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834B1 -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834B1
KR100591834B1 KR1020040051581A KR20040051581A KR100591834B1 KR 100591834 B1 KR100591834 B1 KR 100591834B1 KR 1020040051581 A KR1020040051581 A KR 1020040051581A KR 20040051581 A KR20040051581 A KR 20040051581A KR 100591834 B1 KR100591834 B1 KR 10059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furnace
upper plate
opt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991A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가마아츠히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8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6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adhesive t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과제) 상판(유리판)에 대한 광학부품의 부착성에 우수한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스곤로에서의 가스버너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의 상면을 유리상판(4)으로 덮고, 유리상판(4)은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이다. 유리상판(4)의 하방에, 발광소자(50)를 고정한 지지프레임(53)이 부착되고, 유리상판(4)의 이면에는 평활막(56)이 도포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3)이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COOKING STOV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PPORT MEMBER OF OPTICAL PARTS IN THE SAME}
도 1은 제 1의 실시형태에서의 가스곤로의 평면도
도 2는 가스곤로를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가스곤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가스곤로의 횡단면도
도 5는 가스곤로의 조작 및 표시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조작 및 표시부의 하부에서의 조작 스위치 및 표시램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8은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표시램프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1은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2는 다른 예의 조작 및 표시부의 하부에서의 조작 스위치 및 표시램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다른 예의 조작 스위치 및 표시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다른 예의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5는 다른 예의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6은 제 2의 실시형태에서의 스위치 및 표시램프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7은 제 3의 실시형태에서의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8은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9는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20은 다른 예의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1은 다른 예의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2는 제 4의 실시형태에서의 비접촉식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3은 위치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24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곤로에서의 스위치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곤로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 4 - 유리상판
9,10 - 열원으로서의 가스버너
47∼49 - 광학부품으로서의 표시램프
50 - 광학부품으로서의 발광소자
51 - 광학부품으로서의 수광소자 52 - 기판
53 - 지지부재로서의 지지프레임 56 - 평활막
57 - 유지수단으로서의 접착제 60 - 정전용량식 스위치
61,62 - 표시램프
64 - 지지부재로서의 지지프레임 66 - 양면 테이프
80 - 위치조정수단을 구성하는 나사
82 - 위치조정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
본 발명은 상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한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버너, 전기히터 등의 열원을 수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상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한 유리상판으로 하면, 보기가 좋은 동시에, 흠집이 나기 어렵고, 더러움을 제거하기 쉬운 등하여 상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유리판은 광투과성이 있기 때문에, 상판의 하면에,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부착하고, 조작이나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판(유리판)의 하면에는 평활막이 도포된다. 이것은, 상판(유리판)의 하면의 요철에 의해 발광소자에서의 광이 굴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8355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310427호 공보
그런데, 상판(유리판)에 평활막을 도포하고 있기 때문에 상판(유리판)에 대한 광학부품의 부착에 관하여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판(유리판)의 하면에 지지할 때에 평활막이 도포되어 있음으로써, 광학부품과 상판(유리판)의 상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상세하게는, 도 24에 있어서 광학부품으로서의 발광소자(100a)와 수광소자(100b)를 기판(101)에 고정함과 아울러 기판(101)을 프레임(102)에 지지하고, 프레임(102)을 유리상판(103)에 부착할 때에, 기판(101)과 상판(103)의 상면과의 거리(T)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어렵고, 거리(T)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조작성에 불편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유리판)에 대한 광학부품의 부착성에 우수한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그 전제로서,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곤로에 있어서는 광학부품의 지지부재가,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평활막을 개재시킨 경우에 비해, 광학부품과 상판(유리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판(유리판)에 대해 광학부품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러기 위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청구항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그 전제로서,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서 부착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곤로에 있어서는, 광학부품의 지지부재가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서 부착되기 때문에, 평활막을 개재시킨 경우에 비해, 광학부품과 상판(유리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판(유리판)에 대해 광학부품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에서의 유리상판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그 전제로서,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 막을 도포한 곤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곤로에 있어서는, 광학부품의 지지부재가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광학부품과 상판(유리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판(유리판)에 대해 광학부품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러기 위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청구항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 압접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곤로에 있어서,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형성하면, 광학부품의 지지부재가 