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292B1 - Basket structur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asket structure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6292B1 KR100586292B1 KR1020040079581A KR20040079581A KR100586292B1 KR 100586292 B1 KR100586292 B1 KR 100586292B1 KR 1020040079581 A KR1020040079581 A KR 1020040079581A KR 20040079581 A KR20040079581 A KR 20040079581A KR 100586292 B1 KR100586292 B1 KR 100586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ket
- vehicle
- headlight
- cover
- cargo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above or alongsid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바스켓에 충분한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하여, 적재한 화물의 지지를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부착부가 보이기 힘들게 하여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전방부에 헤드라이트(52)와 바스켓(61)을 포함한다. 헤드라이트(52) 위에 바스켓(61)이 배치된다. 바스켓의 바닥부(64)가 거의 수평으로 구성된다. 바스켓을 차체 커버(24)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부(77)가 바닥부(64)에 형성된다. 바닥부(64)의 전방에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팽창부(65)가 성형된다. 팽창부에 의해서 전방에서 부착부(77)가 보이기 어렵게 된다. 바스켓은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63)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74)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의 전면의 높이가 증가하여, 바스켓에 적재한 화물의 지지면이 늘어나, 화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sufficient cargo loading space in a basket of a vehicle, to ensure the support of loaded cargo, and to make the attachment part of the basket hard to be seen,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design. The motorcycle 10 includes a headlight 52 and a basket 61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The basket 61 is disposed on the headlight 52. The bottom 64 of the basket is configured almost horizontally. A plurality of attachment portions 77 for attaching the basket to the vehicle body cover 24 ar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64. An inflation portion 65 that swells downward in front of the bottom portion 64 is molded. By the inflation portion, the attachment portion 77 becomes difficult to see from the front. The basket is integrally molded from a resin material. The front edge of the basket and the upper edge 74 constituting the opening face 63 of the basket are shaped so as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from the side.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ket increases,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cargo loaded on the basket increases, so that the cargo does not fall easil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motorcycle employing a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측면도이다. 3 is a side view of a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바스켓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a basket of a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바스켓의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of the basket of the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2의 선 7-7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에 채용한 롤 스크린의 권취 롤의 단면도이다.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winding roll of the roll screen employ | adopted for the vehicle basket structur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9는 도 2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롤 스크린의 작용 설명도이다.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roll screen of the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차량용 바스켓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11 is a side 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baske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량(자동 이륜차)10: vehicle (motorcycle)
12 : 헤드파이프 12: head pipe
15 : 핸들15: handle
24 : 차체 커버 24: body cover
36 : 핸들 포스트36: handle post
37 : 핸들 커버 37: handle cover
52 : 헤드라이트52: headlight
53 : 벌브53: bulb
60 : 차량용 바스켓 구조60: vehicle basket structure
61 : 바스켓 61: basket
62 : 롤 스크린62: roll screen
63 : 개구면63: opening surface
64 : 바닥부64: bottom part
65 : 팽창부(앞 팽창부)65: inflation (front inflation)
66 : 팽창부(좌우 팽창부)66: expansion portion (left and right expansion portion)
67 : 벽부(전벽부)67 wall part (front wall part)
68 : 벽부(좌우 벽부)68: wall (left and right wall)
71 : 그물면부(앞 그물면부)71: net surface portion (front net surface portion)
72 : 그물면부(좌우 그물면부)72: net surface portion (left and right net surface portion)
74 : 상부 가장자리 74: upper edge
75 : 금속제 보강 부재75: metal reinforcing member
76 : 전면 76: front
77 : 부착부77: attachment
86 : 권취 롤86: winding roll
87 : 스크린87: screen
89 : 커버체 89: cover body
95 : 차양95: Shades
96 : 연장부 96: extension part
115 : 축 115: axis
본 발명은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을 증가시켜, 바스켓 내의 적재 화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스켓의 부착 부분을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that can increase the cargo loading volume of the basket, prevent the loading of cargo in the basket from falling down, and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y making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ket invisible.
차량용 바스켓 구조로서, 핸들의 핸들 포스트의 주위를 차체 커버로 덮고, 이 차체 커버의 전방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을 배치한 것이 실용에 쓰이고 있다. As a vehicle basket structure, it is practically used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handle post of a steering wheel with a vehicle body cover, and arrange | position the basket which loads cargo in front of this vehicle body cover.
