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432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432B1
KR100591432B1 KR1020040039164A KR20040039164A KR100591432B1 KR 100591432 B1 KR100591432 B1 KR 100591432B1 KR 1020040039164 A KR1020040039164 A KR 1020040039164A KR 20040039164 A KR20040039164 A KR 20040039164A KR 100591432 B1 KR100591432 B1 KR 10059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hole
secondary battery
terminal lead
cas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983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32B1/ko
Priority to JP2005154373A priority patent/JP4527601B2/ja
Priority to US11/139,050 priority patent/US7462416B2/en
Priority to CNB200510073379XA priority patent/CN100375318C/zh
Publication of KR2005011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이차보호소자인 써모브레이커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의 캡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밑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밑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어셀 200 - 캔
216 - 양극탭 217 - 음극탭
300 - 캡조립체 310 - 캡플레이트
320 - 전극단자 324 - 절연판
326 - 터미널플레이트 330 - 써모브레이커
340 - 바이메탈 342 - 탭리드선
346 - 단자리드선 350 - 케이스
352 - 케이스본체 353 - 바이메탈홀
354 - 단자리스선홀 356a, 356b - 관통홀
358 - 커버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이차보호소자인 써모브레이커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 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금속제의 캔에 수납하고, 이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밀봉하여 베어셀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베어셀은 통상 상부에 캔과 절연된 전극 단자를 구비하여, 이 전극 단자가 전지의 어느 한 극을 이루게 하고, 타극은 전지 캔 자체 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밀봉된 베어셀의 상부에는 PTC와 같은 이차보호소자 및 보호회로모듈(PCM: Protecting Circuit Module) 등의 안전장치가 연결되어 전지 팩에 수납되거나 수지로 몰딩되어 이차전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이들 이차전지의 안전장치들은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어 전지의 고온 상승이나, 과충방전 등으로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할 때에 전류를 차단해 전지의 파열 등 위험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차전지의 베어셀을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차전지의 베어셀(10)은 캔(20)과 전극조립체(22)와 캡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차전지의 구성에 따라서는 상부에 이차보호소자(40)를 포함한다.
상기 캔(2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대략 직육면체에서 위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한다. 캔(20)을 이루는 재질로는 경량의 전도성 금속이면서 부식에 대처가 용이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캔(20)은 양극(23), 세퍼레이터(24), 음극(25)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22)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22)가 캔(20)의 개방된 상단, 즉, 상단개구부를 통해 캔에 삽입된 뒤 캔(20)의 상단개구부는 캡조립체(30)에 의해 봉해진다.
상기 캡조립체(30)는 캔(20)의 상단개구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플레이트(31)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2)는 양극(23)과 음극(24)사이에 세퍼레이터(25)가 게재되 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23)은 양극탭(26)을 통하여 캡플레이트(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25)은 음극탭(27)을 통하여 캡플레이트(31)의 음극단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캔(20)은 음극단자(32)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양극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캡조립체(30)가 캔(20) 상단과 용접된 뒤에는 캡플레이트(31)의 전해액주입구(36)를 통해 전해액이 투입된다. 전해액주입구(36)는 볼이 압입되어 이루어진 마개(37)로 밀봉된다.