항상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게 되어,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그 전제로서,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서의 상기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광학부품과 유리상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곤로에 있어서는,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부착한 후에 있어서,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에 형성한 위치조정수단을 이용하여 광학부품과 유리상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단순히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 광학부품과 상판(유리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판(유리판)에 대해 광학부품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여기서,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광학부품은 기판을 통해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있고, 상기 기판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위치조정수단을 형성하도록 하면, 실용상 바람직한 것이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그 전제로서,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이 면에 부착되고, 상기 열원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서, 표시램프로부터의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곤로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상기 표시램프의 광통과영역을 제외한 1장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곤로에 있어서는,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지지부재가 유리상판의 이면에, 표시램프의 광통과영역을 제외한 1장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기 때문에,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지지부재에서의 유리상판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 1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스곤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가스곤로를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스곤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1의 가스곤로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가스곤로의 조작 및 표시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작 및 표시부의 하부에서의 조작 스위치 및 표시램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곤로에 있어서의 곤로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1)는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 바깥둘 레에는 플랜지부(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의 상면 개구부(3)는 내열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상판(4)에 의해 덮여 있고, 그 상판(4)에는 한쌍의 버너용 개구(5)가 형성됨과 아울러, 바깥둘레에는 틀체(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상판(4)은 투광성이지만 착색(암색)되어, 본체 케이스(1) 내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는 키친의 카운터 톱(7)에 형성된 부착구멍(8)에,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부(2)에 의해 카운터 톱(7)에 지지되며, 끼워 넣어서 부착된다. 소위 드롭인식 가스곤로로 되어 있고, 상판(4)은 틀체(6)가 카운터 톱(7)에 얹어 놓이게 되어 본체 케이스(1)의 상면 개구부(3)를 덮는다.
도 1, 2,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1) 내에는 상기 버너용 개구(5)와 대향하도록 열원으로서의 한쌍의 가스버너(9,10)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버너(9,10)는 환상이며 염구가 내측을 향하는 내염식 버너로 되어 있다. 또, 버너용 개구(5)에는 삼발이(11,12)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의 저면에는 가스 공급구(13)가 배치되고, 그 가스 공급구(13)가 도 4의 가스배관(14)을 통해 양 가스버너(9,10)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배관(14)의 도중에는, 양 가스버너(9,10)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메인개폐밸브(15)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배관(14)의 도중에는 각 가스버너(9,10)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함과 아울러, 가스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한쌍의 가스량 조절밸브(16,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4,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1)의 내측 저부의 앞쪽에는 제어박스(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박스(18) 내에는, 양 가스버너(9,10)의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각 종 동작을 행하는 메인개폐밸브(15)나 가스량 조절 밸브(16,17)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기가 수납되어 있다. 도 4에서의 본체 케이스(1)의 내측 저부에 있어서 제어박스(18)의 양측위치에는, 한쌍의 점화기(19,20)가 설치되고, 이러한 점화기(19,20)는 각각 도시생략한 급전선을 통해 점화장치(21,2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화장치(21,22)에서의 고전압에 의한 방전에 의해, 각 가스버너(9,10)를 점화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4)의 상면에는, 조작용 마크(30∼36) 및 표시용 마크(37a,37b,38a,38b)가 붙어져 있고, 이 부분에서의 상판(4) 아래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 및 표시램프(47,48,49)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에는 조작 스위치로서의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의 배치구조를 나타내고, 도 9에는 표시램프(47,48,49)의 배치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의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는, 발광소자(50)와 수광소자(51)로 이루어진다. 이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의 발광소자(50)에서 유리상판(4)을 통과하는 적외광을 발광하게 되고, 그 반사광을 수광소자(51)가 수광한다. 즉, 발광소자(50)는 유리상판(4)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광학부품이고, 수광소자(51)는 유리상판(4)을 통과하는 광을 받는 광학부품이다. 도 9의 표시램프(47,48,49)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고 있다. 이 표시램프(47,48,49)에서 유리상판(4)을 통과하는 가시광을 발광하게 된다. 즉, 표시램프(47,48,49)는 유리상판(4)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광학부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상판(4)은 열원으로서의 가스버너(9,10)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1)의 상면을 덮고 있고, 또한,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 9에 있어서,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발광소자(50), 수광소자(51)}와 표시램프(47,48,49)는 기판(52)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기판(52)이 지지프레임(브래킷)(53)에 나사(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53)은 4각틀부(53a)와 4각틀부(53a)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53b)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53)의 4각틀부(53a)의 내주면에는 단차(55)가 형성되고, 이 단차(55)에 기판(52)이 배치되며, 복수의 나사(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학부품으로서의 발광소자(50), 수광소자(51) 및 표시램프(47∼49)는 유리상판(4)의 하방에, 지지프레임(53)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53)은 광학부품(50,51,47∼49)의 지지부재로 되어 있다.