이러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로서 스쿠터형 차량의 핸들 전방에 바스켓을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 As such a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it is known to arrange a basket in front of a steering wheel of a scooter type vehicle (see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163454호 공보(제9페이지, 도 3)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53454 (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3163452호 공보(제9페이지, 도 3)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3,345,2 A (
도 11은 종래 바스켓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량용 바스켓 구조(200)는 헤드 파이프(201)에 핸들 포스트(202)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핸들 포스트(202)의 주위를 차체 커버(205)로 덮어, 차체 커버(205)의 전방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206)을 배치하고, 바스켓(206)의 개구면(207)을 덮는 롤 스크린(롤 스크린 조립체)(208)을 배치하고, 바스켓(206)의 하부에 헤드라이트(209)를 배치하여, 헤드라이트(209)의 후방에 후방 하강 구배로 된 바스켓(206)의 부착부(211)를 성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11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asket. For example, the
도 11에서 참조부호 212는 바스켓(206)의 전면, 213은 바스켓(206)의 바닥, 214는 롤 스크린(208)의 권취 롤을 각각 나타낸다. In FIG. 1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량용 바스켓 구조(200)에서는, 헤드라이트(209)의 후방에 후방 하강 구배의 바스켓(206)의 부착부(211)를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바스켓(206)의 부착부(211)를 별도의 커버 부재에 의해 전방 혹은 측방에서 보이기 힘들게 하는 고안이 필요했다. However, in the
따라서,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부착부가 보이기 힘들게 함으로써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obtain a vehicle basket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load capacity of the basket and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basket hard to be seen,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design.
한편,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량용 바스켓 구조(200)에서는, 바스켓(206)의 바닥(213)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강하면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바스켓 내에서 적재 화물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바스켓(206)의 개 구면(207)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강하는 구배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바스켓의 적재 용량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따라서, 바스켓 내의 적재 화물의 위치 어긋남이 적고, 적재 용량을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obtain a vehicle basket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load cargo in the basket is small and the load capacity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바스켓 내의 적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부착부가 보이기 힘들게 하여,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basket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load capacity in the basket, and to provide a vehicle basket structure that makes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ket hard to be seen and can improve the appearance design. .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바스켓 내의 적재 화물의 위치 어긋남이 적고, 적재 용량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ket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loaded cargo in the basket is small and the loading capacity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기재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a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청구항 1의 차량용 바스켓 구조의 발명에서는, 차체 전방부에 헤드라이트와 그 헤드라이트의 상부에 바스켓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바스켓의 바닥부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하고, 바스켓을 차체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바닥부에 형성하여, 그 바닥부의 전방에 바닥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팽창부를 성형하고, 팽창부와 헤드라이트의 상부를 근접시켜 전방에서 부착부가 보이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the vehicle basket structure of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바스켓의 유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바스켓의 부착부를 보이기 어렵게 하는 것은 바스켓의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Increasing the cargo loading capacity of the baske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baske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ttaching part of the basket difficult to be seen because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그래서, 바스켓의 바닥부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 바스켓을 차체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바닥부에 형성하고, 바스켓의 바닥부의 전방에 바닥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팽창부를 성형하여, 이 팽창부와 헤드라이트의 상부를 근접시켜 전방에서 부착부가 보이지 않도록 구성했다. Therefore,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ket is formed almost horizontally, and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basket to the vehicle body cover is formed at the bottom portion, and an inflation portion that swells below the bottom portion in front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ket is formed to form the expansion portion. Th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headlight we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attachment part was not seen from the front.
바스켓의 바닥부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함으로써, 바스켓 내의 적재 화물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bottom of the basket almost horizontally, the loads in the basket can be kept horizontal.
바스켓을 차체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바닥부에 형성하고, 이 바닥부의 전방을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팽창부를 성형함으로써, 이 팽창부에 의해 전방에서 부착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바스켓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basket to the vehicle body cover is formed at the bottom, and by forming the inflation portion that swells the front of the bottom portion downward, the expansion portion can be placed in the basket while making the attachment portion invisible from the front. The amount of cargo can be increased.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팽창부를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부착부를 측면에서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2, it is possible to make the attachment part invisible from the side by forming the expansion part in a U-shape in plan view.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팽창부의 바닥을 전방을 향하여 점차 하강 구배로 구성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의 상부를 하강 구배를 따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cargo loading volume of the basket can be increased by constructing the bottom of the inflation section gradually in the downward gradient, and simultaneously configu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light to follow the downward gradient.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팽창부의 바닥의 하강 구배가 측면에서 보아 헤드 라이트의 벌브 위치 부근에서 전방을 향해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헤드라이트의 설계에 규제를 가하는 일은 없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descending gradient of the bottom of the inflation portion starts to gradually descend toward the front near the bulb position of the headlight as viewed from the side. As a result, no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design of the headlights.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에 기재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a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에 바스켓이 일체로 부착되고, 바스켓이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바스켓이 충분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한 화물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은 차량의 바스켓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sket can load a sufficient amount of cargo, and that the baske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upporting the loaded cargo.
그래서, 바스켓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했다. Thus, the basket was integrally molded with a resin material, and the basket was molded such that the front edge of the basket and the upper edge constituting the opening face of the basket we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바스켓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바스켓의 전면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에 적재한 화물을 지지하는 면을 늘려, 화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한다.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ket by integrally molding the basket with a resin material and simultaneously molding the front edge of the basket and the upper edge constituti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ket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Accordingly, the surface for supporting the cargo loaded in the basket is increased, so that the cargo does not fall easily.