상기 캡플레이트(31)는 캔(20)과의 결합을 위한 용접성 향상을 위해 캔(20)과 동일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는 전극 단자(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통공이 형성된다. 캡플레이트(31)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음극 단자(32) 외측에는 음극 단자(32)와 캡플레이트(31)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33)이 설치된다. 캡플레이트(31)의 단자통공 근방에는 캡플레이트(31) 하면에 절연판(34)이 배치되어 있다. 절연판(34)의 아랫면에는 터미널플레이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차보호소자(40)는 캡플레이트(31)의 상면에 안착되어 음극단자(32)와 보호회로기판(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사이에 연결되며, 이차보호소자(40)로는 PCT 또는 써멀 퓨즈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이차보호소자는 캔이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해야 하는데 캔의 외부에 장착되므로 이차보호소자의 온도민감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이차보호소자인 써모브레이커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캔과 전극단자가 절연되어 형성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보호소자홈과 상기 보호소자홈에 안착되며 상기 음극탭과 전극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캔의 내부에 설치되는 써모브레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써모브레이커는 일단이 상기 음극탭에 연결되는 바이메탈과, 일단이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에 접촉되는 단자리드선 및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각각 양측면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밀폐된 공간에서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메탈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 니켈과 망간 또는 철의 합금, 니켈과 크롬과 철의 합금 , 니켈과 망간과 구리의 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팽창계수가 큰 금속과, 니켈과 철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팽창계수가 적은 금속이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메탈은 두께가 0.1 ∼ 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메탈과 상기 단자리드선사이에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타입으로 양측면의 하단부에 상기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바이메탈홀과 단자리드선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단자리드선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리드선이 제1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바이메탈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메탈이 제2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단자리드선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리드선이 제1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바이메탈이 제2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페닐 설파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써모브레이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베어셀(100)은, 도 2를 참조하면, 캔(200)과, 상기 캔(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210)와, 상기 캔(200)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차보호소자(3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캔(20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캔(200)의 상단은 개구되어 상단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상단개구부를 통해 전극조립체(210)가 수용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0)는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213)과 음극판(215)은 세퍼레이터(214)를 개재하여 적층된 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213)에는 양극탭(2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양극탭(216)의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10)의 상방 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음극판(215)에도 음극탭(217)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음극탭(217)의 단부도 상기 전극조립체(210)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캡조립체(300)는 캡플레이트(310)와 전극단자(320)와 이차보호소자(330)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310)는 상기 캔(200)의 상단개구부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캡플레이트(310)의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이차보호소자(3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호소자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312)에는 전극단자, 예를 들면 음극단자(320)가 삽입된다. 캡플레이트(310)의 타측에는 전해액이 주입되는 전해액주입구(316)가 형성된다. 캡플레이트(310) 하면의 일측에는 상기 전극조립체(210)의 음극탭(217)이 용접되며, 캡플레이트(310)의 타측에는 전극조립체(210)의 양극탭(216)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단자(320)는 상기 단자통공(312)에 삽입되며 음극단자(320)와 캡플레이트(310)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형의 가스켓(3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310)의 하면에는 상기 음극단자(320)의 저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플레이트(326)가 형성되며 터미널플레이트(326) 및 음극단자(320)와 캡플레이트(310)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절연판(324)이 설치된다. 상기 절연판(324)은 PP 테이프와 같은 절연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단자(320)는 형성위치에 따라서는 양극단자로 형성되어 양극탭(216)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차보호소자(330)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바이메탈(340)과 상기 바이메탈(340)이 수용되는 케이스(3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써모브레이커가 사용되며, 캡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호소자홈(3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바이메탈(340)은 금속이 온도에 따라 팽창되는 정도 즉 팽창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박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계수가 적은 쪽으로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팽창계수가 큰 금속(340a)이 하부에 위치하고 팽창계수가 작은 금속(340b)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바이메탈을 형성한다. 