또,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이 도포되어,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의 발광소자(50) 및 표시램프(47,48,49)로부터의 광이나 수광소자(51)에 대한 광이 유리상판(4)을 통과할 때에 굴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평활막(56)으로서 실리콘막 등의 수지막을 들 수 있다. 지지프레임(53)은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접착제(57)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에 관하여, 평활막(56)에 접착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평활막(56)이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접착제(57)가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지지프레임(53)을 조립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상판(4)의 이면(요철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기판(52)이 붙어 있지 않은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접착제(57)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의 4각틀부(53a)의 내측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흘려 넣어 4각틀부(53a)내에서의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도포한다. 그 후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에 기판(52)을 나사(54)에 의해 부착한다. 이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이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된다.
다음에, 기판(52)에 배치되는 스위치(40∼46) 및 표시램프(47,48,49)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기판(52)에는 7개의 비접촉식의 스위치(40∼46)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기판(52)의 앞쪽 가장자리 중앙에는 전원 스위치(43)가 설치되고, 그 전원 스위치(43)의 양 측방에는, 각 가스버너(9,10)의 점화 및 소화를 하게 하기 위한 한쌍의 점소화 스위치(41,45)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점소화 스위치(41,45)의 양측에는, 각 가스버너(9,10)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각 한쌍의 화력 업 스위치(42,46) 및 화력 다운 스위치(40,44)가 배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40∼46)와 대응되도록 기판(52)에 표시램프(47,48,49)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원 스위치(43)의 후부에는, 전원의 투입상태를 점등 표시하기 위한 전원표시램프(48)가 근접 배치되어 있다. 일측의 가스버너(9)용의 점소화 스위치(41), 화력 업 스위치(42) 및 화력 다운 스위치(40)의 후측근방에는, 화력의 조절상태(강약상태)를 점등 표시하기 위한 화력표시램프(상세하게는 5개의 램프의 집합체)(47)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타측의 가스버너(10)용의 점소화 스위치(45), 화력 업 스위치(46) 및 화력 다운 스위치(44)의 후측근방에는, 화력의 조절상태(강약상태)를 점등 표시하기 위한 화력표시램프(상세하게는 5개의 램프의 집합체)(49)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5,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스위치(40∼46)의 바로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판(4)의 표면에는 조작부임을 나타내는 마크(30∼36)가 묘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부{마크(30∼36)}를 조작자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조작했을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과 대응되는 스위치(40∼46)에 있어서, 발광소자(50)로부터의 적외선이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고, 그것이 수광소자(51)에서 감지되어 조작자의 조작상태가 검출된다. 이 조작상태의 검출에 의거해서 제어박스(18) 내의 기기에 의해 가스버너(9,10)의 점화나 화력조정 등이 실행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도 6에서의 각 화력표시램프(47,49)의 양측 상방에 위치하도록, 유리상판(4)의 상면에는 각 한쌍의 화력표시용 마크(37a,37b,38a,38b)가 묘화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화력표시용 마크(37a∼37b,38a∼38b)간에 있어서의 도 6의 화력표시램프(47,49)의 점등표시수(최약이 1개, 최강이 5개)에 의거해서, 화력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각 표시램프(47∼49)의 점등/소등 제어 는 제어박스(18) 내의 기기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을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하였다. 따라서, 지지프레임(53)이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평활막(56)을 개재시켜서 부착한 경우에 비해, 광학부품(50,51,47∼49)과 상판(유리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설계값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판(유리판)(4)에 대해 광학부품(50,51,47∼49)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2) 유지수단으로서의 접착제(57)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을 항상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3) 지지프레임(53)의 조립방법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하고(제 1 공정),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였다(제 2 공정). 따라서, 지지프레임(53)을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의 4각틀부(53a) 내의 전역에 걸쳐서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유입하였기 때문에, 이 수지가 지지프레임(53)에 접촉되고, 이 수지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을 접착 고정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평활막(56)이 되는 수지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을 접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접착제(57)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의 4각틀부(53a) 내의 전역에 걸쳐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유입시키면, 평활막이 되는 수지의 형성넓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유입하는 수지의 양을 일정하게 하면, 형성되는 평활막의 두께가 거의 일정하게 되어 더욱 더 유리하다.
