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4857B1 -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857B1
KR100584857B1 KR1020030088371A KR20030088371A KR100584857B1 KR 100584857 B1 KR100584857 B1 KR 100584857B1 KR 1020030088371 A KR1020030088371 A KR 1020030088371A KR 20030088371 A KR20030088371 A KR 20030088371A KR 100584857 B1 KR100584857 B1 KR 10058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packaging machine
vacuum packaging
vacuum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740A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03008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85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8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5/00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 F04C25/02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for producing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식료품을 포장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 이를 봉합하여 보존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에 형성된 공기배출구가 진공챔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어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또, 진공펌프의 소음이 현저히 저감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 진공포장, 진공포장지, 진공펌프, 소음, 열봉합

Description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Vacuum packing machine evacuating and sealing a plastic bag by downwardly exhausting the air in it}
도1은 종래의 진공포장지를 나타낸다.
도2는 종래의 진공포장기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는 진공포장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3의 A-A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5는 덮개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기를 이용해 진공용기를 진공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커버, 110...패킹, 120...누름고무, 180...에어호스,
200...베이스, 210...진공펌프, 211...흡음재, 212...압력센서, 213...진공펌프실, 220...히팅부, 230...덮개, 240...진공챔버, 250...진공챔버부, 251...공기배출구, 252...돌출부, 260...충전 배터리, 270...메인스위치, 271...진공펌프스위치, 280...연통부, 281...연통배기구, 282...연통흡기구,
300...국물받이통, 301...관통홈, 310...충전기, 320...진공용기, 330...에어호스,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식료품을 포장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 이를 봉합하여 보존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포장기의 진공챔버에 형성된 공기배출구가 진공챔버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또, 진공펌프의 소음이 현저히 저감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지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된 후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포장지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음식물 등을 진공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진공포장기는 이와 같은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킨 후 열봉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의 진공포장지 및 진공포장기로는 미국특허 제4941310호에 개시된 도1과 같은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와 도2와 같은 진공포장기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진공포장기(20)는 베이스(32), 후드(33), 이들 사이에 형성된 진공챔버(34), 상기 진공챔버(34)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53) 및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를 전기적으로 열봉합하는 열봉합장치(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공챔버(34)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공펌프(34)의 흡기구와 에어호스(5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기에 의하여 음식물 등을 진공포장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음식물 등의 피포장물이 진공포장지(21)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진공챔버(34)의 내부에 위치된 후에 상기 후드(33)가 베이스(32) 위로 하강되어, 진공포장지(21)와 진공챔버(34)는 밀폐된다. 그런 후에 진공펌프(53)가 작동되면 상기 진공펌프(53)의 흡기구와 에어호스(5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진공챔버(34)의 공기배출구로 진공챔버(34)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챔버(34)가 진공되고, 이에 따라, 진공포장지(21)의 내부도 진공이 되며, 진공이 완료되면 열봉합장치(50)에 의하여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열봉합된다. 이때 진공포장지(21)의 내부 일측면에 도1에 도시되듯이 엠보싱(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25)에 의해 진공포장지(21) 내부의 공기가 잘 흡입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2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가 후드(33)에 형성되어 있고, 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공기배출구가 진공챔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공펌프로 진공챔버 내부를 흡입하여 진공시킬 때, 바닥쪽 공기는 진공챔버 상부로 끌어올려야 하고, 반대쪽에 있는 공기는 공기배출구쪽으로 끌어들여 빼내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흡입력이 강한 고성능의 진공펌프를 사용하게 되면, 그만큼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진공펌프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진공포장기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없으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많은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진공포장기에서는 배터리가 빨리 소진되어 사용시간이 짧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챔버의 공기배출구를 진공챔버의 하부에 형성시킴으로서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원활이 빠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포장기가 갖는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히 저감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공챔버 바닥면에 공기배출구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국물받이통을 진공챔버에 설치하더라도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데는 문제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기는, 베이스와;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펌프의 흡기구와 통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위치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진공포장지와 함께 진공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할 수 있는 열봉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배출구는 진공챔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4는 진공포장지(340)가 설치된 상태에 대한 도3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되고 있는 진공포장기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커버(1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200)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펌프(210)와 열봉합장치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0)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오목한 홈 형태의 진공챔버부(250)와 연통부(2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00)에는 상기 진공챔버부(250) 및 연통부(280)에 대응하여 패킹(110)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100)가 회전되어 베이스(200) 위로 닫히면 상기 패킹(110)이 상기 진공챔버부(250) 및 연통부(280)의 개방된 상부를 막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100)가 상기 진공챔버부(250)를 덮음으로서 이루어지는 공간에 의해 진공챔버(240)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280)를 덮음으로서 연통실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진공챔버부(25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바닥에 공기배출구(251)가 형성되어 있어 진공챔버(240)의 공기배출구(251)가 진공챔버(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공챔버(240)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로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위치되면 진공포장지 내의 공기를 빼내는데 효과적이어서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공기배출구(251)는 바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므로 바람직하 다.