또한, 바스켓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바스켓의 전방부를 각진 상자형으로 하여, 바스켓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ket is integrally molded with a resin material, and the front edge of the basket and the upper edge constituting the opening face of the basket are formed to be almos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rom the side,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basket is formed in an angled box shape, and the basket is rigid. Can improve.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의 상부 가장자리의 소정 범위에 금속제 보강 부재를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6, the metal reinforc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바스켓의 상부 가장자리의 소정 범위에 금속제 보강 부재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바스켓의 중량 증가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바스켓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By integrally forming a metal reinforcing member 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the rigidity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weight increase of the basket to the minimum.
청구항 7 및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은 바닥부와, 그 바닥부에서부터 기립하는 벽부와, 그 벽부의 상측에 그물면으로 성형한 그물면부로 이루어지고, 벽부 및 그물면부의 경계선을 측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서 상승 구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바스켓을 바닥부와, 이 바닥부에서부터 기립하는 벽부와, 이 벽부의 상부에 그물면으로 성형한 그물면부로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차체 커버 측에 바스켓의 바닥부를 부착하도록 하는 경우에 충분한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basket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a wall portion standing up from the bottom portion, and a net surface portion molded into a mesh surfa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portion, so that sufficient adhesion strength is achieved, for example, when the bottom portion of the basket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cover side. It can be ensured and the weight of the basket can be reduced.
벽부 및 그물면부의 경계선을 측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 상승 구배로 구성함으로써, 바스켓의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all and the net surface portion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side,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의 전면 상부에 가로로 긴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of
바스켓에 전면 상부에 가로로 긴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바스켓의 개구면을 덮는 롤 스크린 등을 걸어 두는 데에 이 관통 구멍을 사용하는 경우에, 롤 스크린을 용이하게 걸어 둘 수 있게 한다. By forming a long horizontal through hole in the basket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rface, it is possible to easily hang the roll screen, for example, when the through hole is used to hang a roll screen or the like that covers the opening face of the basket.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meantime, the drawings are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sign.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0)는 스쿠터형 차량으로, 그 주요한 구성으로서, 차체 프레임(11)과, 차체 프레임(11)의 헤드 파이프(12)에 부착한 프론트 포크(13)와, 프론트 포크(13)에 부착한 전륜(14)과, 프론트 포크(13)에 연결한 핸들(15)과, 차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 부착한 스윙식 파워 유닛(16)과, 파워 유닛(16)의 후방부에 부착한 후륜(17)과, 차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 파워 유닛(16)을 현가하는 리어 서스펜션(18)과, 차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 부착한 물품 수납부(21)와, 물품 수납부(21)의 상부에 부착한 시트(22)와, 물품 수납부(21)의 후방에서 차체 프레임(11)의 후방 상부에 부착한 연료 탱크(23)와, 차체 프레임(11)을 덮는 차체 커버(보디 커버)(24)를 포함한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motorcycle employing a vehicle bas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차체 프레임(11)은 앞 프레임(26)과 뒤 프레임(27)으로 전후 이분할된 분할 프레임이다. 파워 유닛(16)은 물품 수납부(21) 및 시트(22)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전방부의 엔진(28)과 후방부의 무단변속기(29)의 조합 구조이다. 엔진(28)은 실린더를 차체 전방을 향해서 거의 수평으로 배치한 단기통 4 사이클 수냉식 엔진이다. 무단변속기(29)는 예컨대 벨트식 변속기이다. The
도 1은 후륜(17)의 좌측 쪽에 에어 클리너(31)를 배치하고, 이 에어 클리너(31)를 파워 유닛(16)의 후방 상부에 장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 32는 에어 클리너(31) 및 엔진(28) 사이에 배치한 카부레터, 33은 엔진으로부터 뻗어 나온 배기관, 34는 배기관(33)에 접속한 머플러이다. 또, 물품 수납부(21)는 헬멧(35) 등의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이다. FIG. 1: shows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핸들(15)은 헤드 파이프(12)에 핸들 포스트(3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핸들 포스트(36)에 고정되는 동시에 핸들 커버(37)로 덮인다. The
차체 커버(24)는 헤드 파이프(12) 및 핸들 포스트(36)의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커버(41)와, 운전자의 다리부를 덮기 위한 레그 실드(42)와, 핸들 포스트(36) 및 핸들 포스트(36)의 후방부를 덮는 핸들 포스트 리어측 커버(43)와,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기 위한 스텝 플로어(44)와, 스텝 플로어(44)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차체 프레임(11)의 하부를 덮는 언더 커버(45)와, 차체 프레임(11)의 후반부를 덮는 리어 사이드 커버(46)를 포함한다. The body cover 24 includes a
