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5221B1 -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21B1
KR100585221B1 KR1020040106035A KR20040106035A KR100585221B1 KR 100585221 B1 KR100585221 B1 KR 100585221B1 KR 1020040106035 A KR1020040106035 A KR 1020040106035A KR 20040106035 A KR20040106035 A KR 20040106035A KR 100585221 B1 KR100585221 B1 KR 10058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data
reference current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권
전용원
김경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221B1/ko
Priority to US11/302,438 priority patent/US73100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02Conversion to or from weighted codes, i.e. the weight given to a digi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git within the block or code word
    • H03M7/04Conversion to or from weighted codes, i.e. the weight given to a digi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git within the block or code word the radix thereof being tw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02Conversion to or from weighted codes, i.e. the weight given to a digi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git within the block or code word
    • H03M7/06Conversion to or from weighted codes, i.e. the weight given to a digi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git within the block or code word the radix thereof being a positive integer different from tw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82Provision for current-mod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버스 라인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대역폭(Bandwidth)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송신장치에서는 하나의 기준 전류와 멀티 레벨의 전류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장치는 수신된 기준 전류에 근거하여, 수신된 전류 데이터 판단을 위한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여, 전송된 전류 데이터를 원하는 전압 형태의 전압 데이터로 변환한다.

Description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 송수신 장치{Receiver and Transceiver for Multi-level Current Mode Signa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4가지 전류 신호를 이용한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8가지 전류 신호를 이용한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예에 따른 기준 전류 발생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20 :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100 : 송신 장치 200 : 수신 장치
210 : 기준 전류 발생기 212 : 전류 미러형 전류 복사부
214 : 기준 전류 버퍼 220 : 기준 전류 선택부
SW1/SW2/SW3 : 스위치들 230 : 전류-전압 변환기
232 :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234 : 전압 데이터 발생기
240 :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
본 발명은 송수신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송수신 장치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하나의 버스 라인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대역폭(Bandwidth)을 증가 시키기 위해, 하나의 신호에 전압 레벨을 달리하는 멀티 레벨(Multi-level)을 갖는, 즉 멀티 비트 코딩(Multi-bit coding)된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멀티 레벨 전압 모드 신호 전송 방법에서 하나의 신호 레벨에는 멀티 비트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구분은 서로 다른 신호 레벨에 의해 결정됨으로, 한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 할 때와 비교하여 보다 세밀한 신호 레벨의 구분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다 세밀한 신호 처리가 요구되는 신호들을 저항 및 커패시터 성분을 갖는 전송선을 통해 전송 할 때, 저항-커패시터 부하(RC-Loading) 효과에 의한 신호 왜곡, 동작 속도 감소 등의 문제로 신호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또한 신호 레벨을 구분을 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송신측에서 함께 전 송 할 경우, 신호 레벨 수에 따라 기준 전압을 위한 신호선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라인 수를 줄일 수 있고, 데이터 대역폭(Bandwidth)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및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N(자연수)-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N-비트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는 상기 복수의 내부 기준 전류들 중 N개의 서로 다른 내부 기준 전류에 대해 N번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N-비트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 형태의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여 제 1 전송선을 통해 외부 기준 전류로 제공하는 제 1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송신 전압 데이터를 전류로 변환하여 제 2 전송선을 통해 입력 전류 데이터로 제공하는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상기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 한 송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4가지 전류 신호를 이용한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8가지 전류 신호를 이용한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신호에 전류 값을 달리하여 멀티-비트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송신 장치(100)는 전류 값을 4가지로 구분하여 전송선(150)을 통하여 수신 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즉 하나의 전류 값은 2-비트의 정보(11, 10, 01, 00)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4가지의 전류 신호를 수신 장치(200)에서 구분하기 위해서는 3개의 기준 전류 레벨들(IREFU, IREF, IREFL)이 필요하다. 도 2의 송신 장치(100)에서는 전류 값을 8가지로 구분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즉 하나의 전류량은 3-비트의 정보(111, 110, 101, 100, 011, 010, 001, 000)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8가지의 전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7개의 기준 전류 레벨들(IREFUH, IREFU, IREFUL, IREF, IREFLH, IREFL, IREFLL)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전류 신호 레벨을 이용하여 멀티 비트의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100), 제 1 전송선(300), 제 2 전송선(400) 및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00)는 제 1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10) 및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20)로 구성되고, 제 1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10)는 기준 전압을 기준 전류로 변환하여 제 1 전송선(300)을 통해,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20)는 송신하고자 하는 전압 데이터를 전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 전송선(400)을 통해 각각 수신 장치(200)로 제공한다.