도 6, 7, 8에 있어서는 지지프레임(53)의 4각틀부(53a) 내의 전역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12, 13,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에는 4각틀부(53a) 내에 있어서 차광부(58)가 형성되고, 이 차광부(58)에 스위치(40∼46)마다 개구부(59)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3)에서의 차광부(58)에서의 개구부(59)에 있어서 각 스위치(40∼46)의 광이 통과하고, 각 스위치(40∼46)에 대응되는 만큼의 좁은 영역만이 광통로가 된다. 즉, 각 스위치(40∼46)의 발광·수광 시에 광로를 좁은 범위로 하여 조작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용하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프레임(53)을 조립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상판(4)의 이면(요철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기판(52)이 붙어 있지 않은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접착제(57)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3)에서의 스위치(40∼46)마다의 각 개구부(59), 및 표시램프(47∼49) 공통의 개구부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흘려 넣어서 개구부(59)내 및 표시램프(47∼49) 공통의 개구부내에서의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도포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에 기판(52)을 나사(54)에 의해 부착한다. 이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이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스위치(40∼46)마다 개구부(광로형성용 개구부)(59)를 각각 형성하고, 표시램프(47∼49)에 대해서는 공통의 개구부로 하였으나, 표시램프(47∼49)에 대해서도 표시램프(47∼49)마다 개구부(광로형성용 개구부)를 각각 형성해도 된다.
(제 2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도 16에 의거해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의 실시형태 이후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제 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의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스위치로서 상판(4)의 상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동작하는 정전용량식 스위치(60)를 이용하고 있다.
도 8, 9를 대신하는 도 16에 있어서, 유리상판(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열원)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1)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이다. 지지프레임(64)의 내측에 있어서 정전용량식 스위치(60)가 배치되고, 정전용량식 스위치(60)에 의해 유리상판(4)의 하면측에서 유리상판(4)의 상면에서의 손가락을 검지하여 가스버너(열원)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판(4)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표시램프(61,62)가 기판(63)에 고정되고, 이 기판(63)은 지지프레임(64)에 나사(65)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유리상판(4)의 이면에 있어서, 표시램프(61,62)로부터의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평활막(56)이 도포되어 있다.
정전용량식 스위치(60)와 지지프레임(64)이, 유리상판(4)의 이면에 있어서 1장의 양면 테이프(66)에 의해 부착되고, 이 양면 테이프(66)는 표시램프(61,62)의 광통과영역이 제외되어 있다{표시램프(61,62)의 광통과영역이 개구되어 있다}.