도 1에서 참조부호 51은 프론트 서스펜션, 52는 프론트 커버(41)의 상부에 배치한 헤드라이트, 54는 전륜(14)을 덮는 프론트 펜더, 55는 메인 스탠드, 56은 리어 펜더이다. In Fig. 1,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충분한 화물 적재 용적량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한 화물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 설명한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의 사시도이다.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61)과, 바스켓(61)의 상부 후방에 부착되어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덮는 롤 스크린(롤 스크린 조립체)(62)을 포함한다. 바스켓(61)은 상술한 핸들 커버(37), 프론트 커버(41), 핸들 포스트 리어측 커버 (43) 및 헤드라이트(52)의 주위에 배치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의 측면도이다. 바스켓(61)은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바스켓(61)의 중앙 바닥부(64)의 주위에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앞 팽창부(65)와 좌우로 부풀어 나오는 좌우 팽창부(66, 66)를 포함하는 팽창부가 바스켓(61)에 성형되어, 이들 앞 팽창부(65)로부터 벽부로서의 전벽부(67)가 성형된다. 좌우 팽창부(66, 66)로부터 벽부로서의 좌우 벽부(68, 68)가 각각 성형되어, 이들 전벽부(67)로부터 그물면부로서의 앞 그물면부(71)가 성형된다. 좌우 벽부(68, 68)로부터 그물면부로서의 좌우 그물면부(72, 72)가 각각 성형되고, 바닥부(64)의 후방 및 좌우 팽창부(66, 66)의 후방에서 후벽부(73)가 성형된다. 이들의 후벽부(73), 앞 그물면부(71) 및 좌우 그물면부(72, 72)의 각 꼭대기부에 상부 가장자리(74)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74)의 전측 및 양측(좌우)에 금속제 보강 부재(75)가 매립된다. 3 is a side view of a
또, 바스켓(61)은 개구면(63)을 성형하는 상부 가장자리(74)와 전면(76)[전벽부(67) 및 앞 그물면부(71)]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으로 구성된다. 벽부(68) 및 그물면부(72)의 경계선(C)이 측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서 상승 구배로 성형된다. 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를 구성하는 바스켓(61)의 평면도이다. 바스켓(61)은 바닥부(64)의 전방에 앞 팽창부(65)가 성형되고, 바닥부(64)의 좌우 측방에 좌우 팽창부(66, 66)가 성형된다. 한편, 앞 팽창부(65) 및 좌우의 팽창부(66, 66)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4 is a plan view of the
바닥부(64)는 거의 수평으로 성형된다. 바스켓(61)을 프론트 커버(41)(도 2 참조)에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부(77)가 바닥부(64)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부착부(77)는 프론트 커버(41)(도 2 참조)에 부착한 상태에서 헤드라이트(5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후벽부(73)는 프론트 커버(4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78, 78)이 형성되어 있다. The bottom 64 is shaped almost horizontally. A plurality of
상부 가장자리(74)는 롤 스크린(62)으로 개구면(63)을 덮을 때에 롤 스크린(62)(도 2 참조)을 걸어 고정하는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이 앞쪽에 성형되고, 후방부 좌우에 롤 스크린(62)을 걸어 고정하는 계지 부재(81, 81)가 성형된다. 또한, 보강 부재(75)는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보다도 큰 구멍(82)을 갖는다. The
도 5는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를 구성하는 바스켓(61)의 정면도이다. 바스켓(61)의 바닥부(64)의 좌우 측방에 좌우 팽창부(66, 66)가 형성되고, 바스켓(61)의 상부 가장자리(74)의 전면에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이 형성된다. 5 is a front view of the
바스켓(61)은 그 상부 가장자리(74)의 전면(전면 상부)에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덮는 롤 스크린(62) 등을 걸어 두는 데에 관통 구멍(79)을 사용하는 경우에, 롤 스크린(62)을 관통 구멍(79)에 쉽게 걸어 둘 수 있게 하여, 가로로 길기 때문에 관통 구멍(79)에 롤 스크린(62)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롤 스크린(62)을 강고하게 걸어 둘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의 측면 단면도이다. 차량 용 바스켓 구조(60)는 바스켓(61)이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41)에 일체로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동 이륜차(차량)(10)는 헤드 파이프(12)에 핸들 포스트(36)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핸들 포스트(36)에 핸들(15)(도 1 참조)을 부착하여, 핸들(15)을 핸들 커버(37)로 덮고, 핸들 포스트(36)의 주위를 차체 커버(24)로 덮어, 차체 커버(24)의 전방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61)을 배치하고, 바스켓(61)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여, 바스켓의 전면(76)과 개구면(63)을 성형하는 상부 가장자리(74)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예컨대, 충분한 화물 적재 용적을 확보하여, 적재한 화물을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은 차량의 바스켓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이다. 그래서, 바스켓(61)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여, 전면(76)과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성형하는 상부 가장자리(74)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바스켓(61)의 전면의 높이를 늘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61)에 적재한 화물을 지지하는 면을 늘릴 수 있어, 화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바스켓(61)에 적재한 화물의 위치 어긋남이 적고, 적재 용적을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cure a sufficient cargo loading volume and to reliably support the loaded cargo because the basket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used. Thus, the
또한, 바스켓(61)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전면(76)과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성형하는 상부 가장자리(74)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바스켓(61)의 전방부를 각진 상자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6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바스켓(61)을 상부 가장자리(74)의 소정 범위에만 금속제 보강 부재(75)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체 성형함으로써, 바스켓(61)의 중량 증가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바스켓(61)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e
또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에 있어서는, 바스켓(61)이 바닥부(64)와, 바닥부(64)로부터 기립하는 전벽부(벽부)(67) 및 좌우 벽부(68, 68)와, 이들 전벽부(67) 및 좌우 벽부(68, 68)(한 쪽의 68만 도시)의 상부에 그물면으로 성형한 앞 그물면부(그물면부)(71) 및 좌우 그물면부(72, 72)를 포함한다. 이들 벽부(68) 및 그물면부(72)의 경계선(C)이 측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서 상승 구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프론트 커버(41)(차체 커버(24)측)에 바스켓(61)의 바닥부(64)를 부착하도록 하는 경우에, 충분한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C)의 상승 구배에 의해서, 바스켓(61)의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참조부호 53은 헤드라이트의 벌브를 나타낸다. Moreover, in the