수신 장치(200)는 기준 전류 발생기(210), 기준 전류 선택부(220), 전류-전압 변환기(230) 및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240)를 포함한다.
기준 전류 발생기(210)는 기준 전류 버퍼(214) 및 전류 미러(Mirror)형 전류 생성부(212)로 구성되는데, 기준 전류 버퍼(214)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기준 전류를 버퍼링(Biffering)하는 역할을 하며, 전류 미러형 전류 생성부(212)는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P1) 및 전류 미러 트랜지스터(P1)의 전류를 복사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들(P2, P3, P4)을 구비하고, 이러한 트랜지스터들(P2, P3, P4)로부터 복수개의 내부 기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미러 트랜지스터(P1)의 크기가 X2이고 IREF의 기준 전류가 흐르고 있다면, 각각의 크기가 X1, X2, X3인 트랜지스터들(P2, P3, P4)은 각각 1/2×IREF, IREF, 3/2×IREF의 전류 값를 갖는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100)는 하나의 기준 전류(IREF)만을 전송하고, 송신된 멀티 레벨 전류 데이터(IDATA)의 논리값 결정에 적합한 수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수신 장치(200)에서 생성할 수 있으므로 기준 전류 전송을 위한 버스 라인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기준 전류 선택부(220)는 스위치 제어 신호(SC)에 응답해서 기준 전류 발생기(210)에서 생성된 내부 기준 전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위치들(SW1, SW2, SW3)로 구성된다.
전류-전압 변환기(230)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232) 및 전압 데이터 발생기(234)로 구성되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232)는 기준 전류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내부 기준 전류와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된 전류 데이터와의 전류 차이(△I)에 근거하여 그 전류 차이를 먼저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하며, 전압 데이터 발생기(234)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232)에서 1차로 변환된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Logic Processing)하여 전송된 전류 데이터(IDATA)에 상응하는 최종적인 전압 형태의 전압 데이터(VDATA_O)를 생성한다. 전압 데이터 발생기(234)의 앞 단인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232)는 입력 전류 신호 변화에 대해 계속적인 응답동작을 하므로 전압 데이터 발생기(234)는 앞 단에서 일정한 아날로그 신호가 형성(Develop)될 때까지 기다린 후,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최종적인 전압 데이터를 패치(Fetch)할 수 있다.
또한, 전류-전압 변환기(230)는 N(자연수)-비트 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N-비트의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N번의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전송된 하나의 전류 데이터(IDATA)의 전류 레벨이 2-비트의 정보를 갖는 경 우를 설명하면(예를 들면, "10"의 정보를 갖는 전류 데이터라 하자), 먼저 기준 전류 선택부(220)의 스위치(SW2)가 턴-온 되어 트랜지스터(P3)로부터 IREF의 전류가 첫 번째로 전류-전압 변환기(230)로 제공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10"의 정보를 갖고 있는 해당 전류 데이터의 전류 값은 IREF의 전류 값 보다 크므로, 전류-전압 변환기(230)는 "1" 에 해당하는 전압 데이터를 첫 번째로 생성한다. 전류-전압 변환기(230)의 출력이 "1"이므로, 보다 큰 전류 값을 갖는 내부 기준 전류와 전송된 전류 데이터를 다시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에는 스위치 제어 신호(SC)에 의해 스위치(SW3)가 턴-온 되며, 트랜지스터(P4)로부터 도 1의 IREFU에 해당하는 3/2×IREF의 전류가 두 번째로 제공된다. 이때에는 전류 데이터의 전류 값이 IREFU의 전류 값보다 낮으므로, 전류-전압 변환기(230)는 "0" 에 해당하는 전압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전류-전압 변환기(230)는 2-비트의 정보를 갖고 있는 하나의 전류 데이터를 처리하여 최종적인 "10"의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2번의 반복 동작을 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01" 의 정보를 갖는 전류 데이터 경우는 스위치(SW2), 스위치(SW1)의 순으로 턴-온 되어 비교 동작이 일어난다.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2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전압 변환기(230)에서의 반복 동작에 필요한 적절한 순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준 전류 선택부(220)의 스위치들(SW1, SW2,SW3)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SC)를 생성한다. 전류-전압 변환기(230)의 반복 동작 중 첫 번째 동작에서는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된 기준 전류(IREF)와 통일한 전류 값을 갖는 내부 기준 전류가 제일 먼저 전류-전압 변환기(230)로 제공되는데 즉, 하나의 전송 된 전류 데이터 비교 동작에서 항상 스위치(SW2)가 첫 번째로 턴-온 되는데, 이러한 첫 번째 스위치(SW2)의 선택은 유효한 하나의 전류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초기 선택 신호(INIS)를 이용하여 제어 될 수 있다. 그 이후의 스위치 제어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234)의 신호 변환 상태를 이용한 순차적인 디코딩(Sequential Decoding) 방식으로 이루어 지며, 전류 값 비교 동작의 결과에 따라 기준 전류 선택부(320)의 나머지 스위치들(SW1,SW3)의 턴-온 및 턴-오프가 결정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디코딩 방식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사실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전압-전류 변환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송신코자 하는 전압 데이터를 멀티-비트 정보를 갖는 멀티 레벨 전류 신호(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송신 장치(100)의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20)는 트랜지스터 스위치들(N1, N2, N3, N4) 및 2-비트 정보 전달을 위한 4가지의 서로 다른 전류 값을 갖는 전류 소스들(I-00, I-01, I-10, I-11)로 구성된다. 