그리고, 상기의 공기배출구(251)는 진공펌프(210)의 흡기구와 에어호스를 통해 바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도3의 진공포장기에서는 중간에 연통실을 경유하여 연결되고 있다.
상기의 연통실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200)에 형성된 연통부(280) 위로 커버(100)의 패킹(110)이 덮임으로서 형성되는 폐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280)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통흡기구(282)와 연통배기구(2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연통흡기구(282)는 상기 진공챔버(240)의 공기배출구(251)와 에어호스(180)를 통해 연결되어 통하고 있으며, 상기 연통배기구(281)는 상기 진공펌프(210)의 흡기구와 에어호스(180)를 통하여 연결되어 통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챔버(240)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251)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연통실을 경유하여 진공펌프(210)의 흡기구로 향하고, 진공펌프(210)의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의 연통배기구(281)는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진공용기(320)와 연결되게 되는 에어호스(330)의 타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진공포장기의 진공펌프(210)를 진공용기(320)를 진공시키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챔버(240)의 바닥면에는 돌출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2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물받이통(300)을 진공챔버(240) 내에 설치하더라도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배 출구(251)가 막히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국물받이통(300)은 진공포장지(34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의 국물이나 가루 등이 진공시킬 때 진공포장지(340)의 개봉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받아내게 되므로, 진공포장기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세척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국물받이통(300)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부에 관통홈(301)을 형성하여 공기가 진공챔버(240)의 공기배출구(251)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되고 있는 덮개는 베이스(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진공포장지(340)를 설치할 때 그 개봉부가 진공챔버(240) 밖으로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되어 진공챔버부(250) 위로 덮임으로서 진공포장지(340)의 개봉부를 진공챔버부(250) 안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공포장지(340)를 진공포장기에 설치할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진공포장지(340)의 개봉부를 진공챔버(240) 안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230)는 진공챔버(240)의 폭이 좁게 형성되더라도 진공포장지(340)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도와주므로 진공포장기를 콤팩트하게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덮개(230)로 인해 진공 시 진공포장지(340)의 개봉부를 통해 국물등이 배출되더라도 그 국물이 커버(100)에는 닿지 않게 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덮개(2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착탈가능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0)에는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진공펌프 실(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진공펌프실(213)에 진공펌프(210)를 설치함으로서 진공펌프(210)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펌프실(213)의 내벽에는 흡음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진공펌프실은 가능하면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음 저감에 적합한 정도라면 완전한 밀폐까지는 필요치 않을 것이다.
또한, 진공펌프(210)는 진공챔버(2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킬 때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210)의 배기구에는 소음저감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배기구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며, 예컨대,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배기구의 통로를 확장하고 여기에 흡음재(211)를 설치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도 있다.