특히, 지지프레임(64)이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66)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64)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을 개재시킨 상태로 부착한 경우에 비해, 양면 테이프(66)의 두께는 일정하고, 광학부품(61,62)과 상판(유리판)(4)의 표면과의 거리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판(유리판)(4)에 대해 광학부품(61,62)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양면 테이프(66)를 이용함으로써, 지지프레임(64)에서의 유리상판(4)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정전용량식 스위치(60)와 지지프레임(64)이, 유리상판(4)의 이면에 표시램프(61,62)의 광통과영역을 제외한 1장의 양면 테이프(66)에 의해 부착되기 때문에, 정전용량식 스위치(60)와 지지프레임(64)에서의 유리상판(4)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유리상판(4)의 이면에서의 평활막(56)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양면 테이프(66)를 통해 정전용량식 스위치(60)와 지지프레임(64)을 부착하였지만, 유리상판(4)의 이면에서의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양면 테이프(66)를 통해 정전용량식 스위치(60)와 지지프레임(64)을 부착해도 된다. 이것은, 표시램프(61,62)의 배치에 관하여 유리상판(4)의 표면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소정값으로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 3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도 17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8을 대신하는 도 17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3)을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접착제(5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에 관하여, 평활막(56)에 접착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평활막(56)이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접착제(57)가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53)이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광학부품(50)과 상판(유리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설계값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판(유리판)(4)에 대해 광학부품(50)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지지프레임(53)을 조립할 때에는, 먼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상판(4)의 이면인 요철측을 위로 한 상태에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평활막(56)이 되는 수지를 도포한다(제 1 공정). 그 후,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압접한다(제 2 공정). 이 때, 부 재(70)와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53b)와의 사이에 스프링(71)을 배치하고, 스프링(71)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측에 항상 일정한 힘(F)으로 탄지한다. 즉, 지지프레임(53)의 조립 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71)을 사용한다. 또는, 압접수단으로서, 지지프레임(53)에 추를 놓는 등의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스프링(71)은 지지프레임(53)의 조립후에 있어서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또, 경화된 수지{평활막(56)}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은 유리상판(4)의 이면에 고정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될 때는 유지수단으로서의 접착제(57)는 없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지지프레임(53)을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 17의 접착제(57) 등을 대신하여, 도 20 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을 틀체(6)와 연결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20에 있어서, 틀체(6)는 유리상판(4)의 바깥둘레의 하면까지 연장되고, 여기서 상판(4)을 지지하고 있다. 또, 접착제(74)에 의해 틀체(6)와 상판(4)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53b)와 틀체(6)의 상판 얹어놓음부(6a)와의 사이에 스테이(75)를 배치하고, 나사(76)에 의해 틀체(6)의 상판 얹어놓음부(6a)와 스테이(75)를 연결 지지함과 아울러 나사(77)에 의해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53b)와 스테이(75)를 연결 지지한다. 이에 의해, 지지프 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의 경우, 스테이(75)와 나사(76,77)에 의해 유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1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53b)를, 틀체(6)의 상판 얹어놓음부(6a)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79)에 의해 유리상판(4)의 이면과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하여,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도 21의 경우, 틀체(6)의 돌출부(79)에 의해 유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경우, 지지프레임(53)에 광학부품을 부착한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광학부품을 떼어 낸 상태로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에 부착함으로써, 지지프레임(53)의 조립 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 압착하도록 해도 된다.
(제 4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도 22, 23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8을 대신하는 도 22에 있어서, 스위치{발광소자(50)와 수광소자(51)}가 기판(52)에 고정되고, 나사(80)가 기판(52)을 통과해서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81)에 비틀어 넣어져 있다. 또,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81)와 기판(52)의 사이에는 스프링(82)이 배치되고, 스프링(82)에 의해 기판(52)이 지지프레임(53)의 돌출부(8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나사(80)와 스프링(82)을 이용해서 나사(80)의 비틀어넣음위치에 의해 기판(52)의 높이(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학부품(50,51)은 기판(52)을 통해 지지프레임(53)에 부착되어 있고, 기판(52)과 지지프레임(53)의 사이에 위치조정수 단으로서의 나사(80)와 스프링(82)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조정수단{나사(80), 스프링(82)}에 의해 광학부품{발광소자(50), 수광소자(51)}과 유리상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은 유리상판(4)의 이면에서의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접착제(5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T값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을 유리상판(4)의 이면에서의 평활막(56)을 도포한 영역에 접착제(57)에 의해 부착한다. 지지프레임(53)을 부착한 후에 있어서, 광학부품(50,51)과 유리상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측정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3)에 형성한 위치조정수단(80,82)을 이용해서, 구체적으로는 나사(80)의 비틀어넣음위치를 변경하여 광학부품(50,51)과 유리상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조정한다. 도 22, 23에 있어서는, 지지프레임(53)의 부착 직후에는 거리가 Tl이었던 것이 T2(<Tl)로 조정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단순히 지지프레임(53)을 부착한 경우에 비해, 광학부품(50,51)과 상판(유리판)(4)의 표면과의 거리{기판(52)과 유리상판(4)의 상면과의 거리(T)}를 설계값대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평활막(56)이 평활하지 않아 거리(T)를 설계값으로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지지프레임(53)에 치수오차가 있어 거리(T)를 설계값으로 할 수 없는 경우에도, 거리(T)를 조정해서 설계값대로 설정할 수 있 다. 