전송코자 하는 두-비트의 전압 데이터는 디코딩 과정을 통해 스위치들(N1, N2, N3, N4)중 해당하는 하나를 턴-온 시키며, 해당 스위치의 턴-온에 의해 해당 전류 소스가 활성화(Activation)되어, 전송코자 하는 전압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류 값을 갖는 전류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예에 따른 기준 전류 발생기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 전류 발생기(212)는 2-비트 전류 데이터의 전송시에 내부 기준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P2, P3, P4) 및 3-비트 전류 데이터의 전송시에 부가적인 내부 기준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P5, P6, P7, P8)과 트랜지스터들((P5, P6, P7, P8)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들(NS)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서는, 전송코자 하는 전류 데이터의 전송 비트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면, 도 1의 경우처럼 2-비트 혹은 3-비트), 비트 개수 선택 신호(BS)에 의해 기준 전류 선택부(220)로 제공되는 내부 기준 전류들의 수가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해 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전류 선택 선택부(220)의 스위치는 7개가 되며,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240)는 동작 모드 전환(2-비트 혹은 3-비트 전류 데이터 전송)에 따라 기준 전류 선택부(220)의 스위치들을 적절히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준 전류와 함께 멀티-비트의 정보를 갖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함으로써 버스 라인 수 감소 및 데이터 대역폭(Bandwidth)증가가 가능하고, 또한 수신된 전류 데이터 판단을 위한 반복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를 처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및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N(자연수)-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N-비트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는 상기 복수의 내부 기준 전류들 중 N개의 서로 다른 내부 기준 전류에 대해 N번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N-비트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준 전류는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선을 통해 하나의 기준 전류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는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상기 출력 전류와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하여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N-비트 전압 데이터로 출력하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데이터 발생기의 신호 변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N번의 동작을 위해서 상기 외부 기준 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내부 기준 전류를 첫 번째로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데이터 발생기는 클럭 신호에 동기 되어 상기 N-비트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외부 기준 전류를 버퍼링 하는 기준 전류 버퍼; 및
    상기 기준 전류 버퍼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류 미러 형 전류 생성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N-비트 입력 전류 데이터의 전송 비트 개수를 선택하는 비트 개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상기 전송 비트 개수에 따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9.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 형태의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준 전류는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선을 통해 하나의 기준 전류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데이터 발생기의 신호 변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해당하는 논리값 결정에 적합한 순서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는 하나의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상기 외부 기준 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내부 기준 전류를 첫 번째로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데이터 발생기는 클럭 신호에 동기 되어 상기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 한 수신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외부 기준 전류를 버퍼링 하는 기준 전류 버퍼; 및
    상기 기준 전류 버퍼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류 미러 형 전류 생성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의 전송 비트 개수를 선택하는 비트 개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상기 전송 비트 개수에 따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 장치.
