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690B1 -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7690B1 KR100587690B1 KR1020040081561A KR20040081561A KR100587690B1 KR 100587690 B1 KR100587690 B1 KR 100587690B1 KR 1020040081561 A KR1020040081561 A KR 1020040081561A KR 20040081561 A KR20040081561 A KR 20040081561A KR 100587690 B1 KR100587690 B1 KR 100587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address
- address buffer
- state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7b는 도 7a에서의 커맨드신호와 어드레스신호의 입력 시점을 갖는 경우 어드레스신호의 입력이 동작제어신호의 입력과 대체로 동일하도록 하는 지연부가 구비된 경우를 보인 블록도.
여기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위한 콘트롤러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는 신호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서 외부 어드레스 신호선과 어드레스 버퍼로부터 연결되는 신호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 버퍼 회로는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중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보다 늦거나 같게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 및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될 때 논리 조합되어지는 메모리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 제어신호는 칩 선택신호(CSB),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 중의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 레벨이거나,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WEB)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상태의 동작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낸드 응답은 상기 제1낸드 연산부(14)의 연산 결과이고, 상기 제1낸드 연산부(14)는 낸드 게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앤드(AND) 게이트와 인버터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고, 노어(NOR) 게이트 및 인버터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모리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낸드 응답만 출력할 수 있다면 무방하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에서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럭신호(CLK), 커맨드신호(CMD),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CONT), 어드레스신호(ADD)가 도시되어져 있다. 여기서 A는 임의의 어드레스신호이고, td는 상기 커맨드신호(CMD)가 어드레스 버퍼 제어부를 경유함에 의해 발생하는 지연시간(delay time)이다. 그리고, 비동작 구간(NOP), 메모리 셀에의 억세스 구간(command)이 도시되어져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어드레스 버퍼 제어부에 의한 제어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외부 어드레스신호(Ext.An)가 정상적인 외부 어드레스신호의 입력보다 늦은 지연입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CONT)의 발생시점에서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10)로 입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CONT)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Ext.An)가 입력되도록 하여, 원하는 메모리 셀에의 억세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Ext.An)는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보다 먼저 입력되지 않으면 되므로,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보다 늦게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10)로 입력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에는 커맨드 신호와 어드레스 신호의 입력시점을 대체로 동일하게 할 때 즉 통상적인 커맨드 신호와 어드레스 신호의 입력 상태이고, 도 7b에는 도 7a와 같은 타이밍 특성을 갖는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구성인 입력 콘트롤러(50), 반도체 메모리 장치(52) 및 지연부(54)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Claims (2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회로에 있어서:동작 제어신호의 제1상태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버퍼링된 내부 어드레스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동작 제어신호의 제2상태에 응답하여 동작이 차단되는 어드레스 버퍼부와;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될 때 논리 조합되어지는 메모리 제어 신호 중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가 모두 하이 레벨로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 억세싱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비동작 구간에서는 상기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억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구간에서는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삭제)
- (삭제)
- (삭제)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회로에 있어서:동작 제어신호의 제1상태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버퍼링된 내부 어드레스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동작 제어신호의 제2상태에 응답하여 동작이 차단되는 어드레스 버퍼부와;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될 때 논리 조합되어지는 메모리 제어 신호 중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가 모두 하이 레벨로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 억세싱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비동작 구간에서는 상기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억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구간에서는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부와;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에서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의 전단에 연결된 지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연부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보다 늦거나 같게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어드레스 버퍼부에 인가되어 내부 어드레스신호로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에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어드레스 버퍼부의 동작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에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에서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딜레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딜레이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의 전단에 연결된 지연부를 경유하여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딜레이 단계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정상적인 외부 어드레스신호의 입력보다 늦은 지연입력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시점에서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지연부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신호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보다 늦거나 같게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지연입력은 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의 발생보다 늦거나 같게 상기 어드레스 버퍼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 및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될 때 논리 조합되어지는 메모리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메모리 제어신호는 칩 선택신호(CSB),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 레벨이거나,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상태의 동작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중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연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위한 콘트롤러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는 신호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연부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에서 외부 어드레스 신호선과 어드레스 버퍼부로부터 연결되는 신호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상태의 동작 제어신호 및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는 칩 선택신호(CSB),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B),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B) 및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B)가 상기 어드레스 버퍼 제어부로 입력되어져 생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 중 칩 선택신호(CSB)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2상태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버퍼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1561A KR100587690B1 (ko) | 2004-10-13 | 2004-10-13 |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US11/232,175 US7580318B2 (en) | 2004-10-13 | 2005-09-21 | Address buffe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1561A KR100587690B1 (ko) | 2004-10-13 | 2004-10-13 |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2671A KR20060032671A (ko) | 2006-04-18 |