자동 이륜차(차량)(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12)에 핸들 포스트(36)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핸들 포스트(36)에 핸들(15)(도 1 참조)을 부착하여, 핸들(15)을 핸들 커버(37)로 덮고, 핸들 포스트(36)의 주위를 차체 커버(24)로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차체 커버(24)의 전방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61)을 배치하고, 바스켓(61)의 하부에 헤드라이트(52)를 배치하고, 헤드라이트(52)의 후방 또 차체 커버(24)에 바스켓(61)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부(77)를 거의 수평으로 형성하며, 바스켓(61)의 바닥부에 부착부(77)의 주위를 덮는 앞 팽창부(팽창부)(65) 및 좌우 팽창부(66, 66)(도 5 참조)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torcycle (vehicle) 10 is freely rotatably attached to the
환언하면,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차체 전방부에 헤드라이트(52)와 바스켓(61)을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차량)(10)에 있어서, 헤드라이트(52) 위에 바스켓(61)을 배치하고, 이 바스켓(61)의 바닥부(64)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하여, 바스켓(61)을 차체 커버(24)(프론트 커버(4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부(77)를 바닥부(64)에 형성하고, 바닥부(64)의 전방을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게 함으로써 앞 팽창부(팽창부)(65)를 성형하여, 앞 팽창부(65)에 의해서 전방에서 부착부(77)가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other words, the
예컨대, 바스켓이 충분한 화물 적재 용적을 확보하는 것은, 바스켓의 유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이며, 바스켓의 부착부가 보이기 어렵게 하는 것은, 바스켓의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이다. For example, securing a sufficient cargo loading volume of the baske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basket, and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 attaching portion of the baske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mprove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basket. to be.
바스켓(61)의 바닥부(64)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함으로써 바스켓에 적재한 화물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의 적재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By constituting the
또, 바스켓(61)을 차체 커버(24)(프론트 커버(4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부(77)를 바닥부(64)에 형성하고, 이 바닥부(64)의 전방을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게 하여 앞 팽창부(팽창부)(65)를 성형함으로써, 앞 팽창부(팽창부)(65)에 의해 전방에서 부착부(77)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61)의 화물 적재 용적의 증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 주위의 외관 의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유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앞 팽창부(65) 및 좌우 팽창부(66, 66)로 팽창부를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복수의 부착부(77)를 측면에서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화물의 적재 용적을 더욱 늘릴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inflated portion into a U shape with the
앞 팽창부(팽창부)(65)의 바닥을 전방을 향해 점차 하강 구배로 구성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52)의 상부를 하강 구배를 따라가게 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바스켓(61)의 화물 적재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Since the bottom of the front inflation section (expansion section) 65 is configured to gradually descend toward the fron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앞 팽창부(팽창부)(65)의 바닥은 측면에서 보아 헤드라이트(52)의 벌브(53) 위치 부근에서부터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라이트(52)의 설계에 규제를 가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헤드라이트(52)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front inflation section (expansion section) 65 is gradually lowered from the vicinity of the bulb 53 position of the
이어서,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덮는 롤 스크린(62)을 설명한다. 롤 스크린(62)은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덮는 부재이며, 바스켓(61)에 부착한 지지 브래킷(85)과, 지지 브래킷(85)에 고정한 권취 롤(86)과, 권취 롤(86)에 빼내기가 자유롭게 일단을 감아 붙인 스크린(87)과, 스크린(87)의 타단에 부착한 스크린 홀더(88)와, 권취 롤(86) 및 권취 롤(86)에 감은 상태의 스크린(87)을 덮는 커버체(89)를 포함한다. Next, the
스크린 홀더(88)는 스크린(87)을 인출하는 홀더 본체(91)와, 홀더 본체(91) 에 스크린(87)의 타단을 누르는 누름 홀더(92)와, 누름 홀더(92)를 통해 홀더 본체(91)에 나사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 나사(93)(1개만 도시)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91)는 바스켓(61)의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에 거는 돌기부(94)를 갖는다. The
커버체(89)는 전단에 권취 롤(86)을 숨기는 차양(95)을 성형하여, 차양(95)을 스크린(87)의 거의 상면까지 연장시키는 동시에, 후단을 핸들 커버(37)의 아래쪽으로 숨어 들어가게 하는 연장부(96)를 성형한 부재이다. The
권취 롤(86)은 바스켓(61)과 프론트 커버(41) 사이에 설치되고, 권취 롤(86)의 축(115)을 프론트 커버(41)의 상단(41a)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또 핸들 커버(37) 측에 치우쳐 설치된다. 이하, 그 상세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The winding
