) 1999-07-16 2000-02-15 석한조 마그네틱 리프트의 자석보호용 회전체 개,폐 조작장치
KR200204525Y1 (ko) 2000-07-05 2000-11-15 석한조 마그네틱 흡착기
KR200227747Y1 (ko) 2000-12-28 2001-06-15 정형 금속물 운반용 자력흡착기의 핸들고정장치
KR100427823B1 (ko) 2002-02-01 2004-04-29 형 정 누설 자속 원리를 이용한 nd자석 자력흡착기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5B1 (ko) 2006-09-26 2006-12-08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네트
CN101880005B (zh) * 2009-05-06 2013-05-29 际华三五二三特种装备有限公司 永磁起重吸盘
KR200454753Y1 (ko) * 2009-08-20 2011-07-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척 시스템
WO2011049282A1 (ko) * 2009-10-23 2011-04-28 Choi Tae Kwang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101131134B1 (ko) 2009-10-23 2012-04-03 최태광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EP2535307A1 (en) * 2010-02-12 2012-12-19 Soph Magnetics (Shanghai) Co. Ltd. Permanent magnetic lifting device
EP2535307A4 (en) * 2010-02-12 2013-07-31 Soph Magnetics Shanghai Co Ltd PERMANENT MAGNET LIFT
CN103680804B (zh) * 2012-09-06 2017-01-18 坎纳泰克株式会社 磁吸装置
CN103680804A (zh) * 2012-09-06 2014-03-26 坎纳泰克株式会社 磁吸装置
KR20140005361U (ko) * 2013-04-08 2014-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KR200485249Y1 (ko) * 2013-04-08 2017-1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KR20140140799A (ko) * 2013-05-30 2014-12-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재 가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가고정 방법
KR101593942B1 (ko) 2013-05-30 2016-02-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판재 가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판재 가고정 방법
CN106081860A (zh) * 2016-06-21 2016-11-09 合肥市神雕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永磁吊盘
CN106374778A (zh) * 2016-10-11 2017-02-01 任杰 槽内通断屏蔽旋转式永磁吸力方案
CN106374778B (zh) * 2016-10-11 2019-04-19 任杰 槽内通断屏蔽旋转式永磁吸力方案
CN111565888A (zh) * 2018-01-11 2020-08-21 百德福钢带有限公司 磁性的保持装置
CN111565888B (zh) * 2018-01-11 2022-06-24 百德福钢带有限公司 磁性的保持装置
US11915864B2 (en) 2018-01-11 2024-02-27 Berndorf Band Gmbh Magnetic retaining device
KR102209820B1 (ko) * 2019-08-23 2021-01-29 최태광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20210117701A (ko) * 2020-03-20 2021-09-29 (주)하성 자기력의 크기 조절과 온오프 잠금 기능이 구비된 마그네틱 결합장치
KR102345135B1 (ko) 2020-03-20 2021-12-30 (주)하성 자기력의 크기 조절과 온오프 잠금 기능이 구비된 마그네틱 결합장치
KR20220111443A (ko) * 2021-02-02 2022-08-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하이브리드 마그네틱 베이스
KR102461428B1 (ko) 2021-02-02 2022-10-3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착력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하이브리드 마그네틱 베이스
KR102406922B1 (ko) * 2021-02-04 2022-06-1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교정구 자동 장탈착 시스템
KR102405433B1 (ko) * 2022-01-21 2022-06-07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현장의 공사차량에 착탈되는 이동식 후방추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14B1 (ko) 리프팅 마그네트
US11837402B2 (en) Electromagnet-switchable permanent magnet device
KR101498864B1 (ko) 자성체 홀딩 장치
CN110612581B (zh) 磁力控制装置和使用该磁力控制装置的磁体保持装置
KR101131134B1 (ko)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CN102015204A (zh) 自锚定磁性设备和用于控制所述磁性设备的控制单元
CN101941478A (zh) 电磁永磁双激励爬壁机器人吸附机构
KR20190031123A (ko)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KR100379706B1 (ko) 마그네틱 리프트
EP2386384B1 (en) Magnetic attractive conjunction mechanism of rotating gripper in clamping device
KR200420067Y1 (ko) 리프팅 마그네트
KR200204525Y1 (ko) 마그네틱 흡착기
KR100655415B1 (ko) 리프팅 마그네트
JP5553247B2 (ja) リニアスライダ
KR100568121B1 (ko) 영구자석 전자석 복합 마그네트
KR20060104466A (ko) 디스크 회전형 발전기 및 발전방법
JPH0873178A (ja) 鋼材吊上装置
KR101684888B1 (ko) 마그네틱 척 장치
KR101974545B1 (ko)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218657465U (zh) 一种便捷式磁力座
US20230113360A1 (en) Permanent magnetic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CN218267635U (zh) 管夹及作业机械
JP2008081241A (ja) 吊上げ電磁石装置
JP2007129120A (ja) 磁気回路
JPH07277664A (ja) 吊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