  16. 기준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여 제 1 전송선을 통해 외부 기준 전류로 제공하는 제 1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송신 전압 데이터를 전류로 변환하여 제 2 전송선을 통해 입력 전류 데이터로 제공하는 제 2 전압-전류 변환 증폭기;
    상기 외부 기준 전류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는 기준 전류 발생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기준 전류 선택부;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의 출력 전류와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류의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로직 프로세싱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를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 데이터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준 전류는 하나의 기준 전류 값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데이터 발생기의 신호 변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에 해당하는 논리값 결정에 적합한 순서로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발생기는 하나의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상기 외부 기준 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내부 기준 전류를 첫 번째로 상기 전류-전압 변환 증폭기에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개 의 스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외부 기준 전류를 버퍼링 하는 기준 전류 버퍼; 및
    상기 기준 전류 버퍼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류 미러 형 전류 생성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기는 상기 입력 전류 데이터의 전송 비트 개수를 선택하는 비트 개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류 선택부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기준 전류들을 상기 전송 비트 개수에 따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1020040106035A 2004-12-15 2004-12-15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8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35A KR100585221B1 (ko) 2004-12-15 2004-12-15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US11/302,438 US7310005B2 (en) 2004-12-15 2005-12-14 Receiver and transceiver for multi-level current-mode signa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35A KR100585221B1 (ko) 2004-12-15 2004-12-15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221B1 true KR100585221B1 (ko) 2006-06-01

Family

ID=3694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5221B1 (ko) 2004-12-15 2004-12-15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10005B2 (ko)
KR (1) KR100585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275B1 (ko) * 2006-01-3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모드에서 전압모드로 동작하는 전류모드 반도체집적회로장치
US7400174B1 (en) * 2007-01-10 2008-07-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Current mode interface receiver with process insensitive common mode current extraction and the method
US7605635B2 (en) * 2007-05-24 2009-10-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Threshold control circuitry for multiple current signal receivers
KR102787325B1 (ko) * 2020-09-11 202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레벨 신호 생성을 위한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31U (ko) * 1989-04-28 1990-11-09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멀티레벨 기준 전압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064A (en) * 1995-01-23 1996-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directional transmission line driver/receiver
DE19815011A1 (de) 1998-04-03 1999-10-14 Temic Semiconductor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en Sendesignalen
KR20000020724A (ko) 1998-09-23 2000-04-15 김영환 다중 전압레벨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회로
KR100465834B1 (ko) 2002-12-28 2005-01-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
JP2005079627A (ja) * 2003-08-28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31U (ko) * 1989-04-28 1990-11-09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멀티레벨 기준 전압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9556A1 (en) 2006-09-07
US7310005B2 (en)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212B1 (en) Low-latency equalization in multi-level, multi-line communication systems
JP5575237B2 (ja) 組み合わせデータマスクおよびデータバス反転を用いたデータ符号化
US10599606B2 (en) 424 encoding schemes to reduce coupling and power noise on PAM-4 data buses
US6384621B1 (en) Programmabl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matching circuit
US672783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US12176926B2 (e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mode coding
CN115080475A (zh) 用于编码和解码的装置和方法
KR100585221B1 (ko) 멀티 레벨 전류 모드 신호 전송을 위한 수신장치 및송수신 장치
US11822492B2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 semiconductor device to generate an optimal transition code in a multi-level signaling system
JP4829962B2 (ja) 通信チャネルを介したデータ転送速度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20311646A1 (en) Signal transmitting device, signal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ing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US20180062978A1 (en) Sliced architecture for a current mode driver
EP1410588B1 (en) Communication system, multilevel signal and mulitlevel signal driver using equalization or crosstalk cancellation
US812230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daptive power function
US5714949A (en) Priority encoder and variable length encoder using the same
US5913075A (en) High speed communication between high cycle rate electronic devices using a low cycle rate bus
US12316451B2 (en)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ing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US20250202501A1 (en) Data encoding, data decoding, a semiconductor apparatus and a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same
US6177900B1 (en) Circuit for selecting one of divided encoders fo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20190348082A1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buffer,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7167116B2 (en) Memory devices having single bit bus structure with current mode signaling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EP4518263A1 (en) Transmitter and transceiver for switching jitter improvement
JPH07153279A (ja) 多重一致検出装置
KR20030084170A (ko) 플래쉬 adc를 위한 다중 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다중기준전압 발생방법
JP3976923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