도 7은 도 2의 선 7-7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지지 브래킷(85), 권취 롤(86) 및 스크린(87)의 단면을 도시한다. 지지 브래킷(85)은 좌단부(101)에 성형되어 있고 또 권취 롤(86)의 축(115)을 지지하는 지지 구멍(102)과, 우단부(103)에 성형되어 있고 또 권취 롤(86)의 축(115)을 지지하는 U자 홈(104)을 포함한다. 우단부(103)에 걸림판(105)을 나사(106) 및 너트(107)로 부착함으로써, 축(115)의 탈락 방지 및 회전 방지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2,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권취 롤(86)은 롤 본체(111)와, 롤 본체(111)의 좌우 단부에 끼운 좌우 컬러(113, 114)와, 좌우 컬러(113, 11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또 지지 브래킷(85)에 고정하는 축(115)과, 축(115)에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타단을 우측 컬러(114)에 지지시킨 복귀 스프링(116)을 포함한다. 권취 롤(86)은 스크린(87)을 인출할 수 있고 또 권취할 수 있게 유지한다. The winding
스크린(87)은 천, 부직포, 수지 필름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성형한 권취가 자유로운 부품이다. The
도 8은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에 채용한 롤 스크린(62)의 권취 롤(86)의 단면도이다. 권취 롤(86)은 지지 브래킷(85)에 축(115)을 고정하고, 이 축(115)에 좌우 컬러(113, 114)를 통해 롤 본체(111)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여, 축(115) 및 롤 본체(111) 사이에 복귀 스프링(116)을 개재시킴으로써, 인출한 스크린(87)을 자동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ke-
도 9는 도 2의 선 9-9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롤 스크린(62)의 측면 단면을 도시한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9-9 of FIG. 2, showing a side cross section of the
자동 이륜차(차량)(10)는 헤드 파이프(12)(도 1 참조)에 핸들 포스트(36)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핸들 포스트(36)에 핸들(15)을 부착하여, 핸들(15)을 핸들 커버(37)로 덮고, 핸들 포스트(36)의 주위를 차체 커버(24)로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이러한 자동 이륜차(차량)(10)에 있어서, 차체 커버(24)의 전방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61)이 배치된다. 롤 스크린(62)은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막는다. 롤 스크린(62)은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덮는 스크린(87)과, 스크린(87)을 권취하는 권취 롤(86)과, 권취 롤(86)을 덮는 커버체(89)를 포함한다. 권취 롤(86)은 바스켓(61)과 프론트 커버(41)(차체 커버(24)) 사이에 설치된다. 권취 롤(86)의 축(115)은 프론트 커버(41)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또한 핸들 커버(37) 측으로 치우쳐 설치된다. The two-wheeled vehicle (vehicle) 10 freely rotates the
예컨대, 충분한 화물 적재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바스켓의 유용성 향 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롤 스크린(62)의 권취 롤을 바스켓(61)과 프론트 커버(41)(차체 커버(24)) 사이에 설치하고, 권취 롤(86)의 축(115)을 프론트 커버(41)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또한 핸들 커버(37) 측으로 치우쳐 설치했기 때문에, 바스켓의 높이 및 바스켓의 전후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어, 바스켓(61)의 적재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ecure a sufficient cargo loading volume because the usability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The winding roll of the
또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커버체(89)의 후단에 성형한 연장부(96)를 핸들 커버(37)의 아래쪽으로 숨어 들어가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61)과 핸들 커버(37) 사이의 간극을 숨길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61) 및 핸들 커버(37) 주위의 외관 의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커버체(89)의 전단에 권취 롤(86)의 전방부를 덮는 차양(95)을 성형하여, 차양(95)을 스크린(87)의 거의 상면까지 연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87)을 바스켓(61)에 인출했을 때에, 전방에서 권취 롤(86)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롤 스크린(62)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Moreover, the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에 있어서의 롤 스크린(62)의 작용 설명도이며, 롤 스크린(62)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10a는 권취 롤(86)에 스크린(87)을 감아 붙인 상태의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를 도시한다. 권취 롤(86)로부터 스크린(87)을 화살표 a1 방향으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도 10b에서, 스크린 홀더(88)를 당겨, 스크린(87)을 화살표 a2 방향으로 인출하여, 스크린(87)에 의해 바스켓(61)의 개구면(63)을 서서히 덮는다. 도 10c에서, 스크린 홀더(88)를 화살표 a3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0b에 도시한 바스켓(61)의 가로로 긴 관통 구멍(79)에 돌기부(94)를 걸어 둔다. 한편, 관통 구멍(79)으로부터 돌기부(94)를 벗기면, 복귀 스프링(116)(도 8 참조)에 축적된 탄발력에 의해 스크린(87)은 권취 롤(86)에 자동적으로 권취된다. 10A to 10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10)에 채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차량은, 이륜차, 삼륜차 혹은 사륜차라도 좋다.Although the
본 발명의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기초한 차량용 바스켓 구조는, 스쿠터형 차량에 채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Regarding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asket structur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dopting to a scooter type vehicle.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의 바닥부를 거의 수평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바스켓에 적재한 화물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또한, 바스켓을 차체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바닥부에 형성하여, 이 바닥부의 전방에 아래쪽으로 부풀어 나오는 팽창부를 성형함으로써, 이 팽창부에 의해 전방에서 부착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의 증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 주위의 외관 의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유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basket to the vehicle body cover at the bottom and forming an inflation portion that swells downward in front of the bottom portion, the expansion portion can make the attachment portion invisible from the front,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argo loading volum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design around the basket can be improved and the usefulness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팽창부를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으로 성형했기 때문 에, 부착부를 측면에서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을 더욱 늘릴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2, since the expanded portion is shaped into a U shape in plan view, the attachment portion can be made invisible from the side, and the cargo loading volume of the basket can be further increased.