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063B1 -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7063B1 KR100597063B1 KR1020057006067A KR20057006067A KR100597063B1 KR 100597063 B1 KR100597063 B1 KR 100597063B1 KR 1020057006067 A KR1020057006067 A KR 1020057006067A KR 20057006067 A KR20057006067 A KR 20057006067A KR 100597063 B1 KR100597063 B1 KR 100597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sh memory
- data
- ratio
- notification inform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53—Garbage collection, i.e. reclamation of unreferenced memor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11C16/16—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for erasing blocks, e.g. arrays, words, grou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5—Cleaning, compaction, garbage collection, era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데이터가 기억되는 복수의 사용자 영역과, 상기 사용자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플래그 영역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상기 플래그 영역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외부에 통지하기 위한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와,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플래그 영역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의 상태가 무효 상태인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통지 정보 생성부는 미리 저장된 소정 비율과 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이 크면, 폐정보 수집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을 상기 상태 통지 정 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영역에의 상기 데이터의 기록 직후 또는 상기 데이터의 무효화 직후에 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요구하는 정보 요구 신호의 수신 직후에 상기 상태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재기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데이터가 기억되는 복수의 사용자 영역과, 상기 사용자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플래그 영역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폐정보 수집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 는 단계와,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폐정보 수집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상기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 데이터가 기억되는 복수의 사용자 영역과, 상기 사용자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플래그 영역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상기 사용자 영역이 무효 상태인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와,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과 소정 비율을 비교하는 단계와,상기 소정 비율보다 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이 큰 경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대하여 폐정보 수집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상기 무효 상태인 비율의 통지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06067A KR100597063B1 (ko) | 2005-04-08 | 2003-02-28 |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06067A KR100597063B1 (ko) | 2005-04-08 | 2003-02-28 |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9249A KR20050059249A (ko) | 2005-06-17 |
KR100597063B1 true KR100597063B1 (ko) | 2006-07-06 |
Family
ID=3725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6067A KR100597063B1 (ko) | 2005-04-08 | 2003-02-28 |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70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76613B2 (en) | 2006-05-18 | 2011-01-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bit flash memory devices having a single latch structure and related programming methods, systems and memory cards |
KR100778082B1 (ko) | 2006-05-18 | 2007-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일의 래치 구조를 갖는 멀티-비트 플래시 메모리 장치,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카드 |
KR100919156B1 (ko) | 2006-08-24 | 2009-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비트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
-
2003
- 2003-02-28 KR KR1020057006067A patent/KR1005970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9249A (ko) | 2005-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17178B2 (ja) | フラッシュメモリ及びメモリ制御方法 | |
US7613871B2 (en) | Storage system using a flash memory partitioned with write-once and rewritable blocks | |
CN101595460B (zh) | 用于收集非托管存储空间的实现 | |
AU2003286967B2 (en) | Dual journaling stor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 |
TW200947445A (en) | Memory system | |
CN101645306A (zh) | 非易失性存储器控制方法及半导体装置 | |
KR20100094241A (ko) | 예비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 |
KR20210051873A (ko) | 컨트롤러 및 메모리 시스템 | |
JP2007193449A (ja) |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4902547B2 (ja) | フラッシュメモリの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 |
JP2007193865A (ja) |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09037317A (ja) | メモリー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不揮発性記憶装置並びに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 | |
US20100161890A1 (en) | Cache management method and cache device using sector set | |
CN115129262A (zh) | 一种固态硬盘垃圾回收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KR20080064476A (ko)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소거 횟수 저장 방법 | |
KR100597063B1 (ko) |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 방법 | |
KR100631765B1 (ko) |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
US10564886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ash translation layer recycle from host | |
JP4485231B2 (ja) | 電子機器 | |
KR101718888B1 (ko)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가비지 컬렉션 방법 | |
KR20000041918A (ko) | 휴대용단말기에서 대량의 데이타 저장 방법 | |
JP2003150441A (ja) |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 |
JP2012068766A (ja) | メモリコントローラ | |
JP2006146808A (ja) | メモリ管理装置、及びメモリ管理方法 | |
JP2005174468A (ja) | フラッシュメモリのアクセス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4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