따라서 저온에서는 수평으로 존재하다가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팽창계수가 작은 금속(340b)이 위치한 상방방향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바이메탈(340)은 다양한 금속박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팽창계수가 큰 금속(340a)으로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니켈과 망간과 철의 합금, 니켈과 크롬과 철의 합금, 니켈과 망간과 구리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팽창계수가 적은 금속(340b)으로는 니켈과 철의 합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바이메탈은 바람직하게는 저온에서 반응정도가 양호한 니켈과 망간과 철의 합금과 니켈과 철의 합금이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이메탈(340)은 얇은 금속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1 ∼ 1.0mm로 형성된다. 상기 바이메탈(34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바이메탈(340)이 수평을 유지하기 어려워 리드선(342, 346)과의 접촉이 불안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34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온도에 따른 작동이 민감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바이메탈(340)은 일단이 단자리드선(342)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326)와 음극단자(320)에 연결되며, 타단은 탭리드선(346)에 의하여 음극탭(217)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단자리드선(342)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326)와 일 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340)이 단자리드선(342)의 역할을 하여 바이메탈(340)이 직접 상기 터미널플레이트(326)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350)는 케이스본체(352)와 커버(35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352)는 박스타입으로 양측면의 하단부에 상기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바이메탈홀(353)과 단자리드선홀(3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이메탈홀(353)과 단자리드선홀(354)은 케이스(35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보강부(353a, 354a)가 형성되어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상기 케이스본체(352)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바닥에 단차를 형성하여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이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은 상기 케이스본체(352)의 바이메탈홀(353)과 단자리드선홀(354)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홀과 바이메탈(340) 및 단자리드선(346)사이를 접착제로 밀봉하여 전해액이 케이스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상기 케이스본체(352)의 성형시 상기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이 함께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은 물리적인 접촉을 하고 있으므로, 케이스(330) 내부에 전해액이 유입되면 바이메탈(340) 또는 단자리드선(346)의 표면에 전해액이 도포되어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간의 접촉이 불안해질 수 있게된다.
상기 커버(358)는 상기 케이스본체(3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350)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350)는 상기 캔(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해액과 접촉하게 되므로 전해액에 내성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페닐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 PPS) 재질의 수지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화학내성이 우수한 폴리페닐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 PPS)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케이스(350a)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본체(352a)와 커버(35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본체(352a)는 상기 단자리드선(346)이 안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홀(356a)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홀(356a)의 상부에는 상기 단자리드선(346)이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착되어 제1관통홀(356a)을 밀폐하게 되며, 상기 제1관통홀(356a)을 통하여 단자리드선(346)이 상기 케이스본체(352a)의 하부 즉 캔(200) 내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리드선(346)을 통하여 캔(200) 내부의 온도 변화가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리드선(346)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바이메탈(340)은 캔 (200)내부의 온도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케이스(350b)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본체(352b)와 커버(35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본체(352b)는 상기 바이메탈(340)이 안착되는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홀(356b)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홀(356b)의 상부에는 상기 바이메탈(340)이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착되어 제2관통홀(356b)을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홀(356b)을 통하여 바이메탈(340)이 상기 케이스본체(352a)의 하부 즉, 캔(200) 내부로 노출되어 캔(200) 내부의 온도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352)의 바닥에 상기 제1관통홀(356a)과 제2관통홀(356b)이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단자리드선(346)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바이메탈(340) 사이에 탄성체(348)가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자리드선(346)의 단부에서 상기 바이메탈(34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탄성체(34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메탈(340)과 단자리드선(346)의 전기적인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46)로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48)는 바이메탈(34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충전시 또는 방전시 이상으로 인하여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는 