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팽창부의 바닥을 전방을 향하여 점차 하강 구배로 구성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의 상부를 하강 구배를 따라가게 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바스켓의 화물 적재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bottom of the inflation portion is gradually configured to fall downwar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light is configured to follow the descending gradi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ad capacity of the basket can be increased. .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의 바닥이, 측면에서 보아 헤드라이트의 벌브 위치 부근에서부터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라이트의 설계에 규제를 가하는 것은 없다. 그 결과, 헤드라이트의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4,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design of the headlight by causing the bottom of the basket to gradually start descending from the vicinity of the bulb position of the headlight as viewed from the sid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headlight can be ensured.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바스켓의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했기 때문에, 바스켓의 전면의 높이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에 적재한 화물을 지지하는 면을 늘릴 수 있어, 바스켓 내의 화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의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또한, 바스켓을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는 동시에, 전면과 바스켓의 개구면을 구성하는 상부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직각이 되도록 성형했기 때문에, 바스켓의 전방부를 각진 상자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sket is integrally molded with a resin material and molded so that the front edge and the upper edge constituting the opening face of the basket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the front portion of the basket can be formed in an angled box shap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gidity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의 상부 가장자리의 소정 범위에, 금속제 보 강 부재를 일체 성형했기 때문에, 바스켓 중량의 증가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바스켓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바스켓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 6, since the metal reinforc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the basket rigidity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basket.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sket can be reduced in weight.
청구항 7 및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을 바닥부와, 이 바닥부에서부터 기립하는 벽부와, 이 벽부의 상부에 그물면으로 성형한 그물면부로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차체 커버 측에 바스켓의 바닥부를 부착하도록 하는 경우에 충분한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바스켓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s of
벽부 및 그물면부의 경계선을 측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서 상승 구배로 구성함으로써, 바스켓의 외관 의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basket can be improved by construct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net surface portion in a rising gradient from the side to the rear.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바스켓에 전면 상부에 가로로 긴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바스켓의 개구면을 덮는 롤 스크린 등을 걸어 두는 데에 관통 구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 스크린을 용이하게 걸어 둘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invention of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50148 | 2003-10-08 | ||
JP2003350149A JP4327550B2 (en) | 2003-10-08 | 2003-10-08 | Vehicle basket structure |
JPJP-P-2003-00350149 | 2003-10-08 | ||
JP2003350148A JP4353468B2 (en) | 2003-10-08 | 2003-10-08 | Vehicle basket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3835A KR20050033835A (en) | 2005-04-13 |
KR100586292B1 true KR100586292B1 (en) | 2006-06-08 |
Family
ID=3438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9581A KR100586292B1 (en) | 2003-10-08 | 2004-10-06 | Basket structure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6292B1 (en) |
CN (1) | CN100383008C (en) |
BR (1) | BRPI0404328B1 (en) |
FR (1) | FR2860764B1 (en) |
IT (1) | ITTO20040683A1 (en) |
TW (1) | TWI26288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62882B (en) * | 2003-10-08 | 2006-10-01 | Honda Motor Co Ltd | Basket structure of vehicle |
JP2010089580A (en) * | 2008-10-06 | 2010-04-22 | Yamaha Motor Co Ltd | Motorcycle |
JP2012197057A (en) * | 2011-03-23 | 2012-10-18 | Yamaha Motor Co Ltd | Motorcycle |
DE102013224554B4 (en) | 2013-11-29 | 2018-09-2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Luggage system for a scooter |
