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0921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921B1
KR100590921B1 KR1019990025643A KR19990025643A KR100590921B1 KR 100590921 B1 KR100590921 B1 KR 100590921B1 KR 1019990025643 A KR1019990025643 A KR 1019990025643A KR 19990025643 A KR19990025643 A KR 19990025643A KR 100590921 B1 KR100590921 B1 KR 10059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ine
line
gate
redundancy
data b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880A (ko
Inventor
박지연
정유찬
고병권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9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9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 라인과 하부에 형성되는 리던던시 라인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및 절연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의 소정 부분에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데이터 버스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형성되는 리던던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리던던시 라인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는 부분에서 단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버스 라인의 리던던시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는 도2를 Ⅲ-Ⅲ'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라인 리던던시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도 4를 Ⅳ-Ⅳ'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 기판 11 - 게이트 버스 라인
12 - 게이트 절연막 13 - 리던던시 라인
15 - 데이터 버스 라인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단선 방지용 리던던시 라인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막대한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도 현저히 발전하는 추세이며, 디스플레이의 표시 성능도 크게 향상되었다.
그중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 패널은 그 성능이 급속하게 발전됨에 따라, 평판 TV 시스템 또는 휴대 컴퓨터용 고-정보량의 모니터와 같은 응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g1,g2,g3...)과 다수의 데이터 버스 라인(d1,d2,d3...)이 교차배열되어, 수개의 단위 화소(pix) 공간들을 한정한다.
이들 게이트 버스 라인(g1,g2,g3)과 데이터 버스 라인(d1,d2,d3) 각각의 교차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에는 액정 캐패시터(CLC)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단위 화소 수가 증가할수록, 게이트 버스 라인과 데이터 버스 라인의 교차되는 수가 증가되어, 단선이나 쇼트가 발생되기 쉽다.
종래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데이터 버스 라인(d) 하부에 투명 금속막으로 된 리던던리시 라인(r)을 형성한다. 이때, 도 2는 상기 도 1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즉, 절연 기판(1)에 게이트 버스 라인(g)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게이트 절 연막(2)을 형성한다. 그 다음, 게이트 절연막(2) 상부에 투명 금속막 및 불투명 금속막을 적층한후, 소정 부분 패터닝하여 리던던시 라인(r)과 데이터 버스 라인(d)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데이터 버스 라인(d) 하부에 리던던시 라인(r)을 배치하게 되면, 데이터 버스 라인(d)이 소정 부분 단선되더라도, 리던던시 라인(r)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 라인(d)의 신호가 용이하게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데이터 버스 라인을 하부에 리던던시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즉, 리던던시 라인(r)은 공지된 바와 같이 플로팅(floating)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내에 발생되는 정전기들을 쇼트링까지 전달하여 방전시키기 않고, 계속하여 축적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정전기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축적되어지면, 셀 내부에서 도전성 패턴의 일부가 터지게 되어, 패턴 파손을 유발한다.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g)과 교차되는 지점에서는 정전기들이 게이트 절연막(2)을 뚫고 게이트 버스 라인(g)로 흐르게 되어, 게이트 버스 라인(g)과 데이터 버스 라인(d)의 쇼트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 라인과 하부에 형성되는 리던던시 라인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및 절연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의 소정 부분에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데이터 버스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는 부분에서 단선되는 리던던시 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던던시 라인의 단선된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삼각형 형태이고, 상기 리던던시 라인은 ITO 막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단선 방지용으로 형성되는 리던던시 라인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리던던시 라인을 단선시키면서, 단선 부위를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하여, 정전기 발생시 단선부를 통하여 방전시키도록 한다.
이에따라, 정전기로 인한 패턴 파손 현상이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버스 라인 리던던시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Ⅳ-Ⅳ'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절연 기판(10) 상에 게이트 버스 라인(11)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버스 라인(15)은 게이트 버스 라인(11)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데이터 버스 라인(15)의 저부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15)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리던던시 라인(13)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리던던시 라인(13)은 게이트 버스 라인(11)과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단선되어 있고, 이 단선된 부분은 삼각형 형태를 취하도록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선부분의 삼각형의 꼭지점 부분과는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단면을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버스 라인(11)을 형성한다. 그 다음, 게이트 버스 라인(11)이 형성된 절연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12)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12)은 정전기 방전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유전율 절연막, 예를들어 SiO2/SiON/SiNx의 적층막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12) 상부에 게이트 버스 라인(11)과 교차되도록 리던던시 라인(13)을 형성한다. 이때, 리던던시 라인(13)은 게이트 버스 라인(11)과 교차되는 점에서는 단선되며, 그 단부의 평면 형태가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리던던시 라인(13) 상부에 데이터 버스 라인(15)을 형성한다. 여기서, 데이터 버스 라인(15)은 게이트 버스 라인(11)과의 교차부에서도 단선되지 않고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와같이 리던던시 라인을 구성하면, 리던던시 라인(13)에 축적된 정전기들 이 단선된 부분에서 방전되므로, 정전기 축적으로 인한 패턴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리던던시 라인(13)의 단선 부분이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삼각형의 꼭지점 부분을 통하여 정전기가 방출된다. 이에따라, 정전기를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리던던시 라인(13)의 형성으로, 데이터 버스 라인(15)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단선 방지용으로 형성되는 리던던시 라인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리던던시 라인을 단선시키면서, 단선 부위를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하여, 정전기 발생시 단선부를 통하여 방전시키도록 한다.
이에따라, 정전기로 인한 패턴 파손 현상이 방지된다.
기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및 절연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의 소정 부분에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데이터 버스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교차되는 부분에서 단선되는 리던던시 라인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시 라인의 단선된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삼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시 라인은 ITO 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SiO2/SiON/SiNx의 적층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90025643A 1999-06-30 1999-06-30 액정 표시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9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43A KR100590921B1 (ko) 1999-06-30 1999-06-30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43A KR100590921B1 (ko) 1999-06-30 1999-06-30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80A KR20010004880A (ko) 2001-01-15
KR100590921B1 true KR100590921B1 (ko) 2006-06-19

Family

ID=1959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643A Expired - Lifetime KR100590921B1 (ko) 1999-06-30 1999-06-30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9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98A (ja) * 1991-06-27 1993-01-14 Casio Comput Co Ltd 薄膜素子形成パネル
JPH06160904A (ja) * 1992-11-26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8286213A (ja) * 1995-04-18 1996-11-0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9990032457A (ko) * 1997-10-18 1999-05-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98A (ja) * 1991-06-27 1993-01-14 Casio Comput Co Ltd 薄膜素子形成パネル
JPH06160904A (ja) * 1992-11-26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8286213A (ja) * 1995-04-18 1996-11-0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9990032457A (ko) * 1997-10-18 1999-05-15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80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7524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692485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lectrostatic protection
CN109920935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377874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725344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0604800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8332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96989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1504503A (zh) 像素阵列、液晶显示面板以及光电装置
CN112670270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1004500A (zh) 一种具有防静电导网的lcd基板
US2024028086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US20040036830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043162A1 (en) LCD sheet and LCD panel
CN111403467A (zh) 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861881B2 (en) Array substrate
KR20220145820A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
CN106646979A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0590921B1 (ko) 액정 표시 장치
CN201015017Y (zh) 具有防静电保护结构的lcd基板
KR100303352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0957717B2 (en) Pixel array
US11251204B2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repairing same, and display device
KR10050209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정전기 보호 회로
CN103472645A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0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2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