경우에는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지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음극탭(217)과 음극단자(3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은 이차보호소자인 써모브레이커(330)의 바이메탈(340)이 변형되어 단자리드선(346)과의 접촉이 떨어지면서 상기 음극탭(217)과 음극단자(320)간의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 상태는 정지되며 전지의 이상으로 인한 이차전지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에 의한 폭발 등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오작동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 의하면 전지내부에 이차보호소자인 써모브레이커를 장착함으로써 전지 내부의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의하여 전지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이차보호소자 특히 바이메탈의 접촉이 떨어지게 되어 전지내부의 전류 흐름이 차단하여 이차전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 상태를 중지시키고 전지의 이상으로 인한 이차전지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에 의한 폭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보호소자인 바이메탈은 이차전지의 오작동이 중지되어 캔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면 원상 복귀되므로 이차전지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캔과, 전극단자가 절연되어 형성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보호소자홈과 상기 보호소자홈에 안착되며 상기 음극탭과 전극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캔의 내부에 설치되는 써모브레이커를 포함하며,
    상기 써모브레이커는
    일단이 상기 음극탭에 연결되는 바이메탈과,
    일단이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에 접촉되는 단자리드선 및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각각 양측면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밀폐된 공간에서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 니켈과 망간 또는 철의 합금, 니켈과 크롬과 철의 합금 , 니켈과 망간과 구리의 합금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팽창계수가 큰 금속과, 니켈과 철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팽창계수가 적은 금속이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두께가 0.1 ∼ 1.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과 상기 단자리드선사이에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타입으로 양측면의 하단부에 상기 바이메탈과 단자리드선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바이메탈홀과 단자리드선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단자리드선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리드선이 제1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바이메탈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메탈이 제2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단자리드선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이 안착되는 위치의 하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리드선이 제1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바이메탈이 제2관통홀에 밀폐시키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페닐 설파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40039164A 2004-05-31 2004-05-31 이차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59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64A KR100591432B1 (ko) 2004-05-31 2004-05-31 이차전지
JP2005154373A JP4527601B2 (ja) 2004-05-31 2005-05-26 二次電池
US11/139,050 US7462416B2 (en) 2004-05-31 2005-05-27 Secondary battery
CNB200510073379XA CN100375318C (zh) 2004-05-31 2005-05-31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64A KR100591432B1 (ko) 2004-05-31 2004-05-31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83A KR20050113983A (ko) 2005-12-05
KR100591432B1 true KR100591432B1 (ko) 2006-06-22

Family

ID=3542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64A Expired - Lifetime KR100591432B1 (ko) 2004-05-31 2004-05-3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2416B2 (ko)
JP (1) JP4527601B2 (ko)
KR (1) KR100591432B1 (ko)
CN (1) CN10037531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8978B2 (en) 2013-08-30 2016-11-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7652B2 (ja) * 2001-06-12 2011-04-13 ローム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86941B1 (ko) * 2005-05-10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2007012803A (ja) * 2005-06-29 2007-01-1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化学素子
US7763375B2 (en) * 2006-05-24 2010-07-2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batteries
KR100824849B1 (ko) * 2006-12-28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54343A1 (en) * 2007-04-16 2008-10-1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thermal current interrupting switch
KR100934259B1 (ko) * 2007-11-01 2009-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54587B1 (ko) * 2007-11-08 2010-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898691B1 (ko) * 2007-11-15 2009-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01999184B (zh) * 2008-03-24 2016-06-22 照明能源有限公司 模块化电池、这种电池用的互连器和与模块化电池有关的方法
JP5509592B2 (ja) * 2008-12-26 2014-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
US8173294B2 (en) 2009-04-28 2012-05-08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electrically-insulated cell module and interconnector peripheries