TWI838550B (en) * | 2020-06-30 | 2024-04-11 | 日商山葉發動機股份有限公司 | Tilt the vehi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4131B2 (en) | 1995-07-17 | 1997-10-15 | 株式会社豊和 | Bicycle luggage mounting device |
KR200283866Y1 (en) | 2002-05-01 | 2002-07-27 | 조명기 | A small wicker basket to adhesion structure for auto-cycle front |
JP2003040171A (en) | 2001-07-30 | 2003-02-13 | Rinei Kk | Edge cover for basket for vehicle, and basket for vehicle |
JP3403831B2 (en) | 1994-09-01 | 2003-05-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cooter type vehicle luggage storage device |
CN1605531A (en) | 2003-10-08 | 2005-04-13 |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 Basket structure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9293U (en) * | 1988-01-21 | 1989-06-14 | 金钦锵 | Portable vegetable basket for bicycle |
US5199619A (en) * | 1990-10-02 | 1993-04-06 | Mostashari Seyed M | Multi functional carrier pack for attachment to front handlebar of bicycle (bike pal) |
JPH11245866A (en) * | 1992-01-13 | 1999-09-14 | Yamaha Motor Co Ltd | Scooter-type motorcycle |
JP3163453B2 (en) * | 1992-01-13 | 2001-05-08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cooter type motorcycle |
JP3163454B2 (en) * | 1992-01-13 | 2001-05-08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cooter type motorcycle |
JP3264082B2 (en) * | 1994-04-07 | 2002-03-11 | スズキ株式会社 | Motorcycles, tricycles |
CN2204755Y (en) * | 1994-06-04 | 1995-08-09 | 易良刚 | Multifunctional bicycle basket |
JP3478506B2 (en) * | 1994-06-10 | 2003-12-1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cooter type vehicle luggage storage device |
CN2232880Y (en) * | 1995-06-28 | 1996-08-14 | 谭小平 | Bicycle basket with lamp |
DE29803517U1 (en) * | 1998-02-28 | 1998-04-16 | Wiegmann Werner | Protective cover for a two-wheeler or the like. |
-
2004
- 2004-10-04 TW TW093129973A patent/TWI262882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0-06 KR KR1020040079581A patent/KR10058629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0-07 IT IT000683A patent/ITTO20040683A1/en unknown
- 2004-10-07 FR FR0452301A patent/FR286076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0-07 BR BRPI0404328-6A patent/BRPI040432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0-08 CN CNB2004100807534A patent/CN10038300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3831B2 (en) | 1994-09-01 | 2003-05-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cooter type vehicle luggage storage device |
JP2664131B2 (en) | 1995-07-17 | 1997-10-15 | 株式会社豊和 | Bicycle luggage mounting device |
JP2003040171A (en) | 2001-07-30 | 2003-02-13 | Rinei Kk | Edge cover for basket for vehicle, and basket for vehicle |
KR200283866Y1 (en) | 2002-05-01 | 2002-07-27 | 조명기 | A small wicker basket to adhesion structure for auto-cycle front |
CN1605531A (en) | 2003-10-08 | 2005-04-13 |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 Basket structure for vehicle |
BRPI0404328A (en) * | 2003-10-08 | 2005-06-07 | Honda Motor Co Ltd | Basket structure for use with vehicl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860764 A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05531A (en) | 2005-04-13 |
TWI262882B (en) | 2006-10-01 |
KR20050033835A (en) | 2005-04-13 |
BRPI0404328B1 (en) | 2015-03-03 |
TW200517294A (en) | 2005-06-01 |
FR2860764A1 (en) | 2005-04-15 |
BRPI0404328A (en) | 2005-06-07 |
FR2860764B1 (en) | 2006-05-19 |
CN100383008C (en) | 2008-04-23 |
ITTO20040683A1 (en) | 2005-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498034B (en) | Exterior trim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structure of engine installation part of scooter type vehicle, and around-muffler structure of motorcycle | |
US8162091B2 (en) | System for mounting a box or bag to a vehicle | |
JP2005112310A (en) | Storage device for motorcycle | |
KR100586292B1 (en) | Basket structure for vehicles | |
JP2005145203A (en) | Front part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 |
US4440330A (en) | Rear carrier for motorcycles and the like | |
JP4153359B2 (en) | Motorcycle | |
JP3620311B2 (en) | Motorcycle storage equipment | |
JP5677905B2 (en) | Motorcycle loading structure | |
KR100639580B1 (en) | Lamp arrangement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 |
JP4375715B2 (en) | Front structure of motorcycle | |
JP4974921B2 (en) | Motorcycle loading device | |
JP5101224B2 (en) | Children basket and motorcycle | |
JPWO2004031026A1 (en) | Motorcycle | |
JP4327550B2 (en) | Vehicle basket structure | |
JP4353468B2 (en) | Vehicle basket structure | |
JP2005112209A (en) | Basket structure of vehicle | |
JP6295225B2 (en) | Saddle riding | |
JP3838015B2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4133726B2 (en) | Car body rear structure | |
JP3743442B2 (en) | Scooter type motorcycle | |
JP5501416B2 (en) | Transmission cooling duct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s | |
JP4414189B2 (en) | Motorcycle | |
KR950004027Y1 (en) | Hanger | |
JP3523756B2 (en) | Motorcycle with stor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