이와 같이 해서, 상판(유리판)(4)에 대해 광학부품(50,51)을 소망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열원으로서 가스버너를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열원이 전기히터 등의 전기에 의한 열원이어도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유리판)에 대한 광학부품의 부착성에 우수한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2.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유리상판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3.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상기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있어서 압접수단에 의해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5.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의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서의 상기 평활막을 도포한 영역에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광학부품과 유리상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품은 기판을 통해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지지부재의 사이에 상기 위치조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7.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열원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서, 표시램프로부터의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평활막 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상기 표시램프의 광통과영역을 제외한 1장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8.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부재를 유리상판의 이면에 접하는 상태로 부착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9. 열원을 수용하는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고, 표면이 평탄하고 이면이 요철형상인 유리상판과,
    상기 유리상판의 하방에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판을 통과하는 광을 발광하거나 또는 받는 광학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통과하는 광이 굴절되지 않도록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을 도포한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유리상판의 이면에 평활막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지지부재를 압접수단에 의해 유리상판의 이면에 압접하는 제 2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KR1020040051581A 2003-08-01 2004-07-02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91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5411A JP4200063B2 (ja) 2003-08-01 2003-08-01 コンロ
JPJP-P-2003-00285411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91A KR20050015991A (ko) 2005-02-21
KR100591834B1 true KR100591834B1 (ko) 2006-06-20

Family

ID=3436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5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1834B1 (ko) 2003-08-01 2004-07-02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00063B2 (ko)
KR (1) KR100591834B1 (ko)
CN (1) CN100529551C (ko)
TW (1) TWI235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0292A1 (de) * 2012-01-11 2013-07-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 mit einer derartigen Bedieneinrichtung
JP2018017435A (ja) * 2016-07-26 2018-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7269628B2 (ja) * 2019-05-31 2023-05-09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器の梱包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813A (en) 1979-09-12 1982-07-20 Saint Gobain Vitrage Switch panel with touch switches
JPS6486910A (en) * 1987-09-30 1989-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eying means in electric cooker
KR950010830U (ko) * 1993-10-06 1995-05-15 조리기의 소프트키 접촉감지구조
JPH10303722A (ja) 1997-04-24 1998-11-13 Oval Corp 光センシングタッチパネ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427A (ja) * 1999-04-26 2000-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FR2823619B1 (fr) * 2001-04-11 2003-06-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odulateur sigma-delta passe-bande et utilisations du molulateur sigma delta pour la conversion, la detection et la production de signau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813A (en) 1979-09-12 1982-07-20 Saint Gobain Vitrage Switch panel with touch switches
JPS6486910A (en) * 1987-09-30 1989-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eying means in electric cooker
KR950010830U (ko) * 1993-10-06 1995-05-15 조리기의 소프트키 접촉감지구조
JPH10303722A (ja) 1997-04-24 1998-11-13 Oval Corp 光センシングタッチ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55041A (ja) 2005-03-03
TWI235812B (en) 2005-07-11
TW200508547A (en) 2005-03-01
CN1580648A (zh) 2005-02-16
JP4200063B2 (ja) 2008-12-24
CN100529551C (zh) 2009-08-19
KR20050015991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208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80259190A1 (en) Lighted signals to provide direction to user
US7217900B2 (en) Cooking stove
US20220113033A1 (en) Cooking hob with illumination equipment
US8667958B2 (en) Burner illumination in an appliance
KR100591834B1 (ko)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US9109803B2 (en) Cooktop appliance with features for improving illumination
US11246190B2 (en) Cooking hob with edge lighting indicating burner unit use
KR100555439B1 (ko) 가열조리기
JP4006372B2 (ja) 加熱調理器
JP4045217B2 (ja) 加熱調理器
KR100591835B1 (ko) 가스곤로
JP4083643B2 (ja) 加熱調理器
FR2998041A1 (fr) Table de cuisson comprenant un clavier de commande
CN221705582U (zh) 一种烤箱灶的控制面板结构
CN219978845U (zh) 触摸控制组件及显示装置
JP2012023058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60298825A1 (en) User interface assembly for an appliance
US20210199304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cooking system
CN118729359A (zh) 一种操作面板组件以及油烟处理装置
FR2998040A1 (fr) Table de cuisson comprenant un clavier de commande
WO2011128848A2 (en) Method for assembling a household cooking top
KR19990017319U (ko) 전기 조리기의 조작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