KR101094039B1 (ko) * 2009-10-01 2011-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1137363B1 (ko) 2009-11-16 2012-04-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84900B1 (ko) * 2009-11-23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US9065092B2 (en) * 2009-11-30 2015-06-2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100990B1 (ko) * 2009-12-15 2011-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343642B2 (en) 2009-12-31 2013-01-01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compression bladder
US8822064B2 (en) * 2009-12-31 2014-09-02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with polymeric compression sealing
US20110177383A1 (en) * 2010-01-19 2011-07-21 Lightening Energy Battery cell module for modular battery with interleaving separator
US20110200867A1 (en) * 2010-02-16 2011-08-18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with battery cell having bimetallic end plates
KR20170109070A (ko) * 2010-07-02 2017-09-27 리텔퓨즈 재팬 지.케이. Ptc 디바이스를 갖는 2차 전지
CN103081176B (zh) * 2010-07-22 2016-04-20 加拿大巴斯姆有限公司 电化学电池单元的集流端子
EP2426759B1 (en) * 2010-09-01 2014-12-31 FDK Twicell Co., Ltd. Battery
US9293756B2 (en) * 2010-09-17 2016-03-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39178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938249B2 (ja) * 2012-03-27 2016-06-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式鞍乗り型車両のバッテリユニット
US20170278600A1 (en) * 2013-03-28 2017-09-28 Littelfuse Japan G.K. Ptc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TWI504043B (zh) * 2013-07-22 2015-10-11 Simplo Technology Co Ltd 電池模組的封裝結構
CN103426681B (zh) * 2013-08-30 2016-06-22 蒋闯 可控可锁定保护开关、开关控制系统及锂电池
US10396339B1 (en) 2015-04-07 2019-08-27 Apple Inc. Bi-metal battery tab
KR101912004B1 (ko) * 2015-04-30 2018-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메탈 탭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개선시킨 리튬 이차전지
US10431853B2 (en) * 2017-05-02 2019-10-01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features and components
CN207818642U (zh) 2017-12-22 2018-09-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及电动汽车
CN115133238A (zh) * 2018-01-23 2022-09-30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及其制备方法
CN112753086B (zh) * 2018-10-25 2024-05-24 柏恩氏株式会社 二次电池电路及其制造方法
CN109786880B (zh) * 2019-01-23 2023-11-10 成都市银隆新能源产业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测试电池内部温度的方法
CN112968256A (zh) * 2021-02-03 2021-06-15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113893411B (zh) * 2021-12-10 2022-10-21 杭州未名信科科技有限公司 多级电渗微泵
CN115020931B (zh) * 2021-12-30 2023-04-11 荣耀终端有限公司 电池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1413U (en) * 1994-07-18 2001-02-01 Murata Manufacturing Co Electronic apparatus and surface mounting devices therefor
WO1997006538A1 (en) * 1995-08-07 1997-02-20 K.K. Raychem Ptc devic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JPH09106804A (ja)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WO1999039400A1 (en) * 1998-01-31 1999-08-05 Oglesbee John W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s for lithium-based rechargeable batteries
DE20005816U1 (de) * 2000-03-29 2000-07-13 VARTA Gerätebatterie GmbH, 30419 Hannover Elektrischer Akkumulator mit elektronischer Sicherheitsschutzschaltung
US6633222B2 (en) * 2000-08-08 2003-10-14 Furukawa Precision Engineering Co., Ltd. Battery breaker
JP2003077456A (ja) * 2001-09-03 2003-03-14 Gs-Melcotec Co Ltd 保護素子及び電池
JP4056239B2 (ja) * 2001-09-28 2008-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過電流又は加熱制限素子及びこの素子を用いた電池
JP2003282046A (ja) * 2002-03-27 2003-10-03 Sanyo Gs Soft Energy Co Ltd 電 池
KR100567956B1 (ko) * 2003-03-24 2006-04-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팩 전지 및 팩 전지의 이상 검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8978B2 (en) 2013-08-30 2016-11-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6302A1 (en) 2005-12-01
CN100375318C (zh) 2008-03-12
JP2005347254A (ja) 2005-12-15
CN1705145A (zh) 2005-12-07
JP4527601B2 (ja) 2010-08-18
US7462416B2 (en) 2008-12-09
KR20050113983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432B1 (ko) 이차전지
KR100561308B1 (ko) 이차전지
EP182683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922474B1 (ko) 이차 전지
KR100551887B1 (ko) 이차전지
KR101094039B1 (ko)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870962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67923B1 (ko) 보호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EP2271192A2 (en) Protection circuit boar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KR100938896B1 (ko) 배터리 팩
US20040228061A1 (en) Protec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0795679B1 (ko) 이차전지
KR100947977B1 (ko) 이차 전지
KR100591430B1 (ko) 이차전지
KR100561311B1 (ko) 이차전지
KR20080035401A (ko) 리튬 이차전지
KR20090026420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4910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46519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094056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351723B1 (ko) 이차전지
KR100659865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3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