진공포장기에는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포장지(340)를 열봉합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진공챔버부(250) 전방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00)에는 상기 히팅부(220) 위로 진공포장지(340)를 누르기 위한 누름고무(1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히팅부(220)가 가열되어 진공포장지(340)를 열봉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열봉합장치는 도2와 같은 종래의 진공포장기에 포함된 열봉합장치(50)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3과 같이 진공포장기에는 열봉합장치와 진공펌프(210) 및 전자회로 등을 위한 전원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2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래서,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전기(310)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서 가정 내에서만이 아니라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외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3의 진공포장기는 센서와 타이머와 전자회로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진공펌프(210)와 열봉합장치 등을 전자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포장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진공펌프(210)를 작동시켜 진공포장지(340)를 진공시키고, 센서를 통해 진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진공펌프(210)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열봉합장치를 작동시켜 진공포장지(340)를 열봉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공이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4에 보이는 진공포장기에서는 연통배기구(281)와 진공펌프(210)의 흡기구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80)을 분기시켜 압력센서(21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진공포장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로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의 진공포장기에서는 커버(100)가 닫히면서 커버(100)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누름부(130,131)가 리미트스위치(270,271)를 누름에 따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3의 진공펌프스위치(271)를 누르면 진공펌프(210)만이 작동하게 되며, 이는 도6과 같이 진공용기(320)를 진공시킬 때 사용자가 직접 눌러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도3의 메인스위치(270)는 진공포장기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 이며, 커버(100)가 닫히면서 상기 메인스위치(270)가 눌러지면 진공포장기가 작동되어 전자제어장치가 진공펌프(210) 및 열봉합장치를 제어하여 진공포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챔버의 공기배출구가 진공챔버의 바닥-바람직하게는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원활이 빠지게 되어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진공포장기에 있어 진공챔버의 공기가 상부 일측으로 빠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갖고 있던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진공펌프를 진공펌프실에 설치하고, 그 배기구에 소음저감부재를 설치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진공챔버 바닥에 공기배출구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국물받이통을 진공챔버에 설치하더라도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데는 문제가 없게 된다.

Claims (6)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진공펌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가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펌프의 흡기구와 통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위치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진공포장지와 함께 진공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할 수 있는 열봉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배출구는 진공챔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챔버의 바닥에는 상기 공기배출구 위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는 상기 돌출부 위로 놓이는 국물받이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진공챔버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연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통부에는, 상기 진공챔버의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연통흡기구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기구와 연결되어 통하는 연통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연통부를 덮음으로서 폐공간의 연통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밀폐된 진공펌프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진공펌프실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구에는 소음저감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상기 진공챔버 안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덮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KR1020030088371A 2003-12-06 2003-12-06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71A KR100584857B1 (ko) 2003-12-06 2003-12-06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71A KR100584857B1 (ko) 2003-12-06 2003-12-06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40A KR20050054740A (ko) 2005-06-10
KR100584857B1 true KR100584857B1 (ko) 2006-05-30

Family

ID=3724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3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857B1 (ko) 2003-12-06 2003-12-06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61B1 (ko) * 2005-10-12 2007-04-24 (주)씨에스이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WO2008130171A1 (en) * 2007-04-23 2008-10-30 Soon-Lee June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KR101446060B1 (ko) * 2012-06-07 2014-10-01 김성희 식품용기포장기
KR101465448B1 (ko) * 2013-03-26 2014-11-27 김성희 커버승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538474B1 (ko) * 2014-11-21 2015-07-22 심지현 진공포장기
CN108502238B (zh) * 2018-04-09 2020-02-28 刘瑷玮 一种具有防噪音装置的家用真空包装机
KR102666734B1 (ko) * 2021-11-30 2024-05-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 포장기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40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703B1 (ko) 냉장고 장착형 진공포장기
KR20050099634A (ko) 탈착 가능한 트로프를 갖는 진공 포장장치
WO2006102132A2 (en) Vacuum packaging machine
KR20020028937A (ko) 진공포장기
KR100584857B1 (ko)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100502153B1 (ko) 진공포장기
KR100853750B1 (ko) 진공 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584855B1 (ko) 분리형 진공포장기
KR100991751B1 (ko) 실링장치가 구비된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KR100708885B1 (ko) 진공포장기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900506B1 (ko) 휴대용 진공 전열 씰러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101812906B1 (ko) 식품 건조기
KR100421195B1 (ko)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1865004B1 (ko) 언클램핑버튼으로 진공압이 해지되도록 한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934738B1 (ko) 음식물처리기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1519568B1 (ko) 진공포장기
KR20120103985A (ko) 누름 스위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100510984B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