KR100587690B1 true KR100587690B1 (ko) | 2006-06-08 |
Family
ID=3614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15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690B1 (ko) | 2004-10-13 | 2004-10-13 |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580318B2 (ko) |
KR (1) | KR1005876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2048B1 (ko) | 2007-05-14 | 2009-06-1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장치의 어드레스 수신회로 |
KR100935601B1 (ko) * | 2008-04-10 | 2010-01-0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제어회로 |
KR101008990B1 (ko) | 2008-12-05 | 2011-01-1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버퍼인에이블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입력회로 |
KR20110083859A (ko) * | 2010-01-15 | 2011-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버퍼를 갖는 메모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KR101878902B1 (ko) | 2011-10-04 | 2018-07-17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EP3447770B1 (en) * | 2013-11-11 | 2022-01-05 | Rambus Inc. | High capacity memory system using standard controller component |
KR20150135004A (ko) | 2014-05-23 | 2015-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드레스 미러링 기능을 갖는 메모리 모듈 |
US20250013387A1 (en) * | 2023-07-05 | 2025-01-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copy command execution in data storage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0891A (ko) * | 1996-12-31 | 1998-10-07 | 김영환 | 전력 절감용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현 방법 |
KR20030021733A (ko) * | 2001-09-07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드레스 버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KR20030026056A (ko) * | 2001-09-24 | 2003-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칩선택 출력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5369A (en) * | 1981-08-21 | 1983-05-24 | Mostek Corporation | Semiconductor memory address buffer having power down mode |
JPS6212991A (ja) * | 1985-07-10 | 1987-01-21 | Fujitsu Ltd | 半導体記憶装置 |
US5124584A (en) * | 1990-10-22 | 1992-06-23 |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 Address buffer circuit with transition-based latching |
US5384745A (en) * | 1992-04-27 | 1995-01-24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JP3708729B2 (ja) * | 1998-11-18 | 2005-10-19 | 富士通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US6166991A (en) | 1999-11-03 | 2000-12-26 | Cypress Semiconductor Corp. | Circuit,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synchronous integrated circuit |
JP2001297584A (ja) * | 2000-04-13 | 2001-10-26 | Nec Corp | 半導体記憶装置の昇圧回路 |
US6519188B2 (en) | 2000-12-18 | 2003-02-11 | Hynix Semiconductor Inc. |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ff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2004
- 2004-10-13 KR KR1020040081561A patent/KR10058769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9-21 US US11/232,175 patent/US758031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0891A (ko) * | 1996-12-31 | 1998-10-07 | 김영환 | 전력 절감용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현 방법 |
KR20030021733A (ko) * | 2001-09-07 | 2003-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드레스 버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KR20030026056A (ko) * | 2001-09-24 | 2003-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칩선택 출력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2671A (ko) | 2006-04-18 |
US20060077748A1 (en) | 2006-04-13 |
US7580318B2 (en) | 2009-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40048B1 (en) | Synchronous type semiconductor memory system with less power consumption | |
US5581512A (en) |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 |
US6845055B1 (en) |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transitioning from a power-down state in a synchronous mode to a standby state in an asynchronous mode without setting by a control register | |
US7471578B2 (en) |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ontrol circuit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ing the same | |
EP0665484A2 (en) | Power reducing circuit for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 |
JP2010277666A (ja)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これを制御するメモリコントローラ、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 |
US6996023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ctive mode | |
US6337833B1 (en) | Memory device | |
US629242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refresh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2009181638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JPH09147553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KR100587690B1 (ko) | 어드레스 버퍼 회로 및 어드레스 버퍼 제어방법 | |
KR19990003680A (ko) | 데이터 입출력 마스크 입력버퍼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장치 | |
JP2002056673A (ja) | 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半導体記憶装置 | |
US6188639B1 (en)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 |
US6462993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
JPH0785678A (ja) | 半導体集積回路 | |
JP5315739B2 (ja) | メモリ装置、メモリ制御方法 | |
JPH05334879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7834675B2 (en) | Clock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 |
US5940330A (en) |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lock input buffers | |
KR100527552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 |
JP5563183B2 (ja) |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 |
US7652933B2 (en) | Voltage genera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US5812485A (en) | Synchronous graphic RAM having block write control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